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2478A - 차량 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 - Google Patents

차량 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2478A
KR20000072478A KR1020000052614A KR20000052614A KR20000072478A KR 20000072478 A KR20000072478 A KR 20000072478A KR 1020000052614 A KR1020000052614 A KR 1020000052614A KR 20000052614 A KR20000052614 A KR 20000052614A KR 20000072478 A KR20000072478 A KR 20000072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generator
vehicle
windbreak wall
ru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자승
Original Assignee
강자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자승 filed Critical 강자승
Priority to KR102000005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2478A/ko
Publication of KR2000007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47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중앙선에 위치하여,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발생시킨 주행풍을 이용하여 풍력발전을 함에 있어, 서로 반대되는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발생한 주행풍이 임의의 지점에서 충돌하여 약화되거나 소멸되는 등 상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주행풍과 진행방향이 상이한 자연풍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발전기에 도달하기 전에 방풍벽에 부딪쳐 약화되거나 소멸될 주행풍을 풍차날개에 도달하도록 주행풍을 유도해주는 설치 구조물인 바람유도막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주행풍 발전기가 설치될 구역에 연속적으로 바람유도막을 형성하고, 발전기와 근접한 전후방 차단막에 주행풍 유도를 위한 돌출구조물을 장치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속된 바람유도막과 돌출구조물은 주행풍간의 상쇄현상을 방지하고 자연풍과 주행풍간의 상호간섭을 줄여 주고 풍차날개에 주행풍을 모아 주행풍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주행풍 발전기의 발전능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준다

Description

차량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Wind guidance wall of moving car produced wind power system}
본 발명은 차량주행풍 발전기의 발전율을 높이기 위한 주행풍 유도장치 인 차량 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기는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날개의 회전운동에너지로 전환시키고 날개의 회전력을 증속기를 통하여 발전기에 전달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변환장치이며 통상 순수하게 자연풍만으로 발전하는 방식과 풍력과 디젤 혹은 태양광 등과 복합하여 발전을 하는 복합형 풍력 발전기로 분류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 01928285호와 특허 출원번호 제 2000-15765호를 통해 차량이 주행시에 발생하는 주행풍을 이용한 풍력발전기를 제시한 바 있다. 이 주행풍 풍력발전기는 도로의 중앙에 일정한 높이와 넓이로 중앙분리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단으로 부터 압입되는 팬축과 팬축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차량이 도로를 주행할 때 발생하는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도로에서의 실험에 의하면 도1b에서 묘사한 바와 같이 차량이 발생한 주행풍이 반대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서 발생한 주행풍과 임의의 지점에서 충돌하여 약화되거나 소멸되는 등 상쇄되거나 차량의 주행풍과 자연풍이 상쇄하는 등 간섭효과가 발생하는 경우 급격하게 주행풍 발전기의 발전율이 낮아지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뿐만 아니라 주행풍은 풍향의 변화와 풍속, 풍량등의 특성이 자연풍과 달라, 이에 따라 발전기의 유효 날개 부위에 주행풍이 집중되지 못하고 조기에 소멸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반대편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발생하는 주행풍의 상호간섭과 자연풍과 차량주행풍간의 상호간섭을 차단하고, 주행풍을 주행풍 발전기의 회전자의 날개 부위에 주행풍을 유도하여 발전기의 생산전력을 증가 시키는데 있다.
도1a는 기존의 중앙 분리대의 단면도
도1b는 기존의 중앙분리대 주변의 주행풍 흐름의 모식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실시된 주행풍 유도막의 사시도
도3은 본 바람 유도막을 설치한 후 주행풍 흐름의 모식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돌출구조물 주위의 주행풍 흐름의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존 중앙분리대 블록 2 : 기존의 가드레일
3 : 방풍벽 4 : 방풍벽 주주
5 : 돌출 구조물 6 : 주행풍 발전기의 날개
7 : 주행풍 발전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행풍 발전기가 설치될 구역에 연속적으로 바람유도막을 형성하여 서로 반대되는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들이 발생한 주행풍이 서로 부딪치는 것을 차단하고, 차량주행풍과 진행방향이 상이한 자연풍이 서로 상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차단막의 표면에 복수의 돌출구조물(5)을 형성하여 발전기에 도달하기 전에 방풍벽(3)에 부딪쳐 소멸될 주행풍을 주행풍 발전기의 날개(6)에 도달하도록 주행풍을 유도하여 주행풍 발전기의 발전능력을 향상시켜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차량주행풍간의 상호 상쇄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위하여, 발전기(7)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주행풍 바람유도막을 설치하는데 도2의 주행풍 유도막의 사시도에 의하면 방풍벽(3)을 방풍벽 주주(4)에 고정하여 가설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방풍벽(3)과 주행풍 발전기(7) 사이의 방풍벽(3)상에 돌출구조물(5)을 구성하여 방풍벽에 조기에 도달하여 소멸될 주행풍을 주행풍 발전기의 날개로 유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제2도에서와 같이, 중앙분리대 공간에 방풍벽 주주(4)를 가설하고 방풍벽 주주(4)에 방풍벽(3)을 부착한다. 방풍벽(3)에 발전기가 위치 곳의 전방에 돌출 구조물(5)을 설치한다. 돌출 구조물(5)은 방풍벽의 반대면에도 차량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지점에 설치된다. 또한, 방풍벽은 설치와 보수에 유리한 형태로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1a도는 기존의 중앙분리대 가드레일과 콘크리트의 단면도를 도해하였으며, 도1b는 상기 중앙분리대 콘크리트를 이용한 중앙분리대 상의 주행풍 흐름의 모식도 인바 동일한 지점에서 측정되는 주행풍은 진행하는 차량의 속도, 차량의 종류 및 중앙분리대와 근접정도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발생된다. 또한 서로 반대되는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발생시킨 주행풍의 경우도 이와 같다. 따라서 각 차량이 진행하며 발생시킨 주행풍의 풍량 및 풍속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 중앙분리대 상에서 보여지는 주행풍의 순간적인 흐름을 모사한 도1b에 중앙분리대 공간을 가로질러 임의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풍이 상쇄되거나 중첩되는 것을 도해하였다. 부가적으로 상기 도1b에 도해되지 않았으나 자연풍의 다양한 간섭도 나타나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유도막을 설치한 후 바람유도막의 지상고 이하에서의 주행풍 흐름의 모식도 인바, 각기 차량에서 발생된 주행풍은 중앙 분리대공간에 설치된 바람유도막에 의하여 반대편 차선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바람유도막에 충돌하거나 반사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4도는 3도의 부분 확대도면으로 발전기 전후방에 각기 복수로 형성된 돌출구조물이 나타나 있는바, 돌출구조물은 발전기에 도달되지 못하고 방풍막과 충돌하여 약화되거나 소멸될 주행풍을 발전기에 도달하도록 유도해준다. 주행풍 유도 능력은 돌출구조물의 크기와 형태에 영향을 받는바, 돌출 구조물의 크기 및 형태는 주행풍의 풍량과 풍속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은 중앙 분리대 공간에 연속되는 바람유도막을 구성하여 서로 반대되는 차로를 주행하는 다양한 차량이 발생시키는 주행풍간의 상호간섭이나 상쇄효과및 자연풍의 상쇄현상을 차단시켜주고, 바람유도막에 돌출구조물을 부착하여 발생된 주행풍을 효과적으로 주행풍 발전기로 유도하여, 발전기의 발전능력을 증가시키도록 해준다.

Claims (2)

  1. 다수의 지지구조물로 고정된 방풍막과, 주행풍 발전기가 설치될 공간의 전 후방에 복수의 돌출 구조물을 지닌 바람유도막
  2. 제1항에 있어서, 방풍막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방풍벽 주주를 설치하되, 방풍벽 주주가 돌출구조물과 같이 돌출 되어 주행풍을 유도하는 바람유도막
KR1020000052614A 2000-09-06 2000-09-06 차량 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 KR20000072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614A KR20000072478A (ko) 2000-09-06 2000-09-06 차량 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614A KR20000072478A (ko) 2000-09-06 2000-09-06 차량 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717U Division KR200210148Y1 (ko) 2000-08-09 2000-08-09 차량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478A true KR20000072478A (ko) 2000-12-05

Family

ID=1968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614A KR20000072478A (ko) 2000-09-06 2000-09-06 차량 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24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072B1 (ko) * 2010-03-10 2013-06-26 (주)엔아이티원 도로변 풍력발전시스템
KR20190063031A (ko) * 2017-11-29 2019-06-07 우종화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072B1 (ko) * 2010-03-10 2013-06-26 (주)엔아이티원 도로변 풍력발전시스템
KR20190063031A (ko) * 2017-11-29 2019-06-07 우종화 난간용 윈드 디플렉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256B1 (ko) 중앙분리대 설치타입의 풍력발전시스템
US20080263731A1 (en) Reads-77 to fence against global warming
US20130313834A1 (en) Wind-collecting type 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installed on roadside
US9885340B2 (en) Aerodynamic screen system
KR101077246B1 (ko) 풍력발전용 중앙분리대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CN104385910A (zh) 多能源车
KR101197322B1 (ko) 차량의 주행풍을 이용한 풍력발전기
KR20000072478A (ko) 차량 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
JP6571154B2 (ja) 停止時風力発電充電式電気自動車
KR200210148Y1 (ko) 차량주행풍 발전기의 바람유도막
JPH11182409A (ja) 風力発電機の航空障害灯点滅装置
KR101008518B1 (ko)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56396B1 (ko) 도로에서 풍력 및 태양광 발전용 블록
KR101026261B1 (ko) 풍력발전장치
KR100820551B1 (ko) 고속화도로 풍력발전기
KR101851102B1 (ko)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양력을 이용한 풍력 발전 장치
KR20020013088A (ko) 중앙분리대 설치식 수평축 풍력발전기
JP2009156035A (ja) 風車発光式デリニエータ
JP2012177354A (ja) 車載用風力発電装置
CN111335090B (zh) 一种市政道路及其施工方法
JP5584741B2 (ja) 風力発電装置
KR100912798B1 (ko) 교통안전을 위한 안개 희석장치
RU99119836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тбором мощности ветрового потока и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DE10303134A1 (de) Innovative Systemwand zur Nutzung der Windenergie auf und neben befahrenen Autobahnen und Schnellstraßen
KR101193202B1 (ko) 다리우스형 수직 풍력에너지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