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347B1 - 적재함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적재함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347B1
KR102001347B1 KR1020180153559A KR20180153559A KR102001347B1 KR 102001347 B1 KR102001347 B1 KR 102001347B1 KR 1020180153559 A KR1020180153559 A KR 1020180153559A KR 20180153559 A KR20180153559 A KR 20180153559A KR 102001347 B1 KR102001347 B1 KR 102001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oading box
loading
fram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석
Original Assignee
한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석 filed Critical 한재석
Priority to KR1020180153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readily detachable, e.g. tarpaulins with frames, or fastenings for tarpaulins
    • B60J7/102Readily detachable tarpaulins, e.g. for utility vehicles; Fram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or side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과 전후면벽(3,4) 및 좌우 양 측벽(5,6)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적재함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며, 상기 적재함(2)의 좌우 양 측벽(5,6)에 각각 설치되며 적재함(2)의 전후로 연장된 회동축(19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덮개프레임(11,14)과, 각 덮개프레임(11,14)에 설치된 막부재(18)를 포함하는 한 쌍의 덮개(10,10a); 및 상기 덮개(10,10a)를 회동축(19a)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구동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10,10a)의 덮개프레임(11,14)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회동축(19a)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레일(2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30)은 적재함(2)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며 전후로 배치된 모터축(32)을 갖는 구동모터(31)와, 이 구동모터(31)의 모터축(3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선단에는 가이드레일(2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더(34)가 구비된 회전가이드바(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이다.

Description

적재함 덮개장치{A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loading container}
본 발명은 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적재함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함은 물건을 쌓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대부분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적재함은 건축자재나 폐지 또는 각종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거나 또는 화물차 등에 설치되어 일정한 장소로 이동되며 적재물은 각 용도에 맞도록 처리된다. 이때, 적재함의 개방된 상면은 덮개로 덮어서 적재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적재함의 덮개를 보인 도면인데, 상면이 개방된 적재함(2)의 상단 좌우 양측에 구동모터(8)의 모터축(8a)이 전후로 연장되고, 이 모터축(8a)에 덮개판(9)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덮개판(9)은 보통 적재함(2)의 전후를 따라 연장된 형태의 거대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적재함 덮개는 구동모터(8)의 모터축(8a)의 회전력에 의해 덮개판(9) 전체가 회동되는데, 덤프트럭과 같이 큰 차량에 설치되는 적재함(2)은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덮개판(9)도 사이즈가 크므로 덮개판(9)의 회동에 의해 구동모터(9)의 모터축(8a)에 하중이 집중되어 구동모터(8)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화물차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7)이 적재함(2)에 용량초과되어 적재되는데 즉, 적재물(7)이 적재함(2)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적재되는데, 상기 한 쌍의 덮개판(9)은 평판 형태여서 적재물(7)의 상면에 걸려지므로 적재함(2)을 완전히 폐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화물차의 운행 중에 적재물(7)이 낙하될 수 있어 뒤따르는 차량이 파손되거나 운전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적재물(7)이 혐오스럽거나 냄새가 심할 경우에는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고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가 큰 적재함의 덮개를 회동시키더라도 모터의 과부하가 없어 모터손상으로 인한 작동불능이 초래되지 않고 덮개를 간단한 구조로 접을 수 있어 부품마모 및 손상을 줄여 내구성이 향상되며, 적재함의 용량을 초과하는 적재물이 적재될 때에도 적재함을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어 미관을 해치지 않고 적재물의 낙하가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며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 덮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바닥판과 전후면벽(3,4) 및 좌우 양 측벽(5,6)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적재함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며, 상기 적재함(2)의 좌우 양 측벽(5,6)에 각각 설치되며 적재함(2)의 전후로 연장된 회동축(19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덮개프레임(11,14)과, 각 덮개프레임(11,14)에 설치된 막부재(18)를 포함하는 한 쌍의 덮개(10,10a); 및 상기 덮개(10,10a)가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시키거나 또는 적재함(2)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각 덮개(10,10a)를 회동축(19a)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구동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10,10a)의 덮개프레임(11,14)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회동축(19a)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레일(2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30)은 적재함(2)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며 전후로 배치된 모터축(32)을 갖는 구동모터(31)와, 이 구동모터(31)의 모터축(3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선단에는 가이드레일(2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더(34)가 구비된 회전가이드바(33)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31)가 작동되면 회전가이드바(33)가 적재함(2)의 상면 또는 측면에 근접되도록 회전되면서 덮개(10,10a)의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덮개(10,10a)가 적재함(2)의 상면 또는 측면에 근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덮개(10,10a)의 덮개프레임(11,14)은 적재함(2)의 전후로 연장되며 기단이 상기 회동축(19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내측덮개프레임(11)과, 상기 적재함(2)의 전후로 연장되며 기단이 상기 내측덮개프레임(11)의 선단에 상기 회동축(19a)과 나란한 축을 갖는 절첩부(1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외측덮개프레임(14)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상기 적재함(2)의 전단 또는 후단의 상단부와 덮개(10,10a)의 덮개프레임(11,14)의 외측덮개프레임(14)에 각각 전후로 배치된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가 적어도 덮개(10,10a)의 덮개프레임(11,14)의 내측덮개프레임(11)의 기단에서 외측덮개프레임(14)의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덮개절첩용바(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덮개(10,10a)가 적재함(2)의 측방으로 회동되면서 덮개프레임(11,14)의 외측덮개프레임(14)이 덮개절첩용바(40)에 걸려서 절첩부(17)를 중심으로 내측덮개프레임(11)에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31)의 모터축(32)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회전가이드바(33)가 덮개(10,10a)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31)의 작동에 의해 회전가이드바(33)가 회전됨에 따라 덮개(10,10a)가 적재함(2)의 상면을 개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덮개(10,10a)가 구동모터(31)의 모터축(32)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도 적재함(2)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종래 모터축 전체에 덮개가 결합되어 무게가 무거운 덮개의 회동에 의해 모터축에 하중이 집중되어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부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기기의 작동효율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덮개(10,10a)가 내측 및 외측덮개프레임(11,14)이 절첩부(17)에 의해 접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적재함(2)과 덮개(10,10a)의 외측덮개프레임(14)을 연결하는 덮개절첩용바(40)가 덮개(10,10a)의 내측 및 외측덮개프레임(11,14)을 합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덮개(10,10a)가 적재함(2)의 측방으로 회동될 때 외측덮개프레임(14)이 덮개절첩용바(40)에 걸려지면서 절첩부(17)를 중심으로 내측덮개프레임(11)에 자동으로 접혀진다. 이에 따라, 작동편의성이 향상되며 덮개장치가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을 보다 근접하여 적재할 수 있으므로 적재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적재물이 적재함(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적재되더라도 덮개(10,10a)가 내측 및 외측덮개프레임(11,14)이 접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재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트럭(1)이 주행중에 적재물이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후방차량의 파손 및 인명피해 그로 인해 2차 교통사고로 인한 추가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냄새가 차단되어 불쾌감 유발이 방지되며 미관을 해치는 것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 체인과 스프로켓을 이용하여 덮개를 절첩시키는 것에 비해 부품수가 감소되고 보다 간단한 구조로 덮개를 절첩시킬 수 있어 부품의 마모에 따른 작동효율저하가 방지된다.
도 1은 종래 적재함 덮개장치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2는 상기 적재함 덮개장치의 덮개를 덮은 상태를 후면에서 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덮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덮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일측 덮개의 접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덮개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적재함의 후면벽의 개폐를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덮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덮개장치는 적재함(2)의 상면을 좌우로 폐쇄시키는 한 쌍의 덮개(10,10a)와, 이 각 덮개(10,10a)를 적재함(2)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회동시키는 구동수단(30)을 포함한다.
우선, 적재함(2)은 바닥판과 전후면벽(3,4) 및 좌우 양 측벽(5,6)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트럭(1)에 설치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양 측벽(5,6)의 상단에는 외측방으로 돌출된 측방돌출부(2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적재함(2)의 전후면벽(3,4)의 상단에는 상기 한 쌍의 덮개(10,10a)가 안착되도록 중앙수평부와 좌우경사부를 갖는 형상의 안착프레임(2b,2c)이 형성된다. 도 7과 같이 후면벽(4)은 양 측벽(5,6) 상단힌지(4a)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어 적재함(2)의 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덮개(10,10a)는 각각 적재함(2)의 양 측벽(5,6)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30)에 의해 회동되어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시킨다. 이러한 한 쌍의 덮개(10,10a)는 각각 적재함(2)의 좌우 양 측벽(5,6)에 각각 설치되되 적재함(2)의 전후로 연장된 한 쌍의 회동축(19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덮개프레임(11,14)과, 각 덮개프레임(11,14)에 설치된 막부재(18)와, 각 덮개프레임(11,14)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0)을 포함한다. 각 덮개프레임(11,14)은 단일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각각 직사각형의 내측덮개프레임(11) 및 외측덮개프레임(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외측덮개프레임(14)이 내측덮개프레임(11)의 장변부에 절첩부(17)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내측덮개프레임(11)은 적재함(2)의 전후로 연장된 한 쌍의 내측연장바(12a,12b)와, 이 한 쌍의 내측연장바(12a,12b)보다 길이가 짧고 한 쌍의 내측연장바(12a,12b)의 단부를 연결하여 직사각형을 이루는 전후단내측바(13a,13b)를 포함한다. 외측덮개프레임(14)은 적재함(2)의 전후로 연장된 한 쌍의 외측연장바(15a,15b)와, 이 한 쌍의 외측연장바(15a,15b)보다 길이가 짧고 한 쌍의 외측연장바(15a,15b)의 단부를 연결하여 직사각형을 이루는 전후단외측바(16a,16b)를 포함한다. 이때, 외측덮개프레임(14)의 일측 외측연장바(15b)가 내측덮개프레임(11)의 일측 내측연장바(12b)에 절첩부(17)로 포개지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내측덮개프레임(11)의 타측의 내측연장바(12a)는 적재함(2)의 전후로 배치된 회동축(19a)을 갖는 설치브래킷(19)으로 적재함(2)의 측벽(5,6)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막부재(18)는 덮개프레임(11,14)에 설치되어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시키는 것으로, 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나 알루미늄판 등과 같은 판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은 덮개프레임(11,14)의 내측덮개프레임(11)의 전단내측바(13a) 또는 후단내측바(13b)에 구비되되 전단내측바(13a) 또는 후단내측바(1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5와 같이, 가이드레일(20)은 중공의 사각파이프(21)의 일면에 중공보다 폭이 좁은 절개홈(22)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구동수단(30)은 각 덮개(10,10a)가 적재함(2)의 상면과 측면에 위치되도록 회동시키는 것으로, 구동모터(31) 및 회전가이드바(3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1)는 모터축(32)이 적재함(2)의 전후를 향하도록 전면벽(3)의 상단에 설치되는데, 경우에 따라 후면벽(4)에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가이드바(33)는 구동모터(31)의 모터축(32)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선단에는 덮개(10,10a)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더(34)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더(34)는 회전가이드바(33)의 선단에서 직경이 확장되어 가이드레일(20)의 사각파이프(21)의 중공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롤러 형태로 이루어져서 가이드레일(20)의 사각파이프(21)의 내벽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수단(30)의 회전가이드바(33)가 도 6과 같이 적재함(2)의 측방에서 상면 또는 상면에서 측방으로 회전될 때, 회전가이드바(33)가 그 선단과 맞물린 덮개(10,10a)의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드됨에 따라 덮개(10,10a)가 적재함(2)의 측방에서 상면 또는 상면에서 측방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덮개장치는 덮개를 절첩시키기 위한 덮개절첩용바(40) 더 구비된다. 이 덮개절첩용바(40)는 양단이 적재함(2)의 전면벽(3)의 좌우 중간부 및 덮개(10,10a)의 외측덮개프레임(14)에 각각 전후 힌지축(41,4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이 덮개절첩용바(40)의 길이는 최소한 덮개(10,10a)의 내측덮개프레임(11)의 전단내측바(13a) 및 외측덮개프레임(14)의 전단외측바(16a)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과 같이 적재함(2)의 상면을 폐쇄하고 있던 덮개(10,10a)가 구동수단(30)의 작동에 의해 적재함(2)의 측방으로 이동될 때, 덮개(10,10a)의 외측덮개프레임(14)이 덮개절첩용바(40)에 걸려짐에 따라 내측덮개프레임(11)에 접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좌우 폭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덮개장치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적재함(2)의 후단에 안착프레임(2c)과 후면벽(4) 사이에 막음천(50)이 구비되어, 적재함(2)에서 적재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후면벽(4)을 상단힌지(4a)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시킬 때 적재함(2) 후단의 안착프레임(2c)과 후면벽(4) 사이가 막음천(50)에 의해 항상 막힌 상태가 유지되므로, 적재함(2)의 내부 적재물은 항상 은폐된다. 그리고 덮개(10,10a)에 의해 적재함(2)의 상면을 폐쇄시키더라도 적재함(2)의 후단이 덮개(10,10a)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 부분이 막음천(50)에 의해 효과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10a : 덮개 11 : 내측덮개프레임
14 : 외측덮개프레임 20 : 가이드레일
30 : 구동수단 33 : 회전가이드바
40 : 덮개절첩용바 50 : 막음천

Claims (2)

  1. 바닥판과 전후면벽(3,4) 및 좌우 양 측벽(5,6)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적재함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의 좌우 양 측벽(5,6)에 각각 설치되되 적재함(2)의 전후로 연장된 한 쌍의 회동축(19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덮개프레임(11,14)과, 각 덮개프레임(11,14)에 설치된 막부재(18)와, 각 덮개프레임(11,14)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19a)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레일(20)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한 쌍의 덮개(10,10a); 및
    상기 적재함(2)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며 전후로 배치된 모터축(32)을 갖는 구동모터(31)와, 이 구동모터(31)의 모터축(3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선단에는 가이드레일(2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더(34)가 구비된 회전가이드바(33)를 포함하는 구동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모터(31)가 작동되면 회전가이드바(33)가 적재함(2)의 상면 또는 측면에 근접되도록 회전되면서 덮개(10,10a)의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덮개(10,10a)가 적재함(2)의 상면 또는 측면에 근접되어 적재함(2)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10a)의 덮개프레임(11,14)은 적재함(2)의 전후로 연장되며 기단이 상기 회동축(19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내측덮개프레임(11)과, 상기 적재함(2)의 전후로 연장되며 기단이 상기 내측덮개프레임(11)의 선단에 상기 회동축(19a)과 나란한 축을 갖는 절첩부(1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외측덮개프레임(14)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상기 적재함(2)의 전단 또는 후단의 상단부와 덮개(10,10a)의 덮개프레임(11,14)의 외측덮개프레임(14)에 각각 전후로 배치된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가 적어도 덮개(10,10a)의 덮개프레임(11,14)의 내측덮개프레임(11)의 기단에서 외측덮개프레임(14)의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덮개절첩용바(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덮개(10,10a)가 적재함(2)의 측방으로 회동되면서 덮개프레임(11,14)의 외측덮개프레임(14)이 덮개절첩용바(40)에 걸려서 절첩부(17)를 중심으로 내측덮개프레임(11)에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
KR1020180153559A 2018-12-03 2018-12-03 적재함 덮개장치 KR102001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559A KR102001347B1 (ko) 2018-12-03 2018-12-03 적재함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559A KR102001347B1 (ko) 2018-12-03 2018-12-03 적재함 덮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347B1 true KR102001347B1 (ko) 2019-07-17

Family

ID=6751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559A KR102001347B1 (ko) 2018-12-03 2018-12-03 적재함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0097A (zh) * 2021-03-26 2021-07-16 上海友海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土方开挖的运泥设备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020A (ko) * 1999-08-11 2001-01-05 안호균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KR20160112725A (ko) * 2015-03-20 2016-09-28 한재석 적재함의 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020A (ko) * 1999-08-11 2001-01-05 안호균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KR20160112725A (ko) * 2015-03-20 2016-09-28 한재석 적재함의 덮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0097A (zh) * 2021-03-26 2021-07-16 上海友海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土方开挖的运泥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347B1 (ko) 적재함 덮개장치
WO2005070790A1 (ja) コンテナ
US4280780A (en) Refuse container
IL98994A (en) Truck trailer
KR101553232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102001297B1 (ko) 적재함 덮개장치
KR20160112725A (ko) 적재함의 덮개장치
JP2595433B2 (ja) 自動車のバン装置
US5624223A (en) Truck bed unloading apparatus
KR100998289B1 (ko) 친환경 대형폐기물 수거차량
KR101252985B1 (ko) 화물차량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KR200462915Y1 (ko) 화물차량의 화물덮개 장치
US6648420B1 (en) Tailgate apparatus for a dumpster-type dump truck
JP7090987B2 (ja) 車両に搭載された荷箱
KR20140049267A (ko) 화물차 적재함의 덮개 장치
JP3169674B2 (ja) 塵芥収集車
JP2006224712A (ja) 車両用荷室構造
KR20010000020A (ko)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KR200204052Y1 (ko) 화물차용 덮개 보관장치
KR101543153B1 (ko) 적재함 덮개장치
JPH0640144Y2 (ja) 荷役車両用コンテナ
KR200173001Y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KR20170109991A (ko) 컨테이너 내용물 하역기계
JP3418934B2 (ja) コンテナ
CN217599416U (zh) 一种集装箱门及具有其的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