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485B1 -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485B1
KR100414485B1 KR10-2002-0004823A KR20020004823A KR100414485B1 KR 100414485 B1 KR100414485 B1 KR 100414485B1 KR 20020004823 A KR20020004823 A KR 20020004823A KR 100414485 B1 KR100414485 B1 KR 100414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angular
vertical
pair
ray tub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4505A (ko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2-0004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4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6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성은 단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핀쿠션자계를 형성하는 1쌍의 라인코일과 장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바렐형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1쌍의 프레임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사각형상 콘부에 장착되는 사각형상의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콘부의 사각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는 4:3이며; 상기 1쌍의 프레임코일은 사각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사각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는 4:3이며; 상기 1쌍의 라인코일은 사각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사각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가 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사각형상의 콘부에 장착되는 사각형상의 편향요크의 편향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하주사형 음극선관{CRT of Transposed scan}
본 발명은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에서 큰 전력 소비원인 편향요크의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체(3)가 도포되어 있는 패널(1)과, 상기 패널의 후방에 프릿글라스를 이용하여 융착되며 바디부, 사각형상 콘부, 및 네크부로 구성되는 펀넬(2),R(Red), G(Green), B(Blue) 3색의 전자빔들(8,9,10)을 발생하는 3개의 캐소드가 수직 인라인으로 배열된 전자총(4)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면에 부딪혀 색을 재현하는 스크린(11)과, 단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핀쿠션자계를 형성하는 라인편향코일과 장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바렐형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프레임편향코일로 구성된 사각형상의 편향요크(5), 및 상기 전자빔이 통과하는 장축의 긴홀들(7)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6)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1의 음극선관은 전자총(4)의 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음극으로부터 전자빔이 발생된 R,G,B 3색의 전자빔이 다수개의 전극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가속 및 집속된 다음, 편향요크(5)의 자계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된 상태로 스크린(11)을 향해 주사된다.
상기와 같이 주사된 전자빔은 색선별 역할을 하는 새도우마스크(6)의 장축으로 긴 전자빔 통과홀(7)을 통과하여 패널(1)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체(3)를 발광시키게 되므로 화상이 재현된다.
도 3a는 원형의 콘부를 가지는 펀넬형상을 도시 한 것이다.
종래 도 3a와 같은 원형의 콘부(2b')로 구성된 펀넬을 포함하는 수평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콘부에 장착되는 편향요크는 큰 전력 소비원이고, 음극선관의 소비전력의 감소에 있어서는 상기 편향요크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즉, 스크린 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전자빔을 가속하는 음극전압을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HD(고선명) TV나 PC(개인용 컴퓨터)등의 OA 기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편향주파수를 올리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것은 모두 편향 전력의 증대를 초래한다.
한편, 작동자가 음극선관에 접근하여 대응하는 PC등의 OA기기에 있어서는 편향요크로부터 음극선관 밖으로 누설되는 누설자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있다.
상기 편향요크로부터 음극선관 밖으로 누설되는 자계의 감소수단으로는 종래 보상코일을 부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보상코일을 부가하면, 그에 수반하여 PC의 소비전력이 증대된다.
일반적으로 편향전력의 감소나 누설자계의 감소에는 음극선관의 네크직경을 작게 하고,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콘부의 외부 직경을 더욱 작게하면 최대편향각을 취하는 형광체 스크린의 대각부를 향하는 전자빔이 콘부 내벽에 충돌하고 형광체 스크린 상에 전자빔이 충돌하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
또한, 콘부 내벽에 전자빔이 계속 충돌하여 유리가 녹을 정도로 그 부분의 온도가 상승하고 파열될 위험이 발생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펀넬의 콘부를 네크측에서 패널방향으로 도 2b와 같이, 원형에서 점점 거의 직사각형으로 변화되는 형상으로 만들었다.
상기와 같은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콘부를 각축형상으로 형성하면 편향요크의 장축 및 단축 방향의 직경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편향요크의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을 전자빔에 접근시켜 효율적으로 편향하여 편향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편향요크가 도 3b와 같은 사각형상의 콘부(2b)에 장착 시, 수평편향을 담당하는 프레임코일의 편향각이 커지고 수직편향을 담당하는 라인코일의 편향각이 작아져 오히려 편향요크의 편형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3색 전자빔을 발생하는 음극을 수직으로 배열하고 전자빔을 수직으로 주사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편향요크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수직단면도.
도 2는 상하주사형 편향요크의 개략도.
도 3a는 원형의 콘부를 가지는 펀넬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사각형상의 콘부를 가지는 펀넬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코일과 라인코일의 나타낸 개략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코일의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코일의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편향요크 2:펀넬
41:라인코일 42:프레임코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핀쿠션자계를 형성하는 1쌍의 라인코일과 장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바렐형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1쌍의 프레임코일로 구성되어 상기사각형상 콘부에 장착되는 사각형상의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콘부의 사각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는 4:3이며; 상기 1쌍의 프레임코일은 사각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사각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는 4:3이며; 상기 1쌍의 라인코일은 사각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사각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가 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내면에 형광체(3)가 도포되어 있는 패널(1)과, 상기 패널의 후방에 프릿글라스를 이용하여 융착되며 바디부, 사각형상 콘부, 및 네크부로 구성되는 펀넬(2),R(Red), G(Green), B(Blue) 3색의 전자빔들(8,9,10)을 발생하는 3개의 캐소드가 수직 인라인으로 배열된 전자총(4)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형광면에 부딪혀 색을 재현하는 스크린(11)과, 단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핀쿠션자계를 형성하는 라인코일과 장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바렐형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프레임코일로 구성된 사각형상의 편향요크(5), 및 상기 전자빔이 통과하는 장축의 긴홀들(7)이 형성된 새도우마스크(6)등으로 구성된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이다.
상기 편향요크(5)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극선관 내부에 있는 상기 전자총(5)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을 수직으로 편향시켜주는 라인코일(41)과, 그 외측에 라인코일, 프레임코일과 페라이트 코아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라인코일과 프레임코일 사이의 절연을 위한 홀더(Holder,43)와, 상기 홀더(43)의 네크측에 주로 설치되는 수평형 베럴 자계에 의해서 발생되는 콤마 수차를 개선 해 주는 콤마프리코일(45)과, 상기 홀더(43)의 네크측 끝에 설치되어 상기 음극선관과 상기 편향요크(5)를 기구적으로 결합시켜주는 링 밴드(46)와, 상기 편향요크의 개구부 끝단에 주로 설치되어 화면상의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하는데 사용하는 마그네트(47)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사각 단면형상의 편향요크(5)는 1쌍의 라인코일, 1쌍의 프레임코일(41)(42) 및 상기 페라이트 코아(44)가 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자빔과의 거리가 원추형 편향요크에 비해 가깝기 때문에 편향감도가 개선된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 코일(42)은 상측 프레임코일과 하측 프레임코일로 구성된 사각형상을 이루며, 도 5a와 같이 상기 프레임코일42)의 사각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는 4:3으로 한다.
또한, 수직편향을 담당하는 한 쌍의 라인코일(41)도 도 4와 같이, 좌측 라인코일과 우측 라인코일로 구성된 사각형상을 이루며,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인코일의 사각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를 3:4 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코일과 라인코일로 구성된 사각형상의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도 3b와 같은 사각형상의 콘부도 4:3의 가로 및 세로의 비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인코일 및 프레임코일로 구성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빔을 상하로 주사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서 편향요크를 구성하는 수평편향을 담당하는 프레임코일과 수직편향을 담당하는 라인코일 및 상기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사각형상의 콘부의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편향요크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패널의 후방에 프릿글라스를 이용하여 융착되며 바디부, 사각형상 콘부, 및 네크부로 구성되는 펀넬, 3색의 전자빔들을 발생하는 3개의 캐소드가 수직 인라인으로 배열된 전자총, 및 단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핀쿠션자계를 형성하는 1쌍의 라인코일과 장축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바렐형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1쌍의 프레임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사각형상 콘부에 장착되는 사각형상의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콘부의 사각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는 4:3이며;
    상기 1쌍의 프레임코일은 사각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사각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는 4:3이며;
    상기 1쌍의 라인코일은 사각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사각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가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주사형(TPS: Transposed scan) 음극선관.
KR10-2002-0004823A 2002-01-28 2002-01-28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414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823A KR100414485B1 (ko) 2002-01-28 2002-01-28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823A KR100414485B1 (ko) 2002-01-28 2002-01-28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505A KR20030064505A (ko) 2003-08-02
KR100414485B1 true KR100414485B1 (ko) 2004-01-07

Family

ID=3221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823A KR100414485B1 (ko) 2002-01-28 2002-01-28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4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0102A (en) * 1989-04-14 1992-12-08 U.S. Philips Corporation Picture display device
JPH1116517A (ja) * 1997-06-20 1999-01-22 Toshiba Corp 陰極線管装置
JPH11265668A (ja) * 1998-03-17 1999-09-28 Sony Corp 陰極線管
KR19990077907A (ko) * 1998-03-17 1999-10-25 니시무로 타이죠 음극선관장치
KR20000024854A (ko) * 1998-10-02 2000-05-06 손욱 편향 장치와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0102A (en) * 1989-04-14 1992-12-08 U.S. Philips Corporation Picture display device
JPH1116517A (ja) * 1997-06-20 1999-01-22 Toshiba Corp 陰極線管装置
JPH11265668A (ja) * 1998-03-17 1999-09-28 Sony Corp 陰極線管
KR19990077907A (ko) * 1998-03-17 1999-10-25 니시무로 타이죠 음극선관장치
KR20000024854A (ko) * 1998-10-02 2000-05-06 손욱 편향 장치와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505A (ko) 200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695B1 (ko) 음극선관
EP0813224B1 (en) Cathode ray tube with deflection yoke and improved funnel shape
US6002203A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envelope shaped to reduce beam deflection power requirements
US6384525B1 (en) Cathode-ray tube having a non-circular yoke section
KR10041448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US6288481B1 (en) In-line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having burrs and slits in the shield cup
KR100605761B1 (ko) 음극선관
KR100400836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41449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839417B1 (ko)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
US7355331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JP4170791B2 (ja) 陰極線管
US7501748B2 (en) CRT funnel section
KR20026652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_
KR100447661B1 (ko) 상하주사형 칼라음극선관
KR20010084389A (ko) 편향요크
JPH11273591A (ja) 陰極線管装置
KR20030037006A (ko) 상하 주사형 음극선관
JP2002329466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陰極線管装置
KR20000013926A (ko)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구조
JP2002329467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陰極線管装置
KR20060111609A (ko) 튜브 기하구조, 요크 필드 및 전자총 오리엔테이션을최적화한 hdtv crt 디스플레이
JP2002289119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陰極線管装置
KR20030071128A (ko) 편평형 칼라 음극선관
KR20040076056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