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916B1 - 상품권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상품권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916B1
KR100718916B1 KR1020050091839A KR20050091839A KR100718916B1 KR 100718916 B1 KR100718916 B1 KR 100718916B1 KR 1020050091839 A KR1020050091839 A KR 1020050091839A KR 20050091839 A KR20050091839 A KR 20050091839A KR 100718916 B1 KR100718916 B1 KR 10071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ear
feed roller
gift certifica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863A (ko
Inventor
안재섭
Original Assignee
안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섭 filed Critical 안재섭
Priority to KR102005009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916B1/ko
Publication of KR2007003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3/00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 G07B3/04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from a st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권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품권의 낱장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짐도록 함과 아울러 롤러의 마모를 적게하기 위해서 피드롤러와 한방향으로 회전되는 콘트롤롤러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일측에 상품권(T)이 다단으로 적재된 적재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11)의 타측에 상품권 배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적재부(11)에 적재된 상품권(T)을 상기 상품권 배출구(12)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케이스(10)의 횡방향에 가로 질러 설치되고, 외주면의 일부에 톱니부(21)가 형성된 급지롤러(20)와, 상기 급지롤러(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품권(T)을 이송시키는 피드롤러(31) 및 상기 피드롤러(31)에 수직선상으로 병렬배치되고, 상기 피드롤러(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콘트롤롤러(32)로 이루어져 상품권(T)을 낱장을 분리하는 낱장분리부(30)와, 상기 낱장분리부(30)에서 분리된 상품권(T)을 상기 케이스(10)의 상품권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낱장분리부(30)의 전방에 설치된 상,하부 배출롤러(40)(41)와, 상기 급지롤러(20), 피드롤러(31) 및 하부 배출롤러(41)의 일측에 설치된 각각의 기어(51)(52)(53), 상기 기어(51)(52)(53)들과 연동되도록 이맞물림된 구동기어(54) 및 상기 구동기어(5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55)로 이루어진 구동부(50)로 이루어진 상품권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시 구동부(50)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롤러(32)의 회전을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간헐회전수단(60)을 설치하되, 상기 간헐회전수단(60)은, 상기 급지롤러(20)에 축 결합되고, 일부에 기어부(61a)가 형성된 간헐기어(61)와, 상기 간헐기어(61)의 기어부(61a)에 이맞물림 되어진 아이들 기어부(62)와, 상기 콘트롤롤러(32)에 축결합되고, 상기 아이들 기어부(62)에 이맞물림되어지는 피동기어(63)로 이루어진 것이다.
케이스, 급지롤러, 낱장분리부, 배출롤러, 구동부, 간헐회전수단

Description

상품권 배출장치{A DISCHARGER MACHINE FOR A MERCHANDISE COUPON}
도 1은 종래의 따른 상품권 배출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따른 상품권 배출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따른 상품권 배출기에서 상품권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위를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의 간헐회전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의 간헐회전수단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의 일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의 타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적재부
12: 상품권 배출구 13: 보스부
20: 급지롤러 21: 톱니부
30: 낱장분리부 31: 피드롤러
32: 컨트롤롤러 40, 41: 상,하부 배출롤러
40a: 탄성부재 50: 구동부
51: 급지기어 52: 피드기어
53: 배출기어 54: 구동기어
55: 구동모터 56: 전달기어
60: 간헐회전수단 61: 간헐기어
61a: 기어부 62: 아이들 기어부
62a: 클러치기어 62a-1: 탄력편
62b: 락기어 63: 피동기어
본 발명은 상품권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적재된 상품권을 낱장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에서 급지롤러에 의해 이송된 상품권의 낱장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짐도록 함과 아울러 롤러의 마모를 적게하도록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권이나 승차권 등을 자동으로 발급하는 게임기나 자동판매기 에는 발급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품권 또는 승차권을 한장씩 배출하는 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품권의 배출장치에 대한 종래의 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80733호의 "상품권 배출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따른 상품권 배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도면상 부호는 공보상의 번호를 그대로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상품권 배출기는 측면판(111)(112)과 정면판 및 상부의 앞쪽만 덮어주게 되는 상부판에 의해 직육면체를 이루게 되고, 정면판에 정전기방지구(113c)를 갖는 상품권(120)의 배출구(113b)가 형성되는 한편, 그 상부에 계수기가 설치되며, 측면판(111)(112)에 봉가이드(1112)가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편, 측면판(112)에 구동모터(160)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기어(160a), 이 모터기어(160a)에 의해 연동하는 제1기어(130b), 제2기어(140b), 이 제2기어(140b)와 연동하는 전달기어(150), 이 전달기어(150)와 연동하는 제3기어(150b)가 설치되는 케이스(110)와; 상품권(120)들이 눕혀진 상태로 정렬되어 수납되고, 맨 아래 장의 상품권(120)이 맞닿게 되는 카트리지판(115a)의 앞쪽에 상품권(120)의 앞쪽이 들리게 하는 돌출부(115c)가 형성되며, 그 뒤쪽에는 홀(115b)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판 뒤쪽에 형성되는 카트리지(115)와; 봉가이드(1112)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봉(122a)이 선단부에 직교하게 설치되고, 상품권(120)의 상부를 눌러주게 되는 무게의 판체로 형성되는 누름판(122)과; 카트리지판(115a)의 홀(115b)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한편, 어느 한 쪽의 정점에 톱니부(130a)가 형성되고, 이 톱니부(130a)에 의해 맨 아래장의 상품권(120)이 배출구(113b)의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며, 제1기어(130b)에 의해 동작되는 제1롤러(130)와; 카트리지판(115a)의 선단부에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편, 제1롤러(130)의 톱니부(130a)에 의해 이송되는 상품권(120)을 제2피동롤러(140a)와 협동하여 배출구(113b)의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며, 제2기어(140b)에 의해 동작되는 제2롤러(140)와; 제2롤러(140)와 제2피동롤러(140a)의 전방에 설치되는 한편, 이송되는 제3피동롤러(150a)와 협동하여 배출구(113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며, 제3기어(150b)에 의해 동작되는 제3롤러(150)로 구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16a)(117)과 구동모터(1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60)가 구동하게 되면, 모터기어(160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동시에 제1기어(130b), 제2기어(140b), 제3기어(150b)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전달기어(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1롤러(130), 제2롤러(140), 제3롤러(15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2피동롤러(140a), 제3피동롤러(150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판(115a)의 상품권(120)들은 일정한 중량을 갖는 누름판(122)에 의해 눌러지게 되는 한편, 상품권(120)중에 맨 아래 장이 도 3 도시와 같이 제1롤러(130)의 톱니부(130a)에 의해 밀려나오게 되는데, 상기 맨 아래 장의 상품권(120)은 돌출부(115c)에 의해 선단부가 들려진 상태로 제2피동롤러(140a)의 하단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제2롤러(140)의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품권 배출기는 상품권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제2롤러(140)와 제2피동롤러(140a)가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이루어져 여러장의 상품권이 한번에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롤러(130)의 톱니부(130a)가 일면에만 형성되어 있어 일회전에 상품권 한장만이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품권의 배출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3피동롤러(150a)를 눌러주는 탄성부재(1115)가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조립시 조립이 어려워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어류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소음발생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상품권 배출장치의 제2롤러(140)와 제2피동롤러(140a)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여러장의 상품권이 빨려 들려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2롤러(140)와 제2피동롤러(140a)를 한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품권의 배출의 신뢰성을 확보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86122호의 "현금 자동 지급기용 지폐 급지장치"에서 찾아 볼수 있다.
도 4는 종래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11)과, 지폐를 밀어 올리기 위한 판스프링(12)과,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13)와, 지폐를 끌어오기 위한 급지 롤러(14)와, 상기한 급지 롤러(14)로부터 지폐를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피드 롤러(15)와, 상기한 피드 롤러(15)와 수직선상에 배치되어 같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다른 마찰력을 가짐으로써 지폐가 2장씩 이송되 는 것을 방지하는 콘트롤 롤러(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상품권 배출장치는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13)가 구동되며, 모터(13)와 벨트로 연결되어 있는 급지롤러(14), 피드롤러(15, 17, 19), 콘트롤 롤러(16, 18, 20)가 동시에 구동된다.
이와 같이 롤러가 회전하게 되면, 적재함(11)에 적재되어 판스프링(12)에 의해 위로 밀어올려져 있는 지폐중에서 맨위의 있던 지폐가 급지롤러(14)에 의해 빨려들어와 피드롤러(15)와 콘트롤 롤러(16)의 사이로 이송되어온다.
이 경우에,, 피드롤러(15)와 콘트롤 롤러(16)는 상하에서 동일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두장 이상이 급지될 경우에 윗장은 콘트롤 롤러(16)에 의해 이송되지만 아랫장은 피드롤러(15)에 의해 이송이 중지된다.
상기한 피드롤러(15)와 콘트롤롤러(16)를 서로 겹치도록 위치되어 있고, 롤러의 마찰력이 상이하므로 한 장이 정상적으로 급지될 경우에는 마찰력이 큰 콘트롤 롤러(16)에 의해 지폐가 이송되고 마찰력이 작은 피드롤러(15)는 지폐의 이송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상품권 배출기는 콘트롤롤러(16)가 연속회전되는 관계로 장시간 사용시 상기 콘트롤롤러(16)의 마모가 심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품권의 낱장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짐도록 함과 아울러 롤러의 마모를 적게 하기 위해서 피드롤러와 한방향으로 회전되는 콘트롤롤러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품권의 배출속도를 향상시키도록 급지롤러의 톱니부를 상,하,좌,우에 형성시키도록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부 배출롤러에 고무재의 탄성부재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음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무재의 기어들을 사용하도록 한 상품권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상품권이 다단으로 적재된 적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타측에 상품권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품권을 상기 상품권 배출구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횡방향에 가로 질러 설치되고, 외주면의 일부에 톱니부가 형성된 급지롤러와, 상기 급지롤러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품권을 이송시키는 피드롤러 및 상기 피드롤러에 수직선상으로 병렬배치되고, 상기 피드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콘트롤롤러로 이루어져 상품권을 낱장을 분리하는 낱장분리부와, 상기 낱장분리부에서 분리된 상품권을 상기 케이스의 상품권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낱장분리부의 전방에 설치된 상,하부 배출롤러와, 상기 급지롤러, 피드롤러 및 하부 배출롤러의 일측에 설치된 각각의 기어, 상기 기어들과 연동되도록 이맞물림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로 이루어진 상품권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시 구동부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롤러의 회전을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간헐회전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간헐회전수단은 상기 급지롤러에 축 결합되고, 일부에 기어부가 형성된 간헐기어와, 상기 간헐기어의 기어부에 이맞물림 되어진 아이들 기어부와, 상기 콘트롤롤러에 축결합되고, 상기 아이들 기어부에 이맞물림되어지는 피동기어로 이루어진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아이들 기어부는 내측에 탄력편이 형성된 클러치기어 및 상기 클러치기어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에 상기 탄력편이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의 보스부에 고정되어지는 락기어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급지롤러의 톱니부는 원주면의 상,하,좌,우면에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배출롤러에는 고무재의 탄성부재가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어들은 고무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권 배출장치는 케이스(10), 급지롤러(20), 낱장분리부(30), 상,하부 배출롤러(40)(41), 구동부(50) 및 간헐회전수단(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일측에 상품권(T)이 다단으로 적재된 적재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11)의 타측에 상품권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지롤러(20)는 상기 적재부(11)에 적재된 상품권(T)을 상기 상품권 배출구(12)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케이스(10)의 횡방향에 가로 질러 설치되고, 외주면의 일부에 톱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지롤러(20)의 톱니부(21)는 원주면의 상,하,좌,우면에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낱장분리부(30)는 상기 급지롤러(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품권(T)을 이송시키는 피드롤러(31) 및 상기 피드롤러(31)에 수직선상으로 병렬배치되고, 상기 피드롤러(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콘트롤롤러(32)로 이루어져 상품권(T)을 낱장을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 배출롤러(40)(41)는 상기 낱장분리부(30)에서 분리된 상품권(T)을 상기 케이스(10)의 상품권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낱장분리부(30)의 전방에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배출롤러(40)에는 고무재의 탄성부재(40a)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급지롤러(20), 피드롤러(31) 및 하부 배출롤러(41)에 설치된 각각의 기어(51)(52)(53), 상기 기어들(51)(52)(53)과 연동되도록 이맞물림된 구동기어(54) 및 상기 구동기어(5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55)로 이 루어진 것이다.
상기에서 급지롤러(20)에 결합된 기어는 급지기어(51)라하고, 피드롤러(31)에 결합된 기어는 피드기어(52)라하며, 하부 배출롤러(41)에 결합된 기어는 배출기어(53)라 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54)와 급지기어(51) 및 피드기어(52)는 직접 이맞물림되고, 상기 배출기어(53)는 피드기어(52)의 사이에 전달기어(56)가 결합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구동부(50)의 구동모터(55)가 회전되면 그 동력은 구동기어(5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기어(54)에 직접 이맞물림된 급지기어(51) 및 피드기어(5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전달기어(56)는 피드기어(5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피드기어(52)에 이맞물림된 배출기어(5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상기 급지기어(51), 피드기어(52) 및 배출기어(53)에 결합된 급지롤러(20), 피드롤러(31) 및 하부 배출롤러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품권(T)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55)는 스텝핑 모터를 사용하여 입력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헐회전수단(60)은 상기 구동부(50)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롤러(32)의 회전을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것으로, 상기 급지롤러(20)에 축 결합되고, 일부에 기어부(61a)가 형성된 간헐기어(61)와, 상기 간헐기어(61)의 기어부(61a)에 이맞물림 되어진 아이들 기어부(62)와, 상기 콘트롤롤러(32)에 축결합되 고, 상기 아이들 기어부(62)에 이맞물림되어지는 피동기어(63)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아이들 기어부(62)는 내측에 탄력편(62a-1)이 형성된 클러치기어(62a) 및 상기 클러치기어(62a)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에 상기 탄력편(62a-1)이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보스부(13)에 고정되어지는 락기어(62b)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탄력편(62a-1)에 탄력지지된 락기어(62b)는 래칫형태로 이루어져 반시계방향으로는 클러치기어(62a)가 회전될 수 있으나, 시계방향으로는 락기어(62b)가 고정되어 있어 회전되지 않아 콘트롤롤러(32) 등의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지롤러(20)에 축결합된 간헐기어(61)의 기어부(61a)에 의해 아이들 기어부(62)가 간헐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아이들 기어부(62)에 이맞물림되어진 피동기어(63)가 회전되면서 콘트롤롤러(32)를 피드롤러(31)와 동일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상품권(T)과 접촉되는 콘트롤롤러(32)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64는 락기어의 일측을 가압하는 부싱을 나타내고, 부호 65는 결합볼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어들은 고무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여 정숙한 상품권(T)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0)의 적재부(11)에 다단으로 상품권(T)이 적재되어 있고, 상품권(T) 의 배출신호에 의해 구동모터(55)가 일정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구동모터(55)에 축결합되 구동기어(5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54)에 직접 이맞물림된 급지기어(51) 및 피드기어(5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급지기어(51)의 회전에 의해 급지롤러(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에 안착되어진 상품권(T)을 피드롤러(31)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상기 피드롤러(31)의 외주면 상,하,좌,우면에 형성된 톱니부(21)에 의해 상품권(T)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급지롤러(20)에 의해 이송된 상품권(T)은 피드롤러(31)와 콘트롤롤러(32)에 의해 낱장으로 완벽하게 분리되며, 이는 상기 피드롤러(31)와 콘트롤롤러(32)의 회전방향이 동일함으로 가능한 것이며, 상기 콘트롤롤러(32)는 종래와는 달리 간헐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급지롤러(20)의 타측에 축결합된 간헐기어(61)가 회전하면서 기어부(61a)에 의해 아이들 기어부(62)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아이들 기어부(62)는 케이스(10)의 보수부에 고정되어진 락기어(62b)의 외측에 탄력편(62a-1)을 갖는 클러치 기어(62a)가 결합되어 간헐적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콘트롤롤러(32)에 축결합된 피동기어(63)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동기어(63)에 의해 회전되는 콘트롤롤러(32)는 피드롤러(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간헐적으로 회전됨으로 롤러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마찰손실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피드롤러(31)를 통과한 상품권(T)은 상,하부 배출롤러(40)(41)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배출롤러(40)의 상측에는 고무재의 탄성부재(40a)가 결합되어 종래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며,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하,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어들은 고무재로 형성하여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로 하므로서, 정숙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는 피드롤러와 한방향으로 회전되는 콘트롤롤러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서, 상품권의 낱장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짐도록 함과 아울러 롤러의 마모를 적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는 급지롤러의 톱니부를 상,하,좌,우에 형성시키도록 하여 상품권의 배출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는 상부 배출롤러에 고무재의 탄성부재를 설치하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품권 배출장치는 고무재의 기어들을 사용하도록 하여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일측에 상품권(T)이 다단으로 적재된 적재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11)의 타측에 상품권 배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적재부(11)에 적재된 상품권(T)을 상기 상품권 배출구(12)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케이스(10)의 횡방향에 가로 질러 설치되고, 외주면의 일부에 톱니부(21)가 형성된 급지롤러(20)와, 상기 급지롤러(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품권(T)을 이송시키는 피드롤러(31) 및 상기 피드롤러(31)에 수직선상으로 병렬배치되고, 상기 피드롤러(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콘트롤롤러(32)로 이루어져 상품권(T)을 낱장을 분리하는 낱장분리부(30)와, 상기 낱장분리부(30)에서 분리된 상품권(T)을 상기 케이스(10)의 상품권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낱장분리부(30)의 전방에 설치된 상,하부 배출롤러(40)(41)와, 상기 급지롤러(20), 피드롤러(31) 및 하부 배출롤러(41)의 일측에 설치된 각각의 기어(51)(52)(53), 상기 기어(51)(52)(53)들과 연동되도록 이맞물림된 구동기어(54) 및 상기 구동기어(5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55)로 이루어진 구동부(50)로 이루어진 상품권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시 구동부(50)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롤러(32)의 회전을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간헐회전수단(60)을 설치하되,
    상기 간헐회전수단(60)은, 상기 급지롤러(20)에 축 결합되고, 일부에 기어부(61a)가 형성된 간헐기어(61)와, 상기 간헐기어(61)의 기어부(61a)에 이맞물림 되어진 아이들 기어부(62)와, 상기 콘트롤롤러(32)에 축결합되고, 상기 아이들 기어부(62)에 이맞물림되어지는 피동기어(6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기어부(62)는 내측에 탄력편(62a-1)이 형성된 클러치기어(62a) 및 상기 클러치기어(62a)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에 상기 탄력편(62a-1)이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보스부(13)에 고정되어지는 락기어(6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롤러(20)의 톱니부(21)는 원주면의 상,하,좌,우면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출롤러(40)에는 고무재의 탄성부재(40a)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들은 고무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권 배출장치.
KR1020050091839A 2005-09-30 2005-09-30 상품권 배출장치 KR100718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839A KR100718916B1 (ko) 2005-09-30 2005-09-30 상품권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839A KR100718916B1 (ko) 2005-09-30 2005-09-30 상품권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863A KR20070036863A (ko) 2007-04-04
KR100718916B1 true KR100718916B1 (ko) 2007-05-16

Family

ID=3815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839A KR100718916B1 (ko) 2005-09-30 2005-09-30 상품권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669B1 (ko) 2006-06-28 2013-09-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가이드롤러 편마모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334A (ja) 1996-07-05 1998-01-20 Citizen Watch Co Ltd プリンタの用紙厚検出装置
KR200328612Y1 (ko) 2003-07-08 2003-09-29 이철형 상품권 자동 지급장치
KR20040066071A (ko) * 2004-06-28 2004-07-23 이명우 티켓 낱장 공급장치
KR200375938Y1 (ko) 2004-09-06 2005-03-11 (주)코인빌 상품권 자동 지급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334A (ja) 1996-07-05 1998-01-20 Citizen Watch Co Ltd プリンタの用紙厚検出装置
KR200328612Y1 (ko) 2003-07-08 2003-09-29 이철형 상품권 자동 지급장치
KR20040066071A (ko) * 2004-06-28 2004-07-23 이명우 티켓 낱장 공급장치
KR200375938Y1 (ko) 2004-09-06 2005-03-11 (주)코인빌 상품권 자동 지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669B1 (ko) 2006-06-28 2013-09-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가이드롤러 편마모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863A (ko)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4905B2 (en) Printer with improved paper dispensing mechanism
EP1881462B1 (en) Paper-sheet handling apparatus
KR100969189B1 (ko) 매체 조출 장치
US7975909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WO2009081954A1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0718916B1 (ko) 상품권 배출장치
CN112884998A (zh) 票据发放箱与票据发放装置
US20060180977A1 (en) Currency note feeding apparatus for currency note handling machine
KR200412510Y1 (ko) 상품권 배출기
US6626426B2 (en) Self-service terminal
JP5612414B2 (ja) 紙幣の姿勢変換装置
KR100752110B1 (ko) 반송롤러
KR100764603B1 (ko) 상품권 배출기
KR102028178B1 (ko) 종방향 지폐 배출장치
KR20080000742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가이드롤러 편마모방지장치
KR100650495B1 (ko) 카드 낱장 공급장치
KR20090073734A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CN214376762U (zh) 薄片介质传输模块及自助终端
KR20030054209A (ko) 현금자동지급기용 지폐분리부의 롤러간극조절장치
EP2423138B1 (en) Media transport module
KR200328612Y1 (ko) 상품권 자동 지급장치
KR100366418B1 (ko) 지폐자동지급기
JP3822036B2 (ja) 媒体搬送装置
EP3831750A1 (en) Printer with improved paper dispensing mechanism
KR200286122Y1 (ko) 현금 자동 지급기용 지폐 급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