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067A -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067A
KR20000048067A KR1019990056462A KR19990056462A KR20000048067A KR 20000048067 A KR20000048067 A KR 20000048067A KR 1019990056462 A KR1019990056462 A KR 1019990056462A KR 19990056462 A KR19990056462 A KR 19990056462A KR 20000048067 A KR20000048067 A KR 20000048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gripping means
bead
rim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미트루도빅
Original Assignee
미첼 롤리에르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폴 겔리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첼 롤리에르,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폴 겔리,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미첼 롤리에르
Publication of KR2000004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0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2Tyre levers or the like, e.g. hand-h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림의 장착 그루브로부터 비드를 추출하여, 상기 림 시트의 축상 외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비드를 시트 상에 장착시키고, 다른 비드를 다른 시트 상에 장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시트의 방사상 및 축상 외부인 국부 추출 위치로 비드를 이동시키고, 림의 장착 그루브의 양 측면 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두 개의 핀 상에 비드 그리퍼를 선회시킴으로써 타이어의 전체 원주 상에 비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다른 핀 상에서 선회되는 로드를 통해 제어부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고 제어부에 결합하는 핀 중의 하나에 선회 장착되는 비드 그리퍼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of mounting a tire on a rim and device for use in said method}
본 발명은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림은 주변 플랜지 상에, 각각 타이어 비드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림(3)은 하기와 같은 특징이 있다.
두 개의 주변 돌출부(31) 상에는 외부로 경사져 있고, 각각 타이어(20)의 제 1 및 제 2 비드(21)를 수용하는 제 1 및 제 2 림 시트(32)가 있다(도면에는, 대응하는 제 1 돌출부(31), 제 1 시트(32) 및 비드(21)만 도시되어 있음). 시트(32) 사이에 형성된 것은, 한편에는, 상기 타이어(20) 트레드(23)의 지지체(22)를 수용하게 되는 베어링(33)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편에는, 상기 베어링(33)을 상기 제 1 시트(32)의 축방향 내부 플랜지(32a)에 연결시키는 장착 그루브(34)가 형성되어 있다.
본원의 명세서 중에서는, 그루브(34)에 인접한 시트를 제 1 시트(32)라 하고, 상기 그루브(34)와 대향하는 시트를 제 2 시트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시트(32)의 축방향 외부 플랜지는, 대응하는 외주 돌출부(31)에 의해서 형성된다.
공지의 방식에서는, 타이어(20)를 상기 특정 림(3)에 장착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수행된다.
프랑스 특허 FR-A-2,720,97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 1 비드(21)는 제 2 시트의 한쪽 측면 상에서, 림(30) 상에 있으며, 상기 제 1 비드(21)는 이어서 베어링(33) 상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러져서, 그루브(34) 내로 삽입된다. 상기 제 2 비드는 이후에 제 2 시트 상에 장착된다.
다음에, 추출 단계에서는, 제 1 비드(21)를 그루브(23)로부터 추출하여, 제 1 시트(32)의 돌출부(31)의 외부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장착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비드(21)는 제 1 시트(32) 상에 장착된다.
상기 추출 단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레버 형태의 공구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진행하여, 그루브(34)로부터 제 1 비드(21)를 점진적으로 추출해야 한다.
이 방법의 가장 큰 단점은 타이어의 전체 외주 상에서 추출이 발생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이고, 따라서, 상기 형태의 림을 수용하는 장착 조립체의 연속 생산에 적합한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두 개의 시트 사이에 베어링을 구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시트 중의 하나, 또는 제 1 시트에 인접한 축방향 내부 플랜지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장착 그루브를 구비하고, 각각 림의 두 개의 외주 에지 상에 상기 타이어를 수용하는 림 시트를 구비하는 림을 구비하며, 상기 타이어의 비드 중의 하나를 상기 림 상에 및 다른 시트, 즉 제 2 시트의 측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와, 이후에 상기 베어링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상기 제 1 비드를 이동시켜서 상기 그루브 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이후에, 추출 단계에서, 상기 그루브로부터 상기 제 1 비드를 추출하여, 상기 제 1 비드의 외부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장착 단계에서, 상기 제 1 비드를 상기 제 1 시트에 장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타이어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상당히 빠른 속도로 일련의 장착된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추출 단계는,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1 비드와 상기 축방향 내부 플랜지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국부적인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와, 제 2 단계에서, 상기 국부 공간 내에 파지 수단을 삽입하여 상기 제 1 비드의 내부면에 지지 위치를 차지하는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상기 지지 위치에서 상기 파지 수단을 선회시켜서 상기 제 1 비드를 국부적인 추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 4 단계에서, 상기 타이어의 전체 외주에서 상기 제 1 비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그루브의 방사 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 1 선회 핀 상에서 상기 파지 수단을 선회하여 상기 파지 수단이 상기 지지 위치를 차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파지 수단이 결합되는 제어 수단의 제어 하에서 상기 지지 위치 내에 상기 파지 수단의 선회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파지 수단은 상기 그루브 내에서 방사 방향으로 위치한 제 2 선회 핀 상에서 선회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단계의 적용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측벽의 국부 위치 상의 국부 위치를 상기 제 1 비드 내에서 종결시켜서, 상기 국부 공간을 생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4 단계의 적용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시키고, 상기 파지 수단은 상기 국부 추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상기 제 4 단계를 적용하는 제 1 방법에 따르면, 상기 타이어와 상기 림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 4 단계를 적용하는 제 2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 1 비드의 상기 내부면은 L 형태의 만곡 러그의 평평한 면인, 상기 타이어 외주 상의 다른 지점에 삽입되며, 상기 타이어와, 상기 림 및 상기 파지 수단은 상기 러그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랫폼의 회전축에 대해서 직각인 상기 타이어를 구비한 상기 림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과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의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고 상기 프레임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제 1 선회 핀 상에 선회 장착되는 제 1 비드 상에 지지되는 파지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비드의 추출에서 사용되는 장치를 제안하는 것으로, 상기 장치는, 동작 중에 연속적으로,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장착하는 상술한 결과를 얻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파지 수단이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플랫폼의 평면에 대해서도 평행한 제 2 선회 핀 상의 상기 파지 수단의 선회를 제어하게 되는 로드에 의해서, 제어 수단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상기 선회 핀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파지 수단은, 예를 들어, 선회 중에 작동하도록 설계된 아암을 구비하여, 상기 파지 수단이, 레그가 상기 아암에 의해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y" 형태의 경사진 브랜치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선회 핀은 상기 파지 수단의 자유 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아암의 한쪽 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파지 수단은 적합하게는, 상기 제 1 선회 핀의 중심 위치 설정을 허용하는 곡률을 가진다.
상기 파지 수단은 유리하게는, 곡률 반경이 대략 최대가 되는 상기 파지 수단의 중심부에 경사진 측면 에지와 테이퍼진 단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타이어 상에서 지지되는 핑거를 구비하며, 상기 핑거는 파지 수단과 대향하는 상기 파지 수단의 상기 아암의 측면을 따라서 장착되며, 또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서 제어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어 수단을 상기 추출 위치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 수단 및/또는 상기 아암 및/또는 상기 핑거는 유리하게는, 각각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잭을 구비한다.
도 1은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추출 단계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그루브 내의 고정 위치 및 중간 추출 위치에 있는 상기 장치와 타이어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개념도.
도 2는 최종 추출 단계에서의 도 1의 장치의 또 다른 부분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림 20: 타이어
21: 제 2 비드 23: 트레드
31: 돌출부 32: 시트
22: 지지체 33: 베어링
32a: 플랜지 34: 장착 그루브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뿐만 아니라, 다른 것들에 대해서는 예시적일 뿐 제한적이지 않은, 첨부된 도면에 대한 설명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후술하는 기재를 통해서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림(30)의 상기 그루브(34)로부터 타이어(20)를 추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프레임(11)과, 회전축에 대해서 직각으로 타이어(20)를 장비한 림(30)을 수용하게 되는 플랫폼(도 1 및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음)과, 프레임(11) 상에 장착된 수단(12)을 구비하며, 상기 추출에서 타이어(20)의 상기 제 1 비드(21)와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수단(12)은 제 1 비드(21) 내에서 종결되는 타이어(20)의 측벽(24) 상에서 지지되는 최소한 하나의 핑거(13)와, 상기 제 1 비드(21)의 내부면(21a) 상에서 지지되는 선회 파지 수단(14)과, 상기 파지 수단(14)의 선회를 제어하기 위해서 형성된 제어 수단(15)을 구비한다.
파지 수단(14)은 상기 플랫폼의 평면에 대해서 평행한 제 1 선회 핀(16) 상에 선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파지 수단(14)은 선회 중에 파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아암(14a)을 구비하므로, 상기 파지 수단(14)은 레그가 상기 아암(14a)에 의해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y" 형태의 경사진 브랜치를 형성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선회 핀(16)은 상기 파지 수단(14)의 자유 단부(14b)에 대향하는 아암(14a)의 한쪽 단부에 장착된다.
동일한 실시예에서, 상기 핑거(13)는 파지 수단(14)에 대향하는 아암(14a) 측에 장착된다.
파지 수단(14)은 양호하게는 갈고리 모양의 곡률을 가진다. 상기 곡률은 실질적으로 제 1 선회 핀(16)의 중심 위치 설정을 허용하며, 상술한 자유 단부(14b)는 테이퍼져 있다.
또한, 파지 수단(14)의 측면 에지(14c)는 유리하게는 상기 파지 수단(14)의 중간 부분에서 경사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중심부는 실질적으로 최대 곡률 반경을 나타내고 있다.
파지 수단(14)은 로드(17)를 통해서 상기 제어 수단(15)에 결합되므로, 상기 로드(17)와 일체인 상기 수단(15)의 제어 하에 제 2 선회 핀(18) 상에서 선회된다. 상기 제 2 핀(18)은 상기 플랫폼의 평면에 대해서 평행한 프레임(11) 상에 고정 장착된다.
로드(17)는, 한편으로는, 상기 제 1 핀(16) 상에 장착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 2 핀(18) 상에 장착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로드는 각각 영역(17c)에 의해서 사이가 연결되는 상기 핀(16, 18)에 장착되는 두 개의 러그(17a, 17b: lug)로 구성되어, 상기 로드(17)는 상기 러그(17a, 17b) 사이의 리세스(17d)가 형성되어 대략 π 형상이 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어 수단(15)은 대칭축(15a)이 상기 제 2 핀(18)을 관통하는 아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또한, 주어진 위치에서 제어 수단(15)을 잠그기 위한 수단(19a, 19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후자는 두 개의 이동 가능한 정지부(19a, 19b)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10)는 하기와 같이 동작하며, 도 1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일단 제 1 비드(21)가 그루브(34) 내에 위치하게 된다(다른 비드는 상기 제 2 시트 내로 결합하게 된다).
핑거(13)를 작동시켜 타이어(20)의 측벽(24) 상에 힘을 가하여 제 1 시트(32)의 상기 축방향 내부 플랜지(32a)와 상기 비드(21) 사이에 국부 공간을 생성한다. 비드(21)가 국부적으로 이격된 이 위치는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작동은 제어 수단(15)을 화살표 방향(A)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 핑거(13)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도 명백하다.
또한, 상기 핑거(13)는 상기 측벽(24) 상에서 지지되어 상기 국부 공간을 생성하기만 한다면 다른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음도 명백하다.
상기 힘을 계속적으로 적용하는 동안에, 아암(14a)을 화살표 방향(B)으로 제 1 선회 핀(16) 상에서 선회시켜서 상기 국부 공간 내로 파지 수단(14)을 삽입한다. 이 삽입 위치에서, 파지 수단(14)의 단부(14b)가 비드(21)의 방사상 내부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단부(14b)의 테이퍼진 형상이 상기 삽입을 용이하게 함을 알 수 있다.
이후에 측벽(24) 상으로의 상기 힘의 적용을 중단하며, 따라서 파지 수단(14)은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를 관통하여 비드(21)의 내면(21a) 상에서 지지 위치 또는 중간 추출 위치에 지지된다.
파지 수단(14) 중간부의 두꺼운 경사진 구조는 변형되지 않고도 비드(21) 상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하여 도 1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선회를 통하여 화살표 방향(B)으로 상기 힘을 아암(14a)에 가하는 것을 중지한다.
제어 수단(15)은 이후에 화살표 방향(C)으로 제 2 선회 핀(18) 상에서 선회되며, 파지 수단(14)은 계속 상기 지지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상기 로드(17)를 통해서 상기 핀(18) 상에 상기 파지 수단(14)을 선회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 선회는 파지 수단(14)이 도 2의 최종 국부 추출 위치에 도달하게 될 때 중단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종 위치는, 이후에 비드(21)가 대응하는 시트(32) 외부의 방사 방향 및 축방향에 한 위치를 차지하는 위치이다.
이 최종 추출 위치에서, 제어 수단(15)고, 따라서 파지 수단(14)을 정지부(19a, 19b)를 통해서 잠그게 된다.
이후에,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을 자체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하여, 타이어(20)와 림(30)이 일체적으로 그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하게 되며, 파지 수단(12)은 고정된 채로 유지된다.
타이어(20)와 림(30)의 회전은, 단일 회전에서, 타이어(20)의 전체 외주 상에서 비드(21)를 추출하는 효과가 있다.
파지 수단(14)과 접촉하고 있는 타이어(20)의 회전에서, 상술한 파지 수단의 형태는 상기 접촉부에서 고유한 비드(21)가 변형될 위험을 만족스럽게 최소화한다.
또한, 로드(17)의 상기 러그(17a)는, 추출된 비드(21)와 면하게 되는 내부 에지의 자유 단부에 인접한 곳(도 2의 위치)에서, 방해하지 않도록 타이어(20)의 상술한 회전에서 상기 비드(21)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상기 형태는 국부적으로 오목한, 만곡 형태이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수단(14)의 후방 부분(점선으로 표시)과 같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L 형태의 만곡 러그(도시하지 않음)의 대략 평평한 표면은, 파지 수단(14)이 도 2의 추출 위치에 위치한 곳이 아닌 타이어(20)의 외주 상의 한 지점에서 비드(21)의 내면(21a) 아래에 삽입된다. 상기 플랫폼은 이후에 그 핀 상에서 회전되어, 타이어(20)와, 림(30)과 파지 수단(14)을 일체 회전 구동하며, 단지 상기 L 형상의 러그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타이어(20)의 회전은 또한, 단일 회전에서, 타이어(20)의 전체 외주 상에서 비드(20)를 추출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에서, 타이어(20)는 L 형태의 러그의 평평한 베이스와 접촉해서만 회전하며, 파지 수단(14)에 대해서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대략 "평평한" 접촉은 상술한 변형의 위험성을 추가적으로 최소화해 준다.
비드(21)가 추출되고, 림(30) 상에 타이어(20)를 장착하는 과정이 종료되며, 림(21)을 장착한다.
또한, 비드(21)를 추출하는 전(全)단계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10)는, 유리하게는 각각 상기 제어 수단(15) 및/또는 상기 아암(14a) 및/또는 상기 핑거(13)를 작동시키게 되는 잭을 포함한다.

Claims (13)

  1. 한편으로는, 두 개의 시트 사이에 베어링을 구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시트 중의 하나, 또는 제 1 시트에 인접한 축방향 내부 플랜지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장착 그루브를 구비하고, 각각 림의 두 개의 외주 에지 상에 상기 타이어를 수용하는 림 시트를 구비하는 림을 구비하며,
    상기 타이어의 비드 중의 하나를 상기 림 상에 및 다른 시트, 즉 제 2 시트의 측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와, 이후에 상기 베어링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상기 제 1 비드를 이동시켜서 상기 그루브 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이후에, 추출 단계에서, 상기 그루브로부터 상기 제 1 비드를 추출하여, 상기 제 1 비드의 외부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장착 단계에서, 상기 제 1 비드를 상기 제 1 시트에 장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1 비드와 상기 축방향 내부 플랜지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국부적인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와, 제 2 단계에서, 상기 국부 공간 내에 파지 수단을 삽입하여 상기 제 1 비드의 내부면에 지지 위치를 차지하는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상기 지지 위치에서 상기 파지 수단을 선회시켜서 상기 제 1 비드를 국부적인 추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 4 단계에서, 상기 타이어의 전체 외주에서 상기 제 1 비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그루브의 방사 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 1 선회 핀 상에서 상기 파지 수단을 선회하여 상기 파지 수단이 상기 지지 위치를 차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파지 수단이 결합되는 제어 수단의 제어 하에서 상기 지지 위치 내에 상기 파지 수단의 선회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파지 수단은 상기 그루브 내에서 방사 방향으로 위치한 제 2 선회 핀 상에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적용에서, 상기 타이어 측벽의 국부 위치 상에 있는 베어링을 상기 제 1 비드 내에서 종결시켜서, 상기 국부 공간을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적용에서, 상기 타이어를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파지 수단이 상기 국부 추출 위치를 차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적용에서, 상기 타이어와 상기 림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적용에서, 상기 제 1 비드의 상기 내부면은 L 형태의 만곡 러그의 평평한 면인, 상기 타이어 외주 상의 다른 지점에 삽입되며, 상기 타이어와, 상기 림 및 상기 파지 수단은 상기 러그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6. 제 1 항에 따른 방법의 상기 추출 단계에서 사용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플랫폼의 회전축에 대해서 직각인 상기 타이어를 구비한 상기 림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과 플랫폼 및 상기 제 1 비드의 내면 상에서 지지되는 파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파지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플랫폼의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도록 제 1 선회 핀 상에 선회 장착되며, 여기에서 상기 파지 수단은 로드를 통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고 또한 상기 플랫폼의 평면에 대해서 평행한 제 2 선회 핀 상의 상기 파지 수단의 선회를 제어하도록 제공된 제어 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선회 핀 상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수단은 상기 제 1 핀 상에서 선회 작동되는 아암을 구비하여, 상기 파지 수단이, 레그가 상기 아암에 의해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y" 형태의 경사진 브랜치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선회 핀은 상기 파지 수단의 자유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아암의 한쪽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수단은 상기 제 1 선회 핀의 중심 위치 설정을 허용하는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수단은, 곡률 반경이 대략 최대가 되는 상기 파지 수단의 중심부에 경사진 측면 에지와 테이퍼진 자유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상에서 지지되는 핑거를 구비하며, 상기 핑거는 파지 수단과 대향하는 상기 파지 수단의 상기 아암의 측면을 따라서 장착되며, 또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어 수단을 상기 추출 위치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 및/또는 상기 아암 및/또는 상기 핑거는 각각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잭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장치.
KR1019990056462A 1998-12-11 1999-12-10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00048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5729 1998-12-11
FR9815729A FR2787063A1 (fr) 1998-12-11 1998-12-11 Procede de montage d'un pneumatique sur une jant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ne etape de ce proce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067A true KR20000048067A (ko) 2000-07-25

Family

ID=953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462A KR20000048067A (ko) 1998-12-11 1999-12-10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40994B1 (ko)
EP (1) EP1008467B1 (ko)
JP (1) JP2000177343A (ko)
KR (1) KR20000048067A (ko)
CN (1) CN1159164C (ko)
AT (1) ATE236025T1 (ko)
BR (1) BR9905815A (ko)
CA (1) CA2291872C (ko)
DE (1) DE69906458T2 (ko)
ES (1) ES2196705T3 (ko)
FR (1) FR27870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901B1 (ko) * 2002-10-30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자동 서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7063A1 (fr) * 1998-12-11 2000-06-16 Michelin Soc Tech Procede de montage d'un pneumatique sur une jant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ne etape de ce procede
FR2840563A1 (fr) 2002-06-10 2003-12-12 Michelin Soc Tech Procede de montage sur une jante d'un pneumatique pourvu d'un appui de securite et unite de montag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20050173037A1 (en) * 2002-06-10 2005-08-11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Method and unit for mounting on a rim a tire provided with a safety support
US7044188B2 (en) * 2003-06-12 2006-05-16 Dürr Systems, Inc. Apparatus for mounting and inflating a tire and wheel assembly
ITMO20070350A1 (it) * 2007-11-21 2009-05-22 Giuliano Spa Macchina per il montaggio e lo smontaggio di pneumatici di ruote per veicoli
US8973640B1 (en) 2010-12-07 2015-03-10 Hunter Engineering Company Demount tool assembly and methods for automated tire changer machine
CN110722921B (zh) * 2019-10-29 2022-08-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轮式可移动设备的车轮和轮式可移动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3071A (en) * 1945-08-17 1949-03-01 Vanleirsberghe Leonard Lever actuated portable tire removing tool
KR930000067U (ko) * 1991-06-12 1993-01-20 주식회사 이멕스 팝콘기
FR2720977A1 (fr) * 1994-06-09 1995-12-15 Michelin & Cie Procédé de montage d'un ensemble formé d'un pneumatique et d'un appui de soutien de bande de roulement.
JPH0880715A (ja) * 1994-09-12 1996-03-26 Onodani Kiko Kk タイヤの着脱装置
KR980007125U (ko) * 1996-07-13 1998-04-30 최재영 오토바이용 타이어 탈리기
EP1008467A1 (fr) * 1998-12-11 2000-06-14 Société de Technologie Michelin Procédé de montage d'un pneumatique sur une jant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ne étape de ce procéd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2304A (en) * 1922-10-30 1924-01-29 George F Hoag Tire tool
FR587978A (fr) * 1924-09-29 1925-04-28 Appareil pour démonter rapidement et sans effort les enveloppes pneumatiques
CH399214A (fr) * 1963-10-15 1966-03-31 Furrer Ferdinand Appareil pour déjanter les pneumatiques de roues de véhicules
US3742999A (en) * 1971-07-14 1973-07-03 Fmc Corp Tire mounting and demoun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3071A (en) * 1945-08-17 1949-03-01 Vanleirsberghe Leonard Lever actuated portable tire removing tool
KR930000067U (ko) * 1991-06-12 1993-01-20 주식회사 이멕스 팝콘기
FR2720977A1 (fr) * 1994-06-09 1995-12-15 Michelin & Cie Procédé de montage d'un ensemble formé d'un pneumatique et d'un appui de soutien de bande de roulement.
JPH0880715A (ja) * 1994-09-12 1996-03-26 Onodani Kiko Kk タイヤの着脱装置
KR980007125U (ko) * 1996-07-13 1998-04-30 최재영 오토바이용 타이어 탈리기
EP1008467A1 (fr) * 1998-12-11 2000-06-14 Société de Technologie Michelin Procédé de montage d'un pneumatique sur une jant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ne étape de ce procéd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901B1 (ko) * 2002-10-30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자동 서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36025T1 (de) 2003-04-15
DE69906458D1 (de) 2003-05-08
CA2291872A1 (fr) 2000-06-11
EP1008467A1 (fr) 2000-06-14
DE69906458T2 (de) 2003-12-24
CN1259445A (zh) 2000-07-12
JP2000177343A (ja) 2000-06-27
US6240994B1 (en) 2001-06-05
FR2787063A1 (fr) 2000-06-16
CA2291872C (fr) 2007-06-12
CN1159164C (zh) 2004-07-28
EP1008467B1 (fr) 2003-04-02
ES2196705T3 (es) 2003-12-16
BR9905815A (pt) 2000-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1351B2 (ja) 乗物の車輪のタイア着脱用機械
KR20000048067A (ko) 림 상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 및 장치
EP1714807A1 (en) Tool for automatical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a tyre to/from a wheel rim
JPH05192727A (ja) 金属容器をネッキング加工する方法
US7261135B2 (en) Method for mounting a tire on a rim
US20100288445A1 (en) Tool for tire uninstalling and installing machines
USRE40335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disassembling a flexible ring to in or from a tired wheel
US7712510B2 (en) Tire installation tool
US47022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pneumatic vehicle tires
EP01754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a pneumatic tyre around a wheel rim
US5852873A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rotationally symmetrical part
JP2000177343A5 (ko)
US4093015A (en) Method of mounting large pneumatic tires
JP2000225819A (ja) 特殊タイヤ取付け・取外し用機械
EP0637505A1 (fr) Procédé et machine de confection de pneumatiques
JPH0716950A (ja) 遠心力付加により延伸した環状タイヤトレッド及びタイヤカーカスの組立て方法と装置
EP0747189B1 (en) Tyre vulcanising mould
KR20050014003A (ko) 안전 지지부를 구비한 타이어를 림에 장착하는 방법 및장착 유닛
JPH03205140A (ja) キャンバリング段でタイヤ粗材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
US20080251176A1 (en) Method and unit for mounting on a rim a tire provided with a safety support
EP0174421B1 (fr) Procédé de montage d'une enveloppe de pneumatique sur une jante
US5188846A (en) Tire innerstitching mold
JPH08175134A (ja) タイヤのフィッティング処理装置
US6907913B1 (en) Tire mounting device and method
JP3520479B2 (ja) カール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