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297B1 - 적재함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적재함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297B1
KR102001297B1 KR1020170080912A KR20170080912A KR102001297B1 KR 102001297 B1 KR102001297 B1 KR 102001297B1 KR 1020170080912 A KR1020170080912 A KR 1020170080912A KR 20170080912 A KR20170080912 A KR 20170080912A KR 102001297 B1 KR102001297 B1 KR 10200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rotation
loading
bar
rota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241A (ko
Inventor
한재석
Original Assignee
한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석 filed Critical 한재석
Priority to KR102017008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2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readily detachable, e.g. tarpaulins with frames, or fastenings for tarpaulins
    • B60J7/102Readily detachable tarpaulins, e.g. for utility vehicles; Fram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2)의 전면판(3)에 전후로 형성된 전방회동축(10); 이 전방회동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전방회동바(20); 상기 적재함(2)의 후면판(4)에 전후로 형성된 후방회동축(30); 이 후방회동축(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후방회동바(40); 상기 전방 및 후방회동축(30)에 구비되어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가 상기 적재함(2)의 일측 측판(5)쪽으로 회동되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50); 양 단부가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의 선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롤러(60); 이 회전롤러(6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0); 일단이 적재함(2)의 타측 측판(6)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롤러(60)에 결합된 막부재(80); 및 상기 적재함(2)의 일측 측판(5) 상단부에 구비된 걸림턱(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이다.

Description

적재함 덮개장치{A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loading container}
본 발명은 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물이 실리는 적재함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과 같은 화물차량은 고철이나 토사 또는 건축 폐기물과 같은 물건을 적재함에 적재한 후에, 운행중에 흙먼지가 날리거나 적재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송상의 안전을 기하도록 적재함의 상면에 덮개를 씌우게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적재함의 덮개를 보인 도면인데, 상면이 개방된 적재함(2)의 상단 좌우 양단에 전후로 형성된 힌지축(8)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덮개판(9)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덮개판(9)은보통 적재함(2)의 전후를 따라 연장된 형태의 거대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대부분의 화물차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7)이 적재함(2)에 용량초과되어 적재되는데 즉, 적재물(7)이 적재함(2)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적재되는데, 상기 한 쌍의 덮개판(9)은 평판 형태여서 적재물(7)의 상면에 걸려지므로 적재함(2)을 완전히 폐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화물차의 운행 중에적재물(7)이 낙하될 수 있어 뒤따르는 차량이 파손되거나 운전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적재물(7)이 혐오스럽거나 냄새가 심할 경우에는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고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561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함의 용량을 초과하는 적재물이 적재될 때에도 적재함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처리할 수 있어 미관을 해치지 않고 적재물의 낙하가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적재함 덮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바닥판과 전후면판(3,4) 및 좌우 양 측판(5,6)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적재함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의 전면판(3)에 전후로 형성된 전방회동축(10); 기단이 상기 전방회동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링크축(31)이 형성된 전방회동바(20); 상기 적재함(2)의 후면판(4)에 전후로 형성된 후방회동축(30); 기단이 상기 후방회동축(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링크축(31)이 형성된 후방회동바(40); 상기 전방 및 후방회동축(30)에 구비되어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가 상기 적재함(2)의 일측 측판(5)쪽으로 회동되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50); 양 단부가 상기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의 선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롤러(60); 상기 전방회동바(20) 또는 후방회동바(40)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롤러(6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0); 일단이 적재함(2)의 타측 측판(6)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롤러(60)에 결합되어, 회전롤러(60)의 일방향 회전 및 탄성가압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져서 적재함(2)의 상면을 폐쇄하거나 회전롤러(60)의 타방향 회전에 의해 회전롤러(60)에 감겨져서 적재함(2)의 상면을 개방시키는 막부재(80); 및 상기 적재함(2)의 일측 측판(5)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롤러(60)가 일측 측판(5)을 감싸도록 펼쳐진 막부재(80)의 단부에서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됨에 따라 막부재(80)의 내측면으로 감겨지면서 걸려지는 걸림턱(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후면판(4)은 좌우 측판(5,6)을 잇는 상단힌지축(4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적재함(2)의 후면을 회동개폐하고, 상기 후방회동바(40)의 선단에는 전후로 신축되는 신축바(43)가 구비되며, 이 신축바(43)의 선단이 유니버셜조인트 또는 로프(44)에 의해 회전롤러(60)의 단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재함(2)의 타측 측판(6) 상단부에 구비되어 막부재(80)가 감겨진 회전롤러(60)가 걸려지는 보조걸림턱(91)이 더 구비되고, 적재함(2)에는 상기 보조걸림턱(91)에 걸려진 회전롤러(60)를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걸림해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가 탄성가압부재(50)에 의해 적재함(2)의 일측 측판(5)으로 가압되고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의 선단을 회전롤러(6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타측 측판(6)과 회전롤러(60)에 막부재(80)의 양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회전롤러(60)의 회전에 따라 막부재(80)가 적재함(2)의 상면을 개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적재함(2)의 상면이 막부재(80)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어 적재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트럭(1)이 주행중에 적재물이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후방차량의 파손 및 인명피해 그리고 그로 인한 2차 교통사고로 인한 추가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냄새가 차단되어 불쾌감 유발이 방지되며 미관을 해치는 것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적재함(2)의 전후단에 원호형프레임(7,8)이 구비되고 회전롤러(60)가 원호형프레임(7,8)을 따라 이동되며 막부재(80)의 전후단에 와이어(81)가 형성되어, 와이어(81)를 잡아당겨 막부재(80)의 전후단이 원호형프레임(7,8)에 밀착되므로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이 막부재(80)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되어 상기의 효과들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회전롤러(60)의 회전만으로 막부재(80)가 적재함(2)의 상면을 개폐하므로,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 자체를 각각 회동시키기 위해 큰 동력을 내는 동력수단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되고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를 회동시키는 동력수단의 작동에 따른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도 없어 부품의 손상이 저감된다. 그리고 적재함(2)의 후면판(4)에 구비된 후방회동바(40)의 선단에 신축바(43)가 구비되고, 이 신축바(43)의 선단이 유니버셜조인트 또는 로프(44)에 의해 회전롤러(6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롤러(60)의 회전과 그로 인한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적재함(2)의 후면판(4)이 상단힌지축(4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적재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막부재(80)가 감겨진 회전롤러(60)를 적재함(2)의 측방에 고정시키고 걸림해제수단을 통해 적재함(2)의 상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적재물을 적재할 때 회전롤러(60)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여 적재물의 적재작업이 보다 용이해지고 적재작업시 적재물과의 충돌로 인해 회전롤러(60)의 파손 등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 적재함 덮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덮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적재함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회전롤러가 적재함 상면으로 이동되도록 해주는 작동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제1작동상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제2작동상태도
도 7 및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후방회동바의 변형례를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덮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덮개장치는 전방회동축(10), 전방회동바(20), 후방회동축(30), 후방회동바(40), 탄성가압부재(50), 회전롤러(60), 구동모터(70), 막부재(80) 및 걸림턱(9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적재함(2)은 바닥판과 전후면판(3,4) 및 좌우 양 측판(5,6)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트럭(1)에 설치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여기서, 후면판(4)은 양측 측판(5,6)을 잇는 상단회전축(4a)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적재함(2)은 주지된 바와 같이 바닥판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전단부가 상승된다. 이에 따라, 적재함(2)의 적재물이 개방된 후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적재함(2)의 전단 및 후단에는 양 측판(5,6)을 연결하되 상단이 상측으로 볼록한 원호를 이루는 원호형프레임(7,8)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회동축(10)은 적재함(2)의 전면판(3)에 전후로 형성되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전방회동축(10)은 적재함(2)의 전면판(3)의 중간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회동축(30)은 적재함(2)의 후면판(4)에 전후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후방회동축(30) 역시 적재함(2)의 후면판(4)의 중간부에 구비된다.
상기 전방회동바(20)는 기단이 전방회동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회동축(10)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전방회동바(2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링크축이 형성된다. 전방회동바(20)는 복수개의 단위전방회동바(21,22)가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같이, 전방회동바(2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선단이 개방되고 막힌 기단부가 전방회동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단위전방회동바(21)와, 이 제1단위전방회동바(21)의 중공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2단위전방회동바(22)로 이루어져서 텔레스코프식으로 신축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전방회동바(20)는 회동에 따라 자중 및 지형지물에 의해 제2단위전방회동바(22)가 제1단위전방회동바(21)에서 자동으로 신축된다.
상기 후방회동바(40)는 기단이 후방회동축(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방회동축(30)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후방회동바(40)는 전방회동바(20)와 같이 신축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링크축이 형성된다. 후방회동바(40)는 복수개의 단위후방회동바(41,42)가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같이, 후방회동바(40)는 전방회동바(20)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선단이 개방되고 막힌 기단부가 후방회동축(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단위후방회동바(41)와, 이 제1단위후방회동바(41)의 중공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2단위후방회동바(42)로 이루어져서 텔레스코프식으로 신축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후방회동바(40)는 회동에 따라 자중 및 지형지물에 의해 제2단위후방회동바(42)가 제1단위후방회동바(41)에서 자동으로 신축된다. 한편, 제2단위후방회동바(42)의 선단에는 전후로 신축되는 신축바(43)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가압부재(50)는 전방회동축(10) 및 후방회동축(20)에 구비되어 전방회동바(30) 및 후방회동바(40)가 적재함(2)의 일측 측판(5)쪽으로 회동되도록 탄성가압한다. 이러한 탄성가압부재(50)는 나선형으로 감긴 복수개의 판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60)는 양 단부가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의 선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회전롤러(60)는 양단부가 적재함(2)의 전단 및 후단의 원호형프레임(7,8)을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롤러(60)의 일단부에는 유니버셜조인트 또는 로프(44)가 구비되고, 후방회동바(40)의 선단의 신축바(43)가 상기 유니버셜조인트 또는 로프(44)에 의해 회전롤러(6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로프(44)는 섬유로프도 가능하지만 강의 선재를 꼬아서 만든 와이어로프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6의 (b)와 같이 적재함(2)의 후면판(4)이 상단힌지축(4a)을 중심으로 적재함(2)의 후면을 개방시키도록 상향 회동될 때, 후방회동바(40)가 회전롤러(60)에 대해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으므로, 후면판(4)의 회동작동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구동모터(70)는 회전롤러(6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전방회동바(20) 또는 후방회동바(40)에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모터(70)는 전방회동바(20)의 선단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구동모터(70)는 별도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정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부재(80)는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이루지며, 일단이 적재함(2)의 타측 측판(6)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롤러(60)에 결합된다. 이 막부재(80)의 나머지 양 단부에는 와이어(81)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매립되며, 와이어(81)의 적어도 일단부는 막부재(8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롤러(6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롤러(60)에 감겨진 막부재(80)가 회전롤러(60)에서 풀어지고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가 탄성가압부재(50)에 의해 적재함(2)의 일측 측판(5)쪽으로 회동되므로, 회전롤러(60)가 적재함(2)의 상면을 따라 일측 측판(5)쪽으로 이동되면서 막부재(80)가 적재함(2)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펼쳐진다. 이때, 도 5와 같이 회전롤러(60)가 막부재(80)의 외측면에 위치된 상태로 회전되며, 막부재(80)의 전후 양단이 적재함(2)의 원호형프레임(7,8)을 커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롤러(60)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막부재(80)가 회전롤러(60)에 감겨짐에 따라 회전롤러(60)가 적재함(2)의 상면을 따라 타측 측판(6)쪽으로 이동되므로, 적재함(2)의 상면이 개방된다.
상기 걸림턱(90)은 적재함(2)의 일측 측판(5)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막부재(90)가 적재함(2)을 폐쇄하도록 다 펼쳐진 상태에서 회전롤러(6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즉, 도 5의 (a)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롤러(60)가 일측 측판(5)을 따라 하강되어 막부재(80)가 다 풀린 상태에서, 회전롤러(60)가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됨에 따라 도 5의 (b)와 같이 회전롤러(60)가 막부재(80)의 내측면으로 감겨지면서 상승할 때 걸림턱(90)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막부재(80)가 팽팽한 상태로 적재함(2)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롤러(60)가 일측 측판(5)의 상단에서 하강할 때에는 걸림턱(90)에 걸려지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도 5와 같이 회전롤러(60)가 막부재(80)의 외측면에 위치되므로, 막부재(80)가 걸림턱(90)을 덮은 상태에서 회전롤러(60)가 그 위로 지나가기 때문에 걸림턱(90)에 걸리지 않고 통과된다. 하지만, 도 5의 (b)와 같이 회전롤러(60)가 막부재(80)의 내측면에 위치되면 걸림턱(90)에 걸려지게 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적재함(2)의 타측 측판(6)의 상단부에는 보조걸림턱(91)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보조걸림턱(91)은 막부재(80)가 감겨진 회전롤러(60)가 적재함(2)의 상면을 개방시키면서 적재함(2)의 측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으로 적재물을 회전롤러(60)의 간섭없이 보다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적재함(2)에는 보조걸림턱(91)에 걸려진 회전롤러(60)를 걸림해제시키기 위한 걸림해제수단이 구비된다. 도 4와 같이, 걸림해제수단은 실린더(100)와, 이 실린더(100)의 로드에 결합된 밀판(101)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실린더(100)가 신장되면서 밀판(101)이 회전롤러(60)를 밀어줌에 따라 회전롤러(60)가 보조걸림턱(91)에서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구동모터(70)에 의해 회전롤러(60)가 회전되면 탄성가압부재(50)에 의해 보조걸림턱(91)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걸림해제수단의 실린더(100)는 스프링 등 회전롤러(60)를 보조걸림턱(91)에서 걸림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덮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막부재(80)가 회전롤러(60)에 감겨져서 적재함(2)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적재함(2)에 적재물을 적재한 후, 도 5와 같이 구동모터(70)를 작동시켜 회전롤러(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적재함(2)의 보조걸림턱(91)에 걸려진 회전롤러(60)는 걸림해제수단에 의해 걸림상태가 해제되며,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구동모터(70)에 의해 도 5와 같이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롤러(6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5의 (a)와 같이 탄성가압부재(50)에 의해 막부재(80)가 회전롤러(60)에서 풀려지면서 회전롤러(60)는 적재함(2)의 상면을 따라 일측 측판(5)쪽으로 이동되므로 막부재(80)가 적재함(2)의 상면을 커버하게 된다. 이때, 막부재(80)가 펼쳐지면서 적재함(2)에 적재된 적재물의 형태 또는 적재함(2) 상단의 형태에 따라 전방회동바(20) 및 후방회동바(40)가 신축되므로, 막부재(80)가 적재함(2)에 적재된 적재물에 밀착된 상태로 펼쳐져서 적재물을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b)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롤러(60)가 일측 측판(5)의 외부면을 따라 하강하여 막부재(80)가 다 풀린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서 막부재(80)의 내측면으로 감겨져서 상승하면서 걸림턱(90)에 걸려진다. 이에 따라, 막부재(80)가 적재함(2)의 상면을 더욱 팽팽한 상태로 폐쇄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막부재(80)의 와이어(81)를 잡아당겨서 측판(5,6)의 도시안된 걸이구 등에 고정시켜 준다. 이에 따라, 막부재(80)의 전후 양단이 원호형프레임(7,8)의 전단 및 후단까지 감싸서 완전히 밀폐시킨다.
그리고 적재함(2)이 완전히 밀페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적재함(2)의 후방을 개방시킬 때, 적재함(2)의 후면판(4)이 상단힌지축(4a)을 중심으로 회전되더라도, 도 6의 (b)와 같이 후방회동바(40)의 신축바(43)가 신장되고 로프(44)가 휘어지기 때문에 후방회동바(40)가 회전롤러(60)에 대해 일정각을 이루도록 용이하게 회동된다. 이에 따라, 적재함(2)이 막부재(80)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적재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적재함(2)의 후면판(4)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적재함(2)의 상면을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회전롤러(60)를 역회전시키면 회전롤러(60)가 일측 측판(5)에서 하강하고 다시 막부재(80)의 외측면으로 감겨지면서 타측 측판(6)으로 이동함에 따라 적재함(2)이 개방된다.
도 7 및 도 8은 후방회동바(40)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후방회동바(40)가 중간부에 하나의 링크축(31)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즉, 후방회동바(40)는 기단이 후방회동축(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후방회동바(41)와, 이 제1후방회동바(41)의 선단에 후방회동축(30)과 나란한 링크축(3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기단이 결합된 제2후방회동바(42)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도시하진 않았지만 링크축(31)에 탄성가압부재(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트럭 2 : 적재함
3 : 전면판 4 : 후면판
5, 6 : 측판 10 : 전방회동축
20 : 전방회동바 30 : 후방회동축
40 : 후방회동바 50 : 탄성가압부재
60 : 회전롤러 70 : 구동모터
80 : 막부재 90 : 걸림턱

Claims (3)

  1. 바닥판과 전후면판(3,4) 및 좌우 양 측판(5,6)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함(2)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적재함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의 전면판(3)에 전후로 형성된 전방회동축(10);
    기단이 상기 전방회동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개의 단위전방회동바(21,22)가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형태의 전방회동바(20);
    상기 적재함(2)의 후면판(4)에 전후로 형성된 후방회동축(30);
    기단이 상기 후방회동축(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개의 단위후방회동바(41,42)가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형태의 후방회동바(40);
    상기 전방 및 후방회동축(30)에 구비되어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가 상기 적재함(2)의 일측 측판(5)쪽으로 회동되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50);
    양 단부가 상기 전방 및 후방회동바(20,40)의 선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롤러(60);
    상기 전방회동바(20) 또는 후방회동바(40)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롤러(6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0);
    일단이 적재함(2)의 타측 측판(6)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롤러(60)에 결합되어, 회전롤러(60)의 일방향 회전 및 탄성가압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져서 적재함(2)의 상면을 폐쇄하거나 회전롤러(60)의 타방향 회전에 의해 회전롤러(60)에 감겨져서 적재함(2)의 상면을 개방시키는 막부재(80); 및
    상기 적재함(2)의 일측 측판(5)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롤러(60)가 일측 측판(5)을 감싸도록 펼쳐진 막부재(80)의 단부에서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됨에 따라 막부재(80)의 내측면으로 감겨지면서 걸려지는 걸림턱(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4)은 좌우 측판(5,6)을 잇는 상단힌지축(4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적재함(2)의 후면을 회동개폐하고, 상기 후방회동바(40)의 선단에는 전후로 신축되는 신축바(43)가 구비되며, 이 신축바(43)의 선단이 유니버셜조인트 또는 로프(44)에 의해 회전롤러(60)의 단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의 타측 측판(6) 상단부에 구비되어 막부재(80)가 감겨진 회전롤러(60)가 걸려지는 보조걸림턱(91)이 더 구비되고, 적재함(2)에는 상기 보조걸림턱(91)에 걸려진 회전롤러(60)를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걸림해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장치.
KR1020170080912A 2017-06-27 2017-06-27 적재함 덮개장치 KR10200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12A KR102001297B1 (ko) 2017-06-27 2017-06-27 적재함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12A KR102001297B1 (ko) 2017-06-27 2017-06-27 적재함 덮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41A KR20190001241A (ko) 2019-01-04
KR102001297B1 true KR102001297B1 (ko) 2019-07-17

Family

ID=6501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912A KR102001297B1 (ko) 2017-06-27 2017-06-27 적재함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555B1 (ko) * 2019-10-01 2021-05-20 장재원 화물차 적재함 덮개 개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 적재함 덮개 장치
CN110745063B (zh) * 2019-11-26 2020-06-19 山东永利新材料有限公司 一种改进式货运车厢防护篷布
KR102245279B1 (ko) * 2020-09-21 2021-04-27 장종기 화물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018B1 (ko) * 2001-09-27 2004-07-05 김봉철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100849471B1 (ko) * 2007-06-07 2008-07-30 김봉철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619Y1 (ko) 2006-09-21 2007-02-02 여순자 화물차적재함의 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018B1 (ko) * 2001-09-27 2004-07-05 김봉철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100849471B1 (ko) * 2007-06-07 2008-07-30 김봉철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41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297B1 (ko) 적재함 덮개장치
AU669565B2 (en) Swing away support system for a covering
US4944550A (en) Telescoping type cover for truck beds and the like
US20150130211A1 (en) Telescoping type cover for truck beds and the like
US20070267887A1 (en) Retractable Roof For A Truck Topper
US2803491A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 in cargo trailers
KR20160112725A (ko) 적재함의 덮개장치
JP4823969B2 (ja) 塵芥収集車
WO2010102507A1 (zh) 一种硬开顶箱
US20030021661A1 (en) Flat tire emergency truck
KR102001347B1 (ko) 적재함 덮개장치
US20060192406A1 (en) Retractable roof for a truck topper
KR101543153B1 (ko) 적재함 덮개장치
CN208412884U (zh) 垃圾车
KR200204052Y1 (ko) 화물차용 덮개 보관장치
JPH0620727Y2 (ja) スクラップボックス
JP4452142B2 (ja) 貨物自動車の荷台
KR20170109991A (ko) 컨테이너 내용물 하역기계
JPS5937252B2 (ja) ダンプトラツクの荷台後部扉跳上げ装置
KR20140049267A (ko) 화물차 적재함의 덮개 장치
KR200307475Y1 (ko) 윙바디 트럭의 개폐구조
KR200332753Y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
BE1024960B1 (fr) Conteneur a fond mouvant pour le transport d'enrobes routiers
CN205801188U (zh) 混凝土运输车
KR200284186Y1 (ko) 덤프차량의 적재함 뒷문 열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