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098A -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098A
KR20000036098A KR1019997002117A KR19997002117A KR20000036098A KR 20000036098 A KR20000036098 A KR 20000036098A KR 1019997002117 A KR1019997002117 A KR 1019997002117A KR 19997002117 A KR19997002117 A KR 19997002117A KR 20000036098 A KR20000036098 A KR 2000003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hyaluronic acid
hyaluronate
cobalt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9494B1 (ko
Inventor
일레즈야노스
네즈멜라이에르즈세벳
스테프코벨라
부르거칼만
Original Assignee
바스 아담, 그레이너 이스트반
리크터 게데온 베게스제티 기야르 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 아담, 그레이너 이스트반, 리크터 게데온 베게스제티 기야르 알티. filed Critical 바스 아담, 그레이너 이스트반
Publication of KR2000003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미생물 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아연 또는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를 약학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및/또는 기타 첨가제와의 혼합물로서 함유한다.

Description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현재, 히알루론산의 결합체 (복합체), 즉 아연 및 코발트 히알루론산염은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이들은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에 대해 양호한 항균 및 살진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헝가리 특허 명세서 제 203,372 호에는 주기율표 제 4 주기의 3 d 금속 이온을 가지며, 특히 다리 궤양, 욕창 등에 치료 효과를 갖는 프로톤-제거된 히알루론산의 결합체, 예를 들면 아연 및 코발트 히알루론산이 개시되어 있다.
통상 나트륨염 형태로 발생하는 히알루론산으로 공지된 거대 분자는 50 년 이상 동안 공지되어온 화합물이다. 상기 화합물은 메이어 등 (Meyer el al) 에 의해 문헌 [J. Biol. Chem. 107, 629 (1934) ; J. Biol. Chem. 114, 689 (1939)] 에 최초로 소개되었다. 메이어는 산성 조건하에서 히알루론산을 분리해냈다. 그러나, 카르복실기는 생리학적 pH 값에서 분해된다 ; 또한 주위의 양이온이 나트륨인 경우, 상기 다당류의 명칭은 나트륨 히알루론산염이다. 구조의 측정은 바이스만 등 (Weissman et al) 에 의한 문헌 [J. Am. Chem. Soc. 76, 1753 (1954)] 에 따라서 수행되었다. 발라스 (Balazs) 에 의해 문헌 [The Biology of Hyaluronan 1989, John Wiley and Sons, Ciba Foundation Symposium, p. 143] 에 제안된 바와 같이, 주위의 양이온의 결정은 항상 간단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당류 (히알루론산 및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모두) 의 일반적 명칭은 히알루론산이다.
히알루론산은 β1-4 글루코사민 부분을 교대로 함유하는 고점성의 천연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이며, 분자량은 50,000 내지 수백만이다. 히알루론산은 모든 포유 동물의 연결 조직에서 발견된다 ; 이것은 피부, 눈의 유리체, 활액, 탯줄 및 연골 조직에서 고농도로 발생한다. 히알루론산의 발견은 오랜 숙원으로서, 예를 들면 미국 특허 명세서 제 4,141,973 호와 제 4,303,676 호 및 유럽 특허 명세서 제 0,144,019 호에 초순수 히알루론산의 분리 및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히알루론산과 상처 치료와의 관계에 대한 문헌들이 다수 알려져 있다. 툴르 및 그로스 (Toole and Gross) 에 의한 문헌 [B. P. Toole es Gross : "The extracellular matrix of the regenerating newt limb : synthesis and removal of hyaluronate prior to differentiation", Dev. Biol. 25, 55-57 (1971)] 에 따르면, 세포외 매트릭스의 주 성분인 히알루론산은 각종 유형의 세포의 이동에 관여한다. 상기 저자는 실험적인 연구에 의해, 상처-치료중에는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국소적으로 증가하여, 조직 재생에 요구되는 세포 반응이 자극을 받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외에, 또한 다른 실험 결과들은 히알루론산이, 조직 재생에 관여하는 모든 세포들의 이동 및 증식에 최적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상처-치료 생리적 세포 작업을 조절한다는 것을 입증해준다.
최근까지, 히알루론산은 치료 - 주로 안과, 피부과, 외과, 관절 치료 - 및 화장품에서 나트륨염으로 사용되어 왔다.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마그네슘, 알루미늄, 암모늄 및 치환된 암모늄 이온으로 형성된 히알루론산염은 약물의 흡수를 촉진하는 담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벨기에 특허 명세서 제 904,547 호). 이들중에서, 히알루론산의 중금속염, 즉 은 염은 살진균제로서 사용되는 반면, 금 염은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된다 (WO 87/05517). 그러나, 은 및 금 화합물은 면역 계통, 조혈 기관 및 신경 계통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헌 [M. Shinogi, S. Maeizumi : "Effect of preinduction of metallothionein on tissue distribution of silver and hepatic lipid peroxidation", Biol. Pharm Bull. (Japan) 16, 372-374 (1993) ; C. Masson 등 : Rev. Med. Inteme (France) 13, 225-232 (1992)]).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의 결합체 (복합체) 를 함유하는 항미생물 활성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히알루론산 결합체 (복합체) 의 용도 및 미생물-유도된 임상 상태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히알루론산 결합체, 즉 아연 및 코발트 히알루론산염이 상피-결핍체 표면의 상피화를 촉진시키고, 다리 궤양, 욕창성 궤양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며, 유의한 항미생물성, 더욱 구체적으로는 항균 및 살진균 효과를 보유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또한, 항균 활성내에서, 상기 화합물은 위 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의 발생 원인인 것으로 최근 알려진 헬리코박터 필로리 박테리아 (Helicobacter pylory bacteria) 에 대해서도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히알루론산 결합체의 항균 효과는, 지금까지 알려진 히알루론산 결합체의 상처-치료, 상피화-촉진 효과가 상처-치료중에 상술한 히알루론산의 체(body)-지지 작용에 기초를 둔다는 점에 의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놀라운 것으로 여겨지나, 히알루론산 결합체의 항미생물 효과는 이로부터 결정할 수 없다.
본 출원인의 연구에 따르면, 히알루론산의 아연 및 코발트 결합체는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스트렙토코쿠스 에스피. (Streptococcus sp.),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Pseudomonas aeruginosa), 살모넬라 에스피. (Salmonella sp.), 이. 콜리 (E. coli) 및 헬리코박터 필로리 (Helicobacter pylori) 와 같은 호기성 또는 혐기성 박테리아에 대해 매우 활성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는 눈 감염에 관련되는 2 가지 유형의 박테리아이기 때문에, 히알루론산염 복합체가 이들 두 미생물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며, 안과에서 상기 히알루론산 결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망한 것으로 여겨진다.
안과에서의 나트륨 히알루론산염의 안내 사용은 공지되어 있다. 1980 년 이래로, 이것은 백내장 수술, 인공 렌즈 이식, 각막 이식의 경우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앞 챔버에 투여하는 경우, 이것은 수술 동안에, 민감한 조직 및 세포의 붕괴를 억제하고 보호한다. 수술에 사용한 후에, 나트륨 히알루론산염은 눈으로부터 세척 제거하여, 몇몇 경우에 발생하는 안내 압력의 상승을 피하도록 한다.
나트륨 히알루론산염은 또한 "건조한 안구"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된다 (문헌 [F. M. Polack 등 : "The treatment of dry eyes with Na-hyaluronate", Cornea, 133-136 (1982)]).
눈 감염의 국소적 항균 치료는 본 발명의 결합체의 또다른 중요한 사용 분야이다.
아연 및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결합체는 항균 효과에 기인하여, 안과 치료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 주로, 아연 히알루론산염이 상기 분야에서 매우 유망한 것으로 보인다. 아연 히알루론산염은 윤활 효과외에도, 안과에서 국소 항균제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 그러나, 이것은 또한 항균 효과로 인해, 1980 년 이래로 안구내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온 나트륨 히알루론산염의 경쟁 물질로서 안구 수술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가벼운 염증 반응의 발생을 억제하고 (문헌 [K. L. Goa 등 : "Hyaluronic Acid, a Review of its Pharmacology and Use", Drugs 47, 536-566 (1994)]), 수술중에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필수적인 미량의 원소인 아연의 눈내에서의 역할은 오랜 기간 동안 인식되어 왔다 (문헌 [D. A. Newsome, R. J. Rothman : "Zinc uptake in vitro by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um", Invest. Ophthalmol. Vis. Sci. 28, 795-799 (1987)]. 아연 히알루론산염은 이를 사용함으로써, 눈 수술시 발생할 수 있는 아연의 감소를 피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즉, 다중 음이온으로서의 히알루론산은 수술후 세척 제거에 의해 양이온들을 떨쳐버릴 수 있다. 배위 결합을 통해 히알루론산염에 결합되는 아연은 눈내에서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은 아연 히알루론산염을 사용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눈의 박테리아 오염은 건강에 심각한 문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빈번한 오염균은 스타필로코쿠스 그룹이다. 빈도가 보다 적은 오염균은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이나, 이또한 눈에는 매우 위험하다. 이들 박테리아에 의한 눈의 감염은 24 내지 48 시간내에 완전한 실명을 야기할 수 있다. 눈의 감염은 종종 오염된 안과 용액 (안약, 콘택트 렌즈의 저장액 등) 에 의해서도 유발된다. 이러한 오염된 안과 용액은 진찰실, 개인 병원, 및 가장 빈번하게는 집에서 사용시에 발생한다. 오염성 미생물은 가장 빈번하게는 스타필로코쿠스 그룹에 속한다 ; 그러나, 덜 빈번하지만 보다 위험한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는 또한 안과 용액중에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 (문헌 [Remington's Ophthalmic Preservatives, Chapter 86, 1588]). 따라서, 안과에서 아연 및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결합체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2 종의 미생물에 대한 강한 활성에 의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항미생물 효과는 미생물학 연구에 의해 입증되었다. 헝가리 특허 명세서 제 203,372 호에 의한 아연 히알루론산염 및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이러한 실험에 사용된 반면,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대조 용액으로서 제공되었다.
하기 실시예 1 은 0.5 %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제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 는 항상 중량/부피값을 의미한다.
0.5 %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하기 실시예에 따른 품질의 증류수로 희석시켜 0.1 또는 0.2 % 농축액을 각각 수득하였다.
실시예 1
0.5 %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 100 ㎖ 의 제조
상기 용액의 제조에 사용된 나트륨 히알루론산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분자량 : 1,000,000 dalton
단백질 함량 : 0.045 %
1 %
UV 흡수 : A : 0.085
257 ㎚
1 %
A : 0.050
280 ㎚
C→0
점도 : η = 17.25 dl/g
25 ℃
히알루론산 함량 : 99.3 %
살균 조건하에서, 전술한 작업을 수행하였다.
100 ㎖ 플라스크내에서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0.50 g 을 평량한 후, 2 배 증류수 (주사용 물, 피로겐-비함유, 살균됨) 로 제조한, 0.10 몰/ℓ 농도의 염화아연 용액 12.50 ㎖ 를 첨가하고, 2 배 증류수를 충전하여 상기 부피를 50 ㎖ 이하가 되게 한 다음, 하룻밤 동안 팽윤시키고, 이어서 진탕시켜 용해시킨 후, 2 배 증류수를 충전하였다. 구멍 크기 0.45 ㎛ 의 막 필터를 통해 상기 용액을 여과한 후, 0.50 % 아연 히알루론산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0.5 %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 100 ㎖ 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0.50 g 을 전술한 바와 같은 2 배 증류수 (주사용 물, 피로겐-비함유, 살균됨) 100 ㎖ 에 용해시켜 0.5 %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0.5 % 용액을 상기 품질의 증류수로 희석시켜 0.1 또는 0.2 % 용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험 1
0.2 % 아연 및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 (상기 실시예 1 및 2 에 따라서 제조한 0.5 % 용액을 희석하여 수득함) 을 각종 시험 유기물의 동일한 세균수에 의해 인위적으로 감염시키고, 세균의 수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플레이팅 방법에 의해 시간 단위로 세균의 수를 측정하였다. 곰팡이에서는 육안으로 평가하였고, 박테리아 및 진균에서는 자동 콜로니 계수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사용 배지 : 소야-카세인 세균 배양기 (Soya-casein agar) (Caso-agar/Merck/)
사용된 시험 유기물 : 국제 공중 위생 기관의 국제 균주 수집 협회 (HNCMB) 에 등록된 미생물
사용된 미생물 :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스트렙토코쿠스 에스피. (Streptococcus sp.)
에스케리키아 콜리 (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에스피. (Salmonella sp.)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아스페르길루스 니제르 (Aspergilus niger)
시험 유기물의 출발수 : Σ106/㎖
유사 시험수 : 3 회
사용된 용액 : 1 - 0.2 % 아연 히알루론산염 수용액
2 - 0.2 %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수용액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 에 제시하였다.
상기 표 1 및 2 에 제시한 결과로부터, 24 시간 후에는 항미생물 효과에 기본적인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0.2 %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조사된 시험 유기물 대다수에 대해 수십 단위의 감소를 유발하는 반면,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에서는 시험 유기물의 수가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실험 2
아연 히알루론산염의 항미생물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시험 시간을 다수 연장하여, 0.2 % 농도외의 농도를 갖는 용액에 대해 추가로 시험하였다. 3 개의 구별된 시험 유기물에 대한 0.1 % 아연 히알루론산염 및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 각각의 효과를 하기 표 3 에 제시하였다.
아연 히알루론산염에 의한 실험에서는 스타필로코쿠스 및 살모넬라 시험 유기물의 수가 48 시간내에 거의 0 으로 감소한 반면, 나트륨 히알루론산염에 의한 조사 결과는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에 대해서는 효과의 개시가 보다 늦으며, 2 일째부터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실험 3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의 안과에서의 중요성에 기인하여,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에 대한 각종 농도의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효과를 동일한 농도의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5 에 제시하였다.
상기 표의 결과로부터 유리한 상태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즉,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이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 보다 명백히 더욱 효과적이고, 0.1 %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0.2 % 또는 0.5 %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과 동일한 활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외용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코발트 (II) 히알루론산염의 항균 효과를 연구하였다.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제조는 하기 실시예 3 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3
0.1 %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제조
100 ㎖ 플라스크내에서 상기 실시예 1 의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0.10 g 을 평량한 후, 2 배 증류수 (주사용 물, 피로겐-비함유, 살균됨) 로 제조한, 0.10 ㎖/ℓ 농도의 염화코발트 용액 2.50 ㎖ 를 첨가하고, 2 배 증류수를 충전하여 부피를 50 ㎖ 이하가 되게 하였다. 이것을 하룻밤 동안 팽윤시키고, 진탕시켜 용해시킨 후, 마지막으로 2 배 증류수를 충전하였다. 구멍 크기 0.45 ㎛ 의 막 필터를 통해 상기 용액을 여과한 후, 0.10 % 농도의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수득하였다.
실험 4
살모넬라 에스피 대신 이. 콜리 박테리아를 사용한 것외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미생물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 에 제시하였다.
상기 표 6 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상기 조사한 2 종의 시험 유기물에 대해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비교용의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측정 방법의 편차를 고려할 때 비활성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실험 5
아연 히알루론산염 결합체의 항균 효과는 나트륨 히알루론산염의 상응하는 값과 비교하여, 하기의 최소 억제 농도 (MIC) 및 항미생물 농도 (CID)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0.2 % 농도의 용액을 사용하여 MIC 및 CID 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은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 시험하고자 하는 물질로부터 일련의 희석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을 선택된 시험 유기물의 상응하는 희석액으로 인위적으로 감염시켰다. 적당한 온도에서 적절한 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그 농축물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최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최소 농도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값 (MIC 값) 또는 미생물의 소멸을 야기하는 값 (CID 값) 이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 에 제시하였다.
0.2 %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농도가 2,000 ㎍/㎖ 에서도 시험 유기물 모두에 대해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MIC 값은 측정할 수 없었다.
상기 표 7 로부터, 아연 히알루론산염의 MIC 값은 상기 화합물의 미생물학적 효과가 상당히 큼을 보여주며, 이는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보다 수십배 큼을 알 수 있다.
실험 6
히알루론산 결합체의 유망한 안과에의 사용 가능성은 조성물의 양호한 미생물학적 안정성, 즉 각종 미생물에 의한 적합한 내감염성을 필요로 한다. 안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나트륨 히알루론산염과 비교하여, 아연 및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심도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임의의 방부제를 사용하여 아연 히알루론산염을 함유하는 용액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지를 연구하였다.
이들 시험은 문헌 [USP XXII Edition (p. 1478), "Antimicrobial preservatives effectiveness"] 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시험하고자 하는 물질을 각종 시험 유기물에 의해 인위적으로 감염시키고, 콜로니-형성 유니트의 수의 변화를 시간의 함수로서 관찰한다. 시험 유기물로는 HNCMB 에 등록된 미생물을 사용하였다. 방부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각종 농도의 아연 및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레이팅 (플레이트-모울딩) 방법으로 샘플의 콜로니-형성 유니트의 수 (세균의 수) 를 측정하였다. 박테리아 및 진균에서는 자동 콜로니 계수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곰팡이에서는 각각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에 제시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3 개의 유사 샘플의 평균값 (단위 : 콜로니의 수/㎖) 을 의미한다.
상기 문헌 [USP XXII] 에 개시된 조건 및 일반적인 요구 조건에 따르면, 인위적인 감염에 의해 도입된 박테리아의 수가 14 일 동안에 99 % 감소하는 경우 ; 시험 유기물이 14 일 동안에도 번식하지 않는 경우 ; 및 28 일간의 연구 동안에 임의의 시험 유기물의 일시적 성장이 전혀 관측되지 않는 경우 각각에 대해 물질은 적절히 보존된다.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다 :
1. 0.1 %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미생물학적 안정성은 5 종의 유기물중 4 종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에스케리키아 콜리, 칸디다 알비칸스) 이 요구되는 소멸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28 일째에 샘플내에서 생존 세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음을 고려할 때, 상기 문헌 [USP XXII] 의 규정을 충족시킨다. 아스페르길루스 니제르는 규칙적이고, 심지어는 2 씩 감소함을 보여준다.
2. 0.2 %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미생물학적 안정성은 0.1 %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안정성과 비슷하므로, 이것은 문헌 [USP XXII] 의 규정을 충족시킨다.
3. 0.5 %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안정성은 예상대로 문헌 [USP XXII] 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킨다 ; 실제로, 상기 결과는 아연 히알루론산염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안정성이 향상됨을 보여준다.
4. 0.5 % 아연 히알루론산염 및 0.1 % 칼륨 소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용액의 안정성은 충분하지만, 상기 칼륨 소르베이트 방부제에 의해 상당히 (유의하게) 향상되지는 않는다.
5. 0.1 % 칼륨 소르베이트를 함유하는 0.5 %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또한 시험한 미생물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문헌 [USP XXII] 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킨다.
이들 결과로부터, 방부제의 존재하에서도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 보다 낮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나트륨 히알루론산염과는 반대로,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에는 방부제가 전혀 필요 없다는 매우 중요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용액은 손쉽게 감염되기 때문에 방부제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인식은 방부제가 종종 알레르기-유도 효과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방부제의 제거는 특히 안과에서의 아연 히알루론산염의 사용을 매우 유망하게 한다.
실험 7
코발트 히알루론산염의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하기 표 13 에 제시하였다.
상기 표로부터,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박테리아에 대한 0.1 %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미생물학적 안정성은 0.1 %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과 매우 유사하게 양호함을 알 수 있다.
거의 즉각적인 효과는 주입후에 나타남을 관측할 수 있다. 72 시간 후에, 살균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시험한 박테리아에 대한 코발트 히알루론산염의 효과는 그의 특성에는 변화가 있었으나, 항균 효과에는 변동이 없었다.
안과 및 피부과 외용 조성물 각각의 제조를 이하의 실시예에 기술하였다.
실시예 4
아연 히알루론산염을 함유하는 안약
0.1 % 아연 히알루론산염을 함유하는 안약 100 ㎖ 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에 기술한 나트륨 히알루론산염을 사용하여 안약을 제조하였다.
100 ㎖ 플라스크내에서 "purum pulvis" (순수한 분말) 품질의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0.10 g 을 평량한 후, 0.10 몰/ℓ 농도의 염화아연 용액 1.87 ㎖ 및 1.00 몰/ℓ 농도의 소르비톨 용액 27.50 ㎖ 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은 2 배 증류수로 제조하였다). 이어서, 2 배 증류수를 충전하여 부피를 50 ㎖ 이하가 되게 하였다. 이것을 하룻밤 동안 팽윤시키고, 진탕시켜 용해시킨 후, 2 배 증류수를 경계선 이하까지 충전하였다. 마지막으로, 막 필터 (구멍 크기 0.45 ㎛) 를 통해 상기 용액을 여과 제거하였다.
실시예 5
아연 히알루론산염을 함유하는 피부과 조성물
0.2 % 아연 히알루론산염을 함유하는 겔 100 g 의 제조
겔 제조에 사용된 나트륨 히알루론산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분자량 : 800,000 dalton
단백질 함량 : 0.094 %
1 %
UV 흡수 : A : 0.320
257 ㎚
1 %
A : 0.240
280 ㎚
C→0
점도 : η = 14.5 dl/g
25 ℃
히알루론산 함량 : 95.2 %
나트륨 히알루론산염 0.2 g 을 증류수 약 30 ㎖ 에 용해시킨 후, 0.1 몰 염화아연 용액 5.0 ㎖ 를 첨가하였다.
Carbopol 934 겔화제 (겔 형성제) 1.0 g 을 증류수 40 ㎖ 와 혼합하고, 1 내지 1.5 시간 동안 계속해서 교반하였다. 이것을 10 내지 12 시간 동안 팽윤시킨 후, 20 % 수산화나트륨 용액 1.0 ㎖ 를 첨가하였다.
상기 제조한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구멍 크기 0.45 ㎛ 의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겔에 부은 후, 증류수로 100 g 이하까지 충전시켰다.
상기 표 8 내지 12 에 제시한 안정성 연구의 버섯 및 곰팡이 종에 대해 수득한 양호한 결과는 아연 히알루론산염이 항균 효과외에도, 또한 유의한 항진균 효과를 보유함을 보여준다.
실험 8
헬리코박터 필로리 박테리아에 대한 상기 화합물의 효과는 또한 유사하게 커다란 중요성을 가진다. 이러한 효과에 근거하여, 상기 화합물은 위 및 십이지장 궤양의 발생의 치료 또는 예방, 및 주로 치료후의 재감염의 예방에 유용하다.
헬리코박터 필로리 박테리아에 대한 효과에 대한 연구
본 연구는 각종 궤양을 앓고 있는 환자의 위 생체검사 샘플로부터 배양한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주에 1.0 중량/부피% 의 아연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1 % De-Nol (콜로이드성 비스무스 아(sub)시트레이트) 용액을 참고 물질로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는 10 % 소 혈액을 보충한 아가 배지 (중성 배지) 를 사용하였다. 시험하고자 하는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플레이트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접종된 플레이트를 5 % 산소 및 7 내지 8 %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기체 분위기하에, 37 ℃ 에서 3 내지 5 일간 배양시켰다. 최소 억제 농도 (MIC) 값은 대조 플레이트상에서 잘 성장하는 박테리아의 증식을 전체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의 최소 농도로 고려하였다. 시험한 상기 균주에 대해 측정한 아연 히알루론산염 및 De-Nol 의 각각의 MIC 값을 하기 표 14 에 제시하였다.
상기 표에 제시한 결과로부터,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아연 히알루론산염의 생체외 활성은 치료에 사용되는 De-Nol 의 활성에 버금감이 분명하다. 이러한 사실은 De-Nol 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부작용 (독성 문제 ; 또한 이것의 섭취가 환자에게는 불유쾌함) 을 갖는 비스무스-함유 조성물인 반면, 아연 히알루론산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부작용을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고려할 만 하다.

Claims (12)

  1. 활성 성분으로서 아연 또는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를 약학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및/또는 기타 첨가제와의 혼합물로서 함유하는 항미생물 활성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아연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를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3. 활성 성분으로서 아연 또는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를 약학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및/또는 기타 첨가제와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약학 조성물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항미생물 활성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아연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를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방법.
  5. 항미생물 활성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아연 또는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의 용도.
  6. 항미생물 활성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아연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의 용도.
  7. 박테리아 및 진균 감염의 치료, 및 헬리코박터 필로리 (Helicobacter pylori)-유도된 위 및 십이지장 궤양의 치료를 위한 아연 및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결합체의 용도.
  8. 박테리아 및 진균 감염의 치료, 및 헬리코박터 필로리 (Helicobacter pylori)-유도된 위 및 십이지장 궤양의 치료를 위한 아연 히알루론산염 결합체의 용도.
  9. 치료에 효과적인 양의 아연 또는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를 단독으로 또는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또는 진균 감염, 및 헬리코박터 필로리 (Helicobacter pylori)-유도된 위 및 십이지장 궤양의 치료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1 종 이상의 유효 투여량의 아연 히알루론산염 결합체를 단독으로 또는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또는 진균 감염, 및 헬리코박터 필로리 (Helicobacter pylori)-유도된 위 및 십이지장 궤양의 치료 방법.
  11. 1 종 이상의 유효 투여량의 아연 또는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를 단독으로 또는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Helicobacter pylori)-유도된 위 및 십이지장 궤양의 치료후의 재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아연 또는 코발트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의 용도.
  12. 1 종 이상의 유효 투여량의 아연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를 단독으로 또는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Helicobacter pylori)-유도된 위 및 십이지장 궤양의 치료후의 재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아연 히알루론산염 결합체 (복합체) 의 용도.
KR10-1999-7002117A 1996-09-12 1997-09-11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KR100489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9602498A HU225329B1 (en) 1996-09-12 1996-09-12 Use of zinc or cobalt hyaluronate associate for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ntimicrobial activity
HUP9602498 1996-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098A true KR20000036098A (ko) 2000-06-26
KR100489494B1 KR100489494B1 (ko) 2005-05-16

Family

ID=8999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117A KR100489494B1 (ko) 1996-09-12 1997-09-11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348190B1 (ko)
EP (1) EP0964687B1 (ko)
JP (2) JP2001500860A (ko)
KR (1) KR100489494B1 (ko)
CN (1) CN1130204C (ko)
AT (1) ATE254922T1 (ko)
AU (1) AU4469197A (ko)
DE (1) DE69726457T2 (ko)
DK (1) DK0964687T3 (ko)
ES (1) ES2212131T3 (ko)
HU (1) HU225329B1 (ko)
PT (1) PT964687E (ko)
RU (1) RU2204394C2 (ko)
UA (1) UA66766C2 (ko)
WO (1) WO19980107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190B1 (ko) * 1997-04-29 2006-04-18 리크터 게데온 베게스제티 기야르 알티. 소화성궤양에 대한 아연 히알루로네이트의 사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1273D0 (en) 1996-10-11 1996-11-27 Cortecs Ltd Therapeutic method
ITPD980168A1 (it) * 1998-07-06 2000-01-06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Composizioni biocompatibili e biodegradabili comprendenti acido ialuronico e suoi derivati per il trattamento delle ulcere dell'appara
CA2359292A1 (en) * 1999-01-19 2000-07-27 Stericon, L.L.C. Hypertonic aqueous solutions of polybasic acid salts
GB0012487D0 (en) 2000-05-24 2000-07-12 Pfylori Limited Use of metal compounds to treat gastrointestinal infections
FI20011403A (fi) 2001-06-29 2002-12-30 Carbion Oy Menetelmä ja koostumukset vatsan sairauksien hoitoon
ES2609976T3 (es) * 2006-01-27 2017-04-25 Yale University Combinación de sal de cinc y agente anti-H. pylori como inhibidor de acción rápida de la secreción de ácido gástrico
US8512761B2 (en) 2006-01-27 2013-08-20 Yale University Fast acting inhibitor of gastric acid secretion
JP5095421B2 (ja) * 2006-02-10 2012-12-12 生化学工業株式会社 真菌増殖抑制剤
US20070212420A1 (en) * 2006-03-10 2007-09-13 Bausch & Lomb Incorporate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mprising polyanionic materials and zinc-based preservatives
ITMI20061132A1 (it) * 2006-06-13 2007-12-14 Sinclair Pharmaceuticals Ltd Composizioni topiche antimicrobiche comprendenti lattoferrina, acido ialuronico o suoi sali ed estratti vegetali
WO2008036855A2 (en) * 2006-09-21 2008-03-27 Alcon Research, Ltd. Self-preserved aqueou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WI394564B (zh) * 2006-09-21 2013-05-01 Alcon Res Ltd 自行保存型水性藥學組成物
CN101522171A (zh) 2006-09-28 2009-09-02 爱尔康研究有限公司 自身防腐的水性药物组合物
DK2254549T4 (da) * 2008-03-17 2019-07-22 Alcon Res Ltd Vandige farmaceutiske sammensætninger, indeholdende borat-polyolkomplekser
TWI544927B (zh) 2008-03-17 2016-08-11 愛爾康研究有限公司 具有低濃度的表面活性劑以促進治療劑之生物可利用性的藥學組成物
TWI489997B (zh) 2009-06-19 2015-07-01 Alcon Res Ltd 含有硼酸-多元醇錯合物之水性藥學組成物
TWI383796B (zh) * 2009-08-14 2013-02-01 Holy Stone Healthcare Co Ltd Use of hyaluronic acid mixture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peptic ulcer and duodenal ulcer
HUP0900717A3 (en) * 2009-11-18 2012-02-28 Richter Gedeon Nyrt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rological use containing zinc hyaluronate
JP6081173B2 (ja) * 2011-12-12 2017-02-15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眼科用水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539A (en) 1983-02-04 1986-11-18 Tunc Deger C Nutrient barrier polysaccharide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CA1291123C (en) * 1986-03-14 1991-10-22 Abraham Nimrod Heavy metal salts of hyaluronic acid useful as antimicrobial agents
US5472950A (en) * 1989-02-24 1995-12-05 Richter Gedeon Vegyeszeti Gyar Rt. Compositions containing cobalt hyaluronic acid complex
HU203372B (en) * 1989-02-24 1991-07-29 Richter Gedeon Vegyeszet Process for producing hyaluronic associat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cosmetics comprising such active ingredient
JPH0648950A (ja) * 1992-07-30 1994-02-22 Taito Kk 抗潰瘍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190B1 (ko) * 1997-04-29 2006-04-18 리크터 게데온 베게스제티 기야르 알티. 소화성궤양에 대한 아연 히알루로네이트의 사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54922T1 (de) 2003-12-15
WO1998010773A1 (en) 1998-03-19
JP2009114206A (ja) 2009-05-28
UA66766C2 (uk) 2004-06-15
AU4469197A (en) 1998-04-02
DE69726457D1 (de) 2004-01-08
HUP9602498A3 (en) 1998-05-28
EP0964687B1 (en) 2003-11-26
CN1230117A (zh) 1999-09-29
ES2212131T3 (es) 2004-07-16
US6348190B1 (en) 2002-02-19
RU2204394C2 (ru) 2003-05-20
HU9602498D0 (en) 1996-11-28
JP2001500860A (ja) 2001-01-23
KR100489494B1 (ko) 2005-05-16
CN1130204C (zh) 2003-12-10
HUP9602498A2 (hu) 1998-04-28
DE69726457T2 (de) 2004-08-26
HU225329B1 (en) 2006-09-28
DK0964687T3 (da) 2004-03-08
PT964687E (pt) 2004-02-27
EP0964687A1 (en) 1999-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494B1 (ko)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JP2613605B2 (ja) 抗菌物質として有効なヒアルロン酸の重金属塩
CA2163791C (en) Anti-infective materials
KR101155884B1 (ko) 하이드로카르빌 설톤 화합물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된폴리아미노사카라이드
EP0259485A1 (en) Heavy metal salts of hyaluronic acid useful as antimicrobial agents
EP1128809B1 (en) Aqueous ophthalmic formulations comprising chitosan
JPH03255033A (ja) 白癬治療剤
CN111991417A (zh) 一种具有生理响应性的次氯酸凝胶及其在皮肤创面中的应用
WO2008157643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Balch et al. The Influence of Acute Renal Failure on Resistance to Infection An Experimental Study
JP3054758B2 (ja) 外傷用組成物
TWI519302B (zh) 創傷癒合組合物及其用途
RU2739747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артроло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RU2739184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артроло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US20230240302A1 (en) Antimicrobial silver coordination complexes
EP0552593A1 (en) Use of hyaluronic acid as ocular prosthesis lubricant
RU2699377C1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й препарат в форме глазных капель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инфекционных конъюнктивитов, вызванных бактериями и вирусами
RU2085187C1 (ru) Гель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и лечения ее заболеваний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0785441B1 (ko) 해양 심층수 미네랄을 함유하는 항균성 생리식염수
WO199903731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vanadium and/or salts thereof and its use to treat burns
EA041409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артроло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KR100804105B1 (ko) 항균성 미네랄을 함유한 보습 인공 눈물
EA041405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артроло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