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777A -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777A
KR20000019777A KR1019980038047A KR19980038047A KR20000019777A KR 20000019777 A KR20000019777 A KR 20000019777A KR 1019980038047 A KR1019980038047 A KR 1019980038047A KR 19980038047 A KR19980038047 A KR 19980038047A KR 20000019777 A KR20000019777 A KR 20000019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manuscript
original
scann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777A/ko
Publication of KR20000019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77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04N1/00716Thick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6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 H04N1/128Arrangements for the main scanning using a scanning head arranged for linear reciprocating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고의 두께에 따라 원고의 이송거리를 가변함으로써, 화질의 열화 및 왜곡을 방지하도록 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캐닝작업명령이 접수되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따라 원고의 종류가 일반 원고이면 원고의 이송거리를 기 설정된 기준값으로 설정한 후 스캐닝작업을 수행하며; 원고의 종류가 두꺼운 원고이면 원고의 이송거리를 기준값보다 기 설정된 소정값만큼 작은 값으로 설정한 후 스캐닝작업을 수행하고; 원고의 종류가 얇은 원고이면 원고의 이송거리를 기준값보다 기 설정된 소정값만큼 큰 값으로 설정한 후 스캐닝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본 발명은 셔틀방식 스캐너(Shuttle Type Scanner)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원고의 두께에 따라 스캐닝영역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하여 원고의 두께를 검출하고, 검출된 원고의 두께에 따라 원고의 이송량을 가변하도록 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틀방식 스캐너는 컴퓨터에 연계되어 컴퓨터로부터의 스캐닝명령에 의해 스캐닝영역에 이송된 원고를 스캐닝헤드가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좌우 왕복 운동하면서 원고상에 기록된 화상을 스캐닝하도록 한 장치를 말한다. 스캐닝헤드에는 원고의 화상기록면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과, 원고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축소결상하는 렌즈와, 렌즈에 의해 축소결상된 화상의 광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정보를 검출하는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로 구성된다.
즉,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이 원고면에 도달한 후 반사되면, 이 반사광이 렌즈를 통하여 전하결합소자에 축소결상된다. 이때, 스캐닝헤드가 한번의 스캐닝동작으로 독취할 수 있는 독취가능영역의 크기는 스캐닝헤드의 배율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원고면과 렌즈 사이의 이격간격을 a라 가정하고, 렌즈와 전하결합소자 사이의 이격간격을 b라 가정하면, 스캐닝헤드의 배율 f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한편, 이송되는 원고의 종류가 항상 동일할 수는 없다. 통상적인 셔틀방식 스캐너는 여러 종류의 원고(예컨대, 보통 용지, 두꺼운 용지, 얇은 용지 등)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고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스캐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셔틀방식 스캐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두께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원고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각 원고면과 스캐닝헤드 사이의 이격간격이 상이하므로, 한번의 스캐닝동작으로 획득되는 스캐닝영역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동일한 거리만큼 원고를 이송할 경우, 두꺼운 원고와 얇은 원고를 스캐닝하여 획득된 화상정보는 스캐닝헤드가 일반 원고를 스캐닝하였을 때 획득되는 영역 즉, 밴드(Band)와 밴드 사이에 정보의 이격현상이 발생하거나 겹침현상이 발생하므로, 화질의 열화가 발생한다.
즉, 동일한 이송거리만큼 원고를 이송하면서 일반원고와 두꺼운 원고 및 얇은 원고를 스캐닝하는 경우, 밴드와 밴드 사이에는 도 1a 내지 도 1c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1b 및 도 1c와 같은 경우에는 화질의 왜곡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고의 두께에 따라 원고의 이송거리를 가변함으로써, 화질의 열화 및 왜곡을 방지하도록 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원고의 종류에 대응하는 두께와 그에 따라 배율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스캐너의 개략적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스캐너의 개략적 구조도이고,
도 4a는 A4규격의 원고를 128도트의 셔틀방식 스캐너로 스캐닝하는 경우 분할된 블럭당 스캐닝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는 128도트의 셔틀방식 스캐너가 한 블럭을 스캐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중앙처리장치 102: 스캐닝헤드
201: 가이드레일(Guide Rail)
202: 캐리지 리턴 모터(Carriage Return Motor)
203: 이송벨트 204: 원고
205: 라인 피드모터(Line Feed Motor)
206: 피딩 롤러(Feeding Rolle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컴퓨터와 연계되고,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원고에 기록된 화상정보를 스캐닝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에 있어서: 스캐닝작업명령이 접수되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따라 원고의 종류가 일반 원고이면 원고의 이송거리를 기 설정된 기준값으로 설정한 후 스캐닝작업을 수행하며; 원고의 종류가 두꺼운 원고이면 원고의 이송거리를 기준값보다 기 설정된 소정값만큼 작은 값으로 설정한 후 스캐닝작업을 수행하고; 원고의 종류가 얇은 원고이면 원고의 이송거리를 기준값보다 기 설정된 소정값만큼 큰 값으로 설정한 후 스캐닝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블럭 혹은 회로의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제거되거나 변형되더라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스캐너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스캐너의 개략적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에는 A4규격의 원고를 128도트의 셔틀방식 스캐너로 스캐닝하는 경우 분할된 블럭당 스캐닝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128도트의 셔틀방식 스캐너가 한 블럭을 스캐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스캐너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스캐닝헤드(102)는 원고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스캐닝한다.
화상처리부(103)는 스캐닝헤드(102)에 의해 스캐닝된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쉐이딩(Shading), 감마보정(Gamma Correction), 해상도 변환(DPI 변환: Dot per Inch Conversion), 에지 엠파시스(Edge Emphasis), 에러확산(Error Diffusion) 등의 각종 화상처리작업을 수행한다.
래스터부(Rasterizer)(104)는 수직 블럭(Vertical Block)으로 스캐닝한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래스터 처리(Rasterizing)를 수행한다.
화상메모리(105)는 화상처리부(103)에서 화상처리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화상데이터 처리용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이다.
시스템 메모리(106)는 전체적인 시스템 구동용 프로그램이 내장된 롬과, 시스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램으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부(107)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전기전자학회)의 1284 프로토콜(Protocol)에 의거하여 컴퓨터와의 양방향 병렬 인터페이싱(Bi-Directional Parallel Interfacing)을 위한 모듈로서, 스캐닝된 화상데이터를 컴퓨터로 송신하거나, 컴퓨터로부터 프린팅작업을 수행할 화상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셔틀방식 스캐너의 개략적 구조를 살펴보면, 스캐닝헤드(102)는 가이드레일(201)상에 장착되어 있고, 캐리지 리턴 모터(Carriage Return Motor)(20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이송벨트(203)에 의해 좌우 왕복 운동하면서 원고(204)에 기록된 화상을 스캐닝한다.
또한, 원고(204)는 라인 피드모터(20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피딩롤러(Feeding Roller)(206)에 의해 원고(204)의 이송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불연속적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스캐닝헤드(102)에 장착된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는 수직방향으로 128도트(모노일 경우에 한정됨)의 크기를 가지며, 이로 인하여 A4규격(2551×3507도트: 300DPI 기준)의 원고(204)를 스캐닝하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7개의 스캐닝블럭으로 분할되어 스캐닝된다. 그리고, 스캐닝헤드(102)가 원고(204)의 각 스캐닝블럭 중 하나의 스캐닝블럭을 스캐닝하는 경우, 스캐닝헤드(10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한 라인을 스캐닝한 후, 캐리지 리턴모터(202)와 이송벨트(20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원고(204)의 한 라인에 대한 스캐닝작업이 완료되면, 라인 피드모터(205)와 피딩롤러(206)에 의해 스캐닝헤드(102)가 원고(204)의 다음 블럭을 스캐닝할 수 있는 위치로 원고(102)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구성조건에 따라 화상편차 보정방법의 수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컴퓨터를 통하여 스캐닝하고자 하는 원고의 종류(일반 원고, 두꺼운 원고, 얇은 원고 등)를 선택한 후 스캐닝작업명령을 선택하면, 이 명령은 인터페이스부(107)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101)에 전달된다.
컴퓨터로부터 스캐닝작업명령이 접수되면(S101), 중앙처리장치(101)는 컴퓨터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고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S102), 지정된 원고(204)의 종류가 일반 원고인가를 판별한다(S103). 이 단계 103(S103)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고(204)의 종류가 일반 원고이면, 중앙처리장치(101)는 원고(204)가 기 설정된 소정거리(X)만큼 이송되도록 라인 피드모터(205)의 회전량을 제어한다(S104).
만약, 위의 단계 103(S103)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고(204)의 종류가 일반 원고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검출된 원고(204)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원고(204)의 종류가 두꺼운 원고인가를 판별한다(S105). 이 단계 105(S105)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고(204)의 종류가 두꺼운 원고이면, 중앙처리장치(101)는 원고(204)가 기 설정된 소정거리보다 짧은 거리(X-A)만큼 이송되도록 라인 피드모터(205)의 회전량을 제어한다(S106). 즉,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고의 종류가 두꺼운 원고일 경우, 원고(204)와 렌즈 사이의 이격간격은 일반 원고에 비하여 가까워지므로(a1<a), 결국 배율은 커진다. 따라서, 일반 원고에 비하여 스캐닝영역이 감소하게 되므로, 원고(204)의 이송거리를 감소시켜야 한다.
만약, 위의 단계 105(S105)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고(204)의 종류가 두꺼운 원고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01)는 원고(204)가 기 설정된 소정거리보다 긴 거리(X+A)만큼 이송되도록 라인 피드모터(205)의 회전량을 제어한다(S107). 즉,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고(204)의 종류가 얇은 원고일 경우, 원고(204)와 렌즈 사이의 이격간격은 일반 원고에 비하여 멀어지므로(a2>a), 결국 배율은 작아진다. 따라서, 일반 원고에 비하여 스캐닝영역이 확대되므로, 원고(204)의 이송거리를 증가시켜야 한다.
여기서, 원고(204)의 이송거리(X)는 일반적인 스캐너에서 이미 규정되어 있는 값이며, 가변값(A)은 원고(204)의 두께차에 따른 배율오차와 이 배율오차에 따른 스캐닝영역의 차에 의한 연산과정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원고(204)의 이송거리에 대응하는 라인 피드모터(205)의 각 회전량을 검출한 후, 중앙처리장치(101)는 검출된 해당 이송거리만큼 원고(204)를 이송시키면서 스캐닝작업을 수행한다(S108).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고(204)의 종류에 따라 원고(204)의 이송거리를 가변함으로써, 원고(204)의 종류에 따른 배율오차와 이 배율오차에 의한 화상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즉, 원고의 두께에 따라 원고의 이송거리를 가변함으로써, 스캐닝헤드의 배율오차가 발생함에 따른 화질의 열화 및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컴퓨터와 연계되고,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원고에 기록된 화상정보를 스캐닝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에 있어서:
    스캐닝작업명령이 접수되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원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종류가 일반 원고이면 상기 원고의 이송거리를 기 설정된 기준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스캐닝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종류가 두꺼운 원고이면 상기 원고의 이송거리를 상기 기준값보다 기 설정된 소정값만큼 작은 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스캐닝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원고의 종류가 얇은 원고이면 상기 원고의 이송거리를 상기 기준값보다 기 설정된 소정값만큼 큰 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스캐닝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KR1019980038047A 1998-09-15 1998-09-15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KR20000019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047A KR20000019777A (ko) 1998-09-15 1998-09-15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047A KR20000019777A (ko) 1998-09-15 1998-09-15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777A true KR20000019777A (ko) 2000-04-15

Family

ID=1955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047A KR20000019777A (ko) 1998-09-15 1998-09-15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97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557B1 (ko) * 2011-02-07 2013-04-01 여병선 곰 장어탕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557B1 (ko) * 2011-02-07 2013-04-01 여병선 곰 장어탕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1439B2 (en) High productivity single pass scanning system
US860531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capable of reading images of both sides of a document
JP5693084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18631B2 (en) Original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1780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scan accuracy and quality of the flatbed scanner by using close loop control
JP4979445B2 (ja) 原稿読取装置及びそのデータ転送方法
US2008011746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3706800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10114578A (ja) 画像処理装置
US6191871B1 (en) Image-reading method and apparatus
JP6827780B2 (ja) 画像読取方法、画像読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00019777A (ko)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
JP4424090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22012616A (ja) 画像読取装置
JP478891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18002B1 (ko) 셔틀 스캐너 방식의 복합기에서 프린팅 영역 판별 방법
JPH11164095A (ja) スキャナの画像入力方法
JP2005033465A (ja) 画像読み取り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367096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KR100306747B1 (ko) 셔틀방식 스캐너의 화상편차 보정방법_
JP2002176542A (ja)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読み取り方法
KR100296595B1 (ko) 화상독취장치의 원고 배출상태 제어방법
JP4689100B2 (ja) 画像読取装置
JP486816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データ処理方法
JP3720674B2 (ja) 画像処理装置並びに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