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495B1 - 카드 낱장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카드 낱장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495B1
KR100650495B1 KR1020040070123A KR20040070123A KR100650495B1 KR 100650495 B1 KR100650495 B1 KR 100650495B1 KR 1020040070123 A KR1020040070123 A KR 1020040070123A KR 20040070123 A KR20040070123 A KR 20040070123A KR 100650495 B1 KR100650495 B1 KR 10065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oller
feeding roller
feed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555A (ko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박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규 filed Critical 박준규
Priority to KR1020040070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4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with means for raising the stack of articles to permit delivery of the topmo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의 배출동작이 정확하고 안정되게 수행되는 동시에 마지막 카드 까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 카드 낱장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피딩모터가 설치되고 피딩모터의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전동기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피딩롤러부와, 상기 피딩롤러부 후부의 베이스플레이트상에 횡설되어 전동기어와 치합되는 승강롤러구동기어와 결합 회전되는 카드승강롤러부와, 상기 피딩롤러부의 상측 피딩롤러 상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승강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카드적재장치에 적재된 카드를 이송 배출시키는 카드 낱장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드승강롤러부는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앞쪽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력이 작용되게 설치되는 승강롤러브라켓과, 이 승강롤러브라켓상에 횡설되는 롤러축상에 승강롤러가 결합된 승강롤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피딩롤러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 앞쪽이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편 뒷쪽이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력이 작용되게 상기 승강롤러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피딩롤러브라켓과, 이 피딩롤러브라켓상에 횡설되는 피딩롤러축과, 이 피딩롤러축상에 삽입 고정되는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축을 구동시키도록 전동기어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피딩롤러구동수단이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드 낱장 공급장치 {A CARD SUPPLY APPARATUS}
도 1, 도 2는 종래 카드 낱장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낱장 공급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낱장 공급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낱장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요부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베이스플레이트, 2:피딩롤러부,
21:피딩롤러브라켓 , 22:피딩롤러축,
23:피딩롤러, 24:탄성부재,
3:카드승강롤러부, 31:승강롤러브라켓,
32:승강롤러부재, 33:승강롤러구동기어,
34:탄성부재, 4:승강슬라이더,
41:베어링, 5:피딩롤러구동수단,
51:구동축, 52:제1피딩롤러구동기어,
53:제2피딩롤러구동기어, 54:피딩모터,
55:전동기어, 56:원웨이 베어링,
6:카드적재장치, 61:적재부재.
본 발명은 카드 낱장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 자동판매기 등에 설치되어 정해진 신호에 따라 구동되면서 카드를 배출하는 장치로서 특히 카드의 배출동작이 정확하고 안정되게 수행되고 마지막 카드 까지 완벽하게 배출되는 카드 낱장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전화카드 등과 같은 카드자동판매기에서 정해진 금액의 비용이 지불됨에 따라 카드가 배출되도록 하거나, 명함, 신용카드 등을 인쇄하는 카드프린더에서 카드를 인쇄부측으로 공급시키기 위해서 카드자동판매기나 카드프린터에는 각각 카드 낱장 공급장치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카드 낱장 공급장치는 국내 특허 제0266143호의 등록특허공보(공고일자:2000. 9. 15)에 나타난 바(첨부도면 도 1)와 같이 모터(1) 구동으로 연결된 카드이송용 고무롤러장치(2)와 카드(8) 이송시 카드두께를 조정하기 위한 카드두께 조정장치(7) 및 카드를 아래에서 스프링(5) 힘에 의해 받쳐주는 카드 받침판(6)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카드 공급장치는 카드가 스프링(5)의 인장력에 의해 당겨 져 고무롤러장치(2)와 밀착되면서 마찰력에 의해 인쇄부측으로 공급되는 바, 카드를 고무롤러장치에 밀착시키는 스프링(5)의 인장력은 정해져 있는 반면에 받침판(6)에 수납되는 카드의 적재량은 변화되므로 카드의 상면과 고무롤러장치의 외주면과의 접촉압력은 차이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과도한 접촉압력에 따른 카드 표면의 손상이 발생되거나 접촉압력의 약화로 공급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장기간 사용하거나 받침판(6)에 다량의 카드를 적재한 상태에서 방치하게 되면 스프링이 변형되므로 오작동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 다른 종래의 카드 공급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에 의해 구동되는 고무롤러장치(12)에 의해 카드가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적재함(9)상에 적재된 카드와 고무롤러장치(12)가 밀착되도록 눌러주는 금속판(14)이 적재함의 상측에 구성된 장치가 있으나, 이러한 카드 공급장치 또한 카드와 고무롤러장치와의 밀착정도를 금속판(14)의 자중에 의존하는 구조이므로 카드의 적재량에 따라 그 접촉압력에 차이가 발생되어 카드의 손상이나 공급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카드 공급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카드의 적재량이 작아 자주 교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특히 그 사용 가능한 카드의 두께가 정해져 두께가 서로 다른 카드의 혼용하여 사용할 수 없고, 또한 표면장력 등에 의해 서로 접촉된 전후 카드가 분리되지 않고 복수 개의 카드가 부착된 상태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술한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든 종래의 카드 낱장 공급장 치는 적재대에 적재된 카드가 모두 배출되고 마지막 카드가 남게 되면 그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없으므로 피딩롤러와 카드 저면과의 사이에 작용되는 마찰력 감소로 인해 카드가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카드의 배출동작이 정확하고 안정되게 수행되는 동시에 마지막 카드 까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 카드 낱장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격 설치된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피딩모터가 설치되고 피딩모터의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전동기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피딩롤러부와, 상기 피딩롤러부 후부의 베이스플레이트상에 횡설되어 전동기어와 치합되는 승강롤러구동기어와 결합 회전되는 카드승강롤러부와, 상기 피딩롤러부의 상측 피딩롤러 상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설치되는 승강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카드적재장치에 적재된 카드를 이송 배출시키는 카드 낱장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드승강롤러부는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앞쪽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력이 작용되게 설치되는 승강롤러브라켓과, 이 승강롤러브라켓상에 횡설되는 롤러축상에 승강롤러가 결합된 승강롤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피딩롤러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 앞쪽이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편 뒷쪽이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력이 작용되게 상기 승강롤러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피딩롤러브라켓과, 이 피딩롤러브라켓상에 횡설되는 피딩롤러축과, 이 피딩롤러축상에 삽입 고정되는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축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전동기어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피딩롤러구동수단이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딩롤러구동수단은 피딩롤러부와 접한 카드 배출측에 해당되는 베이스플레이트상에 회동가능하게 횡설되고 상기 전동기어가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상에 결합되는 제1피딩롤러구동기어와; 상기 제1피딩롤러구동기어와 치합되게 대응되는 피딩롤러축상에 결합되는 제2피딩롤러구동기어가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롤러브라켓은 평면상에서 보아 대략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앞쪽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측에 해당되는 구동축에 결합 회동되고 그 양쪽 하측에는 제1탄성부재걸림부 및 제2탄성부재걸림부가 형성되어 제1탄성부재걸림부에는 대응되는 베이스플레이트상에 형성된 걸림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력이 작용되게 설치되며, 상기 피딩롤러브라켓은 앞쪽이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에 해당되는 구동축에 결합되고 뒷쪽이 제2탄성부재걸림부와 탄성부재로 연결되어 탄성력에 의해 구동축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상에 결합되어 피딩모터의 구동기어에 치합 회동되는 전동기어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이 피딩롤러의 회전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원웨이 베어링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딩롤러 좌우측에 해당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승강슬라이더의 저면 양측과 접촉되어 피딩롤러와 승강슬라이더 사이에 형성되는 게이트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베어링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롤러는 측단면 형상이 "D"자 형상이고 그 표면에 미소한 요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딩롤러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미소한 요입홈이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접촉되는 카드 저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카드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크기의 폭으로 복수 개의 카드걸림홈이 요입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낱장 공급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낱장 공급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낱장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요부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낱장 공급장치는 첨부도면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된 한 쌍의 베이스플레이트(1)와, 이 베이스플레이트(1)의 일측에 설치되는 피딩모터(54) 및 이 피딩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베이스플레이트(1)상에 설치되는 피딩롤러부(2)와, 이 피딩롤러부(2)의 후부에 해당되는 베이스플레이트(1)상에 횡설되어 그 상측에 적층되는 카드(a)를 승강 및 피딩시키는 카드승강롤러부(3)와, 상기 피딩롤러부(2)의 상측에 설치되어 피딩롤러 외주면과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정 해진 두께의 카드(a)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승강슬라이더(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후부에는 카드(a)가 투입 및 적재 되도록 적재부재(61)를 포함하는 카드적재장치(6)가 구성되는데, 이 카드적재장치는 3에 도시된 형태 외에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드승강롤러부(3)는 베이스플레이트(1)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승방향(첨부 도면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되는 승강롤러브라켓(31)과, 이 승강롤러브라켓(31)상에 횡설되는 롤러축(321)상에 그 측단면 형상이 대략 "D"자 형상의 승강롤러(322)가 결합된 승강롤러부재(32)가 구비되어 일측 단부에 결합된 승강롤러구동기어(33)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승강롤러브라켓(31)은 평면상에서 보아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의 외측에 배치되어 그 앞쪽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그 양쪽 하측에는 제1탄성부재걸림부(311) 및 제2탄성부재걸림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걸림부(311)와 대응되는 베이스플레이트(1)상에 형성된 걸림부(11)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4)에 의해 상승 회전력(시계방향)이 작용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롤러브라켓(31)의 힌지점은 후술되는 피딩롤러구동수단(5)의 구동축(51) 양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의 바깥쪽에 배치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승강롤러(322)는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미소한 요홈(231)이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접촉되는 카드 저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피딩롤러부(2)는 평면상의 형상이 대략 "ㄷ"자로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 앞쪽이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는 한편 상기 제2탄성부재걸림부(312)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부재(24)에 의해 상승 회전력(시계방향)이 작용되게 설치되는 피딩롤러브라켓(21)과, 이 피딩롤러브라켓(21)상에 횡설되는 피딩롤러축(22)과, 이 피딩롤러축(22)상에 삽입 고정되는 피딩롤러(23)와, 상기 피딩롤러축(22)을 구동시키는 피딩롤러구동수단(5)이 구성된다.
상기 피딩롤러구동수단(5)은 피딩롤러부(2)와 접한 배출측에 해당되는 베이스플레이트(1)상에 회동가능하게 횡설되는 구동축(51)과, 이 구동축상에 결합되는 제1피딩롤러구동기어(52)와, 이 제1피딩롤러구동기어(52)와 대응되는 피딩롤러축(22)상에 결합되는 제2피딩롤러구동기어(53)와, 상기 구동축(51)상에 결합되어 피딩모터(54)의 모터축상에 결합된 구동기어(541)에 치합되어 회동되는 전동기어(55)가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전동기어(55)의 중심부에는 구동축(51)이 일방향(피딩롤러(23)가 카드(a)를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피딩롤러의 회전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원웨이 베어링(One-way bearing;56)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딩롤러브라켓(21)은 베이스플레이트(1)의 내측에 해당되는 피딩롤러구동수단(5)의 구동축(51)에 결합되어 이 구동축(51)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된다.
상기 피딩롤러(23)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미소한 요입홈(231)이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접촉되는 카드(a) 저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카드(a)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크기의 폭으로 복수 개의 카드걸림홈(232)이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의 미설명 부호 41는 피딩롤러(23) 좌우측에 해당되는 베이스플레이트(1)의 내측에 고정부재로 결합되는 베어링으로서, 이 베어링은 승강슬라이더(4)의 저부 양측과 접촉되어 카드(a)가 이동되도록 피딩롤러(23)의 상면과 승강슬라이더(4)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게이트(틈새)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 3의 미설명 부호 81은 카드(a)가 배출되는 경로상에 구성된 또 다른 상부배출롤러(71)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대응되는 하부배출롤러(72)와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가압브라켓이고, 82는 상기 가압브라켓(81)에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1)에 결합되고 타단이 가압브라켓(81)에 결합된 토션스프링이며, 그리고 미설명 부호 73은 하부배출롤러(72)를 구동시키는 축상에 결합된 하부배출롤러구동기어이고, 74는 구동모터로서 이 구동모터축상에 결합된 구동기어(741)가 상기 하부배출롤러구동기어(73)와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적재대(6)에 카드가 적층된 상태에서 피딩모터(54)가 작동되면 모터축상에 결합된 기어(541)를 매개로 전동기어(5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치합된 승강롤러구동기어(3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어(55)가 결합된 구동축(5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데 이때 원웨이 베어링(56)이 구동축(51)의 회동방향이 항상 반시계방향으로만 수행되도록 작동되는 한편 상기 구동축(51)에 결합된 제1피딩롤러구동기어(5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치합된 제2피동롤러구동기어(5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피딩롤러축(22) 및 피딩롤러(23)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그 상면에 위치된 카드(a)를 이송하게 된다.
한편, 회동되는 승강롤러구동기어(33)에 의해 승강롤러부재(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승강롤러(322)는 "D"자 형상의 캠 형태로 구성되는 바 승강롤러(322)의 평면부가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레벨이 낮아지게 되어 그 상면상에 올려지는 카드(a)의 위치가 낮은 위치에 있게 되고 승강롤러(322)의 돌출부가 상방에 위치되면 카드(a)가 상승되는 작용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피딩롤러부(2)와 카드승강롤러부(3)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롤러브라켓(31)은 베이스플레이트(1)와 탄성부재(34)에 의해 탄성 반발되게 설치되므로 구동축(51)을 힌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상승력이 작용되고 이에 따라 이 승강롤러브라켓(31)에 결합된 승강롤러(322)에 상승력이 작용되므로 카드 저면과의 밀착력이 상승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롤러브라켓(31)에는 탄성부재(24)에 의해 피딩롤러브라켓(21)이 탄성 반발되게 설치되므로 이 피딩롤러브라켓(21)에 구동축(51)을 힌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려는 상승력이 작용되면서 피딩롤러(23)가 상승되어 카드 저면과의 마찰력이 상승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카드 낱장 공급장치에 의한 카드의 공급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적재장치(6)의 적재되어 카드적재대(61)에 위치되는 최하측 카드의 선단부가 피딩롤러(23)측에 위치되고 후단부가 카드적재대(61)의 경사부측에 위치되어 있다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메커니즘에 의해 승강롤러(322) 및 피딩롤러(23)가 회전되면 승강슬라이더(4)측으로 이송되는바, 이때 카드의 선단부는 도 3의 일부 확대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걸림홈(232)의 홈 내부에 경사면상에 걸림되어 슬립(미끄럼 작용)이 차단되고 이와 동시에 피딩롤러브라켓(21)의 상승력에 의한 피딩롤러(23)의 상승작용에 의해 카드 앞쪽 저면에는 안정된 마찰력이 작용되면서 상기 피딩롤러(23)의 회전운동에 따라 카드는 승강슬라이더(4)와의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를 통과하여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피딩롤러(23)의 후방에 위치된 승강롤러(322) 또한 회동되면서 카드의 이송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마찰력을 작용하게 되고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승강롤러(322)가 결합된 승강롤러브라켓(31) 또한 탄성부재(34)에 의해 상승력이 작용되므로 카드적재장치(6)상에 적재된 카드의 수량에 따라 일정하게 카드의 후부에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롤러(322)는 그 측단면 형상이 "D"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캠 동작을 통해 카드 후부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게 되므로 카드의 선단부가 피딩롤러(23)의 카드걸림홈(232)으로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는 동시에 카드적재대(61)측에 적재된 카드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카드 낱장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낱장 공급장치는 상술한 구성 및 작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낱장 공급장치에 의하면, 피딩롤러에 카드걸림홈이 형성되어 카드의 선단이 승강슬라이더의 하단부에 정확하게 위치되고 피딩롤러브라켓의 상승력에 의해 피딩롤러가 상승되면서 카드에 안정된 마찰력이 작용되므로 카드의 배출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매우 단순화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낱장 공급장치는 적재대에 적재된 카드가 모두 배출되고 마지막 카드가 남게 되더라도 상부에 별도의 하중을 인가하지 않고도 피딩롤러와 카드 저면과의 사이에 안정된 마찰력이 작용되어 원활한 카드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7)

  1. 이격 설치된 한 쌍의 베이스플레이트 일측에 피딩모터가 설치되고 피딩모터의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전동기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피딩롤러부와, 상기 피딩롤러부 후부의 베이스플레이트상에 횡설되어 전동기어와 치합되는 승강롤러구동기어와 결합 회전되는 카드승강롤러부와, 상기 피딩롤러부의 상측 피딩롤러 상면 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승강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카드적재장치에 적재된 카드를 이송 배출시키는 카드 낱장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드승강롤러부는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앞쪽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력이 작용되게 설치되는 승강롤러브라켓과, 이 승강롤러브라켓상에 횡설되는 롤러축상에 승강롤러가 결합된 승강롤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피딩롤러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 앞쪽이 힌지점으로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편 뒷쪽이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력이 작용되게 상기 승강롤러브라켓에 연결 설치되는 피딩롤러브라켓과, 이 피딩롤러브라켓상에 횡설되는 피딩롤러축과, 이 피딩롤러축상에 삽입 고정되는 피딩롤러와, 상기 피딩롤러축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전동기어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피딩롤러구동수단이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낱장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구동수단은 피딩롤러부와 접한 카드 배출측에 해당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회동가능하게 횡설되고 상기 전동기어가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상에 결합되는 제1피딩롤러구동기어와;
    상기 제1피딩롤러구동기어와 치합되게 대응되는 피딩롤러축상에 결합되는 제2피딩롤러구동기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낱장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롤러브라켓은 평면상에서 보아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앞쪽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측에 해당되는 구동축에 결합 회동되고 그 양쪽 하측에는 제1탄성부재걸림부 및 제2탄성부재걸림부가 형성되어 제1탄성부재걸림부에는 대응되는 베이스플레이트상에 형성된 걸림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4)에 의해 상승력이 작용되게 설치되며,
    상기 피딩롤러브라켓은 앞쪽이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에 해당되는 구동축에 결합되고 뒷쪽이 제2탄성부재걸림부와 탄성부재로 연결되어 탄성력에 의해 구동축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낱장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상에 결합되어 피딩모터의 구동기어에 치합 회동되는 전동기어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이 피딩롤러의 회전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원웨이 베어링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낱장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 좌우측에 해당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승강슬라이더의 저면 양측과 접촉되어 피딩롤러와 승강슬라이더 사이에 형성되는 게이트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베어링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낱장 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롤러는 측단면 형상이 "D"자 형상이고 그 표면에 미소한 요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낱장 공급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미소한 요입홈이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 접촉되는 카드 저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카드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크기의 폭으로 복수 개의 카드걸림홈이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낱장 공급장치.
KR1020040070123A 2004-08-30 2004-08-30 카드 낱장 공급장치 KR10065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123A KR100650495B1 (ko) 2004-08-30 2004-08-30 카드 낱장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123A KR100650495B1 (ko) 2004-08-30 2004-08-30 카드 낱장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555A KR20060020555A (ko) 2006-03-06
KR100650495B1 true KR100650495B1 (ko) 2006-12-01

Family

ID=3712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123A KR100650495B1 (ko) 2004-08-30 2004-08-30 카드 낱장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4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5068A (zh) * 2012-11-30 2013-04-10 韩永军 打卡发盘售餐机
KR20230033422A (ko) 2021-09-01 2023-03-08 아이디피 (주) 멀티 호퍼장치용 카드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5134A (zh) * 2021-04-08 2021-07-09 桂林橡胶设计院有限公司 一种橡胶挤出机的喂料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771A (ko) * 2001-04-24 2002-10-31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기능을 갖는 자동 카드 배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771A (ko) * 2001-04-24 2002-10-31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기능을 갖는 자동 카드 배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8277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5068A (zh) * 2012-11-30 2013-04-10 韩永军 打卡发盘售餐机
KR20230033422A (ko) 2021-09-01 2023-03-08 아이디피 (주) 멀티 호퍼장치용 카드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555A (ko)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84417B2 (ja) シート整列装置
US8047428B2 (en) Cash transaction machine
EP1584583A2 (en) Paper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CN100588596C (zh) 纸张匣及信息处理装置
US6581924B2 (en) Roller gear over engagement protection for document feeder
KR100966675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650495B1 (ko) 카드 낱장 공급장치
US7533878B2 (en) Printer media transport for variable length media
CN101100245A (zh) 薄片进给装置和图像形成装置
KR100348684B1 (ko) 카드 공급장치
US20060180977A1 (en) Currency note feeding apparatus for currency note handling machine
KR20040014722A (ko) 프린터의 배지장치 및 이를 채용한 프린터
KR100517435B1 (ko) 카드 낱장 공급장치
US4725052A (en) Paper discharging device having conveyor sections moving at different speeds
KR100425862B1 (ko) 현금자동지급기용 지폐분리부의 롤러간극조절장치
KR100251237B1 (ko) 카드 방출장치
KR100492340B1 (ko) 카드프린터의 카드 공급장치
KR20040066071A (ko) 티켓 낱장 공급장치
JP2866835B2 (ja) カード繰り出し装置
KR100718916B1 (ko) 상품권 배출장치
KR100942315B1 (ko) 용지 처리장치
KR101095256B1 (ko) 매체출납장치
JPH02117528A (ja) 紙葉類送出し装置
KR101320900B1 (ko) 카드프린터의 카드공급장치
JPH0761072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