KR101845420B1 -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5420B1 KR101845420B1 KR1020160007860A KR20160007860A KR101845420B1 KR 101845420 B1 KR101845420 B1 KR 101845420B1 KR 1020160007860 A KR1020160007860 A KR 1020160007860A KR 20160007860 A KR20160007860 A KR 20160007860A KR 101845420 B1 KR101845420 B1 KR 1018454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wire
- inner handle
- tailgate
- wir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설치되는 인너핸들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의 하단에 설치되며,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연동하여 파지부를 인출시키거나 복원시키는 인너핸들조립체 및 일단이 상기 테일게이트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힌지조립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너핸들조립체에 연결되어 인너핸들조립체를 구동시키는 상부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와이어는 힌지조립체 측에 연결된 제1상부와이어와 인너핸들조립체 측에 연결된 제2상부와이어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1상부와이어와 제2상부와이어의 사이는 길이조절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핸들조립체의 작동 불량을 방지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게이트에 설치되는 인너핸들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조립체와 핸들조립체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와이어의 중앙에 길이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상부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겨줌에 따라 핸들조립체의 작동 불량을 방지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UV(Sport Utility Vehicle), MPV(Multi-Purpose Vehicle) 등과 같은 다목적 차량에는 테일게이트(tailgate)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차량 실내의 후방 공간을 완전 개방함과 더불어 적재된 물품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실외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테일게이트는 차량의 후방에 그 상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테일게이트의 하단에는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돕기 위한 핸들조립체가 구비된다.
상기 핸들조립체는 테일게이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아웃핸들조립체, 테일게이트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래치 및 테일게이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개방된 테일게이트를 다시 내려주기 위한 인너핸들조립체로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외부에서 아웃핸들조립체를 조작하면 아웃핸들조립체와 연결된 래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잠금 해제된 테일게이트는 가스리프트의 지지를 받으면서 위로 개방된다. 그 다음, 위로 개방된 테일게이트를 다시 닫고자 하면 사용자는 테일게이트의 안쪽에 설치된 인너핸들조립체를 잡고 테일게이트를 밑으로 내려주게 된다.
이러한 인너핸들조립체는 통상적으로 래치 근처에 설치되고, 트림일체형, 패널삽입형, 그립형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로 차종이나 차량의 사양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인너핸들조립체는 테일게이트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지상고가 너무 높은 위치에 있어 어린이나 여성과 같이 신장이 작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테일게이트의 개방 각도를 낮추면 해결될 수 있으나 개방 각도를 낮출 경우, 상대적으로 신장이 큰 사람들에게는 머리를 부딪칠 수 있으며 물품의 상하차 시에 낮은 테일게이트로 인해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인너핸들조립체를 인출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상부와이어를 힌지조립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장착 여유 길이만큼 추가로 길게 형성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테일게이트의 오픈 시에도 하부와이어가 작동하지 않아 핸들 작동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테일게이트가 개방되면 인너핸들조립체의 파지부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키가 작은 사용자도 편하게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상부와이어와 제2상부와이어가 길이조절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상부와이어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인너핸들조립체의 작동 불량이 방지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테일게이트의 하단에 설치되며,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연동하여 파지부를 인출시키거나 복원시키는 인너핸들조립체; 및 일단이 상기 테일게이트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힌지조립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너핸들조립체에 연결되어 인너핸들조립체를 구동시키는 상부와이어; 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와이어는 힌지조립체 측에 연결된 제1상부와이어와 인너핸들조립체 측에 연결된 제2상부와이어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1상부와이어와 제2상부와이어의 사이는 길이조절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서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제1상부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된 제1볼트부; 상기 제2상부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된 제2볼트부; 및 상기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가 각각 진입할 수 있도록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너트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서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상단과 결합되어 테일게이트를 피벗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기구; 및 상기 힌지기구에 결합되며 제1상부와이어의 끝단이 체결되는 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서 상기 제1상부와이어의 끝단에는 제1상부와이어의 장착을 위한 고정구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는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장착홀의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홈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서 상기 인너핸들조립체는, 핸들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부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이중풀리; 및 상기 이중풀리와 하부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이중풀리의 회전에 따라 파지부를 인출 또는 복원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핸들브라켓에 결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며 실린더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는,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결합되며, 하부와이어를 매개로 이중풀리에 연결되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피스톤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송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서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홀이 형성되며, 이송바는 활주홀을 통해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하여 피스톤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장착되어 실린더의 외측으로 피스톤을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이송바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과 이송바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송바로 전달하는 링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서 상기 이중풀리는 상부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상부와인딩부 및 하부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하부와인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와인딩부와 하부와인딩부는 풀리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서 상기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는 이중풀리에 외주면에 감기며, 테일게이트의 개방에 의해 상부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는 이중풀리의 외주면에서 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서 상기 이중풀리에는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어 감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인가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는, 상기 핸들브라켓에 설치되며 하부와이어의 경로를 설정하는 가이드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핸들브라켓에 결합되는 가이드리브; 및 상기 가이드리브에 결합되며 하부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멤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의 개방 시에는 인너핸들조립체에서 파지부가 테일게이트의 하단으로부터 인출되므로 신장이 작은 사용자도 매우 간편하게 테일게이트를 폐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의 폐쇄 시에는 파지부가 인너핸들조립체로 복원되어 테일게이트의 폐쇄에 따른 다른 부품이나 적재된 물품과의 접촉이 방지되므로 테일게이트의 폐쇄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부와이어를 힌지조립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 여유 길이(ΔL)만큼 상부와이어가 늘어져서 테일게이트의 오픈 시에도 이중풀리가 회전하지 않는 문제를 개선하여 상부와이어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너핸들조립체의 작동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가 차량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에서 파지부가 복원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에서 파지부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에서 파지부가 복원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에서 파지부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가 차량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조립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10)는 SUV(Sport Utility Vehicle), MPV(Multi-Purpose Vehicle) 등과 같은 차량에 그 상단이 힌지조립체(10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차량의 후방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상기 테일게이트(10)의 하단에는 테일게이트(10)의 개폐에 연동하여 후술되는 파지부(360)를 인출시키거나 복원시키는 인너핸들조립체(300)가 설치되어 키가 작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상기 힌지조립체(100)와 인너핸들조립체(300)의 사이는 테일게이트(10) 패널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부와이어(200)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상부와이어(200)는 테일게이트(10)의 개폐에 따라 궤적이 변화되어 인너핸들조립체(300)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와이어(200)는 테일게이트(10)가 개방되었을 때 힌지조립체(100)로부터 테일게이트(10) 패널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어 후술되는 이중풀리(320)로부터 풀어지게 되고, 테일게이트(10)가 폐쇄되었을 때 힌지조립체(100)로부터 테일게이트(10) 패널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어 이중풀리(320)로 감기게 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와이어(200)는 힌지조립체(100) 측에 연결되는 제1상부와이어(210)와 인너핸들조립체(300) 측에 연결되는 제2상부와이어(220)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1상부와이어(210)와 제2상부와이어(220)의 사이는 길이조절장치(2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길이조절장치(230)는 상부와이어(200)와 힌지조립체(100)를 조립할 때 발생하는 장착 여유 길이(ΔL)를 조절하여 상부와이어(200)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인너핸들조립체(300)의 작동 불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조립체(100)는 테일게이트(10)의 상단과 결합되어 테일게이트를 피벗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기구(110) 및 상기 힌지기구(110)에 인접하게 결합되며 제1상부와이어(210)의 끝단이 체결되는 고정브라켓(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상부와이어(210)의 끝단에는 제1상부와이어의 장착을 위한 고정구(212)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212)는 고정브라켓(120)에 형성된 장착홀(122)의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홈(124)에 고정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와이어(200)는 고정브라켓(120)에 장착하기 위해 장착홀(122)로 진입하는 초기 위치(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와 고정브라켓의 고정홈(124)에 고정되어 최종 결합된 위치가 장착 여유 길이(ΔL)만큼 차이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와이어(200)는 전체 길이가 장착 여유 길이(ΔL)만큼 증가된 상태로 구성되어 테일게이트(10)에 설치되고, 테일게이트(10)가 개방되어도 장착 여유 길이(ΔL)만큼 상부와이어(200)가 더 늘어나지 않으면 인너핸들조립체(30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장치(230)를 이용해 상부와이어(200)의 길이를 조정하지 않으면 상부와이어(200)는 늘어진 상태로 힌지조립체(100)와 인너핸들조립체(300)의 사이를 잇게 되고, 늘어진 길이(ΔL)를 이동하는 만큼은 제대로 된 작동을 하지 못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장치(230)는, 제1상부와이어(210)의 끝단에 결합된 제1볼트부(232), 상기 제2상부와이어(220)의 끝단에 결합된 제2볼트부(234) 및 상기 제1볼트부(232)와 제2볼트부(234)가 각각 진입할 수 있도록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너트부(236)를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길이조절장치(230)를 이용해 상부와이어(2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전, 상부와이어(200)는 장착 여유 길이(ΔL)만큼 늘어나 있는데,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너트부(236)를 회전시키면 제1볼트부(232)와 제2볼트부(234)가 너트부(236)의 내부로 진입하며 상부와이어(200)가 팽팽해지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힌지조립체(100)에 상부와이어(200)를 조립한 후 길이조절장치(230)를 작동하여 장착 여유 길이(ΔL)만큼 상부와이어(200)의 길이를 줄여주고, 이에 따라 인너핸들조립체(300)의 작동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핸들조립체(300)는, 핸들브라켓(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부와이어(200)가 감기거나 풀리는 이중풀리(320) 및 상기 이중풀리(320)와 하부와이어(330)를 통해 연결되어 이중풀리의 회전에 따라 파지부(360)를 인출 또는 복원시키는 작동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브라켓(310)은 테일게이트(10)의 하단 일측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고정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테일게이트(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함몰 부분에 결합된다.
상기 핸들브라켓(310)의 일면에는 이중풀리(3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이중풀리(320)에는 상부와이어(200)와 하부와이어(330)가 도 5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상기 작동부(340)는, 핸들브라켓(310)에 대칭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실린더(342), 상기 실린더(342)에 각각 삽입되며 실린더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피스톤(344) 및 상기 피스톤(344)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는 파지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360)는 한 쌍의 피스톤(344)에 볼트 등을 매개로 결합되며, 피스톤(344)이 실린더(342)로부터 인출되거나 실린더(342)의 내부로 복원되면 그에 연동하여 함께 이동한다.
한 쌍의 상기 피스톤(344)의 사이에는 이송바(350)가 설치되어 피스톤(344)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데, 상기 이송바(350)는 하부와이어(330)를 매개로 이중풀리(320)에 연결되어 작동한다.
즉, 상기 하부와이어(330)가 이중풀리(320)로부터 풀리면 이송바(350)가 전진함에 따라 피스톤(344) 및 파지부(360)도 함께 전진(인출)하고, 상기 하부와이어(330)가 이중풀리(320)에 감기면 이송바(350)가 후진함에 따라 피스톤(344) 및 파지부(360)도 함께 후진(복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342)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홀(342a)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바(350)는 활주홀(342a)을 통해 실린더(342) 내부로 진입하여 피스톤(344)의 측면에 관통 결합된다.
상기 활주홀(342a)의 길이는 차량의 종류 등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송바(350)의 전후진 스트로크를 적절하게 규제하여 파지부(360)의 인출/복원 정도를 규제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실린더(342)의 내부에는 실린더의 외측으로 피스톤(344)을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이송바(35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탄성부재(37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37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부재(370)에 의해 이송바(350) 및 피스톤(344)은 항상 실린더(342)로부터 돌출되려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하부와이어(330)가 이중풀리(320)로부터 풀어지면 전진하게 되고, 제1탄성부재(370)는 팽창된다.
반대로, 상기 하부와이어(330)가 이중풀리(320)에 감겨지면 이송바(350) 및 피스톤(344)은 제1탄성부재(37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핸들브라켓(310) 방향으로 후진하게 되고, 제1탄성부재(370)는 압축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370)의 일단과 이송바(350)의 사이에는 링부재(372)가 배치되어 제1탄성부재(370)의 탄성력을 이송바(350)로 전달하는데, 상기 링부재(372)는 제1탄성부재(370)가 팽창 또는 압축될 때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이송바(350)가 안정적인 자세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풀리(320)는 상부와이어(200)가 감기거나 풀리는 상부와인딩부(322) 및 하부와이어(330)가 감기거나 풀리는 하부와인딩부(324)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와인딩부(322)와 하부와인딩부(324)는 풀리벽(326)에 의해 구획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중풀리(320)가 풀리벽(326)에 의해 상부와인딩부(322)와 하부와인딩부(324)로 구획된 구조에 의해 상부와이어(200)와 하부와이어(330)는 각각 이중풀리(32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릴 때 보다 안정된 자세로 원활하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중풀리(320)에는 제2탄성부재(380)가 설치되어 감김방향(도 5에서 시계방향)으로 원주방향의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와이어(200)의 당김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이중풀리(3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부와이어(200)와 하부와이어(330)가 감겨진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탄성부재(380)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토션스프링은 동그랗게 말린 코일부를 기준으로 양 단에 핸들브라켓(310) 측에 고정되는 일측 레그 및 이중풀리(320) 측에 고정되는 타측 레그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브라켓(310)에는 하부와이어(330)의 경로를 설정하여 하부와이어(330)가 이중풀리(320)로부터 이송바(350)까지 가이드 되도록 가이드유닛(39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유닛(390)은, 핸들브라켓(310)에 결합되는 가이드리브(392) 및 상기 가이드리브(392)에 결합되며 하부와이어(3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394a)이 형성된 가이드멤버(394)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리브(392)는 가이드멤버(394)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멤버(394)는 가이드리브(392)에 끼워짐과 동시에 하부와이어(3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92)와 가이드멤버(394)는 핸들브라켓(310)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하부와이어(330)가 이송바(35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하부와이어의 당김 또는 이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3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에서 파지부가 복원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너핸들조립체에서 파지부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일게이트(10)가 폐쇄되면 이중풀리(320)는 제2탄성부재(380)의 탄성력에 의해 감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부와이어(200)와 하부와이어(330)는 이중풀리(320)에 감기게 된다.
상기 하부와이어(330)가 이중풀리(320)에 감김에 따라 이송바(350)는 제1탄성부재(37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후방으로 이동하며 피스톤(344)을 당기고, 이에 따라 피스톤(344)에 결합된 파지부(360)가 핸들브라켓(3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입된다.
도 1, 5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일게이트(10)가 개방되면, 상부와이어(200)의 끝단이 고정된 힌지조립체(100)와 테일게이트(10) 패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며 상부와이어(200)가 당겨지고, 상부와이어(200)는 이중풀리(320)로부터 풀어진다.
상기 상부와이어(200)가 이중풀리(320)로부터 풀어짐에 따라 이중풀리(320)는 제2탄성부재(38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풀림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하부와이어(330)는 이중풀리(320)로부터 풀린다.
상기 하부와이어(330)가 이중풀리(320)로부터 풀어짐에 따라 이송바(350)의 당김은 완화되고, 제1탄성부재(370)가 팽창하면서 이송바(350)를 실린더(342)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송바(350)는 핸들브라켓(310)으로부터 멀어진다.
상기 이송바(350)의 전진에 따라 피스톤(344)은 실린더(34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피스톤(344)에 결합된 파지부(360)는 테일게이트(1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10)의 개방 시에는 인너핸들조립체(300)에서 파지부(360)가 테일게이트(10)의 하단으로부터 인출되므로 신장이 작은 사용자도 매우 간편하게 테일게이트를 폐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10)의 폐쇄 시에는 파지부(360)가 인너핸들조립체(300)로 복원되어 테일게이트(10)의 폐쇄에 따른 다른 부품이나 적재된 물품과의 접촉이 방지되므로 테일게이트의 폐쇄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부와이어(200)를 힌지조립체(100)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 여유 길이(ΔL)만큼 상부와이어(200)가 늘어져서 테일게이트(10)의 오픈 시에도 이중풀리(320)가 회전하지 않는 문제를 개선하여 상부와이어(20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너핸들조립체(300)의 작동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테일게이트 100 : 힌지조립체
110 : 힌지기구 120 : 고정브라켓
122 : 장착홀 124 : 고정홈
200 : 상부와이어 210 : 제1상부와이어
212 : 고정구 220 : 제2상부와이어
230 : 길이조절장치 232 : 제1볼트부
234 : 제2볼트부 236 : 너트부
300 : 인너핸들조립체 310 : 핸들브라켓
320 : 이중풀리 322 : 상부와인딩부
324 : 하부와인딩부 326 : 풀리벽
330 : 하부와이어 340 : 작동부
342 : 실린더 342a : 활주홀
344 : 피스톤 350 : 이송바
360 : 파지부 370 : 제1탄성부재
372 : 링부재 380 : 제2탄성부재
390 : 가이드유닛 392 : 가이드리브
394 : 가이드멤버 394a : 가이드공
110 : 힌지기구 120 : 고정브라켓
122 : 장착홀 124 : 고정홈
200 : 상부와이어 210 : 제1상부와이어
212 : 고정구 220 : 제2상부와이어
230 : 길이조절장치 232 : 제1볼트부
234 : 제2볼트부 236 : 너트부
300 : 인너핸들조립체 310 : 핸들브라켓
320 : 이중풀리 322 : 상부와인딩부
324 : 하부와인딩부 326 : 풀리벽
330 : 하부와이어 340 : 작동부
342 : 실린더 342a : 활주홀
344 : 피스톤 350 : 이송바
360 : 파지부 370 : 제1탄성부재
372 : 링부재 380 : 제2탄성부재
390 : 가이드유닛 392 : 가이드리브
394 : 가이드멤버 394a : 가이드공
Claims (15)
- 테일게이트의 하단에 설치되며,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연동하여 파지부를 인출시키거나 복원시키는 인너핸들조립체; 및
일단이 상기 테일게이트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힌지조립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너핸들조립체에 연결되어 인너핸들조립체를 구동시키는 상부와이어; 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와이어는 힌지조립체 측에 연결된 제1상부와이어와 인너핸들조립체 측에 연결된 제2상부와이어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1상부와이어와 제2상부와이어의 사이는 길이조절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제1상부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된 제1볼트부; 상기 제2상부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된 제2볼트부; 및 상기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가 각각 진입할 수 있도록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너트부;를 포함한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상단과 결합되어 테일게이트를 피벗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기구; 및
상기 힌지기구에 결합되며 제1상부와이어의 끝단이 체결되는 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상부와이어의 끝단에는 제1상부와이어의 장착을 위한 고정구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구는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장착홀의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홈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제1상부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된 제1볼트부; 상기 제2상부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된 제2볼트부; 및 상기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가 각각 진입할 수 있도록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너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핸들조립체는,
핸들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부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이중풀리; 및
상기 이중풀리와 하부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이중풀리의 회전에 따라 파지부를 인출 또는 복원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핸들브라켓에 결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며 실린더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결합되며, 하부와이어를 매개로 이중풀리에 연결되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피스톤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송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홀이 형성되며, 이송바는 활주홀을 통해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하여 피스톤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장착되어 실린더의 외측으로 피스톤을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이송바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과 이송바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송바로 전달하는 링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풀리는 상부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상부와인딩부 및 하부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하부와인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와인딩부와 하부와인딩부는 풀리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는 이중풀리에 외주면에 감기며, 테일게이트의 개방에 의해 상부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는 이중풀리의 외주면에서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풀리에는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어 감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브라켓에 설치되며 하부와이어의 경로를 설정하는 가이드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핸들브라켓에 결합되는 가이드리브; 및
상기 가이드리브에 결합되며 하부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7860A KR101845420B1 (ko) | 2016-01-22 | 2016-01-22 |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7860A KR101845420B1 (ko) | 2016-01-22 | 2016-01-22 |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8025A KR20170088025A (ko) | 2017-08-01 |
KR101845420B1 true KR101845420B1 (ko) | 2018-04-05 |
Family
ID=5965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7860A KR101845420B1 (ko) | 2016-01-22 | 2016-01-22 |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542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75965A (zh) * | 2017-10-31 | 2018-02-09 | 无锡瑞林控制软件有限公司 | 可调行程的拉丝固定结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737B1 (ko) * | 2012-10-05 | 2013-11-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테일게이트 인너핸들의 구조 |
-
2016
- 2016-01-22 KR KR1020160007860A patent/KR1018454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737B1 (ko) * | 2012-10-05 | 2013-11-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테일게이트 인너핸들의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8025A (ko) | 2017-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83266B2 (en) | Articulated top | |
US10173782B2 (en) | Toggle link latch | |
US9038531B1 (en) | Telescoping type cover for truck beds and the like | |
KR100950493B1 (ko) | 에어 스프링과, 이를 구비한 차량 | |
KR101795131B1 (ko) | 테일게이트 인너핸들조립체 및 테일게이트 인너핸드조립체의 그립부재 인출방법 | |
US7909382B2 (en) | Automobile | |
US20130186723A1 (en) | Universal wheeled bag system | |
KR101845420B1 (ko) | 테일게이트용 인너핸들 연결구조 | |
JP2004149105A (ja) | 車両のリフトゲートに隣接して物品を支持するための車両用物品キャリア | |
US6857678B2 (en) | Tailgate adjustment apparatus | |
WO2019062138A1 (zh) | 轨道车辆及其列车前罩开闭机构 | |
US20160326782A1 (en) | Access handle system for a motor vehicle | |
US9226622B2 (en) | Two point door latch with tapered pins | |
US20220235855A1 (en) | Split lead screw sleeve and associated linear actuator | |
US11660942B2 (en) | Lift assist lock-down for a soft top | |
US7448669B2 (en) | Mechanism for opening a closure | |
JP4116699B2 (ja) | 折りたたみ式担架 | |
KR20190027483A (ko) | 윙바디 화물차용 윙도어 잠금장치 | |
JP4095070B2 (ja) | 荷受台昇降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キャスタストッパのロック装置 | |
US20240067063A1 (en) | Seat apparatus of vehicle | |
KR200450471Y1 (ko) | 상부가 절첩가능하게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 | |
CN210551349U (zh) | 机器人 | |
JP6131472B2 (ja) | 車両用付属装置 | |
JP2003154852A (ja) | 跳ね上げ式ドアの開度調整装置 | |
KR200474646Y1 (ko) | 좌우 개폐 방식의 열림판을 갖는 절첩식 컨테이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