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7964A - 발받침부 의자 - Google Patents

발받침부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7964A
KR20000057964A KR1020000005807A KR20000005807A KR20000057964A KR 20000057964 A KR20000057964 A KR 20000057964A KR 1020000005807 A KR1020000005807 A KR 1020000005807A KR 20000005807 A KR20000005807 A KR 20000005807A KR 20000057964 A KR20000057964 A KR 20000057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link
backrest
leve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1472B1 (ko
Inventor
칸유지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5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4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등받이 4 를 눕히면 발 받침 6 이 수평으로 들어올려지고, 일으키면 거의 연직 상태(수납 상태)가 되도록, 양자 4, 6 의 연계기구를 가지는 것으로, 등받이를 눕힌 상태에서, 연계기구의 연계를 해제하여 발 받침을 연직상태로 수납하고, 짐 꾸림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게한다. 또, 등받이를 일으키는 것만으로, 해제상태가 자동적으로 연계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연계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레버 24 를 2 분할하여 24A, 24B 로 하고, 각각의 링크 레버를 연결축 31 에 의하여 회동 자유롭게 연결하고, 통상 사용 시는, 양 링크 레버가 일직선상으로 일체화하여 보지하는 보지 수단을 가지며, 이 보지를 해제 수단에 의하여, 해제되도록 한다. 또, 해제된 상태에서, 등받이를 일으킴으로써 양 링크 레버를 일직선상으로 자동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마련한다.

Description

발받침부 의자{a chair with a foot-rest}
본 발명은, 발 받침을 구비하며 또한 등받이를 일으키고 눕히는 리클라이닝 (reclining) 기구를 가지는 의자로, 등받이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발 받침의 회동기구를 연동시켜, 등받이를 눕히는 동작에 연동하여 발 받침을 들어 올리며, 등받이를 일으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발 받침을 수납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4 에 근거하여, 종래의 등받이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발 받침의 회동기구를 연동하여, 등받이를 눕히는 동작에 연동하여 발 받침을 들어 올이고, 등받이를 일으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발 받침을 수납하도록 한 의자의 구성을 설명한다.
1 은 좌부(座部)의 골조가 되는 좌부 프레임(이하 “좌부”라 칭함)으로, 베이스 프레임 2 의 위에 세워서 설치된 지주 프레임 3 위에 지지되어 있다. 좌부 1 의 후방에는 등받이의 골조가 되는 등받이 프레임(이하 “등받이”라 칭함) 4 가 축 5 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또, 좌부 1의 전단(前端)에는, 발 받침의 골조가 되는 발 받침 프레임(이하 “발 받침”이라 칭함) 6이 축 7 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들 좌부 1, 등받이 4, 발 받침 6 은 쿠션 50 으로 덮여 있다.
등받이 4 의 하단과 좌부 1 의 앞 쪽 하면 사이에는, 등받이 4 를 일으키고 눕히는 리클라이닝 기구 8 이 장비되어 있다. 리클라이닝 기구 8 은, 케이스 9 와 케이스 9 내를 모터 10 에 의하여 이동하는 로드 11 로 구성되어, 케이스 9 의 한 끝이 등받이 4 의 하단에 축 12 로 연결되고, 로드 11 의 한 끝이 좌부 1에 축 13 으로 연결되어, 로드 11 이 케이스 9 내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등받이 4 가 눕고, 로드 11 이 역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등받이 4 가 일어선다.
좌부 1 의 하면에는 지지 프레임 14 가 고정되고, 이 지지 프레임 14 에는, 조작 레버 15 가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조작 레버 15 의 축 16 에 링크 레버 17 의 한 끝이 고정되며, 링크 레버 17 의 다른 끝에는, 링크 레버 18 의 한 끝이 축 19 에 의하여 축지지되고, 이 링크 레버 18 의 다른 끝이 축 20 에 의하여 발 받침 6 에 축지지되어 있다.
등받이 4 의 하단에는, 다시 링크 레버 24 의 한 끝이 축 51 로 축지지되고, 이 링크 레버 24 의 다른 끝에 링크 레버 25 의 한 끝이 축 26 으로 연결되어, 이 링크 레버 25 의 다른 끝 부가 상기 조작 레버 15 의 축 16 에 축지지되며, 또 링크 레버 17 에 밀어 올림 롤러 27 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등받이 4 가 일어난 상태에서는, 도 11 과 같이 링크 레버 25 와 밀어올림 롤러 27 은 떨어져 있으나, 리클라이닝 기구 8 에 의하여 등받이 4 를 눕혀 가면, 링크 레버 25 가 축 16 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밀어올림 롤러 27 을 밀어, 그 결과 링크 레버 17 이 회동하여, 링크 레버 18 을 매개로 하여 발 받침 6 을 들어올려 진다. 도 12 는, 등받이 4 가 최고로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반대로 등받이 4 가 일어나도 발 받침 6 은 도 11 의 상태로 돌아온다.
여기서, 링크 레버 24 나 25 및 밀어올림 롤러 27 이, 등받이 4 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발 받침 6 의 회동기구를 연동시키는 연계기구가 된다.
그리고, 발 받침 6 은, 조작 레버 15 에 의하여 등받이 4 의 눕히고 일으키는 동작에 관계없이 회동 조작된다. 즉, 조작 레버 15 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등받이 4 에 관계없이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양 링크 레버 17, 18 을 연결하는 축 19 가, 상기 조작 레버 15 의 축 16 과 링크 레버 18 의 다른 끝 축 20 을 연결하는 선보다 위쪽에 오면, 발 받침 6 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하며, 이 움직임에 의하여, 도 13 과 같이 링크 레버 18 의 배면부 30 이 링크 레버 17 의 다른 끝 부에 형성된 절결 23 에 맞닿아, 발 받침 6 을 이 위치에서 셀프 록 (self lock)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의자를 짐 꾸림을 할 경우, 등받이 4 가 일어선 상태로는 높이가 높게 되므로, 등받이 4 를 눕혀서 짐 꾸림을 하는 것이나, 그리 하면 발 받침 6 이 도 12 와 같이 들어올려지므로, 가로폭이 길게 되고 만다.
그래서, 종래에는, 링크 레버 24 의 한 끝과 등받이 4 의 연결부인 축 51 을 풀어서, 도 14 와 같이 링크 레버 24 를 아래로 내려, 발 받침 6 을 들어올리고 있던 지지를 풀고, 발 받침 6 을 도면과 같이 수납 상태로 하여 짐 꾸림을 해왔다.
그 때문에, 이 축 51 을 푸는데 공구가 필요하고 인력이 필요하며, 또 꾸린 짐에서 꺼내어 의자를 사용할 때에는, 이 분해된 링크 레버 24 를 등받이 4 에 연결하지 않으면 안되어, 매우 번거로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등받이를 눕힌 상태로 간단히 발 받침을 수납 상태로 되게 하여, 컴팩트한 짐 꾸림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짐을 풀고 사용함에 있어서도, 등받이를 일으키는 것만으로 통상의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하여, 하등의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극히 사용성이 뛰어난 발받침부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의자의 짐 꾸림 시의 측면도임.
도 2 는 상기 의자의 통상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등받이를 최대로 눕힌 상태의 도면임.
도 3 은 상기 의자의 통상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등받이를 일으킨 상태의 측면도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계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레버의 통상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임.
도 5 는 상기 상태의 링크 레버의 측면도임.
도 6 은 본 발명의 연계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레버의 일체화를 해제할 때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상기 상태의 링크 레버의 측면도임.
도 8 은 본 발명의 의자의 연계기구의 연계를 해제한 상태의 요부 확대 측면도임.
도 9 는 상기 의자의 연계기구의 연계가 복귀한 때의 요부 확대 측면도임.
도 10 은 본 발명의 보지 레버의 취부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임.
도 11 은 종래의 의자의 등받이가 일어서 있는 상태의 측면도임.
도 12 는 상기 의자의 등받이를 눕힌 상태의 측면도임.
도 13 은 상기 의자의 발 받침을 조작 레버로 최고로 들어올려서 셀프 록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임.
도 14 는 상기 의자의 짐 꾸림 시의 측면도임.
도 15 는 상기 의자의 등받이가 일어서 있는 상태의 측면도임.
* 부호의 설명 *
4 : 등받이 6 : 발 받침
8 : 리클라이닝 기구 17 : 링크 레버
18 : 링크 레버 24 : 링크 레버
24A : 한 쪽의 링크 레버 24B : 다른 쪽의 링크 레버
25 : 링크 레버 27 : 밀어 올림 롤러
33 : 보지 레버 31 : 연결 축
40 : 코일 스프링 41 : 요부
42 : 원호 면 43 : 토글 스프링
본 발명은, 등받이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발 받침의 회동기구를 연동시키는 연결기구를 설치하고, 이 연계기구에 의하여, 등받이를 눕히는 동작에 연동하여 발 받침을 들어올리며, 등받이를 일으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발 받침을 수납하도록 한 의자로, 상기 연계기구의 연계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과, 해제된 연계를 등받이를 일으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자동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등받이를 눕힌 상태에서, 해제 수단에 의하여 연계 기구의 연계를 해제함으로써, 발 받침을 수납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등받이를 일으키는 것만으로, 복귀 수단에 의하여 해제된 연계기구가 원래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함으로,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의자는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말하면, 상기 연계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레버의 하나를 2분할하고,
이 2 분할된 각각의 링크 레버를 연결 축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며, 통상 사용 시는, 양 링크 레버가 일직선 상으로 되도록 일체화하여 보지(保持)하는 보지 수단을 가지며, 상기 해제 수단에 의하여, 보지 수단의 보지를 해제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등받이를 눕힌 상태로 보지 수단의 보지를 해제 수단에 의하여 해제함으로써, 각각의 링크 레버는 연결 축을 중심으로 하여 꺾여서, 연결 기구로서의 기능을 가지지 않게 되며, 발 받침은 수납상태로 된다.
또, 상기 보지 수단으로서, 상기 분할된 한 쪽의 링크 레버에, 일직선상으로 된 다른 쪽의 링크 레버와 계합하는 보지 레버를 설치하고, 이 보지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계합을 해제함으로써, 양 링크 레버의 일체화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보지 수단과 해제 수단은, 하나의 보지 레버로 겸용된다.
또, 상기 일체화가 해제된 양 링크 레버는, 등받이를 일으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일직선상으로 복귀하고, 다시 한 쪽의 링크 레버에 설치한 상기 보지 레버가 다른 쪽의 링크 레버에 자동적으로 계합 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등의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의자는 통상의 사용 가능한 상태로 돌아온다.
또, 상기 보지 레버를 상시 다른 쪽의 링크 레버와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보지 레버에 의한 양 링크 레버의 일체화의 보지와, 일체화가 해제된 양 링크 레버가 등받이를 일으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복귀하는 복귀 동작을 확실히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9 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종래와 마찬가지의 것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등받이 4 의 동작과 발 받침 6 의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계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레버 24, 25 중의 하나의 링크 레버 24 를 2 분할하여 24A, 24B 로 하고, 각각의 링크 레버 24A, 24B 를 연결축 31 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한 것이다. 양 링크 레버 24A, 24B 는 횡단면 형상이 コ 자 형을 하고 있으며, 한 쪽의 링크 레버 24A 는 コ 자 형의 개방면이 위쪽이 되도록 배설 되며, 다른 쪽의 링크 레버 24B 는 コ 자 형의 개방면이 아래쪽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상기 한 쪽의 링크 레버 24A 의 연결축 31 의 근방의 일 측면에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옆으로 길게 슬리트 32 가 형성되고, 이 슬리트 32 와 대면하는 타 측면에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지 레버 33 의 일 단부 34 가 추착(樞着)되며, 이 보지레버 33 의 선단은, 슬리트 32 에서 돌출되어 있다.이 돌출한 부분을 가지고, 보지 레버 33 을 일단부 34 를 지점으로 하여 슬리트 32 에 따라서 좌우로 요동시킬 수 있다.
보지 레버 33 의 일 단부 34 는,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레버 24A 의 다른 측면에 설치한 구멍 35 보다 돌출하여, 이 돌출한 부분에는 수나사 36 이 나사가공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 36 에 와셔 37 을 개재하여 너트 38 을 체결함으로써, 이 일 단부 34 를 지점으로 하여 보지 레버 33 은 좌우로 요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보지 레버 33 의 중앙부에는 와셔 39 가 취부되어, 이 와셔 39 와 링크 레버 24A 의 타 측면과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40 이 개재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 40 은, 보지 레버 33 을 링크 레버 24A 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가세되어 있다.
다른 쪽의 링크 레버 24B 의 일 측면의 연결축 31 가까이의 선단부에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 요부 41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일 측면 선단의 상기 요부 41 과 인접하는 면은 원호 면 42 로 되어 있다.
또 한 쪽의 링크 레버 24A 의 등받이 4 와의 연결부인 축 51 의 주위에는 토글 스프링 43 이 장착되어 있다. 이 토글 스프링 43 은, 링크레버 24A 에 도 8 에 있어서 축 51 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주는 것이다.
통상의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도 4 나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링크 레버 24A, 24B 는 일직선상으로 되며, 상기 요부 41 에 보지 레버 33 의 측면이 계합되어 있다. 이 계합은, 상기 코일 스프링 40 이 보지 레버 33 을 링크 레버 24A 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가세하고 있는 것이나, 토글 스프링 43 으로 링크 레버 24A 가 시계 방향으로 가세됨으로써, 보지 레버 33 이 요부 41 에 강하게 계합함으로써 풀어지는 일이 없고, 결국 양 링크 레버 24A, 24B 는 일직선상으로 일체화되게 되어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는 일체화된 링크 레버 24A, 24B 는 종래의 링크 레버 24 와 같은 일을 한다. 도 3 은 등받이 4 가 일어선 상태를 도시하고, 도 2 는 등받이가 누운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보지 레버 33 과 코일 스프링 40 이나 요부 41 은, 통상 사용시에, 양 링크 레버 24A, 24B 가 일직선상이 되도록 일체화로 보지하는 보지 수단을 구성한다. 또, 코일 스프링 40 이 청구항 5 에서 언급한 가세 수단이 된다.
도 2 와 같이 등받이 4 가 누은 상태에 있어서, 보지 레버 33 의 선단 돌출부를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트 32 에 따라서 좌측으로 요동시키면, 상술한 보지 레버 33 과 요부 41 의 계합이 풀려서, 양 링크 레버 24A, 24B 의 일체화가 해제된다. 그 결과, 도 1 과 같이, 발 받침 6 을 들어올린 상태로 지지할 수 없게 되어, 양 링크 레버 24A, 24B 는, 연결축 31 을 중심으로 へ 자 모양으로 꺾여, 발 받침 6 은 수납 상태로 된다.
따라서, 짐 꾸림 시에, 이와 같이 등받이 4 를 눕힌 상태로, 보지 레버 33을 요동 조작하는 것만으로, 발 받침 6 을 수납 상태로 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으로 컴팩트한 짐 꾸림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지 레버 33 이, 등받이 4 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발 받침 6 의 회동기구를 연동시키는 연계기구의 연계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이 된다. 즉 보지 레버 33 은 보지 수단이기도 하고 해제 수단이기도 하다.
다음에 짐 꾸림 상태에서 풀어서 의자를 사용할 때에 관하여 설명한다. 등받이 4 를 일으키면, 링크 레버 24A 는 토글 스프링 43 을 매개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하고, 양 링크 레버 24A, 24B 가 이루는 각도가 서서히 작게 되어, 드디어, 보지 레버 33 의 측면이 링크 레버 24B 의 원호면 42 에 닿아서, 보지 레버 33 은 코일 스프링 40 에 저항하여 좌측으로 물러나면서 원호면 42 를 따라 이동하여, 요부 41 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양 링크 레버 24A, 24B 가 일직선상으로 되었을 때), 코일 스프링 40 의 가세력과 토글 스프링 43 의 가세력에 의하여, 요부 41 에 자동적으로 계합한다. 그리고, 양 링크 레버 24A, 24B 를 일직선상으로 일체화하여 보지한다.
따라서, 사용에 임하여는, 아무런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토글 스프링 43 이나 코일 스프링 40 이나 원호면 42 가, 등받이 4 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발 받침 6 의 회동 기구를 연동시키는 연계기구의 해제 상태를, 등받이를 일으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자동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의 구성요소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발 받침의 회동 기구를 연동시키는 연계기구의 연계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과, 해제된 연계를 등받이를 일으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자동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짐 꾸림 시에는, 등받이를 눕힌 상태로, 해제 수단에 의하여 연계기구의 연계를 해제함으로써, 발 받침을 수납상태로 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으로 컴팩트한 짐 꾸림이 가능하게 된다. 또, 짐을 풀고 사용할 때에는, 등받이를 일으키는 것만으로 복귀 수단에 의하여 해제된 연계기구가 원래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으므로, 하등의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극히 사용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Claims (5)

  1. 등받이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발 받침의 회동기구를 연동시키는 연계기구를 설치하고, 이 연계기구에 의하여, 등받이를 눕히는 동작에 연동하여 발 받침을 들어올리고, 등받이를 일으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발 받침을 수납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계기구의 연계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과, 해제된 연계를 등받이를 일으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자동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구비한 발받침부 의자.
  2. 상기 연계기구를 구성하는 링크 레버의 하나를 2 분할하고, 이 2 분할한 각각의 링크 레버를 연결축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통상 사용 시에는, 양 링크 레버가 일직선상으로 되도록 일체화하여 보지하는 보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해제 수단에 의하여, 부지 수단의 보지를 해제하도록 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받침부 의자.
  3. 상기 보지 수단으로서, 상기 분할된 한 쪽의 링크 레버에, 일직선상으로 된 다른 쪽의 링크 레버와 계합하는 보지 레버를 설치하고, 이 보지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계합을 해제함으로써, 양 링크 레버의 일체화를 해제하도록 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받침부 의자.
  4. 상기 일체화가 해제된 양 링크 레버는, 등받이를 일으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일직선 상으로 복귀하고, 다시 한 쪽의 링크 레버에 설치된 상기 보지 레버가 다른 쪽의 링크 레버에 자동적으로 계합하도록 한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받침부 의자.
  5. 상기 보지 레버를 상시 다른 쪽의 링크 레버와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 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받침부 의자.
KR1020000005807A 1999-02-22 2000-02-08 발받침부 의자 KR100341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339799A JP3579284B2 (ja) 1999-02-22 1999-02-22 フットレスト付き椅子
JP1999-43397 1999-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964A true KR20000057964A (ko) 2000-09-25
KR100341472B1 KR100341472B1 (ko) 2002-06-21

Family

ID=1266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807A KR100341472B1 (ko) 1999-02-22 2000-02-08 발받침부 의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79284B2 (ko)
KR (1) KR100341472B1 (ko)
CN (1) CN1148134C (ko)
TW (1) TW5727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5732B1 (en) * 2002-07-16 2003-12-02 La-Z-Boy Incorporated Multiple position leg rest mechanism for a reclining chair
JP4552047B2 (ja) * 2003-12-12 2010-09-29 株式会社いうら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車椅子の脚部支持枠の連動及び非連動機構
CN102860695B (zh) * 2012-09-19 2015-05-27 浙江恒林椅业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的搁脚架调节结构
IT201900006588A1 (it) * 2019-05-09 2020-11-09 Altaflex Srl Dispositivo alzapiedi per divani let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72741B (en) 2004-01-21
JP2000236978A (ja) 2000-09-05
JP3579284B2 (ja) 2004-10-20
CN1148134C (zh) 2004-05-05
KR100341472B1 (ko) 2002-06-21
CN1264562A (zh) 200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347B2 (en) Footrest mounting arrangement for an article of furniture
US20040004380A1 (en) Chair
US8931848B2 (en) Rotating footrest assembly for a seat
JP2011136039A (ja) ロッキング椅子
KR100341472B1 (ko) 발받침부 의자
JP3551811B2 (ja) 可動什器のストッパー装置
JP3614408B2 (ja) 移動机
JP4818692B2 (ja) テーブル
JP4908825B2 (ja) キャスタ用ロック装置
JP2003081581A (ja) 車輌整備用リフトのスイングアーム
JPH1182881A (ja) 機器用調整脚
JP4350025B2 (ja) 椅子用レバー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JP2010207270A (ja) 収納式多目的シート
JPH0541067Y2 (ko)
JP2001327356A (ja) ラチェット式レバー機構
JPS6326253Y2 (ko)
JPH042584Y2 (ko)
JP2721588B2 (ja) 移動家具
JPH048818Y2 (ko)
JP2547026Y2 (ja) 稼働家具類の位置決めロック装置
KR200243561Y1 (ko) 틸팅 의자용 베이스
JP2007068920A (ja) 電動昇降椅子
JP2721589B2 (ja) 移動家具
JP3515723B2 (ja) 昇降キャスタ
JP2003009999A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