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756A -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756A
KR20000022756A KR1019990035330A KR19990035330A KR20000022756A KR 20000022756 A KR20000022756 A KR 20000022756A KR 1019990035330 A KR1019990035330 A KR 1019990035330A KR 19990035330 A KR19990035330 A KR 19990035330A KR 20000022756 A KR20000022756 A KR 20000022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
banknote
electric motor
belt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0417B1 (ko
Inventor
다카시에하라
게니치데쯔카
요시타카이토
겐지사이토
Original Assignee
아베 히로시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125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0659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59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022581B2/ja
Application filed by 아베 히로시,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베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0002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B65H3/565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for reintroducing partially separated articles in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2Orientation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321Standing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1Suction box; Suction chambers
    • B65H2406/312Suction box; Suction chambers incorporat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handled material against suction force
    • B65H2406/3124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를 한 장 한 장씩 확실하고 신속하게 계수하여 그들을 인출할 수 있는 장치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 및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노트를 확실하게 계수하여 이 노트를 송출하기 위한 장치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적어도, 무압력 자유 상태에서 지폐를 준비하기 위한 지폐 준비 수단과; 상기 지폐를 흡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흡인 수단과; 이 흡인 수단에 배치된 배기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의 구멍을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흡착된 지폐를 이 지폐의 흡착에 대항하여 송출하기 위한 송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Apparatus for counting and dispensing bills}
본 발명은 유통 화폐인 지폐나 노트(note)의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폐로 통용되는 노트를 계수 및 인출하기 위한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티켓 자판기 및 교환기를 포함하는 벤딩 머신 등과 같이 노트가 사용되는 분야에 적당한 노트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노트"의 개념은 지폐는 물론, 구부러질 수 있는 환어음이나 합성수지로 제조된 시트 바디(sheet body)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노트"의 개념은, 물론, 구부러질 수 있는 전화카드 및 교통 티켓 카드 등과 같은 소형 카드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노트 인출 장치로서, 본 출원인의 일본 특허출원 제 8-188006 호가 있다. 이 시트 바디 인출 장치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장치의 하부에서 시트 바디를 흡착하기 위한 관통구(22)를 갖는 직사각형 파이프 형상의 흡인 수단(21)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흡인 수단 위에는 배기 수단(26)이 배치되며, 흡인 수단의 내부에는 흡착된 시트 바디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 수단(27)이 배치된다.
그러나, 상술한 인출 장치는, 특히 시트 바디인 노트가 송출될 때 확실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노트는 이 노트의 중심 부근에서 구부러지기 때문에, 수많은 유통 노트들은 송출 수단이 타이어일 때 접촉 마찰이 불충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노트의 중앙이 구부러질 때, 송출 수단의 타이어가 공회전하게 되어 노트가 확실하게 송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노트를 한 장 한 장 확실하고 신속하게 송출할 수 있는 장치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와 구조의 단순화뿐만 아니라 지폐를 확실하게 송출하기 위한 인출 장치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지폐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적어도, 지폐를 흡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흡인 수단과; 이 흡인 수단에 배치된 배기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의 구멍을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흡착된 지폐를 이 지폐의 흡착에 대항하여 송출하는 송출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송출 수단은 정방향으로도, 역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송출 수단은 무한 벨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적어도, 무압력 자유 상태에서 지폐를 준비하기 위한 지폐 준비 수단과; 상기 지폐를 흡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흡인 수단과; 이 흡인 수단에 배치된 배기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의 구멍을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흡착된 지폐를 이 지폐의 흡착에 대항하여 송출하는 송출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송출 수단은 정방향으로도, 역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송출 수단은 무한 벨트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장치 전체를 한쪽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상부를 제거하여 위쪽에서 바라본 평단면도.
도 2는 도 1a를 다른 쪽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 3은 도 1a의 일실시예의 주요 부분을 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a의 일실시예의 다른 주요 부분을 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도 4의 측면도.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도 9는 도 1a의 주요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도 8을 위쪽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베이스판 12: 중앙 단부
13: 커버판 14: 하부판
15, 32, 33: 부착부 16, 17: 사이드부
21, 22: 관통구 23, 24: 팬 장치
25, 61: 전기 모터 26: 풀리
27: 배기 수단 31: 프레임 바디
34: 가이드부 35: 스페이서
37: 롤러 38: 벨트
62: 기어 63: 소형 롤러
64: 안내부재 65: 조작판
66: 조작 로드 67: 후크형 판
68: 스크류 69: 핑거네일
먼저, 여기서 도 1a 및 도 1b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를 설명한다. 또한, 이 장치는 휴대용 트렁크 정도의 크기로서 전체 모양은 박스 형태로 구성된다. 도 1a의 상부 좌측의 돌출부는 계수된 소정 지폐가 인출될 수 있는 출구실(E)이다. 인출된 지폐는 이 장치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박스 형태의 케이스(C)에 저장된다(도 3). 또한, 케이스(C)는 이 케이스의 상부가 개방되며 이 장치에서 횡방향으로 출입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C)의 내부에는 종방향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 다수의 지폐가 정렬된다(도 4, 도 7 및 도 9 참조).
도 1a의 우측에는 케이스(C)내의 지폐를 한 장 한 장씩 위쪽으로 송출하기 위한 송출 장치(D)가 설치된다(도 4). 그리고, 이 장치의 양측면에는 케이스(C)내의 지폐 다발의 일부를 무압 자유 상태(pressure-less free condition)로 만들기 위한 프리 장치(F: free device)가 각각 형성된다(도 1b). 다시 말해서, 한 쌍의 프리 장치(F)는 송출 장치(D)에 근접하는 복수의 지폐를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자유 상태로 만든다. 도 1a의 상단 우측에는, 송출 장치(D)로부터 위쪽으로 인출되는 지폐를 위쪽으로 취입하기 위한 취입 장치(T)가 배치된다. 그러므로, 도 1a의 중앙에는 취입 장치(T)로부터의 지폐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R)이 형성된다.
또한, 계수된 소정 매수의 지폐가 저장실(R)에 저장될 때, 모든 지폐들은 출구실(E)에 인출된다. 그후 출구실(E)에 인출된 지폐는 이 장치로부터 손가락으로 잡아 당겨진다. 박스 형태의 케이스(C)는 이 장치로부터 추출되며, 이것은 도 3에 도시된다. 케이스(C)에는 직사각형의 기립판(51: standing up board)이 제공되며, 이 기립판(51)은 수평하게 이동될 수 있다. 케이스(C)의 하부에는 한 쌍의 레일(52)이 형성된다. 게다가, 기립판(51)의 각 하부 코너 부분에는 각각 레일(52)들을 끼우는 한 쌍의 소형 롤러(53)가 형성된다. 추가로, 케이스(C)의 좌측에는 소형 회수실(54)이 형성된다. 이 회수실(54)은 저장실(R)의 노트가 회수될 때 사용된다(도 1a).
회수실(54)에는 판스프링(59)이 배치되며 회수된 노트가 유지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C)의 우측에는 창틀(55)이 형성된다. 게다가, 창틀(55)의 하부 중앙에는 휠 타입의 벨트 스프링 장치(56)가 배치된다. 그리고, 벨트 스프링 장치(56)의 벨트 스프링(57)의 선단부는 기립판(51)의 하단부 중앙에 고정된다. 그 결과, 기립판(51)은 항상 휠 타입의 벨트 스프링(57)에 의하여 창틀(55)의 방향으로 인장된다. 또한, 복수의 노트(B)들은 기립판(51)과 창틀(55) 사이에서 벨트 스프링(57)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종방향으로 서 있는 상태로 수납된다. 도 4에 송출 장치(D)를 사용 상태로 도시한다
도 4의 중앙 상부에 도시된 약간 큰 T형 횡판은 베이스판(11)이다. 이 베이스판(11)의 중앙 단부(12)에서, 반 파이프 형태(half pipe form)로 만곡된 커버판(13)이 아래쪽으로 매달려 고정된다. 그리고, 커버판(13)의 하단 내부에는 약간 작은 사다리꼴 하부판(14)이 고정된다. 베이스판(11) 아래의 중앙 근처에는 직사각형 부착부(15)가 아래쪽으로 매달려 형성된다. 또한, 중앙 단부(12)의 양측면에는 직사각형 사이드부(16, 17)들이 각각 아래쪽으로 매달려 형성된다. 그 결과, 중앙 단부(12)와, 한 쌍의 사이드부(16, 17)에 의해 큰 구멍(M)이 형성된다.
수직 길이를 갖는 부착부(15)의 상부 및 하부에는, 두 개의 약간 큰 관통구(21, 22)들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관통구(21, 22)의 외측에는 부착부(15)에 의해 각각 작은 팬 장치(23, 24)들이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약간 큰 역 L자형 바디를 갖는 중앙 수직 길이는 프레임 바디(31)이다. 도 5에서, 관련된 프레임 바디(31)는 도시를 위해 제거한다. 프레임 바디(31)의 상단부에서, 약간 큰 판 부분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 구부러진 판 부품들 중 하나인 직사각형 부착부(32)를 사용하므로써, 프레임 바디(31)는 베이스판(11)상에 고정된다.
그 다음, 다른 직사각형 부착부(33)상에는 작은 전기 모터(25)가 고정된다. 추가로, 전기 모터(25)의 회전축 상에는, 큰 링 형태를 갖는 벨트(38)를 구동하기 위한 풀리(26)가 배치된다. 또한, 풀리(26)는 치차를 갖는 풀리로 이루어지며 이 풀리는 벨트(38)의 배면측에서 치차와 맞물린다. 추가로, 전기 모터(25)는 정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스텝 모터이다. 프레임 바디(31)의 하단부는 가늘게 형성되어 무한 벨트(38)의 가이드부(34)를 구성한다. 고정용 소형 스페이서(35)는, 각각 가늘게 형성된 가이드부(34)의 각 말단부와 중앙부에 장착된다.
이 3개의 스페이서(35)를 통하여, 가이드부(31)와 같은, 가는 가이드편(36)이 가이드부(31)에 장착된다. 그 다음, 한 쌍의 가이드부(31)와 가이드편(36) 사이에는 4개의 소형 롤러(37)가 제공되어 자유 회전한다. 이 롤러(37)들은 무한 벨트(38)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이며, 바람직하게는 각 스페이서(35) 근처에 제공된다. 추가로, 가이드부(34)와 가이드편(36)은, 각각 중앙 단부(12)와 하부판(14)의 각 외측 가장자리의 중앙에 형성된 슬릿 홀내로 자유롭게 삽입된다. 그 결과, 프레임 바디(31)는 부착부(32)가 있는 베이스판(11)상에 고정되기 때문에, 프레임 바디(31)는 베이스판(1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도 5).
도 9 및 도 10에서는 케이스(C)내의 노트 다발의 일부를 무압력 상태로 만들기 위한 프리 장치(F)가 각각 도시된다. 먼저, 도 9의 우측 하단에는 정회전 및 역회전할 수 있는 전기 모터(61)가 배치된다. 이 전기 모터(61)는 기어 박스에 존재하는 기어(62)를 구동한다. 이 기어(62)의 축 양단부에는 크랭크를 설치하여 좌우 한 쌍의 소형 롤러(63)가 배치된다. 도 9의 중앙의 피스톨형 판은 한 쌍의 조작판(65)이다. 이 조작판(65)은 수직 구멍을 설치하여 소형 롤러(63)에 의해 도 9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도 9의 중앙의 세로 막대는 조작 로드(66)이며 조작판(65)의 중앙에 각각 고정된다.
각 조작 로드(66)에는 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4개의 길고 가는 후크형 판(67)이 장착된다. 덧붙여 말하자면, 송출 장치(D) 근처의 각 후크형 판(67)의 단부에는 노트 다발에 삽입하기 위한 핑거네일(69; fingernail)이 형성된다(도 8). 게다가, 각 후크형 판(67)의 양 단부에는 각각 횡으로 길게 놓인 L자형 구멍(60)이 각각 형성된다. 이 판의 중앙에는 조작 로드(66)를 관통하기 위한 수직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각 후크형 판(67) 근처에는, 길고 가는 안내부재(64)가 형성된다. 이 안내부재(64)는 이 장치의 프레임에 각각 고정된다. 각 안내부재(64)에는 한 쌍의 스크류(68)가 고정되며, 스크류(68)와 L자형 구멍(60)에 의해 후크형 판(67)이 안내된다.
즉, 한 쌍의 조작판(65)이 도 9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 양 측면의 후크형 판(67)은 서로 약간 접근하여 좌측으로 이동된다(도 10). 그 결과, 케이스(C)내의 노트(B)는 복수의 핑거네일(69)로 나뉜다. 즉, 송출 장치(D)의 구멍(M)으로부터 이격된 노트(B1)들은 핑거네일(69)에 의하여 압착되며 구멍(M) 근처의 노트(B)들은 무압의 자유 상태로 된다.
(실시예 Ⅰ)
이 실시예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본 실시예는, 예를 들어 1000엔 지폐로 이루어진 복수의 노트(B)가 수직하게 서 있으며 케이스(C)내에 차례로 배치된다(도 3).
즉, 기립판(51)이 벨트 스프링(57)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개방된 이 공간에서 노트(B)들이 수직하게 서 있으며 차례로 배치된다. 이후에, 케이스(C)는 본 장치에 수납되어 1000엔 노트(B)의 인출이 준비된다. 다시 말해서, 1000엔 지폐로 이루어진 복수의 노트(B)들은 수직하게 배치되며, 창틀(55)을 설치하여 구멍(M)의 전방에 차례로 배치된다(도 4). 덧붙여 말하자면, 이 경우에는 프리 장치(F)가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노트(B) 다발은 구멍(M)에 대하여 약간 압박된다. 따라서, 팬 장치(23, 24)가 구동될 때 배기가 실시된다. 결과적으로 구멍(M)에 부압(negative pressure)이 발생되어 노트(B) 다발들 중 외측에 있는 제 1 노트가 구멍(M)에 흡착된다.
따라서, 전기 모터(25)가 정회전할 때, 가는 고무로 제작된 벨트(38)는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된다. 즉, 고무로 제작된 벨트(38)의 표면 마찰에 의하여 노트(B) 다발들 중 외측에 있는 제 1 노트가 위쪽으로 송출된다. 그리하여, 위쪽으로 송출된 제 1 노트(B)의 상부는 롤러(도 1a의 71)들 사이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 1 노트(B)는 화살표 방향으로 강제로 인출된다. 인출된 제 1 노트(B)의 하단부는 구멍(M)의 하부를 통과한다. 이때, 이 통과는 한 쌍의 광학 센서(도 1a의 S7)에 의해 검출되며 상술한 전기 모터(25)는 역회전한다.
따라서, 위쪽으로 송출된 제 1 노트(B)는 확실하게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된다. 따라서, 벨트(38)의 역회전에 의해, 제 2 노트(B)가 위쪽으로 잘못 송출되거나 한꺼번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실시예 Ⅱ)
본 실시예의 장치 전체의 운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노트(B)를 인출하기 위한 출발 신호가 발생하면, 준비를 위하여 팬 장치(23, 24)가 구동됨과 동시에 전기 모터(61, 70)가 구동된다. 전기 모터(61)가 정회전할 때, 조작판(65)이 좌측으로 이동되고, 조작판(65)을 통하여 복수의 후크형 판(67)이 우측으로 이동된다(도 9 및 도 10).
그 결과, 송출 장치(D)로부터 이탈된 노트(B1)가 핑거네일(69)에 의해 유지되며, 장치(D) 근처의 노트(B)는 무압 자유 상태가 된다. 한편, 전기 모터(61)가 정회전될 때, 풀리와 긴 벨트에 설치된 크랭크 기구(91)가 구동된다(도 2의 아래쪽). 크랭크 기구(91)가 구동될 때, 긴 링크(90)가 이동되며 안내편(92)이 일단 상승하여 일점 쇄선으로 표시한 저장 위치에서 정지된다. 즉, 안내편(92)은 저장실(R)의 출구를 폐쇄한다(도 2의 우측 상단). 다시 말해서, 크랭크 기구(91)의 회전 운동은 링크(90)를 통하여 안내편(92)의 수직 운동으로 전환된다. 또한, 안내편(92)의 일반적인 기립 위치는 일점 쇄선의 저장 위치와 동일하다.
게다가, 상술한 상태는 조작판(65)의 융기(99)와 센서(S3)에 의해 검출된다(도 2의 좌측). 한편, 직류 타입의 전기 모터(70)가 본 장치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이 전기 모터(70)는 기어열을 통하여 송출 롤러(71, 72)쌍을 구동시킨다. 피 구동 송출 롤러(71, 72)쌍과 벨트(73)의 속도가 일정하게 되면, 속도는 속도 센서(S5)에 의해 검출된다. 이 속도 센서(S5)를 검출하므로써, 노트 인출 준비가 완료된다. 이 준비에서, 그리고 스텝형 전기 모터(25)가 제 1 노트의 노트 송출 신호를 가질 때, 벨트(38)는 위쪽으로 주행되며 제 1 노트의 노트(B)가 위쪽으로 전송된다. 전송된 제 2 노트의 노트(B)가 송출 롤러(71)쌍들 사이에 위치되며 그 후 계속해서 전송될 때, 관련된 노트(B)는 광학 센서(S7)쌍에 의해 검출된다. 제 1 노트(B)가 센서(S7)쌍에 의해 검출될 때, 전기 모터(25)는 이 검출 신호에 의해 역회전된다. 따라서, 벨트(38)가 아래쪽으로 주행되며, 제 2 노트(B)는 제 1 노트(B)의 운동에 의해 잘못 송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센서(S7)는 노트(B)가 한 장 이상인지를 검출한다. 위쪽으로 송출된 노트(B)는 도 2의 오른쪽으로 안내되어 제 2 송출 롤러(72)쌍에 의해 계속해서 송출된다. 도 2의 오른쪽에 송출된 지폐(B)의 통로는 센서(S6)쌍에 의해 검출되며, 전기 모터(25)는 정지되어 다음 동작을 준비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전기 모터(25)가 노트(B)의 제 2 송출 신호를 가질 때, 벨트(38)는 위쪽으로 향하여 주행되며 제 2 노트(B)는 위쪽으로 송출된다. 이 방식에서, 저장실(R)에는 소정 매수의 노트(B)가 저장된다. 소정 매수의 노트(B)가 저장실(B)에 축적될 때, 전기 모터(61)는 노트 인출 신호에 의해 계속해서 정회전된다. 전기 모터(61)가 정회전할 때, 안내편(92)은 하강하여 실선 위치로 이동하며, 저장실(R)의 출구는 개방된다. 이 상태는 융기(99)와 조작판(65)의 센서(S2)쌍에 의해 검출된다(도 2의 좌측).
융기(99)가 센서(S2)쌍에 의해 검출될 때, 전기 모터(70)는 정지되고 동시에 인출용 솔레노이드(도시 안함)가 구동된다. 롤러(97)가 솔레노이드에 의해, 관성력에 따라 주행하는 벨트(73)에 압착될 때, 노트(B)는 출구(E)에 전송될 것이다. 출구실(E)에 전송된 노트(B)가 손가락에 의해 추출될 때, 인출은 광학 센서(S9)쌍에 의해 확인된다. 노트(B) 인출이 확인되면, 전기 모터(61)는 정회전하며 융기(99)는 광학 센서(S1)쌍에 의해 검출된다. 센서(S1)쌍이 융기(90)를 확인하면, 전기 모터(61)는 정지하며, 기립 상태로 귀환하고, 팬 장치(23, 24)들은 기립 상태에서 정지한다.
그 결과, 안내편(92)은 일점쇄선의 위치에 놓이며, 다시 말해서, 안내편(92)은 저장실(R)의 출구를 폐쇄한다. 물론, 한 쌍의 프리 장치(F)가 이전의 기립 위치로 귀환된다. 예를 들어 노트(B)의 매수가 2개임이 광학 센서(S7)에 의해 검출될 때, 전기 모터(61)는 역회전한다. 전기 모터(61)가 역회전되면, 안내편(92)은 융기되며 이점쇄선의 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동시에, 융기(99)는 광학 센서(S2)쌍에 의해 검출된다. 센서(S2)쌍이 융기(99)를 확인하면, 전기 모터(61)는 정지된다. 그리고, 인출용 솔레노이드(도시 안함)가 구동되며 그 후에 주행 벨트(73)가 롤러(97)에 의해 압착된다.
결과적으로, 저장실(R)의 노트(B)는 상승된 안내편(92)에 의해 안내되어 회수실(54)에 송출된다. 저장실(R)의 노트(B)가 회수실(54)에 송출될 때, 노트(B)의 통과는 센서(S9)쌍에 의해 검출된다. 노트(B)의 통과가 확인되면, 전기 모터(61)가 정회전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노트(B)의 인출을 준비한다. 또한, 송출 장치(D)의 벨트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로 제작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벨트(38)는 하나다. 물론, 두 개의 벨트(38)가 상호 근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벨트(38)는 슬랜더 형상의 것이다. 물론, 넓고 많은 벤트를 갖는 벨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물론 벨트(38) 대신에 고무 체인과 같은 캐터필터 타입의 고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부(34)에는 복수의 스페이서(35)들이 장착되지만, 물론 복수의 롤러(37)만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롤러(37)들은 가이드부(34)상에 고정된 미세 축상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그리고 풀리지 않도록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편(36)은 불필요하며 또한 벨트(38)의 장착은 매우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팬 장치(23, 24)가 사용되지만, 물론 단지 하나의 팬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 바디(31)가 베이스판(11)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몰론 벨트의 교환은 매우 용이하다. 추가로, 모든 필요한 부품들이 베이스판(11)상에 고정되기 때문에, 물론, 이 장치는 베이스판(11)이 기울지거나 수직하게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물론 이 장치의 구멍(M)이 위쪽 또는 아래쪽 또는 경사지게 위치 설정될지라도, 이 장치는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케이스(C)를 개량할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노트 프리 장치(F)를 개량할 필요도 있다.
예를 들어, 프리 장치(F)의 후크형 판(67)은 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크형 판(67)의 개수는 3개가 적당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단순 구조를 조합하므로써 큰 효과가 얻어질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라서, 소형 팬, 고무 벨트, 전기 모터의 조합에 의해 작고 단순한 구조를 갖는 노트 송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라서, 노트들이 차례로 확실하고 신속하게 계수되어 송출될 수 있는 큰 장점이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서, 장치를 소형으로 하고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 노트들은 확실히 계수되어 송출된다.

Claims (6)

  1. 지폐 인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를 흡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흡인 수단과;
    이 흡인 수단에 배치된 배기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의 구멍을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흡착된 지폐를 이 지폐의 흡착에 대항하여 송출하기 위한 송출 수단을 포함하는 지폐 인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송출 수단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는 지폐 인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송출 수단은 무한 벨트로 이루어진 지폐 인출 장치.
  4.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에 있어서,
    무압력 자유 상태에서 지폐를 준비하기 위한 지폐 준비 수단과;
    상기 지폐를 흡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흡인 수단과;
    이 흡인 수단에 배치된 배기 수단과;
    상기 흡인 수단의 구멍을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흡착된 지폐를 이 지폐의 흡착에 대항하여 송출하기 위한 송출 수단을 포함하는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송출 수단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는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송출 수단은 무한 벨트로 이루어진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
KR1019990035330A 1998-09-08 1999-08-25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 KR100600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91256 1998-09-08
JP29125698A JP4065907B2 (ja) 1998-09-08 1998-09-08 紙幣の払い出し装置
JP30159898A JP4022581B2 (ja) 1998-09-16 1998-09-16 紙幣の払い出し装置
JP10-301598 1998-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756A true KR20000022756A (ko) 2000-04-25
KR100600417B1 KR100600417B1 (ko) 2006-07-13

Family

ID=2655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330A KR100600417B1 (ko) 1998-09-08 1999-08-25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06016B1 (ko)
EP (1) EP0989082B1 (ko)
KR (1) KR100600417B1 (ko)
CN (1) CN1131498C (ko)
AU (1) AU761703B2 (ko)
DE (1) DE69900962T2 (ko)
ES (1) ES2174559T3 (ko)
TW (1) TW42296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81B1 (ko) * 2002-07-18 2005-03-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낱장 인출장치
KR100959480B1 (ko) * 2008-01-03 2010-05-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자동 티켓 발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5907B1 (en) * 1998-11-13 2005-01-25 Diebold, Incorporated Cash delivery apparatus for motor fuel dispenser or other self service facility
GB2369230B (en) * 2000-11-01 2005-01-19 Lg Electronics Inc A clutch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media dispenser
JP4002968B2 (ja) * 2002-08-27 2007-11-07 旭精工株式会社 紙幣払出装置
EP1537506A4 (en) * 2002-09-12 2007-02-07 Diebold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APER ENCOUNTERING IN AN AUTOMATIC BANKING WINDOW
JP4770757B2 (ja) 2007-02-28 2011-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送り出し装置および媒体処理装置
US9002509B2 (en) * 2010-12-28 2015-04-07 Digital Storage Solutions, Inc. System for writing and dispensing solid-state storage devices
CN102855693A (zh) * 2012-09-10 2013-01-0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能记录影像的清分机
CN109102627B (zh) * 2018-07-27 2020-09-25 武汉新海斯淘生物科技有限公司 药品自助售卖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7463A (en) * 1963-07-16 Packaging machine
US3103355A (en) * 1962-04-18 1963-09-10 Gen Electric Hinged gate document feeder
GB1236693A (en) * 1968-05-24 1971-06-23 Hitachi Ltd Card feeding apparatus
US3735976A (en) * 1971-11-12 1973-05-29 Rca Corp Document picker
SE401048B (sv) * 1974-08-29 1978-04-17 Lundblad Leif For sedlar avsedd penningautomat
FR2395213A1 (fr) * 1977-06-02 1979-01-19 Martin Sa Dispositif d'introduction synchronisee de plaques dans une machine de traitement
GB1580598A (en) * 1977-06-02 1980-12-03 Martin S Devices for feeding sheet material
US4363478A (en) * 1979-07-23 1982-12-14 Yasuhiro Tsukasaki Method and apparatus of feeding corrugated boards
JPS5897790A (ja) * 1981-12-07 1983-06-10 Laurel Bank Mach Co Ltd 紙葉類計数機
JPS58191093A (ja) * 1982-04-30 1983-11-08 Laurel Bank Mach Co Ltd 紙葉類計数機
JPS5932087A (ja) * 1982-08-14 1984-02-21 Laurel Bank Mach Co Ltd 紙葉類計数機
US4678175A (en) * 1985-11-18 1987-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eet money feeding machine with improved separation means
KR900004049B1 (ko) * 1987-05-08 1990-06-09 한연섭 흡입식 지폐계수기의 제어회로
US5074539A (en) * 1990-09-11 1991-12-24 Ward Holding Company, Inc. Feeding sheets of corrugated paperboard
US5139251A (en) * 1991-07-02 1992-08-18 Bell & Howell Company Deflector device for document feeder
KR100192633B1 (ko) * 1996-04-27 1999-06-15 한연섭 진공흡입식 지폐계수기와 그 작동방법
JPH101235A (ja) * 1996-06-13 1998-01-06 Asahi Seiko Kk シート体の払い出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81B1 (ko) * 2002-07-18 2005-03-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낱장 인출장치
KR100959480B1 (ko) * 2008-01-03 2010-05-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자동 티켓 발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9082B1 (en) 2002-03-06
CN1131498C (zh) 2003-12-17
US6406016B1 (en) 2002-06-18
AU761703B2 (en) 2003-06-05
TW422962B (en) 2001-02-21
EP0989082A2 (en) 2000-03-29
AU4741099A (en) 2000-03-16
ES2174559T3 (es) 2002-11-01
CN1247353A (zh) 2000-03-15
DE69900962D1 (de) 2002-04-11
KR100600417B1 (ko) 2006-07-13
DE69900962T2 (de) 2002-09-12
EP0989082A3 (en) 200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4444A (en)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KR970005398B1 (ko) 지폐처리장치
KR100600417B1 (ko)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
US4251010A (en) Certificate dispenser
KR0120913B1 (ko) 지폐처리장치
EP1396822B1 (en) A driving unit of a storing unit for an automatic note receiving storing unit
KR100838096B1 (ko) 자동 지폐 저장 장치
JPH07168960A (ja) 硬貨整列器
JP4274396B2 (ja) シート分配機構
EP1249414A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CA2428904A1 (en) Compact stacker for notes of various widths
CN1252654C (zh) 纸币处理装置
CN112017355A (zh) 一种钞票竖直输送的新型机芯通道
KR101009109B1 (ko) 금융자동화기기
JP4022581B2 (ja) 紙幣の払い出し装置
JP3552819B2 (ja) 紙幣収納庫
JPH0435973Y2 (ko)
KR950004413Y1 (ko) 지폐 지급기의 지폐자동인도장치
KR0134308Y1 (ko) 티켓 발매기용 지폐수납장치
KR20010030309A (ko)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
JP4065907B2 (ja) 紙幣の払い出し装置
JPH07157108A (ja) 紙葉類処理装置
KR880002474B1 (ko) 지폐 수입 장치
JPH0319012Y2 (ko)
JPH081231Y2 (ja) 紙片用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