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282A -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282A
KR20000047282A KR1019980064075A KR19980064075A KR20000047282A KR 20000047282 A KR20000047282 A KR 20000047282A KR 1019980064075 A KR1019980064075 A KR 1019980064075A KR 19980064075 A KR19980064075 A KR 19980064075A KR 20000047282 A KR20000047282 A KR 20000047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gloss
pcm
coating composi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4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욱
이진형
진창일
이준호
Original Assignee
김충세
고려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세, 고려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세
Priority to KR1019980064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7282A/ko
Publication of KR2000004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28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산가가 높은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고밀도 가교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도막의 광택이 우수하면서도 박막화가 가능하여 종래 방법에 비해 경제적이며, 고온에서도 크랙(crack)이 발생하지 않아 도막의 경도, 광택 및 선영성이 우수한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
본 발명은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산가가 높은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고밀도 가교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도막의 광택이 우수하면서도 박막화가 가능하여 종래 방법에 비해 경제적이며, 고온에서도 크랙(crack)이 발생하지 않아 도막의 경도, 광택 및 선영성이 우수한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전용 강판제품은 피시엠(PCM, pre-coated metal)강판 및 분체 도장 강판을 도장한 후에 가공하는 피씨엠용 강판과 이와는 반대로 상기 피시엠 강판 및 분체 도장 강판을 가공한 후에 도장하는 분체도장 강판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냉기 도어 및 가전 외판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가전용 강판제품의 고급화 추세 및 소비자의 수준 향상으로 기존 단색 톤의 피시엠 및 분체 도장 패널 방식으로는 더 이상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 기존의 단색 피시엠 도료 도장 및 분체 도장을 잉크 인쇄로 대체하여 색상 차별화와 광택을 개선시킨 피시엠 라미네이팅(Laminating)도장 방식이 도입되었고, 상기 피시엠 라미네이팅 도장 방식은 현재 전체 냉기 도어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피시엠 도장 방식으로 철판에 부착된 라미네이트는 필름 자체에 이미 잉크가 인쇄되어 있어서 인쇄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도료 도장 시스템에 비하여 광택이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은 접착제만으로 부착이 이루어지므로 도료에 비하여 소재와의 밀착성, 내식성 및 내수성 등이 불량하여 가전용 제품으로서의 주요 물성에 있어서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은 건조 도막 두께가 150 ∼ 160㎛로서, 도료 도장 시스템의 건조 도막 두께인 30 ∼ 40㎛과 비교하여 단위 면적당 가격 상승폭이 10배 이상으로 크게 작용함에 따라 비경제적이며, 라미네이트 필름 자체에 이미 잉크가 인쇄되어 있어 도장 업체 및 가전 업체에서의 독자적인 디자인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장 라인에 잉크 인쇄가 가능한 시설을 설치하고 웨트-온-웨트(Wet-On-Wet)방식으로 투명 도료를 도장하는 4-코팅 3-베이킹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본 방법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 방식과 비교하여 박막 도장이 가능하고 하도도료/베이스도료/잉크/투명도료 시스템의 도입으로 도막 물성이 향상되며 가격 면에서도 저렴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아크릴 타입의 투명 도료가 박막으로 도장됨에 따라 라미네이트 필름에 비해 광택, 선영성 및 잉크의 선명성 등에 있어 품질 수준이 현격히 떨어지며 가공성 또한 불량하여 사용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산가가 높은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고밀도 가교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도막의 광택이 우수하면서도 박막화가 가능하고, 종래 방법에 비해 경제적이며 투명 도료만으로 경도 저하, 광택 저하 및 선영성 저하 등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교제, 용제, 경화산촉매 및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는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수평균분자량 2,500 ∼ 9,000, 수산가 30 ∼ 100, 산가 2 ∼ 15, 유리전이온도(Tg) 40 ∼ 100℃인 브렌치타입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수평균분자량 20,000 ∼ 30,000, 수산가 5 ∼ 10, 산가 1 ∼ 3인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전체 도료 조성물 중에 각각 25 ∼ 55 중량% 및 5 ∼ 15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올과 다염기산을 모노머로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수밀도가 높아 고광택이며 내오염성이 매우 우수하고 가공시에 크랙(crack)의 발생이 거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수평균분자량이 2,500 ∼ 9,000이고 수산가가 30 ∼ 100이며, 산가가 2 ∼ 15이고 유리 전이온도(Tg)가 40 ∼ 1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가공성 및 선영성이 저하되고, 상기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가와 산가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고온 단소부시 급격한 경화로 인해 외관이 불량해지고 파핑(popping)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온도(Tg)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도막의 경도 및 가공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전체 도료조성물중에 25 ∼ 55 중량%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상기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이면 도장 작업시 도막 두께의 조절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도장의 막이 지나치게 박막화되어 투명 도료의 도장감이 현격하게 저하되고, 함량이 5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도장 작업에 필요한 점도 및 가교제의 조절이 곤란하여 평활성과 소포성이 불량하여지고 파핑(popping)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시판중인 상기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예로는 휼스사의 LH-727과 토요보사의 GK-130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강판의 온도 증가에 따른 가공 부위의 크랙(crack)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원료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수평균분자량이 20,000 ∼ 30,000이고 수산가가 5 ∼ 10이며 산가가 1 ∼ 3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가공성 및 선영성이 저하되고, 상기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가와 산가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고온 단소부시 급격한 경화로 외관이 불량해진다. 또한, 상기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전체 도료 조성물 중에 5 ∼ 15 중량%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상기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온도 상승에 따른 크랙이 발생하게 되고,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도막의 경도와 약품성 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시판중인 상기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예로는 휼스사의 LH-415와 L-206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조된 수지의 평활성 및 소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크릴모디파이드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교제로는 멜라민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존의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의 가교제는 고온 소부형의 투명 도료에서 황변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멜라민 수지로는 부톡시 멜라민 수지 또는 메톡시멜라민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부톡시 멜라민 수지가 고온 단소부시 반응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메톡시 멜라민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시판중인 상기 가교제의 예로는 사이텍사의 Cymel-303 등이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는 전체 도료 조성물 중에 5 ∼ 20 중량%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상기 멜라민 수지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내오염성 및 경도가 저하되며,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가공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제로는 방향족탄화수소계 용제 , 글리콜에스테르계 용제,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알콜계 용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시판중인 상기 방향족탄화수소계 용제로서 코코졸(KOKOSOL)#100, 코코졸(KOKOSOL)#150(유공) 등이 있으며, 상기 글리콜에스테르계 용제로는 에틸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유니온카바이드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로는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유니온카바이드사), 에틸렌글리콜 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를 등이 있으며, 알콜계 용제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n-butanol), 아밀알콜, 사이클로헥산올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제가 전체 도료 조성물 중에 25 ∼ 60 중량%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상기 용제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이면 외관이 저하되고, 함량이 6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도장 작업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중 상기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및 방향족탄화수소계 용제를 과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잉크용 수지에 대한 적합성은 양호하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용해력이 부족하여 도료의 평활성이 불량하게 되고, 심할 경우 도막의 광택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글리콜에스테르계 용제를 과량으로 사용할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용해력이 증가함으로써 도료의 평활성은 우수하지만, 잉크용 수지가 분해되어 잉크에 포함된 미카(Mica) 및 펄 입자가 부유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경화 산촉매는 도막의 경화 속도를 조절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화 산촉매로 p-톨루엔술폰산, 디노닐디나프탈렌 술폰산, 디나프탈렌디술폰산 및 플로로술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화 산촉매를 전체 도료 조성물 중에 0.01 ∼ 2 중량%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상기 경화 산촉매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경화 미흡으로 내오염성 및 경도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고, 함량이 2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도막 형성시 파핑이 발생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첨가제는 작업성 향상, 잉크의 미카(Mica) 및 펄 입자의 부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원료로서, 본 발명에서는 크레이계, 아마이드 왁스계, 흄 실리카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첨가제를 전체 도료 조성물에 대하여 0.1 ∼ 1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막 평활성을 유지하고 도장 작업시 소포성 향상을 위해서는 아크릴계나 비닐계, 실리콘계 첨가제를 0.1 ∼ 1.0 중량%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만일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도막 평활성과 소포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상기 첨가제의 예로는 L-1984, AP-30(디스파론사), BYK356, BYK410(BYK사)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기 도료조성물을 메탈 최고 도달 온도(MPT, Metal Peak Temperature) 216 ∼ 232℃의 온도에서 30 ∼ 60초 동안 소부하여 폴리에스테르계 투명 도료를 제조하는데, 만일 반응 온도와 반응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현장 작업성이 불량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LH-775(1.0g, 휼스사)를 틴캔에 넣고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2.0g)를 첨가한 뒤 충분히 교반시켰다. 상기 용액에 에어로질(0.4g, Aerosil R-972, Deggusa)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교반하였고, 교반이 완료되면 직경 2 ∼ 3mm 크기의 유리 비드를 넣고 쉐이크형 분산기로 2 ∼ 3시간 충분히 분산시켰다(이때, 상기 분산은 그라인드게이지로 측정하여 5㎛ 이하로 분산되었을 때 종료하였다). 상기 용액에 LH-775(29g) 및 LS-415(20g)을 첨가하고, 여기에 다시 멜라민 (8g),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10g),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4.7g) 및 코코졸#100(22g)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시켰다. 상기 용액에 L-1984(1.0g)과 AP-30(1.0g)을 투입하여 교반시키고, 여기에 산촉매인 DNNSA(0.9g)를 첨가하며 교반시켰다. 이 결과 투명 도료를 100g 얻었다.
실시예 2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GK-130(0.5g, 토요보사)을 틴캔에 넣고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3.0g) 첨가한 뒤 수지가 충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교반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에어로질(0.4g)을 투입한 후 충분히 분산시켰다. 상기 용액에 GK-130(39.5g)을 첨가하고, 여기에 다시 코코졸#100(16g)과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6g)를 첨가하여 충분히 녹인 다음, 멜라민(8.2g),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3g) 및 디에틸렌글리콜 부틸 에테르(0.5g)를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BYK-356(1.0g)과 BYK-410(1.0g)을 투입하고 마지막 단계로 산촉매인 DNNSA(0.9g)를 투입하며 교반하였다. 이 결과 투명 도료를 100g 얻었다.
비교예 1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GK-130(0.5g, 토요보사)을 틴캔에 넣고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3.0g)를 첨가하여 수지가 충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에어로질(0.4g)을 투입하고 충분히 분산시켰다. 상기 용액에 GK-130(39.5g)을 첨가하고 자이렌과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9g)를 투입하여 충분히 녹인 다음, 멜라민(8.0g),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4.7g) 및 자이렌(17g)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시켰다. 상기 용액에 L-1984(1.0g), AP-30(1.0g)을 투입하여 교반시켰고, 마지막 단계로 산촉매인 DNNSA(0.9g)를 투입하며 교반하였다. 이 결과 투명 도료를 100g 얻었다.
비교예 2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 LH-415(1.0g, 휼스사)를 틴캔에 넣고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2.0g)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였다. 교반이 완료되면 상기 용액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에어로질(0.4g)를 투입하여 충분히 분산시켰다. 상기 용액에 LH-415(84g)와 멜라민(6.8g),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1.0g) 및 코코졸#100(2.0g)을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BYK-356(1.0g)과 BYK-410(1.0g)을 투입하여 교반하였고, 마지막 단계로서 상기 용액에 DNNSA(0.8g)를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이 결과 투명 도료를 100g 얻었다.
비교예 3
아크릴 타입의 수지 Cargill 17-0116 (1.0g, Cargill사)에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2.0g)를 넣고 충분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에어로질 (0.4g)을 투입한 후 충분히 분산시켰다. 상기 용액에 Cargill 17-0116(68g)을 첨가하고 멜라민(10g),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2g),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9.6g) 및 코코졸#100(5.0g)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L-1984(1.0g), AP-30 (1.0g)를 투입하고 교반하였고, 마지막 단계로 DNNSA(1.0g)를 서서히 투입하며 교반시켰다. 이 결과 투명 도료를 100g 얻었다.
실험예
시험시편의 제조
0.6 T의 EGI강판을 메틸에틸케톤으로 탈지하고, 폴리에스테르 타입의 하도를 건조 도막 두께 5㎛가 되도록 바코터로 도장한 뒤 소부하고, 여기에 폴리에스테르 타입의 상도를 건조 도막 두께 20㎛가 되도록 도장하고 소부하였다. 분자량 1500 ∼ 2000, 수산가 5 ∼ 10의 하이폴리머폴리에스테르를 바인더로 사용하고, 색상안료와 펄안료를 포함한 잉크를 습도막 두께 2㎛로 도장한 즉시, 웨트-온-웨트(Wet-On-Wet)로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한 각각의 도료와 라미네이트 필름(비교예 4)을 건조 도막 두께 10 ∼ 12㎛가 되도록 도장하고, 250℃에서 45초간 소부하여 물성시험 시편을 작성하였다. 도장전 상기 도료는 도장점도(포드컵 No.4, 25℃에서 70초)로 희석하여 바코터로 도장하였다.
도막물성측정
실시예 1 ∼ 2 , 비교예 1 ∼ 3 및 라미네이트 필름의 도막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 방법].
1. 광택.
60°광택기(BYK-GARDNER사)을 이용하여 광도를 측정하였다.
2. 경도.
미쯔비시(Mit-Bit Uni)연필로 도막 경도 시험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3. 가공성.
시편을 T-bending 시험후 도막의 상태 관찰하여 크랙(crack)이 발생하지 않는 벤딩수를 비교하였다.
4. 2차 물성.
시편을 98℃의 물에 1시간 처리한 뒤 각각의 물성을 시험하였다.
5. 부착성.
1mm 간격으로 도막을 가로세로 100칸으로 자른(cross-cutting)후, 가볍게 두들겨서(Taping) 박리되지 않고 남아있는 도막의 수를 비교하였다.
6. 매직 오염성.
도막에 적 청 흑의 유성매직으로 표지하고 자일렌, 이소프로판올로 닦은 뒤, 표지 자국의 흔적 유무를 평가하였다(◎: 우수, ○: 양호, ×: 불량).
7. 잉크의 부유.
잉크의 유무에 따른 광택차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우수, ○: 양호, × : 불량).
8. 도막 경화도.
시편을 메틸에틸케톤(MEK)을 적신 마포로 마찰시켜 도막이 박리되는 횟수를 비교하였다.
9. 내알칼리성.
5%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도막면에 떨어뜨리고 수용액이 증발되지 않도록 두껑을 씌운 뒤, 25℃의 온도에서 48시간이 경과한 후 도막면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이상없음, ○: 광택저하, ×: 부풀음 발생).
10. 내초산성.
5%의 아세트산 수용액을 도막면에 떨어뜨리고 수용액이 증발되지 않도록 두껑을 씌운 뒤, 25℃의 온도에서 48시간이 경과한 후 도막면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 이상없음, ○: 광택저하, ×: 부풀음 발생).
11. 내용제성.
시편을 25℃의 온도에서 자일렌에 24시간 침적시킨 후, 도막의 광택과 상태를 평가하였다(◎: 이상없음, ○: 광택저하, ×: 도막박리).
12. 가공후 비등수성.
강판의 온도변화에 따른 크랙 발생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편을 3T-BENDING한 뒤 100℃의 비등수에 1시간 침적시킨 후, 가공부위의 도막 상태를 비교하였다
(◎: 이상없음, ○: 미세 크랙 발생 , ×: 도막 박리).
13. 가 격.
강판의 단위 면적당 도장비를 상대 비교 하였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LH7751 30.0 - - - - 라미네이트필름
GK1302 - 40.0 40.0 - -
LS4153 20.0 20.0 - 85.0 -
아크릴 수지4 - - - - 69.0
가교제 Cymel 3035 8.0 8.2 8.0 6.8 10.0
용제 에텔렌글리콜부틸에테르 12.0 12.0 12.0 2.0 4.0
22.0 16.0 - 2.0 4.0
코코졸 #100
다이에텔렌글리콜 부틸에테르 4.7 0.5 4.7 1.0 9.6
자일렌 - - 32.0 - -
첨가제 Aerosil R∼9726 0.4 0.4 0.4 0.4 0.4
L∼19847 1.0 - 1.0 - 1.0
AP∼308 1.0 - 1.0 - 1.0
BYK3569 - 1.0 - 1.0 -
BYK41010 - 1.0 - 1.0 -
촉매 DNNSA11 0.9 0.9 0.9 0.8 1.0
총량 100.0 100.0 100.0 100.0 100.0
주식회사* : 라미네이트 필름1. LH-775 : 미국 휼스사 제품, 고형분 55 중량%2. GK-130 : 일본 토요보사 제품, 고형분 100 중량%3. LH-415 : 미국 휼스사 제품, 고형분 40 중량%4. 아크릴수지 : 미국 Cargill사제품, 제품번호 17∼0116 ,고형분 50 중량%5. Cymel-303 : 미국 사이텍제품의 메틸화멜라민 수지, 고형분 98 중량%6. Aerosil R-972 : 미국 Degussa제품의 흄 실리카7. L-1984 : 일본국 DISPALON사 제품의 첨가제8. AP-30 : 일본국 DISPALON사 제품의 첨가제9. BYK356 : BYK사 제품의 첨가제10. BYK410 : BYK사 제품의 첨가제11. DNNSA : 디노닐나프탈렌술폰산 10중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조성물은 수산가가 높은 브렌치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고밀도 가교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도막의 광택이 우수하면서도 박막화가 가능하고 종래 방법에 비해 경제적이며 투명 도료만으로 경도 저하, 광택 저하 및 선영성 저하 등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유용하다.

Claims (3)

  1.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교제, 용제, 경화산촉매 및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는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수평균분자량 2,500 ∼ 9,000, 수산가 30 ∼ 100, 산가 2 ∼ 15, 유리전이온도(Tg) 40 ∼ 100℃인 브렌치타입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수평균분자량 20,000 ∼ 30,000, 수산가 5 ∼ 10, 산가 1 ∼ 3인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전체 도료 조성물 중에 각각 25 ∼ 55 중량% 및 5 ∼ 15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로는 부톡시 멜라민 또는 메톡시 멜라민이 전체 도료 조성물 중에 5 ∼ 20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산촉매는 p-톨루엔술폰산, 디노닐디나프탈렌 술폰산, 디나프탈렌디술폰산 및 플로로술폰산 중에서 선택된 것이 전체 도료 조성물 중에 0.01 ∼ 2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
KR1019980064075A 1998-12-31 1998-12-31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 KR20000047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4075A KR20000047282A (ko) 1998-12-31 1998-12-31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4075A KR20000047282A (ko) 1998-12-31 1998-12-31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282A true KR20000047282A (ko) 2000-07-25

Family

ID=1957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4075A KR20000047282A (ko) 1998-12-31 1998-12-31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72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093A (ko) * 1999-12-31 2001-07-06 김충세 고경도 및 고가공성의 피.씨.엠.용 도료 조성물
KR20150114086A (ko) * 2014-03-31 2015-10-12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텔레비젼 방열판용 알루미늄 도장강판의 피씨엠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늄 도장강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0975A (ja) * 1983-05-13 1984-11-29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塗料用樹脂組成物
JPS61271359A (ja) * 1985-05-27 1986-12-01 Nissan Motor Co Ltd 塗料用樹脂組成物
US4734467A (en) * 1985-04-12 1988-03-29 Nippon Paint Co., Ltd. Coil coating paint composition
EP0328711A1 (en) * 1986-08-29 1989-08-2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ductive primer composition
KR19980059115A (ko) * 1996-12-30 1998-10-07 김충세 폴리에스테르 도료 조성물
KR100411714B1 (ko) * 1995-12-30 2004-05-31 고려화학 주식회사 저온소부형피씨엠(pcm)용폴리에스터도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0975A (ja) * 1983-05-13 1984-11-29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塗料用樹脂組成物
US4734467A (en) * 1985-04-12 1988-03-29 Nippon Paint Co., Ltd. Coil coating paint composition
JPS61271359A (ja) * 1985-05-27 1986-12-01 Nissan Motor Co Ltd 塗料用樹脂組成物
EP0328711A1 (en) * 1986-08-29 1989-08-2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ductive primer composition
KR100411714B1 (ko) * 1995-12-30 2004-05-31 고려화학 주식회사 저온소부형피씨엠(pcm)용폴리에스터도료조성물
KR19980059115A (ko) * 1996-12-30 1998-10-07 김충세 폴리에스테르 도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093A (ko) * 1999-12-31 2001-07-06 김충세 고경도 및 고가공성의 피.씨.엠.용 도료 조성물
KR20150114086A (ko) * 2014-03-31 2015-10-12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텔레비젼 방열판용 알루미늄 도장강판의 피씨엠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늄 도장강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7867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基体のためのインク
US5051473A (en) Automotive coating compositions
US4076766A (en) Flexible thermosetting acrylic enamels
CN109468029B (zh) 一种水性卷钢涂料面漆及其制备方法
WO1996034063A1 (fr) Composition de revetement, procede d'elaboration de cette composition et procede d'elaboration d'une dispersion de sol d'oxyde inorganique
KR101432175B1 (ko) 피씨엠 컬러강판 제조용 피씨엠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톤매트형 컬러강판
WO2011066712A1 (en) Coatings for ceramic substrates
KR100195757B1 (ko) 유기-무기 복합 금속 표면 피복제 조성물
GB2074588A (en) Acrylic coating compositions
EP1835000A1 (en) Aqueous binders for coatings with improved gloss
KR100484292B1 (ko) 폴리에스테르도료조성물
KR20000047282A (ko) 고광택 피씨엠용 폴리에스테르 투명 도료 조성물
TW201728611A (zh) 具有優異的耐熱性與溶劑溶解度之聚酯樹脂及包含其之塗覆組成物
JPH05309324A (ja) 優れた引っ掻抵抗性および耐衝撃性を有する塗装した鋼板
KR100892586B1 (ko) 해머톤 무늬를 갖는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4044167B2 (ja) 塗料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塗装金属板
KR20010061957A (ko) 페인트 조성물
JP3403244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塗料組成物
KR20170132555A (ko) 크롬 코팅 표면에 적용되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3876B1 (ko) 원코팅용 피씨엠 도료 조성물
KR100195759B1 (ko) 유기-무기 복합 금속 표면 피복제 조성물
US11292287B2 (en) Decal for producing a decoration
WO2020184792A1 (ko) Pcm 칼라강판용 불연성 도료 조성물
JP2002146280A (ja) 意匠性塗料組成物
JPH02255871A (ja) 水性つや消し塗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