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189B1 - 매체 조출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189B1
KR100969189B1 KR1020080019656A KR20080019656A KR100969189B1 KR 100969189 B1 KR100969189 B1 KR 100969189B1 KR 1020080019656 A KR1020080019656 A KR 1020080019656A KR 20080019656 A KR20080019656 A KR 20080019656A KR 100969189 B1 KR100969189 B1 KR 100969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feeding
press
inclined surface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686A (ko
Inventor
이사오 기타바타케
도모히로 호리구치
신이치 가나이
요시카즈 산다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one or more rollers or balls and stationary pressing, supporting or guid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매체를 확실하게 조출할 수 있게 한다.
(해결 수단) 매체 (P) 를 가압하는 경사면과, 수납부 (2) 의 조출 방향의 벽면에 접하는 수직면을 갖고, 그 경사면 또는 그 경사면이 연장된 면과 수직면 또는 수직면이 연장된 면의 교점 (18) 으로부터 수직면의 상단 (5d) 까지의 길이 (L2) 가, 교점 (18) 으로부터 조출 롤러 (6) 와 경사면이 접하는 접점 (15) 까지의 길이 (L1)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수납부 (2) 의 최상위의 매체 (P) 에 탑재되는 매체 누름 (5) 을 설계한다.
매체 조출 장치, 조출 롤러, 매체 누름

Description

매체 조출 장치 {MEDIUM TAKE-OUT DEVICE}
본 발명은, 매체 카세트 등의 수납부에 장전된 통장, 장표 (帳票) 나 지폐 등의 매체를 1 장씩 분리하여 조출 (繰出) 하는 매체 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매체 조출 장치는, 매체 카세트 등의 수납부에 장전된 최상위의 매체 상에 추를 탑재하여, 적층된 최하위의 매체를 조출 롤러로 가압시키면서, 그 조출 롤러를 회전시켜 1 장분의 통과를 허용하는 게이트에 의해 1 장씩 분리하여 조출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 매체 상에 탑재되는 추는, 그 추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수납부의 내측의 측면에 형성된 홈으로 안내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그 돌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해 매체를 충분히 조출 롤러에 가압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체 조출 장치 (101) 의 수납부 (102) 에 장전된 매체 (P) 에 맞닿는 판재 (105a) 와 수납부 (102) 의 조출구 (111) 측의 측벽 (103) 에 맞닿는 판재 (105b) 에 의해 추 (105) 를 형성하여, 최하위의 매체 (P) 를 조출 롤러 (106) 로 가압시키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82946호 (단락「0011」 ∼ 단락「0015」, 도 1)
그러나, 상술한 도 5 에 나타내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도, 수납부 (102) 에 장전된 매체 (P) 가 적어지면 조출 롤러 (106) 와 분리 롤러 (107) 의 접선과 수납부 (102) 의 측벽에 맞닿는 판재 (105b) 의 면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점으로부터 수납부 (102) 의 측벽에 맞닿는 판재 (105b) 의 선단 (105d) 까지의 길이 (L2) 가 그 점으로부터 매체 (P) 와 조출 롤러 (106) 의 접점까지의 길이 (L1) 보다 짧아져 버리기 때문에, 선단 (105d) 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추 (105) 는 부상하고, 매체 (P) 를 조출 롤러 (106) 로 가압시키는 힘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조출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중앙부가 추 (105) 측, 양단부가 판재 (104) 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 (P) 가 장전된 경우, 그 매체 (P) 가 얼마 남지 않게 되면 매체 (P) 와 조출 롤러 (106) 사이에 간극이 생겨버리기 때문에, 매체 (P) 를 조출 롤러 (106) 로 가압시키는 힘이 불충분해져 조출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앙부가 판재 (104) 측, 양단부가 추 (105) 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 (P) 가 장전된 경우, 그 매체 (P) 가 얼마 남지 않게 되면 매체 (P) 의 선단부가 분리 게이트 (108) 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정확하게 조출구 (111) 로 안내할 수 없어 조출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조출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저부에 적층시켜 매체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그 수납부의 최하위의 매체를 1 장씩 분리하여 조출하는 조출 롤러를 구비한 매체 조출 장치에 있어서, 매체를 가압하는 경사면과, 수납부의 조출 방향의 벽면에 접하는 수직면을 갖고, 상기 경사면 또는 상기 경사면이 연장된 면과 상기 수직면 또는 상기 수직면이 연장된 면의 교점으로부터 상기 수직면의 상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교점으로부터 조출 롤러와 상기 경사면이 접하는 접점까지의 길이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수납부의 최상위의 매체에 탑재되는 매체 누름을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매체 누름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부재에, 매체 누름의 중심이 조출 롤러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추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매체 누름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부재를, 단부가 조출 롤러 근방의 반(反)조출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판재로 하고, 상기 추를, 상기 판재의 경사면의 반대면에 고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한 본 발명은, 수납부에 장전된 매체가 얼마 남지 않게 되었을 경우, 중앙부가 매체 누름측, 양단부가 저부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가 장전된 경우, 나아가 중앙부가 저부측, 양단부가 매체 누름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가 장전된 경우에도, 그 매체를 분리 롤러에 충분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어, 매체를 확실하게 조출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매체 조출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매체 조출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1 은 매체 조출 장치로서, 장전된 통장, 장표나 지폐 등의 매체 (P) 를 1 장씩 분리하여 조출하는 것이다. 이 매체 조출 장치 (1) 는, 예를 들어, 은행 등의 금융 기관의 현금 자동 입출금기, 통장 발행 장치, 장표 발행 장치 등에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매체 (P) 를 통장으로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2 는 수납부로서, 매체 (P) 를 적층시켜 수납하는 것이다. 이 수납부 (2) 는 도면 중 화살표 A 로 나타내는 조출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저부를 형성하는 저판 (4) 상에 매체 (P) 를 적층시켜 수납한다.
5 는 매체 누름으로서, 수납부 (2) 에 수납된 최상위의 매체 (P) 상에 탑재되는 것이다. 이 매체 누름 (5) 은, 대략 L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매체 (P) 에 맞닿아 그 매체 (P) 를 가압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판재 (5a), 그 판재 (5a) 의 상면 (매체 (P) 를 가압하는 경사면의 반대면) 에 고착되어, 수직 방향의 일면이 조출 방향측의 수납부 (2) 의 벽면 (2a) 에 접하도록 형성된 판재 (5b), 및 단부가 조출 롤러 근방의 반조출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판재 (5a, 5b) 의 단부 (반조출 방향의 후단부) 의 상면 (매체 (P) 를 가압하는 경사면의 반대면) 에 고착 된 추 (5c) (예를 들어 판상인 것) 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매체 누름 (5) 은, 그 측면에 도시하지 않은 돌기부가 형성되고, 수납부 (2) 의 내측의 측면에 형성된 홈으로 안내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6 은 조출 롤러로서, 저판 (4) 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외주면이 돌출하도록 수납부 (2) 의 저부에 형성된 것이다. 이 조출 롤러 (6) 는, 매체 (P) 의 반송이 용이해지도록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고무 등의 고(高)마찰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이나 그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수단에 의해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매체 누름 (5) 및 매체 (P) 의 자기 무게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최하위의 매체 (P) 를 화살표 A 가 나타내는 조출 방향으로 반송한다.
7 은 분리 롤러로서, 조출 롤러 (6) 의 조출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어, 매체 (P) 반송이 용이해지도록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고무 등의 고마찰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이나 그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수단에 의해 조출 롤러 (6) 와 동기하여 동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8 은 분리 게이트로서, 수납부 (2) 의 개구부인 매체 조출구 (11) 근방에 배치되어, 분리 게이트축 (9) 에서 회전 운동이 자유롭도록 장착되어, 수납부 (2) 로부터 조출된 매체 (P) 를 1 장씩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분리 게이트 (8) 는 대향 배치된 분리 롤러 (7) 와의 사이가 매체 (P) 1 장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간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이 분리 게이트 (8) 는 수납부 (2) 의 벽면에 형성된 스프링 (10) 으로 분리 롤러 (7) 측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 은 수납부 (2) 에 1 장의 매체 (P) 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이 도 1 에서, 접점 (15) 은 수납부 (2) 에 수납된 매체 (P) 와 조출 롤러 (6) 의 접점을 나타내고, 접점 (16) 은 조출된 매체 (P) 와 분리 롤러 (7) 의 접점을 나타내며, 접점 (17) 은 매체 누름 (5) 의 판재 (5b) 의 선단 (5d) 과 수납부 (2) 의 벽면 (2a) 의 접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 교점 (18) 은, 접점 (15) 및 접점 (16) 을 통과하는 직선 (20) 과, 판재 (5b) 와 벽면 (2a) 의 접선 (21) 과의 교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접점 (15) 과 교점 (18) 의 거리를 L1, 접점 (17) 과 교점 (18) 의 거리를 L2 라고 하면, 매체 누름 (5) 의 판재 (5b) 는, L2 가 L1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매체 누름 (5) 은, 판재 (5a) 의 경사면 또는 그 경사면이 연장된 면과 판재 (5b) 의 수직면 또는 그 수직면이 연장된 면의 교선 (교점 (18)) 으로부터 판재 (5b) 의 수직면의 상단 (5d) 까지의 길이 (L2) 가, 교선 (교점 (18)) 으로부터 조출 롤러 (6) 와 판재 (5a) 의 경사면이 접하는 선 (접점 (15)) 까지의 길이 (L1)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매체 누름 (5) 을 설치함으로써 접점 (17) 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모멘트에 의해 매체 누름 (5) 이 부상하는 경우가 없어진다.
또, 매체 누름 (5) 의 판재 (5a) 의 조출 방향의 선단 (5e) 은 경사면 또는 경사면이 연장된 면 상의 교점 (18) 내에 위치하면서, 접선 (21) 의 바로 옆 (근방) 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판재 (5a, 5b) 의 단부는 접점 (15) 의 반조출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추 (5c) 는 매체 누름 (5) 의 중심이 접점 (15) 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매체 조출 장치 (1) 가 행하는 동작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등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에 기초하여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매체 조출 장치 (1) 의 수납부 (2) 에 매체 (P) 가 장전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상위 장치로부터 매체 (P) 를 조출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해 매체 (P) 의 조출 동작이 개시된다.
도 1 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조출 롤러 (6) 및 분리 롤러 (7) 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매체 누름 (5) 에 의해 조출 롤러 (6) 로 가압된 최하위의 매체 (P) 는 조출구 (11) 의 방향으로 조출되고, 조출된 매체 (P) 의 선단이 조출구 (11) 를 1 장씩 통과하여 도시하지 않은 매체 반송로로 보내어진다.
이 때, 판재 (5a, 5b) 의 단부는 접점 (15) 의 반조출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매체 누름 (5) 의 중심이 접점 (15) 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매체 (P) 는 매체 누름 (5) 에 의해 충분한 힘으로 조출 롤러 (6) 로 가압되어 확실 하게 조출된다.
특히, 수납부 (2) 에 장전된 매체 (P) 가 1 장 남았을 경우에도, 매체 누름 (5) 의 판재 (5b) 는, 상기 서술한 L2 가 L1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 (17) 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모멘트에 의해 매체 누름 (5) 이 부상되지 않고, 매체 (P) 를 조출 롤러 (6) 로 가압할 수 있다.
또, 매체 누름 (5) 의 판재 (5a) 의 조출 방향의 선단 (5e) 이 접선 (21) 의 바로 옆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출 방향의 선단부가 만곡된 매체 (P) 이어도 그 선단부를 매체 누름 (5) 이 충분한 힘으로 가압하여, 매체 (P) 의 만곡된 부위를 수정하여 확실하게 매체 조출구 (11) 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추 (5c) 를 판재 (5a, 5b) 의 반조출 방향측의 후단부의 상면에 고착시켜, 추 (5c) 와 저판 (4)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반조출 방향측의 단부가 만곡된 매체 (P) 에 의해 매체 누름 (5) 을 밀어 올리지 않고, 매체 누름 (5) 은 매체 (P) 를 조출 롤러 (6) 로 충분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2 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매체 누름측, 양단부가 저판측에 만곡된 매체가 장전된 경우의 설명도로서, 도 2 에 있어서, 매체 (P) 는, 그 중앙부가 매체 누름 (5) 측, 양단부가 저판 (4) 측이 되도록 만곡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중앙부가 매체 누름 (5) 측, 양단부가 저판 (4) 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 (P) 가 장전된 경우에도, 매체 누름 (5) 은 그 중심이 접점 (15) 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체 (P) 는 매체 누름 (5) 에 의해 충분한 힘으로 조출 롤러 (6) 로 가압되어 확실 하게 조출된다.
도 3 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저판측, 양단부가 매체 누름측에 만곡된 매체가 장전된 경우의 설명도로서, 도 3 에 있어서, 매체 (P) 는, 그 중앙부가 저판 (4) 측, 양단부가 매체 누름 (5) 측이 되도록 만곡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중앙부가 저판 (4) 측, 양단부가 매체 누름 (5) 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 (P) 가 장전된 경우에도, 추 (5c) 와 저판 (4)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매체 (P) 의 반조출 방향측의 단부에 의해 매체 누름 (5) 을 밀어 올리지 않고, 매체 누름 (5) 은 매체 (P) 를 조출 롤러 (6) 로 충분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매체 조출 장치 (1) 는 수납부 (2) 에 장전된 매체 (P) 를 마지막 1 장까지 정확하게 조출구 (11) 로 안내하여, 1 장씩 분리하여 조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는, 수납부 (2) 에 장전된 매체 (P) 가 1 장 남았을 경우에도, 접점 (17) 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모멘트에 의해 매체 누름 (5) 이 부상하지 않도록 했기 때문에, 매체 (P) 를 조출 롤러 (6) 로 충분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어, 매체 (P) 를 확실하게 조출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중앙부가 매체 누름 (5) 측, 양단부가 저판 (4) 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 (P) 가 장전된 경우에도, 매체 누름 (5) 은, 그 중심이 접점 (15) 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체 (P) 를 조출 롤러 (6) 로 충분한 힘으로 가 압할 수 있어, 매체 (P) 를 확실하게 조출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나아가, 중앙부가 저판측, 양단부가 매체 누름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 (P) 가 장전된 경우에도, 추 (5c) 와 저판 (4)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매체 (P) 의 반조출 방향측의 단부에 의해 매체 누름 (5) 을 밀어 올리지 않고, 매체 (P) 를 조출 롤러 (6) 로 충분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어, 매체 (P) 를 확실하게 조출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조출 방향의 선단부가 만곡된 매체 (P) 이어도, 그 선단부를 매체 누름 (5) 이 충분한 힘으로 가압하도록 했기 때문에, 매체 (P) 의 만곡된 부위를 수정하여 확실하게 매체 조출구 (11) 로 안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2
도 4 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매체 조출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상이한 부분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4 에 있어서, 41 은 수납부 (2) 의 저부를 구성하는 저판이다. 저판 (41a) 은 조출 롤러 (6) 의 조출 방향의 저부, 저판 (41b) 은 조출 롤러 (6) 의 반조출 방향의 저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저판 (41a) 및 저판 (41b) 은 조출 방향으로 경사시켜 형성되고, 저판 (41b) 의 경사각은 저판 (41a) 의 경사각보다 완만해지도록, 예를 들어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5f 는 추로서, 매체 누름 (5) 의 판재 (5a, 5b) 의 반조출 방향측의 후단부 의 상면에 고착되고, 또한 그 후단 근방에서 상방향으로 굴절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저판 (41b) 과 추 (5f)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넓어지도록 하고 있다.
매체 누름 (5) 의 판재 (5a) 의 조출 방향의 선단 (5e) 은 접선 (21) 의 바로 옆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판재 (5a, 5b) 의 단부는 접점 (15) 의 반조출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추 (5c) 는 매체 누름 (5) 의 중심이 접점 (15) 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서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수납부 (2) 에 매체 (P) 가 장전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상위 장치로부터 매체 (P) 를 조출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에 의해 매체 (P) 의 조출 동작이 개시된다.
도 4 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조출 롤러 (6) 및 분리 롤러 (7) 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매체 누름 (5) 에 의해 조출 롤러 (6) 로 가압된 최하위의 매체 (P) 가 조출구 (11) 의 방향으로 조출되고, 조출된 매체 (P) 의 선단이 조출구 (11) 를 1 장씩 통과하여 도시하지 않은 매체 반송로로 보내어진다.
이 때,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가 매체 누름 (5) 측, 양단부가 저판 (4) 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 (P) 가 장전된 경우에도, 저판 (41b) 에서 확보된 공간에 매체 (P) 가 만곡된 상태에서 수납되어, 매체 (P) 는 매체 누름 (5) 에 의해 충분한 힘으로 조출 롤러 (6) 로 가압되어 확실하게 조출된다.
또, 중앙부가 저판 (4) 측, 양단부가 매체 누름 (5) 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 (P) 가 장전된 경우에도, 추 (5f) 와 저판 (41b)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매체 (P) 의 반조출 방향측의 단부에 의해 매체 누름 (5) 을 밀어 올리지 않고, 매체 누름 (5) 은 매체 (P) 를 조출 롤러 (6) 로 충분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효과에 추가로 중앙부가 매체 누름 (5) 측, 양단부가 저판 (4) 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 (P) 가 장전된 경우에도, 저판 (41b) 에서 확보된 공간에 매체 (P) 가 만곡된 상태로 수납되어, 매체 누름 (5) 은 충분한 힘으로 매체 (P) 를 조출 롤러 (6) 로 가압할 수 있어, 매체 (P) 를 보다 확실하게 조출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중앙부가 저판 (4) 측, 양단부가 매체 누름 (5) 측이 되도록 만곡된 매체 (P) 가 장전된 경우에도, 추 (5f) 와 저판 (41b)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매체 (P) 의 반조출 방향측의 단부에 의해 매체 누름 (5) 을 밀어 올리지 않고, 매체 누름 (5) 은 충분한 힘으로 매체 (P) 를 조출 롤러 (6) 로 가압할 수 있어, 매체 (P) 를 보다 확실하게 조출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매체 조출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 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저판측, 양단부가 매체 누름측에 만곡된 매체가 장전된 경우의 설명도.
도 3 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매체 누름측, 양단부가 저판측에 만곡된 매체가 장전된 경우의 설명도.
도 4 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매체 조출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 는 종래의 매체 조출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매체 조출 장치
2 수납부
2a 벽면
4 저판
5 매체 누름
6 조출 롤러
7 분리 롤러
8 분리 게이트
9 분리 게이트축
10 스프링
11 매체 조출구

Claims (5)

  1. 조출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저부에 적층시켜 매체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최하위의 매체를 1 장씩 분리하여 조출하는 조출 롤러를 구비한 매체 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체를 가압하는 경사면과, 상기 수납부의 조출 방향의 벽면에 접하는 수직면을 갖고, 상기 경사면 또는 상기 경사면이 연장된 면과 상기 수직면 또는 상기 수직면이 연장된 면의 교점으로부터 상기 수직면의 상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교점으로부터 상기 조출 롤러와 상기 경사면이 접하는 접점까지의 길이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의 최상위의 매체에 탑재되는 매체 누름을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누름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부재에, 상기 매체 누름의 중심이 상기 조출 롤러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추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조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누름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부재를, 단부가 조출 롤러 근방의 반(反)조출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판재로 하고,
    상기 추를, 상기 판재의 경사면의 반대면에 고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 체 조출 장치.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누름의 경사면의 선단이, 경사면 또는 경사면이 연장된 면 상의 상기 교점 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매체 누름의 수직면 또는 수직면이 연장된 면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조출 장치.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저부를 형성하는 저판을, 상기 조출 롤러로부터 반조출 방향의 저판의 경사가 상기 조출 방향의 저판의 경사보다 완만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조출 장치.
KR1020080019656A 2007-03-19 2008-03-03 매체 조출 장치 KR100969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71342 2007-03-19
JP2007071342A JP4731513B2 (ja) 2007-03-19 2007-03-19 媒体繰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686A KR20080085686A (ko) 2008-09-24
KR100969189B1 true KR100969189B1 (ko) 2010-07-09

Family

ID=3990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656A KR100969189B1 (ko) 2007-03-19 2008-03-03 매체 조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31513B2 (ko)
KR (1) KR100969189B1 (ko)
CN (1) CN1012713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2869B2 (ja) * 2011-08-30 2015-05-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整位機構および紙幣処理装置
JP5712871B2 (ja) * 2011-08-31 2015-05-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5344014B2 (ja) * 2011-09-20 2013-11-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KR101266174B1 (ko) * 2012-03-09 2013-05-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낙하방식의 지폐 수납기구
WO2014091564A1 (ja) * 2012-12-11 2014-06-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帳発行機構
JP2018076159A (ja) * 2016-11-10 2018-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押圧部材
CN107839360A (zh) * 2017-10-31 2018-03-27 合肥汉闻数字印刷设备有限公司 一种邮戳打印机
CN109454926A (zh) * 2018-11-21 2019-03-12 浙江广源印刷包装有限公司 一种用于包装箱生产的瓦楞纸压痕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478A (ja) * 1992-09-16 1994-04-05 Omron Corp 紙葉類の下繰出し装置
JPH08217263A (ja) * 1995-02-16 1996-08-27 Shibaura Eng Works Co Ltd 紙葉取出装置
KR20030075938A (ko) * 2002-03-21 200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비상구호시스템 및 방법
KR200375938Y1 (ko) 2004-09-06 2005-03-11 (주)코인빌 상품권 자동 지급기
KR100879610B1 (ko) 2002-12-11 2009-01-21 엘지엔시스(주) 매체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체자동지급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8845A (ja) * 1981-11-04 1983-05-12 Nippon Soken Inc シ−トベルト巻取り装置
JPS609843U (ja) * 1983-06-29 1985-01-23 三洋電機株式会社 紙葉類の送出装置
JPS6475331A (en) * 1987-09-18 1989-03-22 Hitachi Ltd Automatic paper feed device
JPH0312825U (ko) * 1989-06-23 1991-02-08
JP4413111B2 (ja) * 2004-09-17 2010-02-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カセット
JP4545575B2 (ja) * 2004-12-14 2010-09-15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紙幣取込装置
JP4710727B2 (ja) * 2006-06-09 2011-06-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入金紙幣取扱機構
KR101026917B1 (ko) * 2006-06-30 2011-04-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스택롤러 회전방지장치
JP5125006B2 (ja) * 2006-07-06 2013-01-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478A (ja) * 1992-09-16 1994-04-05 Omron Corp 紙葉類の下繰出し装置
JPH08217263A (ja) * 1995-02-16 1996-08-27 Shibaura Eng Works Co Ltd 紙葉取出装置
KR20030075938A (ko) * 2002-03-21 200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비상구호시스템 및 방법
KR100879610B1 (ko) 2002-12-11 2009-01-21 엘지엔시스(주) 매체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체자동지급기
KR200375938Y1 (ko) 2004-09-06 2005-03-11 (주)코인빌 상품권 자동 지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31513B2 (ja) 2011-07-27
CN101271335A (zh) 2008-09-24
KR20080085686A (ko) 2008-09-24
JP2008230746A (ja) 2008-10-02
CN101271335B (zh)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189B1 (ko) 매체 조출 장치
US7850165B2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KR100868715B1 (ko) 종이류 송출 장치
JP4749384B2 (ja) シート送り装置
JP4930041B2 (ja) 給紙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装置
WO2009113377A1 (ja) 紙葉類処理装置
US7975909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KR20080022036A (ko) 지엽류 취급 장치
EP2919207B1 (en) Paper sheet type medium stacking device
JP2007280299A (ja) 紙葉類処理装置
CN111127740B (zh) 薄片类介质分发装置和现金循环处理设备
JP4178132B2 (ja) 紙葉類集積分離装置
WO2014091564A1 (ja) 通帳発行機構
KR20120024883A (ko) 다발 반송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
JP5563523B2 (ja) 紙葉類収納カセット繰出負荷低減機構
JP2010052884A (ja) 紙葉類取扱装置
JP2009007133A (ja) 紙葉類集積装置
JP5844724B2 (ja) 媒体繰り出し装置
KR20030054209A (ko) 현금자동지급기용 지폐분리부의 롤러간극조절장치
EP3483101B1 (en) Medium processing device
JP4193736B2 (ja) 紙葉媒体排出構造
JP2016153331A (ja) 媒体引渡装置
JP4707442B2 (ja) 給紙装置
JP2018045628A (ja) 媒体取引装置
KR101499738B1 (ko) 금융 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