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300A - 광노화방지제 및 피부화장료 - Google Patents

광노화방지제 및 피부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300A
KR20000022300A KR1019980710722A KR19980710722A KR20000022300A KR 20000022300 A KR20000022300 A KR 20000022300A KR 1019980710722 A KR1019980710722 A KR 1019980710722A KR 19980710722 A KR19980710722 A KR 19980710722A KR 20000022300 A KR20000022300 A KR 20000022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cid
hydrogen atom
substituted
aromatic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4757B1 (ko
Inventor
가쓰오 마쓰모또
히로끼 쓰루오까
노리오 후지와라
야스도모 니시모리
유끼꼬 겐조
Original Assignee
스즈키 츠네시
포라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264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8041B2/ja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츠네시, 포라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츠네시
Publication of KR2000002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63/00Steroids in whic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has been modified by expansion of only one ring by one or two atoms
    • C07J63/008Expansion of ring D by one atom, e.g. D homo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안전성이 높고 또 광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한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로 되는 광노화방지제를 얻기 위해서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한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이고, 상기 관능기의 적어도 한쪽이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인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의 1종 또는 2종이상을 광노화방지제로 한다.
또 피부의 주름방지, 피부미용효과 개선에 우수한 피부화장료를 얻기 위해서 피부화장료에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 유도체이고, 상기 관능기의 적어도 한쪽이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인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0.0001∼10중량%의 비율로 배합한다.

Description

광노화방지제 및 피부화장료
일반적으로 피부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아 따른 생리적 노화와, 일광노출(자외선)에 의한 광노화가 서로 영향을 주어 생기는 생리현상이나, 현재 특히 후자의 광노화와 주름, 피부거칠어짐, 반점등의 관계가 주목되고 있다. 즉 장기간 태양(자외선)에 노출이 계속되면, 얼굴, 목에 깊은 주름을 증가시키고 또 피부의 건조 및 피부거칠어짐이나 반점, 주근깨등의 색소침착을 일으킴이 알려져 있고, 이 광노화에 의한 피부의 트러블이 문제시되는 경향이다.
종래부터 이들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로의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산화티탄, 산화아연, 파라메톡시 신남산 에스테르,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등의 각종 자외선 흡수, 산란, 차폐물질을 배합한 화장료(선스크린, 선프로텍트화장품)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화장료를 사용하여도 과도한 일광노출로부터 피부를 방어하기는 곤란하다, 또 상기 광노화를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전트랜스형의 레티노인산의 외용도포가 유효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Methods in Enzymology, 1990년, 제190권, 352-360쪽 참조), 안전성 상의 문제 때문에 의사에 의한 사용에 한정되어 있고, 유효성이 높고 또 안전한 광노화개선제 및 피부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상기 요망을 충족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식물 유래의 울솔산, 올레아놀산등의 트리터페노이드나 이들의 에스테르등의 유도체가, 광노화개선제, 화장료, 피부외용제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의 원료가 되는 트리터페노이드는 식물체중의 함유량이 매우 낮고, 화장료나 외용제중에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는 양을 배합하면 고가가 되는 문제가 있고, 공급면에서도 충분한 양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안정성이 높고, 광노화를 방지하고, 개선하는 작용을 갖고, 피부노화 방지효과가 우수한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에 있어서, 소량의 사용으로 충분하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광노화방지제 및 피부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화합물 유도체 및/또는 그 염류로 되는 광노화방지제 및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유도체 및/또는 그 염류를 함유하는 주름등을 방지하고 피부미용 효과 개선에 우수한 피부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제조예1에서 얻은 울솔산벤질의13H-NMR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제조예1에서 얻은 울솔산벤질의13C-NMR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3은 제조예1에서 얻은 울솔산벤질의 IR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의 제조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조예 1 울솔산벤질, 베튜린산벤질
울솔산 1g을 아세톤 50ml에 용해한 용액에 브롬화 벤질 5ml, 탄산칼륨 5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하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그후에 불용물을 여과 분별했다. 여액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한 후에 잔사를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여 울솔산의 벤질 유도체 1.2g(수율97%)을 얻었다. 얻은 울솔산의 벤질 유도체에 대해서 NMR(핵자기 공명) 및 IR(적외분광)의 측정을 행했다. 결과를IH-NMR에 대해서는 도1에13C-NMR에 대해서는 도2에, IR에 대해서는 도3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에서 얻은 울솔산의 벤질 유도체는 울솔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벤질기로 치환된 구조의 울솔산 벤질인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울솔산 대신에 베튜린산 1g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합성방법에 의해서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벤질기로 치환된 구조의 베튜린산 벤질 1.2g(수율 97%)을 얻었다.
제조예2 올레아놀산메톡시벤질
올레아놀산 1g을 아세톤 50ml에 용해한 용액에 브롬화메톡시벤질 5ml, 탄산칼륨 5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하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그 후에 불용물을 여과 분별했다. 여액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한 후에 잔사를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여 올레아놀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메톡시벤질기로 치환된 구조의 올레아놀산 메톡시벤질 1.1g(수율 84%)를 얻었다.
제조예3 베튜린산니트로벤질, 올솔산니트로벤질
베튜린산 1g을 아세톤 50ml에 용해한 용액에 브롬화니트로벤질 5ml, 탄산칼륨 5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하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그 후에 불용물을 여과 분별했다. 여액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한 후에 잔사를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여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니트로벤질기로 치환된 구조의 베튜린산 니트로벤질 1.1g(수율 83%)을 얻었다. 상기 베튜린산 대신 울솔산 1g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합성방법으로 울솔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니트로벤질기로 치환된 구조의 울솔산니트로벤질 1.05g(수율 79%)을 얻었다.
제조예4 울솔산나프틸메틸, 베튜린산나프틸메틸
울솔산 1g을 아세톤 50ml에 용해한 용액에 브롬화나프틸메틸 5g, 탄산칼륨 5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하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그 후에 불용물을 여과 분별했다. 여액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한 후에 잔사를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여 울솔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나프틸메틸기로 치환된 구조의 울솔산나프틸메틸 0.95g(수율 72%)을 얻었다.
상기 울솔산 대신에 베튜린산 1g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합성방법으로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나프틸메틸기로 치환된 구조의 베튜린산나프틸메틸 0.96g(수율 73%)를 얻었다.
제조예5 올레아놀산디페닐메틸
올레아놀산 1g을 아세톤 50ml에 용해한 용액에 브롬화디페닐메탄 5g, 탄산칼륨 5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하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그 후에 불용물을 여과 분별했다. 여액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에 잔사를 실리카겔컬럼으로 정제하여 올레아놀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디페닐메틸기로 치환된 구조의 올레아놀산디페닐메틸 1.05g(수율 77%)을 얻었다.
제조예6 베튜린산페닐벤질, 올레아놀산페닐벤질
베튜린산 1g을 아세톤 50ml에 용해한 용액에 브롬화메틸비페닐 5g, 탄산칼륨 5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하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그 후에 불용물을 여과 분별했다. 여액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에 잔사를 실리카겔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페닐벤질기로 치환된 구조의 베튜린산페닐벤질 1.1g(수율 80%)을 얻었다.
상기 베튜린산 대신에 올레아놀산 1g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합성방법에 의해서 올레아놀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페닐벤질기로 치환된 구조의 올레아놀산페닐벤질 1.1g(수율80%)을 얻었다.
제조예7 벤조일 올레아놀산
올레아놀산 1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ml에 용해하고, 이것에 트리에틸아민 3g을 첨가한 혼합용액에 염화벤조일 1g을 빙냉하 질소분위기 중에서 적하,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그 후에 반응물을 초산에틸로 추출하고, 얻은 추출액을 2% 염산수용액, 포화탄산나트륨수, 황산나트륨으로 각각 처리하고 여과하여 거친 정제물을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겔컬럼을 사용 정제하여 백색결정의 벤조일올레아놀산(올레아놀산의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벤조일기로 치환된 화합물) 1.02g을 얻었다. 수율은 80.5%였다.
제조예8 메톡시벤조일베튜린산
베튜린산 1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ml에 용해하고, 이것에 트리에틸아민 3g을 첨가한 혼합용액에 염화메톡시벤조일 1g을 빙냉하 질소분위기 중에서 적하,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그 후에 반응물을 초산에틸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2% 염산수용액, 포화탄산나트륨수, 황산나트륨으로 각각 처리하고 여과하여 거친 정제물을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겔컬럼을 사용 정제하여 베튜린산의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메톡시벤조일기로 치환된 구조의 메톡시벤조일 베튜린산 1g을 얻었다. 수율은 76%였다.
제조예9 페닐프로필오닐울솔산
울솔산 1g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ml에 용해하고, 이것에 트리에틸아민 3g을 첨가한 혼합용액에 염화페닐프로피오닐 1g을 빙냉하 질소분위기 중에서 적하,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그 후에 반응물을 초산에틸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2% 염산수용액, 포화탄산나트륨수, 황산나트륨으로 각각 처리하고 여과하여 거친 정제물을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겔컬럼을 사용 정제하여 백색결정의 페닐프로피오닐울솔산(울솔산의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페닐프로피오닐기로 치환된 화합물) 1.05g을 얻었다. 수율은 78.1%였다.
제조예10 벤질베튜린산-2-에틸헥실
베튜린산 45.7g을 트리에틸아민 10.1g을 벤젠 100ml에 용해한 혼합액에 별도로 새로이 증류한 염화티온 11.9g을 벤젠 30ml에 용해한 것을 빙냉하에서 적하하면서 1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액으로부터 생성한 베튜린산클로라이드를 취출하지 않고, 이것에 2-에틸헥실알콜 12g, 트리에틸아민 10.1g을 벤젠 30ml에 용해한 혼합액을 더 빙냉하에 적하하고, 3시간 반응시켰다. 그후에 생성한 트리에틸아민 염산염을 여과 분별하고, 용매를 40℃ 이하에서 증류제거하여 베튜린산-2-에틸헥실을 얻었다. 얻은 베튜린산-2-에틸헥실을 벤젠 200ml에 용해하고 이것에 트리에틸아민 32g을 첨가한 혼합액에 브롬화벤질 30ml를 빙냉하에서 적하면서 1시간 교반 반응시키고 이어서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고 또 벤젠의 비점온도에서 1시간의 환류를 행했다. 반응정지후 미반응 트리에틸아민을 2% 염산으로 처리한 후에 반응물을 초산에틸로 추출하고, 추출액으로부터 추출용매를 증류제거하여 거친 정제물을 얻었다. 정제는 컬럼을 사용하여 헥산/에테르(9/1) 용매에 의해서 용출시켜 행하여 무색액체의 벤질베튜린산-2-에틸헥실(베튜린산-2-에틸헥실의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벤질기로 치환된 화합물)32g을 얻었다. 수율은 50% 였다.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의 평가>
상기 각 제조예에서 얻은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에 대해서 안정성 및 피부의 광노화방지 효과를 이하의 방법으로 시험하여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를 평가 했다.
(1) 안정성 시험
(1)-1 피부 자극성시험
상기 각 제조예에서 얻은 울솔산벤질, 올레아놀산메톡시벤질, 베튜린산니트로벤질, 울솔산나프틸메틸, 올레아놀산디페닐메틸, 벤조일올레아놀산, 메톡시벤조일베튜린산, 페닐프로피오닐울솔산에 대해서 피부자극성 시험을 실험동물로서 하트레이계 기니아 돼지( 300∼500g, 암컷)를 사용하여 실시했다.
1군 6마리씩의 돼지의 후부 털을, 제거하거나 깍은 후에, 털을 제거하거나 깍은 부분에 상기 각 제조예에서 얻은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를 10중량% 농도로 함유하는 백색 바세린 50mg을 직경 15mm의 천조각에 함친시킨 플라스틱 반창고로 장착한 것을 부착하고 24시간의 크로즈드 패치(closed patch) 시험을 행했다. 크로즈드 패치 종료후, 플라스틱 반창고를 제거한 직후(0시간후) 및 24시간 경과후의 피부 반응을 하기 판정방법에 따라서 평가하고, 시험군 마다 6마리의 평균 평가점을 산출했다.
(판정기준)
0 : 피부반응이 관찰되지 않음
1 : 미약 또는 경계 불명확한 홍반
2 : 명확한 홍반
3 : 부종을 수반한 반응
4 : 궤양·괴사 등의 반응
또 대조 백색 바세린만으로 상기와 같은 시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화 합 물 명 평가점(평균치)
0시간 24시간
울솔산 벤질올레아놀산 메톡시벤질베튜린산 니트로벤질울솔산 나프틸메틸올레아놀산 디페닐메틸벤조일올레아놀산메톡시벤조일베튜린산페닐프로피오닐 울솔산 00000000 00000000
대조 (백색 바세린만) 0 0
(1) -2. 알레르기성 시험
상기 각 제조예에서 얻은 울솔산 벤질, 올레아놀산 메톡시벤질, 베튜린산 페닐벤질, 벤조일올레아놀산, 메톡시벤조일베튜린산, 페닐프로피오닐울솔산에 대한 알레르기성 시험을, 실험 동물로서 하트레이계 기니(Hartley guinea) 돼지( 300~500g, 암컷)를 사용하여 실시했다.
1군 6마리씩의 돼지에, 올리브유로 3w/v% 농도로 한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 올리브유로 0.3w/v% 농도로 한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 올리브유를 최대화법에 의해 작용시켜 감작 유도(sensitization induction)를 행했다.
그 후, 충분한 면역 응답을 일으키기 위해서 최종 감작일 부터 10일간의 유예기간을 둔 후, 각 군의 돼지의 등부위 피부에 올리브유로 3w/v% 농도, 0.3w/v% 농도로한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 올리브유 만의 각각 100μl를 직경 1.5cm의 패치판에 도포하여 부착하고, 그 24시간 후에 패치판을 제거했다. 패치판 제거후 24시간 피부반응을 하기 판정기준에 따라서 평가하고, 시험군 마다 평균점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판정기준)
0 : 피부반응이 관찰되지 않음
1 : 미약 또는 경계 불명확한 홍반
2 : 명확한 홍반
3 : 부종을 수반한 반응
4 : 궤양·괴사 등의 반응
화 합 물 명 평 가 점 (평 균 치)
3%야기군 0.3%야기군 올리브유야기군
울솔산 벤질 3% 감작군0.3% 감작군올리브유 감작군 0.1700 00.170 0.3300.17
올레아놀산 메톡시벤질 3% 감작군0.3% 감작군올리브유 감작군 0.3300.17 000.17 0.170.170
베튜린산 페닐벤질 3% 감작군0.3% 감작군올리브유 감작군 0.1700 0.1700 0.1700.17
벤조일 올레아놀산 3% 감작군0.3% 감작군올리브유 감작군 000 000 000
메톡시벤조일 베튜린산 3% 감작군0.3% 감작군올리브유 감작군 0.1700 00.170 0.1700.17
페닐프로피오닐 울솔산 3% 감작군0.3% 감작군올리브유 감작군 00.170 000 000
이 결과로 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상기 제조예에서 얻은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은 모두 피부자극성, 알레르기성 거의 모두 확인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는 안전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2) UV 주름모델 개선 시험
상기 각 제조예에서 얻은 울솔산 벤질, 올레아놀산 메톡시 벤질, 베튜린산 페닐벤질, 벤조일 올레아놀산, 메톡시벤조일 베튜린산, 페닐프로피오닐 울솔산에 대해 UV 주름 모델 개선 시험을, 실험동물로서 털없는 마우스(hairless mice)(5주생, 암컷)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1군 10마리씩의 털없는 마우스의 등부위 피부에 UVB(60mJ/㎠)을 1일 1회, 1주일에 5일의 비율로 조사하고, 8주간 후에 등부위 피부에 광노화에 의한 주름형성을 확인하였다. 그 후 상기 각 제조예에서 얻은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를 표3에 나타난 농도로 함유하는 에탄올 용액 100㎕를 1일 1회, 1주일에 5일의 비율로 도포했다. 도포개시부터 9주간 후에 광노화에 의한 피부의 주름의 개선정도를 하기 판정기준으로 육안평가 하였다.
(판정기준)
- : 주름개선 효과가 관찰되지 않음
±: 약간 주름개선 효과가 관찰됨
+ : 주름개선 효과가 관찰됨
비교를 위해서, 종래부터 광노화방지 작용을 갖는 약제로서 사용하고 있는 팔미토일 올레아놀산, 2-에틸헥사노일울솔산-2-에틸헥실을 각각 1% 농도로 에탄올에 용해한 용액을, 또한 대조로서 에탄올 만을, 상기와 동일하게 UVB 조사후의 털없는 마우스에 도포했을 때의 주름개선 정도를 각각 평가했다. 결과를 표3에 나타냈다.
시 료 마 우 스 수(마리)
화 합 물 명 농 도 w/v% + ± -
울솔산 벤질올레아놀산 메톡시벤질베튜린산 페닐벤질벤조일올레아놀산메톡시벤조일베튜린산페닐프로피오닐울솔산 0.0050.010.050.010.010.05 978687 132423 000000
팔미토일 올레아놀산2-에틸헥사노일울솔산-2- 에틸헥실 1.01.0 76 34 00
대조 (에탄올만) 0 0 2 8
이 결과로부터, 상기 제조예에서 얻은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는,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팔미토일 올레아놀산, 2-에틸헥사노일 울솔산-2-에틸헥실과 같은 울솔산, 올레아놀산, 베튜린산 등의 트리터페노이드의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한 수산기를 지방족 화합물로 아실화 및/또는 28위의 카복실기를 지방족 화합물로 에스테르화하여 얻은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에 비하여, 매우 저농도(1/20~1/200 정도의 농도)의 투여로 광노화에의한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 명확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가 우수한 광노화 방지작용을 갖는다고 말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각 제조예에서 얻은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를 배합한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 사용하는 배합량은 전부 중량부이다.
실시예1 화장수
표4에 나타난 A성분을 실온하에서 용해하고, 이것에 이것과는 별도로 실온하에서 용해한 B성분을 첨가하여 가용화하여, 상기 제조예1에서 얻은 울솔산 벤질을 함유한 화장수를 제조했다. 또한 동일하게 울솔산 벤질 대신에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옥타노일 울솔산)을 배합한 비교예의 화장수를 제조했다.
성 분 배 합 량 ( 중량부 )
실시예 1 비교예 1
A 에 탄 올제조예 1의 울솔산 벤질옥타노일 울솔산1,3-부틸렌 글리콜글리세린폴리옥시에틸렌(20) 올레일 에테르 8.00.05-6.03.00.5 8.0-1.06.03.00.5
B p-하이드록시 안식향산 메틸향료구연산구연산 나트륨정제수 0.10.050.10.1582.05 0.10.050.10.1581.1
실시예 2 유액
표5의 A성분을 가열 혼합하여 70℃로 하고, 이것과는 별도로 70℃로 가열 혼합한 B성분에 A성분을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면서 C성분을 첨가하고,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올레아놀산 메톡시벤질을 함유하는 유액을 제조했다. 또한 동일하게 올레아놀산 메톡시벤질 대신에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팔미토일 올레아놀산에틸)를 배합한 비교예의 화장수를 제조했다.
성 분 배 합 량 (중량부)
실시예 2 비교예 2
A 스쿠알렌파라핀 왁스 130수첨 우지하이드록시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스테아린산 모노글리세라이드올레인산 트리글리세라이드스테아린산제조예 2의 올레아놀산 메톡시벤질팔미토일 올레아놀산에틸 3.51.01.30.653.07.51.50.05- 3.51.01.30.653.07.51.5-0.5
B 글리세린디프로필렌글리콜PEG-1500수산화나트륨p-하이드록시 안식향산 에틸정제수 10.05.01.00.20.20.264.9 10.05.01.00.20.20.264.45
C 향료 0.2 0.2
실시예 3 크림
표6의 A성분을 가열혼합하여 70℃로 하고, 이것과 별도로 70℃로 가열 혼합한 B성분을 첨가하여 유화하고 35℃까지 냉각하고, 이것에 C성분을 더 첨가하여 상기 제조예4에서 얻은 베튜린산 나프틸메틸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했다.
성 분 배 합 량
A 스쿠알렌호호바유도코산 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트리2-에틸헥산 글리세릴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스테아릴알콜수첨 팜핵유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5) 스테아린산 모노 글리세라이드스테아린산 모노글리세라이드제조예 4에서 얻은 베튜린산 나프틸 메틸 11.08.03.05.04.52.01.51.01.13.00.01
B p-하이드록시 안식향산 에틸수산화 칼륨프로필렌 글리콜디프로필렌 글리콜정제수 0.30.035.04.050.36
C 향 료 0.2
실시예 4 크림
표7의 A성분을 80℃로 가열하고, 이것에, 이것과 별도로 80℃로 가열한 B성분을 첨가하여 교반유화한 후, 35℃까지 냉각하고, 상기 제조예1에서 얻은 베튜린산 벤질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했다.
성 분 배합량(중량부)
A 스쿠알렌이소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콜레스테롤부틸알콜호호바유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미리스틴산 트리글리세라이드스테아린산 디글리세라이드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라이드스핑고 지질세토스테아릴 알콜미리스틴산스테아린산POE(10) 메틸글루코사이드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초산 토코페롤p-하이드록시 안식향산 메틸p-하이드록시 안식향산 에틸p-하이드록시 안식향산 부틸제조예 1에서 얻은 베튜린산 벤질 10.07.01.21.03.68.51.71.51.02.30.32.02.54.00.50.10.40.20.10.01
B 정제수1,3-부틸렌 글리콜글리세린수산화나트륨수산화칼륨 36.322.1513.60.010.01
실시예 5 유액
표8의 A성분 및 B성분을 70℃에서 각각 교반하면서 용해한 후, B성분에 A성분을 첨가하여 예비유화를 행했다. 이어서, 이것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시킨 후,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하고, 상기 제조예6에서 얻은 올레아놀산 페닐벤질을 함유한 유액을 제조했다.
성 분 배합량(중량부)
A 합성 경납세탄올마가다미아너트유스테아린산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25EO)스테아린산 모노 글리세라이드p-하이드록시안식향산부틸γ-토코페롤BHT4-(1,1-디메틸에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51.04.01.02.20.50.10.050.010.5
B 1,3-부틸렌 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크산탄껌카복시 비닐중합체수산화칼륨제조예6의 올레아놀산 페닐벤질정제수 3.07.00.10.20.20.00577.635
실시예 6 화장수
표9의 A성분을 실온하에서 용해하고, 이것에, 이것과는 별도로 실온하에서 용해한 B성분을 첨가하여 가용화한 후, 상기 제조예3에서 얻은 울솔산 니트로벤질을 함유한 화장수를 제조했다.
성 분 배합량(중량부)
A POE(20) 옥틸도데실 에테르토코페롤제조예 3의 울솔산 니트로벤질 0.30.020.005
B 글리세린에탄올프로필렌 글리콜PEG-1500말티톨이소페루라산 나트륨구연산구연산 나트륨정제수 4.07.53.42.50.80.50.150.180.725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의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얻은 피부화장료를 사용하여 실사용 테스트를 행하여,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의 피부미용 효과를 평가하였다.
눈 언저리에 명료한 주름을 지닌 일본 남성 20명을 실험 대상자로서 10명씩 2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반쪽 얼굴 테스트)에 참여시켰다. 실험에 앞서서 실험대상자 전원의 얼굴사진 촬영을 행하였다. 그 후, A 그룹의 실험 대상자의 안면 한쪽의 눈 언저리에는 실시예 1의 화장수를, 다른쪽의 눈 언저리에는 비교예 1의 화장수를, 또한 B 그룹의 화장대상자의 안면 한쪽의 눈 언저리에는 실시예 2의 유액을, 다른쪽의 눈 언저리에는 비교예 2의 유액을 각각 통상의 방법으로 1일 2회, 6주간에 걸쳐서 연속 사용하였다. 사용개시부터 6주간 후에, 주름의 개선상태 및 자연 악화상태에 대하여 각 그룹 내에서 상기 사진을 이용하여 사용개시 전의 상태와 사용 6주간 후의 상태를 비교하여 이하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10에 나타냈다.
(평가기준)
+++ : 현저하게 개선됨
++ : 상당히 개선됨
+ : 약간 개선됨
- : 변화없음
-- : 자연악화
그 룹 피부화장료 화장 대상자수 (인)
+++ ++ + - --
A 실시예 1비교예 1 66 21 12 11 00
B 실시예 2비교예 2 76 22 11 01 00
상기 결과로부터 명확하듯이,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를 함유한 실시예의 피부화장료에 있어서는 주름 개선효과에 관하여 평가내용이 양호하고 또한 옥타노일울솔산, 팔미토일올레아놀산에틸 등의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를 상기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의 트리터페노이드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의 10배 이상의 농도로 함유하는 비교예의 피부화장료와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는 동등의 주름개선 효과를 발휘함이 확인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는 사용할 때에의 끈점거림 등의 감촉적인 폐해가 거의 없는 것도 동시에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관점으로 부터 이루어진 것으로서, 안전성이 높고 또 광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한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로 되는 광노화방지제를 제공하고, 또 피부의 주름등을 방지, 개선하는 피부미용효과가 우수한 피부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산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중, 상기 수소원자의 적어도 한쪽이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이하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화합물 유도체」라하는 경우도 있음) 및 그 염류가 종래보고 되어 있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등의 트리터페노이드나 이들의 지방족아실 유도체, 지방족 에스테르 유도체에 비해서, 피부의 노화를 방지, 개선하는 효과에 있어서, 생리활성이 10배 이상으로 향상함과, 또는 상기 트리터페노이드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 및/또는 그 염류를 배합한 피부화장료가 주름등을 방지, 개선하는 피부미용 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이고, 상기 관능기의 적어도 한쪽이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인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의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되는 광노화방지제이다.
상기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가 되는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가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를 치환하는 관능기는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기이고,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치환하는 관능기는 하기 일반식(I) 또는 (II)로 표시되는 기인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를 들수 있다.
(단 식(I)중에서 R1은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환을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환을 나타냄)
(단 식(II)중, R3는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환을 나타내고, n은 0∼2의 정수를 나타냄)
또 더 구체적인 화합물로서 상기 일반식(I)의 R1은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부톡시페닐기, 니트로페닐기, 디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일반식(II)의 R3는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부톡시페닐기, 니트로페닐기, 디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의 염류를 들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이고, 상기 관능기의 적어도 한쪽이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인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를 제공한다. 피부화장료에 배합하는 상기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 및/또는 그 염류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노화방지제를 구성하는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 및/또는 그 염류와 동일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의 트리터페노이드의 방향족 화합물 유도체 및/또는 그 염류의 함유량의 구체적예는 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0.0001∼10중량% 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이고, 상기 관능기의 적어도 한쪽이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인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의 일종 또는 2종 이상으로 된다.
상기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에 사용되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의 출발물질로 되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은 각각 그 순서로 이하에 나타낸 구조식로 나타내는 화합물이고, 모두 트리터페노이드에 속하고,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물질이다.
(울솔산)
(올레아놀산)
(베튜린산)
이들 3종의 트리터페노이드는 일반적인 유기용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류를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은 기원이 되는 식물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식물체로부터 취출되는 방법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식물체로부터 취출하는 방법 이외에 화학 합성에 의해서 이들의 트리터페노이드를 제조할 수 있고, 이들에 의해서 얻은 트리터페노이드를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도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의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트리터페노이드의 제조방법은 경제성, 안전성 등을 감안하여 적당한 방법을 적의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울솔산은 도쿄카세이(주)등에서 올레아놀산은 와코준야꾸교오고오(주)등에서 또는 베튜린산은 알드리치사등에서 모두 시판되고 있고,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의 출발물질로서 이와 같은 시판품을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는 상기 3종의 트리터페노이드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구조를 갖는 것이고, 상기 수소원자의 적어도 한쪽이 방향족 환을 갖는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이고, 구체적으로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로 치환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를 지방족의 관능기로,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로 각각 치환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지방족의 관능기로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를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로 각각 치환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를 들수 있다.
이와 같은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가 본 발명에 사용되나, 이들의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중에서 적어도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로 치환된 구조를 갖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에서는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를 치환하는 관능기가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적어도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로 치환된 구조를 갖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에서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치환하는 관능기가 상기 일반식(I) 또는 (II)로 표시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지방족의 관능기로 치환되어 있고,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로 치환된 구조를 갖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에서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치환하는 관능기는 상기 일반식(II)로 나타내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는 피부의 광노화를 방지하고, 개선하는 작용이 보다 우수하다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식(I)에서 R1은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환을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환을 나타내므로 일반식(I)로 표시되는 기를 상기 치환기로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에 사용한 경우에는 트리터페노이드 잔기와 방향족환을 결합하는 기는 메틸렌기 또는 메틴기로 되나, 이들을 탄소수 2이상의 알킬렌기나 알케닐기로 하면 충분한 광노화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일반식(I) 중의 R1은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부톡시페닐기, 니트로페닐기, 디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또 일반식(II) 중 R3는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환을 나타내나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R3는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부톡시페닐기, 니트로페닐기, 디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낸다. 이상 일반식(I), 일반식(II)로 나타내는 방향족환을 갖는 기에 관해서 바람직한 구체예를 들었으나, 이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방향족환은 환의 수가 1 또는 2의 방향족환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중,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이고, 또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지방족의 관능기로 각각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에서는 상기 지방족의 관능기로서 예를들어 알킬기, 알케닐기, 알킬렌기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로서는 상기 지방족의 관능기가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 특히 8∼20인 것이, 안정성 및 취급이 용이한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알킬기는 직쇄여도 분기이어도 또 환상이어도 좋다.
또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로, 또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지방족의 관능기로 각각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에서는 상기 지방족의 관능기로서 예를 들어 알킬기, 알케닐기, 알킬렌기, 지방족 아실기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로서는 상기 지방족의 관능기가 알킬기 또는 알킬아실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이들의 알킬 부분의 탄소수가 1∼20, 특히 8∼20인 것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또 알킬부분은 직쇄여도 분기여도 좋고, 또 환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는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을 출발물질로서 또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지방족의 관능기로 치환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를 출발물질로서 이들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가 반응에 기여하도록 합성반응에 의해서 이들 출발물질을 방향족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방법 구체적으로는 28위의 카복실기를 할로겐화 방향족 화합물에 의해서 에스테르화 하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방향족 알콜에 의해서 에테르화하는 또는 방향족카복실산에 의해서 에스테르화 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지방족의 관능기로 치환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를 제조함에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를 지방족화합물에 의해서 에스테르화 하는 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지방족 화합물에 의해서 에테르화하는 또는 에스테르화 하는 등의 방법을 들수 있다. 이들 에테르화나 에스테르화는 통상의 방법과 동일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28위의 카복실기를 거쳐서 행해지는 에스테르화는 통상의 카복실산의 에스테르화 반응과 동일하게 예를 들어 상기 트리터페노이드를 클로로포름등의 적당한 용매하에 트리에틸아민등의 염기 존재하에 염화 티오닐등의 염소화제를 작용시켜 트리터페노이드의 클로라이드를 생성하고, 이들에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2-에틸헥실알콜, 오레일알콜, 세탄올, 스테아릴알콜등 소망의 지방족 알콜을 트리에틸아민등의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예를 들어 출발물질로서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 또는 일들의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지방족의 관능기로 치환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를 사용하고, 적어도 그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를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는 기로 치환한 구조의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출발물질에 아세톤등의 극성용매 하에서 방향족환에 결합하는 메틸렌기 또는 메틴기에 브롬첨가 또는 염소첨가한 소망의 시약을 반응시키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들수 있다.
또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 또는 이들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를 지방족의 관능기로 치환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를 출발물질로서 사용하고, 그 적어도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상기 일반식(II)으로 나타낸 기로 치환한 구조의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경우, 방향족환에 탄소수 1∼2의 알킬렌기를 거쳐서 카복실기가 결합한 구조를 갖는 방향족 카실산의 카복실기를 브롬화 또는 염소화한 시약을 상기 출발물질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등의 비극성용매의 존재하에 트리에틸아민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들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중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로,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지방족의 관능기로, 각각 치환된 구조의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로,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지방족의 관능기로 각각 치환된 구조의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에서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방향족 관능기에 의한 치환을 행하므로 지방족 관능기 치환을 행하는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로서는 이와 같이해서 제조되는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가 사용되나 그 외에 상기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의 염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의 염류로서는 상기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와 무기, 유기의 염기를 반응시켜 얻는 암모늄염, 알카리금속염 또는 유기아민염등을 들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에 적용되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이고, 상기 관능기의 적어도 한쪽이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인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는 매우 안정하고, 약제로 한 경우에도 변색, 변취(變臭), 분해활성 상실등의 경시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각종 제형에 대해서 안정 또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2)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이고, 상기 관능기의 적어도 한쪽이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인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의 1종 또는 2종이상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에 배합하는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의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이고, 상기 수소원자의 적어도 한쪽이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이하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화합물이라함)에 대해서는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과 동일한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이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로 사용된다.
상기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에 있어서의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전량에 대해서 0.0001∼1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1중량%이다. 상기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의 피부화장료에 대한 배합량이 0.001중량% 보다 작은 량에서는 주름등의 피부상태를 개선하는 피부미용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가 없는 경우가 있고 또 10중량%를 초과한 양을 사용해도 증가분에 알맞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크림, 유액, 오일, 로션, 팩, 수성겔, 오일겔 및 연고등을 들수 있으나 경피흡수성의 점에서 크림, 유액, 오일등이 더 바람직한 제형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피부화장료는 상기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이 제형에 따라서 적의 선택되어 배합되는 이외는 통상의 피부화장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에는 상기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 이외에 통상 피부화장료에 적용되는 유동 파라핀, 바세린, 스쿠알렌등의 탄화수소류,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IPM)이나 합성경납, 호호바유, 카나우바왁스등의 에스테르류, 올리브유 , 우지등의 동식물 유지, 세탄올, 스테아릴알콜등의 고급알콜류, 스테아린산, 오레인산등의 고급지방산류, 라우릴황산나트륨, 알킬설폰석신산에스테르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4급알킬아민염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베타인등의 양성계면활성제등의 계면활성제류,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글리콜등의 다가알콜류, 에탄올, 프로판올등의 저급알콜류, p-하이드록시 안식향산류나 글루콘산클로헥시딘등의 방부제류, 파라아미노 안식향산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등의 자외선흡수제, 비타민E나 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등의 산화방지제, 아라비아고무, 카복시비닐중합체등의 증점제, 폴리에틸렌글리콜등의 보습제, 구연산염, 초산염등의 pH조정제, 산화티탄, 실리카겔, 탈크등의 분체류, 향료, 색소등, 하이아론산, 태반추출물, 인삼엑기스, 비타민류, 스테롤배당체등의 각종 목적에 따른 약효 성분등이 적의 선택되어 배합된다.
본 발명의 광노화방지제는 안정성이 높고 또한 종래의 트리터페노이드 화합물에 비하여 광노화 방지작용이 우수하기 때문에, 조성물에 배합할 때에 소량의 배합량으로 충분한 광노화방지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화장료는 주름 등을 방지, 개선하는 피부미용 효과가 우수할 뿐만아니라, 피부에 폐해 없이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 탄소원자에 결합한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로서, 상기 관능기의 적어도 하나가 방향족환을 갖는 관능기인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방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환을 갖는 관능기가, 28위 카복실기의 수소원자를 치환하는 관능기는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기이고, 3위 탄소원자에 결합한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치환하는 관능기는 하기 일반식(I) 또는 (II)로 표시되는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방지제.
    (단, 식(I) 중, R1은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 환을 나타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 환을 나타냄.)
    (단, 식(II) 중, R3은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 환을 나타내고, n은 0~2의 정수를 나타냄.)
  3. 제2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R1이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부톡시페닐기, 니트로페닐기, 디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일반식(II)의 R3가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부톡시페닐기, 니트로페닐기, 디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방지제.
  4.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 탄소원자에 결합한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이고, 상기 관능기의 적어도 하나가 방향족 환을 갖는 관능기인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화장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환을 갖는 관능기가, 28위 카복실기의 수소원자를 치환하는 관능기는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기이고, 3위 탄소원자에 결합한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치환하는 관능기는 하기 일반식(I) 또는 (II)로 표시되는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화장료.
    (단, 식(I) 중, R1은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 환을 나타내고, R2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 환을 나타냄.)
    (단, 식(II) 중, R3은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 환을 나타내고, n은 0~2의 정수를 나타냄.)
  6. 제5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R1이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부톡시페닐기, 니트로페닐기, 디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2가 수소원자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일반식(II)의 R3가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부톡시페닐기, 니트로페닐기, 디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화장료.
  7. 제4항에 있어서,
    울솔산, 올레아놀산 또는 베튜린산의 28위 카복실기의 수소원자 및/또는 3위 탄소원자에 결합한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관능기로 치환된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이고, 상기 관능기의 적어도 하나가 방향족 환을 갖는 관능기인 트리터페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함유량이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0.0001~1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화장료.
KR10-1998-0710722A 1996-07-02 1997-03-17 광노화방지제및피부화장료 KR100454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2640 1996-07-02
JP17264096A JP3458041B2 (ja) 1995-09-19 1996-07-02 光老化防止剤及び皮膚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300A true KR20000022300A (ko) 2000-04-25
KR100454757B1 KR100454757B1 (ko) 2004-12-30

Family

ID=1594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722A KR100454757B1 (ko) 1996-07-02 1997-03-17 광노화방지제및피부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207711B1 (ko)
KR (1) KR100454757B1 (ko)
AU (1) AU1942197A (ko)
TW (1) TW541181B (ko)
WO (1) WO19980000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4526A1 (en) * 1998-07-17 2003-06-19 Procter & Gamble To The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Method for regulating hair growth
US6982284B1 (en) 1999-09-10 2006-01-03 Applied Genetics Incorporated Dermatic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ification of skin lipid content
ATE262283T1 (de) * 2000-02-10 2004-04-15 Loders Croklaan Bv Fettmischungen mit kristallmodifikatoren
CA2404012A1 (en) * 2000-03-31 2001-10-04 The Nisshin Oil Mills, Ltd. External agent for the skin and whitening agent
DE20213787U1 (de) * 2002-09-04 2002-12-19 Warner Lambert Co Hautpflegemittel
US20050112078A1 (en) * 2003-11-13 2005-05-26 Sekhar Boddupalli Plant-derived protein extract compositions and methods
DE102004009155A1 (de) * 2004-02-20 2005-09-01 Beiersdorf Ag Hautpflegeprodukt enthaltend Ursolsäure und Ginkgo-Extrakt
JP2006028109A (ja) * 2004-07-20 2006-02-02 Kao Corp 水中油型乳化組成物
FI121468B (fi) * 2006-06-07 2010-11-30 Valtion Teknillinen Betuliiniperäiset yhdisteet antimikrobisina aineina
US20090246156A1 (en) * 2008-03-31 2009-10-01 Audrey Kunin Anti-acne sunscreen composition
US11123364B2 (en) 2011-06-21 2021-09-21 Bvw Holding Ag Medical device comprising boswellic acid
CN104011101B (zh) * 2011-10-24 2018-01-05 罗地亚运作公司 通过受控自由基胶束聚合来制备两亲嵌段聚合物
CN103054972A (zh) * 2012-12-20 2013-04-24 蚌埠丰原涂山制药有限公司 一种从木瓜中提取齐墩果酸和熊果酸的方法
KR20190116837A (ko) 2018-04-05 2019-10-15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6668B2 (ja) * 1994-12-09 2005-02-0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光老化防止剤及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皮膚化粧料
US5529769A (en) * 1994-12-20 1996-06-25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betulinic ac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07711B1 (en) 2001-03-27
TW541181B (en) 2003-07-11
AU1942197A (en) 1998-01-21
US6338854B1 (en) 2002-01-15
WO1998000093A1 (fr) 1998-01-08
KR100454757B1 (ko) 200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8041B2 (ja) 光老化防止剤及び皮膚化粧料
KR100454757B1 (ko) 광노화방지제및피부화장료
JPH0834708A (ja) サリチル酸誘導体の可溶化方法及びその誘導体を含む美容及び/または薬科学的組成物
JPS60109544A (ja) 新規カルコン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紫外線吸収剤
US4978523A (en) Melanin inhibitor
EP0627410B1 (en) N-acylglutamine derivative
JP2957123B2 (ja) アミド由来のビアロマティック化合物、これを含有する製薬及び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使用
JPH0987156A (ja) 光老化防止剤及び皮膚化粧料
JPH07118134A (ja) 皮膚外用剤
JP3753188B2 (ja) 新規のサリチル酸誘導体及び化粧品用/又は皮膚用組成物におけるその用途
JPH1180002A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BRPI0920020B1 (pt) composto para tratamentos de pele.
JP3492696B2 (ja) モノ不飽和脂肪酸を基体としたセラミド3誘導体
JP3657068B2 (ja) 光老化防止改善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3432033B2 (ja) 光老化防止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
JPH0296581A (ja) ビオチンエステル及び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養毛料
Myristate Final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myristyl myristate and isopropyl myristate
JP3616668B2 (ja) 光老化防止剤及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皮膚化粧料
JPH0672855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JPH0820512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美白用皮膚外用剤
JPH0692293B2 (ja) 皮膚外用剤
JP2929305B2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08231368A (ja) 光老化防止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
JP3271828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0769579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