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454A - 피스톤펌프 - Google Patents

피스톤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454A
KR20000029454A KR1019997000422A KR19997000422A KR20000029454A KR 20000029454 A KR20000029454 A KR 20000029454A KR 1019997000422 A KR1019997000422 A KR 1019997000422A KR 19997000422 A KR19997000422 A KR 19997000422A KR 20000029454 A KR20000029454 A KR 20000029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ush
piston pump
pump
piston
cylinder b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579B1 (ko
Inventor
알라제노르베르트
메게르레프리드리히
쉐퍼에른스트-디이터
슐러볼프강
쉬날저귄터
지젤스버거랄프
바우어게르트
헬레브란트미카엘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0002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31Pump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53/162Adaptations of cylinders
    • F04B53/166Cylinder liners
    • F04B53/168Mounting of cylinder liners in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미끄럼 조절되는 차량제동시설을 위한 반송펌프로서 제공되는 피스톤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조의 간단화를 위해 관 부재 형태의 안내부시(14)를 준비하여 이것을 셀프 클린치 기법에 의해 실린더 보어(12) 내에 삽입된 고정부재(36)와 실린더 보어(12) 내에 삽입고정되게 하고 이렇게 하여 밀폐, 고정되게 할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안내부시(14)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외에 예컨대 밀폐 링과 같은 별도의 밀폐요소를 필요로 함이 없이 그의 안내부시를 실린더 보어(12) 내에 밀폐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피스톤 펌프{Piston pump with a pipe segment as a bushing}
이러한 피스톤 펌프가 다수 알려져 있다. 예컨대 독일 공개특허 제 40 27 794 A1 호 및 독일 공개특허 제 44 07 978 A1 호로부터 알려져 있는 피스톤 펌프가 예거될 수 있을 것이다. 공지된 피스톤 펌프는 펌프케이싱을 갖고 있고, 그 펌프 내로는 안내부시가 부동적으로 삽입되어 있고 그 안내부시 내에는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 공지의 피스톤 펌프의 안내부시는 피스톤 및 배출밸브를 수납하기 위해 계단 홀 형태의 주머니 홀을 갖고 있다. 안내부시의 외측에는, 예컨대 밀폐링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또는 스토퍼 면으로서, 다수의 홈, 후방 노치 및 계단부 등이 배치되어 있다. 안내부시는 회전성부재로서, 그것의 제조는 그 내부 및 외부형태 때문에 낭비적이고 비용이 많이 든다. 또 다른 결점은, 안내부시는, 피스톤 펌프의 작동시 마모를 낮게 억제하고 그럼으로써 충분한 사용수명을 얻기 위해, 라인 단부 처리 후 경화처리를 받아야하는 점이다.
본 발명은 특히 차량제동시설용 펌프로 이용될 수 있도록 장애방지- 구동미끄럼- 주행운동조절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및/또는 차량의 외력 제동시설용 펌프로 사용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청구항 1의 대개념의 특징을 가진 피스톤 펌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스톤 펌프의 축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도 1의 화살표 Ⅱ에 따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피스톤 펌프의 축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Ⅳ에 따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피스톤 펌프의 축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화살표 Ⅵ에 따른 확대 상세도.
도 7은 도 6의 화살표 Ⅶ에 따른 확대 상세도.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피스톤 펌프는 안내부시로서 관 부재를 갖고 있다. 이 안내부시는 최단시간에, 예컨대 일련의 가공단계를 거치지 않고 관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 결과 현저한 시간적, 재료적, 비용적 절약이 얻어진다. 안내부시는 바람직하게는 박벽으로 만들어지고 따라서 재료가 적게 든다. 이 안내부시는 피스톤 펌프의 비용을 그다지 상승시키지 않고 고가의 내 마모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청구범위의 종속항들은 본 발명에 의한 피스톤 펌프의 유리한 양태 및 변형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1 실시예
도 1에 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피스톤 펌프는 특히 차량의 제동시설에 있는 반송펌프로서 차륜 미끄럼조절부를 갖고 있다. 이 차륜 미끄럼조절부에 의해 예컨대 제동과정 중 차량차륜의 정지 및/또는 강 가속시 구동된 차량차륜의 계속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스톤 펌프는 펌프케이싱(10)으로서 유압블록을 갖고 있고, 그 블록 내에서는 미끄럼조절된 차량제동시설을 위한 반송펌프로서의 피스톤 펌프 외에 미끄럼조절을 위해 추가의 표시되지 않은 유압성분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호간에 또한 피스톤 펌프와 유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는 펌프케이싱(10)을 형성하는 유압블록들 중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피스톤 펌프의 본질적인 부분을 나타내는 파단부 만이 표시되어 있다. 피스톤 펌프는,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두개 이상의, 펌프케이싱(10) 내에 수용된 펌프요소(11)를 포함한다. 명료성을 위해 단지 하나의 펌프요소(11) 만이 도시되어 있다. 펌프케이싱(10)은 내공간(13)을 포괄하고, 그 내공간 내에는 도시되지 않은 편심 구동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펌프케이싱(10)의 외측으로부터 내공간(13)까지에 뻗고 계단으로 형성된 펌프케이싱(10)의 실린더 보어(12) 내에는 안내부시(14)로서 관부분이 삽입되어 있고, 그 안내부시에서는 피스톤(16)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피스톤(16)을 왕복 행정이동으로 구동하기 위해 그 자체 공지의 방법으로 비 표시된 편심 구동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피스톤(16)의 두부(18)는 펌프케이싱(10)의 내공간(13) 내 일측에서 돌출해 있다. 안내부시(14)의 양단 사이의 영역에서는 실린더 보어(12)의 내경은 안내부시(14)의 외경 보다 크고 따라서 안내부시(14)와 펌프케이싱(10) 사이의 이 영역에는 반경방향 간극(19)이 개방된 채 있다.
피스톤 펌프는 펌프유입구(20)를 갖고 있다. 실질적으로 펌프케이싱(10) 내에 설치된 유입통로(20a), 반경방향 간극(19), 안내부시(14)의 벽을 관통하는 횡 홀(20b), 피스톤(16)의 외주에 배치된 노치(20c), 및 노치(20c)를 피스톤(16) 내에 설치된 축방향 계단 홀(20e)과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횡 홀(20d)이, 펌프유입구(20)에 속한다. 펌프유입구(20)에 속하는 피스톤(16)의 축방향 계단 홀(20e)에는 스프링 부하된 역류방지 볼밸브가 유입밸브(22)로서 설치되어 있고, 그 밸브의 밸브 폐쇄 스프링(24)은 박판 컵(26)에 지지되어 있고, 그 컵은 피스톤(16)의 배출공간(28) 쪽 정면에 놓여서 가장자리 절곡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표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유입밸브(22)가 피스톤(16) 대신에 펌프케이싱(10)의 유입통로(20a)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피스톤(16)과 안내부시(14) 사이의 안내간극은 밀폐링(30, 31)인 두 개의 O 링으로 밀폐되어 있다. 두 밀폐링 중의 하나(30)는 펌프유입구(20)를 배출공간(28)으로부터 분리하고, 다른 밀폐링(31)은 펌프유입구(20)를 펌프케이싱(10)의 내공간(13)으로부터 분리한다.
배출공간(28)을 둘러싸는 안내부시(14)의 단부는 원추형 확대부(32)를 갖고 있고, 이 확대부는 실린더 보어(12)의 보조 확대부(34)에 접해있다. 원추형 확대부를 갖는 안내부시(14)는 그의 비이커 등과 유사하게 디프 드로잉 부품으로서 제조된다. 이 부품은 디프 드로잉 후에 경화될 수 있다.
배출공간(28) 쪽에서 실린더 보어(12)를 폐쇄하기 위해 소위 셀프 클린치 기법의 폐쇄마개가 실린더 보어(12) 내에 고정 삽입된다. 셀프 클린치란 폐쇄마개를 누름으로써 작동되는 클램프를 의미한다: 폐쇄마개는, 그의 피스톤(16) 반대쪽 외면에 뾰족한 모서리의 단면을 가진 외측으로 내민 순환하는 반경방향 플랜지(35)를 갖고 있다. 강으로부터 회전에 의해 제조되는 폐쇄마개의 이 반경방향 플랜지(35)는, 유연한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압력주조물로 구성된 펌프케이싱(10)을 폐쇄마개의 순환하는 링 홈(37) 내에 소성적으로 변형 삽입되게 하고, 이 링 홈은 폐쇄마개가 충분히 큰 힘으로 펌프케이싱에 대해 축방향으로 눌러질 때, 피스톤(16) 측에서 바로 반경방향 플랜지(35)에 밀착 연결된다. 펌프케이싱(10)의 재료가 폐쇄마개의 링 홈(37) 내에 소성적으로 변형되면, 폐쇄마개와 펌프케이싱(10) 사이의 확실한 밀폐 및 큰 지지력이 얻어진다.
폐쇄마개는 안내부시(14)를 위한 고정부재(36)를 구성한다. 이 마개는 안내부시(14)의 확대부(32)에 상보적인 원추부(38)를 갖고 있고, 이 원추부는 확대부(32) 내에 삽입되고 이 확대부는 외측으로 실린더 보어(12)의 확대부(34)에 눌러진다. 그럼으로써 안내부시(14)는, 펌프케이싱(10) 내에 고정되고 그의 배출공간(28)을 둘러싸는 단부에서 펌프케이싱(10)에 대해 또한 고정부재(36)에 대해 밀폐된다. 확실한 밀폐를 위해 고정부재(36)의 원추부(38)는 축방향 링스텝(39) 및 보조 대향스텝인 실린더 보어(12)의 확대부(34)를 갖고있고, 그 대향스텝 내로는 고정부재의 링스텝(39)이 안내부시(14)의 확대부(32)를 탄성 소성적으로 변형 삽입한다.
확실히 밀폐시키는 추가의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부재(36)의 원추부(38)에 순환하는 밀폐융기(40)를 배치하는 것으로, 이 융기는 고정부재(36)가 실린더 보어(12) 내에 삽입될 때 압착력에 의해 안내부시(14)의 확대부(32)로 탄성적 및/또는 소성적으로 변형된다. 안내부시(14)와 고정부재(36)의 재료는 대략 같은 경도를 갖는다.
피스톤 펌프는 펌프유출구(44)를 갖고 있다. 펌프유출구(44)는 실질적으로 고정부재(36)에 설치된 동축의 주머니 홀(44a), 고정부재(36)의 외주에 배치된 순환하는 노치(44c), 주머니 홀(44a)을 노치(44c)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 홀(44b) 및 펌프케이싱(10) 내에 배치되어있고 노치(44c)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고압연결단에 이어지는 유출통로(44d)를 포함하고 있다.
피스톤(16)의 두부쪽에서는, 펌프케이싱(10)은 평평하고 넓고 실린더 보어(12) 내로 돌입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바람직하게는 둘의 밀폐 파형부(42)를 갖고 있다. 이 밀폐 파형부(42)에는 안내부시(14)가 프레싱 적합화에 의해 밀폐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밀폐 파형부(42)의 파고부와 안내부시(14)의 외주 사이의 프레싱 적합화에 의해 펌프유입구(20)와 내공간(13) 사이에 있어 피스톤 펌프에 의해 수송된 유체에 대한 누설연통이 방지된다.
부싱의 원추형 확대부(32)와 펌프케이싱(10)의 밀폐 파형부(42) 사이 안내부시(14)의 중간영역에 있어서는, 실린더 보어(12)는 안내부시(14)에 대해 유극적 적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즉 안내부시(14)와 펌프케이싱(10) 사이에 반경방향 간극(19)이 있어, 안내부시(14)는 작은 힘으로 실린더 보어(12)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삽입시 특히 안내부시(14)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밀폐 파형부(42)의 파고부와 안내부시(14)의 외주 사이의 프레싱부분은 펌프요소(11)의 종방향으로 보아 단지 대단히 짧기 때문에, 밀폐 파형부(42) 영역에 있어 프레싱에 의해 안내부시(14)가 펌프케이싱(10) 내에 삽입되는 것은 아주 약간만 억제된다. 그렇지만 안내부시(14)의 양단과 펌프케이싱(10) 사이에 확실한 밀폐가 달성될 수 있고, 케이싱의 파형부(42)에서는 안내부시(14)가 그 일단에 의해 또한 케이싱의 확대부(34)에서는 부싱이 그 확대부(32)에 의해 즉 양단부에서 접한다. 펌프요소(11)가 펌프케이싱(10) 내에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피스톤 펌프에서는, 큰 비용을 요하지 않고도 펌프유입구(20)는 한편으로는 내공간(13)에 대해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펌프유출구(44)에 대해 밀폐된다.
펌프케이싱(10)에 대해 안내부시(14)를 밀폐하기 위해 안내부시(14)와 펌프케이싱(10) 사이에 설치되는 밀폐링은 필요하지 않다. 이런 불필요는 본 발명에 의한 피스톤 펌프의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고, 피스톤 펌프의 조립을 위한 작업통로의 수가 감소하고 안내부시(14)는 보다 깊이 펌프케이싱(10)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그 위에 공지의 안내부시에 비해 안내부시(14)의 벽이 얇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피스톤 펌프에 필요한 설치공간도 감소한다.
고정부재(36)는 배출공간(28)에 접하고 있는 동축의 주머니 홀(44a)을 갖고 있다. 이 주머니 홀(44a) 내로는 스프링 부하된 역류방지 볼 밸브가 배출밸브(46)로서 삽입되어 있다. 배출밸브(46)의 링형의 밸브시트몸체(48)는 주머니 홀(44)의 입구 내에 삽입되어 클램프(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16)이 펌프케이싱(10)의 내공간(13)에 설치된 편심 구동장치에 의해 축방향 왕복 이동행정을 위해 구동되면, 펌프요소(11)는 유체, 바람직하게는 제동액체를 펌프유입구(20)로부터 유입밸브(22)를 통해 배출공간(28) 내로 또한 거기서부터 유출밸브(46)를 통해 펌프출구(44)에 수송한다.
제 2 실시예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피스톤 펌프의 안내부시(14)는 그의 배출공간(28)을 둘러싸는 단부에 원통형 확대부(52)를 갖고있고, 그 확대부 내로는 고정부재(36)가 형성되어있는 원통형 부분(54)으로 맞물려 있다. 원통형 부분(54)의 직경, 안내부시(14)의 벽두께 및 실린더 보어(12)의 직경은, 원통형 부분(54)과 원통형 확대부(52) 사이 그리고 원통형 확대부(52)와 펌프케이싱(10)의 실린더 보어(12) 사이의 프레싱 적합이 존재하도록, 즉 고정부재(36)의 원통형 부분(54)이 안내부시(14)를 그의 원통형 확대부(52)에서 실린더 보어(12)의 벽에 대해 누르도록, 치수적으로 상호간에 일치조화되어 있다.
조립을 위해서는 먼저 안내부시(14)를 고정부재(36) 위에 눌러 끼우고 안내부시(14)의 원통형 확대부(52)를 탄성적으로 확장한다. 안내부시(14)의 탄성적으로 확장된 확대부(52)는 실린더 보어(12)에 대해 여분이 있을 정도의 충분한 프레싱 적합력을 작용한다. 그럼으로써 안내부시(14)는 펌프케이싱(10) 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안내부시(14)와 펌프케이싱(10) 및 고정부재(36) 사이에 밀폐가 얻어진다.
고정부재(36)의 원통부분(54)은 고정부재(36)가 실린더 보어(12) 내에 삽입되기 전에 순환하는 밀폐융기(40)를 가지며(도 4), 이 융기는 원통부분(54)이 안내부시(14)의 확대부(42) 내에 압입될 때 탄성적 및/또는 소성적으로 변형된다. 안내부시(14)은 실린더 보어(12) 외부에서 고정부재(36) 위로 눌려 삽입되기 때문에, 안내부시(14)가 고정부재(36)와 함께 실린더 보어(12) 내로 삽입될 때, 밀폐융기(40)는 안내부시(14)를 확장시키고 또는 안내부시(14)에 의해 압하되며, 그리하여 융기는 분리되지 않는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는, 확대부가 없는 중공원통 단면을 가진 관 부재가 안내부시(14)로 사용될 수 있고, 그 관 부재는 고정부재(36)와 함께 상기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펌프케이싱(10) 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밀폐된다(도시 안됨).
피스톤(16)의 두부(18) 쪽에서는, 도 3에 도시된 피스톤 펌프에 있어 안내부시(14)와 펌프케이싱(10) 사이에서의 밀폐가, 밀폐링인 O 링(56)이 펌프케이싱(10)의 실린더 보어(12) 내에 형성된 홈 내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밀폐는 밀봉제 또는 접착제로 행해질 수도 있다.
그 외에는, 도 3에 도시된 피스톤 펌프는 도 1에 도시된 피스톤 펌프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같은 방식으로 작동된다. 같은 부재에는 같은 번호가 사용되어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 또는 유사한 것에 대해서는 도 1에 해당하는 실시예를 참고하면 될 것이다.
제 3 실시예
도 5에 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펌프피스톤의 안내부시(14)는, 그의 배출공간(28)을 둘러싸는 단부에서 링스텝(58)에 의해 원통형 확대부(60)로 이행되고 있다. 링 원판면(62)에 의해 안내부시(14)가 그의 링스텝에서 확대부(60)로 이행되는 링 원판면(62)은 예각으로 가상적 반경방향 표면으로 뻗고 있고, 그래서 그 표면은 평평한 절두형 원추를 구성한다.
셀프 클린치 기법으로 실린더 보어(12)의 피스톤(16) 반대쪽 단부 내에 삽입된 고정부재(36)는 밸브시트 부재(64)를 통해 안내부시(14)를 그의 링스텝(58)에서 축방향으로 실린더 보어(12)의 상보적 링스텝(66)에 대해 눌러서 안내부시(14)를 축방향으로 고정한다. 안내부시(14)의 펌프케이싱(10)에 대한 밀폐는, 실린더 보어(12)의 링스텝(66)의 한 바닥을 형성하는 반경방향 링 원판면(70)에 형성되어 있는 순환 밀폐계단(68)에서 행해진다(도 6). 안내부시(14)가 그의 링스텝(58)에 의해 펌프케이싱(10)의 순환 밀폐가장자리(68)에 대해 축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밀폐가장자리(68)는 도 7에 표시된 것처럼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향된 융기(72)를 형성하면서 탄성적 및/또는 소성적으로 변형되고, 그럼으로써 안내부시(14)와 펌프케이싱(10) 사이에 신뢰성 있는 밀폐가 얻어진다.
밸브시트부재(64)와 안내부시(14) 사이의 밀폐는, 밸브시트부재(64)의 순환하는 외부 가장자리(74)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그 가장자리에 의해 밸브시트부재(64)는 안내부시(14)의 링스텝(58)의 내면에 접하고 있다.
밸브시트부재(64)는 고정부재(36)의 피스톤(16) 쪽 정면에 있는 원통형 오목부(76) 내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재(36)는 밸브시트부재(64)를 축방향으로 안내부시(14)의 링스텝(58)으로 밀기 때문에, 밸브시트부재(64)는, 클램핑(도 1의 번호 50을 참고하라) 또는 기타의 고정조치는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고정부재(36)의 오목부(76)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밸브시트부재(64)와 고정부재(36) 사이의 밀폐는, 밸브시트부재(64)의 순환하는 외부 가장자리(78)에서 이 가장자리에 의해 밸브시트부재가 오목부(76)의 바닥(80)에 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도 6). 이 외부 가장자리(78)를 밀폐 가장자리로 형성시키기 위해, 고정부재(36)의 오목부(76)의 바닥면(80) 및/또는 밸브시트부재(64)의 바닥면(80)쪽 정면(82)은 가상적인 반경방향 표면으로부터 예각(β) 만큼 벗어나 있다.
기타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펌프피스톤은 도 1에 도시된 펌프피스톤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그런 것은 대응하는 도 1에 의한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왕복 행정이동을 위해 구동될 수 있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그 피스톤은 안내부시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안내부시는 펌프케이싱의 실린더 보어 내에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 펌프, 특히 차량 제동시설을 위한 펌프에 있어서, 안내부시(14)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벽두께를 가진 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부시(14)는 박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부시(14)는 그의 단부들 중 적어도 한 단부의 영역에서는 실린더 보어(12)에 밀폐적으로 접해 있고, 그의 중간영역에서는 펌프케이싱(10)에 간극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 보어(12)에 삽입된 고정부재(36)는 안내부시(14)를 피스톤 펌프의 배출공간(28)의 영역에 있는 고정부재의 단부에 밀폐적으로 누르고 있고 또한 안내부시(14)를 축방향으로 실린더 보어(12)의 벽에 대해 고정적으로 누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펌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안내부시(14)는 피스톤 펌프의 배출공간의 영역에 있는 안내부시의 단부에 확대부(32; 52; 60)를 갖고 있고, 그 확대부는 실린더 보어(12)에 삽입된 고정부재(36)에 의해 밀폐적으로 눌려 있고, 안내부시(14)는 축방향으로 실린더 보어(12)의 상보적 확대부(34; 66)에 고정적으로 눌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펌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안내부시(14)는 확대부로서 링스텝(58)을 갖고 있고, 이 링스텝은 실린더 보어(12)의 확대부로서의 상보적 링스텝(66) 내에 삽입되어 있고, 실린더 보어(12) 내에 삽입된 고정부재(36)에 의해 순환하는 밀폐 가장자리(68)에 대해 축방향으로 눌려있고, 이 밀폐 가장자리는 실린더 보어(12)의 링스텝(66)의 반경방향 링 원판 면(7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펌프.
  7. 제 6 항에 있어서, 피스톤 펌프는 역류방지밸브(46)를 갖고 있고, 이 역류방지밸브는 피스톤(16)에 대향하여 배출공간(28) 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밸브시트부재(64)를 갖고 있고, 그 밸브시트부재는 실린더 보어(12)에 삽입된 고정부재(36)와 안내부시(14)의 링스텝(58)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고정부재(36)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 링스텝(58)에 눌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펌프.
  8. 제 7 항에 있어서, 밸브시트부재(64)는 순환하는 밀폐 가장자리(74)를 갖고있고, 이 밀폐 가장자리에 의해 밸브시트부재는 안내부시(14)의 링스텝(58)에 접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펌프.
  9. 제 7 항에 있어서, 밸브시트부재(64)는 순환하는 밀폐 가장자리(78)를 갖고있고, 이 밀폐 가장자리에 의해 밸브시트부재는 고정부재(36)에 접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펌프.
KR10-1999-7000422A 1997-05-21 1998-03-07 피스톤 펌프 KR100525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1227.1 1997-05-21
DE19721227A DE19721227A1 (de) 1997-05-21 1997-05-21 Kolbenpum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454A true KR20000029454A (ko) 2000-05-25
KR100525579B1 KR100525579B1 (ko) 2005-11-03

Family

ID=783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422A KR100525579B1 (ko) 1997-05-21 1998-03-07 피스톤 펌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93481B1 (ko)
EP (1) EP0914561B1 (ko)
JP (1) JP2000515607A (ko)
KR (1) KR100525579B1 (ko)
DE (2) DE19721227A1 (ko)
WO (1) WO1998053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2792A1 (de) * 1997-07-30 1999-02-04 Bosch Gmbh Robert Kolbenpumpe
DE19854719B4 (de) * 1998-11-26 2008-10-1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Kolbenpumpe
DE19928164A1 (de) * 1999-06-19 2000-12-2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Kolbenpumpe
US6792968B1 (en) * 2000-05-30 2004-09-21 Robert H. Breeden Pump assembly and method
DE102004063074B4 (de) * 2004-12-28 2013-03-07 Robert Bosch Gmbh Kolbenpumpe, insbesondere Kraftstoff-Hochdruckpump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WO2008131430A1 (en) * 2007-04-23 2008-10-30 National Oilwell Varco, L.P. A reciprocating pump having a piston assembly
US20090057345A1 (en) * 2007-08-31 2009-03-05 Dukes Stephen A Fluid dispenser
US7966993B2 (en) * 2008-09-30 2011-06-28 Caterpillar Inc. Fuel injection pump having a barrel expansion control sleeve
DE102009046313A1 (de) * 2009-11-03 2011-05-05 Robert Bosch Gmbh Kolbenanordnung einer Kolbenpumpe
DE102009054520A1 (de) * 2009-12-10 2011-06-16 Robert Bosch Gmbh Kolbenpumpe
DE102010040701A1 (de) * 2010-09-14 2012-03-15 Robert Bosch Gmbh Pumpe mit einem Pumpenzylinder
DE102011004131A1 (de) * 2011-02-15 2012-08-16 Robert Bosch Gmbh Pumpe, insbesondere eines Fahrzeugbremssystems
WO2013080253A1 (ja) * 2011-11-30 2013-06-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高圧燃料供給ポンプ
DE102011089603B4 (de) 2011-12-22 2022-08-04 Robert Bosch Gmbh Kolbenpumpe für ein Hydraulikaggregat einer Fahrzeugbremsanlag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augruppe einer Kolbenpumpe sowie Verwendung einer Kolbenpumpe
DE102012219820A1 (de) * 2012-10-30 2014-04-30 Robert Bosch Gmbh Zylinder für eine Kolbenpumpe einer hydraulischen Fahrzeugbremsanlag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mit einer solchen Kolbenpumpe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der Kolbenpump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5400C (de) * 1924-05-08 Siemens & Halske Akt Ges Zylinder fuer hohe Druecke
US1592266A (en) * 1925-03-10 1926-07-13 Leland S Hamer Pump
US3848325A (en) * 1972-05-01 1974-11-19 C Bimba Method for assembling body and end sections for fluid power cylinder
US4184411A (en) * 1977-02-07 1980-01-22 Wheatley Company Seal ring for cylinder head of piston pumps
US5235899A (en) * 1992-03-02 1993-08-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lf-contained envelope for vehicular transmission servo control unit
AT401677B (de) * 1992-09-02 1996-11-25 Hoerbiger Ventilwerke Ag Hydraulikzylinder
DE4301124C2 (de) * 1993-01-18 1996-10-17 Danfoss As Verfahren zum Verbinden einer Zylinderbuchse mit einem Grundkörper
US5511463A (en) * 1994-10-19 1996-04-30 Stockton; Elmer A. Structure for mounting and sealing a piston sleeve within an actuator body
JPH08144937A (ja) * 1994-11-18 1996-06-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ポンプ・モータ
DE59510809D1 (de) * 1995-03-11 2003-11-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Kolbenpumpe
DE19530012A1 (de) * 1995-08-16 1997-02-20 Bosch Gmbh Robert Hydraulikgehäuseblock mit einer Kolbenpumpe
US6000764A (en) * 1996-12-30 1999-12-14 Kelsey Hayes Company Hydraulic pump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794157B2 (ja) * 1998-03-20 2006-07-05 株式会社ショーワ 油圧シリンダ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15607A (ja) 2000-11-21
EP0914561A1 (de) 1999-05-12
US6193481B1 (en) 2001-02-27
KR100525579B1 (ko) 2005-11-03
DE19721227A1 (de) 1998-11-26
DE59812112D1 (de) 2004-11-18
EP0914561B1 (de) 2004-10-13
WO1998053209A1 (de) 199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940B1 (ko) 피스톤 펌프
US6457956B1 (en) Piston pump
KR20000029454A (ko) 피스톤펌프
US7878169B2 (en) Cam roller pin with transverse grooves
KR100570912B1 (ko) 피스톤 펌프
JP4012270B2 (ja) ピストンポンプを備えた液圧式のケーシングブロック並びにピストンポンプを固定しかつシールする方法
US6471496B1 (en) Piston pump for a vehicle brake system
KR20000068948A (ko) 피스톤 펌프용 체크 밸브
CA1289598C (en) Hydraulic pump with integrated sump and accumulator
JP5174961B2 (ja) ピストンポンプ
JP2001501274A (ja) ピストンポンプ
US6146115A (en) Piston pump
PL94850B3 (ko)
JP4131573B2 (ja) ピストンポンプ
KR100569254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펌프
US5111736A (en) Vented static seal assembly
KR100988742B1 (ko) 피스톤 펌프
US6327964B1 (en) Reciprocating pump
US5333998A (en) Pintle fixing construction for radial plunger pump
JP2004518078A (ja) ピストンポンプ
US11649812B2 (en) Hydraulic piston with a depressurized groove
CN115009241B (zh) 一种压力控制单元及制动系统
US6413063B1 (en) Pump
AU2021249497A1 (en) Hydraulic piston with a depressurised recess
CA1110109A (en) Hydraulic unit and transfer tube and seal structur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