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7708A -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7708A
KR20000057708A KR1020000000106A KR20000000106A KR20000057708A KR 20000057708 A KR20000057708 A KR 20000057708A KR 1020000000106 A KR1020000000106 A KR 1020000000106A KR 20000000106 A KR20000000106 A KR 20000000106A KR 20000057708 A KR20000057708 A KR 20000057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assembly
pole
breakers
pole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산드로시아라
Original Assignee
에넬 디스트리부지오네 에스. 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넬 디스트리부지오네 에스. 피.에이. filed Critical 에넬 디스트리부지오네 에스. 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0005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1Combination with other type of switch, e.g. for 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01H33/121Load break switches
    • H01H33/125Load break switches comprising a separate circuit breaker
    • H01H33/127Load break switches comprising a separate circuit breaker movable with a sectionalising contact arm and operated by such mov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8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vertical withdraw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2009/0292Transparent window or opening, e.g. for allowing visual inspection of contact position or contact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01H33/56Gas reservoirs
    • H01H2033/568Gas reservoirs with overpressure release, e.g. rupture membranes

Landscapes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Breaker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Patch Board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Fish Paste Product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 Air Bag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1) 및 상기 조립체(10)를 포함하는 일차 배전소용 배전 시스템(51)의 동작 방법은 상기 조립체(1)의 금속 베이(2)를 횡방향 치수를 축소시켜 구성하므로써, 전송 가능한 모듈러 및 소형의 배전 시스템(51)을 실현하고, 상기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1)는 중간축(A, B, C)을 따라 연장된 각 절연 피드스루(29)을 갖는 차단기(4a, 4b, 4c)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차단기(4a, 4b, 4c)는 외부 단자(30, 31)가 상기 차단기(4a, 4b, 4c)의 중간축(A, B, C)에 평행한 일직선 경로상에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간축(A, B, C)에 평행한 주요 소자를 갖는 방향을 따라 상기 차단기(4a, 4b, 4c)를 변이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라인 분리를 실행 및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MULTI-POLE BREAKER ASSEMBL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일차 배전소의 소위 중 전압 (medium voltage) 배전 시스템 분야 내에 채용되는 유형의 멀티-폴 (multi-pole) 차단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적어도 하나의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특히 일차 배전소에 대해, 중 전압의 배전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는 각 차단기의 중간축을 형성하는, 그 우세 방향을 따라 전개되는 절연 케이스를 각각 가지는 차단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 조립체의 차단기의 중간축은 서로 평행하며, 차단기는 라인 분리 (line disconnection)를 행하도록 각 입력 및 출력 외부 컨택트와 관련하여 이동되는 데에 적합하다.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는 단락 회로 전류시나 정상 동작 전류시에, 전기 회로의 차단, 즉 컷오프의 기능 및 전기 회로의 제조를 실행하는 전기 장치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
더구나, 이 차단기를 이동시킴으로써, 그 결합된 네트워크의 분리, 예를 들어 일차 배전소로부터 나오는 중 전압 라인의 분리가 실행되게 된다.
소위 중 전압의 범위 (1 - 52kV) 내에서의 이런 유형의 장치는, 회로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상호 작용하기 적합한, 고정 내부 컨택트와 가동 내부 컨택트를 포함하는 차단기를 이용한다. 이들 내부 컨택트들은 적합한 입력과 출력 도전 로드로 절연 케이스의 단부에 통상 배열된 각 외부 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특정 유형의 조립체는 이들의 구조와 유전 매체에 대해 서로 구별 가능한 폭넓은 범위의 차단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전류가 내부에서 순환할 때 형성되는 전기 방전을 셔트오프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상기 내부 컨택트가 매립되어 있다.
가장 흔한 중 전압 차단기는: 감압 오일; 공기, 소위 자기 블로우 아웃(blow out) 차단기; 및 설퍼 헥사플루오라이드(SF6)를 갖는 유형으로 되어 있다. 몇년 전에, 내부 컨택트의 분리가 진공 중에서 발생하는 차단기, 즉 소위 진공병 차단기가 도입되었다. 이 후자 유형의 차단기는 특히 소형이며, 경량이어서, 배전 시스템의 규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런 감소는 비용 효율면에서 확실한 장점을 제공하여, 상술한 배전 시스템을 이송 가능한 방법으로 실현하였으며 비상 상태나 고정 설비시 일차 배전소에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배전 시스템에서,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는 통상 내장되며, 상기 배전 시스템의 셀이나 모듈의 일종을 형성하는 금속 벽 베이(bay)를 포함한다.
금속 벽과 각 차단기 사이의 전기적 절연은 공기중의 간격으로 두 소자의 분리를 보장하며, 소위 공기 절연으로 불리는 전기 장비의 특정 공기중 절연 간격을 제공하도록 하는 특정 규칙이 존재하여, 과전압의 경우 이들 성분 사이의 갑작스런 전기적 아크의 스파클을 방지할 수 있다.
명백하게, 이러한 최소 절연 거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인의 결합 또는 분리를 행하기 위해 이동되는 차단기의 위치와 관계 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들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공지의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는 상기 위치에서 예를 들어, 일차 배전소로 이송 가능한 중 전압부로서 각종 이용에 적합한 이송 가능 구조물을 형성하는 배전 시스템의 평준화된 모듈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체의 베이의 횡방향 치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사실상, 이런 조립체는 주로 두 개의 다른 카테고리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카테고리 내에서는, 라인의 결합과 분리의 위치가 수평의 변이 이동, 즉 상기 중간축에 수직인 이동으로 실행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이다. 이런 유형의 조립체는 횡방향 치수를 가지고 있어 차단기 세트의 변이된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제2 카테고리에서는 차단기가 상기 중간축에 수직인 회전축에 대해서 변이되기 보다는 회전되는 조립체이다. 베이 내부의 공간 내측에서 발생해야 하는 이 회전은, 베이의 크기, 특히 폭방향의 크기를 최적화하지 못한다.
이런 유형의 조립체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 번호 0,543,683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기술적 문제는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상술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조립체의 크기와 그 베이의 크기를 최적화한다.
이 문제는 상기 라인의 결합과 상기 라인의 분리를 행하기 위해 상기 중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요 소자를 갖는 방향에 따라 상기 차단기를 변이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에서 특정된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에 의해 해결되며, 상기 중간축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상기 버스 바에 수직인 중간 수직면 상에 놓인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특정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와 결합된 일차 배전소의 중 전압 배전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외부 단자가 상기 차단기의 중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각 입력 및 출력 외부 컨택트와 상호 교차하는 일직선 경로 상에 배치되게 상기 차단기를 배치하는 단계 - 상기 중간축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상기 버스 바에 수직인 중간 수직면 상에 놓임 - ;
각 외부 단자가 미리 정해진 분리 거리에 위치될 때 까지 전기적 접속의 위치로부터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차단기를 이동시켜 상기 분리를 행하는 단계; 및
그 각 외부 단자가 상기 미리 정해진 분리 거리로부터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전기적 접속을 행하도록 상기 차단기를 이동시켜 상기 결합을 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와 이의 동작 방법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주요 장점은, 횡방향 치수가 감소된 금속 베이 내에 상기 조립체를 넣는 것이 가능하여, 필요한 공기중 절연 간격을 유지하며, 소형인 모듈화 배전 시스템의 실현이 가능해지며, 또한 이송 가능한 이용에 알맞은 일차 배전소에 매우 적합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 베이의 횡방향 치수의 감소는 차단기가 외부 컨택트에 관련하여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사실과 또한 외부 버스 바에 관련한 이들 차단기의 중간축의 수직 배열에 의해 제공된다.
특히, 상술된 진공병을 갖는 것과 같이 소형이며 경량인 차단기를 사용하여, 중 전압 배전을 위한 모듈러 형 조립체의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차단기 중간축이 외부 버스 바에 대해 수직인 수직면 상에 놓이는 것을 수반하는, 각 조립체의 차단기의 구성은 외부 컨택트와의 결합을 위해 정면상에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이 특성은 베이를 두 열로 배치된 쇼율더 투 쇼율더 (shoulder to shoulder)로 배치할 가능성을 제공하며, 이는 일반 로드 틈새 (road clearance)의 한계치 내에 즉, 2.5m를 초과하지 않는 폭으로 유지하는, 완성된 중 전압부를 성취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분리 위치인 제1 동작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결합 위치인 제2 동작 위치에서의 도 1의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특히 외부와 관련한 도 1의 조립체의 부분 단면과 사시도.
도 4는 이전의 도면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중 전압 배전 시스템의 개략도.
도 5는 모듈러 구조를 갖는, 도 4의 배전 시스템의 부분 단면 및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2 : 베이
3 : 하부 체스트
4 : 차단기
5 : 중간 체스트
6 : 버스 바
7 : 상부 체스트
8 : 접지
9 : 도어
10 : 태그 홀더
11 : 플레이트
12 : 제1 검사 개구
13 : 검사 윈도우
14 : 핸들
16 : 침니 통로
17 : 배기 덕트
18 : 제1 배기구
19 : 제2 배기구
20 : 플랩
51 : 전압 배전 시스템
53 : 버스 바 결합기
49 : 측정 및 보호용 전류 트랜스포머
37 : 접지 블레이드 스위치
55 : 접지 방향 보호용 각 전류 트랜스포머
도 4와 관련하여, 점선으로 참조 부호 la와 lb로 나타낸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일차 배전소의 중 전압 배전 시스템(51)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도시는 유니필러 (unifilar)형, 즉, 트랜스포머(1a)의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를 통해 고전압 - 중 전압 AT/MT 트랜스포머에 의해 공급되고 다음에 단일 열의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1b)에 공급하는 중 전압 MT의 라인으로 되어 있다. 도면에서, 두 분기의 상기 중 전압 라인(MT)은 병렬 연결된 트랜스포머(AT/MT)에 의해 공급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통상 적합한 버스 바 결합기(53)에 의해 동작시 분리되어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전 시스템(51)의 모든 조립체(1a, 1b)는 추출되어 원격 조절될 수 있으며, 즉 조립체(1a, 1b)는 분리 모드에 있을 때 각 베이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차단기 세트를 포함한다.
각 조립체(1a, 1b)는 한 쌍의 측정 및 보호용 전류 트랜스포머(49), 이로 인해 저 전압 전류가 각종 측정과 보호를 위해 사용되도록 인출되고, 및 각 접지 블레이드 스위치(37)를 갖는 접지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
측정 및 보호용 전류 트랜스포머(49)의 하류측에는, 배전 시스템(51)이 각 모듈(1a, 1b)에 대해 각 라인 조립체(1b)에서 단일 위상의 접지 이상을 검출하기 용이한 접지 방향 보호용 각 전류 트랜스포머(55)를 포함한다.
물론, 이것은 순수하게 개략적으로 예시화된 도시로서: 조립체(1a, 1b)는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더 많은 열로 특히 두 개의 측면 인접된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 조립체(1a) 및 라인 조립체(1b)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전압이 서로 다르지 않은데, 이들이 규격화되어 있어야 하는 정격 전류에 대해서는 제외하고, 명백히 동일하다.
특히, 트랜스포머 조립체(1a)의 정격 전류는 라인 조립체의 전류에 관련하여 약 두배이다: 정격 전류는 정격 전압 24kV에 대해 각각 1250A 및 630A가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립체(1a, 1b)는 다른 전기 규모로 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조립체 트랜스포머(1a)에 사용되는 다수의 입력 도체로 인해 폭방향의 치수가 변하게 된다.
특히 도 1과 관련하여,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는 전체를 참조 부호 1로서 나타나 있다. 이것은 대개 일차 배전소의 중 전압 배전 시스템에 포함되는 금속 벽을 갖는 보호용 베이(2)(도 3)를 포함하여, 세 개의 폴 형태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중 전압에 대해서는 장거리 라인의 고전압, 약 10-20kV이며 어쨌든 1과 52kV의 범위에 포함되는 고전압의 변환으로 전압이 유도된다.
간단히 말하면, 이 조립체(1)는 상술된 라인 조립체(1b)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3과 관련하여, 베이(2)는 길이 연장된 평행 6면체 형상의 박스형 케이싱으로 형성되며, 세개의 중첩된 체스트: 각각 4a, 4b 및 4c로 나타낸 세 개의 차단기(4) 세트를 내장한 제1 하부 체스트(3), 각각 6a, 6b, 6c로 나타낸 대응하는 세 개의 버스 바(6) 세트를 내장한 제2 중간 체스트(5), 및 몇개의 서비스 케이블 구획(27, 28)을 갖는 상부 체스트(7)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하부 체스트(3)는 그 저부에 접지(8), 및 그 정면 접근 측에서 측면으로 상부에서 저부 까지 저널된 도어(9); 라인 식별을 위한 태그 홀더(10); 단계 순서와 개요를 보고하는 플레이트(11); 도체의 온도의 광학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대개 금속 커버로 밀폐된 제1 검사 개구(12); 측면 상에서 차단기와 접지 블레이드 스위치(5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하부 체스트(3)의 검사 윈도우(13); 및 핸들(14)을 포함한다. 하부 체스트(3)는 도어(9) 이외에 동일한 정면 접근 측면 상에 중간 전압 케이블에서의 전압 존재나 부재를 검출하는 광 검출기(85)를 갖고 있다.
핸들(14)은 치수의 제한을 위해 도어(9)의 면과 동일한 높이에서 함몰된 형태로 되어 있다.
하부 체스트(3)의 금속벽과 차단기(4a, 4b, 4c) 사이와, 상기 차단기(4a, 4b, 4c) 각각 사이에는, 효율적인 안전 룰이 요구되는 유전 강도가 차단기(4a, 4b, 4c)의 동작 위치에 관계 없이 엄격하게 유지되는 적당한 공기 절연 간격에 제공된다.
중간 체스트(5)는 배면과 상부 벽에 평행하게 유지되는 버스 바(6a, 6b, 6c)가 횡방향으로 관통되어 내장되어 있다.
버스 바(6a, 6b, 6c)에는 본 조립체(1)의 고전압 라인에서 끝나는 전압 - 중 전압 AT/MT 트랜스포머 (도 4)에 의해 공급된다. 버스 바(6a, 6b, 6c)는 다음에 대응하는 중 전압 MT 라인에 공급한다. (조립체(1b)- 도 4 참조).
상기 중간 체스트(5)는 하부 체스트(3)의 지붕으로 작용하는 횡 방향 배플(baffle; 15)로 하부 체스트(3)와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횡방향 배플(15)에 형성된 제1 배기구(18)로부터 베이(2)의 상부 상에 형성된 제2 배기구(19)로 연장되며, 그 외부 상으로 방출되며 제2 플랩(20)에 의해 폐쇄되는 배기 덕트(17)를 포함하는, 침니(chimney) 통로(16)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제1 플랩(20)은 베이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어, 하부 체스트(3)에서의 제어되지 않는 방전에 의해 야기되는, 가능한 폭발 생성물의 배기를 가능하게 한다. 내부 과압이 없으면, 제1 플랩(20)은 침니 통로(16)를 폐쇄한 채 유지하여, 외부 작용물의 접근을 방지한다.
침니 통로(16)는 도시되지 않은 적당한 배기구로 연장되어, 상기 방전으로 생성될 가능성 있는 가스를 안전한 영역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버스 바(6a, 6b, 6c)의 셀을 형성하는 중간 체스트(5)는 장방형 지붕(21)에 의해 상부의 한계가 정해지고, 여기에 각각 22a, 22b, 22c로 나타낸 세 개의 절연체 세트가 고정되고, 대각 방향으로 배열 및 하향으로 대면되게 배열되어, 상기 대응하는 버스 바(6a, 6b, 6c)를 지지한다.
더구나, 지붕(21)은 외향으로 방출되며 제2 및 그 외 다른 플랩(24)으로 폐쇄되는 제3 및 그 외 다른 배기구(23)를 갖는다.
제2 플랩(24)은 베이(2)의 외부를 개방하는 데에 적합하며, 중간 체스트(5)에서의 폭발 생성물의 배기를 가능하게 한다. 내부 과압이 없으면, 제2 플랩(24)은 제3 배기구(23)가 폐쇄된 채 유지되어, 외부 작용물의 접근을 방지한다.
상기 개구(23)에 대해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것과 대응하는 배기 덕트가 있다.
또한, 중간 체스트(5)는 하부 체스트(3)와 공동 평면인 그 정면 접근 측면에, 금속 벽으로 폐쇄된 내부 도체 온도의 광학 검출에 사용되기 적합한, 제2 검사 홀(26)을 포함하는, 버스 바(6a, 6b, 6c)의 셀에의 접근 윙(25)을 갖는다.
상부 체스트(7)는 베이(2)의 상부, 즉 지붕(21) 상에 장착되며, 횡방향 및 중간 위치에 본 조립체의 구동과 제어에 사용되는 저전압 도체를 포함하는, 서비스 케이블 구획(27)이나 터널 케이블덕트; 및 보호 및 제어의 일반 기구를 포함하는 구획 또는 보호 및 제어 패널(28)을 포함한다.
상기 구획(27, 28)은 보통의 목공 작업으로 지붕(21) 상에 고정되는, 베이(2)와는 독립적인 박스형 구조물로 되어 있다.
상술한 체스트(3, 5, 7) 모두는 베이(2) 내부의 가능한 아크를 효율적으로 포함하기 위해, 외피가 금속인 셀로 실현된다.
하부 체스트(3) 내부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1)가 각 폴에 대해 하나씩인 차단기의 세트를 포함하고, 즉 세 차단기(4a, 4b, 4c)의 세트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며 상기 버스 바(6a, 6b, 6c)의 방향에 수직인 중간 수직면 상에 놓이게 된다.
다시 말해, 각 차단기(4a, 4b, 4c)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차단기(4a, 4b, 4c)의 중간축을 형성하는 주요 방향을 따라 전개되는, 유기 물질, 예를 들어 수지나 탄성체로 만들어진 유형이 바람직한, 각 절연 피드스루(feedthrough; 29)를 포함한다. 절연 피드스루(29)에는 또한 그 전기적 절연을 개선하도록 적당한 핀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립체(1)의 차단기(4a, 4b, 4c)의 각각 A, B, C로 나타낸 중간축은 서로 평행하며 버스 바(6a, 6b, 6c)에 수직인 상기 중간축을 정의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기(4a, 4b, 4c)는 절연 피드스루(29) 내에 내장되며 무기 재료, 예를 들어 세라믹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진공병 형태로 되어 있다.
진공병은 금속 플레이트로 둘러싸이며 진공병 내부의 일 단부에서 고정된 내부 컨택트를 갖고 있는 제1 도체 로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다른 단부에서는 각 차단기(4a, 4b, 4c)의 상부 상에서 대응하는 중간축(A, B, C)과 일직선으로 놓이는, 제1 외부 조우 (jaw) 단자(30)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진공병은 일반적으로 진공병 내부의 단부에 가동 내부 컨택트를 가지는 제2 도체 로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다른 단부에서는 그 저부에서 각 차단기(4a, 4b, 4c)의 측면에 제공된 제2 외부 조우 단자(31)에 결합되어 있다.
각 차단기(4a, 4b, 4c)에는 각 회로의 컷오프와 제조를 위해, 즉 고정된 내부 회로에 관련하여 가동 내부 컨택트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구동 수단(56)이 제공된다. 이 구동 수단은 상기 제2 도체 로드에 결합된 록 레버 (rocking lever)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 수단(56)은 상기 차단기(4a, 4b, 4c)에 인접하는, 조종 장치(32)에 의한 결합을 위해 동작된다.
차단기들은, 조종 장치(32)와 각 차단기(4a, 4b, 4c)의 구동 수단을 운동학상으로 결합하는 57로 나타낸 제어 샤프트를 포함하며, 차단기와 일체인 횡방향 지지 암(33)으로 상기 조종 장치(32)에 지지 및 결합되어 있다.
조종 장치(32)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더욱 빠르며 더욱 실질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도어(9)에 면해 있다.
상기 차단기(4a, 4b, 4c)는 라인 분리를 행하도록 각 입력 및 출력 외부 컨택트와 관련하여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립체(1)의 외부 출력 컨택트는 각 제1 외부 조우 단자(30)의 수직, 즉 중간 축 상에 배치된 상기 버스 바(6a, 6b, 6c)로 이루어진다.
지지 암(33)에서 분리를 행하는 상기 이동에 관련하여, 차단기 조립체(1)는 그 자체가 외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중간축(A, B, C)에 평행한 각 슬라이드 바(75)에 맞물린 적어도 하나의 부시(bush; 74)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바(75)는 미리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베이(2)의 금속벽에 고정되므로, 분리 위치에서 결합 위치로 및 그 반대로 이동하는 차단기(4a, 4b, 4c)에 의한 동작 경로를 정의하게 된다.
조립체(1)는 특수 제공된 전기 덕트(35) 즉 일차 배전소로부터 인출되는 중 전압 케이블에 의해 공급되는, 각 차단기(4a, 4b, 4c)의 측면으로 공급되는 제2 외부 컨택트(34)를 더 포함한다.
라인 조립체(1b) (도 4)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전기 덕트는 중 전압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고 따라서 미리 정해진 정격 전류 (예를 들어, 24kV에서 630A)로 규격화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제2 외부 컨택트(34)가 출력 컨택트로 고려되어야 한다.
반면, 트랜스포머 조립체(1a)(도 4)의 경우, 이 덕트(35)는 거의 이중 용량(24kV에서 1250A)를 보장하도록 이중화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외부 컨택트(34)는 인입되는 컨택트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한 쌍의 덕트(35)는 베이(2) 외부로 연장되어, 각 측정 및 보호용 전류 트랜스포머(49)에 이른다.
제2 외부 컨택트(34)는 각 제2 외부 조우 단자(31)의 수직, 즉 중간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차단기(4a, 4b, 4c)는 미리 배치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립체(1)의 각 외부 입력 및 출력 컨택트(6a, 6b, 6c 및 34)와 교차하며, 상기 차단기(4a, 4b, 4c)의 중간축(A, B, C)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선을 이루어는 경로 상에 그 외부 단자(30, 31)가 배치되게 된다.
상기 경로는 실질적으로 슬라이드 바(75)와 부시(74)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정된 동작 경로를 이룬다.
중 전압 케이블(35)은 도시되지 않은 특수 설치 지지대에 의해 베이(2)의 하부 체스트(3)의 금속 벽 상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외부 컨택트(34)는 다음에 도 4에서 50으로 나타낸 전기적 덕트(35)의 접지 블레이드 스위치를 갖는, 각각 36a, 36b, 및 36c로 나타낸 스트레인 절연체에 의해 베이(2)의 상기 금속 벽 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접지 블레이드 스위치는 상기 금속 벽에 힌지되며 상기 도어(9)의 측면에 위치된 제어 슬롯(38)과 회전되게 동작될 수 있는 분리 블레이드(37)를 포함한다.
블레이드(37)는 도 4에서 나타낸 접지(50)의 분리를 형성한다.
한편, 컨택트와 상부 단자(6a, 6b, 6c)에 대해서는, 각 제1 조우 단자(30)가 각 절연 피드스루(29)의 외부에서, 절연 피드스루(29)와 공동축이며 원통형으로 길이 연장된 절연 코팅층(39)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 제1 도체 바의 연장부 상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 횡방향 배플(15)은 상기 제1 조우 단자(30) 및 상기 절연 코팅층(39)의 수직축 상에, 상기 절연 코팅층(39)의 통로를 최소한으로 허용하는, 원통형상의 각 통로 홀(40)을 가지고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통로는 차단기(4a, 4b, 4c)의 올림에 의해, 즉, 분리 위치에서 결합 위치로의 수직 변이에 의해 결정된다.
절연 코팅층(39) 상의 중간 위치에서, 각 차단기(4a, 4b, 4c)는 가능한 내부 아크의 방지를 위해서, 예를 들어 반강성 러버인, 적어도 부분 가요성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컵 형상의 시일 부재(41)를 갖는다. 상기 시일 부재(41)의 에지는 결합 위치에서 제1 중간 횡방향 배플(15) 상에 접촉되어, 통로 홀(40)을 밀봉함으로써, 하부와 중간 체스트(3, 5)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부 방전으로부터 유도되는 과압 및/또는 방전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4a, 4b, 4c)가 올려져 결합 위치에 있을 때, 하부 체스트(3)와 중간 체스트(5)는 횡방향 배플(15) 및 수동으로 공동 동작하는 시일 부재(41)에 의해 분리되어 서로 절연되어 있다.
더구나, 상기 횡방향 배플(15)은 차단기(4a, 4b, 4c)가 내려져 있을 때, 즉 분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통로 홀(40)을 폐쇄하기 적합한, 푸시 로드(58)로 나타낸 운동 체인으로 인해 차단기(4a, 4b, 4c)의 이동과 동기하여 이동 가능한 셔터(42), 즉 금속 플레이트를 갖는다.
차단기(4a, 4b, 4c) 및 조종 장치(32)는 지지 플랫폼 부재(4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는 상기 라인 분리와 상기 결합을 실행하도록 상기 중간축(A, B, C)에 평행한 주요 소자를 갖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차단기(4a, 4b, 4c)를 변이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상기 중간축(A, B, C)에 평행하여 상기 외부 입력 및 출력 컨택트(6a, 6b, 6c)와 교차하는 상기 경로를 따라서 상기 외부 단자(30, 31)의 이동을 실현한다.
상기 변이 수단은 상기 지지 플랫폼 부재(43) 아래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4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엘리베이터 장치(44)는 기계적 구동형으로 되어 있으며 핀(59)에 대해 교차된 암(45)을 갖는 팬토그래픽 (pantographic)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스크루 샤프트(46)에 대해 동작하여 구동 가능하여, 각 힌지된 단부(60)와 가동 단부(61)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장치(44)의 특수 설치된 상부 트랙(62)과 하부 트랙(63) 상에서 주행되는 적당한 롤링 부재가 설치된 상기 암(45)의 넓은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이런 용도에 적합한 넓은 범위의 다른 엘리베이터 장치(44)가 이용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풀리 (pulley)를 이용한 시스템 또는 웜(worm)이나 기어 드라이브(gear drive) 등을 갖는 여러 기계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루 샤프트(46)는 내에 형성된 제1 드라이브 홀(64)로 인해 도어(9)를 통해 수동으로 동작되며, 차단기(4a, 4b, 4c)의 알맞은 중량으로 인해 크랭크 툴(47)은 100kg을 초과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스크루 샤프트(46)는 조종 장치(32) 아래 배치되며 리덕션 기어(65)에 결합된 크랭크 툴(47)과의 기계적 맞물림에 적합한 소켓(48)을 가진다.
팬토그래픽 시스템이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즉 차단기(4a, 4b, 4c) 세트와 조종 장치(32)가 분리 위치로 내려질 때, 차단기(4a, 4b, 4c); 조종 장치(32); 지지 암(33); 및 플랫폼 부재(43)에 의해 형성된 전체 시스템은 도어(9)를 통해 베이(2)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44)는 상기 교차된 암(45)의 상측 단부(61)에 고정된, 서로 대면하는 C 단면의 빔으로 이루어지는, 그루브되며, 평행한 대향 쌍의 일직선 슬라이드웨이(66)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부재(43)의 추출과 삽입을 위한 구동 수단을 위에 가지고 있다.
각 C 단면의 빔(66) 외부에는, 대응하는 가동 단부(61)에 대해 각 상부 트랙(6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웨이(66)는 상기 차단기(4a, 4b, 4c), 특히 엘리베이터 장치(44)의 구동 수단에 관련하여 플랫폼 부재(43)의 슬라이딩 수단을 형성하는, 상기 슬라이드웨이(66)에 삽입되기 적합한 슬라이딩 부재, 즉 지지 휠(67)의 측면에 제공된 상기 플랫폼 부재(43)에 대한 추출과 삽입 경로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휠(67)이 설치된 상기 플랫폼 부재(43)는 가동 장치의 트롤리를 형성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일체인 부품을 포함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부재(43)에서, 상기 차단기 조립체(1)는 상기 삽입과 추출 경로를 따른 차단기(4a, 4b, 4c)의 제1 위치 결정 수단(68)을 포함한다.
제1 위치 결정 수단(68)은 상기 플랫폼 부재(43)와 일체가 되도록 제공된 각 제1 가동 캐치 부재(69), 및 그 추출과 삽입을 위한 상기 구동 수단, 즉 슬라이드웨이(66)와 일체가 되도록 제공된 제2 고정 캐치 부재(7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캐치 부재(69, 70)는 차단기(4a, 4b, 4c)가 삽입과 추출 경로를 따라 제1 외부 컨택트(6a, 6b, 6c)의 상기 통로 홀(40)에서, 위치되어 있을 때, 상호 맞물리게 관련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차단기(4a, 4b, 4c)에 따르면, 상기 제1 가동 캐치 부재(69)는 상기 플랫폼 부재(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지지 로드(71) 상에 장착된, 동일 참조 부호로 나타낸, 각 캐치 핀을 포함한다.
각 캐치 핀(69)은 대응하는 슬라이드웨이(66)에 대향되며, 제1 압축 탄성 부재(72), 즉 플랫폼 부재(43)에 의해 지지된 본 실시예의 스프링에 의해 밀어진다.
지지 로드(71)는 그들의 자유 단부에서, 플랫폼(43)의 정면측 상에 제공된, 각 삽입 핸들(7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단기(4a, 4b, 4c)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고정 캐치 부재(70)는 차단기(4a, 4b, 4c)가 삽입과 추출 경로 상에서 제1 외부 컨택트(6a, 6b, 6c)의 상기 통로 홀(40)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캐치 핀(69)과 맞물리게 수용되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낸, 각 캐치 홀을 포함한다.
캐치 홀은 각 슬라이드웨이(66) 내에 직접 형성되어 있다.
핀(69)이 각 홀(70) 내에 맞물릴 때, 즉 지지 로드(71)와 삽입 핸들(73)이 결합 위치에 의해 부여되는 위치에 있을 때, 도시하지 않은 적당한 시스템이 엘리베이터 장치(44)에 의해 차단기(4a, 4b, 4c)가 올려지게 한다.
더구나, 도어(9)의 폐쇄는 캐치 핀(69)이 맞물림 상태에 있을 때에만 가능하다.
상기 지지 암(33)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기 조립체(1)는 내려진 분리 위치와 올려진 결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동작 경로를 따라 차단기(4a, 4b, 4c)의 제2 다른 위치 결정 수단(76)을 포함한다.
제2 위치 결정 수단(76)은 상기 지지 암(33)과, 즉, 상기 차단기(4a, 4b, 4c)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 각 다른 제1 가동 캐치 부재(77), 및 분리 및 결합을 위한 구동 수단, 즉 슬라이브 바(75)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 제2 고정 캐치 부재(78)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캐치 부재(76, 78)는 차단기(4a, 4b, 4c)가 결합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호 맞물리게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조립체(1)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가동 캐치 부재(77)는 조인트(80)에서 상기 지지 암(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지지 로드(79) 상에 제공된, 동일 참조 부호로 나타낸, 각 포올(pawl)을 포함한다.
각 포올(77)은 대응하는 슬라이드 바(75)에 대면하고 있어, 제2 압축 탄성 부재(81), 즉 본 실시예에서 지지 암(33)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드 바에 대해 밀어진다.
상기 제4 캐치 부재(78)는 슬라이드 바(75) 상에서 차단기(4a, 4b, 4c)가 올려진 결합 위치에 제공될 때 상기 포올(77)과 맞물리게 수용되는, 동일 참조 부호로 나타낸, 클레프트(cleft)를 포함하고 있다.
차단기 조립체(1)는 상기 조인트(80)에 결합되며 베이(2)의 정면 금속 벽에서 구동 단부(83)로 끝나는 구동 로드(82)를 더 포함한다.
도어(9)는 상기 구동 단부(83)에서, 도시되지 않은 적당한 기구로 상기 제2 위치 결정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2 드라이브 홀(84)(도 3)을 구비한다.
포올(77)이 각 클레프트(78)와 맞물릴 때, 도시하지 않은 적당한 시스템이 차단기(4a, 4b, 4c)에 의해 결정된 피드스루 절연체 내부의 회로의 제조를 위해 구동 수단(56)의 구동에의 승인을 제공한다.
상기 조립체(1)의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차단기(4a, 4b, 4c)는 분리 상태에 있으며; 엘리베이터 장치는 내려져 있고, 이 때 암(45)은 상호 중첩되어 있다.
차단기(4a, 4b, 4c)의 단자(30, 31)는 중간축(A, B, C)과 평행한 주요 소자를 갖는 일직선 통로 상에 있는데, 즉 엘리베이터 장치(44)에 의해 결정된 외부 단자(30, 31)의 경로는 수직이며 상기 중간축(A, B, C)에 평행하다.
상기 통로는 버스 바(6a, 6b, 6c) 또는 제2 외부 컨택트(34)인, 각 외부 컨택트와 상호 교차한다.
특히, 각 외부 단자(30, 31)와 각 입력 및/또는 출력 외부 컨택트(6a, 6b, 6c, 34)사이에는, 안정 필요 조건으로 결정된 미리 정해진 분리 거리(54)가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경우, 이 거리는 약 30cm인데, 따라서 이것은 분리 위치와 결합 위치 사이의 동작 경로의 길이가 된다.
도 1에서, 조립체(1)는 차단기(4a, 4b, 4c)가 분리 위치에 대응하는 삽입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추출 위치에서 삽입 위치로 이전하기 위해서는, 지지 휠(67)을 슬라이드웨이(66) 내로 삽입하고; 플랫폼 부재(43)을 상기 삽입 및 추출 경로를 따라 밀고; 삽입 핸들(73)에 대해 제1 탄성 부재(72)의 작용과 반대로 동작하여 슬라이드웨이(66)의 내측으로 캐치 핀(69)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핸들(73)에서 각 캐치 홀(70) 내에 상기 핀(69)이 용이하게 맞물리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제, 외부 단자(30, 31) 및 외부 컨택트(6a, 6b, 6c, 34)가 상술된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9)의 폐쇄가 가능하게 되고: 다음의 단계는 차단기(4a, 4b, 4c)의 올림을 위해 설치된 기구, 특히 크랭크 툴(47)로 드라이브 홀(64, 84)을 통해 도어(9)가 폐쇄된 채 실행된다.
라인의 결합을 행하기 위해서, 먼저 접지 블레이드 스위치(50)의 컷오프를 동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에, 엘리베이터 장치(44)는 각 외부 단자(30, 31) 및 각 입력이나 출력 외부 컨택트(6a, 6b, 6c, 34) 사이의 실질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때 까지 플랫폼 부재(43) 및 세 개의 차단기(4) 세트의 수동 올림을 행하도록 크랭크 툴(47)로 구동된다.
상기 제2 위치 결정 수단(76)으로 위치 결정이 실행된다. 포올(77)이 각 캐치 클레프트(78)와 맞물릴 때, 조 단자(30, 31) 및 외부 컨택트(6a, 6b, 6c, 34)가 접촉하게 되어, 제공된 전류, 즉 정격 값의 전류의 흐름을 문제 없이 가능하게 한다.
포올(77)과 클레프트(78) 사이의 맞물림이 기계적 해제로 자동적으로 발생하고: 클레프트(78)의 위치는 상기 필요 조건의 충족을 확실하게 한다.
특히, 클레프트(78)의 폭은 상기 외부 전기적 컨택트에서 조우 단자(30, 31)의 각 외부 컨택트(6a, 6b, 6c, 34) 내로의 미리 정해진 관통을 형성하는, 가능한 승인과는 관계 없이 최적의 컨택트 영역을 형성한다.
회로는 클레프트(78) 내부의 포올(77)의 위치 결정을 검출하는 시스템에 의해 성취되는 승인으로 인해, 진공병의 컨택트를 행하여 폐쇄될 수 있다. 이것은 구동 수단(56) 상에서 원격 구동으로 조종 장치(32)를 통해 발생하게 된다.
이들 단계는 분리 동작을 위해서는 반대로 실행되게 된다.
회로가 진공 벌브에서 제2 드라이브 홀(84)을 통해 적당한 기구로 동작하는, 상기 원격 구동으로 일단 컷오프되면, 클레프트(78)로부터 포올(77)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런 해제가 전류 부재시에만 가능하다는 것을 적당한 제어 시스템에 의해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한다.
이제 상기 분리 거리(54)를 재설정할 때 까지 플랫폼 부재(43)의 하강을 성취하도록 크랭크 툴(47)이 동작된다.
일단 하강이 완료되고, 접지 블레이드 스위치(50)를 폐쇄한 후에는, 도어(9)를 개방하고; 캐치 핀(69)을 캐치 홀(70)로부터 해제하도록 삽입 핸들(73)을 동작시키고; 상기 핸들(73)에 대해 견인력을 가해 차단기(4a, 4b, 4c), 플랫폼 부재(43), 구동 수단(56)을 갖는 조종 장치(32) 및 제2 위치 결정 수단(76)으로 형성된 모든 장비를 추출할 수 있다.
직각 삽입 높이에 위치된 플랫폼 부재(43)의 지지 휠(67)로, 엘리베이터 장치(44)의 정면에 상기 장치의 위치 결정에 이용되는, 슈트 (chute), 시스템 또는 도시하지 않은 등가의 기구에 의해 삽입 뿐만 아니라, 추출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상술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된 유형의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1a, 1b)를 포함하는, 중 전압 배전 시스템(51)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조립체(1a, 1b)는 소위 쇼울더 투 쇼울더의 구성으로, 각 배면측이 후자의 배면측에서 베이(2)에 대향하도록 부착되어 구성된 51a, 51b로 나타낸 두 열의 베이(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중간 체스트(5)의 접근 패널(25) 뿐만 아니라, 각 하부 체스트(3)의 도어(9)는 두 측면이 접한 열(51a, 51b)의 외부 측면에 면해 있다.
이 쇼울더 투 쇼울더 구성은 차단기의 중간축이 베이의 정면 도어에 수직인 중간 수직면 상에 실질적으로 놓여 있다는 사실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35), 외부 컨택트(34) 및 접지 블레이드 스위치(50)는 베이의 측면 상에 배치되며 도어(9)에 의해 정면에서 접근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전 시스템(51)은 총 10개의 베이, 즉 열(51a, 51b)에 대해 5개씩의 베이(2)를 포함한다. 배전 시스템은 도 4에서 나타낸 과전압 방전기(52) 하류측의 AT/MT 트랜스포머로 직접 공급되는, 트랜스포머 조립체를 코너 위치에 포함하고 있다.
배전 시스템(51)은 또한 트랜스포머 조립체(1a)로부터 제1 열(51a)을 따라 버스 바(6a, 6b, 6c)를 갖는다. 시스템(51)의 대향 단부에 이르면, 버스 바(6a, 6b, 6c)는 U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2 열(51b)과 반대로 교차한다.
상기 버스 바(6a, 6b, 6c)는 그들의 경로에서 다른 9개의 라인 조립체(1b)를 통과하고, 그 배전 시스템(51)은 상기 트랜스포머 조립체(1a)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9개의 라인 조립체(1b)는 서로 완전히 독립적이며, 트랜스포머(1a)에 의해 병렬로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통상의 작업 상태에서 이들은 나머지 것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컷오프, 결합, 분리, 및 추출될 수 있다.
시스템(51) 내에 내장된 차단기가 전체 시스템(51)에 의해 형성된 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그 분리와 결합을 위해 변이된다는 사실로 인해, 전체 배전 시스템(51)의 횡방향 크기는 각 베이(2) 내부의 적당한 공기 절연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도 상기 변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인해, 배전 시스템(51)은 횡방향 치수를 최소한으로 축소시키고 특히 폭방향 치수가 소위 로드 틈새, 즉 2.5m 내에 들어가, 배전 시스템(51)을 가동 방식으로 이용하여, 브레이크다운, 이상 등의 상황을 해결한다.
더욱이, 상기 쇼울더 투 쇼울더 구성의 베이는 배전 시스템의 횡방향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시스템의 동작을 매우 용이하게 하며, 모든 전기적 제어 기구와 상기 조립체(1a, 1b)의 올림 수단에의 접근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상술한 차단기의 장치의 삽입과 추출의 단계가 매우 용이하게 되어, 신속한 제어, 보수 및 교체 단계를 가능하게 한다.
각 베이 내부의 상기 장치의 정확한 위치 결정은 동일한 단계로 삽입과 추출 및 올림의 수평 경로에 대해 변이되게 하여, 동일한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술된 조립체의 실현은 상용되는 유형의 차단기의 이용으로 가능하며, 특히 진공병 유형의 차단기를 이용하여 치수, 경량 및 취급에 관련하여 장점을 제공한다.
상술된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특히 일차 배전소에 대한 중 전압 배전 시스템 분야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중 전압 배전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해, 당업자라면 다른 몇 개의 변형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러나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27)

  1. 멀티-폴 (multi-pole) 차단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의 중간축을 구성하는 주요 방향을 따라 전개되는 절연 피드스루 (feedthrough)를 갖는, 각 폴의 차단기 - 상기 조립체의 상기 차단기의 상기 중간축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며, 상기 차단기는 서로 일체로 이루어지며 각 외부 입력과 출력 컨택트에 관련하여 이동되어 라인 분리를 행하고, 상기 외부 입력과 출력 컨택트는 서로 평행한 버스 바의 세트를 포함함 - ;
    상기 중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요 소자를 갖는 방향을 따라 상기 차단기를 변이시켜 상기 라인 결합과 상기 라인 분리를 일으키기 위한 수단 - 상기 중간축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상기 버스 바에 수직인 중간 수직면 상에 놓여 있음 -
    을 포함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수단은 상기 중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차단기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세개의 폴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컨택트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상기 중간축에 수직인 세 개의 버스 바 세트를 포함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금속 벽을 갖는 보호형 베이 (bay)의 체스트 (chest) 내에 내장되며, 필요한 절연 강도는 분리 위치에, 결합 위치에, 그리고 상기 분리 위치와 결합 위치 사이의 동작 경로를 따라, 유지되는 적당한 공기 절연 간격에 의해, 상기 금속 벽과 상기 차단기 사이에 제공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는 상기 차단기를 내장하는 제1 체스트, 상기 버스 바를 내장하는 제2 체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체스트는 각 차단기에 대해, 각 통로 홀, 및 차단기의 이동에 따라 동기하여 가동되며 차단기가 분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통로 홀을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셔터를 갖는 횡방향 배플 (baffle)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각 차단기는 결합 위치에서 상기 횡방향 배플 상에서 차단기와 접촉하기 적합하며, 상기 통로 홀을 밀봉하는 각 시일 부재를 갖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실질적으로 컵 형상인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스트는 상기 제1 체스트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횡방향 배플 내에 형성된 제1 배기구와 상기 베이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배기구 사이에 연장되며, 외부측으로 방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각 플랩으로 폐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 덕트를 갖는 침니 (chimney) 경로가 관통되어 있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스트는 외부측으로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배기구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플랩에 의해 폐쇄되는 지붕으로 상부의 한계가 정해지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각각은 그 상부 상에서 상기 중간 축과 일직선인 제1 외부 단자, 및 저부에서 상기 각 차단기의 측면에 배치된 제2 외부 단자를 포함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각 차단기의 대응하는 중간축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각 절연 피드스루 내에 내장된 진공병 형상으로 되어 있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와 각 장치는 지지 플랫폼 부재로 지지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지지 플랫폼 부재 아래에 제공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기계적 구동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스크루 상에서 구동 가능하게 동작하는, 교차 암 팬토그래픽 (pantogrphic) 시스템을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상기 교차된 암의 폭넓은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베이 내에 형성된 드라이브 홀을 통해 수동으로 동작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이들이 분리 위치에 있을 때 추출 가능 장치가 되고, 상기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는 추출과 삽입을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삽입과 추출 경로를 정의하는, 추출과 삽입을 위한 상기 구동 수단의 대응하는 그루브된 슬라이드웨이에 삽입되기 적합한 슬라이딩 부재가 설치된 트롤리를 포함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과 추출 경로를 따라 위치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차단기와 일체를 이루는 각 제1 가동 캐치 부재 및 추출과 삽입을 위한 상기 구동 수단과 일체를 이루는 제2 고정 캐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캐치 부재는 상기 차단기가 상기 삽입과 추출 경로를 따라 각 외부 컨택트에서 위치되어 있을 때 상호 맞물리게 결합되기 적합한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맞물림이 실현될 때, 상기 차단기의 변이 이동에 대한 승인이 제공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의 결합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의 동작 경로를 따른 다른 위치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차단기와 일체를 이루는 각 다른 제1 캐치 부재 및 다른 제2 고정 캐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캐치 부재는 상기 차단기가 결합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또 다르게 상호 맞물리게 결합되기 적합한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상호 맞물림이 실현될 때, 상기 각 전기 회로를 폐쇄하기 위한 승인이 제공되는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24. 각 폴에 대해 중간축을 구성하는 주요 방향을 따라 전개되는 절연 피드스루를 갖는 차단기 - 상기 차단기의 상기 중간축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차단기는 서로 일체로 되어 있으며 각 입력과 출력 외부 컨택트에 관련하여 이동되어 라인 결합과 분리를 행하고, 상기 외부 입력과 출력 컨택트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버스 바 세트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와 결합된 일차 배전소의 배전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가 상기 차단기의 중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각 입력 및 출력 외부 컨택트와 상호 교차하는 일직선 경로 상에 배치되게 상기 차단기를 배치하는 단계 - 상기 중간축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상기 버스 바에 수직인 중간 수직면 상에 놓임 - ;
    각 외부 단자가 미리 정해진 분리 거리에 위치될 때 까지 전기적 접속의 위치로부터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차단기를 이동시켜 상기 분리를 행하는 단계; 및
    각 외부 단자가 상기 미리 정해진 분리 거리로부터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전기적 접속을 행하도록 상기 차단기를 이동시켜 상기 결합을 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전 시스템 동작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일차 배전소에 대한 중 전압 (medium voltage)의 배전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트랜스포머 조립체로서의 상기 멀티-폴 차단기; 및 라인 조립체로서의 복수의 상기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 및 트랜스포머 조립체에는 동일한 버스 바가 통과되어 있는 중 전압의 배전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 및 라인 조립체는 소위 로드 틈새 (road clearance) 내에 들어 간 폭방향 치수를 차지하는, 두 개의 열을 따라 쇼울더 투 쇼울더로 배열된 각 베이에 배열된 중 전압의 배전 시스템.
KR1020000000106A 1999-01-05 2000-01-04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KR200000577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830001A EP1022757B1 (en) 1999-01-05 1999-01-05 Multipolar breaker assembly
EP99830001.6 1999-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708A true KR20000057708A (ko) 2000-09-25

Family

ID=824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106A KR20000057708A (ko) 1999-01-05 2000-01-04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6326567B1 (ko)
EP (1) EP1022757B1 (ko)
JP (1) JP2000209714A (ko)
KR (1) KR20000057708A (ko)
CN (1) CN1136594C (ko)
AT (1) ATE200162T1 (ko)
AU (1) AU1001100A (ko)
BR (1) BR0000007A (ko)
CA (1) CA2292050A1 (ko)
CZ (1) CZ299737B6 (ko)
DE (1) DE69900069T2 (ko)
ES (1) ES2157132T3 (ko)
GR (1) GR3035976T3 (ko)
HU (1) HU223486B1 (ko)
ID (1) ID24954A (ko)
IL (1) IL133539A (ko)
MY (1) MY116441A (ko)
NO (1) NO317520B1 (ko)
PL (1) PL194508B1 (ko)
PT (1) PT1022757E (ko)
RU (1) RU2260890C2 (ko)
TR (1) TR200000043A3 (ko)
UA (1) UA63961C2 (ko)
ZA (1) ZA9976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9346B2 (ja) * 2001-06-15 2006-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回路
US6538206B1 (en) * 2001-09-25 2003-03-25 Hubbell Incorporated Spacer for an insulator assembly
EP1339081B1 (de) * 2002-02-21 2004-06-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führung zum Führen eines elektrischen Leiters durch eine Gehäusewand
NO20044811A (no) * 2004-11-04 2006-03-13 Eb Elektro As Bryter for høy spenning og/eller strøm
DE102006061924A1 (de) 2006-12-21 2008-07-03 Siemens Ag Befestigungselement zur isolierenden Befestigung einer Stromschiene und Anordnung mit einer an einer Tragekonstruktion isoliert befestigten Stromschiene
KR100789447B1 (ko) 2006-12-29 2007-1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컴팩트 고체절연 개폐기
DE102008020753A1 (de) * 2008-04-18 2009-10-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utzvorrichtung gegen Berühren elektrischer Leiter in einer Stromverteilereinheit
CN102027652B (zh) * 2008-05-14 2014-10-22 机电应用咨询有限公司 变电所
WO2011032585A1 (en) * 2009-09-16 2011-03-24 EMAC (Electromechanical Applications Consulting) Limited Apparatus for protecting a medium voltage distribution transformer and the distribution line upstream of the transformer
EP2724432B1 (en) * 2011-06-21 2017-12-27 Labinal, LLC Sealed plug-in circuit breaker assembly
DE102012006920A1 (de) * 2012-04-05 2013-10-10 Abb Ag Schaltereinsatz eines elektrischen Installationsschalters
CN102738720A (zh) * 2012-06-29 2012-10-17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快速安装配电柜的设计方法
DE102013210136A1 (de) * 2013-05-30 2014-12-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s Schaltgerät
CN103560423A (zh) * 2013-10-21 2014-02-05 上海纳杰电气成套有限公司 配金属铠装移开式开关设备的可升降式转运小车
FR3015107B1 (fr) * 2013-12-17 2015-12-25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commande de la mise a la terre d'un appareillage de protection electrique moyenne tension constitue d'au moins deux appareils de protection electrique
CN104332869B (zh) * 2014-11-17 2017-02-01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断路器检修维护的操作装置
FR3089677B1 (fr) * 2018-12-11 2020-12-04 Socomec Sa Système de connexion/déconnexion sécurisé de puissance d’un module dans une alimentation sans interruption modulaire de forte puissance et installation associée.
JPWO2020217292A1 (ja) * 2019-04-23 2021-05-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及びスイッチギヤ群
CN111554535A (zh) * 2020-06-18 2020-08-18 江苏龙飞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中压一体化智能断路器
JP6983360B1 (ja) * 2020-10-08 2021-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
CN112233932B (zh) * 2020-10-26 2023-04-07 浙江康格电气有限公司 一种一二次融合成套柱上真空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2169A (en) * 1928-05-28 1932-06-07 Condit Electrical Mfg Corp Electric switch having raising and lowering mechanism therefor
US1832833A (en) * 1928-11-23 1931-11-17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Circuit breaker apparatus
DE1640019A1 (de) * 1966-04-06 1971-09-16 Elektriska Ab Delta Durch Heben und Senken ein- bzw.ausschaltbarer elektrischer Leistungsschalter auf Wagen
JPH06101276B2 (ja) * 1989-08-24 1994-12-12 三菱電機株式会社 断路器
FR2683939B1 (fr) * 1991-11-20 1993-12-31 Gec Alsthom Sa Disjoncteur auto-sectionneur a moyenne tension et application a une cellule et a un poste a moyenne tension.
FR2683938B1 (fr) * 1991-11-20 1993-12-31 Gec Alsthom Sa Disjoncteur-auto sectionneur a hexafluorure de soufre et applications aux cellules et aux postes et sous-stations prefabriques.
CZ279645B6 (cs) * 1992-03-26 1995-05-17 Čkd Trakce, A.S. Kontaktní systém proudového stykače
FR2731553B1 (fr) * 1995-03-08 1997-04-18 Gec Alsthom T & D Sa Disjoncteur auto-sectionneur a sectionnement auto-verrouille en position fermee des chambres de coupure
FR2737805B1 (fr) * 1995-08-08 1997-08-29 Gec Alsthom T & D Sa Rupto-fusible sectionneur
IT1298973B1 (it) * 1998-03-30 2000-02-07 Abb Adda S P A Montante per linee elettriche ad alta tensi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4954A (id) 2000-08-31
NO317520B1 (no) 2004-11-08
ATE200162T1 (de) 2001-04-15
CN1264911A (zh) 2000-08-30
AU1001100A (en) 2000-07-06
CZ200025A3 (cs) 2000-09-13
HUP9904640A2 (hu) 2000-08-28
TR200000043A2 (tr) 2000-08-21
NO20000005L (no) 2000-07-06
DE69900069T2 (de) 2001-09-20
NO20000005D0 (no) 2000-01-03
IL133539A (en) 2003-10-31
MY116441A (en) 2004-01-31
US6326567B1 (en) 2001-12-04
TR200000043A3 (tr) 2000-08-21
DE69900069D1 (de) 2001-05-03
JP2000209714A (ja) 2000-07-28
UA63961C2 (en) 2004-02-16
EP1022757A1 (en) 2000-07-26
EP1022757B1 (en) 2001-03-28
ZA997627B (en) 2000-06-14
PL337680A1 (en) 2000-07-17
CZ299737B6 (cs) 2008-11-05
HU223486B1 (hu) 2004-07-28
GR3035976T3 (en) 2001-08-31
RU2260890C2 (ru) 2005-09-20
CA2292050A1 (en) 2000-07-05
HU9904640D0 (en) 2000-03-28
PT1022757E (pt) 2001-09-28
PL194508B1 (pl) 2007-06-29
ES2157132T3 (es) 2001-08-01
CN1136594C (zh) 2004-01-28
BR0000007A (pt) 2001-03-20
IL133539A0 (en) 2001-04-30
HUP9904640A3 (en) 200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7708A (ko) 멀티-폴 차단기 조립체
US10587098B2 (en) Medium voltage switchgear enclosure
US5321221A (en) Self-disconnecting circuit-breaker for medium tension, and use thereof in a medium-tension station or bay
US7777150B2 (en) Three-pole apparatus for a medium or high voltage cubicle and associated cubicle comprising such a three-pole apparatus
US20020104827A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US9136077B2 (en) Three-phase, multi-way vacuum interrupter switchgear with internal ground switches
KR101716284B1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
ES2322828B2 (es) Aparamenta modular de distribucion electrica.
US4413166A (en) Disconnect switch
KR20010020865A (ko) 가스 봉입 개폐장치
JPH1146410A (ja) 電気設備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CN106972397A (zh) 充气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US5450281A (en) Receiving and transforming apparatus
MXPA00000262A (es) Conjunto interruptor de multiples polos
US20110068635A1 (en) Medium or high voltage switchgear apparatus and method of earthing
JPH0739027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H0125540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0959521B1 (ko) 진공 인터럽터 방식 부하개폐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큐비클형 개폐장치
JP2003259514A (ja) 複合型ガス絶縁開閉装置
BAIZDRENKO et al. NEW APPROACH TO DESIGN OF ADVANCED ETALON-TYPE SWITCHGEAR
JPH0732524B2 (ja) 密閉形電気機器の接続装置
JP2003018714A (ja) 複合型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