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518B1 -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518B1
KR101008518B1 KR1020080063697A KR20080063697A KR101008518B1 KR 101008518 B1 KR101008518 B1 KR 101008518B1 KR 1020080063697 A KR1020080063697 A KR 1020080063697A KR 20080063697 A KR20080063697 A KR 20080063697A KR 101008518 B1 KR101008518 B1 KR 10100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olar power
discharge
spac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121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080063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5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또는 교량에서 내려쪼이는 태양광을 이용하여서 전력을 발생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길이 방향에 따라 소요되는 면적에다, 양측 가장자리에서 고정하면서 설치하는 소음 및 폭설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는 방음장치와 아울러 태양열 집열판을 이용하여서 발전을 하도록 구성되는 도로 또는 교량에서 도로용 태양열 발전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개설하는데는 이의 거리에 따라 많은 토지가 소요되고, 또한 태양열 발전장치의 설치도 토지가 소요되는 것이다.
또한 도로 및 철로 등에서는 주택지를 지나는 동안 소음으로 인하여 주가 환경에 악영향을 주고 있으며, 또한 산간지역 등에서는 지역의 여건상 혹한기에 폭설에 의하여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경제의 발전에 의하는 에너지의 수급 불균형으로 인하여 신재생의 에너지에 대한 경제성의 여건으로 인하여 태양열 발전에 대한 수요의 증대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로(15) 또는 철로등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분리대(10)의 하부에는 축전지 등을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11)을 마련하고, 이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축되는 가이드레일(16)에는 각각의 지지빔(12)을 연속 반복적으로 돌출하여 주고, 중앙분리대(10)의 측면에는 작업자 출입구를 형성하여 주면서, 가이드레일(16)에서 돌출되는 지지빔(12)의 중상측부에는 방음벽(36)을 구성하는 도로의 지지빔(1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돌출되는 지지빔(12)의 가장자리에는 보조용 지지빔(13)을 구성하되; 이의 중간부위에서는 상측은 내측으로 향하고 하측은 외부로 향하는 단면이 ∫형의 방음벽을 다수개로 하향으로 경사지는 이동공간 사이 사이에 형성하도록 일체로 고정하여 주고,
상기 지지빔(12)(13)의 상측에는 양측방향으로 하방되면서 경사지는 태양열 발전판(31)(31')을 구성하되, 상기 양측의 태양열 발전판(31)(31') 사이의 배출공간(27)에는 등간격의 고정대(26)로 고정시켜 주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반복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도로, 태양열 발전판, 유도벽, 배출공간

Description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omitted}
본 발명은 도로 또는 교량에서 내려쪼이는 태양광을 이용하여서 전력을 발생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고정하면서 설치하는 소음 및 폭설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는 방음장치와 아울러 태양광을 이용하여서 발전을 하도록 구성되는 도로 또는 교량 등에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및 철로 등에서는 주택지를 지나는 동안 소음으로 인하여 주가 환경에 악영향을 주고 있으며, 또한 산간지역 등에서는 지역의 커브와 비스듬한 도로 등의 여건상 혹한기에 폭설에 의하여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경제의 발전에 의하는 에너지의 수급 불균형으로 인하여 신재생의 에너지에 대한 경제성의 여건 조성으로 태양열이나 태양광 발전에 대한 수요의 증대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로 또는 철도는 주행 중인 차량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충격으로, 이를 소음 차단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방음벽 등의 내구성이 문제가 되므로 대부분 상측면에 대한 방음 구조는 터널식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도로 또는 철도에서 주행 중 발생하는 차량의 소음에 대한 대책으로서 가이드 레일에서 지지대를 돌출하면서 방음벽을 설치하여 주었으나, 상측부위로 확산되는 소음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고 있으며, 또한 동절기에 혹한지역이면서 산간지역을 통과하도록 경사지는 도로에서는 겨울철에 폭설로 인하여 교통의 두절이 연례행사처럼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 및 철로와 같은 차량의 이동로는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였으면서,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에는 소음 및 운행에 대한 안전장치의 요소가 필요하는 현실이다.
또한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에너지로서는 휘발유 및 경유류와 같은 에너지원을 연소시켜 주면서 주행하게 되는데, 이는 주행을 위하는 연소에 의한 공해의 발생과 아울러 산업발전의 수요에 의하여 고가의 부담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신재생에너지의 수요가 발생하게 되는 바, 이는 무공해이면서 태양열 발전판의 설치구간에 대한 면적의 해결 뿐 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소음 방지 및 안전장치의 역할까지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구축하는 지역에서의 태양광 방전장치를 구축함으로서, 지면의 효율화를 제공하고, 차량의 이동에 의한 소음을 흡수하고, 차량의 고속 주 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충격에 의하는 배출공간을 형성하면서 태양열 발전판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더 상세하게는 계절에 따른 혹한기에서의 폭설로 인하여 주행하는데, 미끄러지는 위험을 방지하여 주기 위함이며, 또한 혹서기에는 폭염에 의하는 운전자의 시야에 대한 아지랑이 등의 방해를 방지하여서 안전 운행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도로 및 교량은 차량의 주행량에 맞추어서 차선을 확보하여 주는데, 일반적으로 쌍방향으로 왕복하여 주는 차선의 확보를 위하여서는, 대부분 광폭의 도로로 시공하는데, 이에 따른 폭의 조정이 용이하는 구조로 조정하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산간지역에서의 태양광 전력에 대한 발전으로 공급을 하여서 주기 위함이며, 아울러 축전을 하여서 주거용 및 차량의 운행용으로 사용하도록 제공을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도로 또는 교량으로 시공되어 제공하는 넓은 면적의 공간을 방음벽이나 안전장치를 설치하면서 아울러 태양광 발전장치의 설치로 발전의 거점화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로로 사용되는 장거리의 면적에서의 상측 공간을 방음벽, 폭설에 의한 빙판의 피해를 줄여주도록 구축하여 준다.
또한 도로에서 고속 주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배기가스 및 공기의 저항에 의한 흐름을 배출하기 위하는 배출간격이 방음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양측으로 형성되는 방음판 사이의 배출간격으로 들어오는 동안에 안개 및 폭설의 대부분을 차단 증발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제공하여 주면서, 차량을 운전하는 시야를 확보하여서 교통안전을 보강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로(15) 또는 철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분리대(10)의 하부에는 축전지 등을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11)을 마련하고, 이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축되는 가이드레일(16)에는 각각의 지지빔(12)(13)을 연속 반복적으로 돌출하여 주고, 중앙분리대(10)의 측면에는 작업자 출입구를 형성하여 주면서, 가이드레일(16)에서 돌출되는 지지빔(12)(13)의 중상측부에는 방음벽(36)을 구성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6)에서 돌출되는 지지대(12)(13)의 중간부위에서는 외측하방으로 경사지는 단면이 ∫형의 방음벽(36)의 사이사이에 이동공간(18)이 형성하도록 일체로 고정하여 주고,
상기 지지빔(12)의 상측에는 양측방향으로 하방되면서 경사지는 태양열 발전판(31)(31')을 구성하되, 상기 양측의 태양열 발전판(31)(31') 사이의 배출공간(27)에는 등 간격의 고정대(26)로 고정시켜 주고,
상기 양측의 태양열 발전판(31)(31')의 배출공간(27)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고정봉(25)을 돌출하여 주고,
상기 고정봉(25)의 하측으로 단면이 원호형 방음유도벽(35)을 형성하여서 양측으로 배출공간(19')을 구성하여 주고,
상기 방음벽(36)을 하방으로 연결하는 연결방음벽(36')으로 형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양측의 태양열 발전판(31)(31')의 배출공간(19)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지지프레임(24)을 돌출하여 주고,
상기 지지프레임(24)의 상측으로 단면이 원호형 태양열 발전판(33)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양측의 태양열 발전판(31)(31')의 배출공간(27)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유도벽(28)을 돌출하여서 배출구간(19)을 형성하여 주되, 상기 유도벽(28) 방향으로 방음판(17)(17')을 서로 교호상으로 돌출하여서, 교호상으로 배출공간(27)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중앙분리대(10)에서 돌출되는 지지기둥(42)의 상측으로는 상기 유도벽(28)의 하측 가장자리에 맞추어 지지하여 주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원호형 태양열 발전판(33)을 서로 배출공간(19)이 교호상으로 형성되도록 경사보조발전판(48)(48')을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배기공간(29)을 양측 가장자리의 하방으로 돌출하여 주고,
상기 방음벽(36)을 태양열 발전판(31")으로 형성하면서 외측방향의 하방으로 이동공간(18)을 다층 구조로 형성하여서 소음역할을 제공하여 주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 또는 교량이 형성되는 장거리의 구간에서 방음 및 폭설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면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여서 안전 운행을 보장하는 것은 물론, 도로를 고속으로 주행하면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한 충격을 용이하게 유도하여서 상지 발전장치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태양광 발전을 제공하여서 에너지 생산의 거점으로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제공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2는 A-A선 단면도이며,도 3은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도 4은 도 3에서 B-B선 단면도이다. 또한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하여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도 6는 도 5에서 C-C선 단면도이다. 또한도 7은 도 5에 대한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도 8은 도 7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도 9는 도 8에서 D-D선 단면도이며,도 10은 도 8에 대한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도 11은 도 8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소음의 차감과 아울러 공기의 이동에 의하는 충격을 배출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태양열집광판을 고정하여 주는 도로용 발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도로 또는 교량(15)에서 길이방향에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인(16)에서, 돌출되는 지지빔(12)(13)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각각의 지지빔(12)(13)이 격자형으로 보강시켜 준다. 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돌출되는 지지대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가장자리에는 보조용 지지대를 구성하되; 상기 각각의 지지빔(12)(13)이 돌출되는 높이 구간에서의 중간부위에서는 외측 가장자리로 하방됨과 동시에, 경사지는 다수개의 단면이 ∫형 방음벽(36)이 하향으로 경사지는 이동공간의 사이사이에 형성하도록, 상기 각각의 지지빔(12)(13)으로 상기 방음벽(36)의 양측 가장자리를 관통과 동시에 고정되면서, 일체로 3~4단계를 유지하여 주어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프레임(23)을 용접 등으로 고정하여 주는 방음벽(36) 사이에 이동공간(18)을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은 3~4단계의 방음벽(36)의 경사도가 동일하게 형성하여 제공으로, 서로 차량의 소음을 흡수하면서 경사지게 하방으로 배출함으로서 소음에 대한 저감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공간(18)에서 소음효과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측의 방음벽(36) 하측부(a)가 하측의 방음벽(36) 상측부(b)와 수평적으로 비교하면 서로 중첩되도록 하면서 이동공간(18)의 구간이 형성으로, 주위의 건축물에 대한 소음 방지효과가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빔(12)(13)의 상측높이에는 태양열발전판(이하에서는 발전판이라 칭한다)(31)을 구성하여주되, 이를 대칭적으로 구성하여 주는 길이 사이를 고정대(26)로 고정하는 사이사이의 공간에는 하방으로 향하는 배출공간(27)을 형성하면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로 형성된 방음벽(36)을 하방으로 연결하는 연결방음벽(36')으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지지빔(12)(13)에 고정되는 방음벽(36)의 수를 절감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공되는 발전판(31)(31')의 구조는 차량의 이동에 의한 공기의 충격에 내구성이 양호하는 철판 등으로 구성하면서, 이의 외측표면에는 태양광 발전소자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제공한다.
또한 배출공간(27)으로 배출되는 소음을 차감하기 위하여 배출공간(27)의 구간사이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등간격에 따라 다수개로 돌출되는 고정봉(25)에다 양측이 하측으로 향하는 방음유도벽(35)을 고정하면서, 상기 고정봉(25)사이의 공간으로 배출공간(19')을 형성하여 주어서 상기 발전판(31)(31')의 하측면으로 전달되는 소음과 배출가스는 상기 배출공간(19')(27)을 지나감으로서 저감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되는 안개에 대한 희석뿐만 아니라 겨울철의 폭설에 대한 안정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지빔의 상측에는 태양열발전판을 구성함으로서, 태양열 발전을 하도록 제공하며, 이에 따라 가열기 등의 전열기에 사용되는 전력의 발전을 제공하여 줌과 동시에, 도로 주위에 건축되는 고층건물과 같은 아파트에 대한 소음을 방지하는 발명이다.
또한, 도로의 가이드라인에서 돌출되는 지지빔에는 일측에 방음판을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로 고정하여 주면서 태양열 발전판을 상측 부위에 구성하고,
아울러,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대(10) 하부에 소정의 설치공간(11)을 마련하고, 중앙분리대(10)의 측면에는 상기 설치공간(11)으로 연통되는 작업자 출입구(14)를 형성하며, 상기 설치공간(11)에는 축전지 등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중앙분리대(10)에서 길이방향에 따라 등 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는 지지기둥(42)의 상측으로는 상기 유도벽(28)의 하측 가장자리에 맞추어서, 양측의 발전판(31)(31')의 구조장치에 지지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지지기둥(42)을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향하여서, 도로(15)의 광폭에 따른 균형을 유지하여서 장기적인 내구성을 제공하여 준다
고로 상기 지지빔의 상측을 덮어주면서 설치되는 태양열발전판으로 햇볕으로 전력을 생산하면서, 주행적인 차량의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상기 설명된 내용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도로(15) 또는 철로 등에서 고속으로 추향을 하면 이에 따른 소음과 아울러 공기에 대한 충격파가 발생하게 된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안전한 구조를 제공하면서 내구성이 보강되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공기의 충격을 저감시켜 주면서 유도하기 위하여, 도로(15)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지지빔(12)(13)의 중간에 다층구조로 오측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이동공간(18)이 형성되는 방음벽(36)에서는 소음을 하측방향으로 반사하면서 저감시켜주되, 이와 동시에 공기의 충격도 하방으로 방향 이동시켜서, 발전장치에 대한 구조물에 대한 피해를 줄여주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방음벽(36)을 하방으로 연결하는 연결방음벽(36')으로 형성으로 구성되는 구조에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제공한다.
또한 상측으로 구성되는 양측 가장자리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면서 상측에서는 소정의 간격인 배출공간(27)을 고정하는 고정대(26)사이로 소음이 노출되어서 주위의 고층건물에 대한 소음효과를 보강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소음이 단면이 원호형 발전판(13)(31')의 하측면에서 반사하여 유도벽(28)의 외측면에서 저감이되며, 이의 일부는 유도벽(28) 사이의 배출구간(19)에서 형성되는 교호상의 방음판(17)(17') 사이를 지나면서 더 완벽한 소음구조와 내구성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폭설이나 안개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방음벽(36)과 이동공간(36)을 지나면서 대부분 제거되는 발명이며, 주행 중인 차량의 소음차단 및 강풍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고정되면서 주행로에 쾌적한 환경을 구비하는 발명이다.
상기 발전장치에서는 고층 건물이 밀집되는 도심을 지나는 도로에서는 차량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고층 건물의 상층부위에 까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고정하면서 도로의 폭에 맞추기 위하는 중앙부위의 간격에 맞추어서 소음 방지와 아울러 환기 공간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에 맞추어주는 원호형의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하여 주는 발명이다.
[실시예 1]
또한 상기 배출공간(27)으로 배출되는 소음을 차감하여서 도로 주위에 건축되는 고층의 건축물에 대한 소음에 대한 저감효과를 확대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되는 도로의 폭에 따라 서로 대칭적으로 발전판(31)(31')의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발전판(31)(31')의 길이방향의 구간을 등 간격을 유지함으로서 배출공간(27)을 형성하는 소음저감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의 설명은, 상기 배출공간(27)의 양측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유도벽(28)을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여서 구성되는 배출구간(19)에다 상기 유도벽(28)에서 배출공간(19) 방향으로 서로 교호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방음판(17)(17')을 돌출하여서 상기 배출구간(19)가 지그재그형인 교호상으로 형성하여서 제공한다.
이는 상기 도로(15)를 주행하는 차량의 소음이 발생하면, 상기 전달되는 소음이 발전판(31)(31')의 하측면 방향으로 전달되는 소음은 반사되면서 유도벽(28)의 외측벽에서 저감이되며, 이중 일부가 배출구간(19)을 지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교호상의 배출구간(19)을 지나면서 대부분 저감이 되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실시예 2]
또한 도로가 구축되는 방향이 지형의 여건에 따라, 도로의 방향의 남북쪽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햇볕이 도로의 동쪽방향인 옆 방향에서 비춰주기 시작하여 석양에는 서쪽방향인 반대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비춰주게 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태양광이나 태양열발전판에 대한 발전의 효율의 보강을 위하는 발명이다.
즉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음벽(36)의 구조에는, 태양의 이동에 대한 햇볕의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상측은 내측으로 향하고 하측은 외부로 향하는 단면이 ∫형의 방음판(36)을 발전판(31")으로 형성하여서, 오전이나 오후에 비춰주는 햇볕에 대한 발전력의 효과를 보강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또한 배출공간(19)으로 배출되는 소음을 차감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원호형 발전판(33)에 대한 소음의 저감력에 대한 보강을 위하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재그의 교호상으로 형성되는 배출공간(29)의 구조를 연장하여 형성하면서 소음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주도록 발전판(48)(48')을 프레임(23)으로 고정시켜서 제공하는 발명이다.
이는 발전판(31)(31')의 길이방향의 간격사이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등 간격에 따라 다수개로 돌출되는 프레임(23)에다 양측이 하측으로 향하는 발전판(48)(48')을 고정하면서, 상기 발전판(48)(48')사이의 공간으로 배출공간(29)을 형성하여 주어서 상기 발전판(31)(31')의 하측면으로 전달되는 소음과 배출가스는 상기 배출공간(19')(29)을 지나는 소음의 더 완벽한 저감구조를 제공하여 준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는 상업사회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왕복차선 뿐만 아니라 차선의 확대로 인하여 상기 발전장치의 폭이 수용하는 차선의 수가 한정이 되므로 필요에 따라 중요한 차선인 일부 만 설치하여서 사용하여도 본 발명의 발전장치가 제공되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제공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4은 도 3에서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하여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도 5에서 C-C선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대한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D-D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대한 사용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1은 도 8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중앙분리대 11 : 설치공간 12,13 : 지지빔
15 : 도로 또는 다리 16 : 가이드레인 17,17' : 방음판
18 : 이동공간 19 : 배출구간 23 : 프레임 24 : 프레임
26 : 고정대 27 : 배출공간 28 : 유도벽 31,31' 태양열발전판
33 : 원호형 발전판 35 : 방음유도벽 42 : 지지기둥

Claims (3)

  1. 도로(15) 또는 철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분리대(10)의 하부에는 축전지 등을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11)을 마련하고, 이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축되는 가이드레일(16)에는 각각의 지지빔(12)과 보조용 지지빔(13)을 연속 반복적으로 돌출하여 주고, 중앙분리대(10)의 측면에는 작업자 출입구를 형성하여 주면서, 가이드레일(16)에서 돌출되는 지지빔(12)(13)의 중상측부에는 방음벽(36)을 구성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돌출되는 지지빔(12)(13)의 중간부위에서는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단면이 ∫형의 방음벽(36)의 사이사이에 이동공간(18)이 형성하도록 일체로 고정하여 주고,
    상기 지지빔(12)(13)의 상측에는 양측방향으로 하방되면서 경사지는 태양열 발전판(31)(31')을 구성하되, 상기 양측의 태양열 발전판(31)(31') 사이의 배출공간(27)에는 등간격의 고정대(26)로 고정시켜 주고,
    상기 양측의 태양열 발전판(31)(31')의 배출공간(27)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고정봉(25)을 돌출하여 주고,
    상기 고정봉(25)의 하측으로 단면이 원호형 방음유도벽(35)을 형성하여서 양측으로 배출공간(19')을 구성하여 주고,
    상기 방음벽(36)을 하방으로 연결하는 연결방음벽(36')으로 형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태양열 발전판(31)(31')의 배출공간(19)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지지프레임(24)을 돌출하여 주고,
    상기 지지프레임(24)의 상측으로 단면이 원호형 태양열 발전판(33)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양측의 태양열 발전판(31)(31')의 배출공간(27)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유도벽(28)을 돌출하여서 배출구간(19)을 형성하여 주되, 상기 유도벽(28) 방향으로 방음판(17)(17')을 서로 교호상으로 돌출하여 주면서, 교호상으로 배출공간(27)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중앙분리대(10)에서 돌출되는 지지기둥(42)의 상측으로는 상기 유도벽(28)의 하측 가장자리에 맞추어 지지하여 주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태양열 발전판(33)을 서로 배출구간(19)이 교호상으로 형성되도록 경사보조발전판(48)(48')을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배기공간(29)을 양측 가장자리의 하방으로 돌출하여 주고,
    상기 방음벽(36)을 태양열 발전판(31")으로 형성하면서 외측방향의 하방으로 이동공간(18)을 다층 구조로 형성하여서 소음역할로 제공하여 주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080063697A 2008-06-30 2008-06-30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0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697A KR101008518B1 (ko) 2008-06-30 2008-06-30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697A KR101008518B1 (ko) 2008-06-30 2008-06-30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21A KR20100003121A (ko) 2010-01-07
KR101008518B1 true KR101008518B1 (ko) 2011-01-19

Family

ID=4181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697A KR101008518B1 (ko) 2008-06-30 2008-06-30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5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03B1 (ko) 2009-07-28 2011-06-13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도로설치형 슬라이딩 태양광 추적 집광장치
KR20190034792A (ko) 2017-09-25 2019-04-03 황우택 도로상 또는 철도상 폭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및 발전방법
KR20230030092A (ko) 2021-08-24 2023-03-06 (주)파워드림 외부 조도 인식 센서를 활용한 도로조명 설비 복합 전력 공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731B1 (ko) * 2010-02-01 2013-07-05 민승기 도로용 태양광 발전블럭
KR101391612B1 (ko) * 2012-03-13 2014-06-20 이종은 도로설치용 태양광 발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7216U (ko) 1974-01-04 1975-08-13
KR20060023274A (ko) * 2004-09-09 2006-03-14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노상 방음 구조물
KR100757238B1 (ko) 2007-05-02 2007-09-10 (주)다인레보텍 충격감지 기능을 포함하는 도로용 방음벽
KR100778826B1 (ko) 2007-01-11 2007-11-22 주식회사 한솔공영 아케이드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7216U (ko) 1974-01-04 1975-08-13
KR20060023274A (ko) * 2004-09-09 2006-03-14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노상 방음 구조물
KR100778826B1 (ko) 2007-01-11 2007-11-22 주식회사 한솔공영 아케이드 구조물
KR100757238B1 (ko) 2007-05-02 2007-09-10 (주)다인레보텍 충격감지 기능을 포함하는 도로용 방음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03B1 (ko) 2009-07-28 2011-06-13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도로설치형 슬라이딩 태양광 추적 집광장치
KR20190034792A (ko) 2017-09-25 2019-04-03 황우택 도로상 또는 철도상 폭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및 발전방법
KR20230030092A (ko) 2021-08-24 2023-03-06 (주)파워드림 외부 조도 인식 센서를 활용한 도로조명 설비 복합 전력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21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518B1 (ko) 도로용 태양광 발전장치
US20200256190A1 (en) Roadway conduit systems and methods
US20110146753A1 (en) Solar energy generation system
CN103856151B (zh) 长廊式道路风光能复合电站
EA012687B1 (ru) Здание и структурный элемент дороги, а также создаваемая из них городск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крупных районов высокой плотности населения
CN105253150A (zh) 管道交通系统用运输管道
KR20200006161A (ko) 충진매질이 충진된 양면형 태양광방음패널을 이용한 수직형 방음벽과 방음벽 시공방법
KR102211356B1 (ko) 방음 터널
KR200444417Y1 (ko) 흡음기능을 가진 방음벽용 방음패널
EP2430239A1 (en) A method and equipment for arranging track banking, electric power supplies and tract covering
CN203452016U (zh) 一种太阳能吸隔音屏障
KR20210003548A (ko) 태양광 발전 방음터널
KR20100034497A (ko) 도로에서 풍력 및 태양광 발전용 블록
JP3833017B2 (ja) 防音壁
CN112109736A (zh) 一种多式联运复合轨道运输系统
KR20070093819A (ko) 도로용 방음벽
CN205529957U (zh) 一种植物隔音屏障
RU182480U1 (ru) Дорожная секция
ES2560082T3 (es) Sistema de protección acústica para vías de circulación
CN112112004A (zh) 一种双制式新能源复合轨道系统
CN220977754U (zh) 一种基于成本与声学双目标约束的声屏障及护栏组合构造
CN103354705B (zh) 一种储能电源箱体
KR102655207B1 (ko) 지붕패널 누수방지 구조가 적용된 방음터널
CN220868009U (zh) 一种顶角处设置通风口的铁路生态罩
KR20120060792A (ko) 도로 조립용 태양광 발전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