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278B1 -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278B1
KR102226278B1 KR1020180153254A KR20180153254A KR102226278B1 KR 102226278 B1 KR102226278 B1 KR 102226278B1 KR 1020180153254 A KR1020180153254 A KR 1020180153254A KR 20180153254 A KR20180153254 A KR 20180153254A KR 102226278 B1 KR102226278 B1 KR 10222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ading box
cover part
plat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763A (ko
Inventor
김성춘
Original Assignee
김성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춘 filed Critical 김성춘
Priority to KR102018015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2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단으로 포개진 덮개판이 적재함의 길이에 맞게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적재함의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적재함의 후방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적재함의 개조·변경 없이 설치가 용이한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덮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덮개판으로 이루어져 적재함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지거나 포개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가 적재함의 후방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덮개부 미사용시에는 덮개부가 적재함의 후방에 수직으로 젖혀진 상태가 되도록 작동하고, 덮개부 사용시에는 덮개부를 270° 회전하여 적재함의 상부에 수평상태가 되도록 작동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덮개부의 상면 또는 저면부에 설치되어 덮개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적재함을 선택적으로 덮어 주는 개폐작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The apparatus for carrying of automatic for dump cover}
본 발명은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단으로 포개진 덮개판이 적재함의 길이에 맞게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적재함의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적재함의 후방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적재함의 개조·변경 없이 설치가 용이한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은 모래, 흙, 자갈 또는 기타의 화물(이하, 화물이라 한다)이 적재되고 있으며, 운전자가 적재함에 올라가서 적재함의 덮개를 손으로 끌어당겨서 덮은 다음, 차량을 운전하여 화물을 운반장소에 운반한다. 그리고 화물을 운반장소에 운반한 후에는 다시 운전자가 적재함에 올라가서 덮개를 벗긴 다음, 화물을 하역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재함 덮개의 수동개폐방식은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덮개를 개폐하는 과정의 번거로움과 소요시간이 많이 드는 이유로 인해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재함 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10-1411388호(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에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구비된 좌우측 측면도어의 상면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부착되는 메인가이드레일과, 좌우측 측면도어의 전방끝부분 상면부에 각각 올려진 상태로 메인가이드레일과 전후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는 승강가이드레일과, 좌우측 메인가이드레일 및 승강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이동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사이를 "X"자 형태로 연결하여 지지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는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고 복수개의 지지프레임과 링크의 외측에는 덮개가 씌워지며 지지프레임의 전후이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덮개프레임부와, 적재함의 전방끝부분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메인프레임의 좌우양측 외측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베이스몸체가 구비되며 각 베이스몸체에는 조작레버의 승강조작에 따라 일정높이로 승강작동되는 승강봉이 연결설치되어 있고 각 승강봉의 하부는 좌우측 승강가이드레일의 전방끝부분 상부에 일체로 고정장착되어 있어 각 승강봉의 상승작동시 좌우측 승강가이드레일이 각각 측면도어의 상면부로부터 일정간격 상승되게 하는 승강수단으로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이 6개 정도 설치되는 구조로서, 덮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지지프레임이 항시 적재함 상부에 위치해야 하기 때문에 적재함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지지프레임의 하중에 따른 부하가 화물차에게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고,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사이의 공간으로 인해 크기가 작은 적재물을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452832호(화물차 적재함의 덮개 장치)에는 천막이 감겨지는 회전봉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적재함 상판 위 양단에 고정브라켓트가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양쪽 고정브라켓트 사이에 천막이 감겨지는 회전봉이 고정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회전봉의 양단에 회전판이 고정축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한쪽 고정브라켓트의 외부쪽에 손잡이 고정판이 설치된 상태로 회전판에 고정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손잡이 고정판에 손잡이가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봉에 천막이 감겨져 있고, 상기 회전봉이 1개 내지 3개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덮개의 구성 자체가 직물재에 해당하는 천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재질의 특성상 견고함을 기대할 수 없고 개폐과정에서 천막을 고정하고 해제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다단 설치된 덮개판에 의해 화물차의 적재함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적재물을 간편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되, 덮개 개방시 적재함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적재물을 넣고 빼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화물차 적재함을 크게 개조 또는 변경하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가 용이한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덮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덮개판으로 이루어져 적재함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지거나 포개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가 적재함의 후방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덮개부 미사용시에는 덮개부가 적재함의 후방에 수직으로 젖혀진 상태가 되도록 작동하고, 덮개부 사용시에는 덮개부를 270° 회전하여 적재함의 상부에 수평상태가 되도록 작동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덮개부의 상면 또는 저면부에 설치되어 덮개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적재함을 선택적으로 덮어 주는 개폐작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적재함의 후방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높은 토크로 변환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덮개판의 양측 선단부에 고정되는 회전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작동수단은; 복수의 지지판이 " X " 자 형태로 교차되어 양측에는 연결아암을 통해 지지판끼리 연결되고, 지지판이 교차되는 중앙에는 연결축이 형성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전체길이를 조절하도록 지지판에 설치되는 신축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과 덮개판 사이에는 고정부를 통해 서로 고정되어, 링크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덮개판이 지지판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조절부는; 상기 복수개의 덮개판 중에서 첫 번째 덮개판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모터와, 상기 작동모터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조절봉과, 상기 지지판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고, 나사조절봉에 나사결합되어 작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나사조절봉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안내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단 설치된 덮개판에 의해 화물차의 적재함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적재물을 간편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덮개 개방시 덮개부가 적재함의 후방에 수직으로 젖혀진 상태로 간섭없이 적재함 전체가 개방되는 구조여서, 적재함의 공간확보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화물차 적재함을 크게 개조 또는 변경하지 않고 적재함의 후방에 덮개부, 회전수단, 개폐작동수단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종래의 자동덮개장치에 비해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덮개장치 사용시 덮개부를 회전시켜 적재함의 상부에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개폐작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덮개부를 닫는 과정을 나타낸 저면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개폐작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덮개부를 닫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화물차 적재함(A)용 덮개장치(100)는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덮개판(210)으로 이루어져 적재함(A)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지거나 포개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덮개부(200)와, 상기 덮개부(200)가 적재함(A)의 후방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덮개부(200) 미사용시에는 덮개부(200)가 적재함(A)의 후방에 수직으로 젖혀진 상태가 되도록 작동하고, 덮개부(200) 사용시에는 덮개부(200)를 270° 회전하여 적재함(A)의 상부에 수평상태가 되도록 작동하는 회전수단(300)과, 상기 덮개부(200)의 상면 또는 저면부에 설치되어 덮개부(2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적재함(A)을 선택적으로 덮어 주는 개폐작동수단(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덮개부(200)는 복수의 덮개판(210)이 적재함(A)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지거나 포개지는 형태가 되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덮개판(210)끼리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끝부분을 서로 구부려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210)의 형태는 금속재질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프레임과 직물이 결합된 형태의 덮개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회전수단(300)은 덮개부(200)가 적재함(A)의 후방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구성이다. 즉, 덮개부(200) 미사용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200)가 적재함(A)의 후방에 수직으로 젖혀진 상태가 되도록 작동하여 덮개부(200)의 간섭없이 적재함(A) 내에 적재물을 간편하게 꺼내거나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덮개부(200) 사용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200)를 270° 회전하여 적재함(A)의 상부에 수평상태가 되도록 작동하여 복수의 덮개판(210)에 의해 적재함(A)이 닫힐 수 있도록 한 조건으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수단(300)은 적재함(A)의 후방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데, 한 부분만 설치되지 않고 양측으로 설치하는 이유는, 덮개부(200)의 자체 무게뿐만 아니라 개폐작동수단(400)의 무게까지 고려하여 덮개부(20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수단(300)의 구성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모터(310)와, 상기 회전모터(31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높은 토크로 변환하는 기어박스(320)와, 상기 기어박스(320)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덮개판(210)의 양측 선단부에 고정되는 회전링크(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링크(330)는 복수의 덮개판(210) 중에서 첫 번째 덮개판(210)에만 고정되며, 회전모터(3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덮개부(20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작동수단(400)은 복수의 덮개판(210)으로 이루어진 덮개부(2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이때 개폐작동수단(400)은 덮개부(200)의 상면부 또는 저면부 중에서 어느 한쪽에 설치된다. 만약, 개폐작동수단(400)이 덮개부(200)의 상면부에 설치될 경우, 덮개부(200)를 닫았을 경우 적재물과 간섭이 생기지 않는 장점과 개폐작동수단(400)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존재하고, 그리고 도면과 같이 개폐작동수단(400)이 덮개부(200)의 저면부에 설치될 경우 덮개부(200)를 닫았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 없이 깔끔하게 닫히는 장점과 적재함(A) 내부의 적재물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개폐작동수단(4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는 커버(미도시)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개폐작동수단(400)의 구성은 도 3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판(411)이 " X " 자 형태로 교차되어 양측에는 연결아암(412)을 통해 지지판(411)끼리 연결되고, 지지판(411)이 교차되는 중앙에는 연결축(413)이 형성되는 링크부재(410)와, 상기 링크부재(410)의 전체길이를 조절하도록 지지판(411)에 설치되는 신축조절부(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부재(410)는 다수의 지지판(411)이 절첩될 수 있도록 서로 " X " 자 형태로 교차 결합되는 구성이다. 또한 덮개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덮개판(210)이 링크부재(410)의 움직임에 따라 지지판(4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410)의 지지판(411)과 덮개부(200)의 덮개판(210) 사이에는 고정부(414)를 통해 서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414)는 덮개판(210)의 끝 부분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덮개부(200)를 개방할 때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신축조절부(420)의 구성은 상기 복수의 덮개판(210) 중에서 첫 번째 덮개판(210)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모터(421)와, 상기 작동모터(421)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조절봉(422)과, 상기 지지판(411)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고, 나사조절봉(422)에 나사결합되어 작동모터(421)의 작동에 의해 나사조절봉(42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안내대(4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모터(421)는 첫 번째 덮개판(210)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즉, 첫 번째 덮개판(210)은 덮개부(200)의 길이조절시 고정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써, 회전수단(300)의 회전링크(330)가 직접 고정되는 덮개판(210)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조절봉(422)은 이동구간 전체에 대하여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모터(42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한다.
상기 이동안내대(423)는 지지판(411)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되 적어도 두 번째 연결축(413)이 형성된 부분에 설치되어서 이동안내대(423)가 이동함에 따라 첫 번째 연결축(413)과 두 번째 연결축(413)의 거리가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링크부재(410)의 첫 번째 연결축(413)은 첫 번째 덮개판(210)에 고정되어 있고, 두 번째 연결축(413)은 이동안내대(423)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첫 번째 연결축(413)과 두 번째 연결축(413)의 거리만 조절해주어도 교차 연결된 지지판(411) 전체에 연쇄적으로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나머지 부분의 길이조절도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작동모터(42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자동으로 덮개부(200)를 움직이도록 설명하였으나, 신축조절부(420)의 구성을 작동모터(421)로 구성하지 않고 나사조절봉(422)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덮개부(200)의 수동개폐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정부(414)와 이동안내대(423)는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구성이지만, 링크부재(410)의 움직임에 따라 지지판(411)의 각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고정부(414)와 이동안내대(423)는 고정된 위치에서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덮개판(210)의 양측부에 각각 주행롤러(500)를 형성하여, 덮개판(210)이 이동할 때 적재함(A)의 상부에 지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펼쳐지거나 포개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행롤러(500)가 이동하는 구간의 적재함(A) 상부에 가이드부(600)를 더 형성할 경우 주행롤러(500)의 이탈을 방지하고 덮개판(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600)뿐만 아니라 별도의 클램프장치(미도시)를 더 설치될 경우, 덮개부(200)를 닫을 때 덮개부(20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덮개부(2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적재함 100 : 덮개장치
200 : 덮개부 210 : 덮개판
300 : 회전수단 310 : 회전모터
320 : 기어박스 330 : 회전링크
400 : 개폐작동수단 410 : 링크부재
411 : 지지판 412 : 연결아암
413 : 연결축 414 : 고정부
420 : 신축조절부 421 : 작동모터
422 : 나사조절봉 423 : 이동안내대
500 : 주행롤러 600 : 가이드부

Claims (5)

  1. 화물차의 적재함(A)에 설치되는 덮개장치(100)에 있어서,
    복수의 덮개판(210)으로 이루어져 적재함(A)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쳐지거나 포개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덮개부(200)와,
    상기 덮개부(200)가 적재함(A)의 후방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덮개부(200) 미사용시에는 덮개부(200)가 적재함(A)의 후방에 수직으로 젖혀진 상태가 되도록 작동하고, 덮개부(200) 사용시에는 덮개부(200)를 270° 회전하여 적재함(A)의 상부에 수평상태가 되도록 작동하는 회전수단(300)과,
    상기 덮개부(200)의 상면 또는 저면부에 설치되어 덮개부(2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적재함(A)을 선택적으로 덮어 주는 개폐작동수단(4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수단(300)은 적재함(A)의 후방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모터(310)와, 상기 회전모터(31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높은 토크로 변환하는 기어박스(320)와, 상기 기어박스(320)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덮개판(210)의 양측 선단부에 고정되는 회전링크(330);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작동수단(400)은; 복수의 지지판(411)이 " X " 자 형태로 교차되어 양측에는 연결아암(412)을 통해 지지판(411)끼리 연결되고, 지지판(411)이 교차되는 중앙에는 연결축(413)이 형성되는 링크부재(410)와, 상기 링크부재(410)의 전체길이를 조절하도록 지지판(411)에 설치되는 신축조절부(420);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판(411)과 덮개판(210) 사이에는 고정부(414)를 통해 서로 고정되어, 링크부재(410)의 움직임에 따라 덮개판(210)이 지지판(411)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신축조절부(420)는; 상기 복수개의 덮개판(210) 중에서 첫 번째 덮개판(210)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모터(421)와, 상기 작동모터(421)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조절봉(422)과, 상기 지지판(411)의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고, 나사조절봉(422)에 나사결합되어 작동모터(421)의 작동에 의해 나사조절봉(42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안내대(4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53254A 2018-12-03 2018-12-03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 KR102226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254A KR102226278B1 (ko) 2018-12-03 2018-12-03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254A KR102226278B1 (ko) 2018-12-03 2018-12-03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763A KR20200066763A (ko) 2020-06-11
KR102226278B1 true KR102226278B1 (ko) 2021-03-11

Family

ID=7107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254A KR102226278B1 (ko) 2018-12-03 2018-12-03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2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984Y1 (ko) * 2000-05-20 2000-12-15 주식회사수양 차량용 적재함 덮개 개폐장치
CN205417336U (zh) * 2016-02-15 2016-08-03 驻马店中集华骏车辆有限公司 车辆、车厢结构及其车厢顶盖驱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753Y1 (ko) * 1991-08-09 1993-10-06 조기동 덤프트럭 적재함의 포장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984Y1 (ko) * 2000-05-20 2000-12-15 주식회사수양 차량용 적재함 덮개 개폐장치
CN205417336U (zh) * 2016-02-15 2016-08-03 驻马店中集华骏车辆有限公司 车辆、车厢结构及其车厢顶盖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763A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30284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агажного отсе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US8689939B2 (en) Step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nd tree harvester having leveling system
KR102027016B1 (ko) 차량용 이동 루프랙
US20160090057A1 (en) Work vehicle
KR101351538B1 (ko) 덮개 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
RU2517143C2 (ru) Рабочая машина
EA015431B1 (ru) Путевая машина с крытым помещением для грузов
CN107264650A (zh) 包括可调整的驾驶室的自行走机器特别是建筑机器以及用于调整自行走机器的驾驶室的方法
KR102226278B1 (ko)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
JP5142733B2 (ja) 荷受台昇降装置
CN102126420A (zh) 具有一种导风元件的敞篷车
KR102226276B1 (ko)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20010000020A (ko) 트럭의 윙바디 자동 개폐장치
WO2013153410A9 (en) Wagon for transport and controlled silting of hygroscopic material
RU2599310C1 (ru) Укрытие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0153737A (ja) 貨物自動車用のステップ装置
JP2000225846A (ja) 荷室開閉機構
JP2019073181A (ja) 車両用幌装置、及び幌付車両
KR102553138B1 (ko) 탑차 적재함
EP2509812B1 (en) Actuation system for covering canvas of top-bodies
KR102103211B1 (ko) 차량적재함용 자동 덮개
KR100229269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적재물 승하강 장치
JPH09290829A (ja) 幌つき荷台の幌駆動装置
JP3571253B2 (ja) 幌の自動開閉装置
SE508623C2 (sv) En medelst sidopresenning förslutbar godsva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