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6124A - 장식용 칠보동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용 칠보동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6124A
KR20000056124A KR1019990005159A KR19990005159A KR20000056124A KR 20000056124 A KR20000056124 A KR 20000056124A KR 1019990005159 A KR1019990005159 A KR 1019990005159A KR 19990005159 A KR19990005159 A KR 19990005159A KR 20000056124 A KR20000056124 A KR 20000056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plate
cloisonne
tile
copp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수용
조병식
Original Assignee
서수용
조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수용, 조병식 filed Critical 서수용
Priority to KR101999000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6124A/ko
Publication of KR2000005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B44C3/123Mosaic constr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용 동판에 관한것으로, 구리로 몸체를 형성하고 칠보로 색감을 나타내어 제작한 장식용 칠보동판에 관한 것이다.
구리에 칠보를 입혀 만든 칠보동판은 구리의 특성인 제작의 용이함 때문에 기존의 다른 타일에 비해 얇은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고, 다양한 색감을 연출할 수있는 칠보를 이용하여 동판의 표면을 처리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의 광택처리를 하지 않아도 단단하고 광택이 나는 표면을 갖는 장식용 동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칠보 동판은 얇은 구리판에 칠보가루를 뿌리고, 소정의 온도로 열처리를 해줌으로서 단단하고 광택이 나는 표면을 갖는 장식용 동판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용 칠보동판 및 그 제조방법{ORNAMENTAL COPPER PLATE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건물의 외벽 또는 내벽을 장식하는 장식재에 관한것이다.
장식재로써 종래에 사용되는 아트 타일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색조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인테리어의 목적으로 사용하게 되며, 이 중 모자이크 타일은 교회나, 레스토랑, 학교 등지에서 벽면에 디자인된 형태를 모자이크로 장식하고자 할 경우에 주로 사용 된다.
즉, 그림을 디자인하고 채색할 경우 모자이크기법을 사용하여 각 부분에 적당한 질감과 색깔을 갖는 다수의 모자이크 타일을 부착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모자이크 타일을 주로 점토를 이용하여 모양을 만들고 소정의 온도에서 구워 제작하였다.
따라서, 점토를 구워 제작한 타일은 다른 재질에 비해 무겁고 깨지기 쉽기 때문에 같은 크기라도 다른 재질에 비해 어느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타일의 두께를 커버하고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 거대한 밑그림에 맞게 타일을 붙이는 과정에서 각각의 타일은 시멘트 시공을 통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붙여나가며, 타일과 타일사이는 부착력이 강한 소정의 물질을 채워넣어 각 타일을 지지하도록 하여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타일판으로 제작한 모자이크는 하나의 그림이 여러개의 모자이크 타일의 간격에 의하여 분할 표현케 되어 그림이 뚜렷이 표출되지 못하고 시각적으로 미감이 감득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쉽게 깨지며 미세한 이물질이 부착되면 잘 제거되지 않는 결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자이크 타일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각 타일(T1)과 타일(T2)의 간격(10)으로 인해 디자인 하고자 하는 꽃무늬가 분할되어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타일의 두께와 무게에서 올 수있는 결점들을 없애고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한층 높이기 위해 종래의 타일을 대체하기 위한 타일로서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좀더 쉽고 편안하게 시공할 수 있는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고, 두번째 목적은 기존의 타일시공과는 다르게 각 타일간의 간격을 없애줌으로서 이미지의 미감이 한층더 살아날수 있도록 하는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쉽게 깨지지 않고 다양한 색감과 광택을 표현할 수 있는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모자이크 타일에 의해 제작된 모자이크,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칠보동판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타일의 주 재료를 메탈과 칠보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이러한 메탈은 공기에 쉽게 부식되지 않고,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면 적당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구리(Copper)즉 동을 선택하여 제작하였다.
따라서,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칠보동판타일의 제조방법은 동판과 색깔유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동판 위에 색깔유리를 뿌려주는 단계와; 색깔유리로 디자인된 동판을 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칠보동판타일은 동판으로 형성된 몸체와,
미세한 유리가루를 뿌려 열처리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실시 예 --
본 발명은 구리를 주조하여 얇은 판으로 만든 후, 구리판의 표면에 다양한 색감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색깔 유리를 뿌려 열처리를 하는 칠보공예의 기법을 사용하였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칠보타일의 공정도로서,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갖는 동판타일(100)을 준비한다.
이러한 동판은 쉽게 주문제작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동은 얇은 판으로 가공하기 용이하고, 알루미늄을 제외한 모든 메탈과 합금이 가능하고 전기적인 특성이 좋기 때문에 산업에 크게 공헌하는 금속이기도 하다.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동은 은(silver) 다음으로 전기전도성이나 열 전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실생활에 사용되지 않는 곳이 거의 없을 정도이다.
또한, 수백년이 지나도 그 모양이나 표면상태가 거의 변하지 않아 그 특성을 반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금속이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동제품을 사용하는 것은 동일목적으로 다른 물질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큰 이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준비된 동판 타일 위에 이미 디자인된 도안에 따라 동판의 전체에 원하는 색감의 유리가루(110)를 선택하여 뿌려준다.
이러한 색깔유리는 "칠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칠보는 은이나 동으로 이루어진 생산품을 장식하는 수단으로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귀금속이나 식기류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여러가지 화학적인 표현이 가능하며 오색찬란한유리질을 녹여 붙이는 독특한 기법으로서 7가지 보석(금,은,유리,파리,산호,마노,진주)에 필적하는 아름다운 빚과 광택을 지닌 재료로 최대로 아름다운 인공보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칠보는 상기 은이나 동에 부착하여 온도를 가하게 되면 도자기의 유약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즉, 금속의 표면에서 녹아 단단하게 광택이 나는 표면으로 변하게 된다.
더욱이 칠보는 오래되어도 그 색감이 잘 변하지 않고 조명을 받으면 아름답게 반짝이는 효과를 낼수 있음으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미각을 더욱 증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판표면에 칠보가루가 잘 부착되도록 상기 칠보가루를 아주 미세한 가루로 걸러서 사용한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탕이 디자인된 동판 위에 디자인하려는 모양을 패터닝한 마스크(120)를 씌우고, 노출된 동판면 위에 디자인하려는 형태에 어울리는 칠보를 뿌려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채모양을 모자이크하기 위한 여섯개의 칠보동판타일을 예를 들었다.
각각의 동판타일(111)을 디자인하려는 모양에 맞게 마스크(113)을 씌우고 칠보가루를 뿌려준다.
이때 칠보가루로 바탕이 이미 디자인된 각각의 칠보 동판에 무늬를 만들기 위해 붓과 같은 소정의 수단을 이용하여 무늬를 만들어도 좋다.
도 2d는 각각의 칠보동판타일로 모자이크된 부채모양의 도안을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칠보동판타일을 이용하여 디자인을 모자이크 하게 되면 타일간의 간격(115)이 거의 없이 모자이크 할 수 있음으로 훨씬 미감이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칠보로 디자인된 동판은 소정의 온도에서 열처리 하여주며, 이때, 동판의 표면에 부착된 칠보가루는 약 800℃의 온도에서 녹게 되며, 냉각되는 동안 단단하고 부드러운 광택을 내는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인공적인 광택을 표현하기 위해 더 이상의 처리를 할 필요가 없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칠보동판은 복잡한 시멘트 시공에 의한 부착뿐아니라, 본드나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디자인된 벽면에 부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칠보 타일은 제질을 동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매우 얇은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여 기존의 일반 타일보다 크기나 두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한, 시멘트 시공에 의한 부착 뿐 아니라 본드나 헨드쿼터, 실리콘 같은 접착물로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음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있다.
그리고,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타일간의 간격을 둘 필요 없이 디자인한 모양에 따라 바로 근접하여 부착이 가능함으로 모자이크로 이용할 경우 디자인된 그림의 외형과 일치되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타일 간격에 의해 디자인이 분할 표현되어 미감이 반감 되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칠보타일은 칠보가루를 뿌려주는 방법으로 표면을 디자인하기 때문에 다량 생산할 수 있어 제품의 제조수율을 높일수 있다.
또한, 칠보의 독특한 광택은 조명을 받은면 특유한 광택을 내어 보는 사람의 미감을 증대시킴으로 최고의 인테리어 재료라 할 수 있으며, 또한 타일의 재질이 금속임으로 쉽게 깨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칠보 동판타일은 칠보가 벗겨지더라도 그부분을 떼어내어 칠보가루를 이용하여 다시 열처리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더우기, 모자이크를 제거할 경우 칠보를 벗겨낸 동판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자원 재활용면에서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2)

  1. 동판과 칠보가루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동판 위에 마스크를 사용하여 소정위치에 특정한 색깔을 갖는 미세한 칠보가루를 뿌려주는 단계와;
    칠보가루로 디자인된 동판을 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칠보동판 제조방법.
  2. 동판으로 형성된 몸체와,
    칠보가루를 뿌려 열처리한 표면을 갖는 칠보동판.
KR1019990005159A 1999-02-12 1999-02-12 장식용 칠보동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56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159A KR20000056124A (ko) 1999-02-12 1999-02-12 장식용 칠보동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159A KR20000056124A (ko) 1999-02-12 1999-02-12 장식용 칠보동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124A true KR20000056124A (ko) 2000-09-15

Family

ID=1957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159A KR20000056124A (ko) 1999-02-12 1999-02-12 장식용 칠보동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61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81B1 (ko) * 2006-09-18 2006-12-20 곽성기 장식용 판유리의 제조방법
KR100838249B1 (ko) * 2005-11-28 2008-06-23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귀금속 타일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249B1 (ko) * 2005-11-28 2008-06-23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귀금속 타일 제조 방법
KR100659381B1 (ko) * 2006-09-18 2006-12-20 곽성기 장식용 판유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31824B (zh) 一种黑金花釉陶瓷的制作方法
KR101204686B1 (ko)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CN105330341A (zh) 原生态立体图案瓷砖及其制作方法
KR20000056124A (ko) 장식용 칠보동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387526Y1 (ko)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CN103073274A (zh) 一种微小马赛克电镀装饰陈设艺术瓷器的制造方法
KR100479193B1 (ko) 자개 및 칠기면의 채색 방법
CN101429054B (zh) 琉璃画工艺
KR100927053B1 (ko) 수금 빗살무늬의 청자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500989B1 (ko) 자개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KR20150073496A (ko) 도자기의 표면 장식방법 및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도자기
KR20050027782A (ko) 보석으로 장식된 요업제품 및 그 제조방법
RU2213667C1 (ru) Мозаичное изделие а.л.манджоса
CN1300042C (zh) 瓷砖及其加工方法
CN215564005U (zh) 具有多层立体装饰结构的瓷砖
CN100439278C (zh) 马赛克及其加工方法
KR200235090Y1 (ko) 도자칠보
JP2817332B2 (ja) 装飾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052748U (ja) 食器及び装飾品用焼物
JPH0812379A (ja) 七宝調構造装飾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09674A (ko) 무광 칠보장식과 그 제조방법
CZ7702U1 (cs) Ozdobný keramický předmět, zejména ob- kládačka
JPS60169574A (ja) ホ−ロ−加工物
JPH05309636A (ja) 宝石をはめ込んだ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21930B1 (ko)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