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091A - 음극 선관 - Google Patents

음극 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091A
KR20000017091A KR1019990032062A KR19990032062A KR20000017091A KR 20000017091 A KR20000017091 A KR 20000017091A KR 1019990032062 A KR1019990032062 A KR 1019990032062A KR 19990032062 A KR19990032062 A KR 19990032062A KR 20000017091 A KR20000017091 A KR 20000017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neck portion
cathode ray
ray tube
enl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세히사시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0001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0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0Leading-in arrangements; Se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퍼넬(funnel)부에 연접하는 네크(neck)부의 단부측의 외면 및/또는 내면의 직경을 해당 단부까지 점차 확대시킨다. 그리고, 이 확대 부분에서 개방단 근방(단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확대 비율을 작게 하였다.
이에 따라, 스템과의 밀봉 작업에서 스템 다우월(stem dowel)과 네크부 내벽 간에 V자 홈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고 밀봉부 근방에서의 플레어(flare) 형상부 외벽의 팽창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음극 선관{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음극 선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스템 핀(stem pin)을 관통시켜서 주입함으로써 전자총을 유지하는 스템과 진공 외부 주변 기기를 구성하는 유리관의 네크부의 밀봉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나 정보 단말용 모니터의 표시 장치로서 음극 선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음극 선관의 전형적인 것으로서 알려져 있는 컬러 음극 선관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1) 이하의 구성을 갖는 유리로 이루어진 진공 외부 주변 기기.
(A) 내면에 복수색의 형광체층을 가지며 색 선택 전극으로서의 섀도우 마스크가 매달려 있는 패널부.
(B) 이 패널부로부터 점차 직경이 작게 되도록 형성된 깔때기형의 퍼넬부.
(C) 전자총을 수용하는 네크부.
(D) 상기 네크부의 단부에 밀봉되는 스템.
(2) 이 진공 외부 주변 기기의 상기 퍼넬부와 네크부의 천이 영역에 외장한 편향 요크.
(3) 네크부에 장착한 전자빔의 컨버전스 보정이나 색순도 보정을 행하는 각종 보정 자기 장치.
네크부에 수용되는 전자총은 스템에 관통하여 끼워져 있는 복수의 스템 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네크부단(네크부 개방단)으로부터 삽입된다. 네크부 개방단은 직경이 일률적으로 확대된 깔때기형(플레어형)으로 되어 있다. 그 후, 가열함으로써 네크부단과 스템은 밀봉된다. 그 밀봉부의 정형 및 냉각 후 내부를 진공으로 함으로써 네크부단과 스템이 밀봉된다.
도 11은 네크부와 스템의 밀봉 작업의 설명도이다. 또, 11은 스템핀(14)을 보강하여 유지하기 위한 스템 다우월이며, 28은 수용되는 전자총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선이다.
네크부(21)의 개방단측(이하, 단부측이라고도 한다 ; 19)은 단부의 방향으로 약간 개방한 소위, 플레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환상으로 관통시켜서 주입시킨 스템 핀(14)에 의해 전자 총(28)을 고정한 스템(17)은 대략 평평한 원반형이며 네크부(21)의 단부측(19)과 대향한다. 상기 단부측(19)으로부터 화살표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자총(28)을 삽입하고, 스템(17)과 네크부(21)의 접촉부의 외주를 버너 등으로 가열하여 밀봉함으로써 스템(17)과 네크부(21)가 정형된다.
또, 이 종류의 종래 기술은 예를 들면 특개평 9-306389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2는 네크부에 스템을 밀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모식도이다. 또, 10은 배기관이며, 12는 스템 다우월(11)와 네크부(21)의 단부측(19) 간에 형성되는 간극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네크부(21)의 단부측(19)과 스템(17)의 주연부의 밀봉은 버너 등에서의 가열에 의한 유리의 연화 및 양자의 압접에 의해 행해진다.
최근의 음극 선관에서는 전력 절약화를 꾀하기 위해서 네크부 외부 직경을 작게 하고 있다. 한편, 음극 선관의 포커스 특성의 향상과 그 유지의 목적으로 스템에 환상으로 주입하는 스템 핀(14)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내압이나 범용성의 관점에서 스템 핀(14)의 배열 즉 핀 서클의 직경을 상기 네크부 외부 직경의 축소에 맞춰서 작게 하는 것에는 제한이 있다.
그 때문에, 스템(17)에 스템핀(14)을 관통 주입시켜서 고정하기 위한 스템 다우월(11)와 네크부(21)의 단부측(19)의 내벽과의 융착에 의해서, V자홈(12)이 형성된다. 이 V자홈(12)이 형성되면 이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기 쉬워지며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고 크랙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다이내믹 포커스 방식의 전자총에서는 환상으로 배열하는 스템 핀의 수가 많아진다. 그 핀 서클의 직경 축소의 제한으로 스템 다우월(11)와 네크부의 단부 내벽과의 간격이 접근하여 상기 V자홈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편향 요크는 네크부(21)의 스템(17)측으로부터 삽입하여 퍼넬부와의 천이 영역에 장착한다. 또한, 전력 절약화를 위해 네크부(21)의 관직경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핀 서클의 직경 축소의 제한으로부터 스템(17)의 밀봉부의 외형이 커지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스템과 네크부와의 밀봉부에 발생하는 V자 홈을 회피하기 위한 음극 선관의 네크부 단부측의 형상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크부(21)의 단부측(19)의 퍼넬부측에 플레어 형상부(퍼넬부측 확대 형상부 ; 18)가 형성된다. 그와 함께, 그 최단부 근방의 단부측(19) 네크부(21)의 주요부의 외벽에 대하여 병행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네크부(21)와 스템(17)이 밀봉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으로 하면 V자 홈을 회피하기 때문에 플레어 형상부(18)의 확대 비율이 커진다. 그리고, 도 14의 화살표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어 형상부가 스템 밀봉 시에 원통형으로 정형하여 끊어지지 않고 팽창된 형상이 된다.
또한, 이러한 형상에서는 편향 요크의 삽입이 곤란해지며, 편향 요크를 분할하여 퍼넬부와 네크부의 천이 영역에 직접 장착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편향 요크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그 장착 작업도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며, 그것은 스템 다우월과 네크부 단부의 내벽 간의 V자 홈의 발생을 회피한다. 그와 함께, 해당 밀봉부 근방에서의 플레어 형상부의 외벽의 팽창을 저감하여 편향 요크의 장착을 쉽게 한다. 그리고, 전력 절약화를 달성한 음극 선관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퍼넬부에 연접하는 네크부의 단부측의 외면 및/또는 내면의 직경을 해당 단부까지 점차 확대시킨다. 그리고, 이 확대 부분에서 개방단 근방(단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확대 비율을 작게 하였다.
상기한 구성에서 관축과 병행한 방향의 단면으로 볼 때, 상기 확대 형상의 부분의 외면 및/ 또는 내면을 직선형 혹은 곡선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대부의 외면과 내면은 한쪽을 직선형, 다른쪽을 곡선형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확대부의 퍼넬측의 부분과 네크부의 개방단측(단부측)의 부분으로 확대 비율을 바꾸고 있으며, 또한 전체로서 네크부의 개방 단부까지 점차 확대하는 형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스템과의 밀봉 작업에서 스템 다우월과 네크부 내벽 간에 V자 홈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고 밀봉부 근방에서의 플레어 형상부의 외벽의 팽창을 방지한다.
즉, 상기 확대 형상으로 한 부분에 스템을 밀봉함으로서 상기 V자 홈의 발생을 회피하면서 네크부의 주요부의 외부 직경과 밀봉부 근방의 외부 직경의 차를 작게 한다. 그리고, 편향 요크의 삽입이 용이하며 또한 편향 요크의 내부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절약화가 달성된다.
확대 형상이 일률적인 확대 비율로 되어 있는 경우는, 스템 다우월로 확대 형상의 단부(단부측) 내벽과의 융착을 회피하기 위한 간격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이 단부측이 필요 이상으로 확대된 형상이 되며, 밀봉 후의 정형에서 밀봉부를 정형하여 끊어지지 않고, 그 외부 직경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네크부(21)의 단부측(19)이 확대 형상이 아닌 경우는 스템 다우월(11)의 근본과 상기 단부와의 융착을 회피하기 때문에, 퍼넬부측 확대 형상 부분(18)을 필요 이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밀봉 후의 정형이 끊어지지 않고, 역시 밀봉부 근방의 외부 직경을 충분히 작다고 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네크부의 확대 형상을 상기 본 발명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템 다우월과 상기 단부측의 융착이 회피되어 V자 홈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어 밀봉부의 외부 직경을 충분히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컬러 음극 선관을 포함하여 각 종 음극 선관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 선관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 선관의 전체 구성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 선관의 네크부에 수용되는 전자총의 일례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11은 네크부와 스템과의 밀봉 작업의 설명도.
도 12는 네크부에 스템을 밀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 모식도.
도 13은 스템과 네크부와의 밀봉부에 발생하는 V자 홈을 회피하기 위한 음극 선관의 밀봉 전의 네크부 단부측의 형상의 주요부 설명도.
도 14는 스템과 네크부와의 밀봉부에 발생하는 V자 홈을 회피하기 위한 음극 선관의 밀봉 후의 네크부 단부측의 형상의 주요부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기관
11 : 스템 다우월
14 : 스템 핀,
17 : 스템
18 : 퍼넬측
19 : 단부측
21 : 네크부
28 : 전자총의 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10은 배기관, 11은 스템 다우월, 12는 스템 다우월과 네크단 내벽 간의 간극, 14는 스템핀, 17은 스템, 18은 확대 형상의 퍼넬측(이하, 단순하게 퍼넬측이라고도 말한다), 19는 확대 형상의 단부측(이하, 단순히 단부측이라고도 한다), 21은 네크부, 28은 전자총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네크부(21)의 스템(17)측에서 외면 및 내면의 직경을 모두 단부까지 점차 확대시키고 있다. 이 네크부(21)의 스템(17)측의 확대부는 퍼넬측(18) 및 스템(17)과의 밀봉부가 되는 단부측(19)으로 형성된다. 관축과 평행한 방향의 단면에서 보면, 이 확대부의 형상은 퍼넬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상기 확대부에서 단부측(19)의 확대 비율은 퍼넬측(18)의 확대 비율보다도 작다. 즉, 확대부의 단부측(19)에서는 확대가 완만하게 되어 있으며 단부측(19)의 내벽과 스템 다우월(11)와의 융착을 회피하는 필요 최소한의 간격(12)을 확보하고 있다.
스템 다우월(11)의 외형은, 그 근본으로부터 선단부로 향하여 점차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확대부의 단부측의 확대를 완만하게 함으로서, 그 단부측의 내벽과 스템 다우월의 외형이 대략 평행해진다. 스템(17)을 융착시켜서 정형 작업을 실시할 때 간격(12)이 충분히 확보되며 V자 홈의 발생이 회피된다. 그와 함께, 밀봉부의 외벽의 고조를 저감하여 편향 요크의 장착을 쉽게 하고 음극 선관의 전력 절약화를 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과 다른 점으로서, 관축과 평행한 방향의 단면으로 보면 확대부는 퍼넬측으로부터 완만하게 확대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1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축과 평행한 방향의 단면으로 보면 확대부의 외벽이 퍼넬측으로부터 스템(17)과의 밀봉 단부까지 직선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한편, 확대부의 내벽은 퍼넬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확대되며, 더욱 퍼넬측(18) 및 완만하게 확대한 단부측(19)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확대부의 외벽은 한결같이 직선적으로 확대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확대부의 내벽은 단부측(19)의 확대 비율을 퍼넬측(18)의 확대 비율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즉, 확대부의 단부측(19)의 내벽에서는 확대가 완만하게 되어 있으며, 단부측(19)의 내벽과 스템 다우월(11)와의 융착을 회피하는 필요 최소한의 간격을 확보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1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축과 평행한 방향의 단면으로 보면 확대부의 내벽이 퍼넬측으로부터 스템(17)과의 밀봉 단부까지 직선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한편, 확대부의 외벽은 퍼넬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확대되며, 더욱 퍼넬측(18) 및 완만하게 확대한 단부측(19)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확대부의 내벽은 한결같이 직선적으로 확대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확대부의 외벽은 단부측(19)의 확대 비율을 퍼넬측(18)의 확대 비율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스템(17)을 융착시켜서 정형 작업을 실시할 때, 실질적으로 두께가 얇은 단부측(19)에 의해 간격(12)이 충분히 확보되며 V자 홈의 발생이 회피된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1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축과 평행한 방향의 단면에서 보면, 확대부의 외벽이 퍼넬측으로부터 스템(17)과의 밀봉 단부까지 직선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한편, 확대부의 내벽은 퍼넬측으로부터 곡선형으로 확대되며 더욱 퍼넬측(18) 및 단부측(19)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확대부의 외벽은 한결같이 직선적으로 확대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확대부의 내벽은 단부측(19)의 확대 비율을 퍼넬측(18)의 확대비율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스템(17)을 융착시켜서 정형 작업을 실시할 때,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단부측(19)의 내벽과 스템 다우월(11)와의 간격(12)이 충분히 확보되며 V자 홈의 발생이 회피된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1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축과 평행한 방향의 단면에서 보면, 확대부의 내벽이 퍼넬측으로부터 스템(17)과의 밀봉 단부까지 직선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한편, 확대부의 외벽은 퍼넬측으로부터 곡선형으로 확대되며 더욱 퍼넬측(18) 및 단부측(19)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확대부의 내벽은 한결같이 직선적으로 확대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확대부의 외벽은 단부측(19)의 확대 비율을 퍼넬측(18)의 확대비율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스템(17)을 융착시켜서 정형 작업을 할 때, 단부측(19)이 실질적으로 두께가 얇게 됨으로써, 단부측(19)의 내벽과 스템 다우월(11)와의 간격(12)이 충분히 확보되며, V자 홈의 발생이 회피된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1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확대부의 퍼넬측(18) 및 단부측(19)의 확대비율은 음극 선관의 네크 직경, 유리관의 두께, 스템의 핀 서클의 사이즈, 기타 제원 등의 설계 시에 최적치로 선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음극 선관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스템의 외부 직경이 네크부의 단부측의 내부 직경보다도 큰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의 외부 직경을 네크부의 단부측의 내부 직경보다도 작게 하여도 좋다. 즉, 스템의 외형이 네크부의 단부측에 내포되는 사이즈로 한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네크측의 확대부를 상기 도 1과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네크측의 확대부를 도 2 ∼ 도 6에 도시한 확대 형상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1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 선관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패널부(20)의 내면에 형광면(23)을 갖는다. 이 형광면(23)에 근접하여 색 선택 전극인 섀도우 마스크(24)가 마스크 프레임(25)과 마스크 현가 장치(27)로 지지되어 있다. 이 패널부(20)의 개구부와 퍼넬부(22)의 대직경부가 밀봉되어 있다. 이 퍼넬부(22)의 깔때기형으로 가늘게 된 타단에 형성되는 네크부(21)의 단부 엣지측(19)과 스템 핀(14)을 관통하여 주입된 스템(17)이 밀봉되어 있다.
또, 마스크 프레임(25)에는 자기 실드(26)가 고정되어 있으며, 지자기 등의 외부 자계로부터 전자 빔(Bc, Bs×2)을 차폐하고 있다. 퍼넬부(22)와 네크부(21)와의 천이 영역에는 편향 요크(29)가 외장되어 있다. 네크부(21)에는 전자총(28)이 수용되며 네크부(21)의 외벽 상에 전자 빔의 컨버전스나 색순도 조정용 자기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총(28)으로부터 출사한 전자빔(Bc, Bs×2)은, 편향 요크(29)에 의해서 수평 및 수직의 2방향으로 편향되며 섀도우 마스크(24)에 이른다. 섀도우 마스크(24)의 개공에서의 색 선택에 의해, 전자빔은 형광면(23)의 소정의 형광체로 충돌하여 컬러 화상이 재생된다.
네크부(21)와 스템(17)과의 밀봉은 상기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채용한 스템(17)을 밀봉한 네크부(21)의 단부측(19)에 의해 네크부(21)의 외형의 팽창이 매우 작아지고 있으며 편향 요크(29) 혹은 자기 장치(30)의 장착이 용이해지고 있다.
이 음극 선관에 따르면, 스템 다우월과 네크부의 단부 엣지측과의 융착을 회피하고 크랙 발생에 의한 진공도의 저하가 방지되며 편향 요크의 내부 직경을 작게 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 선관의 전체 구성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 음극 선관은 패널부(20)가 평면이 된 소위 플래트 패널형이며 그 외의 구성과 효과는 도 8에 도시된 음극 선관과 마찬가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음극 선관의 네크부에 수용되는 전자총의 일례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이 전자총에서는, 캐소드 구조체(1), 제1 그리드(2), 제2 그리드(3), 제3 그리드(4), 제4 그리드(5), 제5 그리드(6), 제6 그리드(7) 및 실드컵(7a)이 멀티폼 유리(8)로 고정되어 있다. 이 전자총은 캐소드 구체(1)측에서 스템(17)에 주입한 스템 핀(14)에 소정의 전극 리드를 용접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전자총을 네크부에 수납하고 스템(17)의 외주와 네크부의 단부 엣지부를 밀봉한 후 배기관(10)으로부터 공기를 뺀다. 패널부(20), 퍼넬부(22) 및 스템(17)에서 밀봉한 네크부(21)로 진공 외부 주변 기기를 구성한다.
이상의 실시예는, 컬러 음극 선관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적용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크부의 확대부를 특수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템으로 관통하여 주입되는 스템 핀을 고정 유지하는 스템 다우월와 네크부의 단부 엣지와의 융착이 회피되며 크랙을 유발하는 V자 홈의 형성이 방지된다. 또한 밀봉부 근방의 외부 직경을 충분히 작게함과 함께 편향 요크의 내부 직경을 작게 하기 위해서 저소비 전력으로 고신뢰성의 음극 선관을 제공한다.

Claims (20)

  1. 컬러 음극 선관에 있어서,
    형광면을 가진 패널부(panel portion),
    전자총을 포함하는 네크부(neck portion),
    상기 패널부와 상기 네크부 사이에 형성된 퍼넬부(funnel portion),
    원형으로 주입된 복수개의 스템 핀을 가지며 상기 네크부의 개방 단부를 밀봉하는 스템, 및
    상기 퍼넬부와 상기 네크부의 천이 영역에 부착된 편향 요크를 포함하되,
    상기 네크부는 상기 퍼넬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측으로 확대 비율이 감소하면서, 개방 단부 근방의 외부 직경이 상기 퍼넬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로 확대되는 확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의 외부 직경은 직선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의 외부 직경은 곡선형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외부 직경은 상기 네크부의 상기 개방 단부의 내부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외부 직경은 상기 네크부의 상기 개방 단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확대부로부터 상기 퍼넬부까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7. 컬러 음극 선관에 있어서,
    형광면을 가진 패널부,
    전자총을 포함하는 네크부,
    상기 패널부와 상기 네크부 사이에 형성된 퍼넬부,
    원형으로 주입된 복수개의 스템 핀을 가지며 상기 네크부의 개방 단부를 밀봉하는 스템, 및
    상기 퍼넬부와 상기 네크부의 천이 영역에 부착된 편향 요크를 포함하되,
    상기 네크부는 상기 퍼넬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측으로 확대 비율이 처음에는 증가하다가 감소하면서, 개방 단부 근방의 외부 및 내부 직경이 상기 퍼넬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로 확대되는 확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의 상기 외부 및 내부 직경은 직선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의 상기 외부 및 내부 직경은 곡선형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외부 직경은 상기 네크부의 상기 개방 단부의 내부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외부 직경은 상기 네크부의 상기 개방 단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확대부로부터 상기 퍼넬부까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
  13. 형광면을 가진 패널부, 전자총을 포함하는 네크부, 상기 패널부와 상기 네크부 사이에 형성된 퍼넬부, 및 원형으로 주입된 복수개의 스템 핀을 가지며 상기 네크부의 개방 단부를 밀봉한 스템을 갖는 컬러 음극 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밀봉단계 전에, 상기 퍼넬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측으로 확대 비율이 감소하면서, 외부 직경이 상기 퍼넬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단부로 연속적으로 확대되는 확대부를 갖는 네크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네크부의 개방 단부를 상기 스템으로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의 외부 직경은 직선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의 외부 직경은 곡선형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외부 직경은 상기 네크부의 상기 개방 단부의 내부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의 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외부 직경은 상기 네크부의 상기 개방 단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의 제조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확대부로부터 상기 퍼넬부까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의 제조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또한 상기 스템 핀들을 밀봉하고 상기 네크부의 인접한 내벽으로부터 완전히 이격된 다우얼(dowel)들이 내부에서 신장되며, V자 홈에 어떠한 응력도 집중됨 없이 상기 다우얼 이외의 스템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만 상기 네크부의 단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확대부로부터 상기 퍼넬부까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상기 네크부의 개방 단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음극 선관의 제조 방법.
KR1019990032062A 1998-08-06 1999-08-05 음극 선관 KR200000170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223277 1998-08-06
JP10223277A JP2000057975A (ja) 1998-08-06 1998-08-06 陰極線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091A true KR20000017091A (ko) 2000-03-25

Family

ID=1679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062A KR20000017091A (ko) 1998-08-06 1999-08-05 음극 선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057975A (ko)
KR (1) KR20000017091A (ko)
CN (1) CN1245346A (ko)
TW (1) TW43084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44331S1 (en) 2017-07-24 2019-04-02 Shordee Products Llc Hair brush
US10638831B2 (en) 2016-09-30 2020-05-05 Shordee Products Llc Fluid dispensing brus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2378B2 (ja) 2002-04-19 2007-08-01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プリント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4946U (ja) * 1981-08-12 1983-02-17 株式会社東芝 電子管の封止装置
US4781639A (en) * 1985-09-20 1988-11-01 Hitachi, Ltd. Culletless main sealing method of cathode-ray tube
KR960012122A (ko) * 1994-09-13 1996-04-20 카나이 쯔또무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JPH08255581A (ja) * 1995-03-17 1996-10-01 Hitachi Ltd 陰極線管装置
JPH09306389A (ja) * 1996-05-09 1997-11-28 Asahi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JPH1083781A (ja) * 1996-09-10 1998-03-31 Hitachi Ltd 陰極線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4946U (ja) * 1981-08-12 1983-02-17 株式会社東芝 電子管の封止装置
US4781639A (en) * 1985-09-20 1988-11-01 Hitachi, Ltd. Culletless main sealing method of cathode-ray tube
KR960012122A (ko) * 1994-09-13 1996-04-20 카나이 쯔또무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JPH08255581A (ja) * 1995-03-17 1996-10-01 Hitachi Ltd 陰極線管装置
JPH09306389A (ja) * 1996-05-09 1997-11-28 Asahi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JPH1083781A (ja) * 1996-09-10 1998-03-31 Hitachi Ltd 陰極線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8831B2 (en) 2016-09-30 2020-05-05 Shordee Products Llc Fluid dispensing brush
USD844331S1 (en) 2017-07-24 2019-04-02 Shordee Products Llc Hair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57975A (ja) 2000-02-25
TW430848B (en) 2001-04-21
CN1245346A (zh) 200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8155A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small-diameter neck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6577052B1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US5898264A (en) Narrow-neck CRT having a large stem pin circle
KR20000017091A (ko) 음극 선관
EP0989582A1 (en) Cathode-ray tube
US6462466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mall neck diameter and large stem pin circle having sufficient number of conductive lead pin segments
KR100432117B1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 방법
JPH0883582A (ja)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68136B1 (ko) 칼라수상관
KR100730102B1 (ko) 음극선관
KR100879464B1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JPH08255581A (ja) 陰極線管装置
KR200363106Y1 (ko) 음극선관의 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JPH1116495A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KR10083100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1448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200342945Y1 (ko) 음극선관의 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KR200147266Y1 (ko) 음극선관용 음극구조
JPH08255582A (ja) 陰極線管
KR20020037512A (ko) 음극선관
JP2000323035A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2001093445A (ja) 陰極線管のファンネル
JPH03233836A (ja) 陰極線管用電子銃
JP2003031151A (ja) 電子銃構体及び陰極線管
KR20020063040A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