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083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083A
KR20000048083A KR1019990056622A KR19990056622A KR20000048083A KR 20000048083 A KR20000048083 A KR 20000048083A KR 1019990056622 A KR1019990056622 A KR 1019990056622A KR 19990056622 A KR19990056622 A KR 19990056622A KR 20000048083 A KR20000048083 A KR 20000048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elevator
drive motor
rope
traction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0113B1 (ko
Inventor
스즈끼사또시
우찌우미에이지
히라시끼야스히로
사사끼히로따다
나가따마사또
구시히라다까노부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4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ounter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 케이지(201)의 중량에 로프(104)를 매개로 매달기 위한 카운터웨이트(120)에 상기 로프(104)를 매개로 상기 승용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권상 장치를 설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상기 권상 장치는 구동용 모터(105)와, 이 구동용 모터의 회전축과 다른 회전축을 갖고, 상기 로프가 감기는 트랙션시브(103)와,상기 구동용 모터(105)의 동력을 상기 트랙션시브(103)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127)를 구비하고 있는 권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특히 적재량이 큰 클래스의 엘리베이터 장치이더라도 구동용 모터(105)에 승용 케이지(201)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동용 모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본 발명은 로프에 매달린 케이지를 상하동하는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을 도16으로 설명한다. 권상 장치(4)는 승강로(5)의 최상 부분에 설치된 기계실(6) 내에 설치되어 있다. 승용 케이지(1)와 카운터웨이트(2)는 로프(3)로 이어져서, 권상 장치(4)가 로프(3)를 이동시켜서 승용 케이지(1)와 카운터웨이트(2)의 균형을 변화시킴으로써 승용 케이지(1)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기계실(6)을 건물의 옥상에 건설하여야 되므로, 건설 비용이나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계실(6)의 높이만큼 건물의 전체 높이도 증가하기 때문에, 특히 주택 밀집지에서는 일조권이 문제가 되는 일도 적지 않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근년에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의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그 한 수단으로서 리니어 모터 구동 엘리베이터가 알려져 있다. 리니어 모터 구동 엘리베이터는 리니어 모터의 일차 도체를 카운터웨이트에 설치하고, 승강로에 설치된 2차 도체 간의 전자 흡인력으로 구동력을 얻지만, 이차 도체를 승강로에 새것으로 또한 정밀도 좋게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승강 행정이 높은 승강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일본 특개평7-137964호 공보에서는 카운터웨이트 내에 트랙션시브와 모터의 회전자를 일체형으로 한 편평 권상기를 수납하여 구동하는 방식에 대해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방식은 적재량이 큰 클래스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는 적용이 매우 곤란하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카운터웨이트의 폭 및 두께는 적재 클래스에 별다른 관계 없이 거의 일정한 것에 대해서, 적재량이 커짐에 따라서 당연히 필요해지는 구동 용량도 증가하기 므로 모터가 대형화하여 카운터웨이트 내부에 수납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적재량이 증가하는 것은 중량 밸런스를 잡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의 중량도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고, 트랙션시브에 걸리는 하중도 증가한다. 일본 특개평7-137964호 공보의 모터는 트랙션시브가 바로 회전자이기 때문에, 상기의 큰 하중에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의 베어링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모터의 베어링도 대형화하고 모터 자체가 대형화하여 버리므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카운터웨이트 내에 모터를 들여놓기가 곤란해진다.
또한 카운터웨이트 내부에 브레이크도 수납하여야 하는데, 큰 브레이크 토크를 얻으려면, 예를 들어 디스크 브레이크 타입에서는 디스크의 지름을 크게 하든지, 브레이크슈의 가압력을 크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2가지 모두가 브레이크의 대형화를 의미하여 카운터웨이트에 수납하기가 곤란해진다.
한편 근년에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사용되는 권상 장치로서 기어 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무기어 방식의 것이 고려되고 있고, 그 일례는 일본 특공평7-45315호 공보에 나타나 있다. 그 일례를 도17에 나타낸다. 이 도17에서 권상 장치(10)의 베이스(11)에 고정된 입형 브라킷(12)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중심축(13)이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이 중심축(13)에 베어링(14)을 통해서 트랙션시브(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트랙션시브(15)에는 베어링(14)에 걸리는 통부(15a)와, 이 통부(15a)의 외측에 형성되어 측부에 개구부를 갖는 수용부(15b)와, 외주부에 형성된 로프홈(15c)이 설치되어 있다. 로프홈(15c)에 상기 로프가 걸린다.
상기 입형 브라킷(12)에는 고정자 브라킷(12a)이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자 브라킷(12a)에 수용부(15b) 내에 위치되어져서 구동용 모터의 고정자(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랙션시브(15)의 통부(15a)의 외주부에는 수용부(15b) 내에 위치되어서 고정자(16)의 내주부와 대향하도록 구동용 모터의 회전자(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고정자(16)의 코일(16a)에 통전하는 것에 의거하여 회전자(17)에 회전 토크가 발생하고, 이에 의거하여 트랙션시브(15)가 회전하며, 이 트랙션시브(15)에 의해 로프가 이동하여 상기 승용 케이지 및 카운터웨이트가 상하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권상 장치(10)에서는 트랙션시브(15)에 설치된 수용부(15b) 내에 구동용 모터의 고정자(16b)와 회전자(17)를 세트한 구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종 계열에 대응하여 트랙션시브(15) 또는 구동용 모터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이들 트랙션시브(15) 및 구동용 모터 부분 전체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또 예를 들면 보수를 위해서 트랙션시브(15) 또는 구동용 모터중 어느 한 부분을 교환할 경우에는 이들 트랙션시브(15) 및 구동용 모터 부분의 전체를 분해하여 교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운터웨이트에 권장 장치를 탑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특히 승용 케이지의 적재량이 커져도 권상 장치를 카운터웨이트 내에 수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권상 장치의 부품의 변경이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4a, 도4b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 장치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4a는 그 정면도, 도4b는 그 평면도.
도5a, 도5b, 도5c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 장치의 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5a는 링크의 볼트가 빠짐 방지개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5b는 링크의 볼트가 빠짐 방지개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5c는 링크의 볼트를 가이드레일에 건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6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 장치의 상부에서 링크의 볼트를 가이드레일에 건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 장치를 위해 사용되는 전기 회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 장치에서의 안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권상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10은 도9에 나타내는 권상 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11은 권상 장치의 정면도.
도12는 권상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권상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 측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권상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 측면도.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권상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 측면도.
도16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종단 측면도.
도17은 종래의 무(無)기어 방식의 권상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 단면도.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승용 케이지의 중량에 로프를 매개로 균형을 잡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에, 상기 로프를 매개로 승용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권상 장치를 설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권상 장치는 구동용 모터와, 이 구동용 모터의 회전축과 다른 회전축을 갖고, 로프가 감기는 트랙션시브와, 구동용 모터의 동력을 트랙션시브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스페이스가 제한된 카운터웨이트에 구동원을 둘 수가 있으므로, 기계실이 불요해지고,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또한 트랙션시브에 작용하는 고하중을 구동용 모터가 부담하지 않으므로, 구동용 모터의 베어링의 강도를 작게 할 수 있어, 권상 장치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동력 전달 장치는 구동용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원동 호일과, 트랙션시브의 회전축에 설치된 종동 호일과, 이들 원동 호일과 종동 호일에 감기는 무단 로프상체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구동용 모터로부터 트랙션시브에 동력을 원활히 전달할 수 있어, 소음 진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트랙션시브보다도 하방에 구동용 모터를 배치하고, 동력 전달 장치의 무단 로프상체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동력의 전달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단면적이 작은 카운터웨이트라도 그 내부에 권상 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의하면, 트랙션시브를 승강로 벽측에, 종동 호일을 승강로벽과는 반대측에 배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기기를 배치하면, 승강로 측으로부터 종동 호일과 무단 로프상체의 조정을 하기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의하면, 트랙션시브와 이에 동축 상으로 고정된 종동 호일의 회전 지지축을 한쪽 지지 부착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승강로 측으로부터 종동 호일에 걸린 무단 로프상체의 해체나, 트랙션시브에 걸린 로프의 해체가 간단해져 보수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의하면, 구동용 모터, 동력 전달 장치, 트랙션시브를 제1 지지 부재에 설치하고, 카운터웨이트 요소를 제2 지지 부재에 설치하며, 이들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서로 연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좁은 승강로 내에 카운터웨이트 요소를 분해해서 반입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의하면, 동력 전달 장치의 무단 로프상체가 톱니 달린 벨트이고, 원동 및 수동 호일이 톱니 달린 풀리인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구동용 모터와 트랙션시브의 회전 각도의 동기가 잡혀, 트랙션슈가 없는 구동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의하면, 동력 전달 장치의 무단 로프상체가 체인이고, 원동 및 종동 호일이 스프로켓인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제7 태양과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적재 중량이 커져도 충분한 전달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의하면, 구동용 모터인 원동 호일과, 트랙션시브인 종동 호일은 그 축간 거리를 가변이 되게 하고, 무단 로프상체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의하면, 무단 로프상체에 접하면서 구르는 회전 바퀴와, 이 회전 바퀴와 접속된 회전 각도 검출기를 갖는 각도 검출 장치를 더 구비하여 구동용 모터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구동용 모터의 회전축과 동축 상으로 각도 검출기를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모터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결과로서 카운터웨이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 의하면, 무단 로프상체는 톱니 달린 벨트이고, 회전차륜은 톱니 달린 풀리이며, 이 톱니 달린 풀리를 기어 달린 벨트에 걸리게 하면서 전동시켜 구동용 모터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회전 각도 검출기의 회전차륜의 미끄러짐을 없앨 수 있으므로, 모터 각도의 검출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의하면, 구동용 모터가 영구 자석식 모터이고, 또한 정류 회로와, 고주파 가변 회로와, 제어기와, 회로 스위칭 수단과, 저항기로 구성된 전기 회로를 구비하며, 제어기로부터의 지령에 의해서 영구 자석식 모터의 권선을 주파수 가변 회로나 저항기 중 어느 한쪽에 접속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구동용 모터 자체로도 제동력을 발생할 수 있어 비상시라도 구동용 모터의 회전을 멈추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특별한 기기를 카운터웨이트 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카운터웨이트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태양에 의하면, 카운터웨이트 내에 브레이크를 가져서 구동용 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을 원격 조작으로 제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구동용 모터의 회전을 멈추게 하기 위한 제동력을 증가시키므로, 승용 케이지의 중량이 증가하여 제동력이 필요해져도 확실하게 구동용 모터의 회전을 멈출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는 구조물에 로프가 감기는 중간 활차를 설치하고, 이 중간 활차에 브레이크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카운터웨이트 내에 브레이크를 수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카운터웨이트 내에 상기 구동용 모터나 동력 전달 장치를 배치하는 자유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에 의하면, 구동용 모터에의 회전 각도 지령과, 회전 각도 검출기의 검출 각도에 의거한 회전 속도의 차가 소정치 이상이 된 경우에는 구동용 모터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동력 전달 장치의 이상을 빨리 검출할 수 있어, 승용 케이지를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태양에 의하면, 카운터웨이트의 주위를 커버로 피복함과 동시에, 이 커버로 싸인 카운터웨이트의 공간 내에 흡음재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구동용 모터나 동력 전달 장치가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조용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권상 장치의 구성 기기를 방진할 수 있으므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태양에 의하면, 카운터웨이트의 승강로벽의 측으로서 구동용 모터의 근방에 구동용 모터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기를 구비하고, 카운터웨이트의 상부 및 하부에 유선형상의 커버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카운터웨이트와 승강로벽의 틈새에 공기를 보내어 구동용 모터가 방열하는 열을 효율 좋게 공기 중으로 방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8 태양에 의하면,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수납 자재인 걸림 부재를 구비하고, 점검 작업 시에는 걸림 부재를 돌출시켜 카운터웨이트용의 안내 레일을 승강로벽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 지지부에 걸림 부재를 걸리게 하여 카운터웨이트를 레일 지지부로부터 매단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점검 시에 카운터웨이트의 트랙션시브를 로프로부터 장력을 풀어서 빼낼 수 있으므로, 보수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19 태양에 의하면, 카운터웨이트를 유도하기 위해서 승강로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안내 레일과, 카운터웨이트에 설치된 가압 수단과, 이 가압 수단에 의해서 안내 레일에 가압됨과 동시에 안내 레일 상을 회전 가능하게 전동하는 롤러를 구비하고, 구동용 모터의 회전 구동력의 반작용에 의해서 롤러가 상기 안내 레일에 가압되어도 회전 자재의 롤러에 의해 카운터웨이트가 원활하게 가이드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구동용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따라서 발생하는 토크로 카운터웨이트 전체가 큰 회전 모멘트를 받아도 기울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20 태양에 의하면, 구동용 모터를 지지체에 고정한 상태로 설치된 고정자와, 상기 지지체에 베어링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을 갖고,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자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축에 이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에 무단 로프상체가 걸리는 원동 호일을 갖는 출력 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원동 호일을 갖는 출력 부재를 전동기의 회전자에서의 회전축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원동 호일 또는 구동용 모터 중의 어느 하나를 변경할 경우에는 출력 부재만, 또는 구동용 모터 부분만을 변경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보수를 위해 원동 호일 또는 구동용 모터 부분 중의 어느 하나를 교환할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출력 부재만, 또는 구동용 모터 부분만을 교환할 수 있어 전체를 분해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21 태양에 의하면, 지지체는 축방향의 일단부에 고정자 프레임을 갖고 있고, 원동 호일은 상기 고정자 프레임 측에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무단 로프상체가 걸린 원동 호일은 비교적 강도가 큰 고정자 프레임의 근처에 있으므로, 원동 호일을 고정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2 태양에 의하면, 지지체는 축방향의 일단부에 고정자 프레임을 갖고 있고, 상기 고정자 프레임에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고정자 프레임의 강도를 한층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3 태양에 의하면, 상기 리브의 축방향의 선단부는 원동 호일의 축 방향의 선단부 이하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4 태양에 의하면, 고정자 프레임에 무단 로프상체를 따르도록 해서 축방향으로 패인 오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축방향의 치수가 커지는 것을 철저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5 태양에 의하면, 회전자는 복수극의 영구 자석을 상기 회전자 내에 매립하여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1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1 내지 도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전체도이다.
승강로의 벽에는 케이지용 가이드레일(204a, 204b)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124a, 124b)이 연직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승용 케이지(201)에는 그 상하 좌우의 4개소에 케이지 안내 장치(205a, 205b, 205c, 205d)가 구비되고, 각각이 케이지용 가이드레일(204a, 204b)에 걸려서 승용 케이지(201)를 상하 방향으로 유도한다.
카운터웨이트(120)도 마찬가지로 안내 장치(123a, 123b, 123c, 123d)에 의해서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124a, 124b)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유도된다. 또한 설명을 위해 도1에서는 케이지용 가이드레일(204a, 204b)이 이루는 평면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124a, 124b)이 이루는 평면을 동일하게 해서 그리고 있지만, 실제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케이지용 가이드레일(204b)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124a)의 최상단부에는 이들을 걸터 앉는 형태로 시브빔(214)이 부착되어 있고, 시브빔(214)의 상부에는 천정 시브(20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천정 시브(206)에는 브레이크(207)가 부착되어 천정 시브(206)의 회전을 원격 조작으로 개방 및 구속한다. 브레이크(207)는 전자석(도시 생략)과 스프링(도시 생략)으로 구성되고, 전류 투입시에만 브레이크 개방 상태가 되는 훼일세이프(fail safe) 기능을 갖는다. 또 승용 케이지(201)의 하부에도 회전 가능한 카시브 가이드레일(203a, 203b)이 구비되어 있다.
승용 케이지(201)와 카운터웨이트(120)는 로프(104)를 매개로 매달려 있다. 로프(104)는 말단의 한쪽이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124b)의 최상부 부근에서 히치(211a)로 고정되어 하방으로 매달리고, 카운터웨이트(120)의 트랙션시브(103)에 감겨서 상방으로 뻗으며, 천정 시브(206)에 감겨 있다. 로프(104)는 또한 하방으로 매달려서 승용 케이지(201)에 도달하고, 카시브 가이드레일(203a, 203b)에 감겨서 다시 상방으로 뻗으며, 히치(211b)에 의해 케이지용 가이드레일(204a)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다음에 카운터웨이트(120)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도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2는 카운터웨이트(120) 부분의 내부 개략 구조도이다. 카운터웨이트(120)는 크게 나누어 상부의 권상 기구부(128)와 하부의 카운터웨이트 요소부(129)로 분리되어 있고, 권상 기구부(128)와 카운터웨이트 요소부(129)는 통체(101)와 받침(116a, 116b)으로 구성된 구조 부분에 연결 볼트(130a, 130b)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의 권상 기구부(128)는 받침(116a)과 받침(116b)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편평한 구동용 모터(105), 이 구동용 모터(105)의 회전축과는 다른 회전축을 갖고, 구동용 모터(105)의 상방에 배치된 트랙션시브(103), 구동용 모터(105)의 동력을 트랙션시브(103)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갖고 있다. 구동용 모터(105)에는 그 상방에 스크류샤프트(114)가 부착되어 있고, 받침(116a)에는 이 스크류샤프트(114)가 통과되기 위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크류샤프트(114)의 받침(116a)의 상측에는 양중(揚重)용 너트(115a)가, 받침(116a)의 하측에는 장력용 너트(115b)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스크류샤프트(114), 받침(116a), 양중용 너트(115a), 장력용 너트(115b)로 잭(jack)(117)이 구성되고, 구동용 모터(105)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구동용 모터(105)의 프레임 부분의 상하 좌우에는 장공(113a, 113b, 113c, 113d)이 설치되고, 이들 장공(113a, 113b, 113c, 113d)을 통해서 고정 볼트(110a, 110b, 110c, 110d)에 의해 구동용 모터(105)는 통체(101)에 고정된다. 구동용 모터(105)로부터는 전력선이나 신호선을 묶은 코드(125)가 뻗고, 카운터웨이트의 최하단부부터 승강로 내에 드리워져 텔코드(126)를 이루고 있다. 텔코드(126)의 앞은 승강로벽에 설치된 접속 박스(215)에 걸려서 지상의 제어기(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용 모터(105)는 상기 제어기(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구동용 모터(105)에는 그 회전축에 원동 풀리(106)를 구비하고 있다. 원동 풀리(106)의 근방으로 구동용 모터(105)의 측면에는 회전 각도 검출기(112)가 구비되고, 롤러(111)가 회전 각도 검출기(112)의 축에 부착되며, 롤러(111)가 톱니 달린 벨트(108)의 이빨에 맞물리도록 톱니 달린 벨트(108)의 내측으로부터 가압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동용 모터(105)의 상방의 부분에 대해서 도3을 병용하여 설명한다.
도3은 카운터웨이트(120)의 개략 측면도이다. 통체(101)의 내부의 구동용 모터(105)보다 상방의 부분에서는 시브베이스(119)가 받침(116a) 및 통체(101)에 고정되어 있고, 시브베이스(119)의 상방에는 베어링(도시 생략)이 구비되어 있으며, 트랙션시브(103)와 일체가 된 시브축(1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시브축(121)은 더 연장되어 종동 풀리(107)가 부착되어 있고, 트랙션시브(103)와 종동 풀리(107)는 일체가 되어서 동시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원동 풀리(106)와 종동 풀리(107)에는 톱니 달린 벨트(108)가 걸쳐져 있다.
한편 카운터웨이트(120)의 하부의 카운터웨이트 요소부(129)에는 그 좌우에 스프로켓(122a, 122b)이 설치되고, 판상의 추(102, 102, …)가 쌓여서 스프로켓(122a, 122b)에 수납되어 있다.
구동용 모터(105)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회로 구성에 대해서 도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전력원인 삼상 교류 전원(501)은 먼저 정류 회로(502)에 의해서 직류로 변환되고, 다시 주파수 가변 회로(503)에 의해서 제어기(504)의 지령에 의거한 주파수 및 전압의 삼상 교류로 변환된다. 그 후 주회로측 개폐기(505)를 통해서 영구 자석식 모터(508) 즉, 구동용 모터(505)의 권선에 전력이 공급된다. 또 영구 자석식 모터(508)의 삼상분의 전선에는 또한 회생 회로측 개폐기(506)를 통해서 저항기(507)가 접속되어 있다. 주회로측 개폐기(505)와 회생 회로측 개폐기(506)는 통상 어느 한쪽이 닫혀 있을 때에는 다른 쪽이 열려 있는 접속 동작을 하게 되어 있고, 그 스위칭 동작은 제어기(504)에 의해서 제어된다. 회생 회로측 개폐기(506)가 닫혀 있을 때에는 영구 자석식 모터(508)의 권선은 저항기(507)를 통해서 각각이 단락되도록 전기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권상 장치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톱니 달린 벨트(108)의 부착 및 장력 조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에서 톱니 달린 벨트(108)를 부착하려면, 양중용 너트(115a)를 체결해서 스크류샤프트에 대해서 양중용 너트(115a)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구동용 모터(105)는 받침(116a)에 대해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원동 풀리(106)와 종동 풀리(107)의 축간 거리가 짧아진다. 또한 이 때 고정 볼트(110a, 110b, 110c, 110d)는 느슨하게 하여 둔다. 상기 축간 거리가 충분히 짧아지면, 톱니 달린 벨트(108)를 종동 풀리(107)와 원동 풀리(106)에 걸칠 수가 있다. 그 후에 양중용 너트(115a)를 체결하면, 구동용 모터(105)는 자중으로 하방으로 내려가고, 톱니 달린 벨트(108)는 어느 정도의 장력을 수반하여 당겨진다. 또한 양중용 너트(115a)를 느슨하게 한 다음에 이번에는 하측의 장력용 너트(115b)를 체결하여 장력용 너트(115b)를 스크류샤프트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스크류샤프트(114)는 받침(116a)에 대해서 반력을 얻어서 구동용 모터(105)를 더욱 하방으로 밀어내리고, 상기 축간 거리를 넓힌다. 따라서 톱니 달린 벨트(108)의 장력은 증가한다. 톱니 달린 벨트(108)에 소망의 장력이 얻어지면, 고정 볼트(110a, 110b, 110c, 110d)를 체결하여 구동용 모터를 통체(101)에 고정하고 조정은 종료한다. 톱니 달린 벨트(108)를 교환할 때에는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한다.
다음에 카운터웨이트(120)의 승강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동용 모터(105)가 제어기(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 구동되면, 원동 풀리(106), 톱니 달린 벨트(108), 종동 풀리(107), 시브축(121)을 통해서 트랙션시브(103)가 회전된다. 그러면 트랙션시브(103)는 마찰력에 의해 로프(104)를 이동시키고, 카운터웨이트(120) 전체가 로프(104)의 송출 방향에 따라서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그려면 카운터웨이트(120)로부터 위의 로프(104)의 길이가 변하기 때문에, 로프(104)의 다른 쪽에 드리워진 승용 케이지(도시 생략)는 승강된다. 이 때에 회전 각도 검출기(112)는 롤러(111)의 회전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원동 풀리의 회전각을 안다. 롤러(111)와 원동 풀리(106)의 지름 및 종동 풀리(107)와 원동 풀리(106)로 된 감속계의 감속비 및 트랙션시브(103)의 지름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롤러(111)의 회전 각도로부터 로프(104)의 감김량을 앎으로써 승용 케이지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 롤러(111)의 회전 각도의 시간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구동용 모터(105)의 회전 각도도 산출하고, 구동용 모터(105)의 회전 제어에 사용한다.
다음에 브레이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승용 케이지가 소정의 계단(도시 생략)에 착상한 후에 브레이크(207)를 작동시켜서 천정 시브(206)의 회전을 구속하고, 로프(104)의 감김 위치를 고정한다. 그러면 승용 케이지(201) 및 카운터웨이트(120)의 위치도 구속된다. 그 후에 또한 제어기(504)에 의해서 주회로측 개폐기(505)를 엶과 동시에, 회생 회로측 개폐기(506)를 닫아서 구동용 모터(105)의 코일 권선 간을 단락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구동용 모터(105)의 회전자(도시 생략)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외력이 작용하여 회전자가 회전하려고 하면, 영구 자석식 모터(508) 내부의 영구 자석(도시 생략)과 권선 코일부(도시 생략) 간에서 자속이 변화하여 권선에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기전력에 의해서 권선에 전류가 흐르지만, 권선 간은 저항기(507)에 의해서 단락되고 있으므로, 그 전기 에너지는 열에너지가 되어 발산하여 소실된다. 이 때문에 권선에는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상기 자속의 변화에 저항하는 전자력이 발생하고, 회전자(도시 생략)의 회전에 대항하는 회전력이 발생하여, 결과로서 회전자는 회전을 구속 받는다.
다음에 회전 각도 검출기(112)와 롤러(11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기(도시 생략)는 구동용 모터(105)의 회전 각도 검출기(112)의 신호를 이용해서 회전 제어를 하고 있다. 이 때에 톱니 달린 벨트가 절단되는 등의 이상 사태가 발생하면, 원동 풀리의 회전 속도와 회전 각도 검출기(112)에 의한 회전 속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그래서 제어기는 이러한 속도차가 어느 일정 이상이 된 경우에는 상기 벨트 전달계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여, 주회로측 개폐기(505)를 열고서 구동용 모터(105)에의 전력 공급을 멈추고, 회생 회로측 개폐기(506)를 닫아서 구동용 모터(105)의 권선 간을 단락한다. 그 후의 작용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용 모터(105)의 회전자(도시 생략)에 제동력을 주어서 회전을 멈춘다. 또 동시에 제어기(504)에 의해서 승강로 천정부의 천정 시브(206)에 구비된 브레이크(207)에 파지 지령을 내서 천정 시브(206)의 회전을 제동하고, 승용 케이지 및 카운터웨이트의 승강을 비상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달 벨트가 절단되는 이상 사태가 되어도 신속하게 승용 케이지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본래 편평하여 스페이스가 적은 카운터웨이트(120) 내에 권상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카운터웨이트(120)에는 감속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용 모터(105)에 필요한 토크는 적게 회전수를 올릴 수가 있으므로, 구동용 모터(105)는 소형이어도 좋다. 또 구동용 모터(105)와 트랙션시브(103)는 회전축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베어링을 따로 함으로써 트랙션시브(103)의 하중을 모터 베어링으로 받칠 필요는 없어진다. 이 때문에 구동용 모터 베어링 부분도 작게 할 수 있어 구동용 모터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톱니 달린 벨트(108)를 사용함으로써 기어식의 감속기에서 문제가 되는 일이 많은 백래쉬나 진동이 생기기 어려워 승용 케이지의 승차감이 향상된다.
또한 브레이크를 카운터웨이트 내부에 수납하지 않아도 되므로, 카운터웨이트 내부에 구동용 모터 부분의 공간을 넓게 잡을 수 있다. 또 카운터웨이트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를 소형화할 필요가 없다.
특히 정전시나 비상시에 승용 케이지를 급정지시킬 경우가 있어도 저항기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에 제동을 걸어 구동용 모터나 트랙션시브 등의 관성에 의한 관성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프나 벨트 등에 과도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일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구성 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또 톱니 달린 벨트가 절단되는 이상 사태가 되어도, 신속하게 이것을 판단하여 케이지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톱니 달린 벨트와 톱니 달린 풀리로 되는 감속기 부분은 체인과 스프로켓으로 된 전달 기기이어도 좋다.
도3은 카운터웨이트의 커버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카운터웨이트(120)는 주위를 방음 커버(302)로 덮어서 내부의 구성품을 피복하고 있다. 또 카운터웨이트(120)의 상부에 유선형 커버(301a)가, 하부에는 유선형 커버(301b)가 부착되어 있다. 유선형 커버(301a, 301b)는 각각 상단, 하단면이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승강로벽(306) 측에 상기 곡면부가 오도록 부착되어 있다. 방음 커버(302)와 유선형 커버(301a, 301b)가 형성하는 카운터웨이트(120)의 내부 공간의 틈새에는 흡음재(303a, 303b)가 충전되어 있다. 또 카운터웨이트(120)의 배면부로서 승강로 측이면서 구동용 모터(105)의 근방에는 방열 핀(305)이 부착되어 있다. 방열 핀(305)에는 수평면의 단면이 빗살 형상으로서, 연직 방향의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먼저 방음 커버(302)와 유선형 커버(301a, 301b)에 의해 구동용 모터(105)나 감속기(127)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은 카운터웨이트 내부에 가두어져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발생한 음은 흡음재(303a, 303b)에 의해 흡수된다.
또 카운터웨이트(120)가 상승하면, 카운터웨이트(120) 상부의 공기가 도3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고, 유선형 커버(301a)를 따라서 카운터웨이트(120)의 배면과 승강로벽(306) 간에 유입한다. 이 때에 공기는 유선형 커버(301a)의 곡면부를 따라서 가속되어 유속이 증가한다. 그리고 공기는 방열 핀(305)을 통과할 때에 열을 빼앗아서 구동용 모터 부근의 온도를 내려서 구동용 모터(105)를 냉각한다. 카운터웨이트(120)가 하강할 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원리에 의해 유속이 증가한 공기가 방열 핀(305)을 통과하여 열을 빼앗아서 구동용 모터(105)의 온도 상승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조용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구동용 모터의 구동에 수반해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 좋게 빼앗을 수 있어 구동용 모터(105)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4~ 도6은 카운터웨이트를 가이드레일에 고정하는 경우의 고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실시예의 카운터웨이트 좌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4a는 측면도, 도4b는 상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120)의 좌상 부분에는 안내 장치(123b)가 구비되어 있고, 가이드레일(124b)에 걸려 있다. 승강로(도시 생략)의 벽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일브라킷(406)이 복수 설치되고, 각각 레일브라킷(406) 부분에서 클립(407)에 의해 가이드레일(124b)은 벽에 고정된다. 상기의 가이드레일의 구성 및 안내 장치의 구성은 카운터웨이트(120)의 우측 레일인 가이드레일(124a)의 측에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카운터웨이트(120)의 통체(101)의 상부 좌단에는 힌지(401)가 구비되고, C자 형상을 한 링크(402)를 활강 자재로 지지하고 있다. 링크(402)의 C자 형상 부분의 선단의 한쪽에는 구멍(409)이 나 있고, 볼트(403)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링크(402)의 다른 쪽의 선단 부분에는 암나사부(405)가 형성되어 있고, 볼트(403)의 선단 부분에 설치된 숫나사부(404)와 나사 연결되도록 도어 있고, 볼트(403)가 암나사부(405)에 연결될 때에 볼트(403)의 축과 힌지(401)의 축이 평행이 되는 위치 관계를 갖고 배치되어 있다. 또 통체(101)에는 또한 링크(402)가 도4b와 같은 위치에 있을 때에 볼트(403)가 통과할 수 있는 스토퍼(40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작용을 도5 및 도6으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장치의 통상 사용시에는 볼트(403)는 스토퍼(408)를 통과한 상태에서 암나사부(405)에 나사 결합되고, 링크(402)는 통체(101)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장치의 점검시 등에는 카운터웨이트(120)를 승강시키고, 통체(101)의 상면이 레일브라킷(406) 부근에 오는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그 후에 작업원이 인력으로 볼트(403)를 풀어서 스토퍼(408)로부터 볼트(403)를 벗긴다(도5b). 다음에 링크(402)를 힌지(401) 둘레로 회전시켜서 가이드레일(124b)의 쪽으로 꺽고, 다시 볼트(403)를 암나사부(405)에 체결한다(도5c). 이 때에 볼트(403)는 레일브라킷(406)보다도 상방으로, 또한 가이드레일(124b)에 대해서 카운터웨이트(120)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오도록 한다(도6). 이와 같은 작업은 우측의 가이드레일(도시 생략)이어도 마찬가지로 행한다. 이상의 일련의 작업이 종료한 후에, 카운터웨이트(120)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구동용 모터(105)를 미속 회전시키면, 카운터웨이트(120)의 하중 분담은 로프(104)로부터 링크(402)에 이행하고, 이윽고 완전히 레일브라킷(406)으로부터 현수된다. 그 후에 예를 들어 승용 케이지(도시 생략)의 별도의 양중기로 현수시키면, 로프(104)는 트랙션시브(103)로부터 풀려서 벗겨지게 된다.
또한 카운터웨이트(120)와 트랙션시브(103) 간에 개재한 로프(104)에 대해서 현수시키려면 상기의 반대의 순서를 거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카운터웨이트(120)를 건물에 대해서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트랙션시브(103)로부터 로프(104)를 벗길 수 있으므로, 로프(104)의 교환이나 카운터웨이트(120) 내의 기기의 보수 점검이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8은 카운터웨이트의 가이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도2의 카운터웨이트의 좌상 부분의 개략 사시도이다.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측 단면 부분에는 마찰식 안내 장치(604)가 부착되고, 그 C자 형상 부분에서 가이드레일(124b)에 걸려 있다. 마찰식 안내 장치(604)의 가이드레일(124b)과 접하는 부분의 전후 방향(도8 참조)에는 가이드슈(605a, 605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웨이트 상면 부분에는 베이스(603)가 부착되고, 레버(602)가 베이스(603)에 대해서 활강 자재로 구비되어 있다. 레버(602)의 선단부에는 안내 롤러(60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603)의 후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스탠드(606)가 설치되고, 이 스탠드(606)와 레버(602) 간에 스프링(607)이 설치되고, 안내 롤러(601)를 가이드레일(124b)에 대해서 밀고 있다. 이들은 차륜식 안내 장치(608)를 구성하고 있다. 다른 부분의 안내 장치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구성은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먼저 마찰식 안내 장치(604)는 가이드레일(124b)과 전후 방향(도8 참조)으로만 걸리고, 전후 방향으로 카운터웨이트가 떨어지지 않도록 안내한다. 한편 차륜식 안내 장치(608)는 차륜(601)이 스프링(607)에 밀리면서 가이드레일(124b)에 구름 접촉하여, 카운터웨이트의 좌우 방향(도8 참조)으로 카운터웨이트가 크게 이동하지 않도록 하면서 안내한다.
구동용 모터(105)가 회전하면, 토크가 발생하지만, 그 때의 반력은 카운터웨이트 전체에 전해져서 카운터웨이트를 기울이려고 하는 모멘트가 되어 작용한다. 그 모멘트는 차륜식 안내 장치(608)에서 받아서 가이드레일(124b)로부터의 반력과 서로 균형을 이루어 카운터웨이트의 경사 자세가 결정된다. 이 때에 모멘트가 커서 차륜식 안내 장치(608)가 가이드레일(124b)에 강하게 눌려도, 차륜을 사용하여 가이드레일에 대해서 안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에 수반하는 마찰력이 극히 작아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것은 만약 좌우 방향의 안내 장치가 마찰식이면, 가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증가하여 진동이 커지는 것을 상상하면, 그 효과는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용 모터가 발생하는 토크에 의해서 좌우 안내 장치의 가압력이 증가하여도 카운터웨이트의 경사를 억제하면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가 드리워지는 로프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어 본 로프에 연결되어 있는 반대측의 케이지 측에서의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기계실을 설치하지 않고 승용 케이지를 승강할 수 있고, 또한 본래 편평하고 스페이스가 적은 카운터웨이트에 소형의 구동용 모터로 구성할 수 있는 권상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도9~ 도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9 및 도11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권상 기구부(727)는 모터 유닛(729)와 시브 유닛(730)을 갖고 있다. 모터 유닛(729)은 도9 및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731)를 갖고 있다. 이 지지체(731)는 직사각형 판상의 고정자 프레임(732)과, 이 고정자 프레임(732)의 중앙부에 도9중 우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원통상의 고정자 브라킷(733)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정자 브라킷(733)의 외주부에 구동용 모터의 고정자(734)가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고정자(734)는 고정자 철심(735)과 이 고정자 철심(735)에 감긴 복수개의 코일(736)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 브라킷(733)의 내주부에는 볼베어링으로 된 베어링(737)을 개재해서 구동용 모터의 회전자(738)의 회전축(739)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자(738)는 회전축(739)과, 이 회전축(739)과 일체 형성된 회전자 요크(740)와, 이 회전자 요크(740)의 내주부에 설치된 회전자 철심(741)과, 이 회전자 철심(741)에 매립된 복수 극의 영구 자석(742)으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자 철심(741)의 내주면이 상기 고정자 철심(735)의 외주면에 대해서 소정의 틈새를 두고 대향하고 있다. 이 회전자(738)는 회전축(739)을 중심으로 고정자(734)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739)의 단부에는 베어링 가압부(737a)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739)의 중앙부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쓰루홀(743)이 형성되어 있다. 출력 부재(744)는 삽입 축부(745)와, 회전 출력부를 구성하는 풀리(746)를 일체로 갖고 있고, 삽입 축부(745)가 상기 쓰루홀(743)을 지나도록 끼움으로서 회전축(739)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삽입 축부(745)의 축 방향의 단부에는 스톱링(745a)을 달고 있고, 이에 의해 빠짐 방지하고 있다. 또 삽입 축부(745)의 외주부 및 쓰루홀(743) 부분에는 키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키홈을 걸터앉도록 키(747)를 삽입함으로써 출력 부재(744)를 회전축(739)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출력 부재(744)를 회전축(739)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풀리(746)가 상기 고정자 프레임(732) 측에서 회전축(739)이 축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고정자 프레임(732)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보강용의 리브(748)가 용접에 의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풀리(746)에 걸리는 동력 전달 부재를 구성하는 벨트(749)를 따르도록 해서 축방향으로 패인 오목부(750)가 형성되어 있다. 각 리브(748)의 축방향의 선단부는 풀리(746)의 선단부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모터 유닛(729)에는 회전자(738)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자 프레임(732)의 상부에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브 유닛(730)의 프레임(751)이 연결 볼트(752)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 프레임(751)에는 축부(753)(도12 참조)가 관통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축부(753)의 일단부에 상기 풀리(746)보다도 직경이 큰 종동 풀리(754)가 설치되며, 축부(753)의 타단부에 트랙션시브(728)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종동 풀리(754)와 트랙션시브(728)는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종동 풀리(754)와 풀리(746) 간에는 벨트(749)가 걸쳐져 있으며, 풀리(746)와 종동 풀리(754)와 벨트(749)에 의해 동력 전동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 트랙션시브(728)의 외주부에는 복수개의 로프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로프홈에 복수개의 상기 로프(725)가 감겨 있다. 그리고 모터 유닛(729) 및 시브 유닛(730)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프레임(755)에 부착판(755a)을 개재해서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모터 유닛(729)의 회전자(738)가 회전하면, 이 회전자(738)와 일체로 풀리(746)가 회전하고, 이에 수반하여 벨트(749)를 매개로 종동 풀리(754)가 회전한다. 그리고 이 종동 풀리(754)와 일체로 트랙션시브(728)가 회전하는 것에 의거하여, 로프(725)를 매개로 승용 케이지(721) 및 카운터웨이트가 상하동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권상 기구부(727)의 모터 유닛(729)에서 회전 출력부를 구성하는 풀리(746)를 갖는 출력 부재(744)를 구동용 모터의 회전자(738)의 회전축(739)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감속비를 바꾸기 위해서 풀리(746)를 변경할 경우, 또는 구동용 모터의 출력을 바꾸기 위해서 구동용 모터 부분을 변경할 경우에는 출력 부재(744)만을, 또는 구동용 모터 부분만을 변경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보수를 위해서 풀리(746) 또는 구동용 모터 부분 중의 어느 하나를 교환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출력 부재(744)만을, 또는 구동용 모터 부분만을 교환할 수 있어 전체를 분해할 필요는 없다.
또 베어링(737)은 고정자 브라킷(733)과 삽입 축부(745) 간에 구성 배치될 수 있으므로, 부하 용량이 큰 대경의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고, 승용 케이지의 적재량의 증가에 따라서 구동용 모터로서 용량이 큰 기종의 채용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권상 장치(727)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 토크를 발생하는 고정자(734)와 회전자(738)의 배치가 삽입 축부(745)의 지름 크기만큼 외주측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토크를 크게 할 수 있어 구동용 모터의 박형화도 가능해진다.
벨트(749)가 걸리는 풀리(746)는 지지체(731)의 고정자 프레임(732) 측에 돌출하고 있고, 비교적 강도가 큰 고정자 프레임(732)의 근처에 있으므로, 그 풀리(746)를 안정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고, 토크 리플 등, 모터 고유의 진동수에 기인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고정자 프레임(732)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748)를 복수개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들 리브(748)에 의해 고정자 프레임(732)의 강도틀 한층 크게 할 수 있다.
각 리브(748)의 축방향의 선단부는 풀리(746)의 축방향의 선단부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으므로, 고정자 프레임(732)에 리브(748)를 설치하도록 하면서도, 축방향의 치수가 커지는 것을 극력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고정자 프레임(732)에 벨트(749)를 따르게 함으로써 축방향으로 패인 오목부(750)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에 의해서도 축방향의 치수가 커지는 것을 극력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13은 권상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고정자 프레임(732)에 리브(748)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14는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출력 부재(744)는 풀리(746)가 회전자(738)측(고정자 프레임(732)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도15는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실시예는 상기한 제4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회전 출력부를 구성하는 풀리(746)를 회전축(738)에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 장치에 의하면, 회전 출력부를 갖는 출력 부재를 구동용 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축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으므로, 부품의 변경이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25)

  1. 승용 케이지의 중량에 로프를 매개로 균형을 잡기 위한 카운터웨이트에, 상기 로프를 매개로 승용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권상 장치를 설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 장치는 구동용 모터와, 상기 구동용 모터의 회전축과 다른 회전축을 갖고 상기 로프가 감기는 트랙션시브와, 상기 구동용 모터의 동력을 트랙션시브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는 상기 구동용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원동 호일과, 상기 트랙션시브와 동축으로 설치된 종동 호일과, 이들 원동 호일 및 종동 호일에 감기는 무단 로프상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시브보다도 하방에 상기 구동용 모터를 배치하고, 상기 동력 전달 장치의 무단 로프상체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시브를 승강로 벽측에, 상기 종동 호일을 승강로벽과는 반대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션시브와 이에 동축 상으로 고정된 상기 종동 호일의 회전 지지축을 한쪽 지지 부착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모터, 상기 동력 전달 장치, 상기 트랙션시브를 제1 지지 부재에 설치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균형추를 제2 지지 부재에 설치하고, 이들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서로 연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의 상기 무단 로프상체가 톱니 달린 벨트이고, 상기 원동 및 종동 호일이 톱니 달린 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의 상기 무단 로프상체가 체인이고, 상기 원동 및 종동 호일이 스프로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모터의 상기 원동 호일과, 상기 트랙션시브의 상기 종동 호일은 그 축간 거리를 가변이 되게 하고, 상기 무단 로프상체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로프상체에 접하면서 구르는 회전 바퀴와, 상기 회전 바퀴와 접속된 회전 각도 검출기를 갖는 각도 검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용 모터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로프상체는 톱니 달린 벨트이고, 상기 회전 바퀴는 톱니 달린 풀리이고, 상기 톱니 달린 풀리를 상기 톱니 달린 벨트에 걸리게 하면서 전동시켜서 상기 구동용 모터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모터가 영구 자석식 모터이고, 또한 정류 회로와, 주파수 가변 회로와, 제어기와, 회로 스위칭 수단과, 저항기로 구성된 전기 회로를 구비하고, 제어기로부터의 지령에 의해서 상기 영구 자석식 모터의 권선을 주파수 가변 회로나 저항기 중 어느 한쪽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 내에 브레이크를 갖고, 상기 구동용 모터의 회전자의 회전을 원격 조작으로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는 구조물에 상기 로프가 감기는 중간 활차를 설치하고, 상기 중간 활차에 브레이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모터에의 회전 각도 지령과, 상기 회전 각도 검출기의 검출 각도에 의거한 회전 속도의 차가 소정의 값 이상이 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용 모터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주위를 커버로 피복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로 싸인 카운터웨이트의 공간 내에 흡음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승강로벽의 측으로서 상기 구동용 모터의 근방에 상기 구동용 모터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기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부 및 하부에 유선형상의 커버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 수납 자재인 걸림 부재를 구비하고, 점검 작업 시에는 상기 걸림 부재를 돌출시키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용의 안내 레일을 승강로벽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 지지부에 상기 걸림 부재를 걸리게 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상기 레일 지지부로부터 매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유도하기 위해서 승강로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안내 레일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설치된 가압 수단과,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서 상기 안내 레일에 가압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 레일 상을 회전 가능하게 전동하는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용 모터의 회전 구동력의 반작용에 의해서 상기 롤러가 상기 안내 레일에 가압되어도 회전 자재의 상기 롤러에 의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가 스무스하게 가이드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 장치는 지지체에 고정 상태로 설치된 구동용 모터의 고정자와,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고정자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용 모터의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회전자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에 무단 로프상체가 걸리는 원동 호일을 갖는 출력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축방향의 일단부에 고정자 프레임을 갖고 있고, 상기 원동 호일은 상기 고정자 프레임 측에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축방향의 일단부에 고정자 프레임을 갖고 있고, 상기 고정자 프레임에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축방향의 선단부는 상기 원동 호일의 축 방향의 선단부 이하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프레임에 상기 무단 로프상체를 따르도록 해서 축방향으로 패인 오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복수극의 영구 자석을 상기 회전자 내에 매립하여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99-0056622A 1998-12-11 1999-12-10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30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53240 1998-12-11
JP35324098 1998-12-11
JP8421599 1999-03-26
JP99-084215 1999-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083A true KR20000048083A (ko) 2000-07-25
KR100430113B1 KR100430113B1 (ko) 2004-05-03

Family

ID=2642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622A KR100430113B1 (ko) 1998-12-11 1999-12-10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30544B2 (ko)
KR (1) KR100430113B1 (ko)
CN (1) CN1323933C (ko)
WO (1) WO200003580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604B1 (ko) * 2004-12-06 2006-07-06 주식회사 금성기공 유압 권양 장치
KR20210147464A (ko) * 2020-05-29 2021-12-07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싱글타입 스크라이브 헤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0831B2 (ja) * 2002-09-24 2009-06-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US7377366B2 (en) 2002-11-25 2008-05-27 Otis Elevator Company Sheave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CN102992145B (zh) * 2002-11-25 2015-05-27 奥的斯电梯公司 无机器间的电梯系统
CN100357168C (zh) * 2003-01-28 2007-12-2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EP1602613A1 (en) * 2003-03-12 2005-12-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unterbalancing self-running elevator
FR2856045B1 (fr) * 2003-06-16 2006-07-07 Ascervi Ascenseurs Ascenseur avec contrepoids a course reduite
ATE380774T1 (de) * 2004-03-04 2007-12-15 Herbert Gabl Aufzugsanlage mit einer im gegengewicht integrierten antriebseinheit
JP5397008B2 (ja) * 2009-05-15 2014-01-2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1037581A (ja) * 2009-08-11 2011-02-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釣合錘
CN107032210B (zh) 2015-07-13 2020-12-0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系统消声组件和方法
KR101921742B1 (ko) * 2016-02-15 2018-11-23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운전 연습 장치
JP2019043749A (ja) * 2017-09-06 2019-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CN109132821B (zh) * 2018-11-12 2020-07-03 常德金鹏印务有限公司 一种磁推导卸荷式电梯
CN110143513B (zh) * 2019-05-21 2021-06-01 陆增益 一种可变配重的蓄能节能电梯及其使用方法
US20220194742A1 (en) * 2020-12-21 2022-06-2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a climbing counterweight
CN114671323A (zh) * 2022-04-10 2022-06-28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机驱动装置牵引的电梯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1130A (en) * 1960-10-12 1963-08-20 Silopark S A Elevator system in which drive mechanism is mounted upon the counterweight
JPS4713868U (ko) * 1971-03-17 1972-10-18
JPS5267150U (ko) * 1975-11-14 1977-05-18
JPS6047193B2 (ja) * 1977-07-18 1985-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S589376U (ja) * 1981-07-11 1983-01-21 乾 正文 かん容器
JPS5820268U (ja) * 1981-08-03 1983-02-0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タの騒音防止装置
JPS5980371U (ja) * 1982-11-22 1984-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釣合錘
JPH02158583A (ja) * 1988-12-09 1990-06-19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制動装置
JPH0589376U (ja) * 1992-05-12 1993-12-0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ー
JP2734943B2 (ja) * 1993-03-22 1998-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72452A (ja) * 1993-06-15 1995-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ニアモータ駆動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制御装置
FI95688C (fi) * 1993-06-28 1996-03-11 Kone Oy Vastapainoon sijoitettu hissimoottori
JP3225811B2 (ja) * 1995-11-06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H09315721A (ja) * 1996-05-27 1997-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H1059639A (ja) * 1996-08-21 1998-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速度検出装置
JPH10178763A (ja) * 1996-12-18 1998-06-30 Sony Corp モータ
JPH10236751A (ja) * 1997-02-25 1998-09-0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カウンターウェイ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604B1 (ko) * 2004-12-06 2006-07-06 주식회사 금성기공 유압 권양 장치
KR20210147464A (ko) * 2020-05-29 2021-12-07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싱글타입 스크라이브 헤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3933C (zh) 2007-07-04
KR100430113B1 (ko) 2004-05-03
CN1259482A (zh) 2000-07-12
JP4530544B2 (ja) 2010-08-25
WO2000035800A1 (fr) 200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011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0606875B1 (en) Elevator motor placed in the counterweight
EP0631969B1 (en) Elevator drive machine placed in the counterweight
JP2593289B2 (ja) 下部に駆動機械を備えたトラクションシーブ型エレベータ
EP0630849B1 (en) Elevator drive machine placed in the counterweight
KR10020842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10139321A (ja) 駆動装置をエレベータシャフト内に配置したエレベータ設備
EP1698581B1 (en) Machine, lifting system and machine room-less elevator
EP1333000A1 (en) A machine-roomless traction sheave elevator
EP2810911A1 (en) A drive machine for an elevator and an elevator
JP201401527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68679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装置
KR100597523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10059794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2000095461A (ja)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
KR20030042448A (ko) 샤프트 기계장치 내부에 구비된 케이블 리프트
KR20150104974A (ko) 고 하중용 권상기의 고정자 슬립 방지 장치
EP1516844A1 (en) Elevator equipment
WO201819823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348142Y2 (ko)
KR970009386B1 (ko)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모터 냉각장치
KR102210831B1 (ko)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KR970009387B1 (ko)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
WO2018198231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4018871B2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