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990A -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및 디클로로벤질 알콜을 함유하는 제제 - Google Patents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및 디클로로벤질 알콜을 함유하는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990A
KR20000069990A KR1019997006205A KR19997006205A KR20000069990A KR 20000069990 A KR20000069990 A KR 20000069990A KR 1019997006205 A KR1019997006205 A KR 1019997006205A KR 19997006205 A KR19997006205 A KR 19997006205A KR 20000069990 A KR20000069990 A KR 20000069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hlorobenzyl alcohol
preparation
inflammation
treatm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206B1 (ko
Inventor
홀멘한스
페데르센에이엠.
Original Assignee
베제리브 니엘슨
비포단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제리브 니엘슨, 비포단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베제리브 니엘슨
Publication of KR2000006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을 국소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제제의 제조를 위한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및 이런 목적을 위한 제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소독제와 같은 박테리아 및 진균에 대한 약제로서 디클로로벤질 알콜(2,4-DCBA)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의해 디클로로벤질 알콜, 바람직하게는 2,4-디클로로벤질 알콜이 염증의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은 연고, 크림, 겔 또는 용액의 형태로 피부 또는 점막에 적용될 수 있는,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디클로로벤질 알콜, 바람직하게는 2,4-디클로로벤질 알콜을 함유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제제는 소양증 및 건선, 벌레 물림/쏘임 등과 같은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여러 염증성 질환에 대해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Description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및 디클로로벤질 알콜을 함유하는 제제 {USE OF DICHLOROBENZYL ALCOHOL FOR PREPARING A PREPARATION FOR TOPICAL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A PREPARATION CONTAINING DICHLOROBENZYL ALCOHOL}
다양한 효모, 사상 진균, 피부내의 진균 및 많은 그램-양성 및 그램-음성 박테리아를 포함하여 박테리아 및 진균에 대한 살균제 및/또는 살진균제로서의 2,4-디클로로벤질 알콜(이하에서 2,4-DCBA로 일컬음)을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방부제(antiseptic lozenge)에서 다른 살균제와 조합하여 2,4-DCBA를 사용하는 것은 30년 이상 공지되어 왔다.
또한 2,4-DCBA는 구강 및 인후의 감염의 치료를 위한 항미생물성 약제로서, 약간의 베임(cut) 및 찰과상의 치료 및 소독을 위한 피부용 방부제로 그리고 진균 치료를 위한 발 크림/로션으로 훌륭하게 사용되어 왔다.
미국 특허 제 3 123 528 호에는 2,4-DCBA 및 약학적 허용 희석제 또는 담체를 함유하는 구강용 약학적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 조성물로는 특히 구강 세정제, 치약, 정제(pastille), 로젠지(lozenge), 로션, 이어드롭(eardrop)을 들 수 있으며, 이 조성물은 귀, 인후 및 피부의 박테리아 및 진균에 의해 유발된 감염을 물리치는데 사용된다. 필요한 경우, 이 조성물은 구강용 조성물에 살균 및 마취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혼입된 국소 마취제인 살리제닌(saligenin)(o-히드록시벤질 알콜)을 함유할 수도 있다.
유럽 특허 출원 제 161 898 호에는 치아 크림 및 치아 겔과 같은 구강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조성물은 예를 들어, 2,4-DCBA와 같은 플라그(박테리아 코팅)를 치료하기 위한 살균제를 함유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 4 167 583 호에는 사람 및 동물의 피부의 소독을 위한 항미생물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조성물은 특히 예를 들어, 2,4-DCBA와 같은 디클로로벤질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성물은 외과용 기구 및 설비의 소독에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이 조성물은 예를 들어 외과수술의 경우와 같은 손의 소독에 적합하다.
WO 95/26134 호에는 기구 또는 장치, 드레싱, 장갑, 콘돔 또는 피부 표면과 같은 표면 위에 적용하기 위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소위 자극원을 불활성화시키는 약제 및 자극을 불활성화시키는 약제가 표면에 결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자극을 불활성화시키는 약제의 예로는 2,4-DCBA와 같은 항미생물성 약제를 들 수 있다.
WO 92/1811 호에는 미생물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의해 유발된 위장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2,4-DCBA와 같은 항미생물성 약제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WO 96/32934 호에는 HIV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2,4-DCBA 및 아밀메타크레졸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EP 제 O 733 357 호에는 요변성 겔의 형태인 국소적인 약학적 제형이 개시되어 있는데, 제형은 활성 성분 뿐만 아니라 2 내지 15%의 콜로이드성 실리카, 물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함유한다. 활성 성분의 예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살균제/항생제를 들 수 있다. 특히 2,4-DCBA를 함유하는 제형을 들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샴푸 및 플라그방지 치약을 포함한 욕실 용품, 가정용품, 직물, 목재, 피혁 제품, 제지 등에서 박테리아/진균류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2,4-DCBA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염증을 국소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디클로로벤질 알콜, 특히 2,4-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4-디클로로벤질 알콜과 같은 디클로로벤질 알콜을 함유하는 피부 및/또는 점막에 국소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고, 크림, 용액 또는 겔 형태의 항염증성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클로로벤질 알콜, 특히 2,4-DCBA가 염증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
염증은 외부적으로 발생된 세포 또는 조직 손상의 결과이다. 그런 손상은 사람 및 동물의 피부상에서의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영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물리적 영향의 예로는 발작, 열, 냉, 방사선 및 전기적 쇼크를 들 수 있으며, 화학적 영향의 예로는 산, 염기 및 알레르기원과의 접촉을 들 수 있다. 또한 염증은 미생물이 사람 또는 동물 신체에 침투한 결과인 감염과 달리 피부상에서의 미생물 작용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염증은 피부 또는 조직 상에서 외부적으로 발생된 영향에 의해 일어나는 방어 매카니즘이다. 그 증상으로는 하기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통증, 상승된 표면 온도, 팽창, 홍반 및 예를 들어 저작(masticating) 효율과 같은 작용의 감소 또는 중단.
따라서, 본 발명은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디클로로벤질 알콜, 특히 2,4-DCBA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저농도로 2,4-DCBA를 사용하면 피부 및 점막 상에 자극(염증) 효과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피부상의 반응은 기니아 피그의 복부에 4-5시간동안 드레싱하에서 프로필렌글리콜 중의 용액을 직접 적용함으로서 연구되었다. 1% 이하의 농도는 거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그 이상의 농도는 염증성 질환을 일으킨다.
2,4-DCBA가 물에서 매우 제한적인 용해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그 물질은 수성 시스템내로 효과적으로 혼입될 수 있다. 유기 용매에서의 용해도는 우수하다.
염증성 질환을 치료할 때, 디클로로벤질 알콜, 바람직하게는 2,4-DCBA는 연고, 크림, 겔 또는 용액의 형태로 피부 또는 점막상에 도포될 수 있다.
활성 화합물(디클로로벤질 알콜, 2,4-DCBA)이 최적의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염증 부위에 그것을 장시간 보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 단백질, 세포 또는 조직과 같은 생물학적 재료에 대한 결합 물질인 생접착제(bioadhesive)가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생접착제는 생물학적 재료에 결합 가능하고 주어진 시간동안 결합되어 있을 수 있는 화합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생물학적 재료가 점막일 경우, 이는 점막접착제 재료가 된다. 중합체 형태의 점막접착제 재료는 통상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활성 화합물은 치료 부위에서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거나 또는 장기간 보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물질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활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생접착제 물질과 결합된다.
생접착제 물질의 예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보폴, 트라가칸트(Tragacanth), 카라야검(Karaya gum), 나트륨 알기네이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및 아라비아검과 같은 수성콜로이드를 들 수 있다.
생접착제 물질은 예를 들어 생물학적 재료상의 상응하는 작용기와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친수성 작용기를 갖는 거대분자 유기 수성콜로이드라는 것이 특성이다. 분자량이 100000 달톤 이상까지 증가할 때 생접착제 물질의 강도는 증가한다.
생접착제를 사용함으로서, 전술된 바와 같이 흡착/흡수 표면상에서의 활성 약제의 보유 시간이 연장된다. 생접착제 물질의 천연 및 합성의 많은 다른 유형이 활성 약제의 방출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 2,4-DCBA는 소양증 및 건선과 같은 여러 피부 질병에 대해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화합물은 벌레 물림/쏘임(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피부 및/또는 점막상에 적용될 수 있는,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제제에 관한 것으로 활성 성분으로서 디클로로벤질 알콜을 함유한다.
제제의 구체예에서, 그것은 활성 성분 뿐만 아니라, 생접착제 농후제 및 물을 함유한다.
제제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그것은 0.05-2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 %의 디클로로벤질 알콜, 0.1-1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2 중량 %의 생접착제 물질 및 90-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97 중량 %의 물로 구성된다.
이 신규 제제는 소독성이 있으며, 항염증성 및 통증 완화성이 있기 때문에, 덴트리피스 (dentrifice) 조성물의 형태로 구강 사용을 위해 적용될 때, 치주위증, 지치가 나온 주위의 감염, 발치 이후와 같은 여러 질환의 치료 및 통증-완화와 스스로 충분한 구강 위생을 돌볼 수 없는 환자의 구강, 치아주위의 농양, 의치에 의한 점막상의 통증, 진균성 감염의 예방 소독을 위해서 및 발치 후에 일어날 수 있는 통증성 질환인 유통성 건성 치조골염에서 노출된 뼈의 표면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덴트리피스 조성물은 농후제(생접착제)의 함량에 따라 구강 세정제 또는 치아 겔로 조제될 수 있을 것이다. 덴트리피스 조성물이 치아 겔로 제조될 경우, 농후제는 물과 함께 예를 들어, 2,4-DCBA와 같은 활성 제제의 용해되지 않은 입자가 분산된 겔 상(相)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하기 실시예와 관련되어 보다 상세히 기재된다.
실시예 1
구강 염증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시험했다.
임상 시험을 위해 2,4-DCBA(Myracid SP),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유럽 약전) 및 수용성 정제제(aqua purificata)(유럽 약전)를 함유하는 제제를 3가지 다른 형태로 제조했다.
구강 세척제:
1. 2,4-디클로로벤질 알콜 (Myacid SP) 5 g
2.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유럽 약전) 0.9 g
3. 수용성 정제제 (유럽 약전) 994.1 g
치아 겔(묽은(thin)):
1. 2,4-디클로로벤질 알콜 (Myacid SP) 1 %
2.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유럽 약전) 2 %
3. 수용성 정제제 (유럽 약전) 97 %
상기 비율은 중량 % 이다.
치아 겔(진한(thick)):
1. 2,4-디클로로벤질 알콜 (Myacid SP) 1 %
2.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유럽 약전) 4 %
3. 수용성 정제제 (유럽 약전) 95 %
상기 비율은 중량 % 이다.
환자에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가지의 다른 겔은 직장 팁(rectal tip)을 갖는 튜브내에 채워졌다. 구강 세정제는 부속된 투여량 컵을 갖는 병에 분배했다.
시험을 위해 5명의 치과 주치의가 환자를 돌보게 했다.
겔 치료에 포함되는 기준: 통상의 치료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던 구강 염증성 질환을 가진 18세 이상의 환자. 또한, 각 환자는 치료를 수행하는 치과의의 일반 환자일 필요가 있었다.
제외되는 기준: 별도로 급성 응급 치료를 받아야 할 환자. 18세 이하의 환자.
3가지 다른 제제로의 환자의 치료는 부분적으로는 치과의에 의한 국소적 적용으로, 부분적으로는 환자 자신에 의해 집에서 사용하기 위해 분배된 제제로 구성되었다.
약 60명의 환자가 시험에 참여했는데 41명이 배포된 설문지에 답했다(설문지 1 참조).
환자의 대부분은 그들이 치료받아야될 문제의 질환과 관련된 통증 또는 쓰림을 느끼고 있었다.
시험의 결과 39명의 환자가 제제로부터 유익한 효과를 나타냈다. 환자의 대부분이 거의 즉각적으로 효과가 있었고, 나머지 일부 환자도 하루내에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전체적인 치주위증을 가진 두 환자는 어떤 효과도 기록할 수 없었다. 치료동안 또는 치료후에 불편을 표시한 환자는 없었다.
구강의 염증성 질환을 위한 겔의 사용 뿐만 아니라 어떤 환자들은 벌에 쏘이고 모기에 물린 다음의 피부 염증성 질환, 접촉성 알레르기, 기계적/물리적 외상 및 여러 화학 작용의 치료에 이 겔을 사용했다.
또한 이런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이 제제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설문지 2 참조).
치료를 수행하는 치과의는 이 제제가 적용하기 쉽고 우수한 접착 능력을 가진다는데 동의했다. 치과의들은 구강 및 인후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 이 겔을 사용했다. 모든 유형의 염증이 통증, 홍반, 붓기, 열 및 예를 들어 저작 효율 감소와 같은 기능 감소에 양성 반응을 나타냈다. 상처와 관련하여 이 겔은 상당한 치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임상 시험의 결과 및 치과의의 관찰에 기초하여 이 겔이 염증의 치료에 매우 적합하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그 제제에 의해 기계적인 외상 등의 치유가 증진되기 때문에, 2차 감염의 위험도 감소한다.
제제의 통증 완화 효과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상당한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통증의 부재는 신규 의치에 적응/조절의 경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것은 신체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측면에서도 가치가 있다. 이런 상황하에서 문제는 종종 점막의 자극(염증) 및 상처 발생이 일어날 수도 있고, 이러한 이유로 환자가 통증 때문에 의치 사용을 싫어하여 부분 의치의/부분 의치에의 적응의 문제인 경우 하부 골격의 변형 또는 치아 이동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설문지 1:
환자에 대한 설문지(41명의 환자)
최근 치과 방문전에 어떤 증상을 느꼈습니까?
통증 또는 쓰림 34 (83 %)
하나 이상의 치아가 "흔들림(loose)" 4 (10 %)
씹기 어려움 6 (15 %)
양치질 중의 출혈 7 (17 %)
잇몸, 혀 등에서의 쓰림 6 (15 %)
입 안쪽에서의 쓰림 3 ( 7 %)
예를 들어 입천정의 작열(burning) 3 ( 7 %)
기타 곤란 ¤ 7 (17 %)
¤건성 치조골염 환자 5명, 캔디다(candida) 감염 환자 2명
구강 세정제 또는 치아 겔을 사용한 치료에 효과를 느꼈습니까?
예 : 39 (95 %) 아니오 : 2 (5 %)
치료에 효과를 느꼈다면 치료 시작 후 얼마만에 효과 발생을 느꼈습니까?
거의 즉시 32 (78 %)
첫째날에 7 (17 %)
치료 과정의 후반부에 2 ( 5 %)¤
¤1주일 이내에
구강 세정제 또는 치아 겔로 치료하는 동안 또는 치료후에 어떤 불편을 느낀 적이 있습니까?
예 : 1 (2 %)¤
아니오 : 40 (98 %)
¤맛이 좋지 않음!
일차적으로, 나는 이것으로 치료되었습니다:
구강 세정제 8 (20 %)
치아 겔 15 (37 %)
거의 비슷한 양으로 18 (44 %)
설문지 2:
피부 염증성 질환의 치료
(숫자는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그 제제가 몇번 사용되었는지와 무관하게 사람의 수를 나타낸다.)
모기 물린 데 8
벌에 쏘인데 3
벼룩에 물린데 1
일광 화상 2
열 습진 1
접촉성 알레르기 3
건선 2
단독(erysipelas) 1
좌창 2
손톱의 염증성 질환 3
베인데 3
오븐 또는 고온 플레이트로부터의 화상 3
합계 32
모든 사람이 유익한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2
2,4-DCBA의 항염증성 효과의 임상 시험의 실시예 1에서 언급된 결과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통제된 실험실 검사를 실시했다.
이 실험실 검사의 목적은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13-아세테이트(TPA)에 의해 유발된 마우스 귀의 만성적, 독성 피부 염증에 대한 2,4-DCBA의 항염증성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귀 자극 연구에 적합한 것으로 밝혀진 후에 시험 대상으로서 쥐를 선택했다.
시험 물질 2,4-DCBA를 위한 담체로서는 아세톤을 사용하는데, 설문에서의 이 유형의 마우스 귀 실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물질이다.
검사 시작할 때 19 내지 22g 사이의 체중을 갖는 24 마리의 암컷 마우스를 사용했다. 공기 청정기를 갖추었으며, 24℃ +/- 3℃의 실온, 공기 상대 습도 55% +/- 15% 및 시간당 공기 교환 10회가 유지되는 동물 우리에서 마우스를 보관했다. 실내의 조명은 12시간 밝게 그리고 12시간은 어둡게 24시간 순환시켰다. 따라서, 빛은 6시부터 18시까지 비춰졌다.
810cm2의 면적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우리에서 마우스를 그룹지어 보관했다. 이 우리는 청결하게 하고 일주일에 적어도 3번 바닥재를 교환했다. 바닥재는 톱밥이었다. 정규적으로 임의의 오염을 결정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했다.
마우스가 작은 알맹이 형태의 식량"알트로민 1314"와 pH 2.5를 얻기 위해 염산을 첨가한 물병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했다.
오염 여부를 위해 고체 및 액체 식량 모두를 정규적으로 검사했다.
무작위의 원리에 따라 마우스를 4 그룹으로 나누고 테일에 꼬리표를 붙였다.
그룹 및 동물 수는 하기와 같다:
그룹 치료 동물의 수 칼라 코드
1 자연 콘트롤 1- 6 흰색
2 염증 콘트롤 7-12 청색
3 시험 물질 13-18 녹색
4 양성 콘트롤 19-24 적색
그룹 1은 TPA 및 2,4-DCBA 어느 것도 제공하지 않았다.
그룹 2는 TPA로 유도했으나, 2,4-DCBA로 치료하지는 않았다.
그룹 3은 TPA유도하고 2,4-DCBA로 치료한 실제 시험 그룹이다.
그룹 4는 TPA유도하고 이어서 공지된 항염증성 물질인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 (betamethasone valerate)로 치료한 양성 콘트롤 그룹이다.
검사 모델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그룹 4만이 포함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강력하게 작용하는 공지된 항염증성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와 2,4-DCBA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었다.
그룹 2-4의 마우스는 1일, 3일, 5일, 7일 및 9일째에 좌측 귀에 TPA 용액 0.1ml로 유도되었고 이에 따라 독성 염증이 생겼다. 8일, 9일, 10일 및 11일에 그룹 3 및 4의 마우스를 2,4-DCBA(1% 용액 0.1ml/귀) 및 대조 제제(0.1ml/귀)로 각각 좌측 귀에 하루에 2번씩 치료했다.
11일째 치료 후 6시간 경과후에 미동측정 나사(micrometer screw)로 쥐의 좌측 귀에서 귀두께를 측정했다. 12일째에도 다시 측정했다. 동시에 그룹 1 및 2의 마우스 좌측 귀의 귀 두께를 측정했다. TPA 처리에 의해 발생된 홍반의 존부 및 뒤이은 2,4-DCBA 및 대조 물질에 의한 치료 또는 그룹 1 및 2에서의 전혀 치료되지 않았음을 결정하기 위해 모든 마우스의 좌측 귀를 우측 귀와 비교했다. 마우스의 체중은 12일째에 결정하여 첫째날의 체중과 비교했다. 이에 따라 얻어진 결과는 표1에 나타나 있다.
4그룹 모두에 대해 마우스의 좌측 귀의 두께의 평균값을 계산했으며 두께 측정값을 위한 통계적 계산은 SAS-프로그램(버젼 6.12)을 사용하여 수행했다. 결과는 표2에 나타나 있으며, 최종 측정에서 그룹 2의 마우스와 그룹 3 및 그룹 4의 마우스는 귀의 두께에 있어 통계적으로 상당한 차이(p<0.05)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귀의 홍반을 결정하기 위해 그룹 3에서의 마우스가 그룹 2의 마우스와 비교할 때 12일째에 귀의 홍반이 감소되었음을 나타낸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마우스의 체중 결정에 따르면 그룹 1의 마우스만이 실험동안 체중 증가를 보여주었다. 그룹 3이 가장 작지만 나머지 그룹에 대해서는 체중 감소가 관찰되었다.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룹 4의 체중 감소는 그룹 3과 비교해서 인자 4만큼 더 컸다.
동물번호 11일째귀의 두께(㎛) 12일째귀의 두께(㎛) 11일째 블러슁(blushing)(+/÷) 12일째블러슁(+/÷) 1일째체중(g) 12일째체중(g)
123456 202123212133 222122222120 ------ ------ 211919192019 212020192119
789101112 607071646960 596363565052 ++++++ ++++++ 202021202121 212020192019
131415161718 656055656270 364142424249 ++++++ (+)(+)(+)(+)(+)(+) 192221192120 192120192020
192021222324 313128323428 323032263028 ------ ------ 202020221920 181818191819
(+)는 그룹 2와 비교할 때 감소된 홍반을 나타낸다.
그룹 11일 12일
평균 S.D. N p 평균 S.D. N p
1234 21.365.752.830.7 1.05.05.12.3 6666 ACCB 21.357.242.029.2 0.85.54.12.3 6666 ADCB
여러 문자에 첨부된 평균 값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p<0.05).
S.D. = 표준 편차
N = 동물의 수
1일과 12일의 총 체중
그룹 1일 12일 차이 % 증가/감소
1 117 g 120 g +3 g +2.6
2 123 g 119 g -4 g -3.3
3 122 g 119 g -3 g -2.5
4 121 g 110 g -11 g -9.1

Claims (11)

  1.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클로로벤질 알콜이 2,4-디클로로벤질 알콜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클로로벤질 알콜이 치료 부위에서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조절된 방출 및/또는 연장된 보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물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클로로벤질 알콜이 하나 이상의 생접착제 물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접착제 물질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보폴, 트라가칸트, 카라야 검, 나트륨 알기네이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및 아라비아 검과 같은 수성콜로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피부 또는 점막 상에 적용하기 위해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구강내 및/또는 외부적 사용을 위해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8. 활성 성분으로서 디클로로벤질 알콜, 바람직하게는 2,4-디클로로벤질 알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활성 성분이외에 생접착제 농후제 및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0.05-2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 %의 디클로로벤질 알콜, 0.1-1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2 중량 %의 생접착제 물질, 및 90-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97 중량 %의 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1.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접착제 농후제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보폴, 트라가칸트, 카라야 검, 나트륨 알기네이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 검,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수성콜로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KR1019997006205A 1997-01-09 1998-01-09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및 디클로로벤질 알콜을 함유하는 제제 KR100573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0026/97 1997-01-09
DK2697 1997-01-09
DK26/97 1997-01-09
PCT/DK1998/000011 WO1998030214A1 (en) 1997-01-09 1998-01-09 Use of dichlorobenzyl alcohol for preparing a preparation for topical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a preparation containing dichlorobenzyl alcoh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990A true KR20000069990A (ko) 2000-11-25
KR100573206B1 KR100573206B1 (ko) 2006-04-28

Family

ID=808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205A KR100573206B1 (ko) 1997-01-09 1998-01-09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및 디클로로벤질 알콜을 함유하는 제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251371B1 (ko)
EP (1) EP0988033B1 (ko)
JP (1) JP4663036B2 (ko)
KR (1) KR100573206B1 (ko)
CN (1) CN1128614C (ko)
AT (1) ATE206047T1 (ko)
AU (1) AU719836B2 (ko)
BR (1) BR9807056A (ko)
CA (1) CA2277207C (ko)
DE (1) DE69801820T2 (ko)
DK (1) DK0988033T3 (ko)
ES (1) ES2162410T3 (ko)
NO (1) NO328979B1 (ko)
NZ (1) NZ336600A (ko)
PL (1) PL189398B1 (ko)
PT (1) PT988033E (ko)
RU (1) RU2184538C2 (ko)
WO (1) WO19980302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063886T3 (da) 1998-03-19 2003-06-23 Bifodan As Desinficerende middel
AU2002222589A1 (en) * 2000-12-08 2002-06-18 Kyowa Hakko Kogyo Co. Ltd. Oral preprations having itching-relievign or antipruritic activity
US7887842B2 (en) 2003-02-07 2011-02-15 Teikoku Pharma Usa, Inc. Methods of administering a dermatological agent to a subject
US20110230566A1 (en) * 2010-03-19 2011-09-22 Maria Isabel Tamargo Perfluorocarbon eye cream formulations
WO2012044963A2 (en) * 2010-10-01 2012-04-05 Oxygen Biotherapeutics, Inc. Perfluorocarbons for use in treating pruritus
CN104173204B (zh) * 2014-09-17 2015-03-11 沈广阳 一种水包油乳液组合物
CN107073248A (zh) * 2014-09-26 2017-08-18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口腔护理组合物的施用器
US9980975B2 (en) 2015-01-22 2018-05-29 Ems S.A. Dosage forms containing fluticasone propionat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s of the esophagus
CN111297802A (zh) * 2018-12-12 2020-06-19 成都一平医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抗炎及抗菌的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528A (en) * 1964-03-03 New therapeutic compositions
BE750969A (fr) * 1970-05-26 1970-11-03 Geigy Ag J R Composition pour combattre les micro-organismes,
US4167583A (en) * 1973-07-03 1979-09-11 Bayer Aktiengesellschaft Microbial composition and formulations
GB8411731D0 (en) * 1984-05-09 1984-06-13 Unilever Plc Oral compositions
US4663077A (en) * 1984-06-11 1987-05-05 Morton Thiokol Inc. Microbio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an aryl alkanol and a microbiocidal compound dissolved therein
GB9108080D0 (en) * 1991-04-15 1991-06-05 Smithkline Beecham Plc Pharmaceutical composition
IL106142A (en) * 1992-06-29 1997-03-18 Merck & Co Inc Morpholine and thiomorpholine tachykinin receptor antagonist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WO1994018165A1 (en) * 1993-02-12 1994-08-18 Pfizer Inc. Sulfonamide compounds as opioid k-receptor agonists
JPH07242666A (ja) * 1994-03-08 1995-09-19 Fujisawa Pharmaceut Co Ltd 複素環化合物
AU703926B2 (en) * 1994-03-28 1999-04-01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The Composition for inactivating irritants in fluids
WO1995035103A1 (en) * 1994-06-20 1995-12-28 Kurt Ber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and optionally inflammations as well as a method for the treatment thereof
CA2165013C (en) * 1994-12-13 2004-01-06 Nobuo Nakabayashi Dental composition for relieving dentin hypersensitivity
JP3466350B2 (ja) * 1994-12-13 2003-11-10 サンメディカル株式会社 象牙質知覚過敏症用歯科用組成物
IT1275955B1 (it) * 1995-03-22 1997-10-24 Dompe Spa Formulazioni farmaceutiche in forma di gel tissotropico
ZA962455B (en) * 1995-03-31 1996-10-02 B Eugene Guthery Fast acting and persistent topical antiseptic
GB9507883D0 (en) * 1995-04-18 1995-05-31 Retroscreen Ltd Compounds
DE59710082D1 (de) * 1996-12-13 2003-06-18 Vesifact Ag Baar Kosmetische Präparate in Form einer Nanodispersion
US5989527A (en) * 1998-01-26 1999-11-23 Inolex Investment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chemical exfoliating agents, sunless tanning agents, skin lightening agents and insect repell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8033A1 (en) 2000-03-29
BR9807056A (pt) 2000-05-02
NZ336600A (en) 2000-07-28
PL189398B1 (pl) 2005-07-29
AU719836B2 (en) 2000-05-18
CA2277207C (en) 2008-02-19
AU5478398A (en) 1998-08-03
ES2162410T3 (es) 2001-12-16
PL334679A1 (en) 2000-03-13
KR100573206B1 (ko) 2006-04-28
NO328979B1 (no) 2010-07-05
PT988033E (pt) 2002-02-28
CN1243437A (zh) 2000-02-02
US6251371B1 (en) 2001-06-26
NO993355L (no) 1999-08-18
NO993355D0 (no) 1999-07-07
EP0988033B1 (en) 2001-09-26
ATE206047T1 (de) 2001-10-15
DE69801820D1 (de) 2001-10-31
JP4663036B2 (ja) 2011-03-30
DK0988033T3 (da) 2001-10-22
CA2277207A1 (en) 1998-07-16
CN1128614C (zh) 2003-11-26
WO1998030214A1 (en) 1998-07-16
RU2184538C2 (ru) 2002-07-10
DE69801820T2 (de) 2002-04-11
JP2001507708A (ja) 2001-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8399A (en) Liqui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EP0404558A1 (en) Liqui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KR20090129490A (ko) 호로파 추출물
PL205148B1 (pl) Zastosowanie chemicznych środków leczniczych
US20120189710A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s
US20160235662A1 (en)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for oral wellness
KR100573206B1 (ko) 염증의 국소적 치료를 위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디클로로벤질 알콜의 용도 및 디클로로벤질 알콜을 함유하는 제제
US20120328537A1 (en) Topical wound management formulation
WO2019123483A1 (en) A herbal antiseptic and wound healing preparation
US8961939B2 (en)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for oral wellness
Lorena et al. Review of endodontic drugs and their antibacterial effectiveness
RU2808191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ого пародонтита
US20220249734A1 (en) Powdered collagen wound care compositions
RU2351313C1 (ru) Состав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олости рта
RU2691410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горла
KR20010111819A (ko) 프로폴리스가 배합된 구강 청결제
US20200000918A1 (e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agents for treating wounds and/or hemorrhaging of the skin, mucous membranes or the gum, in particular, for example, superficial cracks (rhagades) or periodontitis
Harshitha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Wettability of Chlorhexidine, Betadine, and Herbal Mouthwash: An In Vitro Study
Yashodha Clinical Investigation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a Herbal Mouth Wash Containing Aloe Vera with Commercially Available Chlorhexidine and Placebo Mouth Wash in Controlling Plaque & Treating Gingival Inflammation: A 3 Month Clinical Study
WO2014097044A1 (en) Equibio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and halitosis in animals
RU2090181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зубная паста &#34;весна&#34;
CN117224573A (zh) 兽医牛蹄用清洁消毒剂及其制备方法
RU2363445C1 (ru) Зубной эликсир &#34;дентозар&#34;
KR20010069757A (ko) 폴리크레줄렌을 이용한 신규 구강 청결 소독제에 제조에관한 의약 조성물
Ahmad et al. Manuka Honey: A Natural Product With Magical Antimicrobial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