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617A -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투명 물품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투명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617A
KR20000053617A KR1020000003619A KR20000003619A KR20000053617A KR 20000053617 A KR20000053617 A KR 20000053617A KR 1020000003619 A KR1020000003619 A KR 1020000003619A KR 20000003619 A KR20000003619 A KR 20000003619A KR 20000053617 A KR20000053617 A KR 20000053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phthalate
terephthalate
isophthalic acid
viscosity
copolyalk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0640B1 (ko
Inventor
후사인알 가따
엔리꼬 발리꼬
토니노 세베리니
Original Assignee
울데리코 에르꼴라니
신코 리체르체 에스.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데리코 에르꼴라니, 신코 리체르체 에스.페.아. filed Critical 울데리코 에르꼴라니
Publication of KR2000005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46Polyesters chemically modified by este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0Solid-state poly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20Polyesters having been prepared in the presence of compounds having one reactive group or more than two reactiv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두께가 5mm 보다 큰 투명 물품, 특히 시이트는 5 내지 20%의 이소프탈산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로부터 수득되며, 고유 점도는 0.8 dl/g 보다 크고, 280℃에서의 용융 강도는 1cN 보다 크며, 280℃에서의 용융 점도는 전단 속도가 0인 경우에는 2000Pa·s 보다 크며, 전단 속도가 1초 당 1000인 경우에는 200Pa·s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투명 물품 {TRANSPARENT ARTICLES OF POLYESTER RESIN}
본 발명은 두꺼운 투명 물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수득된 상기 투명 물품에 관한 것이다.
무정형의 열가소성 중합체, 예컨데, PVC,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티렌으로부터 수득된 두꺼운 투명 시이트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시이트는 여러 단점, 예컨데, 표면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PVC중의 가소제의 존재 또는 PMMA 및 PC 시이트의 재순환의 어려움, 및 PMMA 시이트의 인화성 및 부서지기 쉬운 특성과 같은 단점이 있다.
120 내지 160℃의 냉각 결정화 온도를 갖는 결정성의 개질된 PET로부터 수득된 비교적 얇은 투명 시이트가 공지되어 있다.
US-A-2 965 613에는 0.5 내지 0.7 dl/g의 고유 점도를 갖는 5 내지 15%의 이소프탈산 단위를 함유하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중축합 반응, 또는 트레프탈레이트와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의 에틸렌 글리콜과의 에스테르교환 반응 및 수득된 글리콜 에스테르의 중축합 반응에 의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됨)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동종 중합체의 속도보다 매우 낮은 속도로 결정화된다: 이소프탈산의 단위 함량이 매우 높을 경우(25-85%)에만, 수지는 더 이상 결정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Tg는 매우 낮으며, 수지는 충분히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생성물을 제조하기에 비적합하게 된다.
US-A- 4 234 708에는, 5 내지 15%의 이소프탈산 단위를 함유하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매우 높은 고유 점도 및 용융 강도를 가지며, 중공 압출에 의해 얇은 벽의 투명 콘테이너의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롤프로판 및 펜타에리티톨과 같은 브랜칭 시제(branching agent) 및 사슬 종결제(벤조산과 같음)의 존재하에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물과 에틸렌 글리콜의 중축합 반응,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이소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의 에스테르교환 반응, 이 후 에스테르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수득된 수지의 고유 점도(0.7 dl/g 미만)는 고체상 중축합 반응(SSP)에 의해 1 dl/g 보다 큰 값으로 유도된다.
SSP 후, 수지는 용융 상태에서 다소 높은 점도를 가지며, (전단력의 부재하에 265℃ 내지 300℃의 온도에서 104내지 105Pa·s) 전단력의 작용하에서는 102내지 103Pa·s까지 급격하게 감소된다.
한편으로는 중공 성형 작업에 적합한 이러한 전단력에 대한 높은 민감도는, 전단력의 작용하에서도 용융물이 충분히 높은 점도를 유지해야 하는 압출에 의한 두꺼운 생성물의 제조에는 적합하지 않다.
120 내지 16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결정가능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시이트로부터 수득된 두께가 1 내지 20mm인 열 형성된 물품은 WO-A-97/12750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열 형성된 시이트가 있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부터 시작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두꺼운 투명 물품 및 시이트의 제조 가능성이 고려되었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우연하게도,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의 이소프탈산 단위를 함유하는 코폴리알켄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수지로부터 개시되며, 두께가 5mm 보다 크며, 하기 특성을 갖는 투명 시이트 및 물품이 제조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0.8 dl/g 보다 큰 고유 점도:
- 280℃에서 1cN 보다 큰 용융 강도:
- 280℃에서 전단 속도가 0에 근접한 경우에는 2000Pa·s 보다 크고, 전단 속도가 1초 당 1000인 경우에는 200Pa·s 이상인 용융된 상태의 점도.
물품의 결정도는 일반적으로 5% 미만이다.
7 내지 8%를 초과하는 이소프탈산 단위를 함유하는 수지는, 냉각 결정화 DSC 곡선에서 발열성 전이를 갖지 않는다. 물품을 우수한 기계적 특성, 특히 저온에서 높은 충격 내성 및 최적의 광학 특성을 갖는다.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물을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8개인 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1,4 부탄디올로로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고 결합된 글리콜 에스테르를 중축합 반응시키거나 디메틸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에스테르교환 반응/중축합 반응시키는 공지된 방법 및 이렇게 수득된 고체상 수지를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이무수물의 존재하에 중부가 반응시키므로써, 출발 수지의 점도는 0.1 단위 dl/g 이상 및 용융 강도는 280℃에서 1cN 보다 크도록 증가된 상기 언급된 특성을 갖는 코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제조될 수 있다.
SSP 후의 고유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2 dl/g이며, 용융 강도는 280℃에서 바람직하게는 2cN 보다 크며, 일반적으로 5 내지 20cN이다.
280℃에서 전단 속도가 0인 경우 2000 내지 3500Pa·s인 용융된 상태의 점도가 일반적으로 적합하다; 그러나, 더 높은 점도가 이용될 수 있다. 1초 당 1000의 전단 속도에 상응하는 280℃에서의 점도는 일반적으로, 200Pa·s 보다 크다.
고체상에서의 중부가 반응은 수지의 융점보다는 낮고, 이들의 Tg 보다는 높은 온도, 일반적으로 130 내지 200℃에서 작업하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므로써 수행된다.
고체상 반응으로 처리되기 전에, 첫 번째 수지는 중축합 반응기에서 끈적거리는 현상을 피하기 위해 결정화 처리된다. 작업 온도는 예를 들어, 유동층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130 내지 180℃이다.
8 내지 15%의 이소프탈산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한 수지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조된 통계적인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이외에, 5 내지 20%의 이소프탈산 단위 함량을 항상 갖는 다양한 유형의 블록 공중합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목적하는 유동 특징을 얻기 위해 피로멜리트산 무수물이 상이한 함량의 이소프탈산 단위(예를 들어, 2% 및 15%의 이소프탈산)를 갖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의 압출 및 이어서, 고체상 중부가 반응에 의해 수득된다.
따라서, 이소프탈산 함량에 따라 일반적으로, 130 내지 18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가 수득된다.
코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수지는 물품의 투명성이 와해되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사용되는 무정형 중합체, 예를 들어, ε-폴리카프로락톤과의 혼합에 사용될 수 있다.
투명도는 UV/VIS 분광광도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다. 빛의 투과도는 1100 내지 450nm의 파장 간격에서 50%를 초과한다.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이무수물은 용융 상태의 중축합 반응기의 배출구에서 0.05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6 중량%의 양으로 수지와 혼합되거나, 압출 상태의 수지에 첨가된다.
압출기에서의 혼합 및 잔류 시간은 비교적 짧다(몇 분 이하).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이 바람직하다.
다른 이무수물의 예로는 1,2,3,4-시클로부탄 테트라카르복실산, 3,3'-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4,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에테르의 이무수물이 있다.
본 발명의 투명 물품은 공지된 금형, 압출, 사출, 형성형 기술 또는 다른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투명 물품은 실내 적용물 및 실외 적용물에 유용하다(UV 안정화제로의 안정화 후).
적용물의 예로는 비닐하우스의 창유리, 도로 표지, 차량 및 기기의 투명한 부분, 선반 등이 있다.
두께가 5mm 보다 크며, 20mm 까지 될 수 있는 투명한 시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데 롤러 자체에 시이트가 충분히 부착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첫 번째 롤러에서는 30℃ 그리고, 나머지 롤러에서는 이 보다 높은 온도에서 유지되는 수집 롤러를 사용하여 캐스트-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1cN 보다 큰 수지의 용융 강도의 값이 필요하다.
측정 방법
고유 점도는 ASTM D 4603-86에 따라 25℃에서 40 내지 60 중량%의 테트라클로로에탄 및 페놀 용액에서 측정된다.
유동성 측정은 280℃에서 괴트페르트 레오미터(Goettfert Rheometer)를 사용한 ASTM D 3835 표준에 따라 수행된다.
용융 강도는 괴트페르트 레오그라프 2002 레오미터(Goettfert Rheograph 2000 Rheometer)의 모세관으로부터 압출된 물질을 스트레칭하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므로써 평가된다. 측정에 있어서, 레오텐스(Rheotens) 장치는 괴트페르트 레오그라프 2002 레오미터의 모세관의 출구에 장착한다.
압출 조건은 하기와 같다:
피스톤 속도: 0.2mm/초,
다이 직경: 2mm,
모세관 길이: 30mm,
시험 온도: 280℃.
측정은 2.4cm/초2의 가속으로 세팅되므로써 수행된다. 각각의 시험을 반복하여 두개의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실시예 1
13.5%의 이소프탈산(IPA) 단위를 함유하는, I.V.가 0.83 dl/g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CO-PET)의 제조물을 0.2 중량%의 피로멜리트산 무수물의 존재하에 업그레이드하였다.
테트라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물의 에틸렌 글리콜로의 에스테르화 반응 및 이어서, 글리콜 에스테르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고유 점도가 0.62 dl/g이며, 13.5%의 IPA를 함유하는 CO-PET를 L/D가 21.5인 인터메싱 및 카운터 로테이팅 트윈 스크루 압출기(intermeshing and counter rotating twin screw extruder)로 혼합시켰다. 압출기의 다양한 영역의 온도는 244/260/270/280/289℃이었으며, 스크루의 회전 속도는 447rpm이었다. 수득된 중합체의 I.V.은 0.71 dl/g이었다. 펠렛을 173℃에서 0.5시간 동안 결정화시킨 후, 168℃에서 24시간의 체류 시간 동안 질소 기류하에서 업그레이드시켰다. 업그레이드된 생성물의 고유 점도는 0.83 dl/g이었다.
DSC 곡선(10℃/분의 가열 속도)은 37.2 J/g의 융합 엔탈피로 202℃에서의 융합 피크를 나타내었다.
냉각 결정화 DSC 곡선은 어떠한 결정화 피크도 나타내지 않았다.
280℃에서의 중합체의 점도는 전단 속도가 0에 근접한 경우, 2500Pa·s이고, 전단 속도가 1초 당 1000인 경우, 200Pa·s이었다.
280℃에서 공중합체의 용융 강도는 11.5cN이었다.
따라서, 수득된 CO-PET를 브레이어 압출기(Breyer extruder)에서 압출시켜 두께가 7.7mm인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압출된 시이트를 첫 번째는 30℃, 두 번째는 56℃, 그리고 세 번째는 60℃에서 유지되는 세개의 롤러 시스템 상에서 모았다.
수득된 시이트는 투명하였다.
UV/VIS 분광광학기로 측정된 빛의 투과도는 1100 내지 700nm의 파장에서 약 80%이었다: 700 내지 600nm의 파장에서는 70%이었으며; 600 내지 450nm의 파장에서는 70%이었다.
DSC 곡선(첫 번째 수행)은 2% 미만의 결정도를 나타내었다.
충격 내성의 측정(ISO 190611에 따른)은 -25℃, 25℃ 및 50℃에서 하기 값을 제공하였다.
-25℃ 25℃ 50℃
- 피크 에너지(J) 4.73 8.30 9.30
- 피크력(kN) 8.15 8.97 8.50
- 피크 변형(mm) 1.22 1.81 2.03
- 총 변형(mm) 4.93 8.99 9.82
- 총 에너지(J) 1.24 1.90 2.10
- 탄성(kJ/m) 0.62 1.12 0.98
실시예 2
10mm 두께의 시이트를 제조한다는 한 가지 사항만을 상이하게 하여 실시예 1의 시험을 반복하였다.
시이트는 투명하였으며, 실시예 7의 시이트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결정성의 부재, 저온에서의 높은 충격 내성).
특히, 충격 내성 측정은 하기와 같은 데이타를 제공하였다:
-25℃ 25℃ 50℃
- 피크 에너지(J) 19.40 16.72 16.58
- 피크력(kN) 14.67 15.10 13.36
- 피크 변형(mm) 1.49 2.20 2.30
- 총 에너지(J) 10.84 17.31 17.23
- 탄성(kJ/m) 1.08 1.73 1.72
실시예 3
CO-PET에 첨가되는 PMDA의 양이 0.5 중량%라는 한 가지 사항만을 상이하게 하여 실시예 1의 시험을 반복하였다.
압출 후 본래의 강도는 0.62 dl/g이었으며; 175℃에서 17시간 동안 업그레이딩 한 후에는, 0.85 dl/g이었다.
DSC 곡선(첫 번째 수행)은 34.0 J/g의 엔탈피로 137℃에서 결정화 피크 및 39.8 J/g의 엔탈피로 247℃에서 융합 피크를 나타내었다.
수득된 7mm 두께의 시이트는 실시예 1의 시이트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0.2 중량%의 PMDA를 함유하는, 2.2%의 IPA 및 0.8 dl/g의 I.V.의 CO-PET와 13.5%의 IPA 및 0.61 dl/g의 I.V.의 CO-PET의 50중량%의 혼합물(혼합물의 IPA 7.8 중량%)을 압출기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246/268/272/286/289/295/300℃의 온도 및 447rpm의 스크루 속도로 L/D가 21.5인 인터메싱, 카운터 로테이팅 트윈 스크류 압출기인 베르스토르프 제 40(Berstorff Ze 40)에서 압출하였다.
압출된 중합체의 I.V.는 0.70 dl/g이었다.
펠렛을 185℃에서 0.5시간 동안 결정화시킨 후, 16시간 동안 질소 기류에서 175℃에서 업그레이드하였다. 업그레이드된 중합체의 I.V.는 0.85 dl/g이었다.
DSC 곡선(첫 번째 수행)은 30.8 J/g의 엔탈피로 155.9℃에서 결정화 피크 및 31.7 J/g의 엔탈피로 233.8℃에서 융합 피크를 나타내었다.
냉각 결정화 DSC 곡선은 37.2 J/g의 엔탈피로 177.2℃에서 피크를 나타내었다.
적층 시험을 실시예 1의 특성과 유사한 투명성 및 충격 내성을 갖는 두께 7.7mm의 시이트를 수득하는 실시예 1의 조건하에 수행하였다.
시이트의 결정도는 2% 미만이었다.
실시예 5
10mm의 두께를 갖는 시이트를 제조한다는 한 가지 사항만을 상이하게 하여 실시예 4의 시험을 반복하였다.
시이트는 투명하였으며, 높은 충격 내성을 가졌다.
실시예 6
I.V.가 0.59 dl/g인 2.2%의 IPA를 갖는 CO-PET를 사용한다는 한 가지 사항만을 상이하게 하여 실시예 4의 시험을 반복하였다.
수득된 결과는 실시예 4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비교예 1
PMDA의 부재하에 업그레이드하므로써 수득되는, I.V.가 0.82 dl/g인 13.5%의 IPA를 갖는 CO-PET를 사용한다는 한 가지 사항만을 상이하게 하여 실시예 1의 시험을 반복하였다.
DSC 곡선(첫 번째 수행)은 37.9 J/g의 융합 엔탈피로 203℃에서 융합 피크를 나타내었다.
냉각 결정화 DSC 곡선은 어떠한 결정 피크도 나타내지 않았다.
280℃에서의 용융 강도를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용융 강도가 너무 낮음).
280℃에서 용융 상태의 CO-PET의 점도는 전단 속도가 0일 경우, 500Pa·s이며, 전단 속도가 1초 당 1000인 경우, 150Pa·s이었다.
압출된 시이트가 낮은 용융 강도로 인해 휘어진 롤러에 부착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조건하에 적층 시험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2
0.04% 함량의 PMDA를 CO-PET와 2.2% 및 13.5%의 IPA의 혼합에 사용한다는 한 가지 사항만을 상이하게 하여 실시예 4의 시험을 반복하였다.
압출 후, 중합체의 I.V.는 0.69 dl/g이었으며, 175℃에서 31시간 동안 질소 기류하에 업그레이드 한 후(185℃에서 0.5시간 동안 결정화 후)에는 0.85 dl/g이었다.
DSC 곡선(첫 번째 수행)은 31.8 J/g의 엔탈피로 143.3℃에서 결정화 피크를 나타내었으며, 34.5 J/g의 엔탈피로 235.9℃에서 융합 피크를 나타내었다.
냉각 결정화 곡선은 36.9 J/g의 엔탈피로 180.6℃에서 피크를 나타내었다.
280℃에서의 용융 강도 측정은 수행하지 못하였다(용융 강도가 너무 낮음).
시이트가 휘어진 롤러에 부착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조건에서 적층 시험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고유 점도는 0.8 dl/g 보다 크고, 280℃에서의 용융 강도는 1cN 보다 크며, 280℃에서의 용융 점도는 전단 속도가 0에 근접한 경우에는 2000Pa·s 보다 크며, 전단 속도가 1초 당 1000인 경우에는 200Pa·s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가 5mm 보다 큰 투명 시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5 내지 20%의 이소프탈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수지로부터 수득되는, 결정도가 5% 미만이고, 두께가 5mm 보다 큰 투명 생성물로서,
    고유 점도는 0.8 dl/g 보다 크고, 용융 강도는 1cN보다 크며(280℃에서 측정하여), 280℃에서의 용융 점도는 전단력이 없는 경우에는 2000Pa·s 보다 크며, 전단 속도가 1초 당 1000인 경우에는 200Pa·s 이상인 투명 생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용융 강도는 5 내지 20cN이며, 용융 점도는 전단 속도가 0에 근접하는 경우에 2000 내지 3500Pa·s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소프탈산 단위의 함량이 7 내지 15%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가,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 혼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중축합 반응시키거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이소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을 알킬렌 글리콜로 에스테르교환 반응시키고 수득된 에스테르를 중축합 반응시키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득된 공중합체를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이무수물의 존재하에 고체상 중부가 반응시키므로써 수득된 고유 점도가 0.8 dl/g 보다 크고, 용융 강도가 1cN 이상인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가, 다양한 함량의 이소프탈산 단위를 갖는 코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을 피로멜리트산 무수물의 존재하에 압출시킨 후, 고체상 중부가 반응시키므로써 수득된 블록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가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5 내지 20mm인 시이트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물.
KR1020000003619A 1999-01-26 2000-01-26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투명 물품 KR100620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999MI000139A IT1307930B1 (it) 1999-01-26 1999-01-26 Articoli trasparenti in resina poliestere (mg32).
ITMI99A000139 1999-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617A true KR20000053617A (ko) 2000-08-25
KR100620640B1 KR100620640B1 (ko) 2006-09-13

Family

ID=1138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619A KR100620640B1 (ko) 1999-01-26 2000-01-26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투명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58452B1 (ko)
EP (1) EP1024169B1 (ko)
JP (1) JP2000230058A (ko)
KR (1) KR100620640B1 (ko)
CN (1) CN1266860A (ko)
AT (1) ATE255146T1 (ko)
CA (1) CA2296638A1 (ko)
DE (1) DE60006728T2 (ko)
ES (1) ES2209692T3 (ko)
IT (1) IT1307930B1 (ko)
TW (1) TW4590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295B1 (ko) * 2001-09-28 2009-02-11 코바르 에스.피.에이. 투명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0152A1 (en) * 2009-04-29 2010-11-04 Spartech Corporation Thermoformable and RF Sealable Plastic Packaging Material
EP2632707B1 (en) * 2010-10-26 2019-04-10 Trinseo Europe GmbH Multilayered carbonate sheets
AU2014229255B2 (en) * 2013-03-13 2018-12-13 Novartis Ag Influenza B virus reassortment
PT3495126T (pt) * 2017-12-05 2021-10-25 Point Plastic S R L Processo para extrusão de uma película à base de material termoplástico
CN111978519A (zh) * 2020-09-11 2020-11-24 哈尔滨工业大学无锡新材料研究院 一种可加工透明聚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5613A (en) 1954-03-02 1960-12-20 Goodyear Tire & Rubber Copolyesters
US4234708A (en) 1979-04-23 1980-11-18 Celanese Corporation Extrusion grade polyethylene iso/terephthalate copolymer
IT1245599B (it) * 1991-03-29 1994-09-29 M & G Ricerche Spa Resine copoliestere ad elevato peso molecolare e basso punto di fusione
IT1251953B (it) * 1991-10-18 1995-05-27 M & G Ricerche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resine poliestere ad elevato peso molecolare.
JPH08259677A (ja) * 1995-03-24 1996-10-08 Kaneb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粘度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の製造方法
IT1275478B (it) * 1995-07-05 1997-08-07 M & G Ricerche Spa Resine poliestere aventi migliorate proprieta'
DE19537107A1 (de) 1995-10-05 1997-04-10 Hoechst Ag Amorpher Formkörper aus einer Polyethylenterephthalat-Platte
US6180749B1 (en) 1997-11-19 2001-01-30 Kolon Industries, Inc. Glass clear heavy gauge sheet with copolyester
KR20000002226A (ko) * 1998-06-08 2000-01-15 구광시 투명성 코폴리에스터 후판 쉬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295B1 (ko) * 2001-09-28 2009-02-11 코바르 에스.피.에이. 투명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30058A (ja) 2000-08-22
DE60006728D1 (de) 2004-01-08
ES2209692T3 (es) 2004-07-01
KR100620640B1 (ko) 2006-09-13
CN1266860A (zh) 2000-09-20
EP1024169B1 (en) 2003-11-26
US6258452B1 (en) 2001-07-10
TW459000B (en) 2001-10-11
IT1307930B1 (it) 2001-11-29
ITMI990139A1 (it) 2000-07-26
ATE255146T1 (de) 2003-12-15
EP1024169A1 (en) 2000-08-02
DE60006728T2 (de) 2004-06-17
CA2296638A1 (en) 200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2279B2 (ja) 可塑化ポリエステルから製造されたフィルム
CN100379800C (zh) 可生物降解的树脂膜或片及其制造方法
AU3546399A (en) Sheets formed from polyesters including isosorbide
KR20210037267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3531229A (ja) 極性連鎖停止剤を含むポリエステル組成物
RU2011154088A (ru) Высокоплавкие прочные полиэфиры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пены
US4207230A (en) Block copolyesters which crystallize rapidly
KR20110035455A (ko) 백색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79612A (ja) 分岐状共ポリエステルの製法
KR100620640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투명 물품
JP3860189B2 (ja) 非結晶性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JP3645647B2 (ja) ポリ乳酸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成型品
JP4665540B2 (ja) ポリ乳酸成分セグメント含有ポリ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23107A (ja) ポリエステル系重合体組成物
JP2003073533A (ja) ポリ乳酸系重合体組成物
MXPA00000879A (en) Transparent articles of polyester resin
JP3421620B2 (ja) 書類ホルダー
KR100249485B1 (ko) 투명성 코폴리에스터 후판 쉬트
JPH02292357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WO2005113636A1 (en) Process for lowering the melt viscosity of polyesters
JP2002219742A (ja) ポリエステル・パイプの製造方法
KR100249486B1 (ko) 투명성 코폴리에스터 후판 쉬트
KR20000002226A (ko) 투명성 코폴리에스터 후판 쉬트
KR100534515B1 (ko) 투명성 코폴리에스터 후판 쉬트
JPH05331271A (ja) ポリアリレート結晶性粉体、および高分子量ポリアリレ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