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930B1 -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930B1
KR100921930B1 KR1020090021931A KR20090021931A KR100921930B1 KR 100921930 B1 KR100921930 B1 KR 100921930B1 KR 1020090021931 A KR1020090021931 A KR 1020090021931A KR 20090021931 A KR20090021931 A KR 20090021931A KR 100921930 B1 KR100921930 B1 KR 100921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ure
stalactite
decorative
firing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이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희 filed Critical 이경희
Priority to KR102009002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유석질감의 도자장신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함수율 20~30중량%을 가지며 백색도가 있는 도자기 흙을 작업판 상에 올려놓고 흙밀대로 밀어서 흙판을 만든 후, 공예 톱날로 흙판 상면을 동일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긁어 한곳에 모으면서 종유석 질감의 장식 형상물을 형성하며, 종유석 질감의 장식 형상물을 초기 대비 40~60중량% 수분 증발로 반건조되게 한 후, 장식 형상물의 가장자리를 균일하게 다듬어 장식기물을 얻고, 장식기물을 음지양생하고 소성 및 시유, 채색하여서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를 얻는다.
도자장신구, 백색도, 종유석 질감

Description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WARE ADORNMENTS HAVING TEXTURE OF STALACTITE}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신구는 토탈패션에 장식미감을 돋구어 주고 개성을 창출하는 표현매체로서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고 있으며, 그 종류로도 허리띠, 노리개, 목걸이, 반지, 귀걸이, 벨트, 팔찌, 브로치, 핀, 머리 장식품, 시계, 모자, 가방 등등으로 무수히 많다.
이러한 장신구는 재질도 다양하고 소재의 폭은 자신만의 개성을 요구하는 현대 요구에 부응하여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유통되는 장신구는 금속과 합성수지 재질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까닭에 도자기류의 장신구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도자장신구가 공예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면 일반 플라스틱제품이나 금속제품에 비해 차별화될 것이고, 제조방식도 단순한 기계적 양산이 아니라 폭넓은 계층들 에 호응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양산기법으로 구현된다면 제작자와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다종 및 소량의 제품생산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형성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현재 제조되고 있는 도자장신구의 디자인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형태나 무늬가 표현되지 못하고 과거 전통적인 기술과 디자인을 탈피하지 못해 과거의 상품유형을 답습하고 있는 실정이며 색채표현에 있어서도 1~2가지의 색을 이용하는 단순한 형태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고유의 작품성과 현대적인 디자인이 조화된 도자기재질의 도자장신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유석의 독특한 질감이 표현되고 자유로운 형태와 색상 표현이 이루어진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함수율 20~30중량%을 가지며 백색도 있는 도자기 흙을 작업판 상에 올려놓고 흙밀대로 밀어서 흙판을 만든 후, 공예 톱날로 흙판 상면을 동일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긁어 한곳에 모으면서 종유석 질감의 장식 형상물을 형성하며, 상기 종유석 질감의 장식 형상물을 초기 대비 40~60중량% 수분 증발로 반건조되게 한 후, 상기 장식 형상물의 가장자리를 균일하게 다듬어 장식기물을 얻고, 상기 장식기물을 음지양생하고 소성 및 시유, 채색하여서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를 얻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수율 20~30중량%을 가지며 백색도가 있는 도자기 흙을 작업판 상에 올려놓고 흙밀대로 밀어서 흙판을 만든 후, 공예 톱날로 흙판 상면을 동일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긁어 한곳에 모으면서 종유석 질감의 장식 형상물을 형성하며, 상기 종유석 질감의 장식 형상물을 초기 대비 40~60중량% 수분 증발로 반건조되게 한 후, 상기 장식 형상물의 가장자리를 균일하게 다듬고 다듬은 장식 형상물을 이용하여 성형틀을 제작하고 제작된 성형틀에 함수율 20~50중량%을 가지며 백색도가 있는 도자기 흙을 넣어 성형하여서 성형된 장식기물을 얻되 상기 장식기물을 음지양생하고 소성 및 시유, 채색하여서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를 얻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도자기 흙은 실크소지, 백자토, 수퍼화이트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자장신구가 종유석의 독특한 질감이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형태로 표현되고 다수차의 소성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색상 표현이 이루어지게 하여서 상품고유의 작품성과 현대적인 디자인이 조화되도록 해주며, 폭넓은 소비자 계층들로부터 호응도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성형틀을 필요에 따라 이용하면 제작자와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다종 및 소량 내지 적정량의 제품생산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형성도 가능하게 해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현대 장신구는 자연적인 이미지를 주제로 하고 사실적인 형태보다는 기하학 적이고 자유로운 형태, 그리고 반입체적인 형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현대 장신구의 선호 경향에 맞추어서 장신구가 종유석 질감을 갖도록 표현되도록 함과 동시에 도자기 재질의 장신구를 얻도록 구현한다.
본원 발명자는 도자장신구가 종유석 질감을 갖도록 하기 위해 동굴의 천장에 고드름처럼 매달려 있는 종유석의 다양한 형태를 사진 촬영하고 촬영된 다양한 종류의 종유석 이미지를 주제로 하여 기하학적이고 자유로운 형태 및 반입체적 형태를 도안하였다.
종유석은 발달정도나 그 모양과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며 종류에 따라 그 이름도 베이컨종유석, 커튼종유석 등등으로 불리워진다.
본원 발명자는 이러한 다양한 모양이나 형태의 이미지를 주제로 하여 도자장신구용 종유석 질감을 도안하였으며, 그 도안을 근거로 본 발명의 도자장신구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를 얻기 위해 사용한 도자기 흙은 함수율 20~30중량%을 가지며 백색도가 있는 도자기 흙이다. 도자기 흙은 백자토, 청자토, 옹기토, 산청토, 산백토, 세인토, 내열토, 조합토, 밀양백토, 고려도토, 슈퍼화이트, 실크소지, 밀양도토 등으로 그 종류가 다양한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자기 흙은 백색도가 있는 흙종류인 실크소지, 백자토, 수퍼화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크소지, 백자토, 수퍼화이트와 같은 백색도 있는 흙은 철분성분이 거의 없는 것으로 장식 형성물을 만들고 중간 가공체인 소성 장식기물을 만든 다음 안료나 유약을 바를 때에 그 안료와 유약이 잘 드러나도록 해주는 바탕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자기 흙의 함수율 20~30중량%는 종유석 질감을 얻기 위해 공예 톱날로 긁어 한곳으로 모을 때에 종유석 질감이 잘 나타나도록 해주는 수치범위이다.
도 1에서는 도자기 흙으로 종유석 질감을 갖는 장식형상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도자장신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함수율 20~30중량%를 가지며 백색도가 있는 도자기 흙(8)을 작업판(2) 상에 도 1의 (a)에서와 같이 올려놓는다. 작업판(2)은 지지판(4)상에 부직포와 같은 작업보(6)를 덮어서 된 것이며, 그 작업보(6) 상에는 백색도 있는 도자기 흙(8) 즉, 실크소지, 백자토, 수퍼화이트중 한 종류를 올려 놓는다. 부직포 재질의 작업보(6)는 도자기 흙(8)이 작업판(2) 바닥에 떡처럼 달라붙는 현상을 없애준다.
제작자는 작업판(2)상에 올려놓은 도자기 흙(8)을 흙밀대로 밀어서 도 1의 (b)와 같은 흙판(10)을 그 작업판(2)상에 형성하고, 그 후에는 공예 톱날로 흙판(10)의 상면을 동일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긁어 한곳에 모으면서 도 1의 (c)에서와 같이 기 도안된 종유석 질감이 포함된 장식 형상물(12)을 작품 제작한다. 이때 장식 형상물(12)은 소비자가 도자장신구를 휴대하기에 알맞고 뒤장식편과의 부착 및 고정성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그 평균두께가 10mm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장식 형상물의 평균두께는 2~8mm이다.
종유석 질감을 갖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공예 톱날은 목공용 톱날이나 금속절단용 톱날을 도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톱날의 피치(pitch)간격은 0.5~5mm인 것이 종유석 질감을 표현하는데 가장 적합하다. 이때 톱날의 피치간격은 상기 피치간격범위 0.5~5mm내에서 균일한 것이나 불균일한 것 모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려 피치의 공예톱날을 다양하게 사용하면 다양한 피치의 톱날 긁힘 자국에 의해 장식 형상물의 질감표현이 더욱 풍성하게 되어진다.
이렇게 종유석 질감이 표현된 장식 형상물(12)을 얻은 다음에는 그 장식 형상물(12)을 초기 대비 40~60중량% 수분 증발로 반건조되게 한다.
그 후 반건조된 장식 형상물(12)의 가장자리를 균일한 두께가 되게 스펀지 등으로 다듬어 정리해준다. 이는 반건조한 장식 형상물(12)의 가장자리를 다듬어 정리해주지 않으면 장식 형상물(12)이 양생되는 과정에서 그 가장자리에 있는 톱니홈선을 통해 균열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건조되고 가장자리 정리된 장식 형상물(12)은 단품으로 제작될 것인지 아니면 성형틀에 의한 소량 내지 적정량 생산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것이지에 따라서 이후의 제작방법이 달라진다.
먼저 제작자가 상기 장식 형상물(12)을 하나 밖에 없는 형상의 단품으로 제작하고자 할 경우의 이후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제작자가 상기 장식 형상물(12)을 하나 밖에 없는 형상의 단품으로 제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장식 형상물(12)은 바로 도자장신구가 되기 위한 중간 가공체인 장식기물이 된다.
제작자는 상기 장식기물을 음지양생하되, 필요에 따라 장식기물의 평균두께가 10mm를 초과할 만큼 두텁고 장식기물의 최고두께와 최소두께간 두께차이가 2배를 넘게 되는 경우에는 장식기물의 속을 전체 적인 두께가 개략적으로 유사하게 되도록 판 다음 음지 양생을 한다. 상기에서 장식기물의 평균두께가 10mm를 초과할 만큼 두텁고 장식기물의 최고두께와 최소두께간 두께차이가 2배를 넘게 되는 경우에 장식기물의 속을 전체 두께가 개략적으로 유사하도록 파는 이유는 장식기물의 겉과 속의 수분증발 차이로 인해 외부 표면에 균열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식기물의 평균두께가 도자장신구를 위한 적절한 두께인 10mm이하일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두께차이가 있더라도 장식기물의 겉과 속의 수분증발 차이로 외부 표면균열 현상은 거의 없으므로 음지 양생전의 속 파는 작업은 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반건조되고 가장자리 정리된 장식 형상물(12)을 성형틀에 의한 소량 내지 적정량 생산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경우의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제작자는 반건조되고 가장자리 정리된 장식 형상물(12)을 성형틀에 의한 소량 내지 적정량 생산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장식 형상물(12)이 성형틀을 본뜨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장식 형상물(12)을 이용해 만들어지는 성형틀은 실리콘재질이나 석고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작자는 장식 형상물을 이용해 만든 성형틀에 함수율 20~50중량%를 가지며 백색도가 있는 도자기 흙을 넣고 이장주입이나 가압성형 등으로 성형하여서 종유석 질감으로 성형된 장식기물을 얻는다. 상기 이장주입은 주로 석고재질의 성형틀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때에는 흡습성의 석고 특성상 도자기 흙의 함수율이 30~50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콘재질의 성형틀을 이용한 가압성형 방식에서는 도자기 흙의 함수율이 20~30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된 장식기물은 도자장신구가 되기 위한 중간 가공체이다. 상기 성형된 장식기물도 음지양생을 해주어야 한다.
성형틀로 장식기물을 얻는 방법은 제작자와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다종 및 소량 내지 적정량의 제품생산을 가능하게 해주며 매번 단품으로 생산되는 장식기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형성도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와 같이 장식형상물로부터 바로 장식기물을 얻거나 성형틀을 이용해서 성형된 장식기물을 얻은 후, 제작자는 소성 및 시유, 그리고 채색을 통해서 종유석 질감의 도자장신구를 얻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장식기물은 먼저 750~850℃로 1차 소성한 후 도자기 표면에 채색 후 유약을 입히거나 채색 없이 유약을 입힌다. 1차 소성은 점토의 강도와 흡수성을 증대시키고 유약과 밀착을 조장하여 시유작업의 편리와 파손 방지를 목적으로 행한다.
채색은 장식기물에 소원하는 풍부한 질감형성과 그라데이션(gradation) 또는 무늬형성을 하기 위한 것으로 2차 소성 온도에 적합한 고화도 안료를 사용해 붓으로 칠해서 정밀한 색 농도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채색 전에는 물에 젖은 스펀지 등으로 장식기물의 표면을 닦아내고 건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하다. 또 1차 소성후의 시유는 투명유로 스프레이방식 등으로 하여서 균일한 도포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소성, 채색 및 시유를 하거나 1차 소성 및 시유만을 한 장식기물은 1100~1400℃, 바람직하게는 1250℃로 2차 소성을 하면서 경질화된 온전한 도자기 제품이 되어진다.
또한 2차 소성한 장식기물에 더욱 풍부한 색채표현과 제품가치 향상을 위해서 다수차에 걸친 채색 및 소성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수차에 걸친 채색과 소성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2차 소성온도에 비해서는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소성온도 예컨대 750~1100℃로 소성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해당 차수의 소성시 중요한 것은 사용했던 채색유나 채색물의 융점에 적합한 소성온도로 소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2차 소성이 완료된 후 동굴느낌의 색감이 나는 덩컨유나 러스터유를 이용해서 장식기물의 표면에 채색을 하는 경우에는 덩컨유나 러스터유에 맞는 900~1100℃ 소성온도로 3차 소성을 하여야 하고, 3차 소성한 후 금분이나 은분으로 채색하는 경우에는 750~850℃의 소성온도로 4차나 5차까지의 소성이 차례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2차 소성후의 다양한 재질을 이용한 다수차의 채색과 소성은 심미성을 갖춘 다양하고 풍부한 색깔과 질감 표면을 가능케 하며, 장식미와 고유성 및 희소성을 더해줄 수 있다.
상기한 2차 내지 5차에 걸친 소성은 전기가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 다.
다수 차수에 걸친 채색과 소성과정을 모두 마치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예의 본 발명 도자장신구가 되며, 이러한 도자장신구는 금속재나 섬유재, 목재 등의 뒷장식편에 부착되어서 브로치나 목걸이, 펜던트, 반지 등등의 다양한 장신구가 제품완성되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작한 브로치용 도자장신구로서 종유폭포의 질감이 표현되도록 하였고 채색을 통해 질감향상과 풍부한 색깔표현도 함께 한 것이며, 도 3은 오랜 세월을 통해 성장한 웅장한 종유폭포의 질감을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목걸이 및 펜던트로서 천정에 달린 종유석의 좁고 날카로우며 가벼운 느낌을 단순화한 형태로 종유석 질감을 표현하였고 동굴내 불빛과 자연경관을 형성화한 색채도 가미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의 도자장신구는 목걸이나 브로치 등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동굴의 산호느낌 등을 나타내며 대비색채 등을 이용해서 장식미가 미려하게 제작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도자장신구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도자기 흙으로 종유석 질감을 갖는 장식형상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종유석 질감을 갖는 장식형상물들의 일예 사진도.

Claims (5)

  1. 함수율 20~30중량%를 가지며 실크소지, 백자토, 수퍼화이트중 하나로 된 도자기 흙을 작업판 상에 올려놓고 흙밀대로 밀어서 흙판을 만든 후, 0.5~5mm 톱니피치간격의 공예 톱날로 흙판 상면을 동일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긁어 한곳에 모으면서 종유석 질감의 장식 형상물을 형성하며, 상기 종유석 질감의 장식 형상물을 초기 대비 40~60중량% 수분 증발로 반건조되게 한 후, 상기 장식 형상물의 가장자리를 균일하게 다듬어 장식기물을 얻고,
    상기 장식기물을 음지양생하고 소성 및 시유, 채색하여서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를 얻도록 하되,
    상기 도자장신구를 얻기 위한 소성 및 시유, 채색을 하는 과정이,
    상기 장식기물을 750~850℃로 1차 소성한 후 도자기 표면에 채색하고 고화도안료를 이용해 유약을 입히는 단계와, 상기 유약을 입힌 1차 소성된 장식기물에 1100~1400℃로 2차 소성하는 단계와, 상기 2차 소성된 장식기물을 덩컨유와 러스터유, 금은분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하고 750~1100℃로 소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종유석질감의 도자장신구 제조방법.
  2. 함수율 20~30중량%를 가지며 도자기 흙을 작업판 상에 올려놓고 흙밀대로 밀어서 흙판을 만든 후, 0.5~5mm 톱니피치간격의 공예 톱날로 흙판 상면을 동일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긁어 한곳에 모으면서 종유석 질감의 장식 형상물을 형성하며, 상기 종유석 질감의 장식 형상물을 초기 대비 40~60중량% 수분 증발로 반건조되게 한 후, 상기 장식 형상물의 가장자리를 균일하게 다듬고 다듬어진 장식 형상물을 이용하여 성형틀을 제작하고 제작된 성형틀에 함수율 20~50중량%를 갖는 실크소지, 백자토, 수퍼화이트중 하나로 된 도자기 흙을 넣어 성형하여서 성형된 장식기물을 얻고,
    상기 장식기물을 음지양생하고 소성 및 시유, 채색하여서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를 얻되,
    상기 도자장신구를 얻기 위한 소성 및 시유, 채색을 하는 과정이,
    상기 장식기물을 750~850℃로 1차 소성한 후 도자기 표면에 고화도안료를 이용해 채색하고 유약을 입히는 단계와, 상기 유약을 입힌 1차 소성된 장식기물에 1100~1400℃로 2차 소성하는 단계와, 상기 2차 소성된 장식기물을 덩컨유와 러스터유, 금은분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하고 750~1100℃로 소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종유석질감의 도자장신구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21931A 2009-03-14 2009-03-14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 제조방법 KR100921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931A KR100921930B1 (ko) 2009-03-14 2009-03-14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931A KR100921930B1 (ko) 2009-03-14 2009-03-14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930B1 true KR100921930B1 (ko) 2009-10-16

Family

ID=4156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931A KR100921930B1 (ko) 2009-03-14 2009-03-14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9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370A (ko) * 1987-06-26 1989-03-14 배혜주 장신구 부착용 인조석의 제조방법
KR970015528A (ko) * 1995-09-26 1997-04-28 오재명 도자기 제조 방법
KR100243544B1 (ko) 1998-01-06 2000-02-01 정재일 다층 퇴적토를 이용한 인조석 제조방법 및 그 인조석
KR200431014Y1 (ko) * 2006-07-05 2006-11-13 유광열 액세서리용 연리문 청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370A (ko) * 1987-06-26 1989-03-14 배혜주 장신구 부착용 인조석의 제조방법
KR970015528A (ko) * 1995-09-26 1997-04-28 오재명 도자기 제조 방법
KR100243544B1 (ko) 1998-01-06 2000-02-01 정재일 다층 퇴적토를 이용한 인조석 제조방법 및 그 인조석
KR200431014Y1 (ko) * 2006-07-05 2006-11-13 유광열 액세서리용 연리문 청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7542B (zh) 一种具有半透明反光装饰面的陶瓷砖生产工艺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CN102633488A (zh) 一种在紫砂、陶瓷制品上镶嵌贵金属及宝石的工艺
CN104788080A (zh) 一种绞胎瓷的制作工艺
KR101348080B1 (ko)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가진 띠가 구현된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101204686B1 (ko)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KR100921930B1 (ko) 종유석 질감을 갖는 도자장신구 제조방법
KR101275216B1 (ko) 입체문양이 표현된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WO2020258482A1 (zh) 一种应用于原石石材的漆线雕工艺
CN101747052B (zh) 一种堆料电镀装饰陈设艺术瓷器的制造方法
KR100867934B1 (ko) 여러 형태의 자수 문양 옷감을 이용한 전통자수 자기 인형제작방법
CN102120705B (zh) 窑变瓷砖的制备方法
CN103215856A (zh) 一种金粉纸及其配方和制造工艺
KR101569971B1 (ko) 도자기의 표면 장식방법
JP5021787B2 (ja) 陶磁器における稲わらによる施釉方法。
KR20120092959A (ko) 자연물 형태와 질감을 갖는 소형 도자조형물 제작방법
KR200431014Y1 (ko) 액세서리용 연리문 청자
CN102173278B (zh) 一种在强化牙瓷上装饰骨瓷装饰配件的陶瓷制品及其制作方法
KR100927053B1 (ko) 수금 빗살무늬의 청자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628137B1 (ko) 한지 질감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1500989B1 (ko) 자개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KR101315344B1 (ko) 귀금속층이 형성되는 세라믹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63994B1 (ko) 나전칠기가 결합된 장신구 및 그 제작방법
KR101191670B1 (ko) 삼작 상감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20043114A (ko) 자개 문양 및 칠 문양을 넣은 도자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