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973A -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973A
KR20000069973A KR1019997006188A KR19997006188A KR20000069973A KR 20000069973 A KR20000069973 A KR 20000069973A KR 1019997006188 A KR1019997006188 A KR 1019997006188A KR 19997006188 A KR19997006188 A KR 19997006188A KR 20000069973 A KR20000069973 A KR 2000006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dose
inhalation device
us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드미트로빅보스코
랜드폴케네쓰
브랜드피터존
세귤라스에티엔느
버데이-골드버거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그레이엄 브레레톤, 레슬리 에드워즈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레이엄 브레레톤, 레슬리 에드워즈,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그레이엄 브레레톤, 레슬리 에드워즈
Publication of KR2000006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9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흡입 장치는 분말형 약제용 저장통(56)을 형성하는 본체(55)와,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출구(57)와,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를 구비한 투여 부재(53)를 포함한다. 투여 부재(53)는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가 저장통으로부터 1회 투여량의 분말을 수용하도록 저장통(56)과 연통하는 제1 위치와, 사용자가 투여량을 흡입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가 출구(57)와 연통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는, 동적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저장통 하단부에서의 본체의 유사한 결합면에 대해 접촉하도록 가압되는 투여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다. 표면(51)들 중 적어도 하나는 80 쇼어 A보다 작은 경도를 갖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Description

흡입 장치 {INHALATION DEVICE}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WO 96/08284호에는 분말형 약제용 저장통을 형성하는 본체와,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출구와,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를 갖는 투여 부재로 구성되는 종류의 흡입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계량 리세스가 1회 투여량의 분말을 수용하도록 저장통과 연통하는 제1 위치와, 사용자가 투여량을 흡입하도록 계량 리세스가 출구와 연통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투여 부재가 이동 가능하다. 저장통의 하단부에서 본체의 유사한 평탄면에 대해 접촉 상태로 장착되는 투여 부재의 매끄러운 평탄면에 계량 리세스가 형성된다. 평탄 접촉면은, 기부와 투여 부재 사이의 경계면을 통한 저장통으로부터의 분말의 손실 및 경계면을 통한 저장통으로의 습기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투여 부재와 본체 사이의 유효 동적 시일을 형성하는 연마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경질 재료로 제조된다.
요구되는 밀봉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접촉면들은 매우 밀접하게 결합하는 윤곽과 고도의 평활도를 보장하도록 연마되어야 한다. 접촉면들 중 한 쪽에서의 임의의 경미한 윤곽의 기복 또는 거친 마무리는 밀봉 특성을 손상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표면에 요구되는 정밀한 마무리는 제조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정밀한 연마 가공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분말형 약제의 계량된 투여량이 사용자에게 투여될 수 있도록 된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약제 분말이 장치에 제공된 저장통에 대량으로 저장되고 저장통으로부터 사용자에게 계량 투여되는 종류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선 X-X 상의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5는 도1, 도2 및 도6 내지 도9에 따른 장치의 작동의 3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7은 도6의 선 Y-Y 상의 단면도이다.
도8은 도6과 도7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9는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실시예의 투여량 지시 기구를 도시하는 부분적으로 절결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부정 조작 방지 저장통 커버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 도시된 저장통 커버 조립체의 부분 단면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저렴하고 제조하기 용이한 유효 동적 시일을 채용하는 종류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분말형 약제용 저장통을 형성하는 본체와,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출구와,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를 구비한 투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투여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가 저장통으로부터 1회 투여량의 분말을 수용하도록 저장통과 연통하는 제1 위치와, 사용자가 투여량을 흡입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가 출구와 연통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는 투여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표면은 동적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저장통 하단부에서의 본체의 유사한 결합면에 대해 접촉하도록 가압되며, 상기 표면들 중 하나는 80 쇼어 A보다 작은 경도를 갖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흡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동적 시일"은 2개의 표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고 견딜 수 있는 시일을 의미한다.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밀봉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짐으로써, 가요성 재료가 유효 시일을 유지하도록 임의의 기복을 보상하기 때문에 매우 밀접한 결합 윤곽을 보장하기 위해 표면들이 정밀한 마무리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양호하게는, 가요성 재료는 0.4 이하의 마찰 계수를 갖는다.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표면들은 서로에 대해 매끄럽고 용이하게 이동할 것이고 장치의 원활한 작동에 도움을 줄 것이다.
표면들은 적절히 평탄하다.
본체의 결합면은 가요성 재료로 적절히 제조된다. 양호하게는, 본체의 결합면은 고무 삽입체를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고무 삽입체는 40 내지 60 쇼어 A의 경도를 갖는다.
양호하게는, 고무 삽입체는 PTFE,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층으로 제조된 접촉면으로 적층된 염소화 부틸 또는 부틸로 구성된다.
적절하게는, 투여 부재의 표면이 투여 부재와 단일 구성으로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1 및 도2의 단면도에 도시된 장치는 저장통(6)을 형성하는 주 본체부(5) 및 저장통 커버 또는 단부 캡(2)으로 구성된다. 약제는 흡입 복용하기에 적절한 것이며, 그러한 많은 약제들은 해당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예컨대 천식의 치료용으로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분말화된 약제는 살부타몰, 베클로메타존, 살메테롤, 플루티카존, 포르모테롤, 테르부탈린, 부데조나이드 및 플루니졸라이드와, 생리적으로 수용 가능한 소금, 용매 화합물 및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임의의 화합물를 포함한다. 양호한 약제는 살부타몰, 살부타몰 설페이트, 살부타몰 크시나포에이트, 플루티카존, 프로피오나이트, 베클로메타존 디프로피오나이트 및 테르부탈린 설페이트이다. R-살부타몰과 같은 개별 이성체도 사용될 수 있다. 약제 분말은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으로 순수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예컨대 락토제 분말과 같은 담채가 있을 수 있다.
저장통 내의 분말이 수분을 흡수하고 입자들이 응집되는 위험을 감소시키며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건조 카트리지(도시 안됨)가 저장통 커버(2)에 제공된다. 커버(2)는 저장통(6)을 분말로 재충전시킬 수 있도록, 예컨대 스크류식 나사 또는 스냅식 끼워맞춤 등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본체(5)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저장통 내의 분말이 소모된 후에 장치가 폐기될 수 있도록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커버(2)는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또는 접착제, 초음파 용접 또는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본체(5)에 영구 고정될 수 있다. 의약용 고무 밀봉 링(4)이 저장통(6)으로의 습기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2)와 본체(5)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하단부에서, 주 본체부(5)는 장치의 수직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고 분말이 저장통으로부터 투여 부재(3)로 통과할 수 있는 구멍(11)을 본체(5)와 함께 형성하는 기부(10)에 끼워맞춤된다. 분말은 호퍼를 형성하는 저장통의 벽에 의해 구멍으로 안내된다. 마우스피스(7)는 주 본체(5)의 하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장치가 코 흡입용일 경우에 마우스피스는 노즈피스(nosepiece)로 대체될 것이다. 계량 리세스(22)를 갖는 투여 부재(3)는 장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주 본체(5)에 피벗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본체부(9) 상에 장착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부 본체부(9)는 기부(10)와의 축방향 정렬을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는 반면에 투여 부재(3)의 회전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본체부는 또한 투여 부재(3)가 기부(10)와 밀접 접촉하게 한다. 먼지 막이 커버(33)는 피벗(34)을 통해 하부 본체부(9)에 부착된다.
링형의 추(31)는 저장통(6)을 둘러싸며 저장통의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추(31)의 이동 궤적은 본체(5)의 일체 부분으로서 형성된 단부 정지부(32)에 의해 저장통의 상부를 향해, 그리고 모루의 역할을 하는 기부(10)에 의해 저장통의 바닥을 향해 한정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치가 이하에 설명될 목적으로 추를 포함하지만, 추는 본 발명의 필수 요소가 아니며 추를 포함하지 않는 것도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체와 투여 부재 사이의 동적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투여 부재(3)의 상부면이 평탄 접촉면으로 성형되며, 기부(10)의 하부면은 가요성 평탄 고무 삽입체(도시 안됨)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평탄면들은 면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클리어런스가 없는 접촉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부(10)와 투여 부재(3) 사이의 경계면을 통한 저장통(6)으로부터의 분말의 손실 및 저장통으로의 습기의 진입을 최소화하도록 공기 및 분말은 정지 상태 및 한 면이 다른 면 상에서 활주 이동하는 동안에 기부(10)와 투여 부재(3) 사이의 경계면으로부터 차단된다. 이러한 종류의 동적 또는 활주 시일은 기부(10)와 투여 부재(3) 사이의 임의의 추가 밀봉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유효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접촉면들에 정밀한 마무리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투여 부재의 상부면의 임의의 기복은 유효 시일을 유지하는 가요성 고무 삽입체에 의해 보상될 것이다. 80 쇼어 A 이하의 경도를 갖는 고무 재료를 사용하여 시일의 충분한 성능이 성취될 수 있지만, 시일의 최적 성능은 40 내지 60 쇼어 A 경도를 갖는 고무 재료를 사용하여 성취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고무의 경도가 40 쇼어 A 이하일 경우에, 고무 삽입체는 계량 리세스(22) 내로 변형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분말을 리세스 밖으로 스크래핑시켜서 계량된 분말의 양을 감소시킨다. 한편, 고무의 경도가 60 쇼어 A 이상일 경우에, 시일의 유효성이 경감될 수 있다. 양 접촉면 상의 매끄러운 마무리가 양호한 시일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지만, 추가 제조 공정이 없는 연마 기계 가공으로부터 성형된 접촉면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고무 삽입체는 요구되는 경도와 가요성을 제공하기 위해 부틸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부틸은 높은 마찰 계수를 가지며, 서로에 대해 접촉면의 이동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PTFE,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층으로 제조된 접촉면으로 적층된 염소화 부틸 또는 부틸을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러한 고무 삽입체는 표준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감소된 마찰 계수를 갖는 접촉면을 제공한다. 다르게는, 접촉면에 플라즈마 변형 또는 바니시와 같은 마찰을 감소시키는 다른 표면 처리를 할 수 있다.
약 0.4까지의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가 허용 가능하지만, PTFE는 낮은 마찰 계수(0.1 미만)로 인해 특히 이러한 목적에 적절한 재료이다. 약 0.2㎜의 두께를 갖는 PTFE 호일로 제조된 접촉면으로 적층된 부틸을 사용하여 양호한 결과가 성취되었다. 호일은 표준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접착제 없이 고무 삽입체에 부착될 수 있다. PTFE 호일이 0.2㎜보다 얇을 경우에 호일은 고무가 경화되는 동안에 주름질 수 있으며, 호일이 0.2㎜보다 두꺼울 경우에 삽입체는 더 견고해지고 시일의 유효성은 감소될 수 있다.
투여 부재의 접촉면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 예컨대 아세탈 수지의 투여 부재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다르게는, 투여 부재의 접촉면이 전술한 바와 같이 평탄한 가요성 고무 삽입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기부(10)의 아래면은 적절한 재료로부터 기부(10)의 일부로서 단일편으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르게는, 양 면들은 설명한 바와 같이 평탄한 가요성 고무 삽입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2 면들은 평탄 디스크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디스크 형상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것이다. 접촉면들은 절두 원추체와 대응 절두 원추형 소켓의 표면들에 의해, 동축 실린더의 접촉면에 의해, 또는 2개의 대응 부분 구형 접촉 볼 및 소켓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작동 시에, 사용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를 대체로 직립으로 유지하며 초기에 대체로 상하로 장치를 흔든다. 따라서, 추(31)는 저장통 둘레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며, 단부 정지부(32)와 기부(10)에 반복적으로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 요동은 저장통 내의 분말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계량 리세스(22)로 진입하도록 한다.
이후에, 사용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막이 커버(33)를 개방하며, 마우스피스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리세스(22)가 마우스피스(7)로 안내하는 구멍(8)과 정렬되도록 먼지 막이 커버(33)를 마우스피스(7)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해 전술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부(9)에 연결된 커버를 회전시킨다. 사용자는 하부 본체부(9)가 정지부(도시 안됨)에 맞닿아 더 이상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 이러한 위치에 도달하는 지를 안다. 이후에, 사용자는 마우스피스(7)를 통해 흡입한다. 흡입 후에, 사용자는 하부 본체부(9)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고 먼지 막이 커버(33)를 폐쇄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장치에서, 구멍(11)은 마우스피스로의 용이한 접근을 위해 먼지 막이 커버 및 하부 본체부(9)가 90°이동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마우스피스의 내단부에서의 구멍(8)으로부터 장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90°만큼 방사상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은 먼지 막이 커버, 하부 본체부 및 계량 부재의 요구되는 각에 따라 실질적으로 증가되거나 또는 약간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설명된 장치에 대한 다른 가능한 변경은 장치에 잔류하는 분말의 양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적절한 투여량 계수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도6 내지 도9에 도시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6 및 도7의 단면도와 도8의 분해도에 도시된 장치는 저장통(56)을 형성하는 긴 주요 본체부(55) 및 저장통 커버 또는 단부 캡(52)으로 구성된다. 저장통(56)은 분말 형태의 약제(도시 안됨)를 포함한다. 저장통 커버(52)는 스냅식 끼워맞춤에 의해 본체(55)에 고정되며, 의약용 고무 밀봉 링(54)은 저장통(56)으로의 습기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52)와 본체(55) 사이에 개재된다.
하단부에서, 주 본체부(55)는 장치의 수직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고 분말이 저장통으로부터 투여 부재(53) 내의 리세스(65)로 통과할 수 있는 구멍(51)을 형성한다. 기부 부재(60)는 본체(55)의 하단부에 끼워지며, 기부 부재(60)의 하부면에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평탄한 가요성 고무 삽입체(51a)가 제공되고 투여 부재(53)의 상부면은 평탄 접촉면으로 성형된다. 분말은 호퍼를 형성하는 저장통의 벽에 의해 구멍으로 안내된다. 마우스피스(57)가 주 본체(55)의 하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투여 부재(53)는 장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주 본체(55)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본체 조립체(59) 상에 장착된다. 하부 본체 조립체(59)는 기부(60)와의 축방향 정렬을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며 투여 부재(53)로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투여 부재(53)는 또한 기부(60)와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스프링(61)에 의해 가압된다. 먼지 막이 커버(63)는 피벗(64)을 통해 하부 본체부(69)에 부착된다.
투여량 지시기 구동 수단은 길이의 대부분을 통해 스크류 나사가 제공된 축(70), 스크류의 기부 상의 스프렁 러그(71) 및 주 본체(55)의 벽의 보어(73)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러그 아래에 위치되고 경사 치(inclined teeth)를 갖는스프로켓(72)으로 구성된다(도9 참조). 지시기 너트(77)가 축(70)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어(73)의 벽의 지시기 창(74)을 통해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지시기 너트(77)는 축 상에 끼워진다. 스퍼렁 러그(71)는 축(70)을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는 래치를 형성하기 위해 보어(73) 내에 형성된 치(75)와 결합한다. 스프로켓(72)은 제2 스프렁 러그(76)가 제공된 투여 부재(53)의 주연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장치의 작동은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장치의 작동과 유사하다. 사용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를 대체로 직립으로 유지하며 초기에 대체로 상하로 장치를 흔든다. 이것은 분말이 하방으로 유동하여 투여 부재(53) 내의 계량 리세스(65)로 진입하게 한다.
사용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막이 커버(63)를 개방하며, 마우스피스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리세스(65)가 마우스피스(57)로 안내하는 구멍(66)과 정렬되도록 먼지 막이 커버(63)를 마우스피스(57)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해 전술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 조립체(59)에 연결된 커버를 회전시킨다. 투여 부재(53)가 하부 본체 조립체(59)와 회전하기 때문에, 러그(76, 도9)는 투여량 지시기 구동 수단의 스프로켓(72)에 의해 제공된 경사 치와 결합한다. 투여량 지시기 구동 수단은 치(75)와 러그(71)에 의해 형성된 래치 기구에 의해 러그(76)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러그(76)는 경사 치 상에 놓여지며 스프로켓(72)과 결합 해제된다. 하부 본체 조립체(59)는 정지부(도시 안됨)와 결합하며, 리세스(65)가 구멍(66)과 정확하게 정렬될 때 추가로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는 마우스피스(57)를 통해 흡입한다. 공기는 그릴(80) 및 기부(60) 내의 본체(55)와 구멍(82)에 의해 형성된 통로(81)를 통해 인출되며, 투여 부재(53)의 리세스(65) 내의 분말을 동반한다. 공기 유동은 마우스피스(57)를 통해 동반된 분말을 인출하며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다. 추가로, 공기는 마우스피스(57)의 일측 상의 구멍(83)을 통해 마우스피스로 인출되며, 이것은 동반된 분말 덩어리를 분쇄하는 데 도움을 주는 난류를 생성한다.
흡입 후에, 사용자는 하부 본체 조립체(59)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고 먼지 막이 커버(63)를 폐쇄한다. 투여 부재(53)가 회전할 때, 러그(76)는 다시 투여량 지시기 구동 수단의 스프로켓(72)과 결합한다. 치(75)와 러그(71)에 의해 형성된 래치 기구가 러그(76)에 의해 가압된 방향으로 투여량 지시기 구동 수단의 이동을 허용하기 때문에, 투여량 지시기 구동 수단은 스프로켓(72)을 지날 때 러그(76)와의 결합을 통해 1 피치만큼 회전된다. 투여량 지시기 구동 수단의 회전은 포착 투여량 지시기 너트(73)가 나사축(70) 하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스프로켓(72) 상의 나사 피치와 치수(number of teeth)는 장치가 소정 횟수의 투여량을 투여하기 위해 충분히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장치가 비었음을 지시할 때 투여량 지시기 너트가 최상위 "충만(full)" 위치로부터 최하위 "고갈(empty)"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선택된다.
도10 및 도11은 내용물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를 밀봉하는 것이 요구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다른 적용에 대한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부정 조작 방지 저장통 커버 조립체에 대한 다른 설계를 도시한다. 커버 조립체는 하부 주연 둘레에 연장된 외향 돌출부 또는 립(93)이 형성된 환형 현수 원통부(92)와 원형 상부(91)를 갖는 캡(90)을 포함한다. 캡(90)은 아래에 설명될 목적으로 원통부(92)의 약간의 탄성 가요성을 허용하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재료로 제조된다.
본체(94)의 상부에는 함께 저장통(100)의 입구를 형성하는 외주연 벽(97)과 동심 내주연 벽(96)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채널(95)은 내주연과 외주연 벽(96, 97)들 사이에서 추가로 형성된다. 외벽(97)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93)이 래치 결합하는 보유 레지를 형성하기 위해 내면 둘레의 특정 위치에서 채널(95) 내로 연장되는 증가된 벽 두께를 갖는다. 제조 목적으로, 채널(95)로부터 홈(102)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5개의 등간격으로 이격된 슬롯(98)에 의해 레지가 형성되며, 이러한 슬롯은 채널(95)의 바닥과 동일한 레벨로 외벽(97)의 주연부 둘레에 제공된다. 외벽의 내면은 채널(95)의 상부로부터 각 슬롯(98) 바로 상부의 최대 벽 두께 지점까지 안내하는 경사를 형성한다. 캡(90)을 본체(94)에 끼우기 위해, 원통부(92)는 채널(95) 내로 삽입된다. 원통부(92)의 하부 주연부는 외벽(97) 상에 형성된 경사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원통부(92)는 립(93)이 슬롯(98)에 도달하여 보유 레지 아래에서 외향으로 스냅식으로 래치 결합할 때까지 채널(95) 내로의 추가 이동을 허용하도록 접촉 영역에서의 탄성 가요성으로 인해 내향으로 굽혀지게 하기 위해 캡(90)은 본체(94) 상으로 하방으로 가압된다. 조립될 때 원통부(92)는 외측으로부터 은폐되고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외주연 벽(97)에 의해 실질적으로 둘러싸여진다. 밀봉 링(99)은 대기로부터 저장통(100)을 밀봉하기 위해 내벽(96)의 상부와 상부(91)의 아래면 사이에 개재된다. 최종적으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의 밴드(101)는 슬롯(98)을 은폐하고 립(93)으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홈(102)의 둘레를 팽팽히 감는다. 밴드(101)는 일단 적소에 배치되면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변경, 변화 및 개량에도 확장된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10)

  1. 분말형 약제용 저장통을 형성하는 본체와,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출구와,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를 구비한 투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투여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가 저장통으로부터 1회 투여량의 분말을 수용하도록 저장통과 연통하는 제1 위치와, 사용자가 투여량을 흡입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가 출구와 연통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량 리세스는 투여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표면은 동적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저장통 하단부에서의 본체의 유사한 결합면에 대해 접촉하도록 가압되는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80 쇼어 A보다 작은 경도를 갖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 재료가 0.4 이하의 마찰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면들이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결합면이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본체의 결합면이 40 내지 60 쇼어 A의 경도를 갖는 고무 삽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고무 삽입체가 PTFE,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의 층으로 제조된 접촉면으로 적층된 염소화 부틸 또는 부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부재의 표면이 투여 부재와 단일 구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8. 개구에 인접한 외주연 벽을 형성하고 개구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레지가 제공된 용기의 개구를 폐쇄하는 부정 조작 방지 마개에 있어서,
    외주연 상에 립을 갖는 원통형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조립될 때, 마개를 적소에 유지시키기 위해 립이 레지와의 스냅식 끼워맞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9. 제8항에 있어서, 용기가, 조립되었을 때 마개에 대해 밀봉하는 내주연 벽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조립되었을 때 외주연 벽이 외측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스커트부를 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KR1019997006188A 1997-01-08 1998-01-06 흡입 장치 KR20000069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700226.5A GB9700226D0 (en) 1997-01-08 1997-01-08 Inhalation device
GB9700226.5 1997-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973A true KR20000069973A (ko) 2000-11-25

Family

ID=1080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188A KR20000069973A (ko) 1997-01-08 1998-01-06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6321747B1 (ko)
EP (2) EP0954348B1 (ko)
JP (1) JP2001507966A (ko)
KR (1) KR20000069973A (ko)
CN (2) CN1249694A (ko)
AP (2) AP1165A (ko)
AR (2) AR011372A1 (ko)
AT (2) ATE279954T1 (ko)
BR (1) BR9806864A (ko)
CA (1) CA2277150A1 (ko)
CO (1) CO5080756A1 (ko)
CZ (1) CZ2000298A3 (ko)
DE (2) DE69831517T2 (ko)
EA (2) EA001291B1 (ko)
GB (1) GB9700226D0 (ko)
HR (1) HRP980382B1 (ko)
HU (1) HU222771B1 (ko)
ID (1) ID22851A (ko)
IL (1) IL130687A (ko)
IS (1) IS5103A (ko)
NO (1) NO993348L (ko)
NZ (1) NZ336507A (ko)
PE (2) PE39599A1 (ko)
PL (2) PL187248B1 (ko)
TR (2) TR200000032T2 (ko)
TW (1) TW404843B (ko)
WO (1) WO1998030262A2 (ko)
YU (1) YU323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99858A1 (en) * 1994-09-16 1996-03-21 Alain Emile Edward Schaeffer Inhalation device
JPH11122624A (ja) 1997-10-16 1999-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デコーダ処理量を低減する方法および装置
NZ515557A (en) * 1999-06-05 2003-10-31 Innovata Biomed Ltd Delivery system
GB9920839D0 (en) 1999-09-04 1999-11-10 Innovata Biomed Ltd Inhaler
DE19961300A1 (de) * 1999-12-18 2001-06-21 Asta Medica Ag Vorratssystem für Arzneimittel in Pulverform und damit ausgestatteter Inhalator
CA2405599A1 (en) * 2000-04-13 2001-10-25 Innovata Biomed Limited Medicaments for treating respiratory disorders comprising formoterol and fluticasone
GB0015034D0 (en) 2000-06-21 2000-08-09 Glaxo Group Ltd Inhalation device
PE20020074A1 (es) * 2000-06-23 2002-02-05 Norton Healthcare Ltd Sistema dosificador para inhalador de medicamento
GB0019715D0 (en) 2000-08-10 2000-09-27 Pa Consulting Services Device for delivering physiologically active agent in powdered form
SE517229C2 (sv) * 2000-09-25 2002-05-14 Microdrug Ag Kontinuerlig inhalator för torrt pulver
GB0109717D0 (en) * 2001-04-20 2001-06-13 Glaxo Group Ltd Medicament dispenser
FI20011317A0 (fi) 2001-06-20 2001-06-20 Orion Corp Jauheinhalaattori
WO2003013633A1 (en) * 2001-08-09 2003-02-20 Glaxo Group Limited Inhalation device wit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O2003024514A1 (en) * 2001-09-19 2003-03-27 Advent Pharmaceuticals Pty Ltd An inhaler
GB0128148D0 (en) 2001-11-23 2002-01-16 Innovata Biomed Ltd Assembly
US7258118B2 (en) * 2002-01-24 2007-08-21 Sofotec Gmbh & Co, Kg Pharmaceutical powder cartridge, and inhaler equipped with same
US6854461B2 (en) * 2002-05-10 2005-02-15 Philip Morris Usa Inc. Aerosol generator for drug formulation and methods of generating aerosol
EP1539286B1 (de) * 2002-09-16 2015-01-21 Sanofi SA Inhalator für pulverförmige, insbesondere medizinische substanzen
US20060205790A1 (en) * 2002-10-22 2006-09-14 Coe Diane M Medicinal arylethanolamine compounds
KR20050057681A (ko) 2002-10-28 2005-06-16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페네탄올아민 유도체
GB0303396D0 (en) * 2003-02-14 2003-03-19 Glaxo Group Ltd Medicinal compounds
FR2858867B1 (fr) * 2003-08-12 2005-11-04 Valois Sa Indicateur de doses pou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GB0324886D0 (en) * 2003-10-24 2003-11-26 Glaxo Group Ltd Medicinal compounds
WO2005044187A2 (en) * 2003-10-28 2005-05-19 Glaxo Group Limited Inhalabl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employing lactose anhydrate and methods of administering the same
GB0329182D0 (en) * 2003-12-17 2004-01-21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US7846973B2 (en) * 2004-04-02 2010-12-07 Theravance, Inc. Chemical process and new crystalline form
WO2005102429A1 (en) 2004-04-21 2005-11-03 Innovata Biomed Limited Inhaler
GB0409197D0 (en) 2004-04-24 2004-05-26 Innovata Biomed Ltd Device
CN101137625A (zh) * 2005-01-11 2008-03-05 葛兰素集团有限公司 β2肾上腺素能激动剂的肉桂酸盐
CN104177448A (zh) * 2005-02-10 2014-12-03 葛兰素集团有限公司 使用预分选技术制备乳糖的方法以及由此形成的药物制剂
JP2008529773A (ja) * 2005-02-10 2008-08-07 グラクソ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医薬製剤に使用するためのラクトース粒子の結晶化方法
UY29439A1 (es) 2005-03-25 2006-10-02 Glaxo Group Ltd Nuevos compuestos
AR053346A1 (es) 2005-03-25 2007-05-02 Glaxo Group Ltd Compuesto derivado de 8h -pirido (2,3-d) pirimidin -7 ona 2,4,8- trisustituida composicion farmaceutica y uso para preparar una composicion para tratamiento y profilxis de una enfermedad mediada por la quinasa csbp/ rk/p38
WO2007109606A2 (en) * 2006-03-17 2007-09-27 Csp Technologies, Inc. Moisture-tight primary packaging for a dry powder inhaler
BRPI0713056A2 (pt) * 2006-06-27 2012-04-17 Otsuka Pharma Co Ltd inalador de pó
GB0625303D0 (en) * 2006-12-19 2007-01-24 Jagotec A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etered dose inhalers
PE20081889A1 (es) 2007-03-23 2009-03-05 Smithkline Beecham Corp Indol carboxamidas como inhibidores de ikk2
EP2058025B1 (en) * 2007-11-09 2014-09-03 Hitachi Ltd. Powder medicine administering apparatus
GB0800457D0 (en) * 2008-01-11 2008-02-20 Innovata Biome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halers
ES2739352T3 (es) 2009-02-26 2020-01-30 Glaxo Group Ltd Formulaciones farmacéuticas que comprenden 4-{(1R)-2-[(6-{2-[(2,6-diclorobencil)oxi]etoxi}hexil)amino]-1-hidroxietil}-2-(hidroximetil)fenol
GB0921075D0 (en) 2009-12-01 2010-01-13 Glaxo Group Ltd Novel combination of the therapeutic agents
EP3461474B1 (en) 2010-08-31 2020-11-11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Dry powder inhalation drug products exhibiting moisture control properties and methods of administering the same
AU2011298315B2 (en) 2010-08-31 2014-08-28 Glaxo Group Limited Dry powder inhalation drug products exhibiting moisture control properties and methods of administering the same
JP2015522362A (ja) * 2012-07-20 2015-08-06 サノフィ・ソシエテ・アノニム 吸入デバイス用の計量要素および計量要素を含む吸入デバイス
MX2015006710A (es) 2012-11-28 2016-01-15 Intercept Pharmaceuticals Inc Tratamiento de las enfermedades pulmonares.
SG11201609276RA (en) 2014-05-12 2016-12-29 Glaxosmithkline Ip No 2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danirixin for treating infectious diseases
CN107428828A (zh) 2015-03-11 2017-12-01 葛兰素史密斯克莱知识产权发展有限公司 Tslp结合蛋白
JP6786527B2 (ja) 2015-06-15 2020-11-18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ー、ディベロップメント、リミテッド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Nrf2レギュレーター
PL3307739T3 (pl) 2015-06-15 2021-05-31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Regulatory nrf2
WO2016203400A1 (en) 2015-06-15 2016-12-22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Nrf2 regulators
TW201722965A (zh) 2015-08-16 2017-07-01 葛蘭素史密斯克藍智慧財產發展有限公司 用於抗菌應用之化合物
US10351530B2 (en) 2015-10-06 2019-07-16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Arylcyclohexyl pyrazoles as NRF2 regulators
US10364256B2 (en) 2015-10-06 2019-07-30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Biaryl pyrazoles as NRF2 regulators
KR20190049865A (ko) 2016-09-20 2019-05-09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인털렉츄얼 프로퍼티 (넘버 2) 리미티드 Trpv4 길항제
TW201825458A (zh) 2016-09-20 2018-07-16 英商葛蘭素史克智慧財產(第二)有限公司 Trpv4拮抗劑
WO2018055527A1 (en) 2016-09-20 2018-03-29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2) Limited Trpv4 antagonists
CN108779108A (zh) 2016-12-06 2018-11-09 葛兰素史密斯克莱知识产权发展有限公司 3-(2,3-二氢-1h-茚-5-基)丙酸衍生物和它们作为nrf2调节剂的用途
US20200031820A1 (en) 2016-12-12 2020-01-30 Gls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3-carboxylic acid pyrroles as nrf2 regulators
JP2020500918A (ja) 2016-12-12 2020-01-16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ー、ディベロップメント、リミテッド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Nrf2レギュレーターとしてのn−アリールピラゾール
JP2020502129A (ja) 2016-12-14 2020-01-23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ー、ディベロップメント、リミテッド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Nrf2アクチベーターとしての3−オキソ−1,4−ジアゼピニル化合物
ES2901617T3 (es) 2016-12-14 2022-03-23 Glaxosmithkline Ip Dev Ltd Bisarilamidas como reguladores de NRF2
US11117905B2 (en) 2016-12-14 2021-09-14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Bisaryl heterocycles as NRF2 activators
KR20190091455A (ko) 2016-12-15 2019-08-06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인털렉츄얼 프로퍼티 디벨로프먼트 리미티드 Nrf2 화합물
US11059816B2 (en) 2016-12-15 2021-07-13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Ether linked triazoles as NRF2 activators
WO2019116231A1 (en) 2017-12-11 2019-06-20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Nrf2 activator for the treatment of acute lung injury,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EP3723764A1 (en) 2017-12-11 2020-10-21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td Nrf2 activator for the treatment of acute lung injury,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GB201720989D0 (en) 2017-12-15 2018-01-31 Glaxosmithkline Ip Dev Ltd Chemical compounds
IL276013B2 (en) 2018-01-17 2024-03-01 Glaxosmithkline Ip Dev Ltd PI4KIIIBETA inhibitors
JP2021524469A (ja) 2018-05-23 2021-09-13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ー、ディベロップメント、リミテッド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Nrf2アクチベーターとしてのインダン
GB201908536D0 (en) 2019-06-13 2019-07-31 Glaxosmithkline Ip Dev Ltd Compounds
WO2021216547A1 (en) 2020-04-20 2021-10-28 Sorrento Therapeutics, Inc. Pulmonary administration of ace2 polypeptides
WO2022175425A1 (en) 2021-02-22 2022-08-25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Inhaled mtor kinase inhibitors for use in the treatment or the prevention of a respiratory rna virus infection
WO2023117929A1 (en) * 2021-12-21 2023-06-29 Chiesi Farmaceutici S.P.A. Powder inhal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87657A (ko) * 1968-08-01 1970-03-27
US3662915A (en) * 1970-10-08 1972-05-16 Dougherty Bros Tamper proof package
US3840152A (en) * 1973-06-18 1974-10-08 None Such Enterprises Inc Sealable and resealable container
US4491238A (en) * 1983-12-12 1985-01-01 Tobolt Michael J Receptacle having a plug closure
US4762248A (en) * 1987-05-11 1988-08-09 Plastic Technologies Tamper resistant wide mouth package
US5718355A (en) * 1989-02-03 1998-02-17 Senetics, Inc. Indicator device responsive to axial force for use with inhaler
US5421482A (en) * 1989-02-03 1995-06-06 Senetics, Inc. Indicator device responsive to axial force
SE466684B (sv) * 1989-03-07 1992-03-23 Draco Ab Anordning vid en inhalator samt foerfarande foer att med anordningen registrera medicinering med inhalator
CH682227A5 (en) * 1990-11-23 1993-08-13 Edy Scheller Ag Plastics bottle closure - has closure part fixed to bottle neck with lower securing strip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from neck
US5394868A (en) * 1992-06-25 1995-03-07 Schering Corporation Inhalation device for powdered medicaments
DE69331635T2 (de) * 1992-11-12 2002-10-31 Minnesota Mining & Mfg Pulverinhalator
WO1994014492A2 (en) * 1992-12-18 1994-07-07 Schering Corporation Inhaler for powdered medications
US5524613A (en) * 1993-08-25 1996-06-11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Controlled multi-pharmaceutical inhaler
AU688794B2 (en) * 1993-09-22 1998-03-19 Senetics, Inc. Indicator device responsive to axial force
CA2199858A1 (en) * 1994-09-16 1996-03-21 Alain Emile Edward Schaeffer Inhal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77150A1 (en) 1998-07-16
HRP980382A2 (en) 1999-10-31
WO1998030262A3 (en) 1998-10-15
EP0954348B1 (en) 2004-10-20
ATE303838T1 (de) 2005-09-15
AR011372A1 (es) 2000-08-16
AP2002002693A0 (en) 2002-12-31
CZ2000298A3 (cs) 2000-05-17
AP1165A (en) 2003-06-30
WO1998030262A2 (en) 1998-07-16
DE69827112D1 (de) 2004-11-25
CO5080756A1 (es) 2001-09-25
EA200000229A1 (ru) 2000-08-28
AP1259A (en) 2004-04-23
PL187815B1 (pl) 2004-10-29
HUP0000885A3 (en) 2001-02-28
JP2001507966A (ja) 2001-06-19
HRP980382B1 (en) 2002-06-30
AP9901596A0 (en) 1999-09-30
AR017446A2 (es) 2001-09-05
TR199901582T2 (xx) 1999-09-21
EP1378260A2 (en) 2004-01-07
HU222771B1 (hu) 2003-10-28
US6321747B1 (en) 2001-11-27
IS5103A (is) 1999-06-30
ID22851A (id) 1999-12-09
DE69831517T2 (de) 2006-06-08
DE69831517D1 (de) 2005-10-13
BR9806864A (pt) 2000-04-18
NO993348D0 (no) 1999-07-07
IL130687A0 (en) 2000-06-01
DE69827112T2 (de) 2005-03-24
YU32399A (sh) 2001-05-28
PE20030179A1 (es) 2003-04-07
GB9700226D0 (en) 1997-02-26
TW404843B (en) 2000-09-11
PE39599A1 (es) 1999-05-05
EA199900515A1 (ru) 2000-04-24
CN1478557A (zh) 2004-03-03
EA001286B1 (ru) 2000-12-25
EP1378260B1 (en) 2005-09-07
TR200000032T2 (tr) 2000-07-21
IL130687A (en) 2003-09-17
EP0954348A2 (en) 1999-11-10
NZ336507A (en) 2001-09-28
EP1378260A3 (en) 2004-01-21
PL334447A1 (en) 2000-02-28
CN1249694A (zh) 2000-04-05
EA001291B1 (ru) 2000-12-25
PL187248B1 (pl) 2004-06-30
HUP0000885A2 (hu) 2000-08-28
ATE279954T1 (de) 2004-11-15
NO993348L (no) 1999-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9973A (ko) 흡입 장치
AU710027B2 (en) Inhalation device
US8978646B2 (en) Inhaler for powdery substances, in particular medicinal substances
RU220176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галяции
MXPA97001957A (en) Inhalac device
EP2731573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delivery devices
AU735126B2 (en) Inhalation device
AU759730B2 (en) A tamper resistant closure
CZ243099A3 (cs) Inhalační zařízení
MXPA99006248A (en) Inhalation device
AU730625B2 (en) Inha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