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144A -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144A
KR20000058144A KR1020000008559A KR20000008559A KR20000058144A KR 20000058144 A KR20000058144 A KR 20000058144A KR 1020000008559 A KR1020000008559 A KR 1020000008559A KR 20000008559 A KR20000008559 A KR 20000008559A KR 20000058144 A KR20000058144 A KR 2000005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ke
parking brake
spe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8804B1 (ko
Inventor
이시가와가즈오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3863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5814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시카와 타다시
Publication of KR2000005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8Signals to a parking brake or parking lock; Control of parking locks or brakes being part of the transmission
    • F16H63/483Circuits for controlling engagement of parking locks or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4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8Braking system
    • B60W2510/186Status of parking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0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36Rever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산업차량을 정지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는 유지기구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주차 브레이크는 해제기구에 의해서 분리된다. 차속이 소정값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지는 속도 검출기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차속이 소정값보다 작으면, 해제기구는 주차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결합되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PARKING BRAKE APPARATUS FOR 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은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자동차와 같이, 포크리프트(forklift)와 같은 산업차량은 제동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를 지닌다. 제동 브레이크는 차량의 주행시나 정지시에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차 브레이크는 차량의 엔진이 작동되지 않는 정지상태로 차량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주차 브레이크는 케이블이나 링크에 의해서 주차레버에 연결되어 있다. 주차레버는 손이나 발로 조작한다. 레버에 가해진 조작력은 케이블이나 링크에 의해서 주차 브레이크로 전달된다.
일본특허 공개 6-247190호에는 보조 브레이크를 갖는 산업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이 차량은 토오크 컨버터와 유압식 전진 및 후진 클러치를 포함하는 변속기를 지닌다. 보조 브레이크는 변속기 내에 위치된다. 화물이 적재되고 차량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화물의 운전속도는 로딩레버의 조작량에 의거하여 제어된다. 특히, 엔진 트로틀은 로딩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제어된다. 로드 조작속도는 엔진 트로틀을 바탕으로 제어된다. 차속은 엔진 회전수에 관계없이 목표값으로 설정된다. 차속의 목표값은 가속페달을 밟았을 때의 조작량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즉, 보조 브레이크의 제동력과 전진 및 후진 클러치 중 하나의 결합은 차속이 목표값과 일치되도록 제어된다.
주차 브레이크는 파킹 브레이크 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주차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전환된다. 따라서, 운전석에 주차레버를 설치하기 위해서 및 주차 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그 만큼 다른 장비품의 설치공간 확보 및 배치의 자유도에 제약을 가져온다.
차량의 주차시에 운전자는 반드시 주차레버를 주차위치로 전환하여야 하며, 차량의 출발시에는 레버를 해제하여 해제위치로 전환하여야 하는데, 작동상 번거롭다. 경사로에서 차량을 일시적으로 정지할 때에, 운전자는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거나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된 상태로 유지하여 제동 브레이크를 작동시켜야 하는데, 이것 역시 작동상 번거롭다. 경사로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할 때에 운전자가 제동 브레이크만 사용할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해제하면 차량은 원하는 위치로부터 이동하게 된다.
일본 특허공개 6-247190호는 제동 브레이크에 부가하여 보조 브레이크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 보조 브레이크는 주차 브레이크로서 사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경사로에서 차량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때, 운전자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로 유지하거나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 브레이크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고, 차량이 언덕길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할 때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적으로 밟고 있을 필요가 없는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경사로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될 때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브레이크 조작수단의 조작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저속주행으로 일시정지한 후에,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하면 저속주행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적재하중과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한 임계 엔진 회전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 1그래프,
도 3은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한 적재하중과 임계 엔진 회전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 2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엔진 2. 토오크 컨버터
3. 변속기 4. 차동기어
6. 제동 브레이크 7. 트로틀 액추에이터
8, 9. 전진, 후진 클러치 10, 11. 전진, 후진 클러치 밸브
12. 주차 브레이크 13. 브레이크용 밸브
15. 엔진 회전수센서 17. 차속센서
18. 유압펌프 19. 포크
20. 리프트 실린더 22. 압력센서
23. 가속페달 24. 저속주행 페달
25. 브레이크 페달 26. 가속센서
27. 저속주행 스위치 28. 브레이크 스위치
29. 시프트 레버 30. 시프트 스위치
32. CPU 33. ROM
34. RAM 35, 36. 입력, 출력 인터페이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상술한 및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차량을 정지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제동부제, 제동부재를 결합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 제동부재를 결합상태로부터 해제하기 위한 해제수단 및 차속을 검출하여 속도 지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1검출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이 장치는 판단수단 및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 판단수단은 차속이 제 1검출수단으로부터의 속도 지시신호에 의거한 소정값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인지를 결정하여 제 1결정신호를 생성한다. 제어수단은 제 1결정신호를 바탕으로 제동부재가 결합되도록 해제수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산업차량을 정지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를 갖는 산업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차량은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 결합상태에 있는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수단 및 차속을 검출하기 위한 차속 검출기를 포함한다. 이 차량은 또한, 판단수단과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 판단수단은 차속이 차속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한 소정값 보다 작거나 동일한지를 결정한다. 제어기에 의해 차속이 판단수단으로부터의 결정신호에 의거한 소정값 보다 작거나 동일한 차속이 검출되면, 제어기는 해제수단을 제어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 및 이익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는 브레이크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장치는 포크리프트와 같은 산업차량에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의 출력축(1a)은 변속기(3)와 결합된다. 이 변속기(3)는 토오크 컨버터(2)를 지니며, 차동기어(4)를 통해서 출력축(5)에 연결된다. 차축(5)은 종동 휘일(5a)과 연결되며 제동 브레이크(6)를 갖는다. 엔진(1)에는 트로틀 액츄에이터(7)가 설치된다. 이 트로틀 액추에이터(7)의 작동에 의해서 트로틀 개도가 조절되어 엔진(1)의 회전속도나 출력축(1a)의 회전수가 조절된다.
변속기(3)는 입력축(메인 샤프트)(3a)과 출력축(카운터 샤프트)(3b)을 갖는다. 입력축(3a)에는 전진 클러치(8)와 후진 클러치(9)가 설치되어 있다. 전진 클러치(8)와 출력축(3b)사이 및 후진 클러치(9)와 출력축(3b)사이에는 각각, 기어(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입력축(3a)의 회전은 클러치(8, 9) 및 기어를 통해서 출력축(3b)으로 전달된다. 클러치(8, 9)는 유압 습식 다판 클러치가 바람직하다. 클러치(8, 9)의 결합력은 오일챔버(8a, 9a)내의 오일압력의 변화에 의해서 조절된다. 즉, 챔버(8a, 9a)내의 오일압력의 증가에 의해서 결합력이 증대된다. 챔버(8a, 9a)내의 오일압력은 전진 클러치 밸브(10)와 후진 클러치 밸브(11)에 의해서 조절된다. 이들 클러치 밸브(10, 11)는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각 클러치 밸브(10, 11)는 그 내에 현재 공급되는 레벨에 따라서 밸브개도를 제어한다.
주차 브레이크(12)는 변속기 출력축(3b)상에 배치된다. 즉, 주차 브레이크(12)는 변속기(2)내에 배치되어 있다. 주차 브레이크(12)는 출력축(3b)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는 브레이크 패드(12b) 및 출력축(3b)과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12a)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패드(12b)는 제동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각 브레이크 패드(12b)는 스프링(12d)에 의해서 대응하는 디스크(12a)쪽으로 가압된다. 주차 브레이크(12)는 압력챔버(12c)를 갖는다. 브레이크용 밸브(13)는 챔버(12c)에 압축오일을 공급한다. 챔버(12c)내의 압력에 의해 패드(12b)는 디스크(12a)로부터 분리된다. 브레이크용 밸브(13)는 전자석 밸브를 포함한다. 스프링(12d)은 결합위치에서 브레이크 패드(12b)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브레이크용 밸브(13)는 브레이크 패드(12b)를 결합위치로부터 해제하기 위한 해제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비록, 도 1에는 토오크 컨버터(2), 변속기(3) 및 밸브(10, 11, 13)가 독립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장치는 하나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자동변속기를 구성하고 있다. 변속기(3)는 통로(도시 생략)와 밸브(10, 11, 13)를 통해서 유압챔버(8a, 9a, 12c)로 오일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유압펌프는 엔진(1)의 회전시에 변속기(3)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구동된다.
엔진의 출력축(1a)에는 제 1기어(14)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엔진 회전수센서(15)는 기어(14)근처에 위치되어 엔진 회전수를 검출한다. 이 엔진 회전수센서(15)는 제 1기어(14)의 이빨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틱 픽업을 포함한다. 엔진 회전수센서(15)는 출력축(1a)의 회전수에 비례하는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제 2기어(16)는 변속기 출력축(3b)에 고정되어 이 축(3b)과 일체로 회전한다. 차속센서(17)인 차속 검출수단은 제 2기어(16)근처에 배치된다. 차속센서(17)는 제 2기어(16)의 이빨을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틱 픽업을 포함한다. 차속센서(17)는 출력축(3b)의 회전수에 비례하는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유압펌프(18)는 엔진(1)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 펌프(18)는 리프트 실린더(20) 및 파이프(도시 생략)를 통해서 틸트 실린더(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이 리프트 실린더(20)는 포크(19)를 상승 및 하강시킨다. 틸트 실린더는 마스터(21)를 틸트시킨다. 압력센서(22)는 리프트 실린더(20)에 부착되어 있다. 이 압력센서(22)는 포크(19)상의 적재하중을 검출하는 적재하중 검출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센서(22)는 리프트 실린더(20)내의 오일압력 및 포크(19)상의 적재하중에 비례하는 검출신호의 출력을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속수단으로서의 가속페달(23)은 운전실의 플로어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저속주행 페달(24) 및 브레이크 페달(25)역시, 운전실의 플로어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저속주행 페달(24) 및 브레이크 페달(25)은 모두 제동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저속주행 페달(24)은 포크(19)상에 화물이 적재되어 있을 때, 포크리프트를 매우 천천히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저속주행 페달(24)은 클러치(8, 9)를 부분적으로 결합시키도록 사용된다. 브레이크 페달(25)이 가압되면, 이 브레이크 페달(25)는 저속주행 페달(24)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한다. 저속주행 페달(24)이 가압되면, 브레이크 페달(25)역시 저속주행 페달(24)의 조작량이 소정량 이상될 때에 이동된다. 즉, 저속주행 페달(24)이 저속주행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저속주행 페달(24)은 브레이크 페달(25)로부터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만일, 저속주행 페달(24)이 저속주행 위치를 지나서 가압되면, 브레이크 페달(25)은 저속주행 페달(24)과 일체로 이동된다.
가속 검출수단으로서의 가속센서(26)는 가속페달(23)에 부착되어 있다. 가속센서(26)는 가속페달(23)의 조작량에 비례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저속주행 스위치(27)는 저속주행 페달(24)이 저속주행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제동 검출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브레이크 스위치(28)는 브레이크 페달(25)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 수단으로서의 시프트 레버(29)는 운전실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시프트 레버(29)의 위치는 시프트 스위치(30)에 의해서 검지된다. 시프트 스위치(30)는 시프트 레버(29)가 전진위치(F), 후진위치(R) 또는 중립위치(N) 중 어느 곳에 있는지를 검지하고 현재의 레버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트로틀 액추에이터(7), 전진 클러치 밸브(10), 후진 클러치 밸브(11) 및 브레이크용 밸브(13)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전기회로적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어기(31)는 중앙처리장치(CPU)(32), 판독전용 메모리(ROM)(33), 판독 및 개서 가능한 메모리(RAM)(34), 입력 인터페이스(35) 및 출력 인터페이스(36)를 구비한다. CPU(32)는 제어수단 및 판단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ROM(33)에는 주차 브레이크(12)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제어 프레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의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RAM(34)에는 CPU(32)의 연산결과가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CPU(32)는 ROM(3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작동한다.
엔진 회전수센서(15), 차속센서(17), 저속주행 스위치(27), 브레이크 스위치(28) 및 시프트 스위치(30)는 입력 인터페이스(35)를 개재하여 CPU(32)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센서(22) 및 가속센서(26)는 아날로그/디지털(A/D)변환기 및 입력 인터페이스(35)를 통해서 CPU(32)에 접속되어 있다.
CPU(32)는 출력 인터페이스(36) 및 구동회로(도시 생략)를 통해서 트로틀 액추에이터(7), 전진 클러치 밸브(10), 후진 클러치 밸브(11) 및 브레이크용 밸브(13)에 접속되어 있다.
ROM(33)에는 가속페달(23)의 조작량과 트로틀 개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 기억되어 있다. 또, 이 ROM(33)에는 포크리프트를 저속주행시키기 위한 전진 클러치 밸브(10) 및 후진 클러치 밸브(11)의 개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포크리프트를 저속주행시키기 위한 이 데이터는, 전진 클러치(8) 및 후진 클러치(9)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밸브(10, 11)의 개도를 나타낸다. 또한, ROM(33)에는 포크(19)상의 화물의 하중(W)과 브레이크(12)가 분리되는 임계 엔진 회전수(NE)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M)이 기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12)가 해제되는 임계 엔진 회전수(NE)는 화물의 하중(W)이 증가함에 따라 증대된다. 적재하중이 0이 될 때에, 임계 엔진 회전수(NE)는 아이들 회전수로 설정된다. 맵(M)대신에, 임계 엔진 회전수(NE)와 화물의 하중(W)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 ROM(33)에 기억될 수도 있다.
CPU(32)은 센서(15, 17, 22, 26)와 스위치(27, 28, 3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받아들임과 동시에, ROM(3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여 트로틀 액추에이터(7)와 밸브(10, 11, 13)에 제어명령신호를 출력한다.
CPU(32)는 가속페달(23)의 조작량에 대한 목표 엔진 회전수가 되도록 트로틀 액추에이터(7)를 제어한다. CPU(32)는 저속주행 스위치(27)로부터의 저속주행 조작신호 및 시프트 스위치(30)로부터의 시프트 신호에 의거하여, 시프트 레버(29)가 조작된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클러치를 반클러치 접속상태로 하도록 클러치 밸브(10, 11)중 하나를 제어한다.
CPU(32)는 차속이 정지속도보다 작은지를 결정한다. 정지속도는 거의 초당 몇 센티미터일 수도 있으나, 차속센서(17)에 의해서 0으로 간주되는 차량의 속도를 말한다. 만일 차속이 정지속도보다 낮거나 동일하고 브레이크 스위치(28)가 소정 시간주기(가령, 0.5초)에 대한 브레이크 페달(25)의 조작 결정신호를 출력하였다면, CPU(32)는 브레이크용 밸브(13)를 제어하여 주차 브레이크(12)를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CPU(32)는 시프트 레버(29)의 위치에 관계없이 주차 브레이크(12)를 작동시킨다.
CPU(32)는 가속센서(26), 시프트 스위치(30) 및 압력센서(2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주차 브레이크(12)를 분리시킨다. 포크시프트가 경사위치에 있을 때 주차 브레이크(12)가 결합했다면, CPU(32)는 포크리프트가 밀려서 언덕을 내려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의 주차장치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CPU(32)는 가속센서(26)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고, 가속페달(23)의 조작량에 대응한 트로틀 개도가 되도록 트로틀 액추에이터(7)를 제어한다. 엔진(1)은 트로틀 개도에 대응한 엔진 회전수로 회전된다. 엔진(1)의 회전에 의해 유압펌프(18)가 구동되어, 리프트 실린더(20)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엔진(1)의 회전은 출력축(1a)과 토오크 컨버터(2)를 통해서 변속기(3)로 전달된다.
시프트 레버(29)가 중립위치(N)에 있을 때, 압축오일은 클러치 밸브(10, 11)의 압력챔버(8a, 9a)로 공급되지 않게 되고, 클러치(8, 9)는 비접속 상태로 유지되며, 엔진출력축의 회전은 변속기(3)의 출력축(3b)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시프트 레버(29)가 전진위치(F)에 있으면, 전진 클러치 밸브(10)는 오일을 오일챔버(8a)로 공급함으로써, 전진 클러치(8)를 접속시킨다. 따라서, 엔진 출력축(1a)의 회전은 전진 클러치(8)를 통해서 출력축(3b)으로 전달된다. 시프트 레버(29)가 후진위치(R)에 있으면, 후진 클러치 밸브(11)는 오일을 유압챔버(9a)로 공급함으로써, 후진 클러치(9)를 접속시킨다. 따라서, 엔진 출력축(1a)의 회전은 후진 클러치(9)를 통해서 출력축(3b)으로 전달된다.
포크리프트를 저속으로 주행시키면서 하역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저속주행 페달(24)을 저속주행 위치까지 밟으면, 저속주행 스위치(27)로부터 저속주행 조작신호가 출력된다. 저속주행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CPU(32)는 시프트 스위치(30)에 의해서 현재 선택된 클러치(8, 9), 예를 들면 전진 클러치(8)가 부분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특히, CPU(32)는 전진 클러치 밸브(10)의 개도를 소정의 개방위치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변속기 출력축(3b)으로 전달되는 엔진출력은 감소된다. 그러므로, 포크(19)의 조작에 의해서 엔진 회전수가 증대되어도 포크리프트는 저속 주행한다.
포크리프트가 이동할 때에, 브레이크용 밸브(13)는 압축오일을 주차 브레이크(12)의 유압챔버(12c)로 공급하여 브레이크 패드(12b)를 제동 해제위치로 유지시킨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5)이나 저속주행 페달(24)을 저속주행 위치 이상 밟았을 때, 브레이크 페달(25)은 제동위치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브레이크 스위치(28)는 CPU(32)에 제동신호를 보낸다. CPU(32)는 차속센서(17)로부터의 단위시간당 신호의 펄스를 측정하여 차속을 연산한다. 만일, 차속이 정지속도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이고 CPU(32)가 소정시간(가령, 0.5초 정도)이상 제동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 CPU(32)는 브레이크용 밸브(13)에 제동 명령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동명령신호에 의해 유압 브레이크용 밸브(13)는 압축오일이 브레이크 유압챔버(12c)로 공급되는 것을 중지시킨다. 이것으로 브레이크 패드(12b)는 스프링(12d)의 힘에 의해서 디스크(12a)에 가압된다. 즉, 패드(12b)가 제동위치로 이동되어 주차 브레이크(12)와 결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전자가 포크리프트를 정지시키기 위해서, 레이크 페달(25)이나 저속주행 페달(24)을 조작하면, 포크리프트가 정지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주차 브레이크(12)가 제동해제상태로부터 제동상태로 절환된다.
포크리프트가 비교적 고속으로 이동한다면, 운전자는 저속주행 페달(24)이나 브레이크 페달(25)을 밟아서 포크리프트를 감속하게 된다. 포크리프트 속도가 정지속도 이하로 감속되기 전에 운전자가 밟고 있던 페달(24, 25)로부터 발을 떼어도, 포크리프트 속도는 여전히 정지속도 이하로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CPU(32)에는 정차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브레이크용 밸브(13)에는 정차 명령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도 1의 제동장치의 작동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포크리프트가 경사로를 올라가기 시작하고 포크(19)상에는 아무런 화물이 적재되어 있지 않다면, 시프트 레버(29)가 전진위치에 있고 전진 클러치(8)가 접속된 상태로 있다면, 엔진 아이들링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12)가 분리된다 해도 포크리프트의 후퇴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포크(19)상에 화물이 적재되어 있다면, 경사로 상에서 주차 브레이크(12)의 분리로 인해 포크 리프트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시프트 레버(29)가 중립위치(N)에 있지 않다면, 즉, 시프트 레버(29)가 전진위치(F)나 후진위치(R)에 있을 때, 시프트 스위치(30)는 시프트 레버(29)가 중립위치에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만일 주차 브레이크(12)가 이 상태에서 결합된다면, CPU(32)는 가속센서(26)로부터의 가속신호의 입력에 의거한 압력센서(22)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화물의 하중(W)을 연산한다. 다음에, CPU(32)는 하중(W)과 상응하는 임계 엔진 회전수(NE)의 값을 연산한다. 이 CPU(32)는 실제 엔진 회전수가 엔진 회전수센서(1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한 임계속도(NE)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지를 결정한다. 만일, 실제 엔진 회전수가 임계속도(NE)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라면, CPU(32)는 브레이크용 밸브(13)에 제동해제 명령신호를 출력하여 주차 브레이크(12)의 제공상태게 해제되도록 한다. 따라서, 주차 브레이크(12)가 제동해제상태로 절환되면, 포크리프트의 후진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지닌다.
(1) 브레이크 페달(25)이 가압되고 차속이 정지속도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일 때, 주차 브레이크(12)는 자동으로 제동상태로 되므로, 주차 브레이크(12)를 조작하기 위해 당기는 주차레버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는 경사로 상에서 일시 정지하는 동안 브레이크 페달(25)을 밟고 있을 필요가 없다. 운전자가 가속페달(23)을 밟지 않아도, 토오크 컨버터(2)의 구조상 포크리프트는 매우 천천히 이동하거나 미끄러진다. 만일 운전자가 포크리프트의 속도를 크리핑 속도(creeping speed)로 줄이고자 한다면,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25)을 밟아 정지속도보다 큰 속도로 포크리프트를 감속시키기만 하면 된다.
(2) 포크리프트 속도가 정지속도 이하이고, 소정시간동안 CPU(32)에 제동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주차 브레이크(12)는 제동상태로 절환된다. 따라서, 포크리프트가 완전히 정지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12)가 제동상태로 절환되어, 절환시의 충격이 없어지며,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또, 주차 브레이크(12)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3) 엔진(1)이 정지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12)는 제동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5)을 해제한 후에 포크리프트가 정지되어도, 엔진(1)이 정지되면, 주차 브레이크(12)는 자동으로 제동상태로 된다. 바꾸어 말하면, 운전자는 주차 브레이크(12)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레버나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도 1의 장치는 엔진(1)의 정지시에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상태를 유지하는 별도의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4) 주차 브레이크(12)는 스프링(12d)에 의해서 결합되며 유압에 의해서 제동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므로,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제동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힘은 도 1의 장치의 경우에 전자력을 이용하는 장치에 비해서 작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다.
(5) 변속기(3)는 토오크 컨버터(2)를 통해서 엔진(1)의 회전을 출력축(3b)으로 전달하는 유압 전진 및 후진 클러치(8, 9)를 구비한다. 주차 브레이크(12)는 변속기(3)내에 배치된다. 주차 브레이크(12)는 스프링(12d)에 의해서 결합되며 유압에 의해서 제동상택 해제된다. 그러므로, 주차 브레이크(12)는 비교적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압축오일은 변속기(3)내에 배치된 유압펌프에 의해 간단히 얻을 수 있다.
(6) 시프트 레버(29)가 중립위치(N)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되고 엔진 회전수가 포크(19)상의 화물의 하중(W)에 비례하는 임계속도보다 큰 상태에서 가속페달(23)이 가압된다면,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상태는 해제된다. 그러므로, 포크리프트가 경사로를 올라갈 때, 주차 브레이크의 분리로 인해 포크리프트가 후방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7) 포크(19)상의 적재하중은 압력센서(22)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검출된다.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이 해제된 상태에서 임계 엔진의 회전수는 화물의 하중(W)에 비례하여 설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포크(19)상에 주어진 화물의 하중(W)은 엔진(1)의 하나의 임계속도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화물의 하중(W)의 각 값에 대한 임계 엔진 회전수를 최적 또는 최소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2의 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브레이크(12)가 일단 결합되어 제동상태로 되면, 제동수단의 조작을 해제한 것만으로는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이 해제되지는 않는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 레벨보다 약한 힘으로 제동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12)가 결합되어 제동상태로 되면, 제동수단의 해제로 인해서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상태는 해제된다.
또, 도 4의 실시예는 제동 브레이크(6)를 제거한 점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는 다르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크리프트를 이동시키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는 클러치(8, 9)중 하나는 제동 브레이크로서 사용된다. 도 1과 2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가 주어져 있다.
브레이크 페달(25)의 근방에는 브레이크 스위치(37)가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스위치(37)는 브레이크 페달(25)이 제동위치로 조작되었는지를 검지한다. 브레이크 페달(25)에는 이 브레이크 페달(25)에 작용하고 있는 조작력을 검지하는 브레이크 조작력 검출수단으로서의 조작력 센서(38)가 연결되어 있다. 이 조작력 센서(38)는 오일이 충진된 챔버를 지닌 실린더를 포함한다. 실린더 내에는 챔버의 일단에 2개의 피스톤이 배치된다. 제 1피스톤에는 브레이크 페달(25)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38a)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제 2피스톤과 실린더의 저부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의 힘은 페달(25)에 가해진 답력과 페달(25)의 조작량 간의 관계가, 제동 브레이크(6)를 갖는 도 1의 장치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25)이 조작되면, 실린더 챔버 내의 압축오일은 가해진 조작력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압력센서(도시 생략)는 오일 압력을 검출하며 가해진 답력이나 해제력에 상응하는 값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답력센서(38)는 A/D변환기(도시 생략) 및 입력 인터페이스(35)를 통해서 CPU(32)에 접속되어 있다. 브레이크 스위치(37)는 입력 인터페이스(35)를 통해서 CPU(32)에 접속되어 있다. 기억수단으로서의 ROM(33)에는 브레이크 페달(25)에 가해진 조작력과, 그것에 대응한 조작력을 얻기 위해 필요한 클러치(8, 9)중 하나에 보내지는 명령 전류값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 또는 관계식이 기억되어 있다.
CPU(32)는 조작센서(3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바탕으로 브레이크 페달(25)에 가해지는 조작력을 연산한다. 이 CPU(32)는 다음에, 브레이크 페달(25)에 가해진 조작력에 대응하는 현재의 전류 명령값을 연산한 다음, 포크리프트를 이동하기 위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는 클러치(8, 9)중의 하나의 클러치 밸브(10, 11)중 하나에 그 전류 명령값을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브레이크 페달(25)에 가해진 조작력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동력이 작용된다.
CPU(32)는 주차 브레이크(12)가 도 1과 2의 실시예와 동일조건 하에서 결합되도록 브레이크용 밸브(13)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동해제수단으로서의 CPU(32)는 브레이크 페달(25)에 가해진 힘이 소정 레벨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브레이크 페달(25)이 소정 미만의 조작력으로 조작된 상태로부터 그 조작이 해제되었을 때는, 조작의 해제에 따라서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상태를 해제시키도록 브레이크용 밸브(13)를 제어한다. 또, CPU(32)는 브레이크 페달(25)이 소정 이상의 조작력으로 조작된 상태로부터 그 조작이 해제되었을 때는, 조작이 해제되어도 주차 브레이크(12)를 제공상태로 유지하도록 브레이크용 밸브(13)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 CPU(32)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제동해제조건, 즉 적어도 가속페달(23)이 조작되었을 때를 조건으로하여 주차 브레이크(12)의 제공을 해제하도록 브레이크용 밸브(13)를 제어한다.
제 1실시예의 (1) 내지 (7)의 이점에 부가하여, 제 2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8) 주차 브레이크(12)의 결합시에 소정레벨보다 작은 힘으로 조작된 후에 브레이크 페달(25)이 해제되면, 주차 브레이크(12)의 조작상태가 해제된다. 만일, 소정레벨과 같거나 그 이상의 힘으로 가압된 후에 브레이크 페달(25)이 해제되면, 조작이 해제되어도 주차 브레이크(12)의 제공상태는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25)에 가해진 힘에 대한 제어를 통해서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가령, 포크리프트가 매우 천천히 주행할 때에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5)을 분리하면 그대로 저속주행이 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작은 조작력으로 브레이크 페달(25) 또는 저속주행 페달(24)을 조작함으로써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경사로 상에서 포크리프트가 정지할 때, 운전자가 상대적으로 큰 힘으로 브레이크 페달(25)을 밟으면, 브레이크 페달(25)의 해제하여도 주차 브레이크(12)가 제동상태로 유지되므로, 포크리프트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9) 제동수단은 브레이크 페달(25) 및 저속주행 페달(24)을 포함하는데, 이 페달(24)은 브레이크 페달(25)이 소정량 이상으로 가압될 때, 브레이크 페달(25)과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저속주행 페달(24)이 저속주행 위치에 있을 때, 포크리프트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클러치가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포크리프트가 매우 천천히 움직일 때, 운전자는 포크리프트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으며, 저속주행 페달(24)의 조작만으로 포크리프트의 저속주행의 개시가 가능케 된다. 바꾸어 말하면, 운전자는 포크리프트의 저속주행 개시를 위해서 가속페달(23)위에 발을 올려놓을 필요가 없으므로, 포크리프트의 조작이 간단해진다.
(10) 제 2실시예는 제동 브레이크(6)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 공정수 및 제조비용이 감소된다.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특정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실시예에서, 주차 브레이크(12)가 결합되는 임계 엔진 회전수는 도 2의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센서(22)에 의해 검출된 화물의 하중(W)과 일대일의 관계를 갖는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계 엔진 회전수(NE)는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해제를 행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가속센서(26)로부터 가속조작 검출신호가 검출된 것만을 필수요건으로 하여도 좋다. 운전자가 포크리프트의 미끄럼 속도 및 저속 이동속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속페달(23)의 가압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가속센서(26)로부터 출력될 때마다,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상태가 해제된다면, 운전자는 가속페달(23)을 밟아서 간단하게 주차 브레이크(12)를 해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포크리프트가 제 1로드면(평지)에서 하역작업을 행할 때, 운전자는 미끄럼 속도와 저속주행 속도 사이로 쉽게 전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조작성이 향상된다.
주차 브레이크(12)의 제동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건은 가속센서(26)가 조작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시프트 레버(29)가 중립위치(N)에 위치되어 있지 않을 때 만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포크(19)상에 아무런 화물도 올려져 있지 않다면 포크리프트는 경사로를 천천히 이동하기 시작된다. 포크리프트가 포크(19)에 무거운 짐을 싣고 경사로를 출발할 때, 운전자는 반드시 중립위치(N)로부터 레버(29)를 시프팅하기 전에 엔진 회전수를 조절하여야 한다. 그러나, 압력센서(22)는 생략할 수 있으며, CPU(32)의 작동은 단순화될 것이다.
포크리프트는 도로의 경사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이나 경사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임계 엔진 회전수는 검출된 경사도 및 화물의 하중(W)을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다. 경사도 센서는 포텐쇼미터 타입이나 토오크 밸런스 타입일 수도 있다. 이 경사도 센서는 A/D변환기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CPU(32)와 연결된다. CPU(32)는 경사도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도로면의 경사도를 연산하며, 로드 경사도에 상응하는 임계 엔진 회전수를 설정한다. 특히, CPU(32)는 포크리프트가 로드 경사각과 비례정수에 의해서 평탄한 도로 위에 있을 때와 동일한 화물에 대한 임계 엔진 회전수를 연산한다. 엔진 회전수가 연산된 임계값에 도달할 때, CPU(32)는 브레이크용 밸브(13)에 분리신호를 보낸다. 이 구조는 차량이 경사로 상에 있을 때, 주차 브레이크(12)가 분리되어 포크리프트가 아래로 밀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로의 경사도 및 화물의 하중(W)을 바탕으로 엔진 회전수의 임계값을 판단하는 것 대신에, 최대 화물의 하중(W)에 상응하는 단일 임계 엔진 회전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포크리프트는 경사도 검출수단을 포함한다. 만일, 포크리프트가 경사로를 주행한다면, 엔진 회전수가 경사각에 관계없이 임계값에 도달했을 때 주차 브레이크(12)는 분리된다. 이 경우에, 경사각 검출수단은 경사각을 검출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검출수단은 간단한 형상을 갖는다. 또, CPU(32)는 적재하중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CPU(32)의 작동은 간단해진다. 포크리프트가 경사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 대신에, 경사각이 소정 임계각과 동일하거나 큰지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경사각이 임계각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라면, 주차 브레이크(12)는 엔진 회전수가 임계값에 도달할 때에 분리된다.
경사도는 경사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검출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검출수단은 다른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령, 경사도는 차속과 엔진 회전수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다. 포크리프트가 정지될 때, 결정된 경사각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다음에, 저장된 경사각은 포크리프트의 출발시에 사용된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삭제 가능한 프로그램 EEPROM(electrical erasable programble ROM)이나 백-업 밧데리를 구비한 RAM이 될 수 있다. 이 구성은 경사각 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CPU(32)는 본 장치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엔진 회전수센서(15) 및 차속센서(17)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하여 도로 경사도를 결정한다.
경사도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주차 브레이크(12)가 분리되면, 시프트 스위치(30)는 시프트 레버(29)의 위치가 포크리프트의 실제 이동방향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CPU(32)는 시프트 레버의 위치가 포크리프트의 실제 이동방향과 일치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시프트 스위치(30)로부터 출력될 때, 브레이크용 밸브(13)에 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언덕길을 전진한 후에 포크리프트가 정지되면, 운전자는 시프트 레버(29)를 전진위치(F)로부터 중립위치(N)로 전환할 것이다. CPU(32)는 시프트 레버(29)가 전진위치(F)로 다시 시프트될 때, 분리신호를 출력한다. 포크리프트가 언덕길을 후진하고 있으면, CPU(32)는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즉, 포크리프트가 정지된 후 다시 출발하면, CPU(32)는 시프트 레버(29)가 후진방향으로 시프트 될 때만 주차 브레이크(12)를 분리시킨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실수로 포크리프트가 정지되기 전에 레버 위치와 반대인 위치로 시프트 레버(29)를 시프트하면, 주차 브레이크(12)는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포크리프트의 후진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브레이크(12)는 변속기(3)에 위치된다. 주차 브레이크(12)는 스프링(12d)의 힘에 의해서 결합되며, 변속기(3)내에 위치된 유압펌프에 의해서 분리된다. 그러나, 주차 브레이크(12)는 변속기(3)와 차동기어(4)사이의 프로펠러 샤프트(도시 생략)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주차 브레이크(12)는 리프트 실린더(20)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압펌프(18)에 의해서 분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토오크 컨버터를 갖는 통상의 변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브레이크(12)는 스프링력이나 유압에 의해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주차 브레이크(12)는 솔레노이드에 의해서도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도 4의 장치는 제동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동력은 제동 브레이크에 의해서 제어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25)에 가해진 조작력은 브레이크 페달(25)의 가압량을 바탕으로 검출된다. CPU(32)는 브레이크 페달(25)의 가압량이 소정량보다 큰지의 여부를 바탕으로 주차 브레이크(12)를 분리시킨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력 검출수단은 조작력이 소정레벨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로도 가능하다. 조작력 검출수단은 조작력을 연속적으로 검출할 필요는 없다. 가령, 조작력 검출수단은 리미트 스위치일 수도 있다. 이 리미트 스위치는 브레이크 페달(25)에 가해진 조작력이 소정범위 이상인지를 검출한다.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도 1의 장치에서 제동 브레이크(6)를 생략할 수 있다. 제동력은 동시에 결합하는 전진 클러치(8)와 후진 클러치(9)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제동 브레이크(6)가 생략되면, 주차 브레이크(12)가 제동 브레이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가령, 브레이크 페달(25)의 조작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브레이크용 밸브(13)의 개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전자 비례제어 밸브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ROM(33)에는 브레이크 페달(25)의 가압량과 상응하는 제동력을 얻기 위한 브레이크용 밸브(13)의 개도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나 식이 저장된다. CPU(32)는 밸브의 개도가 브레이크 페달(25)의 가압량과 상응하도록 브레이크용 밸브(13)를 제어한다. 이 구조는 제동 브레이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포크리프트의 제조단계 및 코스트를 줄인다. 또, 주차 브레이크(12)는 제동 브레이크로서 역할을 하며, 전진 클러치 밸브(10)와 후진 클러치 밸브(11)는 제동력이 전진 및 후진 클러치(8, 9)에 의해 부분적으로 생성되도록 동시에 제어될 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8, 9)와 챔버(8a, 9a, 12c)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18)는 변속기(3)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오일은 유압펌프(18)에 의해서 챔버(8a, 9a, 12c)에 공급될 수 있으며, 유압펌프(18)는 리프트 실린더(20)에 오일을 공급한다.
일본 특허공개 6-247190호에 개시된 산업차량에 있어서, 차속은 가속수단의 조작량에 따라서 제어되며, 엔진 회전수는 로딩 레버의 조작량에 따라서 제어된다. 상기 공보의 차량에 적용한다면, 로드가 조작되고 차량이 동시에 움직일 때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이 경우에, 저속주행 페달(24)은 불필요하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엔진(1)의 회전은 토오크 컨버터(2)를 통해서 변속기(3)로 전달된다. 그러나, 엔진(1)의 회전은 변속기(3)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엔진(1)의 회전은 클러치를 통해서 변속기(3)로 전달될 수도 있다.
포크리프트의 이동방향은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시프트 레버(29)에 의해서 전환된다. 이동방향은 버튼에 의해서 전환될 수도 있다. 이 버튼은 전진위치(F), 후진위치(R) 및 중립위치(N)에 각각 대응한다. 시프트 스위치(30)는 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접점을 포함한다.
도 1과 4에 도시한 장치는 화물(cargo)을 취급하기 위한 유압시스템을 갖는 다른 산업차량에 이용될 수도 있다. 가령, 이 장치를 버켓 로더(bucket loader)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브레이크는 페달에 의해 제어된다. 이 브레이크는 수동 제어식 레버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 브레이크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고 차량이 언덕길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할 때에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적으로 밟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경사로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될 때에 후진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Claims (9)

  1. 산업차량을 정지위치로 유지하는 제동부재와;
    제동부재를 결합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제동부재를 결합상태로부터 해제하는 해제수단과;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속도 지시신호를 생성하는 제 1검출수단과;
    제 1검출신호로부터의 속도 지시신호를 바탕으로 소정값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제 1결정신호를 생성하는 판단수단과;
    제 1결정신호를 바탕으로 제동부재가 결합되도록 해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산업차량은 악셀레이터를 구비하고,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악셀레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가속수단과;
    가속수단의 조작을 검출하여 조작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검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어수단은 입력된 조작신호를 바탕으로 제동부재가 분리되도록 해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산업차량은 전진과 후진 사이에서 차량의 이동방향을 절환하기 위한 절환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절환수단에 의해서 정해지는 차량의 이동방향을 검출하여 방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3검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어수단은 방향신호를 바탕으로 제동부재가 분리되도록 해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적재하중에 상응하여 차량의 엔진 회전수가 소정값을 초과할 때에, 제어수단은 제동부재가 분리되도록 해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하중 검출수단은 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화물의 하중을 검출하고; 메모리 수단은 엔진 회전수와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엔진 속도값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나 식을 저장하며, 제어수단은 하중 검출수단에 의해 지시된 하중을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의 엔진 속도값을 검색하고, 엔진 회전수가 검색한 엔진 회전수에 도달할 때 제동부재가 분리되도록 해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제 4검출수단은 차량이 주행중인 지면의 경사를 검출하며, 제어수단은 지면이 경사진 것을 나타내는 제 4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경사신호를 입력받아서, 엔진 회전수가 경사각에 상응하는 소정값 이상일 때, 제동부재가 분리되도록 해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가 화물의 최대하중에 상응하는 소정값에 도달할 때, 제어수단은 제동부재가 분리되도록 해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제 3검출수단으로부터의 방향신호가, 절환수단의 위치가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치함을 나타낼 때, 제어수단은 제동부재가 분리되도록 해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제 4검출수단은 차속과 엔진 회전수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지면의 경사를 검출하고, 이 제 4검출수단은 검출된 경사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차량의 재발진시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000-0008559A 1999-02-24 2000-02-22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368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620599 1999-02-24
JP11-046205 1999-02-24
JP29517899A JP3799903B2 (ja) 1999-02-24 1999-10-18 産業車両の駐車ブレーキ装置
JP11-295178 1999-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144A true KR20000058144A (ko) 2000-09-25
KR100368804B1 KR100368804B1 (ko) 2003-01-24

Family

ID=2638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559A KR100368804B1 (ko) 1999-02-24 2000-02-22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87236B1 (ko)
EP (1) EP1031487B1 (ko)
JP (1) JP3799903B2 (ko)
KR (1) KR100368804B1 (ko)
DE (1) DE60005231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524B1 (ko) * 2007-08-01 2014-04-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시동시 주차 브레이크 및 서비스 브레이크를제어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4639B1 (fr) * 1998-10-14 2006-09-08 Luk Getriebe Systeme Gmbh Dispositif et procede de verrouillage en pente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063063A1 (de) * 2000-12-18 2002-06-20 Lucas Varity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Steuerung einer im Stillstand eines Kraftfahrzeuges aktivierbaren Bremsausrüstung
JP4060537B2 (ja) * 2001-02-07 2008-03-12 株式会社エクセディ 車輌の補助ブレーキシステム
JP3726956B2 (ja) * 2001-10-31 2005-12-1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の制御方法
JP4149696B2 (ja) * 2001-11-01 2008-09-1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液圧保持機構
US7207238B2 (en) * 2002-05-08 2007-04-24 Zhide Feng Auxiliary brake control system
US7974760B2 (en) 2003-10-20 2011-07-05 Nmhg Oregon, Inc. Advanced power-shift transmission control system
US6684148B2 (en) 2002-06-12 2004-01-27 Nacco Materials Handling Group, In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US8135531B2 (en) 2002-06-12 2012-03-13 Nmhg Oregon, Llc Predictive vehicle controller
DE10232639A1 (de) * 2002-07-18 2004-02-12 Hoerbiger Antriebstechnik Gmbh Lasttransport-Fahrzeug, insbesondere Gabelstapler
JP3923409B2 (ja) * 2002-10-22 2007-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US8775039B2 (en) 2003-10-20 2014-07-08 Nmhg Oregon, Llc Dynamically adjustable inch/brake overlap for vehicle transmission control
DE10351026B3 (de) * 2003-10-31 2005-06-30 Lucas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Stabilisieren eines in Stillstand abgebremsten Kraftfahrzeugs und Bremssystem zum Ausführen des Verfahrens
WO2005120916A1 (ja) 2004-06-10 2005-12-2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4758075B2 (ja) * 2004-06-23 2011-08-24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制御装置
DE102005031155A1 (de) * 2004-08-02 2006-02-2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JP4609390B2 (ja) * 2005-09-30 2011-01-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フォークリフトの走行制御装置
KR100655330B1 (ko) * 2005-12-23 2006-12-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동 지게차의 경사 작업시 자동 정지장치
JP5008432B2 (ja) * 2007-03-16 2012-08-22 Tcm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車の安全装置
JP2009166560A (ja) * 2008-01-11 2009-07-30 Yanmar Co Ltd 作業車両
JP2009220774A (ja) * 2008-03-18 2009-10-01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の制御装置及び該装置を搭載した車両
RU2478802C2 (ru) * 2008-10-30 2013-04-10 Вольво Ластвагнар Аб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регулировки способности турбокомпаундной трансмиссии передавать крутящий момент
JP5071422B2 (ja) 2009-03-25 2012-1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制御装置
US8353804B2 (en) * 2009-04-20 2013-01-15 Spicer Off-Highway Belguim N.V. Hybrid transmission and method of use
DE102010018463A1 (de) * 2009-10-09 2011-04-14 Still Gmbh Steuerungsverfahren einer elektrisch betätigten Feststellbremse einer mobilen Arbeitsmaschine
KR20120059261A (ko) * 2010-11-30 201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주차 제어장치 및 방법
US8924115B2 (en) * 2010-12-22 2014-12-30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rake system
US9150208B2 (en) 2012-12-18 2015-10-06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Park brake logic
JP5848726B2 (ja) * 2013-05-22 2016-0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KR102075808B1 (ko) * 2013-12-30 2020-03-02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6185412B2 (ja) * 2014-03-17 2017-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KR101601770B1 (ko) * 2014-11-19 2016-03-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정차 방법 및 정차 장치
US10029688B2 (en) * 2016-03-17 2018-07-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ling engine auto-start while in reverse
KR101876015B1 (ko) * 2016-04-14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차량의 정차 변속단 해제시 진동 저감 방법
WO2018021688A1 (ko) * 2016-07-25 2018-02-01 한승우 차량 구동 장치, 차량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6274858B (zh) * 2016-08-30 2022-10-25 宁波如意股份有限公司 一种踏板机构
DE102016225401A1 (de) * 2016-12-19 2018-06-21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Parksperre eines Kraftfahrzeugs
KR20200094868A (ko) * 2019-01-30 2020-08-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차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1565923B2 (en) * 2019-02-19 2023-01-3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Chain slack detection system
JP6695477B1 (ja) * 2019-05-16 2020-05-20 三菱ロジスネクスト株式会社 荷役装置
US11136009B2 (en) * 2019-12-31 2021-10-05 Robert Bosch Gmbh Park lock system with added safety features
JP2022127814A (ja) 2021-02-22 2022-09-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の制御方法、および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7207A (en) * 1985-06-03 1988-01-05 Nissan Motor Co., Ltd. Booster unit for moving a vehicle on a slop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5053960A (en) * 1987-05-29 1991-10-01 J. I. Case Company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powershift transmission with compensation for variation in supply voltage
JPS6430862A (en) * 1987-07-28 1989-02-01 Mitsubishi Agricult Mach Parking brake device for working vehicle
US5366053A (en) * 1992-10-05 1994-11-22 Dana Corporation Vehicle transmission hill holder with releasable toothed clutch
JP2811523B2 (ja) 1993-02-26 1998-10-15 小松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産業車両の荷役及び走行制御装置
DE19517888A1 (de) * 1995-05-16 1996-11-21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Unter Last schaltbares Wendegetriebe
DE19630870A1 (de) * 1996-07-31 1998-02-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Fahrzeugs
JPH10132952A (ja) * 1996-10-30 1998-05-22 Kansei Corp 着座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524B1 (ko) * 2007-08-01 2014-04-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시동시 주차 브레이크 및 서비스 브레이크를제어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1487B1 (en) 2003-09-17
DE60005231D1 (de) 2003-10-23
JP2000309256A (ja) 2000-11-07
KR100368804B1 (ko) 2003-01-24
EP1031487A2 (en) 2000-08-30
DE60005231T2 (de) 2004-07-29
US6287236B1 (en) 2001-09-11
EP1031487A3 (en) 2002-05-08
JP3799903B2 (ja)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804B1 (ko) 산업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US7524268B2 (en) Drive control apparatus for forklift
US79595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and hydraulic pump of working vehicle
US7475753B2 (en) Drive control apparatus for forklift
JP5049782B2 (ja) 作業車両のリターダ制御装置及びリターダ制御方法
US20070080025A1 (en) Drive control apparatus for forklift
EP1395457B1 (en) A method for reversing the driving direction
CN1443123A (zh) 坡上自动摩擦离合器冲动转矩的计算
AU2013240097A1 (en) Rollback prevention system for mobile machine
KR20170091937A (ko) 작업기계의 오르막 경사로 밀림방지 시스템 및 방법
EP2862834B1 (en) Industrial vehicle
JP2005280559A (ja) 車両の発進制御装置
JP4113998B2 (ja) 産業車両の荷役及び走行制御装置
JP4524819B2 (ja) 産業車両のクリープ走行制御装置
JP4113997B2 (ja) 産業車両のインチング制御装置
JP3624930B2 (ja) 坂道発進補助装置
JP2008101680A (ja) 車両用の変速制御装置
JP3906431B2 (ja) 産業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01116071A (ja) 産業車両の荷役及び走行制御装置
JP3994598B2 (ja) 産業車両の荷役及び走行制御装置
JP4178693B2 (ja) 産業車両の荷役及び走行制御装置
JP2005280558A (ja) 車両の発進制御装置
JP2000304124A (ja) 作業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2008101522A (ja) エンジンの出力制御装置
JPS61105225A (ja) 産業車両におけるクラツチ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