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055A - 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유도체 - Google Patents

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055A
KR20000049055A KR1019990703126A KR19997003126A KR20000049055A KR 20000049055 A KR20000049055 A KR 20000049055A KR 1019990703126 A KR1019990703126 A KR 1019990703126A KR 19997003126 A KR19997003126 A KR 19997003126A KR 20000049055 A KR20000049055 A KR 20000049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estradiol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cceptable salt
salt
sulfate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로시 헬렌 프로지아렉크
마이클 윌리암 윈클리
파노릴 라빈드라나트
Original Assignee
이곤 이 버그
아메리칸 홈 푸로닥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곤 이 버그, 아메리칸 홈 푸로닥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곤 이 버그
Publication of KR20000049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3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androstane
    • C07J1/0051Estrane derivatives
    • C07J1/0062Estrane derivatives substituted in position 17 alfa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30Oestr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androstane
    • C07J1/0051Estrane derivatives
    • C07J1/0066Estrane derivative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alfa
    • C07J1/007Estrane derivative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alfa the substituent being an OH group free esterified or ether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3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07J31/006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not covered by C07J31/00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그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그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유도체{8(9)-Dehydroestradiol derivatives}
에스트로겐 결핍 여성 및 다른 호르몬 관련 질환에서의 폐경 증후군, 골다공증/골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프리마린(PREMARIN, 말의 포접형 에스트로겐)과 같이 실질적인 순도와 낮은 독성을 갖는 천연 에스트로겐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치료 방법이 되었다. 천연 에스트로겐 조성물의 에스트로겐 성분은, 일반적으로 에스트론, 에퀼린, 에퀼레닌, 17-β-에스트라디올, 디하이드로에퀼레닌 및 17-β디하이드로에퀼레닌의 설페이트 에스테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미국 특허 2,834,712호). 상기 에스트로겐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실질적으로 중성이라 할 수 있는 약 pH 6.5 내지 7.5에서, 유기 또는 무기산의 알칼리 금속에 의해 중화 또는 안정화 된다. 우레아도 안정화제로 사용되어 왔다(미국 특허 3,6.8,077). 포접형 합성 에스트로겐을 안정화시키는 항산화제의 첨가 및 트리(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을 이용한 가수분해 방지를 위한 pH 조절의 실패에 관한 논의가 미국 특허 4,154,820호에 기재되어 있다.
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은, 9,11 불포화 이성화에 의한 에스트론 합성에 사용되는 중간체로서(미국 특허 3,394,153호), 그리고 상기 호르몬의 3-사이클로펜틸옥시-17-에티닐 유도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중간체로서(미국 특허 3,649,621호)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은 에스트로겐 활성이 있어서 혈중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3,391,621호). 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의 알칼리 금속, 8,9-디하이드로에스트론-3-설페이트 에스테르와 그 알칼리 금속염 및 이들의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 동맥경화증 및 노인성 골다공증에의 용도가 미국 특허 5,210,081호 및 5,288,71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그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그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이 화합물들을 총칭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이라 한다.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구조를 각각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로 다음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어떤 명명체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또한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 및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이라 명명될 수도 있고;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및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
-3,17-디올로 명명될 수도 있다.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에스테르 또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는,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탄소원자 1 내지 6을 포함하는 알킬암모늄염 또는 각 알킬그룹에 탄소원자 1 내지 6을 포함하는 다이알킬암모늄염, 및 각 알킬그룹에 탄소원자 1 내지 6을 포함하는 트리알킬암모늄염이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3-황산나트륨 및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3-황산나트륨은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의 대사체로서,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을 복용한 후에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1% 이상의 순도로, 그리고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1% 이상의 순도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treating)는 현 질병 상태의 치료, 질병 상태의 개선 또는 질병 상태의 경감을 포함하고, 저해(inhibiting)는 질병 상태의 진행 또는 발전을 저해 또는 방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실시예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의 생체내 대사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고, 또는 [반응식Ⅰ] 및 [반응식Ⅱ]에 개략된 바와 같이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으로 부터 합성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반응식 Ⅰ]은,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와 같이 적절한 환원제로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의 17-케톤을 환원시키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생성시켜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하고 있다.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또는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와 같이 다른 하이드라이드 환원제도 손쉽게 사용될 수 있다. 3-하이드록실 그룹은 벤조일 클로라이드 또는 아세틸 클로라이드와 같이 적절한 아실화제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아실화할 수 있다. 17번 위치의 입체화학적 반전은 미쯔노부(Mitsunobu) 반응을 사용하여 이룰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과 같이 적절한 수성 염기를 사용하여 아실잔기를 가수분해시키면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얻는다. 3-설페이트 에스테르를 생성하기 위해서 무수아세트산과 같이 적절한 아실화제를 사용하여 디올을 아실화하며, 상기 3-아실 그룹은 메탄올중의 탄산칼륨과 같이 온화한 염기 조건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절단한다. 3-설페이트 에스테르는 삼산화황-암모니아, -알킬아민, -디알킬아민, 또는 삼산화황-트리에틸아민 또는 삼산화황-피리딘과 같이 -트리알킬아민 시약을 사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생성되는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암모늄, 모노알킬암모늄, 디알킬암모늄, 또는 트리알킬암모늄 염은 양이온 교환에 의해, 경우에 따라서는 산에 의해, 다른 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설페이트 금속염은 수산화금속 용액을 사용하여 전환시킬 수 있다.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그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나트륨 및 트리에틸암모늄염의 제조가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반응식Ⅱ]에서 보는 바와 같이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을 출발물질로 하여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그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염을 제조할 수 있는데, 17번 위치의 입체화학적 반전이 필요없다는 점만이 다르다. [반응식Ⅱ]에 개략된 공정에 따르면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그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나트륨염 및 트리에틸암모늄염이 생산된다.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다른 염들은, 사용되는 염기를 바꿈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그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나트륨 및 트리에틸암모늄 염의 제조에 대해서는 실시예 2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 및 3의 화합물들은 경시적으로 분해된다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1 및 3의 TRIS 안정화 복합체 화합물의 제조에 대해서는 실시예 2 및 4에 각각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에스트로겐성 물질로서, 이는 미성숙 암컷 마우스 및 난소절개 랫트에서 자궁 성장성을 에스트로겐 성질의 평가 척도로서 측정한 생체내 표준 약리 시험법에서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로서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3-황산나트륨 및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3-황산나트륨을 평가하였다. 대조용으로 에스트론 및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도 평가하였다. 평가 화합물들은 옥수수 기름에 현탁된 현탁제로 제조하였다. 옥수수기름 단독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다음 방법은 미성숙 마우스에서의 에스트로겐성의 평가에 대해 기술한다. 손상되지 않은 미성숙 찰스 리버 CD 암컷 마우스(생후 23일짜리)를 사용하였다. 평가 대상 화합물을 투여 총량으로서 1 내지 1000㎍을 3일에 걸쳐 경피로, 3 내지 1000㎍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에스트론은 총량 0.03 내지 1㎍을 3일에 걸쳐 경피 투여하였다. 마지막 용량을 투여한지 약 24시간 경과한 후에 마우스를 치사시키고, 자궁을 제거한 다음 체중을 재었다. 얻은 결과를 다음 표에 요약하였다.
에스트로겐 활성 - 마우스 자궁 성장
투여a 경로 최소 유효량b 배가 용량c
에스트론 s.c 0.06-0.1 0.1-0.2
Δ8,9 s.c 6.2 14.8
17α s.c 1.75 7.61
17β s.c 0.24 5.0
에스트론 p.o 5.9 25.9
Δ8,9 p.o 2.6 26.7
17α p.o 2.84 6.67*
17β p.o 3.0 18.8
a Δ8,9 =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 17α =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17β =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b 운반체 용량에 대해 자궁 중량의 유의성있는 증가를 가져오는데 필요한 3일에 걸쳐 투여된 최소 유효량.
c 운반체 용량에 대해 자궁 중량의 100% 증가를 가져오는데 필요한 3일에 걸쳐 투여된 총량.
* 10㎍ 용량에 대한 단리된 강한 자궁반응을 삭제하면 16.6㎍의 투여량값이 얻어질 것이다.
다음의 방법은 난소절제 랫트에서의 에스트로겐성의 평가에 대해 기술한다. 미성숙 찰스 리버 CD 랫트를 생후 30일에 난소절제한 후 12일 동안 방치하여 자궁이 퇴화하도록 하였다. 난소절제 후 13일째 부터 평가 대상 화합물을 투여하기 시작하여 7일 동안 계속하였다. 평가 대상 화합물을 3 내지 1000㎍/랫트/일의 투여량으로 매일 경피 또는 경구투여 하였다. 마지막 용량을 투여한 지 약 24시간 경과한 후에 랫트를 치사시켰다. 얻은 결과를 다음의 표에 요약하였다.
에스트로겐 활성 - 마우스 자궁 성장
투여a 경로 최소 유효량b 배가 용량c
에스트론 s.c 0.05-0.1 0.12-0.7
Δ8,9 s.c 0.3 1.2
17α s.c 10.4 171.4
17β s.c 0.8 2.9
에스트론 p.o 10.6 22
Δ8,9 p.o 3.3 21.5
17α p.o 67.1 116.0
17β p.o 12.0 14.5
a Δ8,9 =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 17α =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17β =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b 운반체 용량에 대해 자궁 중량의 유의성있는 증가를 가져오는데 필요한 7일에 걸쳐 투여된 최소 유효량.
c 운반체 용량에 대해 자궁 중량의 100% 증가를 가져오는데 필요한 7일에 걸쳐 투여된 총량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산화제이다.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항산화성은, 유리 알데히드 분석을 위한 TBARS(티오바비탈산 반응성 물질) 방법을 이용하여(Yagi K., Biochem Med 15:212-216(1976)) 2가 구리 이온 또는 배양 상피세포에의 노출에 의해 유도된 산화 변형형 저밀도 지단백(LDL)의 생성에 대한 저해능을 측정하는 표준 약리 시험 법(Parthasarathy S, Proc Natl Acad Sci USA 86:1046-1050(1989))에 의해 확립되었다. 이러한 표준 약리 시험법으로 얻은 결과는,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이 효능있는 LDL 산화 저해제로서 상기 산화 과정을 96%까지 저해시킨다는 것을 밝힌다.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에 대한 2가 구리이온 매개 산화에서 0.19μM의 IC50을 얻었다. 0.26μM 및 0.17μM의 IC50은 돼지의 대동맥 내피세표 매개 산화에서 각각 얻었다. 반면, 에스트론에 대한 0.56μM의 IC50값은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 매개 산화시험 방법에서 얻었다.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항산화성을 더욱 밝히기 위해, 배양 세포를 이용하여 두가지 부가적인 표준 약리시험법을 수행하였다. 제1 시험법에서는,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존재 또는 부존재하에서 2가 구리이온에 노출시켜 방사능 표지된-LDL(125I-LDL)(McFarlane AS, In:Munro HN, Allison JB, eds. 포유류 단백질 대사, Vol. 1. 뉴욕: 아카데미 출판사 297-341(1964))을 변형시켰다. 그 다음에는, J774 마크로파지(이는 산화변형-LDL에 결합하는 포획자 지단백 수용체를 발현시킴)를 처리된125I-LDL에 노출시켰다. 이 실험의 결과는, 산화된 LDL의 결합성은 2.5μM의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존재하에서 각각 48% 및 54%만큼 감소하였고, 0.25μM 농도하에서는 각각 34% 및 28% 감소하였다는 것을 보여 준다. 반면, 동일 농도의 에스트론은 산화형 LDL의 결합성을 각각 39% 및 0%만큼 감소시켰다. 마크로파지에 의한 산화형 LDL의 결합 및 대사가 포말 세포 및 이에 따른 아테롬성 동맥경화 플라크 발달에 상당히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LDL 산화를 감소시키고 이어 포획자 수용체에 결합시키는 효과는 상당히 이로울 것으로 생각된다.
제2 시험법에서는,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존재 또는 부존재하에서 2가 구리 이온에 노출시킴으로서 앞에서와 같이 변형된 LDL에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PAEC)를 노출시켰다. 산화형 LDL은 내피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왔고, 이러한 과정은 또한 아테롬형성 과정에 강하게 연루되어 왔다. 처리된 LDL과 함께 세포를 24시간 항온배양한 것에 이어, MTT 검정을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Hansen MB, J Immu Methods 119:203-210(1989)). 이 시험법은 주어진 분석에서 생존하는(살아있는) 세포의 %를 평가한다. 분석에서는, 화합물의 부존재하에 25㎍/㎖의 산화형 LDL에 노출시킨 후, 단지 2%의 세포만이 생존하였다. 반면,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2.5μM) 존재하에 2가 구리 이온으로 처리한 LDL에 노출시킨 후 생존 세포의 %는 100% 이상이었다. 동일한 분석 방법으로 시험한 다른 화합물들은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PACE) 보호에 최소의 효과가 있었다(17β-에스트라디올 = 11% 생존; 에퀼린 = 4% 생존; 에스트론 = 37% 생존). 이 시험법의 결과는,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존재하에서 변형된 LDL은 세포독성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며, 따라서 데이타는 TBARS법에 의해 앞서 밝힌 바와 같이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에 의한 산화 변형의 저해와 일치한다.
이러한 표준 약리 시험법 결과를 근거로 할 때,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그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그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에스트로겐 결핍증에서의 대체 요법에 유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난소절제 또는 폐경에 따른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며, 화끈 달아오름과 같은 혈관 운동성 증후군 등의 에스트로겐 결핍과 관련된 증상들 및 질위축증, 질염, 및 빈뇨, 요실금 및 배뇨 곤란의 원인이 되는 하부 요도의 위축성 변화 및 다른 폐경 관련 질환들을 경감시키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골손실을 방지하여 골다공증을 저해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심혈관 보호 성질은 골다공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스트로겐으로 폐경 후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에스트로겐 요법이 처방된 남성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항산화제이므로 유리 라디칼에 의해 유도된 질병 상태를 치료 또는 저해하는데 유용하다. 항산화 요법이 근거있는 것으로 처방되는 구체적인 상황으로는 암, 중추신경계 장애, 알쯔하이머병, 골 질환, 노화, 염증성 장애, 말초 혈관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자가 면역 질환, 호흡기 장애, 기종, 관류 손상 방지, 바이러스 간염, 만성 활성 간염, 결핵, 건선, 전신 홍반성 낭창, 성인 호흡 장애 증후군, 중주신경계 손상(trauma) 발작(stroke)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수유 억제 및 유행성 이하선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제화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운반체와 결합되어 있거나 연관되어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 운반체의 비율은, 화합물의 용해도 및 화학적 성질, 선택한 투여 경로 및 표준 약리학적 실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약제학적 운반체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다.
고체 운반체로는, 향료제, 윤활제, 용해제, 현탁화제, 부형제, 활택제, 압축 보조제, 결합제 또는 정제 붕해제로도 작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물질이 포함되는데; 이는 또한 봉입 물질(encapsulating material)일 수도 있다. 분말제에서, 운반체는 미분 활성 성분과 혼합된 미분 고체이다. 정제에서는, 활성 물질과 필요한 압축 성질을 지닌 운반체가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어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압축된다. 분말제와 정제는 바람직하기로는 활성 성분을 99%까지 포함한다. 적절한 고체 운반체로는, 예컨대 인산칼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설탕, 락토오스, 덱스트린, 전분, 젤라틴,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딘, 저융점 왁스 및 이온 교환 수지가 있다.
액체 운반체는 용액, 현탁제, 유제, 시럽제, 엘릭실제 및 가압 조성물(pressurized composition)의 제조에 사용된다. 활성 성분은 물, 유기 용매, 이들 양자의 혼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오일 또는 지방과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액체 운반체에 용해되거나 현탁될 수 있다. 액체 운반체는 용해제, 유화제, 완충제, 보존제, 감미제, 향료제, 현탁화제, 증점제, 착색제, 점도 조절제, 안정화제 또는 삼투압 조절제와 같은 다른 적절한 약제학적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경구 및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액체 운반체로는 물(예컨대 셀룰로오스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용액과 같은 상기 첨가제를 일부 포함함), 알콜(모노하이드릭 알콜 및 글리콜과 같은 폴리하이드릭 알콜 포함) 및 그 유도체들, 레티신, 및 오일(예: 분별된 코코낫 오일 및 아라키스 오일)이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 운반체는 에틸 올레이트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와 같은 오일성 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용 멸균 액제 조성물에서는 멸균 액체 운반체가 유용하다. 가압 조성물용 액체 운반체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또는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분사제 일 수 있다.
멸균 용액 또는 현탁제인 액제형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컨대 근육내, 복강내 또는 피하 주사에 이용될 수 있다. 멸균 용액은 정맥투여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액체 또는 고체 조성물 형태로 경구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좌제 형태로서 직장 또는 질내 투여될 수 있다. 비강내 투여 또는 기관지내 흡입 또는 취입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성 또는 부분적 수성 용액으로 제제화할 수 있고, 이는 에어로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활성 화합물에 대해서는 비활성이고, 피부에 무독하며, 피부를 통해 혈류로 전신 흡수되도록 제제를 운반할 수 있는 운반체 및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피 패치제를 사용하여 경피로 투여될 수도 있다. 상기 운반체는, 크림제 및 연고제, 페이스트제, 겔제, 및 밀폐요법제(occlusive device)와 같이 어떠한 형태를 띨 수도 있다. 크림제와 연고제는 점성 액체 또는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의 유제일 수 있다.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석유 또는 친수성 석유에 분산된 흡수성 분말로 이루어진 페이스트제 역시 적절하다. 운반체와 함께 또는 운반체 없이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저장고를 싸고 있는 반투성 막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매트릭스와 같이 다양한 밀폐요법제를 사용하여 활성 성분을 혈류로 방출시킬 수 있다. 다른 밀폐요법제들이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진균 감염 부위로 투여되는 활성 성분을 0.1 내지 5%, 바람직하기로는 2%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운반체를 사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용액제, 크림제, 또는 로션제로 사용할 수 있다.
투여 요구량은 사용되는 특정 조성물, 투여 경로, 증상의 심각성 및 특정 치료 대상에 따라 달라진다. 표준 약리 시험법을 토대로 할 때, 활성 성분의 1일 계획 용량은 0.02㎍/㎏ 내지 500㎍/㎏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화합물을 적정 용량 보다 적은 용량으로 시작한다. 그 다음에 주어진 상황에서의 최적 효과에 이를 때까지 용량을 증가시키는데; 경구, 비경구, 비강, 또는 기관지내 투여를 위한 정확한 용량은 치료대상인 개별 환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하여 주치의가 결정할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단위 용량 형태, 예컨대, 정제 또는 캅셀제이다. 이러한 제형에 있어서, 조성물은 적정량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단위 용량으로 재-분할되고; 단위 용량 제형이 예컨대 충전 분말, 바이알, 앰플, 미리충진된 시린지 또는 1회용 포장(sachet)과 같은 포장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단위 용량 제형은, 예컨대 캅셀 또는 정제 자체이거나 또는 적절한 수의 이러한 조성물 포장 형태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1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황산나트륨염
A.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온도를 28℃ 내지 30℃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3-하이드록시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17-온(24.13g), 메탄올(185㎖)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138㎖)로 된 교반 현탁액에,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6.92g)을 25분간에 걸쳐 분획으로 가하였다. 약간 탁한 용액에 증류수(555㎖)를 적정량 나누어 가하였다. 온도가 30 내지 31℃로 상승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슬러리를 25 내지 3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0.5℃로 냉각하였다. 여과기로 생성물을 수집하여 물(40x40㎖)로 세척하였다. 초기에 백색의 습괴(29.66g)인 생성물을 진공 데시케이터에서 오산화인으로 4일간 건조시켜, 적합한 스펙트럼(ir 또는 pmr) 데이타를 갖는 황색 생성물 23.54g(96.83%)을 얻었다.
B.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벤조산염
2ℓ 멀티-넥 플라스크에 기계 교반기, 질소 도입구가 있는 응축기, 압력 균등화 눈금 깔대기 및 온도계를 장착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60.00g, 0.2219m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500㎖) 및 트리에틸아민(46.4㎖, 0.3329mol., 1.5molar excess)을 채우고, 이 혼합물을 질소하에서 교반시켜 용액을 얻었다. 깔대기에 벤조일 클로라이드(30.98㎖, 0.2669mol., 1.203molar excess)와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100㎖까지 채웠다. 물/얼음 수조를 사용하여 온도를 15 내지 20℃로 유지하면서, 상기 벤조일 클로라이드 용액을 25분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냉각장치를 제거한 후 교반된 현탁액(Et3N.HCl ppt)을 방치하여 실온(23℃)이 되도록 하였다. 벤조일 클로라이드 용액을 완전히 다 부가한 후 3시간 30분 후에,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서 냉각시키고, 포화 함수(204㎖), 물(68㎖) 및 농염산(34㎖)를 신속히 부가하였다. 온도가 23℃에서 26℃로 상승하였다. 5분간 교반 후 하층에 고체 침전물이 생성되었다. 유기상으로부터 수상을 분리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x200㎖ 및 1x100㎖)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한데 모아 포화 함수(2x100㎖)로 세척하고, 포화 함수(70㎖) 및 5%의 중탄산나트륨(30㎖) 혼합물로 3회 세척하였다. 포화 함수(100㎖)로 더 세척하여도 잔류 벤조일 클로라이드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므로 자기(magnetic) 교반기를 사용하여 황산 마그네슘으로 15분간 건조시켰다. 여과로 건조제를 제거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으로 여과기 패드를 세척하였다. 여과액 및 세척물을 30℃에서 증발시켜 건조 고체를 얻었다. 헵탄(400㎖)을 사용하여 3시간 30분 동안 상기 고체를 자기 교반하였다. 그 결과 생성되는 백색 고체를 여과기로 수집하였고 냉각 헵탄(0 내지 5℃, 2x75㎖, 1x100㎖)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습괴(108.09g)를 진공 오븐에서 실온으로 3일간 건조시켜 조생성물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벤조산염을 정량(83.35g, 100.3%) 수득하였다. 이 물질은 다음 단계에 사용하기 적합하였다.
상기 조생성물 벤조산염(5.0g)을 95% 에탄올(65㎖)중에서 교반 및 가열하여 용액을 얻은 후 세로홈이 있고 단단한 여과 종이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과기를 95% 에탄올로 헹구고 용액을 증발시켜 50㎖로 하였다. 용액을 냉각시켜 그 결과 생성되는 결정 슬러리를 냉동시켰다. 영하 10℃까지 냉동시킨 후 생성물을 여과기로 모아 95%의 냉(-10℃)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65℃에서 진공 오븐으로 밤새 건조시켜 정제 생성물(3.82g, 76.40%)을 얻었다. 스펙트럼(ir, pmr 및 ms) 데이타는 적합하였고 원소 분소도 만족스러웠다.
C.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벤조에이트 17-(3,5-디니트로벤조에이트)
기계 교반기, 질소 도입구가 있는 리플럭스 응축기 및 온도계를 1ℓ짜리 멀티-넥 플라스크에 장착시킨 후, 질소하에서,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벤조에이트(73.42g, 0.1961mol.), 트리페닐포스핀(66.85g, 0.2549mol.), 3,5-디니트로벤조산(54.06g, 0.2549mol) 및 톨루엔(530㎖)를 가하였다.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40㎖, 0.2549mol.) 및 톨루엔(10㎖)으로 이루어진 용액을, 50㎖짜리 압력 균등화 부가 깔대기를 통해 상기 교반 현탁액에 7분간에 걸쳐 부가하였다. 10㎖의 톨루엔 헹굼액을 사용하여(톨루엔 총량은 550㎖) 상기 부가가 완전히 되도록 하였다. 상기 교반 현탁액을 서서히 70℃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두었다(70℃로 가열한지 1/2 시간 후에 결정화되기 시작하였다).
결정 슬러리를 43℃로 냉각하고 다시 영하 10℃로 냉각하였다. 여과기로 상기 결정을 모아 냉(-10℃) 톨루엔(2x80㎖), 냉(-10℃) 헵탄-톨루엔(7:3) 및 냉(-10℃) 헵탄(2x80㎖)으로 세척하였다. 상기 습괴(118.79g)를 실온에서 진공 오븐으로밤새 건조시켜, 1,2-디카브에톡시하이드라진이 섞인 조생성물 107.56g을 얻었다.
상기 조생성물(107.56g) 및 메탄올(310㎖)를 1ℓ 엘렌메이어(Erlenmeyer)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간 자기 교반하고 생성물을 여과기로 수집하였다. 메탄올(92x60㎖)로 세척한 후 습괴(83.23g)을 65℃에서 진공 오븐으로 밤새 건조시켰다. 황색 결정 생성물(75.65g, 67.87%)의 스펙트럼(ir, pmr 및 ms)데이타는 적합하였고 원소 분석도 만족스러웠다.
D.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17-디아세테이트
멀티-넥 플라스크에 담긴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벤조에이트 17-(3,5-디니트로벤조에이트)(71.00g, 0.1249mol)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630㎖) 및 320㎖의 2N 수산화나트륨을 부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질소 존재하에 실온(23 내지 27℃)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N 염산(196㎖) 및 에틸 아세테이트(880㎖)를 신속히 부가하였다. 그 결과 층이 분리되었다. 하층의 수상을 에틸 아세테이트(3x200㎖)로 세척하였다. 유기상 추출물을 한데 모아 포화 함수(2x300㎖, 최종 세척 pH 7)로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15분간 자기 교반하여 용액을 건조시켰다.
증발시켜 적색 고체(54.08g)를 얻어 오일 펌프 진공에 수 분간 두었다. 피리딘(250㎖) 및 무수아세트산(250㎖)를 가하고 정지장치가 있는 반응 플라스크를 회전시켜 용액을 얻었다. 용액을 실온에 밤새 방치한 후 얼음에 부었다. 물을 가해 부피를 2.5ℓ로 한 후 생성된 현탁액을 교반하여 처리하기 쉬운 적색 고체를 얻었다. 상기 고체를 여과기로 수집하여 물 300㎖와 혼합하였다. 생성물을 모은 후 이 여과 덩어리를 물(총~2ℓ)로 세척하였다. 진공 데시케이터에서 오산화인을 사용하여 일주일간 건조시켜 분홍색 고체(44.23g)를 얻었다. 이를 메탄올(100㎖) 중에서 수분간 자기 교반시키고 여과기로 수집하였다. 이 여과 덩어리를 메탄올(총량 50㎖)로 3회 세척한 후 실온에서 진공 오븐으로 밤새 건조시켰다. 이 분홍색 물질의 중량은 38.60g(87.21%)이었다.
생성물(38.60g)을 고온 메탄올(120㎖)에 용해시켜, 이 고온 용액을 목탄으로 간단히 가열하였다. 셀라이트를 이용해 목탄을 여과 제거한 후 여과 패드를 고온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이 여과액에서 결정화되기 시작하였다. 여과액 및 세척액을 재가열하여 생성물을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증발시켜 부피가 약 120㎖가 되도록 하였다. 이 용액을 실온 근처까지 냉각시킨 후 그 결과 생성된 결정 슬러리를 0 내지 5℃로 냉각시켰다. 결정을 여과기로 수집하여 냉(0 내지 5℃) 메탄올(2x35㎖)로 세척하였다. 실온에서 진공 오븐으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31.86g, 82.39%)을 얻었다.
E.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17-아세테이트
온도를 0℃이하로 유지하면서, 질소 존재하에, 포화 메탄올성 탄산칼륨(136㎖)을 디클로로메탄(67㎖) 및 메탄올(182㎖)중에 용해된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17-디아세테이트(30.00g)에 적가하였다. 자동 온도 조절 장치가 달린 냉각조를 이용하여 0℃(내부 온도)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 15분간 교반한 다음, 디클로로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19:1)를 사용하여 실리카겔로 TLC를 실시하였다. 출발물질은 관찰되지 않았다. 반응 플라스크를 냉각조에 둔 채로 오일 펌프 진공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증류시켰다. 이로써 내부 온도를 0℃이하로(예를 들면 -7℃ 내지 -10℃)로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생성된 걸쭉한 페이스트에 5%(v/v) 수성 아세트산 450㎖를 신속히 부가한 다음 혼합물을 교반하여, 여과될 수 있는 고체를 얻었다. 상기 고체를 여과기로 수집한 후 혼합기내에서 70㎖의 5% 아세트산 및 적정량의 물과 혼합하였다. 조생성물을 여과기로 수집하여 물로 잘 세척하였다. 진공 데시케이터에서 오산화인을 사용하여 3일간 건조시켜서 26.19g(99.04%)의 조생성물을 얻었다.
조생성물(26.19g)을 수적의 빙초산을 포함하는 메탄올(270㎖)(용액의 pH = 4)중에서 자기 교반시킨 후 가열하여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세로홈이 있는 단단한 여과 종이를 통과시켜 여과한 후 20㎖의 고온 메탄올로 헹구었다. 용액을 증류시켜 부피가 175㎖가 되게 한 후 냉각하였다. 얼음에서의 냉각 및 스크래칭을 통해 결정화를 증가시켰다. 냉동실에서 1시간 동안 냉동(-20℃)시킨 후에, 결정을 여과기로 수집하고 냉(-20℃) 메탄올(3x20㎖)로 세척하였다. 진공 오븐중에서 60℃로 건조시켜 순수 화합물(22.72g, 86.75%)을 얻었다. 이 화합물은 적합한 스펙트럼(ir, pmr 및 ms) 데이타를 보였고 원소(C 및 H) 분석도 만족스러웠다.
모액으로부터 제2 수획물(172g, 6.57%)을 얻었다. 이를 제1 수획물(22.27g)에서 남아있는 물질과 합쳤고, 총량(22.99g)을 자기 교반한 후 메탄올(230㎖)중에서 가열하여 황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세로홈이 있고 단단한 여과 종이를 통과시킨 후 20㎖의 고온 메탄올로 헹구었다. 이 용액을 증류시켜 부피가 125㎖가 되게 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냉동시켰다. 그 결과 생성된 결정을 여과기로 수집하여 냉(0℃) 메탄올(3x15㎖)로 세척하였다. 60℃에서 진공 오븐으로 20시간 동안 건조시켜서 18.79g(81.73% 재결정 단계, 총 71.06%)의 백색 생성물을 얻었다. 이 생성물의 스펙트럼(ir, pms 및 ms) 데이타는 적절하였고 원소(C 및 H) 분석도 만족스러웠다.
F.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설페이트 17-아세테이트, 트리에틸암모늄염
질소 존재하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삼산화황 복합체(20.30g, 0.1120mol., 2molar excess)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4㎖)중에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17-아세테이트(17.50g, 0.0560mol)이 용해된 교반 용액에 가하였다. 상기 고체가 신속히 용해하였고 용액을 질소 존재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에탄-에틸 아세테이트(19:2)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TLC를 실시한 결과 3.75시간 후 출발물질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무수 에테르(612㎖)를 가한 후 오일이 형성되었다. 잠시 후, 오일이 결정화 하였다. 이 결정을 에테르(2x125㎖)로 세척하였다. 습괴(43.31g)를 실온에서 진공 오븐으로밤새 건조시켜, 과량의 시약이 섞여있는 28.90g(104.51%)의 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조생성물(28.90g)을 메탄올(70㎖)에 교반시킨 용액에, 트리에틸아민(2 내지 3㎖)을 조심스레 가해 pH를 7 내지 8로 만들었다. 에테르(800㎖)를 적정량 나누어 신속히 가하였다. 다시, 오일이 형성되고 재빨리 결정화 되었다. 15분간 계속 교반한 후 결정 슬러리를 -15℃까지 냉각하였다. 결정을 여과기로 수집하여 에테르(3x80㎖)로 세척하였다. 진공 오븐에서 실온하에 밤새 건조시켜, 약간의 고형 덩어리를 포함하는 백색 물질 25.09g(90.74%)을 얻었다.
메탄올(40㎖)에 상기 물질(25.09g)을 교반시켜 만든 용액에 트리에틸아민(수적)을 실온에서 조심스레 가해 pH를 7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을 여과시켜 1ℓ 멀티-넥 플라스크에 담고 메탄올(20㎖)로 여과기를 세척하였다. 기계 교반시킨 용액에 에테르(600㎖)를 가하였다. 다시 한번, 오일 생성물이 형성되었고 재빨리 결정화 되었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한 다음 -10℃로 냉각하였다. 백색 결정형 생성물을 여과기로 수집하고 에테르(3x60㎖)로 세척하였다. 실온에서 진공 오븐으로 건조시켜, 적당한 스펙트럼(ir, pmr 및 ms) 데이타 및 만족스런 원소 분석 결과(C, H 및 N)를 갖는 표제 화합물(23.64g, 94.22% 및 총 85.49%)을 얻었다.
G.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설페이트 나트륨염
메탄올(144㎖)에 용해된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설페이트 17-아세테이트 트리에틸암모늄염(22.50g, 0.04558mol) 용액에, 질소 존재하에, 1.6N 수산화나트륨 144㎖를 가한 후, 이 혼합물을 4.5시간 동안 자기 교반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황색 용액을 실온에서 증발시켜 150㎖의 증류액을 얻었다. n-부탄올(450㎖)을 부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여, 점성의 백색 결정을 용해시키고 두 상을 얻었다. 혼합물을 20㎖의 n-부탄올, 10㎖의 포화 함수 및 10㎖의 물 혼합액과 함께 분별 깔대기에 옮겼다. 서서히 층분리가 되었다. 상층인 유기상을 포화 함수(120㎖, 2x100㎖, 3x75㎖ 및 1x50㎖)로 연속 세척하여 최종 pH가 7이 되도록 하였다. 7㎝ 부흐너 여과기의 솔카 플록 소패드(n-부탄올로 전처리)를 통해 탁한 유기상을 여과시킨 후 n-부탄올(2x25㎖)로 헹구었다. 상기 용액을 50㎖의 n-부탄올 헹굼액과 함께 2ℓ짜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옮겼다. 용액을 오일 펌프 진공에서 35 내지 40℃에서 증발시켜 진한 결정 슬러리를 얻었고 300㎖의 증류액을 수집하였다. 에테르(500㎖)를 가해 슬러리와 혼합하였다. 10㎝ 여과기로 백색 결정을 수집하고 에테르(4x80㎖)로 세척하였다. 여과 덩어리를 1ℓ짜리 엘렌메이어에 옮기고 400㎖의 에테르와 함께 5분간 자기 교반하였다. 결정을 다시 한번 수집하여 에테르(5x70㎖)로 세척하였다. 상기 습괴를 진공 오븐에서 질소를 흘려주면서 6일간 건조시켜 17.17g(수화물 기준 96.49%)의 백색 고체를 얻었다.
상기 조생성물(17.17g)을 U.S.P. 에탄올(400㎖)에서 자기 교반하여 고체를 거의 모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20㎖의 U.S.P. 에탄올과 함께 5ℓ짜리 멀티-넥 플라스크로 옮겼다. 용액을 자기 교반하고 에테르(1.4ℓ)를 가해 결정화를 일으켰다. 1.9ℓ의 에탄올을 추가로 가해 반응을 완결하였다. 결정 슬러리를 -10℃로 냉각하고 여과기로 수집하였다. 여과 덩어리를 에테르(2x100㎖)로 세척하였다. 실온에서 진공 오븐으로 2일간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 화합물(17.67g, MW = 448.989 기준 86.34%)을 얻었다.
계산치(C18H21O5NaS. 0.9C2 SH5OH. 1.3H2O. 0.2NaCL(448.989): C,52.97; H,6.51; Na,6.14; Cl,1.58; EtOH,9.23; H2O,5.22
실측치: C,52.78; H,6.27; Na,6.17; Cl,1.70; EtOH,9.12; H2O,4.01
실시예 2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RIS)를 갖는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설페이트, 나트륨염,
증류수(1,400㎖)에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8.48g)이 용해된 용액에, 17α-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설페이트(에스테르) 나트륨염(14.69g, MWW-7332-3, P.R.215-20)을 가한 후, 혼합물을 자기 교반시켜 스테로이드를 용해시켰다. 용액을 여과시키고 여과기를 물(100ℓ)로 세척하였다. 500㎖의 물 헹굼액을 이용하여 -40℃에서 상기 용액을 대형 버티스 프리즈-건조기(Virtis Freeze-drier)에 있는 트레이에 옮겼다. 상기 용액을 냉동시키고 그 고체를 5일간 냉동 건조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백색의 부드러운 조각 물질을 눌러 긁어서 병에서 잘 혼합하였다. 상기 물질을 실온에서 냉동 건조기로 4일간 더 건조시켰다. 백색 생성물의 중량은 20.93g(98.54%)이었다.
실시예 3
A.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온도를 28 내지 30℃로 유지하면서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6.92g)를 3-하이드록시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17-온(24.13g), 메탄올(185㎖)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138㎖) 교반 현탁액에 25분간에 걸쳐 분획으로 가하였다. 상기 약간 탁한 용액에 증류수를(555㎖)를 적정량으로 나누어 가하였다. 온도가 30 내지 31℃로 상승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슬러리를 25 내지 3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0.5℃로 냉각하였다. 생성물을 여과기로 수집하고 물(40x40㎖)로 세척하였다. 초기에 백색의 습괴(29.66g)인 것을 진공 데시케이터에서 오산화인으로 4일간 건조시켜, 적절한 스펙트럼(ir 및 pmr) 데이타를 갖는 23.54g(96.83%)의 황색 생성물을 얻었다.
B.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17-디아세테이트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23.09g) 혼합물을 무수아세트산(120㎖) 및 피리딘(120㎖) 혼합액과 함께, 정지장치가 있는 500㎖ 플라스크에서 흔들어 섞었다. 그 결과 생성된 황색 용액을 실온에 밤새 방치하였다. 잘게 부순 얼음(~600㎖)을 이 용액에 가했다. 백색 침전이 형성되었다. 슬러리를 자기 교반하고 물(220㎖)을 부가하였다. 계속 교반하여 온도가 18 내지 20℃가 되도록 하였다. 생성물을 여과기로 수집하고 물(100㎖)로 세척하였다. 습괴(90.65g)를 진공 데시케이터레서 오산화인으로 건조시켜 28.19g(93.13%)의 백색 조생성물을 얻었다.
질소 존재하에서, 기계 교반기, 온도계 및 한벌로 된 증류장치를 구비한 2ℓ짜리 멀티-넥 플라스크에, 조생성물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17-디아세테이트(28.19g) 및 메탄올(675㎖)을 가하였다. 200㎖의 메탄올을 더 가한 후, 슬러리를 가열하여 생성물을 59 내지 60℃에서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약 500㎖까지 증류시켜 404㎖의 증류액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결정 슬러리를 35℃로 냉각한 다음 다시 -10℃로 냉각하였다. 여과기로 결정을 수집하고 냉(-10℃) 메탄올(3x50㎖)로 세척하였다. 습한 결정(30.14g)을 진공 오븐에서 65℃로 4일간 건조시켜 25.15g(89.24%)의 백색 결정인 3,17β-디아세테이트를 얻었고, 이 생성물을 일치하는 스펙트럼(ir, pmr 및 ms) 데이타와 만족스런 원소(C 및 H) 분석을 보였다.
C.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17-아세테이트
질소 존재하 일정 온도조에서, 113㎖의 메탄올성 포화 탄산칼륨 용액을 메탄올(150㎖) 및 디클로로메탄(56㎖)에 현탁된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24.16g, 0.0682mol) 교반 현탁액에 45분간에 걸쳐 부가하였다(부가 동안의 반응 온도는 -3 내지 -5℃ 범위임). 5℃ 질소 존재하에서 총 22.5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1시간 45분 후에 침전물(생성물)이 형성되었다.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9.5:0.5)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상에서 TLC를 실시하여 반응 완결여부를 판단하였다. 반응 플라스크에는 한벌로 된 증류장치가 구비되어 있었다. 반응 플라스크는 -5℃의 일정 온도 뱃치에 둔 채 압력을 감소시키면서(초기에는 흡입기를 사용하고 나중에는 오일 펌프 사용) 증류함으로써 용매를 모두 제거하였다. 5% 아세트산(350㎖)을 상기 건조 고체에 신속히 부가하고 그 결과 생성된 슬러리를 -5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결과 pH는 4.5이었다. 조생성물을 여과기로 수집하여 4x50㎖의 물로 세척하였다. 백색 조생성물을 300㎖의 물로 자기 교반하고 다시 한번 여과기로 수집하였다. 물(9x40㎖)로 세척하여 흔적량의 산을 제거하여 최종 세척시의 pH가 5.5이었다. 상기 습괴(37.06g)를 진공 데시케이터에서 오산화인으로 밤새 건조시켜, 20.02g(94.03%)의 조생성물 17-β-모노아세테이트를 얻었다.
질소 존재하에서, 기계 교반기, 온도계 및 한벌로 된 증류장치가 구비된 500㎖ 둥근바닥 멀티-넥 플라스크에 조생성물(20.02g), 메탄올(100㎖) 및 디클로로메탄(200㎖)를 가하였다. 용액의 pH(젖은 pH 종이)sms 8이었고; 5적의 빙초산을 부가하여 pH를 5로 하였다. 결정이 많아질 때까지 대기압하에서 용액을 증류시켰다(증류액 부피 220㎖). 슬러리를 40℃로 냉각한 다음 드라이 아이스-아세톤조를 사용하여 -10℃로 냉각하였다. 여과기로 생성물을 수집하고 냉(-10℃) 메탄올(3x25㎖)로 세척하였다. 습괴(21.65g)를 70℃에서 밤새 건조시킨 다음 진공 오븐에서 85℃로 5.5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그 결과 생성된 백색 결정성 물질(18.07g, 90.25%)은 스펙트럼(ir, pmr 및 ms) 데이타를 보였다.
D.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설페이트 17-아세테이트 트리에틸암모늄염
질소 존재하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0㎖)중에 용해된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17-아세테이트(17.18g, 0.05499mol) 교반 용액에 삼산화황-트리에틸아민(19.93g, 0.110mol)을 부가한 후,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CH2Cl2:EtOAc:MeOH:NEt3(3:3:1.5:2.5)를 이용하여 실리카겔에서 TLC를 실시하여 반응 완결여부를 판단하였다. 에테르(600㎖)를 가하고 그 결과 생성된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여과기로 조생성물을 수집하고 에테르(3x27㎖)로 세척하였다. 이 습괴(36.50g)를 진공 오븐에서 실온으로 2일간 건조시켜 30.13g(100.98%)의 조생성물인 과량의 시약이 섞인 백색 생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질소 존재하에, 기계 교반기, 질소 도입구가 있는 리플럭스 응축기 및 온도계가 구비된 1ℓ 멀티-넥 플라스크에 조생성물(30.13g) 및 메탄올(80㎖)을 부가하였다. 온도가 26℃에서 20℃로 하강하였으므로 온수조를 사용하여 온도를 25 내지 26℃로 유지하였다. 다른 50㎖의 메탄올을 가하여 상기 온도에서 용액화하였다. 용액의 pH(젖은 pH 종이)는 3이었다. 트리에틸아민(2.5㎖)을 조심스럽게 가하여 pH를 7 내지 8로 조정하였다.
맑은 용액에 에테르(1ℓ)를 즉시 가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슬러리를 에테르(2x75㎖)와 함께 2ℓ엘렌메이어에 가하고 자기 교반하였다. 50㎖의 에테르(총 1,200㎖)를 추가로 가하고 그 결과 생성되는 슬러리를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에 아세톤-드라이 아이스조를 이용하여 -10℃로 냉각하였다. 여과기로 생성물을 수집하고 에테르(3x30㎖)로 세척하였다. 습괴(32.63g)를 진공 오븐에서 실온으로 밤새 건조시켜, 적절한 스펙트럼(ir, pmr 및 ms) 데이타 및 만족스런 원소(C, H 및 N) 분석을 보이는 23.25g(85.64%)의 순물질을 얻었다.
E.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설페이트 나트륨염
메탄올(145㎖)중에 용해된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설페이트 17-아세테이트(디에스테르) 트리에틸암모늄염(22.27g, 0.09511mol)에 145㎖의 1.6N 수산화나트륨을 가한 후, 상기 혼합물을 실온(25℃)에서 교반하여 140㎖의 증류액을 수집하였다. 백색의 점성 고체(증발중에 침전된 것)를 질소 존재하에서 30분간 교반시켜 n-부탄올(150㎖)에 용해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20㎖의 n-부탄올, 10㎖의 포화 함수 및 10㎖의 물과 함께 분별 깔대기로 옮겼다. 상 분리가 느렸으므로 60㎖의 함수를 부가하였다. 하층인 수상(~126㎖)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포화 함수(1x40㎖, 그 다음 3x30㎖, 최종 세척 pH 13-14)로 세척하였다. 고체 생성물이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n-부탄올(500㎖), 포화 함수(100㎖) 및 물(20㎖)를 부가하였다. 생성물은 혼합하에 재용해시켰고 세척 pH는 12이었다. 유기상을 포화 함수(6x100㎖)로 더 세척하여 최종 세척액의 pH가 7 내지 8이 되도록 하였다. 약간 탁한 유기상을 솔카 플록을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기 패드를 n-부탄올(50㎖)로 세척하였다. 이 용액을 50㎖의 n-부탄올과 함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옮기고 오일 펌프 진공에서 35 내지 38℃로 증발시켜 결정을 얻었다(농축 부피 208㎖, 증류액 부피 630㎖). 에테르(700㎖)를 상기 교반 슬러리에 가하고 슬러리를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여과기로 생성물을 수집하고 에테르(4x100㎖)로 세척하였다. 상기 습괴(39.99g)를 실온(25℃)에서 진공 오븐으로 건조시켜 16.83g의 백색 조생성물을 얻었다.
상기 조생성물질(16.83g)에 95% 에탄올(165㎖)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0분간 교반하여 탁한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여과하였다. 자기 교반한 맑은 여과액에 에테르(1,500㎖)를 부가하였다(500㎖가 부가되었을 때 결정화가 보였다).
그 결과 생성된 슬러리를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 덩어리를 에테르(5x100㎖)로 세척하였다. 결과물인 백색의 분말형 고체(17.28g)은 여전히 에탄올 냄새가 나므로 이를 에테르(300㎖)로 10분간 자기 교반하고 다시 한번 여과기로 수집하였다. 여과 덩어리를 에테르(4x50㎖)로 세척하고 이 습괴(25.18g)를 실온에서 진공 오븐으로 밤새 건조시켰다. 이 백색 생성물(15.50g, 86.51%)은 적절한 스펙트럼(ir, pmr 및 ms) 데이타를 보였다.
실시예 4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설페이트 나트륨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TRIS)
증류수(1,400㎖)중에 용해된 17β-에스트라-1,3,5(10),8-테트라엔-3,17-디올 3-설페이트(에스테르) 나트륨염(13.11g)에 TRIS(7.56g)을 부가한 후 이 용액을 여과하였다. 여과기를 100㎖의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500㎖의 증류수를 사용하여 여과액 및 세척액을 -40℃에서 트레이에 옮겼다. 상기 냉동 용액을 4일간 냉동 건조시켰다. 결과물인 백색빛나는 물질(20.92g)을 압축, 혼합, 미리중량을 잰 병에 담은 다음 실온(23℃)에서 냉동 건조기로 4일간 더 건조시켰다. 이 물질의 중량은 19.69g(97.55%)이었다.
실시예 5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 대사에 의한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제조
A. 투여량 적용과 샘플 수집
체중이 9 내지 13㎏인 암캐 4마리에 1㎎/㎏의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을 캅셀제로 경구 투여하였다. 개는 시험내내 스테인레스 스틸 대사 우리에서 따로 사육되었다. 개를 투여전에 하룻밤 절식시켰고 4시간 후에 음식을 주었다. 물은 시험내내 임의량 공급하였다. 투여 후 0, 0.5, 1, 2, 4, 6 및 8시간에서 혈액(8㎖)을 채취하여 혈장을 얻었다. 투여 후 24시간 동안 드라이 아이스로 뇨를 채취하였다.
B. HPLC를 이용한 대사체 프로필의 결정
1. 뇨 대사체 프로필
효소 가수분해 후 0 내지 24시간 동안의 샘플을 분석함으로써 뇨 대사체를 결정하였다. 포접체를 가수분해 시키기 위해, 적정량(1㎖)의 뇨를 pH 5의 0.05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제 1㎖와 혼합하고 37℃에서 2000단위의 글루술라아제(Glusulase) (Helix Phomatia, DuPont)와 함께 하룻밤 항온배양 시켰다. 가수분해된 샘플을 2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가수분해된 뇨 샘플의 상청액을 C-18/N+ 카트리지(펜실바니아 케미칼 세퍼레이션사로 부터 공급되는 C-18 및 4급 아민 흡착제를 포함하는 이기능성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카트리지 추출은 진공 풀(Speed Mate 30 Applied Separations)에 의해 실시되었다. 상기 C-18/N+ 카트리지는 처음에 2x1㎖ dktpxhs, 2x1㎖ 메탄올, 2x1㎖ 0.1N 아세트산 및 2x1㎖ H2O로 조건화되었다. 샘플(상청액)을 사용하였고 카트리지를 2x1㎖ H2O, 2x1㎖ 0.1N 아세트산, 2x1㎖ H2O 및 2x1㎖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그 다음에 대사체를 2x1㎖ 아세톤으로 용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N2존재하에 건조시키고 다시 1㎖의 유동상[60% 완충액(0.05M KH2PO4,pH 3.0), 및 40% 유기액(2:1 아세토니트릴;메탄올)]에 탔다. 각 추출액 25㎕를 SP8780 오토샘플러(Spectra-Physics)를 사용하여 C-6 5μ HPLC 컬럼(알테크)에 주입하고 ESA-420펌프를 이용하여 유속 1㎖/분으로 용출시켰다. 전기화학 검출기(Coulochem Ⅱ-ESA)로 대사체를 검출하였다. 상기 검출기의 전압은 0.75V(가드 전지), 0.35V(전극 1) 및 0.70V(전극 2)로 맞추었고 전극 2로부터의 신호를 챠트 기록기(Kipp and Zonen BD 40)에 기록하였다.
2. 혈장 대사체 프로필
혈장 샘플 역시 가수분해 후에 HPLC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포접체의 가수분해는, 상기 뇨 샘플에서 기재한 바 있는 글루수라아제와 함께 샘플을 항온배양시키는 방법으로 하였다. 원심 분리 후, C-18/N+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혈장 샘플을 추출한 후 HPLC-전기 화학 검출법으로 분석하였다.
3. 효소 저해제 존재하의 가수분해
200μM의 사카로락톤, β-글루쿠로니다아제 저해제의 존재 또는 부존재하에서, 모든 샘플의 가수분해를 실시함으로써 혈장 및 뇨 샘플에 존재하는 포접체의 종류를 결정하였다. 가수분해, 추출 및 HPLC 분석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되었다.
C. 가수분해 뇨 및 혈장 샘플에 대한 GC/MS 분석에 의한 대사체 결정
가수분해된 뇨 및 혈장 샘플의 TMS 유도체에 대한 EI-GC/MS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대사체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 대사체의 구조는 분석 및 진정한 참조용 표준물질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과의 대조를 통해 확증되었다.
1. 가수분해 뇨 샘플에 대한 GC/MS 분석
한 마리의 개로부터 얻은 5㎖의 0 내지 24시간 뇨샘플을 pH 5.0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제(0.05M) 5㎖ 및 글루술라아제 10,000단위와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7℃ 진동 수조(Precision Scientific)에서 밤새 항온배양하였다. 다음날 아침 가수분해물을 2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C-18/N+ 카트리지 추출을 실시하였다. 대사체를 아세톤으로 용출시킨 후 N2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건조시켰다. 그 다음에 각 추출물 또는 참조용 표준물질을 80㎕의 톨루엔에 다시 탄 다음; 10㎕의 BSTFA 및 5㎕의 피리딘을 부가하고, 6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대사체의 TMS 유도체를 형성시켰다. Varian 3400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와 직접 인터페이스되어 있는 Finnigan-MAT 8230 고해상 질량 분석기를 사용하여 상기 유도체화 샘플을 분석하였다. SS-300 데이타 시스템에서 데이타를 얻어 Printronix에서 인쇄하였다. 소스 이온화 모드는 양성 전자 충격이었다. 사용한 컬럼은 J&W DB-5MS 30Mx0.32mmID이었다. 초기 컬럼은 80℃로, 10℃/분의 속도로 260℃까지 프로그램된 -1분 홀드를 갖는 것이었다. 주입 온도는 250℃이었다. 주입 용적은 2㎕이었다.
2. 가수분해 혈장 샘플에 대한 GC/MS 분석
혈장 2㎖를 pH 5.0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제 2㎖(0.05M)과 혼합한 후 글루술라아제(DuPont) 2000단위로 가수분해하였다. 이 혼합물을 진동 수조에서 37℃로 밤새 항온배양한 후 전술한 바대로 추출하였다. 실험용 샘플, 대조용 혈장 및 합성 표준물질을 포함하는 대조용 혈장을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D. 대사체 프로필
1. 뇨
효소 가수분해된 0 내지 24시간 뇨에 대한 HPLC 크로마토그래프를 보면 3개의 피크가 보이는데 이는 대조군 개의 뇨에서 얻은 추출액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것이었다. 세번째 용출 피크의 보류 시간(retention time)은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에 대한 보류시간과 동일하였다. 피크 1 및 2의 보류시간(각각 17.4분과 19.3분)은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보류시간과 동일하였다. 또한 참조용 표준물질에 대한 공동-크로마토그래피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및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이 피크 1 및 2로서 각각 존재한다는 것을 명백히 나타내었다. 가수분해전에 추출된 샘플에 대한 분석을 보면, 어떠한 대사체도 나타내지 않고 있는데, 이는 비포접형으로 존재하는 대사체가 거의 없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모든 실험 개로부터 얻은 샘플로부터 유사한 대사체 프로필을 얻었다.
2. 혈장
가수분해 후 혈장 샘플 분석 결과 역시, 모든 조사 시간점에서 뇨 샘플에서와 동일한 세개의 피크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뇨 및 혈액 샘플 모두에서, 사카로락톤의 첨가는 포접체 가수분해를 저해하였는데, 이는 대부분의 대사체가 글루쿠로나이드형이라는 것을 나타내 준다.
E.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확인
GC/MS 크로마토그래프에서의 피크 2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은 분자 이온 m/z 414를 보여주는데 이것이 디올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약한 M+ 이온 및 m/z 309[M-105(CH3,TMS OH)]에서의 염기 피크가 17α-디하이드로 고리-B 불포화 에스트로겐의 특징이다. m/z 399[M-15(CH3)], 324[M-90(TMS)] 및 283[M-131]에서의 다른 단편도 17-하이드록시 에스트로겐의 특징이 된다. 피크 2에 대한 질량 분석은 참조용 진정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질량 스펙트럼과 일치한다. 이러한 데이타에 근거할 때, 이 대사체의 구조는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로 확인되었다.
E.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확인
GC/MS 크로마토그래프중의 피크 1에 대한 질량 분석은 분자 이온 m/z 414와 m/z 399[M-15 (CH3)], 324[M-90(TMS)], 309[M-105(CH3,TMS)] 및 283(M-131)에서의 단편 이온을 보이는데, 이는 고리-B의 불포화 에스트로겐 디올의 특징이다.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과 달리, 이 화합물은 약 95%의 상대 강도를 갖는 강한 분자 이온을 제공하는데, 이는 17β-디하이드로 고리-B 불포화 에스트로겐의 특징이다. 피크 3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은 참조용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질량 스펙트럼과 동일하였다. 이러한 데이타에 근거할 때, 이 대사체의 구조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로 결정되었다.

Claims (32)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합물.
제 1항에 있어서,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탄소원자 1 내지 6을 포함하는 알킬암모늄염, 또는 각 알킬 그룹에 탄소원자 1 내지 6을 포함하는 디알킬암모늄염, 또는 각 알킬 그룹에 탄소원자 1 내지 6을 포함하는 트리알킬암모늄염인 화합물.
제 1항에 있어서,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나트륨인 화합물.
제 1항에 있어서,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트리에틸암모늄염인 화합물.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합물.
제 5항에 있어서,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탄소원자 1 내지 6을 포함하는 알킬암모늄염, 또는 각 알킬 그룹에 탄소원자 1 내지 6을 포함하는 디알킬암모늄염, 또는 각 알킬 그룹에 탄소원자 1 내지 6을 포함하는 트리알킬암모늄염인 화합물.
제 5항에 있어서,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나트륨인 화합물.
제 5항에 있어서,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트리에틸암모늄염인 화합물.
항산화량의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함으로써 유리 라디칼 유도 질환 상태를 저해 또는 치료하는 방법.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중추신경 장애, 알쯔하이머병, 골 질환, 노화, 염증성 장애, 말초 혈관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자가 면역 질환, 호흡기 곤란, 기종, 재관류 손상 방지, 바이러스 간염, 만성 활성 간염, 결핵, 건선, 전신 홍반성 낭창, 성인 호흡기 곤란증, 중추신경계 충격(trauma) 및 발작(stroke), 또는 재관류중의 손상 질환의 진행에 있어서의 내인성 유리 라디칼의 관련을 저해하는 방법.
항산화량의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그 3-설페이트 에스테르를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함으로써 유리 라디칼 유도 질환을 치료 또는 저해하는 방법.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중추신경 장애, 알쯔하이머병, 골 질환, 노화, 염증성 장애, 말초 혈관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자가 면역 질환, 호흡기 곤란, 기종, 재관류 손상 방지, 바이러스 간염, 만성 활성 간염, 결핵, 건선, 전신 홍반성 낭창, 성인 호흡기 곤란증, 중추신경계 충격(trauma) 및 발작(stroke), 또는 재관류중의 손상 질환의 진행에 있어서의 내인성 유리 라디칼의 관련을 저해하는 방법.
에스트로겐 활성량의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 또는 에스트로겐 결핍증 치료가 요구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의 제공 또는 에스트로겐 결핍증 치료 방법.
에스트로겐 활성량의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 또는 에스트로겐 결핍증 치료가 요구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의 제공 또는 에스트로겐 결핍증 치료 방법.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에스트로겐 결핍과 관련된 혈관운동성 증후군 치료가 요구되는 포유 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결핍과 관련된 혈관운동성 증후군 치료 방법.
제 15항에 있어서, 혈관운동성 증후군이 고온 발적(hot flush)인 치료 방법.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에스트로겐 결핍과 관련된 혈관운동성 증후군 치료가 요구되는 포유 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스트로겐 결핍과 관련된 혈관운동성 증후군 치료 방법.
제 17항에 있어서, 혈관운동성 증후군이 고온 발적(hot flush)인 치료 방법.
항-골다공증 유효량의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골다공증의 치료 및 저해가 요구되는 포유 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및 저해 방법.
항-골다공증 유효량의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골다공증의 치료 및 저해가 요구되는 포유 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및 저해 방법.
아테롬성 동맥경화증의 치료 및 저해가 요구되는 포유 동물에 있어서, 항-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유효량의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상기 포유 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치료 및 저해 방법.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치료 및 저해가 요구되는 포유 동물에 있어서, 항-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유효량의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상기 포유 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치료 및 저해 방법.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제학적 운반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제학적 운반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 이상의 순도를 갖는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 이상의 순도를 갖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a)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의 17-케톤을 하이드라이드 환원제로 환원시켜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생성하는 단계;
(b)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의 3-하이드록실 그룹을 적절한 아실화제로 아실화하여 3-아실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생성하는 단계;
(c) 3-아실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과 3,5-디니트로벤조산 및 트리페닐포스핀을 반응시켜 3-아실화, 17-(3,5-디니트로벤조일)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3-아실화, 17-(3,5-디니트로벤조일)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수성 염기로 처리하여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
제 27항에 있어서,
(a)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적절한 아실화제로 아실화하여 3,17-디아실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생성하는 단계;
(b) 3-아실 그룹을 온화한 염기로 가수분해시켜 17-아실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생성하는 단계;
(c) 3-하이드록실 그룹을 삼산화황-암모니아, -알킬아민, -디알킬아민 또는 -트리알킬아민 시약으로 황산화시켜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암모늄, 알킬암모늄, 디알킬암모늄 또는 트리알킬암모늄 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제 28항에 있어서,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암모늄, 알킬암모늄, 디알킬암모늄 또는 트리알킬암모늄 염을 적절한 금속 하이드라이드 염기로 처리하여 17α,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금속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생성하기 위해 Δ8,9-디하이드로에스트론의 17-케톤을 하이드라이드 환원제로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또는 이의 3-설페이트 에스테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조하는 방법.
제 30항에 있어서,
(a)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적절한 아실화제로 아실화하여 3,17-디아실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생성하는 단계;
(b) 3-아실 그룹을 온화한 염기로 가수분해시켜 17-아실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을 생성하는 단계;
(c) 3-하이드록실 그룹을 삼산화황-암모니아, -알킬아민, -디알킬아민 또는 -트리알킬아민 시약으로 황산화시켜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암모늄, 알킬암모늄, 디알킬암모늄 또는 트리알킬암모늄 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제 31항에 있어서,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암모늄, 알킬암모늄, 디알킬암모늄 또는 트리알킬암모늄 염을 적절한 금속 하이드라이드 염기로 처리하여 17β,Δ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3-설페이트 금속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19990703126A 1996-10-11 1997-10-09 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유도체 KR200000490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93696P 1996-10-11 1996-10-11
US60/027,936 1996-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055A true KR20000049055A (ko) 2000-07-25

Family

ID=2184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3126A KR20000049055A (ko) 1996-10-11 1997-10-09 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유도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934334A1 (ko)
JP (1) JP2001502328A (ko)
KR (1) KR20000049055A (ko)
CN (1) CN1239967A (ko)
AR (1) AR014096A1 (ko)
AU (1) AU743530B2 (ko)
BR (1) BR9712628A (ko)
CA (1) CA2268330A1 (ko)
HU (1) HUP9903369A3 (ko)
IL (1) IL129029A0 (ko)
NZ (1) NZ335183A (ko)
WO (1) WO1998016544A1 (ko)
ZA (1) ZA9790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54323A1 (en) * 2001-03-16 2009-08-28 Wyeth Corp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341947A1 (es) * 1966-06-21 1968-08-01 American Home Prod Un procedimiento para preparar compuestos esteroides.
SU286675A1 (ru) * 1969-01-10 1973-08-10 Институт химии природных соединений СССР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dl-ЭСТРАДИОЛАйСС-СОЮЗНАЯfi^iffiTau-:::X:.:f-lAfiБИБЛИОТЕКА
FR2136891A1 (en) * 1971-05-07 1972-12-29 Inst Khim Prirodny Racemic estra-3,17 beta-diol prepn - steroid hormones
US5210081A (en) * 1992-02-26 1993-05-11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Alkali metal 8,9-dehydroestrone sulfate esters
DE4338314C1 (de) * 1993-11-10 1995-03-30 Jenapharm Gmbh Pharmazeutische Präparate zur Prophylaxe und Therapie radikalvermittelter Zellschädig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79069B (en) 1999-04-09
IL129029A0 (en) 2000-02-17
AU5145998A (en) 1998-05-11
CN1239967A (zh) 1999-12-29
HUP9903369A2 (hu) 2001-06-28
JP2001502328A (ja) 2001-02-20
WO1998016544A1 (en) 1998-04-23
BR9712628A (pt) 1999-10-26
AU743530B2 (en) 2002-01-31
HUP9903369A3 (en) 2002-02-28
EP0934334A1 (en) 1999-08-11
CA2268330A1 (en) 1998-04-23
NZ335183A (en) 2000-09-29
AR014096A1 (es) 2001-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6320C (en) Bile acid derivatives as fxr ligand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fxr-mediated diseases or conditions
KR0161975B1 (ko) 11베타-치환 프로게스테론 유사체
EP1071702B1 (en) Fatty acid derivatives of bile acids and bile acid derivatives
EP0196707B1 (fr) Nouveaux 19-nor stéroides substitués en 11, en 17 et éventuellement en 2, leur préparation, leur application comme médicaments, les compositions les renfermant et les nouveaux intermédiaires obtenus
EP2836502B1 (en) A NOVEL CHOLESTEROL METABOLITE, 5-CHOLESTEN, 3beta-25-DIOL, DISULFATE (25HCDS) FOR THERAPY OF METABOLIC DISORDERS, HYPERLIPIDEMIA, DIABETES, FATTY LIVER DISEASES AND ATHEROSCLEROSIS
JPH05507912A (ja) 血管形成を阻害するステロイド
WO1991013083A1 (en) Steroid sulphatase inhibitors
EP0728140B1 (de) Neue steroide mit radikophilen substituen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Parmentier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monosulfates of chenodeoxycholate, deoxycholate and their taurine or glycine conjugates
EP0414606B1 (fr) Nouveaux acides oméga-phénylamino alcanoiques substitués sur le noyau aromatique par un radical dérivé de 19-nor stéroides, leurs sels,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s intermédiaires de ce procédé, leur application à titre de médicaments et les compositions les renfermant
HU190746B (en) Process for producing 6-alpha-methyl-corticoid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IE58540B1 (en) Steroids useful as anti-cancer, anti-obesity, anti-hyperglycemic, anti-autoimmune and anti-hypercholesterolemic agents
KR20000049055A (ko) 8(9)-디하이드로에스트라디올 유도체
NO167865B (n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14,17beta-ethano-14beta-oestratrienderivater.
IE832337L (en) Pregnane compounds
US6458778B1 (en) Estradienes
AU738486B2 (en) Estra-5(10),7-dienes with estrogenic activity
CS231199B2 (en) Processing method of derivative of 6alpha-methylhydrokortisone
DK146555B (da) Antikonceptionelt middel
KR100720326B1 (ko) 3-메틸렌 스테로이드 유도체
EP0437552A1 (fr) Derives alcoyles en 17/21 de la 19-nor progesterone
CA2037092C (en) Bile acid unsaturated derivatives,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K156401B (da)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halogenderivater af 16 alpha-methyl-pregnanraekken
JP2004323360A (ja) 高コレステロール血症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