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0643A - 펀치형 - Google Patents

펀치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0643A
KR20000050643A KR1019990000662A KR19990000662A KR20000050643A KR 20000050643 A KR20000050643 A KR 20000050643A KR 1019990000662 A KR1019990000662 A KR 1019990000662A KR 19990000662 A KR19990000662 A KR 19990000662A KR 20000050643 A KR20000050643 A KR 20000050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hole
die
tip
di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090B1 (ko
Inventor
카키모토마사카주
Original Assignee
카키모토 마사카주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키모토 마사카주,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키모토 마사카주
Priority to KR1019990000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0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천공(穿孔) 피치(pitch)가 매우 단축화되고 있는 그린시트나 플렉시블(flexible) 기판 등의 공작물에 대해서도 펀치 선단에 부착한 팁을 배제할 수 있는 펀치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한 장의 플레이트에 근접한 다이(die) 구멍(21a)을 뚫어서 설치해서 다이 플레이트(21)로 하고, 그 다이 플레이트(21)를 지지하는 지지체(22) 표면에 외부와 연결하는 연결구멍(22c)과 도출(逃出)구멍(22b)을 연결하는 연결홈(22d)을 설치해서 공기로(23)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압축공기가 그 공기로(23)를 통해 천공시에 도출구멍(22b)으로 돌출한 펀치 선단에 공기를 내뿜어 선단에 부착한 팁(w1)을 배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펀치형{MOLD FOR PUNCH}
본 발명은, 그린시트나 플렉시블 기판 등의 시트형상이나 필름형상의 연질의 공작물을 천공할 때에 사용되는 펀치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펀치형은, 공작물을 천공하는 펀치가 복수개 삽입되어 설치된 가동형(可動型)과, 그 가동형을 마주 향해서 설치되어 상기 펀치를 받는 다이 구멍이 뚫려 설치된 다이와, 그 다이를 지지하는 다이홀더를 갖추고 있으며, 승강기구를 구비한 펀치 유닛에 부착해서 상기한 연질의 공작물을 천공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연질의 공작물을 천공하면, 천공후 빠진 찌꺼기(이하, 간단히 「팁」이라 함)가 다이홀더 아래로 낙하하지 않고 펀치선단에 밀착해서, 다이내부나 공작물의 천공내부에서 박리하여 막힘을 발생시키는 일이 종종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해서, 도 4에 나타내듯이, 다이(3)를 그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는 연결구멍(31)을 설치한 원통형상의 부시(bush) 타입으로 해서 다이홀더(4)내부에 묻어서 설치하고, 다이(3)사이의 다이홀더(4)내부에 설치한 공기유통로(41)와 다이 연결구멍(31)을 연이어 통하게 해서 천공시에 삽입해서 통한 펀치(13)선단을 공기를 내뿜어 부착한 팁(w1)을 날려버리는 것이 있다.
이 펀치 선단에 부착한 팁(w1)을 공기를 내뿜어서 날려버리는 방식은 매우 효과적이긴 하지만, 그러나, 각 다이(3)에 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유통로(41)를 다이(3) 사이의 다이홀더(4)내부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다이(3) 사이의 피치간 거리가 제한되게 된다. 이것은, 천공피치가 매우 단축화되고 있는 그린시트나 플렉시블 기판 등의 공작물(W)에 대응할 수 없다.
게다가, 다이와 같은 원통형상의 부시 연결구멍(31)이나, 그 연결구멍(31)과 공기유통로(41)의 연통로(51)를 세경(細徑)의 드릴을 사용해서 가공하게 되지만, 매우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하며, 천공 피치가 제한을 넘으면 드릴가공으로는 대처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천공 피치가 매우 단축화되고 있는 공작물에 대해서도 펀치 선단에 부착한 팁을 배제할 수 있는 펀치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승강이동되어 공작물을 천공하는 펀치가 복수개 삽입되어 설치된 가동형과, 그 가동형을 마주 향해서 설치되어 상기 펀치로 공작물을 천공하는 다이구멍이 뚫려 설치된 다이 플레이트와 그 다이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갖춘 고정형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다이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면에 천공시에 상기 다이구멍으로부터 돌출한 펀치를 도출하는 도출구멍과, 그 도출구멍군으로부터 도출한 지지면의 소정 위치에 외부와 연결해서 구멍을 뚫은 연결구멍과, 동일 지지면에 설치되어 도출구멍과 연결구멍을 연결하는 연결홈을 가지며, 상기 연결구멍과 연결홈으로 천공시에 도출구멍으로 돌출한 펀치선단에 부착하는 팁에 공기를 내뿜는 공기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연결구멍, 도출구멍,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홈 각각이 지지체와 그 표면을 지지면으로 해서 지지되는 다이 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공기로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압축공기가 그 공기로를 통해 천공시에 도출구멍으로 돌출한 펀치선단에 공기를 내뿜어서 선단에 부착한 팁을 배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펀치형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고정형의 일부 절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천공 가공시에서의 팁박리의 작용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고정형의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면부호 A는 펀치형, 1은 가동형, 2는 고정형이다.
이 펀치형(A)은, 승강이동이 가능한 램(ram)(B)의 하단에 지지된 가동형(1)과 고정형(2)으로 이루어지며, 램(B)의 승강이동에 의해 고정형(2) 상면에 적재된 공작물(W)을 천공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가동형(1)은, 램(B)의 하단에 연결된 펀치홀더(11)와, 2단의 계단형상의 오목단부(12a)가 형성되어 그 펀치홀더(11)에 연결하는 펀치패드(12)와, 오목단부(12a)의 하단에 헤드부(13a)가 걸려 5차 정방행렬상태로 복수개 삽입되어 설치된 펀치(13)와, 펀치패드(12)의 윗면부터 계단형으로 설치한 오목단부(12a)의 상단을 덮어 펀치(13)를 고정하는 배킹 플레이트(backing plate)(14)와 펀치(13)선부를 안내하여 가이드 포스트(15)를 매개로 해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스트리퍼(stripper)(16)을 갖추어 구성되며, 스트리퍼(16)가 공작물(W)에 접촉해서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천공을 실행하는 펀치(13)선단이 스트리퍼(16) 하면으로부터 출몰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형(2)은, 다이 플레이트(21)와, 지지대(C)에 끼워 맞춰진 지지체(22)를 갖추어 이루어진다.
다이 플레이트(21)는, 평면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펀치(13)로 공작물(W)을 천공하는 다이구멍(21a)이 펀치(13)의 삽입설치 피치로 5차 정방행렬상태로 뚫려 설치되어 있다.
지지체(22)는, 오목단에 형성된 지지면(22a)에는 동일한 삽입설치 피치로 다이구멍(21a)보다도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5차 정방행렬상태로 도출구멍(22b)이 뚫려 설치됨과 동시에, 그 도출구멍(22b)군으로부터 외측으로 도출한 지지면(22a)내에 방전가공에 의해 적절하게 뚫려 설치된 연결구멍(22c)이 지지체(22)측면에 나사로 결합되어 공압회로와 연결된 니플(nipple)(D)을 향해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면(22a)내부의 하나의 연결구멍(22c)에 대해서 적당한 개수의 도출구멍(22b)이 지지면(22a)에 설치된 연결홈(22d)으로 연결되어, 적절하게 뚫려 설치된 연결구멍(22c)와 모든 도출구멍(22b)이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그 연결홈(22d)과 도출구멍(22b)과의 연결부에는, 압축공기의 분출속도를 높히도록 조여져서 노즐부(22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체(22)는, 지지면(22a)에 다이 플레이트(21)가 끼워 맞춰지고 또는 나사로 부착되어 천공시에 도출구멍(22b)으로 돌출한 펀치(13)선단을 공기로 내뿜어서 부착한 팁(W1)을 날려버리는 공기로(23)가 형성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펀치형(A)은, 펀치 유닛(도시하지 않음)의 승강기구 구동에 의해 램(B)을 매개로 해서 가동형(1)을 소정 위치까지 하강시켜 고정형(2) 윗면에 적재된 공작물(W)을 스트리퍼(16)로 지지하면서 펀치(13)와 다이구멍(21a)으로 천공함과 동시에, 펀치(13)선단에 부착한 공작물(W)이, 공기로(23)를 통해서 노즐부(22e)에서 분출속도가 높혀진 압축공기로 날려버려진다. 그리고 박리한 팁(W1)은 도출구멍(22b)과 지지대(C)안을 통과해서 팁받이부(도시하지 않음)에 낙하한다.
또한, 연결홈(22d) 대신에 지지체(22)를 2단의 오목단으로 형성하여 상단을 지지면으로 해도 공기를 내뿜는 것은 가능하게 되기는 하나, 한곳에 집중시켜 공기를 내뿜지 않으면 부착한 팁(W1)을 확실하게 박리시킬 수 없음과 함께, 강도적인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하기와 같은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종래의 다이와 같은 원통형의 부시 타입을 폐지하고, 한 장의 플레이트에 다이 구멍을 뚫어서 설치하여 다이 플레이트로 하고, 그 다이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체 표면(지지면)에 외부로 연결하는 연결구멍과 도출구멍을 연결하는 연결홈을 설치하여 공기로를 구성하는 구조로 했기 때문에, 플레이트에 근접해서 다이구멍을 뚫어서 설치하고, 상기 다이구멍과 대응하는 도출구멍의 구멍뚫기, 그 도출구멍에 연결하는 연결구멍의 구멍뚫기, 연결홈의 홈파기 등을 다이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고 방전가공 등의 정밀가공으로 지지체의 표면측으로부터 간단하고 또한 고도의 정밀도로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펀치선단에 부착한 팁을 박리시키는 수단으로서 효과적인 공기 내뿜기식을 채용하면서, 천공 피치가 매우 단축화되고 있는 공작물에 대해서도 펀치선단에 부착한 팁을 배제할 수 있는 펀치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승강이동되어 공작물을 천공하는 펀치가 복수개 삽입되어 설치된 가동형과, 그 가동형을 마주 향해서 설치되어 상기 펀치와 공작물을 천공하는 다이구멍이 뚫려서 설치된 다이 플레이트와 그 다이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갖춘 고정형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다이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면에 천공시에 상기 다이구멍으로부터 돌출한 펀치를 도출시키는 도출구멍과, 그 도출구멍군으로부터 도출한 지지면의 소정 위치에 외부와 연결해서 구멍을 뚫은 연결구멍과, 동일 지지면에 설치되어 도출구멍과 연결구멍을 연결하는 연결홈을 가지며, 상기 연결구멍과 연결홈에서 천공시에 도출구멍으로 도출한 펀치선단에 부착하는 팁에 공기를 내뿜는 공기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형.
KR1019990000662A 1999-01-13 1999-01-13 펀치형 KR10055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662A KR100550090B1 (ko) 1999-01-13 1999-01-13 펀치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0662A KR100550090B1 (ko) 1999-01-13 1999-01-13 펀치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643A true KR20000050643A (ko) 2000-08-05
KR100550090B1 KR100550090B1 (ko) 2006-02-08

Family

ID=1957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662A KR100550090B1 (ko) 1999-01-13 1999-01-13 펀치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0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47B1 (ko) * 2008-09-23 2009-02-17 주식회사 이테크 트레이펀칭장치
CN112111615A (zh) * 2020-08-14 2020-12-22 温州潘慧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方便调节开孔间距的表带打孔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47B1 (ko) * 2008-09-23 2009-02-17 주식회사 이테크 트레이펀칭장치
CN112111615A (zh) * 2020-08-14 2020-12-22 温州潘慧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方便调节开孔间距的表带打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090B1 (ko)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402A (en) Chip adhesion preventing device for preventing adhesion of chips to drill shank
US7562609B2 (en) Method of forming through-hole and through-hole forming machine
US20100199819A1 (en) Slug float-up preventing method and punch tool
KR100624651B1 (ko) 다이 및 다이 장치
JPH0250815B2 (ko)
JP2001277018A (ja) 穿孔機械の被加工物保持装置
JP3181861B2 (ja) パンチ型
KR20000050643A (ko) 펀치형
JPH1094841A (ja) エアーブロー金型
CN211727142U (zh) 一种冲压件的模具结构
JPS58331A (ja) プレス部品打抜き方法
JP2000042996A (ja) プリント基板加工機のツールポストおよびカッタの交換方法
JPS6240797Y2 (ko)
CN201283388Y (zh) 一种冲头
CN218015272U (zh) 一种便于修边定位的冲压模具
CN220805159U (zh) 一种灯具生产用打孔机
JP2992287B1 (ja) 穿孔機ユニットの打動機構
JP2006239759A (ja) 下向きバーリング金型及び下向きバーリング加工方法
CN216398935U (zh) 一种镁合金产品的切边后吹气排渣结构
KR950002096B1 (ko) 3중 구조의 행잉 캠을 구비한 금형
CN208772322U (zh) 一种用于线路板冲压模具接料的通用治具
JPH072093Y2 (ja) プレス打抜き金型
JP3943449B2 (ja) ダイ及びダイ装置
JPH10277661A (ja) 打抜き加工用プレス金型
KR20050099231A (ko)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