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7131A - 콜라겐재 및 그 제법 - Google Patents

콜라겐재 및 그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7131A
KR20000057131A KR1019990704398A KR19997004398A KR20000057131A KR 20000057131 A KR20000057131 A KR 20000057131A KR 1019990704398 A KR1019990704398 A KR 1019990704398A KR 19997004398 A KR19997004398 A KR 19997004398A KR 20000057131 A KR20000057131 A KR 20000057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medical
layer
yar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475B1 (ko
Inventor
야스히꼬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야스히꼬 시미즈
가부시끼가이샤 타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히꼬 시미즈, 가부시끼가이샤 타픽 filed Critical 야스히꼬 시미즈
Publication of KR2000005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89/04Products derived from waste materials, e.g. horn, hoof or hair
    • C08L89/06Products derived from waste materials, e.g. horn, hoof or hair derived from leather or skin,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3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L31/04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365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08Colla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3/00Prosthesis, i.e. artificial body members, parts thereof, or aids and accessories therefor
    • Y10S623/909Method or apparatus for assembling pros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3/00Prosthesis, i.e. artificial body members, parts thereof, or aids and accessories therefor
    • Y10S623/924Material characteri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3/00Prosthesis, i.e. artificial body members, parts thereof, or aids and accessories therefor
    • Y10S623/924Material characteristic
    • Y10S623/925Natu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525Coating or impregnation functions biologically [e.g., insect repellent, antiseptic, insecticide, bactericide, etc.]

Abstract

본 발명은,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 이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실 형상 재료, 및 이것들의 제조 방법, 및 이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재료, 특히 그 의료용 재료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대체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합성 고분자 재료를 병용하지 않고 콜라겐을 원료로 하며, 콜라겐이 본래 갖는 생화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봉합 가능한 정도의 물성을 가지며, 또 의료용 대체막은, 뇌경막, 심막, 흉막, 복막, 또는 장막 등 생체막의 결손 부분을 보충하는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어, 윤리상의 문제도 없이 안정되게 공급되며, 감염의 우려도 없고, 세포의 변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생체에 적용한 후의 분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생체막에 대하여 재생 촉진 작용을 갖는다.

Description

콜라겐재 및 그 제법 {Collagen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의료용 재료로서 사용되는 각종 소재 중, 동물 유래의 콜라겐은 생체 친화성 및 조직 적합성이 우수하고, 항원성이 낮으며, 숙주 세포의 분화, 증식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지혈 작용을 가지며, 생체내에서 완전히 분해 흡수되므로, 의료용 재료의 소재로서 특히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동물 유래의 콜라겐은 현재 I 내지 XIX 형까지가 발견되어 있으며, 이 중 I 내지 V형 콜라겐이, 의료용 재료로서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세포외 매트릭스로서 다양한 I형 콜라겐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소, 돼지, 닭, 캥거루 등의 동물 피부, 뼈, 연골, 힘줄, 장기 등 각종 기관의 결합조직에서 산 가용화법, 알칼리 가용화법, 중성 가용화법, 효소 가용화법 등에 의해 추출 및 정제된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추출 콜라겐은, 분자 수준에서는 모노머 내지 올리고머 정도로까지 분해된 것이며, 분말형 또는 액상으로 보존된다. 이러한 추출 콜라겐은, 콜라겐 분자가 모노머 내지 올리고머 정도로 분해된 상태이기 때문에, 물, 체액 또는 혈액 등과 접촉하면, 매우 빨리 겔화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이러한 콜라겐을 의료용 재료로서 성형하여 사용할 때는, 가공시에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 나일론, 실리콘 등의 합성 고분자 재료의 표면을 콜라겐으로 피복하여 사용하거나 또은 생체에 적용했을 경우에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그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추출 콜라겐의 성형물을, 가교제에 의한 화학적 가교 처리 또는 방사선, 전자선, 자외선, 또는 열 등에 의한 물리적 가교 처리에 부쳐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추출 콜라겐은 실 형상으로 가공되어, 의료용 실로서도 사용되는데, 그 방사에는 습식 방사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콜라겐을 합성 고분 재료와 조합한 재료의 경우, 합성 고분자 재료가 생체내에 이물질로서 잔존하여 육아(肉芽) 형성, 염증 등의 장해를 야기하기 쉬우며, 이와 같은 재료를 모든 세포나 장기에 적용할 수는 없다. 또, 콜라겐 재료에 가교 처리를 하여도 콜라겐 재료의 물성, 특히 인열 강도는 거의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가공하여 봉합을 필요로 하는 의료용 재료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글루탈알데히드 또는 에폭시 등의 가교제를 이용하면, 가교제 자체의 생체에 대한 독성이 문제가 될 뿐아니라, 콜라겐이 본래 갖는 생화학적 특성, 특히 세포증식에 대한 촉진 효과가 없어진다는 결점도 있다. 또한 물리적 가교 처리는, 가교율이 불안정하여 충분한 물성을 부여할 수가 없으며, 생체내에서의 흡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가교 처리하기도 곤란하였다. 한편, 방사된 콜라겐도 충분한 강도를 갖지 않기 때문에 봉합사로서는 불충분하였다.
또 한편, 각종 질환 또는 외상 등 때문에, 뇌 또는 각종 장기의 외과 수술을 하고 수술 상처를 닫을 때, 절개한 뇌경막, 심막, 흉막, 복막 또는 장막 등을 재봉합하여 폐쇄할 필요가 있는데, 봉합 재료에 의한 단축분이 발생하거나 막이 부분적으로 절제(切除)되기 때문에 수술 상처를 완전히 폐쇄할 수 없어, 막에 결손부가 발생하는 수가 많다. 이러한 결손부를 그대로 방치하면, 막의 결손 부분에서 뇌, 심장, 폐, 창자 등의 장기가 이탈되어 중대한 장해를 일으키거나, 장기 또는 장기 주변에서 물이나 공기가 누출되어 수술 상처가 치유되지 않는다. 또한 장기가 주위 조직과의 유착을 일으키기 때문에 조직이 손상하여, 양호한 치료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래는, 이 결손 부분의 보충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대체막으로서, 사체에서 채취한 동결 건조 인간 뇌경막 또는 다공성의 연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재(EPTFE)(조직용 고어텍스, 등록 상표), 폴리프로필렌 메쉬, 테프론 시트, 다크론 시트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젖산과 ε-카프로락톤과의 공중합체(50:50)가 현재 개발되고 있다. 또한 자신의 대퇴 근막 또는 자신의 심막, 피부, 근육 등을 이용하는 방법도 어쩔 수 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 뇌경막의 사용에 대해서는, 보충한 인간 뇌경막과 뇌 실질 조직이 유착(癒着)을 발생시켜 수술 후에 전간(テンカン) 발작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난점이 있을뿐 아니라, 인간의 사체에서 채취한다는 윤리상의 문제나, 공급량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뇌경막을 이식받은 환자에게서 이식 뇌경막이 원인인 크로츠펠트 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CJD))의 발생이 보고되어(腦神經外科, 21(2):167-170, 1993), 일본에서는 현재는 인간 뇌경막은 사용되고 있지 않다. 또한, EPTFE재 등은, 생체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이물로서 잔존하기 때문에 감염을 일으키기 쉽고, 생체 조직과 접촉하면, 조직 세포가 지방 변성을 일으켜 버리는 등, 수술 후 합병증을 일으키는 수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젖산과 ε-카프로락톤과의 공중합체는 생체내 분해성이며, 생체에 적용한 후 서서히 분해하지만, 분해 흡수되기까지 거의 2년이라는 장기간을 요한다. 그 때문에, 역시 이물질로서 생체내에 한참 동안 잔존하여, 분해 과정에서 조직에 염증을 야기하여, 육아종을 형성하는 수가 있다. 이 공중합체는 모노머로서, (L)체의 젖산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공중합체속에서 젖산이 결정화되어 염증을 야기하는 수가 있다. 또한 EPTFE, 젖산과 ε-카프로락톤과의 공중합체 중 어디에도, 생체막의 재생을 촉진하는 작용은 없다. 또한 자신의 대퇴 근막등을 이용하는 방법은 환자, 의사의 양쪽에 있어서 큰 부담이다.
심막의 보충재로서는, 상기한 EPTFE, 폴리프로필렌 메쉬(마렉스), 인간 건조 뇌경막, 글루탈알데히드(GA) 처리 소 심막등이 종래 이용되어 왔는데, EPTFE와 인간 건조 뇌경막은 상술한 결점을 갖는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메쉬는, 심장과의 사이에 강한 유착을 일으킨다. GA 처리된 소 심막은, 생체내에서 흡수 분해되지 않고 잔존하기 때문에, 석회 침착에 의해 질이 저하되며, 소 심막에 대한 면역 반응에 의한 간질성 폐렴의 합병증이 관찰되었다.
또한 폐수술 후 수술 부분에서의 공기 누출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폴리글리콜산 부직포 또는 소 심막이 흉막 보충재로서, 또는 오토스쳐(オ-トス-チャ)용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폴리글리콜산은 강한 유착을 일으키며 불투명 하기 때문에 오토스쳐로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소 심막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결점을 갖는다.
상기한 이유에서, 합성 고분자 재료를 병용히지 않고 콜라겐을 원료로 하여, 콜라겐이 본래 갖는 생화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봉합 가능한 정도의 물성을 가지며, 또한 생체에 적용한 후에도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콜라겐재,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바탕으로 하는 의료용 재료, 예를 들면 말초 신경관, 인공 척수, 인공 식도, 인공 기관(氣管), 인공 혈관, 인공 밸브, 대체 뇌경막 등의 인공 의료용 대체막, 인공 인대, 인공 힘줄, 외과용 봉합실, 외과용 보충재, 외과용 보강재, 창상 보호재, 인공 피부, 또는 인공 각막등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그리고 각종 의료용 재료 중에서도 특히, 윤리상의 문제도 없이 안정되게 공급되며, 생체에 적용한 후에는, 수술 후의 수술 상처의 유착을 방지하고, 감염의 우려가 없으며, 조직의 변성을 일으키지 않고, 적용 후의 분해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생체막, 특히 뇌경막, 심막, 흉막, 복막 또는 장막에 대하여 재생 촉진 작용이 있는, 의료용 대체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개발도 임상 현장에서 강력히 요망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가 의료용 재료로서 특히 우수한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봉합 가능한 물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콜라겐 용액층을 동결하고, 동결 건조하여 미세 섬유화 콜라겐층으로 만들고, 압축하여, 콜라겐 용액에 침지·바람 건조하는 공정을 반복하고, 이어서 가교 처리에 부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콜라겐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실 형상 재료, 및 콜라겐 용액을 습식 방사하여 콜라겐사를 얻고, 콜라겐사를 동결하고, 동결 건조하여, 콜라겐사를 압축하고, 콜라겐 용액에 침지·바람 건조하는 공정을 반복하고, 이어서 가교 처리에 부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실 형상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재료, 이 의료용 재료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대체막, 특히 그 한쪽면 또는 양면에 가교 처리된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을 갖는 의료용 대체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 그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실 형상 재료, 및 이들의 제조 방법 및 그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재료, 특히 그 의료용 재료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대체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콜라겐재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2 내지 도 5는 본 발명 콜라겐재의 각 섬유의 형상을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
도 1은 본 발명의 콜라겐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콜라겐재에서는 수개의 콜라겐 분자로 이루어지는 직경 약 5 nm의 초미세 섬유 (15)가 기본 단위가 되고, 직경 약 50 nm의 미세 섬유 (l4)를 형성하여, 이것이 이어서 직경 약 2 μm의 세섬유 (13a,13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세섬유 (13a,13b)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와 위사로서 교대로 중첩되어 직경 약 6 μm의 섬유 (12)를 형성하고, 이어서 이것이 동축 방향으로 중첩되어 직경 약 20 내지 50 μm 의 판형 섬유 (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판형섬유 (11)가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 (10)를 형성하고, 그 외측에 콜라겐 분자가 모노머 내지 올리고머의 상태로 분산되어 있는 비섬유화 콜라겐층 (20a) 및 (20b)가 존재하고, 또한 본 부직포상 다층체의 판형 섬유 사이에도 콜라겐 분자가 들어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콜라겐재 단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세섬유 (l3a)와 (13b)가 교대로 중복되어 형성된 섬유 (l2)을 나타낸다. 도 4는 초미세 섬유 (15)와, 이것이 기본이 되어 형성되는 미세 섬유 (14)를 나타낸다. 도 5는 초미세 섬유 (15)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콜라겐으로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각종 콜라겐, 바람직하게는 중성 가용화 콜라겐, 산 가용화 콜라겐, 알칼리 가용화 콜라겐, 또는 효소 가용화 콜라겐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중 효소 가용화 콜라겐은, 불용성 콜라겐을, 효소(예를 들면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파파인, 프로나아제 등) 처리한 것으로, 이러한 처리에 의해 콜라겐 분자 중의 항원성이 강한 테로펩티드 부분이 제거되어 항원성이 저감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콜라겐의 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소, 돼지, 토끼, 양, 캥거루, 새, 물고기 등의 동물 피부, 뼈, 연골, 힘줄, 장기 등으로부터 추출 및 정제에 의해서 얻어지는 I 형 콜라겐, 또는 I 형 및 III형의 혼합 콜라겐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초미세 섬유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종래 각종 의료용 재료로서 사용되어 온, 콜라겐 분자가 모노머 내지 올리고머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비정질 구조의 비섬유화 콜라겐만으로 이루어지는 재료와 비교하면, 전자는 콜라겐이 본래 갖는 생체에 대한 작용은 유지하면서도, 후자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 특히 우수한 인열 강도를 가질 뿐만아니라, 생체내에서의 흡수 속도도 충분히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실 형상 재료는,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의 실 형상의 것이며,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재료는,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를 각종 의료용 재료로 가공한 것이다. 의료용 재료의 형태로서는 막형, 원통형, 자루형, 덩어리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의료용 재료의 용도로서는, 특히 의료용 대체막을 들 수가 있으며, 또한 특히 한쪽면 또는 양면에 가교처리된 젤라틴겔 또는 히알루론산층을 갖는 의료용 대체막을 바람직하게 들 수가 있다. 이 경우의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5 mm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대체막이 그 표면에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젤라틴겔층은, 젤라틴이 갖는 세포의 접착 및 증식을 방해하는 작용 때문에, 유착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서, 주변의 생체 조직으로부터의 세포의 신전(伸展)을 방지하기 위한 유착 방지층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히알루론산은, 콜라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유착 방지능력도 갖는다. 본 발명의 의료용 대체막은, 생체에 적용 후, 약 3 내지 4주간,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이 분해 흡수되지 않고 잔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도 또한 가교 처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추출 및 정제 후의 콜라겐의 약 1 N 염산 용액(pH 약 3)(콜라겐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3 중량%, 특히 약 1 중량%)을 제조하여, 유입 등의 관용의 방법으로, 샤알레 등의 용기에, 액층이 임의의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콜라겐 염산 용액층을 형성한다. 콜라겐 염산 용액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콜라겐재의 용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예를 들면 의료용 대체막인 뇌경막로서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 cm, 특히 약 1 내지 3 cm로 한다. 이것을, 바람직하게는 약 -l0 내지 -196 ℃, 특히 약 -20℃에서, 적어도 약 6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48시간, 특히 약 24시간 동결한다. 동결함으로써, 염산 용액 중에 분산되어 있는 콜라겐 분자 사이에 미세한 얼음이 형성되어, 콜라겐 염산 용액이 층 분리를 일으키고, 콜라겐 분자가 재배열됨으로써 미세 섬유화된다. 동결 시간이 6시간 미만이면, 콜라겐 염산 용액이 충분히 동결하지 않기 때문에, 콜라겐 분자의 미세 섬유화가 불충분하여 충분한 물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한 동결시킨 콜라겐 염산 용액을, 진공하에,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80℃, 특히 약 180℃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24 내지 48시간, 특히 약 48시간 동결 건조한다. 동결 건조함으로써, 콜라겐 분자 사이의 미세한 얼음이 기화됨과 동시에, 콜라겐 분자로 이루어지는 초미세 섬유가 기본 단위가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미세 섬유, 세섬유, 섬유, 판형 섬유가 구성되는 부직포상의 콜라겐층이 얻어진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부직포상의 콜라겐층을,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균일한 두께로 압축한다. 압축함으로써, 본 발명의 콜라겐재의 생체내에서의 잔존기간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1 중량% 콜라겐 염산 용액을 이용했을 경우, 압축비가 30 내지 60의 범위에서, 예를 들면 200 kg/㎠의 압력으로 15초간 압축을 한다.
이어서, 압축 후의 콜라겐층을, 콜라겐 염산 용액에 침지하여, 바람 건조한다. 이 침지·바람 건조 공정을, 5 내지 20회 반복한다. 여기에서 이용하는 콜라겐 염산 용액은, 추출 및 정제 후의 콜라겐 약 O.5 내지 3 중량%, 특히 약 2 중량%을, 약 lN 염산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분자가 모노머 내지 올리고머 형태로 분산되어 있는 비섬유화 콜라겐의 용액이고, 이 콜라겐 용액에 압축 후의 콜라겐층을 침지함으로써, 부직포상 콜라겐층의 판형 섬유 사이에, 콜라겐 용액 중에 분산되어 있는 콜라겐 분자가 들어가고, 이에 따라 앵커링 효과가 발휘되어, 강도가 부여됨과 동시에, 물에 대하는 안정성도 증가한다. 이 침지·바람 건조 공정 횟수는 5 내지 20회가 적당한데, 본 발명 콜라겐재의 용도에 따라, 이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할 수가 있다. 이어서 침지·바람 건조 후의 콜라겐층을 가교처리에 부쳐, 본 발명의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를 얻는다. 가교 처리에 부침으로써,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재료를 생체에 적용한 후, 목적으로 하는 기간동안 잔존시키도록 조절한다. 가교도를 제어하기 쉽고, 가교제의 생체에 대한 영향이 문제가 되지 않는 가열 탈수 가교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탈수 가교를 위해서는, 상기에서 얻어진 침지· 바람 건조 후의 콜라겐층을 진공하에, 바람직하게는 약 l05 내지 150 ℃, 특히 약 l40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48시간, 특히 약 24시간 가열한다. 약 105 ℃ 미만이면 충분한 가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약 l50 ℃를 초과하면 콜라겐이 변성되어 버린다. 이어서 필요하다면 상기한 공정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에틸렌옥시드 가스 처리 또는 자외선 또는 γ선 조사등에 의해 멸균한다. 이상과 같이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콜라겐재는, 건조 상태에서 적어도 약 23 N, 특히 45 N 이상의 일점 지지 장력 및 적어도 약 170 N, 특히 230 N 이상의 내파단 장력, 습윤 상태에서 적어도 2 N, 특히 6 N 이상의 일점 지지 장력, 및 적어도 12 N, 특히 23 N 이상의 내파단 장력을 가져(비중 0.74 g/㎤의 콜라겐재이고, 두께 1 ㎜인 경우), 종래의 콜라겐재에 비해 우수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각종 의료용 재료로 가공할 수가 있고, 봉합도 가능하다. 또한 생체내에 적용되었을 경우에 약 3 내지 8주간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콜라겐이 본래 갖는 의료용 재료로서의 특성도 유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재는, 우수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수술용 봉합사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실 형상 재료는, 이하와 같이 제조할 수가 있다. 추출 및 정제 후의 콜라겐의 약 1 N 염산 용액(pH 약 3)(콜라겐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3 중량%, 특히 약 1 중량%)을 제조하고, 이것을 공경이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300 ㎛, 특히 약 100 ㎛의 노즐에서 응고욕중으로 분출시킴으로써 습식 방사하고, 얻어진 콜라겐사를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동결 및 동결 건조하여, 콜라겐사를 형성한다. 이어서, 본 콜라겐사를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압축한다. 이어서 콜라겐 염산 용액(약 2 중량%, 약 l N 염산)에 침지·바람 건조한다. 이 공정을 5 내지 20회 반복한다. 이어서 이것을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 가교 처리에 부침으로써,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실 형상 재료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그 한쪽면 또는 양면에 가교 처리된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을 갖는 의료용 대체막으로 가공하는 경우, 젤라틴겔층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70 중량%, 특히 약 60 중량%의 젤라틴 수용액을 이용하여 젤라틴겔층을 형성하는데, 약 60 중량%의 젤라틴 수용액을 이용하는 경우, 습윤시에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5 mm, 특히 약 1 ㎜, 건조시에 바람직하게는 약 0.06 내지 3 ㎜, 특히 약 0.6 mm이 되도록, 젤라틴겔층을 형성한다. 젤라틴겔층은, 도포, 침지 등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하여도 좋은데, 예를 들면, 샤알레 등의 용기에 젤라틴 수용액을 주입하여 필요한 두께가 되도록 하고, 그 위에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놓고 방치하여, 젤라틴을 겔화시킨다. 그 양면에 젤라틴겔층을 형성하는 경우는, 또 한쪽면에 대해서도, 같은 처치를 하여, 양면에 젤라틴겔층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그 한쪽면 또는 양면에 젤라틴겔층을 형성시킨 콜라겐재를, 제2의 가교 처리에 부친다. 가교 처리를 함으로써, 젤라틴겔층의 분해 흡수 속도를 컨트롤한다. 가교 방법으로서는, 전술과 같은 이유에서, 가열 탈수 가교가 바람직하다. 젤라틴겔층을 생체에 적용한 후 약 3 내지 4주간 잔존시키기 위해서는, 상기한 젤라틴겔층을 형성시킨 콜라겐재를, 진공하에 바람직하게는 약 l05 내지 150 ℃, 특히 약 140 ℃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48시간, 특히 약 24시간 가열 탈수 가교처리에 부친다. 약 l05 ℃ 미만이면 가교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고, 약 150 ℃를 초과하면 콜라겐이 변성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가교 처리된 젤라틴겔층은, 각 생체막이 재생될 때까지, 본 의료용 대체막의 콜라겐 부분이 주변 조직과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막 결손부의 주변에서 생체막이 신장, 재생되어, 막 결손 부분을 막을때까지의 약 3 내지 4주간, 젤라틴겔층은 분해 흡수되지않고 잔존한다.
히알루론산층을 형성하는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2.0 mg/㎖, 특히 약 1.0 mg/㎖의 히알루론산 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고, 상기와 같이 하여 얻은 본 발명의 콜라겐재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도포 또는 침지등의 방법에 의해 히알루론산 나트륨 수용액층을 형성하고, 이 수용액층을 바람 건조함으로써 히알루론산층으로 만든다. 히알루론산 나트륨 수용액층은, 수복하여야 할 막의 결손 부분 주변에서 생체막이 신장 재생하여, 막의 결손 부분을 막을때 까지의 약 3 내지 4주간 히알루론산층이 분해 흡수 되지않고 잔존할 수 있도록, 습윤시에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4.0 mm, 특히 약 2 mm, 건조시에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2.0 mm, 특히 약 1.0 mm의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다(약 l.O mg/㎖의 수용액의 경우). 콜라겐재의 표면에 히알루론산을 고정하여, 히알루론산층으로 만들기 위해서, 다시 제2의 가교 처리를 하는데, 히알루론산의 경우는,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WSC)로 가교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히알루론산 나트륨 수용액에 미리 WSC를 혼합해 두고, 히알루론산 나트륨와 함께 콜라겐재에 적용함으로써, 콜라겐의 카르복실기와 히알루론산의 아미노기를 가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알루론산 나트륨 수용액에 함유시키는 WSC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20 mg/㎖, 특히 약 8 내지 15 mg/㎖로 한다. 이 히알루론산 나트륨 및 WSC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제조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약 1 mm가 되도록, 콜라겐재의 양면 또는 한쪽면에 도포하고, 바람 건조하여, 히알루론산층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본 발명의 콜라겐재는, 종래의 추출 콜라겐재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 특히 우수한 인열 강도를 갖기 때문에, 합성 고분자 재료등에 적층하지 않고 그것만으로 각종 의료용 재료로 가공할 수 있고, 봉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콜라겐재는, 생체내에 적용했을 경우 금방 용해되지 않고 약 3 내지 8주간 그 형상을 유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본 발명의 콜라겐재는, 다시 용도에 따라 막형, 원통형, 자루형, 덩어리형 등의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각종 의료용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말초 신경관, 인공 척수, 인공 식도, 인공 기관, 인공 혈관, 인공 밸브, 대체 뇌경막 등의 인공 의료용 대체막, 인공 인대, 인공 힘줄, 외과용 봉합실, 외과용 보충재, 외과용 보강재, 창상 보호재, 인공 피부, 또는 인공 각막등으로서 사용하여, 상해를 받은 생체 조직이 회복, 재생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또는 압박 지혈재, 또는 세포 배양에서의 삼차원 배지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의료용 재료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대체막은, 각종 외과 수술 후의 막 결손 부분을 보충함으로써, 막 결손 부분에 있어서의 장기와 주변 조직과의 유착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대체막에 있어서는, 유착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주변 조직과 접하는 쪽으로 가교된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이 향하도록, 그 한쪽면 또는 양면에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을 형성한 본 발명의 의료용 대체막을 사용한다. 본 의료용 대체막을, 심막의 대체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양면에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을 형성한 대체막을, 또 흉막, 복막 또는 장막의 대체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한쪽면에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을 형성한 대체막을 젤라틴겔층 또는히알루론산층이 주변 조직과 접하는 쪽을 향하도록 사용한다. 뇌경막의 대체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양면 또는 한쪽면에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을 형성한 대체막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한쪽면에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을 형성한 대체막을 사용하는 경우는,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이, 뇌 실질 조직과 접하는 쪽을 향하도록 사용한다. 또한, 상기한 용도 외에, 혈관, 소화관, 기관(氣管), 뇨관, 방광, 점막, 치근막등의 봉합에, 보강재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생체막의 결손 부분을 보충하는 재료로서의 본 발명의 의료용 대체막은 뇌경막, 심막, 흉막, 복막 또는 장막의 대체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대체막을 수술 상처에 적용하면, 수술 상처 주변에 잔존하고 있는 뇌경막, 심막, 흉막, 복막 또는 장막 등의 생체막이, 본 대체막과의 접촉 부분에서 본 대체막의 콜라겐 부분을 재생의 발판으로 삼아 신전하여 재생하는 한편, 생체 조직이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세포의 침입·신전이 예방되기 때문에 유착이 방지되고, 최종적으로는 결손 부분이, 재생된 생체막에 의해 막히고, 본 대체막은, 생체에 의해 분해 흡수되어, 완전히 소실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콜라겐재, 및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함유하는 의료용 재료, 특히 의료용 대체막은, 종래의 콜라겐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료용 재료에 비하여, 우수한 인열 강도를 갖지만, 본 의료용 재료를, 예를 들면 인공 방광 등으로서 사용할 때는 더욱 강도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콜라겐재 및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재료는, 그 내부에 생체내 분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의 메쉬 모양 중간재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생체 분해 흡수성 재료로서는 폴리글리콜산, 폴리젖산, 글루콜산과 젖산의 공중합체, 폴리디옥사논, 글리콜산과 트리메틸렌카르보네이트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글리콜산 폴리젖산의 혼합물을 들 수가 있다. 이러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의 메쉬 모양 중간재는, 예를 들면 약 50 내지 2,000 ㎛의 공경을 갖는, 예를 들면 메쉬 시트, 직포, 부직포, 펀치 구멍을 형성한 시트 등의 형태이며, 그 두께는, 예를 들면 약 l00 내지 2,000 ㎛인데, 메쉬 모양 중간재의 공경과 그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그 내부에 생체내 분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의 메쉬 모양 중간재를 갖는 콜라겐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형성할 때에 콜라겐의 염산 용액에 상기와 같은 시트형의 메쉬 모양 중간재를 담근 채, 콜라겐 염산 용액층을 동결, 동결 건조 등의 이후의 공정에 부치면 좋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1 〉
돈피 유래의 콜라겐을 이용하여, 1 중량% 콜라겐의 1 N 염산 용액을 제조하여 샤알레에 붓고, 각각 6, l2 및 l8 mm 두께의 콜라겐 용액층으로 하였다. 이것을, -20 ℃에서 24시간 동결하고, 이어서 -80에서 24시간 동결 건조했다. 이어서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200 kg/㎠의 압력으로 실온에서 15초간 열압축하여, 각각 약 0.2, 0.3 및 0.5 ㎜ 두께의 층으로 하였다. 상기한 동일한 콜라겐을 원료로 하는 2 중량% 콜라겐의 l N 염산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에서 얻어진 압축한 콜라겐층을, 콜라겐 용액에 침지하고, 바람 건조하였다. 이 침지·바람 건조 공정을 5회 또는 10 회 반복하고, 이어서 진공하, 140 ℃에서 24시간 열가교 처리에 부쳐, 본 발명의 콜라겐재를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콜라겐재에 대하여,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으로, 그 일점 지지 장력과 내파단 장력을 건조 상태 및 습윤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크기 15×40 mm의 세그먼트형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하의 방법으로 25 ℃, 습도 50 %의 항온 항습실 중에서 디지탈 푸쉬풀 게이지(AIKOH ENGINEERING 제품 CPU 게이지)를 이용하여 시험편의 장축 방향으로 ISO의 B속도(5 mm/min)로 균일하게 장력을 가하여, 막이 파단되기 까지의 최대 장력을 건조 상태 및 습윤 상태(37 ℃의 생리 식염수로 1분간의 수화을 행한 것, 또는 실온의 생리 식염수 중에서 24시간의 수화을 행한 것)의 양자에서 측정하였다.
1. 일점 지지 장력
시험편의 한쪽 끝의 중앙에서 5 mm 내측의 부위를 실(4-O 프롤린 또는 2 덱슨)로 봉합 고정하고, 다른 쪽 끝은 클립으로 균일하게 파지하여 장력을 가하였다.
2. 내파단 장력
시험편의 양끝을 클립으로 균일하게 파지하여 장력을 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콜라겐의 염산 용액층의 두께(동결전) 압축율 건조 상태 습윤상태
일점 지지 장력 내파단 장력 일점 지지 장력 내파단 장력
6 ㎜ 0.03 6.3 51.4 0.74 4.89
12 ㎜ 0.02 16.7 78.3 2.05 8.92
18 ㎜ 0.03 27.8 110.2 4.93 9.47
건조 상태 습윤상태
일점 지지 장력 내파단 장력 일점 지지 장력 내파단 장력
침지, 바람 건조 5회 14.4 50.3 0.9 4.61
침지, 바람 건조 10회 27.8 110.2 4.93 9.47
(단위:N)
이상의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콜라겐재는, 봉합에 견디는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는, 콜라겐이 본래 갖는 생화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봉합 가능한 정도의 물성을 갖기 때문에, 각종 의료 재료로서 널리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대체막은, 윤리상의 문제도 없고 안정되어 공급되어, 생체막의 결손 부분을 보충하는 재료 또는 유착 방지재로서 수술 상처를 봉합할 수가 있다. 또한 봉합 후, 생체막이 재생되기 까지의 기간 동안 잔존하여, 유착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한편, 서서히 분해 흡수되기 때문에, 생체 조직에 장기간 잔존하여 염증 등을 야기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
  2. 제1항에 있어서,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가, 콜라겐 판형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콜라겐재.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그 내부에 생체내 분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의 메쉬 모양 중간재를 갖는 콜라겐재.
  4. 제1항에 있어서, 콜라겐 용액층을 동결하고, 동결 건조하여 미세 섬유화 콜라겐층으로 만들고, 압축하여, 콜라겐 용액에 침지·바람 건조하는 공정을 반복하고, 이어서 가교 처리에 부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재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가교 처리가 가열 가교 처리인 방법.
  6.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실 형상 재료.
  7. 제6항에 있어서, 콜라겐 용액을 습식 방사하여 콜라겐사를 얻어, 콜라겐사를 동결하고, 동결 건조하여, 콜라겐사를 압축하고, 콜라겐 용액에 침지·바람 건조하는 공정을 반복하고, 이어서 가교 처리에 부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형상 재료의 제조 방법.
  8. 콜라겐 초미세 섬유성 부직포상 다층체를 비섬유화 콜라겐층의 사이에 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콜라겐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재료.
  9. 제8항에 있어서, 그 내부에 생체내 분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의 메쉬 모양 중간재를 갖는 의료용 재료.
  10. 제8항 또는 9항에 기재된 의료용 재료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대체막.
  11. 제10항에 있어서, 그 한쪽면 또는 양면에 가교 처리된 젤라틴겔층 또는 히알루론산층을 갖는 의료용 대체막.
  12. 제1항에 있어서, 건조 형태에서 적어도 23 N의 일점 지지 장력, 및 적어도 170 N의 내파단 장력, 습윤 상태에서 적어도 2 N의 일점 지지 장력, 및 적어도 12 N의 내파단 장력(두께1 mm의 경우)을 갖는 콜라겐재.
KR10-1999-7004398A 1996-11-20 1997-11-19 콜라겐재 및 그 제법 KR100461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08856 1996-11-20
JP30885796 1996-11-20
JP30885696 1996-11-20
JP96-308857 1996-11-20
JP97-263374 1997-09-29
JP26337497 199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131A true KR20000057131A (ko) 2000-09-15
KR100461475B1 KR100461475B1 (ko) 2004-12-14

Family

ID=2733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398A KR100461475B1 (ko) 1996-11-20 1997-11-19 콜라겐재 및 그 제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6277397B1 (ko)
EP (2) EP1442756A3 (ko)
JP (1) JP4251665B2 (ko)
KR (1) KR100461475B1 (ko)
CN (2) CN1158108C (ko)
AT (1) ATE267619T1 (ko)
CA (1) CA2272905A1 (ko)
DE (1) DE69729314T2 (ko)
DK (1) DK0943346T3 (ko)
ES (1) ES2221044T3 (ko)
TW (1) TW501934B (ko)
WO (1) WO1998022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8571B1 (en) * 1996-01-22 2002-08-06 Scimed Life Systems, Inc. Self-sealing PTFE vascular graft and manufacturing methods
EP1098024A4 (en) * 1998-06-11 2008-04-02 Yasuhiko Shimizu COLLAGE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EP1022031B1 (en) * 1999-01-21 2005-03-23 Nipro Corporation Suturable adhesion-preventing membrane
JP4721482B2 (ja) * 1999-05-18 2011-07-13 株式会社高研 神経再建用基材
WO2001024731A1 (fr) * 1999-10-04 2001-04-12 Tapic International Co., Ltd. Trachee artificielle
US6866160B2 (en) * 2000-01-21 2005-03-15 Feng Wang Folding structure for foldable container
DE10017530A1 (de) * 2000-04-10 2001-10-18 Suwelack Skin & Health Care Ag Maske aus flexiblen, zur Flüssigkeitsaufnahme geeigneten Träger, Pflegeset enthaltend diese Mask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aske sowie Verfahren zur kosmetischen Behandlung unter Verwendung dieser Maske
CZ301649B6 (cs) * 2000-06-28 2010-05-12 Ed. Geistlich Soehne Ag Fur Chemische Industrie Incorporated Under The Laws Of Switzerland Trubice pro regeneraci nervu a zpusob jejich výroby
CA2430744C (en) * 2000-12-08 2009-11-10 Osteotech, Inc. Implant for orthopedic applications
US6855169B2 (en) 2001-02-28 2005-02-15 Synthes (Usa) Demineralized bone-derived implants
US8740987B2 (en) 2001-06-04 2014-06-03 Warsaw Orthopedic, Inc. Tissue-derived mesh for orthopedic regeneration
EP1402906A4 (en) 2001-06-15 2007-04-25 Gunze Kk INHIBITOR MATERIAL OF SYNECHIE
US20030114061A1 (en) * 2001-12-13 2003-06-19 Kazuhisa Matsuda Adhesion preventive membrane, method of producing a collagen single strand, collagen nonwoven fabri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JP4595279B2 (ja) * 2001-12-13 2010-12-08 ニプロ株式会社 癒着防止膜
US8308797B2 (en) 2002-01-04 2012-11-13 Colibri Heart Valve, LLC Percutaneously implantable replacement heart valv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WO2003094985A1 (ja) * 2002-05-14 2005-09-08 北海道ティー・エル・オー株式会社 人工細胞外マトリ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232979A1 (en) * 2002-06-03 2005-10-20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Multi-layer collagenic article useful for wounds healing
US20070225631A1 (en) * 2002-10-04 2007-09-27 Bowlin Gary L Sealants for Skin and Other Tissues
GB0224986D0 (en) 2002-10-28 2002-12-04 Smith & Nephew Apparatus
CN100369637C (zh) 2002-12-16 2008-02-20 郡是株式会社 医疗用薄膜
JP4554916B2 (ja) * 2002-12-16 2010-09-29 グンゼ株式会社 医療用フィルム
US8834864B2 (en) * 2003-06-05 2014-09-16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repairing and regenerating human dura mater
GB0322145D0 (en) * 2003-09-22 2003-10-22 Howmedica Internat S De R L Apparatus for use in the regeneration of structured human tissue
GB0325129D0 (en) 2003-10-28 2003-12-03 Smith & Nephew Apparatus in situ
US20050175659A1 (en) * 2004-02-09 2005-08-11 Macomber Laurel R. Collagen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20050283256A1 (en) * 2004-02-09 2005-12-22 Codman & Shurtleff, Inc. Collagen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4840136B2 (ja) * 2004-03-31 2011-12-21 ニプロ株式会社 癒着防止用キット、癒着防止用キ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癒着防止方法
US8062272B2 (en) 2004-05-21 2011-11-22 Bluesky Medical Group Incorporated Flexible reduced pressure treatment appliance
US7909805B2 (en) 2004-04-05 2011-03-22 Bluesky Medical Group Incorporated Flexible reduced pressure treatment appliance
US10058642B2 (en) 2004-04-05 2018-08-28 Bluesky Medical Group Incorporated Reduced pressure treatment system
US8747879B2 (en) * 2006-04-28 2014-06-10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thod of fabricating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to reduce chance of late inflammatory response
JP5092210B2 (ja) * 2005-07-07 2012-12-05 ニプロ株式会社 コラーゲン基材
EP1741453A3 (en) * 2005-07-07 2007-01-17 Nipro Corporation Collagen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569742B2 (en) 2005-09-07 2009-08-04 Tyco Healthcare Group Lp Self contained wound dressing with micropump
US7899533B2 (en) * 2005-10-25 2011-03-01 Medtronic, Inc. System and method of AV interval selection 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DE102005054940A1 (de) * 2005-11-17 2007-05-24 Gelita Ag Verbundmaterial, insbesondere für die medizinische Anwendung ,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GB0524048D0 (en) * 2005-11-25 2006-01-04 Ucl Biomedica Plc Bio-artificial materials with tuneable properties
US20080065207A1 (en) 2006-03-13 2008-03-13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elf-Assembling, Collagen-Based Material for Corneal Replacement
US7779625B2 (en) 2006-05-11 2010-08-24 Kalypto Medical, Inc. Device and method for wound therapy
ES2575933T3 (es) * 2006-05-31 2016-07-04 Baxter International Inc. Colágeno para su uso en la prevención de la formación de fibrosis epidural después de cirugía espinal
WO2008105791A2 (en) * 2006-06-22 2008-09-04 University Of South Florida Collagen scaffolds, medical implants with same and methods of use
US20080026032A1 (en) * 2006-07-27 2008-01-31 Zubery Yuval Composite implants for promoting bone regeneration and augmentation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EP2111240B1 (en) * 2006-12-27 2012-08-08 Shriners Hospitals for Children Methods of making high-strength ndga polymerized collagen fibers and related medical devices and constructs
US7909882B2 (en) 2007-01-19 2011-03-22 Albert Stinnette Socket and prosthesis for joint replacement
US8317845B2 (en) * 2007-01-19 2012-11-27 Alexa Medical, Llc Screw and method of use
US20080260794A1 (en) * 2007-02-12 2008-10-23 Lauritzen Nels J Collagen products and methods for producing collagen products
US9056151B2 (en) * 2007-02-12 2015-06-16 Warsaw Orthopedic, Inc. Methods for collagen processing and products using processed collagen
US8858633B2 (en) 2007-02-20 2014-10-14 Shriners Hospital For Children In vivo hydraulic fixation including bio-rivets using biocompatible expandable fibers
DE102007011606A1 (de) * 2007-03-02 2008-09-04 Carl Freudenberg Kg Faser-Wirrgelege
US8932619B2 (en) 2007-06-27 2015-01-13 Sofradim Production Dural repair material
US20090004455A1 (en) * 2007-06-27 2009-01-01 Philippe Gravagna Reinforced composite implant
US20090068250A1 (en) * 2007-09-07 2009-03-12 Philippe Gravagna Bioresorbable and biocompatible compounds for surgical use
CL2008003219A1 (es) * 2007-10-30 2009-10-09 Baxter Int Uso de una biomatriz de colageno biofuncional, multicapas y no porosa, que dirige el crecimiento celular dentro de los intersticios de la biomatriz de colageno, para tratar un defecto de una membrana visceral o parietal; y biomatriz utilizada.
GB0722820D0 (en) 2007-11-21 2008-01-02 Smith & Nephew Vacuum assisted wound dressing
EP2214612B1 (en) 2007-11-21 2019-05-01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AU2008327661B2 (en) 2007-11-21 2014-02-20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US9308068B2 (en) 2007-12-03 2016-04-12 Sofradim Production Implant for parastomal hernia
DE102007063395A1 (de) * 2007-12-31 2009-07-02 Ossacur Ag Transport-, Weitergabe- und/oder Wirksystem in aseptischer Darreichung
JP5492097B2 (ja) 2008-02-22 2014-05-14 マイメデ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手首、手及びその他の靱帯置換術又は修復術のために適切なバイオステープル
AU2009201541B2 (en) 2008-04-23 2014-12-04 Integra Lifesciences Corporation Flowable collagen material for dural closure
US9216077B2 (en) * 2008-05-16 2015-12-22 Mimedx Group, Inc. Medical constructs of twisted lengths of collagen fib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HUE047281T2 (hu) * 2008-05-27 2020-04-28 Smith & Nephew Inc Negatív nyomású sebterápiás készülék
US9242026B2 (en) 2008-06-27 2016-01-26 Sofradim Production Biosynthetic implant for soft tissue repair
US9387280B2 (en) 2008-09-05 2016-07-12 Synovis Orthopedic And Woundcare, Inc. Device for soft tissue repair or replacement
US8367148B2 (en) * 2008-10-09 2013-02-05 Mimedx Group, Inc. Methods of making biocomposite medical constructs and related constructs including artificial tissues, vessels and patches
EP2522376B1 (en) * 2008-10-17 2020-01-08 Sofradim Production Method for preparing auto-sealant matrix for tissue repair
WO2010121186A1 (en) 2009-04-17 2010-10-21 Kalypto Medical, In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
FR2949688B1 (fr) 2009-09-04 2012-08-24 Sofradim Production Tissu avec picots revetu d'une couche microporeuse bioresorbable
CA2800232C (en) 2010-03-01 2015-08-11 Colibri Heart Valve Llc Percutaneously deliverable heart valve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US8460691B2 (en) 2010-04-23 2013-06-11 Warsaw Orthopedic, Inc. Fenestrated wound repair scaffold
US8790699B2 (en) 2010-04-23 2014-07-29 Warsaw Orthpedic, Inc. Foam-formed collagen strand
US9061095B2 (en) 2010-04-27 2015-06-23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use
CA2806544C (en) 2010-06-28 2016-08-23 Colibri Heart Valv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ndoluminal delivery of intravascular devices
WO2012066543A2 (en) * 2010-11-16 2012-05-24 Collplant Ltd. Collagen structure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2644620B1 (en) * 2010-11-26 2017-06-28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Non-fibrogenesis collagen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737400B2 (en) 2010-12-14 2017-08-22 Colibri Heart Valve Llc Percutaneously deliverable heart valve including folded membrane cusps with integral leaflets
CA2829339C (en) 2011-03-08 2018-10-16 Mimedx, Inc. Collagen fiber ribbons with integrated fixation su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FR2972626B1 (fr) 2011-03-16 2014-04-11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comprenant un tricot tridimensionnel et ajoure
US9058634B2 (en) 2011-05-24 2015-06-16 Kalypto Medical, Inc. Method for providing a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pump device
EP2714116A4 (en) 2011-05-24 2015-01-07 Kalypto Medical Inc DEVICE WITH CONTROL AND PUMP MODULE FOR PROVIDING UNDERPRESSURE FOR WOUND HEALING
US9067003B2 (en) 2011-05-26 2015-06-30 Kalypto Medical, Inc. Method for providing negative pressure to a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bandage
US9694106B2 (en) 2011-07-11 2017-07-04 Mimedx Group, Inc. Synthetic collagen threads for cosmetic uses including skin wrinkle treatments and associated methods
FR2977790B1 (fr) 2011-07-13 2013-07-19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pour hernie ombilicale
FR2977789B1 (fr) 2011-07-13 2013-07-19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pour hernie ombilicale
US8998059B2 (en) 2011-08-01 2015-04-07 Ethicon Endo-Surgery, Inc. Adjunct therapy device having driver with cavity for hemostatic agent
US9492170B2 (en) 2011-08-10 2016-11-15 Ethicon Endo-Surgery, Inc. Device for applying adjunct in endoscopic procedure
US9101359B2 (en) 2011-09-13 2015-08-11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e cartridge with self-dispensing staple buttress
US8998060B2 (en) 2011-09-13 2015-04-07 Ethicon Endo-Surgery, Inc. Resistive heated surgical staple cartridge with phase change sealant
US9999408B2 (en) 2011-09-14 2018-06-1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with fluid fillable buttress
US8814025B2 (en) 2011-09-15 2014-08-26 Ethicon Endo-Surgery, Inc. Fibrin pad matrix with suspended heat activated beads of adhesive
US9254180B2 (en) 2011-09-15 2016-02-0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with staple reinforcement clip
US9125649B2 (en) 2011-09-15 2015-09-08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with filled staple
US9198644B2 (en) 2011-09-22 2015-12-01 Ethicon Endo-Surgery, Inc. Anvil cartridge for surgical fastening device
US9393018B2 (en) 2011-09-22 2016-07-1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e assembly with hemostatic feature
US8985429B2 (en) 2011-09-23 2015-03-24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tapling device with adjunct material application feature
US9867909B2 (en) 2011-09-30 2018-01-16 Sofradim Production Multilayer implant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WO2013046058A2 (en) 2011-09-30 2013-04-04 Sofradim Production Reversible stiffening of light weight mesh
US8899464B2 (en) 2011-10-03 2014-12-02 Ethicon Endo-Surgery, Inc. Attachment of surgical staple buttress to cartridge
US9089326B2 (en) 2011-10-07 2015-07-28 Ethicon Endo-Surgery, Inc. Dual staple cartridge for surgical stapler
WO2013067294A1 (en) 2011-11-02 2013-05-10 Mimedx Group, Inc. Implantable collage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of making same
FR2985170B1 (fr) 2011-12-29 2014-01-24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pour hernie inguinale
FR2985271B1 (fr) 2011-12-29 2014-01-24 Sofradim Production Tricot a picots
WO2013105665A1 (ja) 2012-01-12 2013-07-18 株式会社ニッピ コラーゲン構造体、およびコラーゲン構造体の製造方法
US10071184B2 (en) * 2012-02-29 2018-09-11 Collagen Matrix, Inc. Collagen-coated tissue-based membranes
US10213345B2 (en) * 2012-05-24 2019-02-26 Takeda As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viding a coiled collagen carrier
FR2994185B1 (fr) 2012-08-02 2015-07-31 Sofradim Production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uche poreuse a base de chitosane
WO2014039495A1 (en) 2012-09-05 2014-03-13 University Of Miami Novel keratoprosthesis, and system and method of corneal repair using same
FR2995788B1 (fr) 2012-09-25 2014-09-26 Sofradim Production Patch hemostatique et procede de preparation
FR2995778B1 (fr) 2012-09-25 2015-06-26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de renfort de la paroi abdominale et procede de fabrication
FR2995779B1 (fr) 2012-09-25 2015-09-25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comprenant un treillis et un moyen de consolidation
WO2014049446A2 (en) 2012-09-28 2014-04-03 Sofradim Production Packaging for a hernia repair device
CN103800941B (zh) * 2012-11-09 2015-04-22 北京银河巴马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i型胶原材料、脑膜或脊膜生物膜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FR3006578B1 (fr) 2013-06-07 2015-05-29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a base d’un textile pour voie laparoscopique
FR3006581B1 (fr) 2013-06-07 2016-07-22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a base d’un textile pour voie laparoscopique
US10052400B2 (en) 2014-05-30 2018-08-21 Sofradim Production Method for preparing neutralized matrix of non-antigenic collagenous material
EP3000489B1 (en) 2014-09-24 2017-04-05 Sofradim Production Method for preparing an anti-adhesion barrier film
EP3000432B1 (en) 2014-09-29 2022-05-04 Sofradim Production Textile-based prosthesis for treatment of inguinal hernia
EP3000433B1 (en) 2014-09-29 2022-09-21 Sofradim Production Device for introducing a prosthesis for hernia treatment into an incision and flexible textile based prosthesis
EP3029189B1 (en) 2014-12-05 2021-08-11 Sofradim Production Prosthetic porous knit, method of making same and hernia prosthesis
EP3059255B1 (en) 2015-02-17 2020-05-13 Sofradim Production Method for preparing a chitosan-based matrix comprising a fiber reinforcement member
EP3085337B1 (en) 2015-04-24 2022-09-14 Sofradim Production Prosthesis for supporting a breast structure
EP3106185B1 (en) 2015-06-19 2018-04-25 Sofradim Production Synthetic prosthesis comprising a knit and a non porous film and method for forming same
WO2017096188A1 (en) * 2015-12-02 2017-06-08 Cook Biotech Incorporated Filamentous graft implant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and use
EP3195830B1 (en) 2016-01-25 2020-11-18 Sofradim Production Prosthesis for hernia repair
EP3312325B1 (en) 2016-10-21 2021-09-22 Sofradim Production Method for forming a mesh having a barbed suture attached thereto and the mesh thus obtained
US10716876B2 (en) 2017-01-12 2020-07-21 Collplant Ltd. Method of generating collagen fibers
CN107101883A (zh) * 2017-03-29 2017-08-29 淄博黄河龙生物工程有限公司 胶原蛋白肠衣纵向抗断力的检测方法
EP3398554A1 (en) 2017-05-02 2018-11-07 Sofradim Production Prosthesis for inguinal hernia repair
WO2019051476A1 (en) 2017-09-11 2019-03-14 Incubar, LLC SEALING DEVICE FOR USE AS A VASCULAR DUCT IMPLANT FOR REDUCING ENDOFUCTION
WO2019078349A1 (ja) * 2017-10-20 2019-04-25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癒着防止材
DE102017126149A1 (de) 2017-11-08 2019-05-09 Johannes Gutenberg-Universität Mainz Wirkstoffhaltiger Schichtverbund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3653171A1 (en) 2018-11-16 2020-05-20 Sofradim Production Implants suitable for soft tissue repair
CN109276759B (zh) * 2018-11-27 2020-11-2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仿生抗菌腹壁修复材料
CN110180030B (zh) * 2019-05-28 2021-10-22 上海贝奥路生物材料有限公司 复合胶原蛋白的磷酸钙生物陶瓷及其制备和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853B2 (ja) * 1975-06-12 1983-09-14 カブシキガイシヤ ニツピ ジンコウケンノセイゾウホウ
US4374121A (en) * 1979-09-12 1983-02-15 Seton Company Macromolecular biologically active collagen articles
DE3203957A1 (de) * 1982-02-05 1983-08-18 Chemokol Gesellschaft zur Entwicklung von Kollagenprodukten, 5190 Stolber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inporigen kollagenschwaemmen
US4578067A (en) * 1982-04-12 1986-03-25 Alcon (Puerto Rico) Inc. Hemostatic-adhesive, collagen dressing for severed biological surfaces
US5350583A (en) 1988-03-09 1994-09-27 Terumo Kabushiki Kaisha Cell-penetrable medical material and artificial skin
JP2645098B2 (ja) * 1988-09-06 1997-08-25 テルモ株式会社 抗菌剤含有人工皮膚およびその製造法
FR2628634B1 (fr) * 1988-03-15 1990-07-13 Imedex Patch de chirurgie viscerale
US5206028A (en) * 1991-02-11 1993-04-27 Li Shu Tung Dense collagen membrane matrices for medical uses
JPH04266763A (ja) * 1991-02-22 1992-09-22 Terumo Corp 人工皮膚
JPH06292716A (ja) 1993-04-09 1994-10-21 Shimizu Yoshihiko 医用材料
GB9400163D0 (en) * 1994-01-06 1994-03-02 Geistlich Soehne Ag Membrane
FR2720945B1 (fr) * 1994-06-08 1996-08-30 Coletica Membrane collagénique anti-adhérence post-opératoire.
IL110367A (en) * 1994-07-19 2007-05-15 Colbar Lifescience Ltd Collagen-based matri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43346A1 (en) 1999-09-22
CN1550581A (zh) 2004-12-01
CA2272905A1 (en) 1998-05-28
EP1442756A3 (en) 2004-09-22
TW501934B (en) 2002-09-11
DE69729314D1 (de) 2004-07-01
CN1271256C (zh) 2006-08-23
US20010016205A1 (en) 2001-08-23
US6277397B1 (en) 2001-08-21
DK0943346T3 (da) 2004-09-13
ES2221044T3 (es) 2004-12-16
EP0943346B1 (en) 2004-05-26
WO1998022157A1 (fr) 1998-05-28
US6440167B2 (en) 2002-08-27
DE69729314T2 (de) 2005-07-07
ATE267619T1 (de) 2004-06-15
CN1158108C (zh) 2004-07-21
CN1237913A (zh) 1999-12-08
JP4251665B2 (ja) 2009-04-08
KR100461475B1 (ko) 2004-12-14
EP0943346A4 (en) 2000-12-27
EP1442756A2 (en)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475B1 (ko) 콜라겐재 및 그 제법
US7084082B1 (en) Collagen material and its production process
US6706684B1 (en) Method for preparing a collagen material with controlled in vivo degradation
US6977231B1 (en) Suturable adhesion-preventing membrane
CA2173546C (en) Medical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US5876451A (en)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5705172B (zh) 用于组织再生的亲水性静电纺生物复合支架材料及其制法与应用
JP4968976B2 (ja) コラーゲン材及びその製法
JP3726280B2 (ja) 医療用コラーゲン膜
JPH06292716A (ja) 医用材料
JPH07213597A (ja) 精製コラーゲン様物質の撚り糸、この撚り糸から製造された成形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20000057130A (ko) 인공 식도
JP5946774B2 (ja) 複合母材
JP2010029684A (ja) コラーゲン材及びその製法
CN108514658A (zh) 一种仿生管状材料
CN108452380A (zh) 一种负载药物的仿生管状材料
CN108744038A (zh) 一种防粘连仿生修复膜
KR19980701760A (ko) 의료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