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309A -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309A
KR20010030309A KR1020000053005A KR20000053005A KR20010030309A KR 20010030309 A KR20010030309 A KR 20010030309A KR 1020000053005 A KR1020000053005 A KR 1020000053005A KR 20000053005 A KR20000053005 A KR 20000053005A KR 20010030309 A KR20010030309 A KR 20010030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oney
shutter
opening
cassette devic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베히로시
Original Assignee
아베 히로시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921696A external-priority patent/GB2353990B/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84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73544A/ja
Application filed by 아베 히로시,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베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1003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309A/ko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되는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의 대형의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지폐가 카세트 장치의 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적층된 다수의 지폐를 저장하기 위해 대략 박스형이며, 지폐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카세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카세트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와, 상기 셔터를 이동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개구부가 상기 셔터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셔터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체결 수단을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Cassette Equipment For Storing Paper Money}
본 발명은 현재 유통되는 다수의 지폐를 저장하기 위한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거의 직립 상태인 다수의 중첩된 지폐를 저장하기 위한 카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장치는 예를 들면, 지폐용 지불 장치 내에 배치되며 지폐 지불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원에서 용어 "지폐"는 유통되는 종이류(sheet) 화폐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원에서 용어 "지폐"는 주식 증서, 수표 등과 같은 유가 증권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용어 "지폐"는 티켓 및 게임용 모조 지폐와 같은 소형의 종이류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본원에서 용어 "지폐"는 종이 또는 수지의 시트 등의 지엽류를 포함한다.
종래, 다양한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이러한 장치는 본 출원인에 허여된 영국특허 제 9921355.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7의 사시도에는, 상술한 카세트 장치(5)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단면 단부도에는, 상기 카세트 장치(5)가 지불 장치(1) 내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장치(5)는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도 7 참조). 카세트 장치(5)에는, 다수의 중첩된 직사각형 종이류(S)가 종방향으로 직립되어 있으며, 약간 경사진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카세트 장치(5)는 대형의 직사각형 베이스 플레이트(13)를 갖는다. 다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양측에는, 대형의 한 쌍의 사다리꼴 측부 보드(10,11)가 각각 직립되어 있다.
한 쌍의 측부 보드(10,11) 사이에 위치된 직사각형 상부 플레이트(12) 및 그의 상부는 예를 들면, 후방 플레이트(15)에 결합된다. 후방 플레이트(15)와 일체로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12)는 카세트 장치(5)로부터 제거 가능한 리드(lid)를 형성한다. 카세트 장치(5)의 나머지 개구부에는, 직사각형 전방 플레이트(14)가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다. 전방 플레이트(14)는 대형의 개구부(17)를 가지며, 직사각형 종이류(S)는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7)로부터 선별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7)의 상부의 양 코너부에는, 직사각형 종이류(S)의 양 코너부를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탭(19)이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장치(5)의 내부는, 직사각형 압력 보드(3)가 전방 플레이트(14)(도 8 참조)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압력 보드(3)는 전방 플레이트(14)의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압력 보드(3)는 경사진 상태로 종방향으로 직립되어 있는(도시 않음) 다수의 중첩된 직사각형 종이류(S)를 유지한다. 또한, 압력 보드(3)는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 플레이트(14) 방향으로 흡인된다. 또한, 압력 보드(3)의 경사진 상태는 샤프트(72,73)와 슬롯(74,75)에 의해 유지된다.
직사각형 종이류(S)용 지불 장치(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각의 평행 육면체형 대형 박스이다. 지불 장치(1)는 한 쌍의 대형의 측부 보드(2)와, 직사각형 상부 플레이트(도시 않음) 및, 베이스 플레이트(2B)로 구성된다. 지불 장치(1)의 우측 단부 개구부는 대형의 단부 플레이트(도시 않음)에 의해 폐쇄된다. 지불 장치(1)의 좌측 단부 개구부의 상부는 소형의 단부 플레이트(2E)에 의해 폐쇄된다. 다시 말하면, 카세트 장치(5)는 지불 장치(1)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카세트 장치(5)가 지불 장치(1) 내로 삽입될 때, 경사진 전방 플레이트(14)는 직사각형 종이류(도 8 참조)용 배출 기구(25)에 직면한다. 배출 기구(25)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 대형의 U형 프레임(26)을 갖는다. 프레임(26)의 양 단부의 각각의 하부에는, 기다란 샤프트(8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다. 따라서, 배출 기구(25)는 카세트 장치(5)(도 8 참조)의 전방 플레이트(14)를 위해 상승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샤프트(80)의 중앙에는, 직사각형 종이류 이송용 롤러(28)가 적합하게 고정된다.
롤러(28)는 전방 플레이트(14)(도 7 참조)의 하부에서 개방된 소형의 윈도우(18) 내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26)의 양 단부의 각각의 상부에는, 약간 기다란 슬롯(39,40)이 개방되어 있다. 게다가, U형 프레임(26)의 중앙에는, 팬용 하우징(83)이 고정된다. 상기 입방형 하우징(83)에는, 대형의 입방형 튜브의 흡인 박스(29)가 고정된다. 다음, 팬용의 다른 하우징(82)이 상기 흡인 박스(29)의 상부 외측에 고정된다.
흡인 박스(29)의 중앙에는, 샤프트(84)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다. 다음, 샤프트(84)의 중앙에는, 직사각형 종이류 이송용 롤러(27)가 고정된다. 또한, 롤러(27)는 전방 플레이트(도 7 참조)의 대형의 개구부(17) 내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벨트(85)는 샤프트(84)의 외측 에지부에 걸쳐 교차되며, 샤프트(80)와 함께 이동된다. 도 8에 있어서, 샤프트(80) 주위의 배출 기구(25)의 이동은 상부 전기 모터(30)에 의해 제어된다.
먼저, 전기 모터(30)는 대형 기어(31)와 소형 기어(32)를 경유하여 대형 기어(36)를 회전시킨다. 회전하는 기어(36) 상의 볼트(38)는 슬롯(39)을 거쳐서 전방 플레이트(14)에 대해 배출 기구(25)를 왕복 운동 시킨다. 배출 기구(25)가 전방 플레이트(14)에 접근할 때, 하우징(82,83) 내의 팬(도시 않음)이 구동된다. 팬의 구동에 의해, 흡인 박스(29)의 내부는 부압이 형성된다. 이 결과, 전방 플레이트(14)의 표면 상의 한장의 직사각형 종이류(S)만이 흡인 박스(29)의 개구부에 흡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표면 상의 하나의 직사각형 종이류(S1)는 카세트 장치(5)의 개구부(17)를 통해 흡인 박스(29)에 흡착될 수 있다. 직사각형 종이류(S)가 흡인 박스(29)에 흡착될 때, 배출 기구(25)는 전기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전방 플레이트(14)로부터 분리된다. 즉, 흡인 박스(29)에 흡착된 하나의 직사각형 종이류(S)만이 개구부(17)로부터 선별 배출된다. 이 상태는 도 8의 단면 단부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배출 기구(25)에 의해 선별 배출된 직사각형 종이류(S)는 하부 전기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배출된다.
전기 모터(41)가 구동될 때, 샤프트(80)는 대형 기어(42)와 소형 기어(43)를 거쳐서 회전된다. 회전되는 샤프트(80)에 의해, 롤러(27,28)가 구동되며, 흡착된 직사각형 종이류(S)는 상향으로 배출된다. 상향으로 이송되는 직사각형 종이류(S)는 이송 기구(50)(설명 생략)에 의해 지불 장치(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도 8의 좌측 참조).
그러나, 상술한 직사각형 종이류(S) 저장용 카세트 장치(5)는 약간 대형의 개구부(17)를 갖기 때문에,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지폐와 같은 직사각형 종이류(S)가 대형의 개구부(17)에 노출되기 때문에, 안전성의 관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에 형성되며 지폐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운반되는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의 대형의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지폐가 카세트 장치의 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카세트가 지불 장치로부터 배출될 때, 카세트 장치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세트가 지불 장치 내로 삽입될 때, 카세트 장치의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적층된 다수의 지폐를 저장하기 위해 대략 박스형이며, 지폐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카세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카세트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와, 상기 셔터를 이동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개구부가 상기 셔터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셔터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체결 수단을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셔터가 만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셔터 이동 수단이 권취 스프링(winding spring) 및 셔터를 갖춘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카세트 장치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좌측으로부터 본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카세트 장치가 지폐용 지불 장치 내에 약간 삽입된 경우를 도시하는 개략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카세트 장치가 지폐용 지불 장치 내에 더욱 삽입된 경우를 도시하는 개략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카세트 장치가 지폐용 지불 장치 내에 깊숙히 삽입된 경우를 도시하는 개략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카세트 장치가 지폐용 지불 장치 내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를 도시하는 개략 측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카세트 장치가 사용되는 직사각형 종이류용 지불 장치의 단면 단부도.
도 9는 도 8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 20,30 : 하부 레일
32,33 : 하부 후크 35,36 : 권취 스프링
40,50 : 상부 레일 52,53 : 상부 후크
71 : 셔터 76 : 개구부
90 : 지폐용 지불 장치
본 발명에 따를 실시예의 카세트 장치(10)는 대형의 직사각형 베이스 플레이트(11)를 갖는다.
다음, 측부 보드(12,13)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양측에 직립되어 각각 형성된다. 측부 보드(12,13)는 쌍을 형성하며, 각각의 선단부에서 빗변 부분을 갖는 대형의 대략 사다리꼴의 보드이다(도 2 참조). 측부 보드(12,13)의 각각의 빗변 부분은 각각 내향 만곡되어 있으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15) 내로 형성된다. 또한, 측부 보드(12,13) 상에는, 가이드 레일(14,15)을 피복하는 커버 보드(23, 24)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선단부(27)는 돌출되며 상향 만곡되어 있다(도 2의 우측 참조).
즉, 상기 선단부(27)는 보드(23,24)의 선단부를 피복하며, 또한 카세트 장치(10)의 전방부의 날카로운 부분을 피복한다. 측부 보드(12,13)의 표면 부분에는, 각각의 띠형상 부분(16,17)이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다음, 측부 보드(12,13)가 띠형상 부분(16,17)에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선단부에는, 소형의 가이드 평면(21,22)이 형성되어 있다. 띠형상 부분(16,17)의 각각의 선단부의 일부는 각각 내향 만곡된다. 부가로, 측부 보드(12,13)의 각각의 하부 에지부에는, 가느다란 홈(25,26)이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가느다란 홈(25,26)은 카세트 장치(10)의 날카로운 부분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각각 개방되어 있다. 한 쌍의 측부 보드(12,13)의 각각의 날카로운 부분 사이에는, 하부 샤프트(31)가 고정된다. 다음, 하부 샤프트(31)의 각각의 에지부에는 소형의 하부 후크(32,33)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다. 또한, 하부 샤프트(31)의 각각의 에지부에는, 와선형 권취 스프링(35,36)이 각각 장착된다. 한 쌍의 띠형상 부분(16,17)의 각각의 선단부 사이에는, 상부 샤프트(51)가 유사하게 고정된다.
다음, 상부 샤프트(51)의 각각의 에지부에는, 소형의 상부 후크(52,53)가 회전 가능하게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장착된다. 카세트 장치(10)의 상부에는, 단부면이 편평한 U형인 편평한 상부 플레이트(55)가 개방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약간 대형의 직사각형 상부 플레이트(55)는 한 쌍의 측부 보드(12,13) 사이에 개방 가능하게 제공된 리드를 형성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55)의 각각의 측부는 만곡되며 각각 직립 부분을 형성한다. 상부 플레이트(55)의 직립 부분의 각각의 선단부는 상부 샤프트(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부 플레이트(55)의 직립 부분의 각각의 베이스에는, 가느다란 슬롯(56,57)이 선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를 향하여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55)의 중앙 선단부(59)는 돌출되며 하향 만곡된다. 다시 말하면, 중앙 선단부(59)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15)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슬롯(56,57)의 각각의 상부 표면은 가이드 레일(14,15)의 각각의 상부 표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55)의 직립 부분의 각각의 상부측은 각각 외향으로 만곡되며, 피복편(61,62) 내에 형성된다. 게다가, 피복편(61,62)의 각각의 후방 단부에는, 하향 돌출부(63,64)가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돌출부(63,64)는 띠형상 부분(16,17)의 각각의 후방 단부에 접촉 가능하게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띠형상 부분(16,17)의 각각의 상부 표면과, 각각의 피복편(61,62) 사이에는 가느다란 홈(65,66)이 각각 형성된다. 즉, 가느다란 홈(65,66)은 각각의 띠형상 부분(16,17)의 전방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각각 개방될 수 있다. 도 1의 중앙부에 도시한 셔터(71)는 손목 시계의 줄과 같이 만곡 가능하게 형성된다. 셔터(71)는 예를 들면 다수의 신장된 축방향 플레이트(72)를 갖는다.
축방향 플레이트(72)의 각각의 에지부에는, 핀 샤프트(73)가 외향 돌출되어 있으며, 축방향 플레이트(72)의 양측에는 홈이 적합하게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플레이트(72)의 각각의 홈에는, 소형판(platelet)이 각각 매설되며, 상기 소형판은 가느다란 힌지 샤프트(75)에 의해 결합된다. 즉, 힌지 샤프트(75)에 의해, 축방향 플레이트(72)와 소형판(74)은 기다란 만곡 가능한 평판형 셔터(71)에 결합된다. 상기 기다란 만곡 가능한 평판형 셔터(71)는 카세트 장치(10)의 경사면, 즉 대형의 전방 개구부(76)(도 1 참조)를 피복한다. 셔터(71)를 구성하는 우측 및 좌측 핀 샤프트(73)의 그룹은 우측 및 좌측 가이드 레일(14,15)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각각 위치된다.
셔터(71)의 하부 또는 선단부에서의 우측 및 좌측 핀 샤프트(73) 상에는, 권취 스프링(35,36)의 각각의 선단부가 각각 고정된다. 다음, 도 1의 상태에서, 최하부에서의 우측 및 좌측 핀 샤프트(73)는 우측 및 좌측 하부 후크(32,33)(도 2 참조)에 의해 각각 파지될 수 있다. 또한, 소형의 스프링이 한 쌍의 하부 후크(32, 33)에 적합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상태에서, 셔터(71)의 상부 또는 후방 단부에서의 우측 및 좌측 핀 샤프트(73)는 우측 및 좌측 상부 후크(52,53)(도 2 참조)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소형의 스프링이 한 쌍의 상부 후크(32,33)에 적합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스토퍼(77,78)는 셔터(71)의 후방 단부에서 축방향 플레이트(72)의 외측에 힌지 결합된 각각의 단부 소형판(74)에 각각 직립된다. 또한, 약간 대형의 직사각형 보드인 후방 플레이트(79)의 상단부는 상부 플레이트(55)의 후방 단부에서 선회된다. 키 장치(68)는 후방 플레이트(79)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술한 카세트 장치(10)는 예를 들면,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지폐용 지불 장치(9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지폐용 지불 장치(90)는 대형의 직각의 평행 육면체 박스로 개략적으로 구성된다. 지폐용 지불 장치(90)의 후방 단부는 넓게 개방되며, 카세트 장치(10)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자유롭게 수용된다.
상기 대형의 개방부는 베이스 플레이트(92)와, 우측 및 좌측 보드(93,94) 및, 지불 장치(90)의 상부(95)에 의해 형성된다(도 1 참조). 상부(95)의 하측에는, 대형의 홈(96,97)이 형성된다. 카세트 장치(10)의 각각의 피복편(61,62)은 각각의 대형 홈을 각각 통과할 수 있다. 게다가, 상부(95)의 하측에는, 소형 홈(98, 99)이 형성된다. 카세트 장치(10)의 각각의 스토퍼(76,77)는 각각의 소형 홈을 각각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60,70)가 스토퍼(76,77)를 정지시키기 위해 소형 홈(98,99)에 각각 형성된다. 지불 장치(90)의 각각의 측부 보드(93,94)에서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 레일(20,30)이 각각 형성된다.
하부 레일(20,30)은 카세트 장치(10)의 가느다란 홈(25,26) 내로 각각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다(도 1 참조). 게다가, 각각의 측부 보드(93,94)에서의 내측 상부에는, 상부 레일(40,50)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 레일(40,50)은 카세트 장치(10)의 가느다란 홈(65,66) 내로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예를 사용할 때, 먼저, 후방 플레이트(79)가 피봇 샤프트 주위로 회전되며 카세트 장치(10)로부터 개방된다(도 2 참조).
다음, 상부 플레이트(55)는 상부 샤프트(51) 주위로 회전 및 상승되며 각각의 측부 보드(12,13) 사이의 공간은 개방된다. 카세트 장치(10) 내의 압력 보드(도시 않음)는 스프링(도시 않음)에 대항하여 셔터(71)로부터 이격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다음, 다수의 중첩된 지폐는 한 쌍의 측부 보드(12,13) 사이로 삽입되며, 압력 보드 상에 위치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지폐와 함께 압력 보드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셔터(71)의 방향으로 흡인된다. 다음, 한 쌍의 측부 보드(12,13) 사이의 공간은 상술한 작동과는 반대로 상부 플레이트(55)와 후방 플레이트(79)에 의해 폐쇄된다.
즉, 카세트 장치(10)의 개구부는 상부 플레이트(55)와 후방 플레이트(79)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결합된 상부 플레이트(55)와 후방 플레이트(79)는 키 장치(78)에 의해 적합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폐쇄된 카세트 장치(10)는 대형의 개구부(도 3 참조)를 통해 지불 장치(90) 내로 삽입된다. 즉, 카세트 장치(10)의 피복편(61,62)은 지불 장치(90)의 대형 홈(96,97) 내로 각각 삽입된다(도 1 참조). 동시에, 카세트 장치(10)의 스토퍼(76,77)는 지불 장치(90)의 소형 홈(98,99) 내로 각각 삽입된다.
다음, 카세트 장치(10)는 상술한 상태에서 지불 장치(90) 내로 더욱 압박된다. 이 결과, 상부 레일(40,50)은 가느다란 홈(65,66) 내로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기다란 상부 레일(40,50)은 상부 샤프트(51)(도 3 참조) 주위로 상부 후크(52,53)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셔터(71)의 상부 또는 후방 단부의 핀 샤프트(73)는 자유롭게 된다. 카세트 장치(10)는 상술한 상태에서 지불 장치(90) 내로 더욱 압박된다. 이 결과, 하부 레일(20,30)은 가느다란 홈(25,26) 내로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기다란 하부 레일(20,30)은 하부 샤프트(31)(도 4 참조) 주위로 하부 후크(32,33)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셔터(71)의 선단부 또는 하부의 핀 샤프트(73)는 자유롭게 된다. 이 상태에서, 카세트 장치(10)는 지불 장치(90) 내로 더욱 압박된다. 이 결과, 카세트 장치(10)의 스토퍼(77,78)는 지불 장치(90)(도 5 참조)의 단차부(60,70) 상에 파지될 수 있다. 게다가, 카세트 장치(10)가 지불 장치(90) 내로 더욱 압박될 때, 셔터(71)는 잡아 당겨질 수 있다.
즉, 권취 스프링(35,3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셔터(71)는 잡아 당겨진다. 카세트 장치(10)가 지불 장치(90) 내로 완전하게 압박될 때, 셔터(71)는 경사진 대형의 개구부(76)(도 6 참조)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카세트 장치(10)의 전방부에서 개구부(76)는 넓게 개방되며 카세트 장치(10) 내의 지폐의 배출을 준비한다. 지불 장치(90)의 배출 기구(도시 않음)가 구동될 때, 개구부(76)에 노출된 지폐만 선별 배출된다(도 8에 대한 설명 참조). 선별 배출된 지폐(도시 않음)는 이송 기구(도시 않음)에 의해 지불 장치(9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에 도시한 상태의 카세트 장치(10)가 지불 장치(90)로부터 흡인될 때, 셔터(71)는 개구부(76)를 피복한다. 즉, 카세트 장치(10)가 지불 장치(90)로부터 흡인될 때, 권취 스프링(35,36)의 안정된 힘이 작용한다(도 5 참조). 스토퍼(77,78)의 이동은 단차부(60,70)에 의해 중단된다. 그러나, 권취 스프링(35,36)의 안정된 힘이 작용하며, 셔터(71)는 하향으로 잡아 당겨진다. 카세트 장치(10)가 지불 장치(90)로부터 더욱 흡인되면, 셔터(71)는 대형의 개구부(76)를 완전하게 폐쇄시킨다(도 4 참조).
이 상태에서 카세트 장치(10)가 지불 장치(90)로부터 더욱 흡인될 때, 하부 후크(32,33)는 자유롭게 된다. 즉, 하부 후크(32,33)는 하부 레일(20,30)로부터 이격 분리되며, 상기 후크는 예를 들면 자중에 의해 직립 상태가 된다. 이 결과, 하부 후크(32,33)는 셔터(71)의 하부 단부에서 핀 샤프트(73)를 파지할 수 있다(도 3 참조). 게다가, 상부 후크(52,53)는 카세트 장치(10)가 지불 장치(90)로부터 더욱 흡인될 때, 자유롭게 된다. 즉, 상부 후크(52,53)는 상부 레일(40,50)로부터 이격 분리되며, 상기 후크는 예를 들면, 자중에 의해 직립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상부 후크(52,53)는 셔터(71)의 상부 단부에서 핀 샤프트(73)를 파지할 수 있다(도 2 참조).
따라서, 셔터(71)의 이송은 상부 후크(52,53)와 하부 후크(32,33)에 의해 중단된다. 즉, 셔터(71)는 상부 후크(52,53)와 하부 후크(32,33)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카세트 장치(10)가 지불 장치(90)로부터 완전하게 배출되더라도 개구부(76)는 노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개구부(76)가 셔터(71)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카세트 장치(10)는 지불 장치(90)로부터 배출된다. 셔터(71)는 손목 시계의 줄 형상의 부재로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셔터(71)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셔터(71)는 만곡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치된 단면이 S형인 다수의 가느다란 보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셔터는 각각의 에지부가 수지로 형성된 각각의 연속적인 캡 내로 삽입된 가느다란 철(iron) 로드로 만곡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셔터는 만곡 가능한 박판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소형 롤러가 상부 레일(40,50)을 따라 주행하는 상부 후크(52,53)에 부착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소형 롤러는 하부 레일(40,50)을 따라 주행하는 하부 후크(52,53)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소형 롤러는 가이드 레일(14,15)을 따라 주행하는 셔터(71)의 핀 샤프트(73)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의 개략도는 셔터 기구가 카세트 도 7의 카세트 장치(5)에 부가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의 카세트 장치(201)는 도 7과 거의 유사하게 제설용 제설차 형상을 갖는다.
상기 카세트 장치(201)는 직사각형 베이스 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양측에 각각 직립된 약간 대형의 사다리꼴 측부 보드(221)를 갖는다. 다음, 각각의 측부 보드(221)의 내부에는, 빗변 부분을 따라 상측 부분에 슬롯(ST)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기다란 슬롯(ST)은 기다란 홈이다. 그러나, 슬롯은 개방 구멍일 수도 있다. 측부 보드(221)의 빗변 부분의 한 쌍의 슬롯(ST)의 하부에는, 윈도우 보드(23)가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측부 보드(221)의 표면 부분의 한 쌍의 슬롯(ST)의 하부에는, 직사각형 리드 플레이트(25)가 개방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측부 보드(221) 사이의 후방에는, 약간 소형의 단부 플레이트(26)가 개방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 7과 유사하게, 단부 플레이트(26)의 상부에는 리드 플레이트(25)의 단부가 지점(27)에서 선회된다. 또한, 한 쌍의 측부 보드(221)의 표면 부분에는, 약간 대형의 직사각형 커버 보드(251)가 예를 들면 체결 가능하게 선회된다. 지폐 회수용 슬롯(241)은 상기 커버 보드(251)의 후방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기다란 슬롯(ST) 사이에는, 만곡 가능한 셔터(S)가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셔터(S)는 편평한 상태로 배치된 기다랗고 편평한 다수의 가느다란 보드(P)를 갖는다. 다음, 상기 각각의 가느다란 보드(P)의 하부에는, 가느다란 로드(R)가 각각 설치된다. 가느다란 로드(R)의 각각의 단부는 측부 보드(221) 상의 각각의 슬롯(ST) 내로 각각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가느다란 보드(P)는 서로에 대해 만곡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면, 인접한 가느다란 보드(P)는 얇은 샤프트와 소형 링크(도시 않음)에 의해 서로 힌지 결합된다. 또한, 다수의 가느다란 보드(P)가 수지 성형품으로 제조될 때, 인접한 가느다란 보드(P)는 일체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셔터(S)가 폐쇄된 위치를 도시한다. 즉, 윈도우 보드(23) 상의 개구부(17)(도시 않음)는 셔터(S)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셔터(S)를 잡아 당김으로써, 개구부(17)(도시 않음)는 해제된다. 이 때, 셔터(S)는 상부 플레이트(25)와 커버 보드(251) 사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세트 장치의 개구부는 단일 구성을 부가한 셔터에 의해 단순히 개폐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는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가 지불 장치 내로 삽입될 때, 자동으로 개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는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가 지불 장치로부터 배출될 때, 자동으로 폐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에 형성된 개구부와 내부에 노출된 지폐는 단순하게 개폐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가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의 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Claims (3)

  1. 적층된 다수의 지폐를 저장하기 위해 박스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폐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카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와,
    상기 셔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개구부가 상기 셔터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셔터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체결 수단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만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이동 수단은 상기 셔터를 갖춘 권취 스프링 및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치.
KR1020000053005A 1999-09-14 2000-09-07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 KR20010030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21696.2 1999-09-14
GB9921696A GB2353990B (en) 1999-09-09 1999-09-14 Sheet extraction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0084893A JP2001273544A (ja) 2000-03-24 2000-03-24 紙幣収納用カセット装置
JP2000-84893 2000-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309A true KR20010030309A (ko) 2001-04-16

Family

ID=3752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005A KR20010030309A (ko) 1999-09-14 2000-09-07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03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555B1 (ko) * 2003-06-05 2010-10-01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매체카세트 자동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555B1 (ko) * 2003-06-05 2010-10-01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매체카세트 자동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4386T3 (es) Disposicion de distribucion de efectivo para una maquina bancaria automatica.
US4235433A (en) Paper sheet storage box for paper sheet dispenser
KR100600417B1 (ko)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
KR20010030307A (ko) 지폐용 배출 장치
KR20010030309A (ko) 지폐 저장용 카세트 장치
JP2001273544A (ja) 紙幣収納用カセット装置
KR100613834B1 (ko) 현금 자동 지급 예입기용 지폐 보관장치
CN108665607B (zh) 纸币集积分离装置及纸币处理装置
JP3884794B2 (ja) 紙幣識別機
KR200394657Y1 (ko) 현금 자동 지급 예입기용 지폐 보관장치
JPH0431658Y2 (ko)
JPH0449725Y2 (ko)
JP2783382B2 (ja) レジスター内紙幣保管箱
KR960012661B1 (ko) 종이계수기
JPS6121744Y2 (ko)
KR200412510Y1 (ko) 상품권 배출기
KR200238185Y1 (ko) 휴대용계수기의가이딩구조
JP2007035005A (ja) 紙幣処理装置
KR200385262Y1 (ko) 지폐류취급기기용 수동셔터장치
JP3100299B2 (ja) 硬貨選別装置
JPS5816038Y2 (ja) 紙幣収納装置の插入案内装置
KR0134308Y1 (ko) 티켓 발매기용 지폐수납장치
JPH0950580A (ja) 紙幣収納箱
JPH082765Y2 (ja) 紙幣類識別機に於ける開閉支持軸の係止機構
JPH02417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