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510Y1 - 상품권 배출기 - Google Patents

상품권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510Y1
KR200412510Y1 KR2020060000763U KR20060000763U KR200412510Y1 KR 200412510 Y1 KR200412510 Y1 KR 200412510Y1 KR 2020060000763 U KR2020060000763 U KR 2020060000763U KR 20060000763 U KR20060000763 U KR 20060000763U KR 200412510 Y1 KR200412510 Y1 KR 200412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ft
gear
timing belt
voucher
gift certif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정해
Original Assignee
류정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해 filed Critical 류정해
Priority to KR2020060000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5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 장 수납된 상품권, 지폐, 경품권, 복권, 버스표, 다양한 종류의 티켓(이하, "상품권 등" 이라 한다)을 한 장씩만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품권이 한 장 이상 겹쳐서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배출기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상품권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측면판의 중간 부위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측 공간 및 하측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평판, 측면판의 정면에 소정 간극으로 이격되게 각각 체결되어 그 사이에 상품권 배출구를 형성하는 상부 정면판과 하부 정면판으로 이루어진 상품권 배출기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공간에 구비되고, 구동 모터, 그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 타이밍벨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기어와 연동되어 정면판측으로 회전하는 제2 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부 및 상기 측면판의 전방에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상측 공간의 후방을 상품권 수납 공간으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에 의해 정면판측으로 회전하는 타이밍벨트에 의해 수납된 상품권 중 맨 아래의 상품권 한 장만이 상기 상품권 배출구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걸러주는 걸림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은 상기 제1 기어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하게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이밍벨트는 그 원주 길이가 상품권의 전체 길이 보다 더 크고, 그 외주면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시 상기 제1 기어에 감겨 상기 평판의 개방구를 통하 여 상품권 수납 공간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타이밍벨트의 돌출부가 상기 상품권 중 맨 아래의 상품권 한장을 이끌어 상품권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를 제공한다.
상품권, 지폐, 배출기, 타이밍벨트

Description

상품권 배출기 {THE TICKET EJECTOR}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참고사시도이다.
도4a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일 구성요소인 제2 기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타 구성요소인 타이밍벨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구성요소인 걸림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구성요소 상호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도7 및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a, 110b: 측면판 120: 평판
130a, 130b: 상부 및 하부 정면판 131: 배출구
140: 구동모터 142: 제1 기어
144: 타이밍벨트 146: 돌출부
150: 제2 기어 152: 링형 부재
154: 요홈부 156: 타이밍벨트 수용부
160: 걸림 패드 162: 제1 걸림 부재
164: 제2 걸림 부재 166: 제3 걸림 부재
170: 가이드 봉 172: 베어링 부재
174: 지지봉 180: 누름판
190: PCB 기판
본 고안은 여러 장 수납된 상품권, 지폐, 경품권, 복권, 버스표, 다양한 종류의 티켓(이하, "상품권 등" 이라 한다)을 한 장씩만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품권이 한 장 이상 겹쳐서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배출기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상품권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품권 배출기 대부분은 다수의 상품권이 수납된 수납부 하측에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시킴으로써 그 롤러와 상품권의 마찰력에 의해 상품권이 배출구 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는 구조였다. 따라서, 롤러와 상품권의 마찰력 크기 또는 수납된 상품권의 수납 상태에 따라 2장 이상의 상품권이 겹쳐서 배출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80733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1)의 톱니부(1a)가 상품권을 배출구(2)측으로 이송시키고, 그 이송된 상품권을 제2롤러(3)와 제2피동롤러(4)가 협동하여 배출구(2)측으로 배출시키는 상품권 배출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도 제1롤러(1)의 톱니부(1a)가 두장 이상의 상품권을 이끌고 제2롤러(3)와 제2피동롤러(4)가 맞물려 회전되는 구간까지 이송시킬 경우에는 제2롤러(3)와 제2피동롤러(4)의 구동력에 의해 두장 이상의 상품권이 한꺼번에 배출구(2)측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맨 아래 장의 상품권이 맞닿게 되는 카트리지판(5)의 앞쪽에 돌출부(6)를 형성하여 상품권의 앞쪽이 들려지게 함으로써 2장 이상의 상품권이 배출되지 못하게 하였으나, 하루에도 수백 내지 수천번 동작하는 상품권 배출기의 특성상, 소정의 오차 범위내에서 2장 이상의 상품권이 배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품권과 타이밍벨트의 마찰력에 의해 상품권이 한 장씩 이끌려 배출되 게 함과 동시에, 배출구 측에 2장 이상의 상품권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 부재가 구비된 걸림 패드를 장착함으로써, 비록 2장 이상의 상품권이 타이밍벨트에 의해 이끌려 나올지라도 걸림 패드에 의해 걸러지게 되어 상품권이 한 장씩만 배출되게 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은 측면판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봉과 누름판을 구비함으로써 수납된 상품권의 수에 따라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다수 수납된 상품권을 바르게 정렬된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수납된 상품권 중 맨 아래에 있는 상품권이 타이밍벨트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배출구측으로 이끌려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걸림 패드에 제1 걸림부재, 제2 걸림부재, 제3 걸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두장 이상 이끌려 나오는 상품권을 3번의 걸림 작용에 의해 걸러줌으로써 2장 이상의 상품권이 한꺼번에 배출되지 않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한층 제고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두 장 이상의 상품권이 상기 걸림 패드에 의해서도 걸러지지 않고 배출될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측면판의 전방 일측에 장착된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동작 정지시킴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두장 이상의 상품권이 한꺼번에 배출되지 않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측면판의 중간 부위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측 공간 및 하측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평판, 측면판의 정면에 소정 간극으로 이격되게 각각 체결되어 그 사이에 상품권 배출구를 형성하는 상부 정면판과 하부 정면판으로 이루어진 상품권 배출기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공간에 구비되고, 구동 모터, 그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 타이밍벨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기어와 연동되어 정면판측으로 회전하는 제2 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부 및 상기 측면판의 전방에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상측 공간의 후방을 상품권 수납 공간으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에 의해 정면판측으로 회전하는 타이밍벨트에 의해 수납된 상품권 중 맨 아래의 상품권 한 장만이 상기 상품권 배출구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걸러주는 걸림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은 상기 제1 기어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하게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이밍벨트는 그 원주 길이가 상품권의 전체 길이 보다 더 크고, 그 외주면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시 상기 제1 기어에 감겨 상기 평판의 개방구를 통하여 상품권 수납부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타이밍벨트의 돌출부가 상기 상품권 중 맨 아래의 상품권 한장을 이끌어 상품권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판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장공(長空)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 장공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봉과 그 슬라이딩 봉에 체결되어 슬라이딩 봉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누름판이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판은 상기 제2 기어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상·하측 공간이 연통되게 개방되고, 상기 제2 기어의 몸체 양단에는 링형 부재가 각각 끼움 결합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링형 부재는 그 외주면 중앙을 따라 요홈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기어의 몸체 양단으로부터 끼움 결합된 링형 부재에 의해 제2 기어의 몸체 중앙에 타이밍벨트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체결된 타이밍벨트는 상기 제2 기어의 타이밍벨트 수용부에 체결되어, 제1 기어와 제2 기어를 연동되게 회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밍벨트는 타이밍벨트 너비의 양 끝단에 원주 둘레를 따라 보강띠가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 패드는 그 하단에 2단 구조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 삽입부의 중앙에는 상기 타이밍벨트 수용부에 대응하고 상기 타이밍벨트 수용부 보다 적은 너비를 가진 제1 걸림 부재가 구비되고, 전방 삽입부의 양측단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요홈부에 대응하고 그 요홈부 보다 적은 너비를 가진 제2 걸림 부재가 구비되고, 전방 삽입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외측에 서로 대응되게 제3 걸림 부재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걸림 부재, 제2 걸림 부재, 및 제3 걸림 부재는 탄성을 의 하측면은 상품권 배출구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형 부재 및 제1 내지 제3 걸림 부재는 탄성을 가진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판의 전방에는 가이드 봉이 구비되고, 그 가이드 봉에는 상기 제2 기어의 링형 부재와 대응하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상품권이 상품권 배출구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베어링 부재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 정면판의 하단에는 정전기 방지용 브러쉬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품권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측면판의 후방 하단부에는 지지봉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판의 전방 상단에 장착되어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 기판 및 상기 측면판의 전방 일측에 장착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한번에 배출되는 상품권이 두장 이상임을 감지할 경우, PCB 기판에 오작동 신호를 송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한 PCB 기판은 구동 모터를 정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CB 기판은 개별 장치에 따라 상품권을 배출시키는 작동 펄스 타이밍을 계산하여 기억하고, 그 기억된 작동 펄스 타이밍과 상이한 상품권 배출 작동 신호를 메인 장치로부터 수신할 경우,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상품권이라 지칭하고 있는 것은, 일반적인 상품권을 포함함은 물론 지폐, 경품권, 복권, 티켓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참고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100)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110a, 110b)과, 측면판(110a, 110b)의 중간 부위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측 공간 및 하측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평판(120), 측면판(110a, 110b)의 정면에 소정 간극으로 이격되게 각각 체결되어 그 사이에 상품권 배출구(131)를 형성하는 상부 정면판(130a)과 하부 정면판(130b)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110a, 110b)에는 서로 대응하게 다수의 체결공 또는 체결 장공이 형성되어 있어, 평판(120), 걸림 패드(160), 가이드 봉(170), 구동 모터(140), 제1 및 제2 기어(142, 150), 정면판(130a, 130b)이 한 쌍의 측면판(110a, 110b)에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 또는 체결 장공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상기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에 각각 구비되는 동력 전달부와 걸림 패드(1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구동 모터(140), 그 구동모터(14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142), 타이밍벨트(144)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기어(142)와 연동되어 정면판(130a, 130b)측으로 회 전하는 제2 기어(15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 모터(140)가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그 구동 모터(140)와 맞물려 있는 제1 기어(142)가 회전한다. 그 다음, 제1 기어(142)는 타이밍벨트(144)를 매개로 하여 제2 기어(150)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1 기어(142)가 정면판(130a, 130b)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타이밍벨트(144)에 의해 제2 기어(15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2 기어(15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걸림 패드(16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판(110a, 110b)의 전방에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상측 공간의 후방을 상품권 수납 공간으로 구획 형성한다. 따라서, 걸림 패드(160) 후측에 형성된 상품권 수납 공간에 다수의 상품권이 수납되어 보관된다. 걸림 패드(160)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에 의해 정면판측으로 회전하는 타이밍벨트(144)에 의해 수납된 상품권 중 맨 아래의 상품권 한 장만이 상기 상품권 배출구(131)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걸러주는 기능을 한다. 즉, 타이밍벨트(144)에 의해 한 장의 상품권이 배출구측으로 이송되게 되고, 그 이송되는 상품권이 두장 이상일 경우, 상기 걸림 패드(160)에 의해 걸러져 최종적으로는 한 장만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게 한다. 평판(120)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어(142)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하게 개방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시 제1 기어(142)에 감겨된 타이밍벨트(144)가 상기 평판의 개방구(121)를 통하여 상품권 수납 공간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게 되는 바, 그 타이밍벨트(144)의 돌출부(146)가 수납된 상품권 중 맨 아래의 상품권 한장만을 이끌어 상품권 배출구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 기 타이밍벨트에 형성된 돌출부(146)는 톱니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톱니부라 함은 다양한 모양의 톱니(예컨대 V 자형, U 자형 등)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회전시 연속적으로 상품권을 지지하여 이끌어 주는 기능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톱니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타이밍벨트(144)는 그 원주 길이가 상품권의 전체 길이 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이는 타이밍벨트(144)의 1회전에 의해 한 장의 상품권이 완전히 배출구(131)측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두 장 이상의 상품권이 타이밍벨트(144)의 1회전 동안 연속적으로 이끌려 나오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타이밍벨트(144)의 원주 길이가 상품권의 전체 길이 보다 적을 경우에는 한 장의 상품권이 완전히 배출되기 전에, 새로운 상품권이 연속적으로 타이밍벨트에 이끌려 나와 두 장의 상품권이 연속적으로 배출될 염려가 있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 장의 상품권이 완전히 배출된 후, 일정 간격을 두고 그 다음 상품권이 타이밍벨트의 돌출부에 의해 이끌려 배출되도록 구성한 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1. 타이밍벨트, 제2 기어, 걸림 패드의 구조
도4a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일 구성요소인 제2 기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타 구성요소인 타이밍벨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구성요소인 걸림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b를 참조하면, 타이밍벨트(144)는 그 내주면을 따라 톱니부(145)가 형성 되어 있고, 외주면 일측에는 돌출부(146)가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146)는 톱니부로 구성된다. 이 경우,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부의 양단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톱니를 사선 방향으로 절단시킴으로써, 타이밍벨트의 회전에 의해 톱니부가 상품권과 최초로 접하여 상품권을 이끌어 오는 과정에 있어서 톱니부가 상품권과 직접 접하는 마찰 면적이 증대되고, 그 결과 수납된 상품권이 톱니부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배출구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타이밍벨트 너비의 양 끝단에는 원주 둘레를 따라 보강띠(1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띠(148)는 특히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타이밍벨트가 기어에 감겨 회전할 경우, 타이밍벨트가 기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끝단의 원주 둘레를 따라 구비한 것이다. 도2 및 도4a를 참조하면, 제2 기어(150)는 그 축이 측면판(130a, 130b)의 대응하는 체결공에 체결되어 있어, 제2 기어(150)의 몸체는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기어(150)의 몸체 양단에는 링형 부재(152)가 각각 끼움 결합된다. 상기 링형 부재(152)는 그 외주면 중앙을 따라 요홈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링형 부재(152)가 제2 기어(150)의 몸체 양단으로부터 끼움 결합되면, 끼움 결합된 링형 부재(152)에 의해 제2 기어(150)의 몸체 중앙에 타이밍벨트 수용부(156)가 형성된다. 그 타이밍벨트 수용부(156)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144)가 수용되어 체결되고, 그 타이밍벨트(144)에 의해 제1 기어(142)로부터 전달된 힘이 제2 기어(15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5a 및 도5b를 참조하면, 걸림 패드(160)는 그 하단에 2단 구조의 삽입부(161a, 161b)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삽입부(161a)의 중앙에는 제1 걸림 부재 (16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전방 삽입부(161b)에는 별도의 보조 걸림 부재(16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그 보조 걸림 부재(165)의 양측단에는 제2 걸림 부재(164)가 위치하고, 그 중앙에는 제3 걸림 부재(166)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걸림 패드(160)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걸림 부재(162, 164, 166)는 상술한 제2 기어(150)와 상호 작용하여 한 장의 상품권만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걸림 부재(162)는 타이밍벨트(144)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는데, 제1 걸림부재(162)가 타이밍벨트(144), 특히 타이밍벨트의 돌출부(146)와 접하게 되어, 상품권 배출중에 상품권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 걸림 부재(164)는 링형 부재(152)의 요홈부(154)에 대응하도록 결합되고, 그 제2 걸림 부재(164)가 링형 부재(152)의 요홈부(154)에 소정 깊이 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요홈부(154) 보다 적은 너비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장의 상품권이 제1 걸림 부재(162)를 통과하여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2 걸림 부재(164)는 상기 링형 부재(152)의 요홈부(154)에 삽입되어 있어 그 제2 걸림 부재(164) 자체가 상품권 배출을 차단시킴으로써, 두 장의 상품권이 한꺼번에 연속적으로 배출되지 않게 한다. 상기 제3 걸림 부재(166)는 상기 제1 걸림 부재(162)의 외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제3 걸림 부재(166)가 제1 걸림 부재(162)를 외측방향으로부터 눌러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제1 걸림 부재가 들어 올려져 다수의 상품권이 한꺼번에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3 걸림 부재(166)는 상기 제2 기어(150)의 타이밍벨트 수용부(156)에 소정 깊이 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수용부 보다 적은 너비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제3 걸림 부재(166)는 제2 걸림 부재(164)가 요홈부(154)에 삽입된 깊이 보다 더 깊게 타이밍벨트 수용부(156)에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 만큼 더 길게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 걸림 부재(166)가 제2 걸림 부재(164) 마저도 통과한 상품권을 3차적으로 배출 차단시키는 기능을 하기에,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형 부재(152), 상기 제1 걸림 부재(162), 제2 걸림 부재(164), 및 제3 걸림 부재(166)는 탄성을 가진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성을 가진 부재의 경우, 상품권과의 마찰력이 더 커져, 상품권이 미끄러져 걸림 부재를 통과해 버리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 부재의 하측면은 상품권 배출구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이는 마찰면이 너무 넓을 경우, 과도한 마찰력에 의해 상품권 자체가 타이밍벨트의 회전력에 의해 배출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2. 동력 전달부에 의한 상품권의 배출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구성요소 상호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140)와 맞물려 있는 제1 기어(142)와 제2 기어(150) 사이에는 타이밍벨트(144)로 연결되어 있어, 구동 기어(140)에 의해 제1 기어(142)가 회전할 경우, 타이밍벨트(144)를 매개로 하여 제2 기어(150)도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타이밍벨트(144)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면 일측에 돌출부(146)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타이밍벨트의 돌출부(144)가 상품권 수납부에 수납된 상품권 중 맨 아래에 위치한 상품권을 회전하면서 배출구측으로 끌어 당겨오게 된다. 그 결과, 한 장의 상품권이 타이밍벨트에 의해 배출구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6에서 제1 내지 제3 걸림 부재(162, 164, 166)는 타이밍벨트의 돌출부(146)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상품권이 한 장씩만 배출되도록 한다.
도7 및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7a, 도7b, 도8a, 도8b는 타이밍벨트(144)의 돌출부(146)가 수납된 상품권(50)을 한 장씩 배출구측으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나타낸다.
3. 슬라이딩 봉과 누름판의 구조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판(130a, 130b)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장공(長空)(112a, 112b)이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 장공(112a, 112b)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봉(182)이 체결된다. 그 슬라이딩 봉(182)에는 누름판(180)이 슬라이딩 봉을 축으로 하여 상품권 수납 공간쪽으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180)은 상품권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품권을 상측 방향으로부터 눌러주는 기능을 한다. 즉, 수납된 상품권의 매수에 따라 상기 가이드 장공(112a, 112b)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수납된 상품권의 맨 윗장을 눌러 수납된 상품권이 가지런히 정렬되게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누름판(180)의 작용에 의해 맨 아래의 상품권이 타이밍벨트(144)의 돌출부(146)와 보다 밀착되게 되어, 돌출부와 맨 아래의 상품권의 마찰력에 의해 상품권이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특히, 누름쇠(180)는 금속성 재질로 제조되어 있는 바, 추후 상품권이 모두 배출되어 빈 경우에는 상기 누름쇠(180)가 평판(120)을 가볍게 타격하게 되어 금속음을 외부로 발생시키게 되고, 그 결과 상품권이 빈 상태를 금속음을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4.가이드 봉의 구조
도2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판(110a, 110b)의 전방에는 가이드 봉(170)이 구비된다. 그 가이드 봉(170)에는 상기 제2 기어(150)의 링형 부재(152)와 대응하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상품권이 상품권 배출구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베어링 부재(172)가 장착되어 있다. 즉, 배출되는 상품권은 제2 기어(150)의 링형 부재(및 타이밍벨트)에 의해 배출구측으로 이송되는데, 이 경우 링형 부재(152)와 거의 면접하도록 상측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172)에 의해 가이드되어 보다 원활하게 상품권 배출구측으로 유도되게 된다.
5. 정전기 방지용 브러쉬 및 지지봉의 구조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정면판(130a)의 하단에는 정전기 방지용 브러쉬(132)가 구비되어 있다. 정전기 방지용 브러쉬(132)는 배출되는 상품권의 윗면을 쓸어주어 정전기 발생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상품권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판(110a, 110b)의 후방 하단부에는 지지봉(174)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지지봉(174)은 수납된 상품권이 평판(120)과 접촉하여 마찰될 경우, 정전기에 의해 평판에 달라붙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 서, 지지봉(174)은 평판의 위치보다 소정 간격 위쪽에 배치되어 맨 아래의 상품권을 직접 지지하게 되는 바, 상품권이 평판과 직접 접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지지봉(174)은 측면판(110a, 110b)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맨 아래의 상품권이 타이밍벨트의 작용에 의해 이송될 경우에도 후단측에서 상품권을 들어주는 기능까지도 겸하게 되어, 상품권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6. PCB 기판 및 센서의 작동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판의 전방 상단에는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 기판(190)이 장착되어 있고, 측면판의 전방 일측에는 상품권의 배출 여부 및 매수를 감지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센서는 PCB 기판에 연결되어 있어, 한번에 배출되는 상품권이 두 장 이상임을 감지할 경우, PCB 기판에 오작동신호를 송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한 PCB 기판은 구동 모터를 정지시켜 상품권 배출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PCB 기판(190)은 개별 장치에 따라 상품권을 배출시키는 작동 펄스 타이밍을 계산하여 기억하고, 그 기억된 작동 펄스 타이밍과 상이한 상품권 배출 작동 신호를 메인 장치로부터 수신할 경우,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가 장착되는 메인 장치의 오작동시에도 상품권 배출기 자체에 의해 상품권 배출을 제어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PCB 기판(190)은 메인 장치의 작동 펄스 신호를 분석하여 기억한 후, 그 신호와 어긋나는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메인 장치로부터의 배출 신호에도 불구하고 상품권 배출기 자체에 의해 상품권 배출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메인 장치가 고장나서 지속적으로 배출 신호를 상품권 배출기측에 송신한다 할지라도 PCB 기판은 수신한 그 배출 신호를 무시하고 상품권 배출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상품권 배출기의 구조를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고, 본 고안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품권 배출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상품권과 타이밍벨트의 마찰력에 의해 상품권이 한 장씩 이끌려 배출되게 함과 동시에, 배출구 측에 2장 이상의 상품권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 부재가 구비된 걸림 패드를 장착함으로써, 비록 2장 이상의 상품권이 타이밍벨트에 의해 이끌려 올지라도 걸림 패드에 의해 걸러지게 되어 상품권이 한장씩만 배출되도록 하였다.
둘째, 측면판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봉과 누름판을 구비함으 로써 수납된 상품권의 수에 따라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눌러주어, 다수 수납된 상품권을 바르게 정렬된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수납된 상품권 중 맨 아래에 있는 상품권이 타이밍벨트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배출구측으로 이끌려 이송될 수 있도록 하였다.
세째, 걸림 패드에 제1 걸림부재, 제2 걸림부재, 제3 걸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두장 이상 이끌려 나오는 상품권을 3번의 걸림 작용에 의해 걸러줌으로써 2장 이상의 상품권이 한꺼번에 배출되지 않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한층 제고시켰다.
네째, 두 장 이상의 상품권이 상기 걸림 패드에 의해서도 걸러지지 않고 배출될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측면판의 전방 일측에 장착된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동작 정지시킴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두 장 이상의 상품권이 한꺼번에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Claims (14)

  1.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측면판의 중간 부위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측 공간 및 하측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평판, 측면판의 정면에 소정 간극으로 이격되게 각각 체결되어 그 사이에 상품권 배출구를 형성하는 상부 정면판과 하부 정면판으로 이루어진 상품권 배출기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공간에 구비되고, 구동 모터, 그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 타이밍벨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기어와 연동되어 정면판측으로 회전하는 제2 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부; 및
    상기 측면판의 전방에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상측 공간의 후방을 상품권 수납 공간으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에 의해 정면판측으로 회전하는 타이밍벨트에 의해 수납된 상품권 중 맨 아래의 상품권 한 장만이 상기 상품권 배출구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걸러주는 걸림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은 상기 제1 기어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하게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이밍벨트는 그 원주 길이가 상품권의 전체 길이 보다 더 크고, 그 외주면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시 상기 제1 기어에 감겨 상기 평판의 개방구를 통하여 상품권 수납 공간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타이밍벨트의 돌출부가 상기 상품권 중 맨 아래의 상품권 한 장을 이끌어 상품권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 장공(長空)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 장공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봉과 그 슬라이딩 봉에 체결되어 슬라이딩 봉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누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상기 제2 기어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상·하측 공간이 연통되게 개방되고, 상기 제2 기어의 몸체 양단에는 링형 부재가 각각 끼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부재는 그 외주면 중앙을 따라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의 몸체 양단으로부터 끼움 결합된 링형 부재에 의해 제2 기어의 몸체 중앙에 타이밍벨트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체결된 타이밍벨트는 상기 제2 기어의 타이밍벨트 수용부에 체결 되어, 제1 기어와 제2 기어를 연동되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상품권 배출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벨트는 타이밍벨트 너비의 양 끝단에 원주 둘레를 따라 보강띠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패드는 그 하단에 2단 구조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 삽입부의 중앙에는 상기 타이밍벨트 수용부에 대응하고 상기 타이밍벨트 수용부 보다 적은 너비를 가진 제1 걸림 부재가 구비되고, 전방 삽입부의 양측단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요홈부에 대응하고 그 요홈부 보다 적은 너비를 가진 제2 걸림 부재가 구비되고, 전방 삽입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외측에 서로 대응되게 제3 걸림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부재, 제2 걸림 부재, 및 제3 걸림 부재의 하측면은 상품권 배출구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9. 제 4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부재 및 제1 내지 제3 걸림 부재는 탄성을 가진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의 전방에는 가이드 봉이 구비되고, 그 가이드 봉에는 상기 제2 기어의 링형 부재와 대응하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상품권이 상품권 배출구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베어링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정면판의 하단에는 정전기 방지용 브러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권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측면판의 후방 하단부에는 지지봉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의 전방 상단에 장착되어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 기판 및 상기 측면판의 전방 일측에 장착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한번에 배출되는 상품권이 두장 이상임을 감지할 경우, PCB 기판에 오작동 신호를 송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한 PCB 기판은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PCB 기판은 개별 장치에 따라 상품권을 배출시키는 작동 펄스 타이밍을 계산하여 기억하고, 그 기억된 작동 펄스 타이밍과 상이한 상품권 배출 작동 신호를 메인 장치로부터 수신할 경우,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기.
KR2020060000763U 2005-01-10 2006-01-10 상품권 배출기 KR200412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763U KR200412510Y1 (ko) 2005-01-10 2006-01-10 상품권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988 2005-01-10
KR2020060000763U KR200412510Y1 (ko) 2005-01-10 2006-01-10 상품권 배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895A Division KR100764603B1 (ko) 2005-01-10 2006-01-10 상품권 배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510Y1 true KR200412510Y1 (ko) 2006-03-28

Family

ID=4176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763U KR200412510Y1 (ko) 2005-01-10 2006-01-10 상품권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5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21B1 (ko) 2006-04-21 2008-01-30 박준규 상품권 배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21B1 (ko) 2006-04-21 2008-01-30 박준규 상품권 배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5777B2 (ja) 紙幣入出金機
JPS6012466A (ja) 連続紙の裂断装置
WO2009081954A1 (ja) 紙葉類処理装置
EP0260015A2 (en) Sheet feeding apparatus
KR200412510Y1 (ko) 상품권 배출기
KR100764603B1 (ko) 상품권 배출기
KR20010030307A (ko) 지폐용 배출 장치
JPS59190131A (ja) 紙幣支払機
KR20010044111A (ko) 지폐 방출장치
KR100718916B1 (ko) 상품권 배출장치
JP5612414B2 (ja) 紙幣の姿勢変換装置
EP0991030A1 (en) Coin dispenser arrangement
KR100799521B1 (ko) 상품권 배출기
JP7461628B2 (ja) 紙幣搬送装置
JP6225233B2 (ja) 姿勢変換装置
KR200380733Y1 (ko) 상품권 배출기
JP3752383B2 (ja) 自動処理装置
JP7461627B2 (ja) 紙幣搬送装置
KR100966678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KR950004413Y1 (ko) 지폐 지급기의 지폐자동인도장치
JP3927290B2 (ja) 紙葉類収納装置
JP3039905B2 (ja) 遠心式コイン送り出し装置
JPS6347957Y2 (ko)
KR20060019238A (ko) 상품권(지폐) 및 티켓 배출기
JP2759194B2 (ja) シート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