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695B1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695B1
KR100327695B1 KR1019980022641A KR19980022641A KR100327695B1 KR 100327695 B1 KR100327695 B1 KR 100327695B1 KR 1019980022641 A KR1019980022641 A KR 1019980022641A KR 19980022641 A KR19980022641 A KR 19980022641A KR 100327695 B1 KR100327695 B1 KR 10032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core
funnel
ray tube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039A (ko
Inventor
유우이치 사노
마사히로 요코마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9000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03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 H01J2229/8606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characterised by the shape
    • H01J2229/8609Non circular cross-section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퍼넬이 네크측에서 패널방향으로 외형이 서서히 확대하는 콘부 및 이 콘부의 패널측 단부에서 외형이 급격하게 확대하는 퍼넬 본체로 이루어진 진공 외관용기와, 이 네크 바깥쪽에서 콘부 바깥쪽에 걸쳐 장착된 편향요크(37)를 구비한 음극선관 장치에 있어서, 콘부(40) 외면 및 코어(44) 내면의 적어도 일부를 비원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콘부 외면과 코어 내면과의 사이에 갭이 불균일한 부분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충분한 내기압 강도를 구비하고 편향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CATHODE-RAY TUBE}
본 발명은 컬러수상관 등의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향전력과 누설자계를 저감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으로서 예를 들면 컬러수상관은 진공 외관용기를 구비하고, 이 진공외관용기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 원통형상의 네크, 이러한 패널과 네크와의 사이에 개재된 퍼넬을 갖고 있다. 퍼넬의 대지름 단(端)이 패널에, 소지름 단(端)이 네크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다.
패널의 내면에는 청, 녹, 적으로 발광하는 도트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3색 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진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되고, 이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그 안쪽에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섀도우 마스크가 배치되어 있다. 또, 네크 내에는 3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이 배치되어 있다. 퍼넬의 네크측의 소지름부 바깥쪽에서 네크 바깥쪽에 걸쳐 편향요크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컬러수상관은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3전자빔을 편향요크가 발생하는 수평, 수직편향자계에 의해 수평,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섀도우 마스크를 통해 형광체 스크린을 수평, 수직주사하는 것에 의해 컬러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컬러수상관으로서 셀프 컨버젼스·인라인형 컬러수상관이 널리 실용화되어 있고, 이 수상관에서는 전자총은 동일수평면 상을 통과하는 일렬배치의 3전자빔을 방출하는 인라인형으로 하고, 또 편향요크가 발생하는 수평편향자계를 핀 쿠션형, 수직편향자계를 배럴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평, 수직편향자계에 의해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일렬배치의 3전자빔을 편향하는 것에 의해 각별한 보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형광체 스크린 전체 면을 따라 3전자빔을 집중시킨다.
이와 같은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에너지 절약,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그 때문에, 음극선관에서는 편향요크의 소비전력을 저감하는것이 중요하고, 동시에 편향요크에서 누설된 누설자계를 저감하는 것도 요망된다.
즉, 음극선관의 스크린 휘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전자빔을 가속하는 양극전압을 올리지 않으면 안된다. 또, HD(High Definition) TV와 PC(Personal Computer) 등의 OA기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편향주파수를 올리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모두 편향전력의 증대를 초래한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음극선관에 접근하여 대응하는 PC 등의 OA기기는 편향요크에서 음극선관 밖으로 누설하는 누설자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있어 그 대책이 필요하다. 종래, 이 편향요크에서 누설하는 자계의 저감을 위해 보상코일을 부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보상코일을 부가하면 소비전력이 증대한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편향전력과 누설자계의 저감에는 네크지름을 작게 하고, 편향요크가 장착된 퍼넬의 소지름부 바깥지름을 작게 하여 전자빔에 대해 편향자계가 효율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면 좋다.
그러나, 전자빔은 퍼넬의 소지름부 내면에 접근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네크지름과 퍼넬의 소지름부 바깥지름을 너무 작게 하면 최대편향각을 취하는 화면의 대각부를 향한 전자빔이 퍼넬의 소지름부 내벽에 충돌하고, 그 결과 형광체 스크린의 각진 부분에 전자빔이 도달하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 퍼넬의 소지름부 내벽에 전자빔이 계속 충돌하면 유리가 녹을 정도로 그 부분의 온도가 상승하고, 폭발할 위험이 생긴다. 따라서, 종래의 음극선관에서는 네크지름과 퍼넬의 소지름부 바깥지름을 대폭 축소하여 편향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일본국 특공소 48-34349호 공보에는 형광체 스크린 상에 직사각형 형상의 래스터(raster)를 그리는 경우, 편향요크가 장착된 퍼넬의 소지름부 안쪽에 있어서 전자빔의 통과영역도 거의 직사각형이 된다는 사고에서 퍼넬의 소지름부를 네크측에서 패널방향을 향해 그 단면 형상이 원형에서 점차 직사각형 형상이 되는 각추(角錐)형상의 콘부로 형성된 것이 나타나 있다.
퍼넬의 소지름부를 각추형상의 콘부로 형성하면 소지름부의 단면이 거의 원형인 통상의 퍼넬에 비해 전자빔이 충돌하기 쉬운 대각방향 안지름을 크게 하여 전자빔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동시에 수평 및 수직축방향 안지름이 작아지고, 편향요크의 수평, 수직편향 코일을 전자빔의 궤도에 가깝게 하여 전자빔을 효율적으로 편향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편향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편향전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 콘부를 직사각형에 가깝게 하는 만큼, 진공 외관용기의 내기압 강도가 저하하고, 안전성이 손상된다. 따라서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콘부를 적당히 둥그런 형상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되고, 편향전력을 충분히 저감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누설자계에 대해서는 편향코일 지름이 네크측에서 형광체 스크린측에 걸쳐 서서히 커지기 때문에 형광체 스크린방향으로 누설하는 자계는 멀리까지 미친다. 따라서, 누설자계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편향코일의 형광체 스크린측 지름을 축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편향전력 및 누설자계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콘부를 네크측에서 형광체 스크린측에 걸쳐 충분히 각형화(角形化)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응력계산의 해석결과에 의하면 가장 각형화된 콘부의 형광체 스크린측 단부 부근에서는 수평축(H축)단 및 수직축(V축)단 부근의 단면 형상이 플랫에 가까운 형상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관축을 향하는 방향의 응력이 더해지고, 그 결과 콘부의 대각축(D축)단 부근에 방사방향의 응력이 생긴다. 콘부를 각형화한 경우, 이 응력은 일반적인 음극선관 설계시의 표준이 되는 1200psi를 가볍게 초과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약하고, 안전면에서의 규격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또, 콘부를 각형화한 퍼넬을 이용한 경우, 편향각의 광각화(廣角化)를 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콘부를 각형화 하면 보다 큰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채용할 수 없다. 결국, 콘부를 각형화한 퍼넬을 이용하여 광편향각관을 설계하려면 안전상 콘부를 극단적인 각추형상으로 하지 말고, 편향전력과 누설자계의 저감효과는 감소하지만, 어느 정도 둥글게 하여 내기압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콘부를 각형화 하면 이에 따라 진공 외관용기, 편향요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의 비용이 상승하고, 어느 정도의 편향전력과 누설자계의 저감효과가 없으면 채용하는 의미가 없어, 콘부를 각형화한 음극선관의 실용화는 곤란하다.
한편,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1-19032호 공보에는 코어를 가능한 한 전자빔의 궤도에 가깝게 하기 위해 코어 내면에 중심축을 따른 여러 개의 홈을 형성하고, 수직축과 이루는 각도가 큰 위치인 만큼 그 홈의 깊이를 얕게 형성하고, 이러한 홈에 수직편향 코일의 권선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코어의 수직방향 안지름을 작게 한 편향요크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소 63-241843호 공보에는 코어의 내면에 수직축 부근이 돌출하도록 중심축을 따라 깊이가 거의 같은 여러 개의 홈을 형성하고, 이러한 홈에 수직편향 코일의 권선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코어의 수직방향 안지름을 작게 한 편향요크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7-37525호 공보에는 수직편향 코일을 수평편향 코일의 외면을 따르도록 타원형상으로 하고, 이 수직편향 코일의 외면을 따르도록 코어의 내면을 타원형상으로 하여 코어의 안지름을 작게 한 편향요크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향요크는 모두 횡단면이 원형상의 퍼넬의 소지름부에 장착된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일반적인 편향요크와 비교하여 코어의 안지름을 충분히 축소할 수 없고, 큰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또, 이와 같은 코어는 종래의 일반적인 편향요크의 코어에 비해 제작비용이 비싸고, 결과적으로 편향전력의 저감에 비해 비용이 상승하고, 실용화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필요한 내기압 강도를 구비하고, 편향전력을 충분히 저감 가능한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컬러 음극선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상기 컬러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컬러 음극선관의 배면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Ⅲ-Ⅲ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상기 컬러 음극선관의 콘부 외면 및 코어 내면을 구성한 원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상기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빔의 궤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컬러 음극선관을 나타낸,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컬러 음극선관의 편향요크의 네크측 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공 외관용기 26: 홀더
27: 스터드 핀 28: 스커트부(페이스 패널)
29: 유효부(페이스 패널) 30: 페이스 패널
31: 네크 32: 퍼넬
33: 형광체 스크린 34: 섀도우 마스크
34a: 전자빔 통과구멍 35B, 35G, 35R: 3전자빔
36: 전자총 37: 편향요크
40: 콘부 41: 퍼넬 본체
43H: 수평편향 코일 43V: 수직편향 코일
44: 자성체 코어 46: 전자빔의 궤적
48: 홈(코어) 50a, 50b: 제 1 원호(수평방향면)
51a, 51b: 제 2 원호(수직방향면) 52a, 52b: 제 3 원호
53a: 제 3 원호(52a)의 중심 및 장축, 단축의 교점을 통과하는 선
53b: 제 3 원호(52b)의 중심 및 장축, 단축의 교점을 통과하는 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음극선관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페이스 패널과, 원통형상 네크와, 상기 네크측의 단에서 상기 페이스 패널방향을 향하여 외형이 서서히 확대하는 콘부 및 콘부의 상기 페이스 패널측 단에서 페이스 패널을 향하여 외형이 급격하게 확대하는 퍼넬 본체를 갖고 있고 페이스 패널과 네크와의 사이를 연장하는 퍼넬을 갖는 진공 외관용기,
상기 네크 내에 배치되고, 상기 페이스 패널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및
중공의 자성체 코어와, 상기 코어의 내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하는 수평편향 코일 및 수직편향 코일을 갖고 있고 상기 네크 외부둘레에서 상기 콘부 외부둘레를 따라 장착된 편향요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콘부 외면 및 상기 코어 내면의 상기 퍼넬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횡단면은 각각 적어도 일부가 비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콘부 외면과 상기 코어의 내면과의 사이에 갭이 불균일한 부분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음극선관에 의하면 상기 코어의 내면은 상기 퍼넬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횡단면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콘부 외면과, 상기 코어 내면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적어도 한쪽과의 사이에 갭이 불균일한 부분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음극선관에 의하면 상기 비원형상 부분에 있어서 상기 콘부 외면 및 상기 코어 내면의 상기 퍼넬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횡단면은 상기 퍼넬의 중심축을 통해 서로 직교하는 장축 및 단축을 갖고,
상기 콘부 외면 및 상기 코어 내면의 상기 횡단면은 상기 장축상에 중심을갖는 제 1 원호와 상기 단축상에 중심을 갖는 제 2 원호와 이러한 제 1, 제 2 원호를 접속하는 제 3 원호로 각각 규정되고, 상기 장축 및 단축의 교점과, 상기 콘부 외면을 규정한 상기 제 3 원호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이 상기 장축과 이루는 각도는 상기 장축 및 단축의 교점과, 상기 코어 내면을 규정한 상기 제 3 원호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이 상기 장축과 이루는 각도와 서로 다르다.
또, 본 발명의 음극선관에 의하면 상기 페이스 패널은 상기 퍼넬의 중심축을 통해 서로 직교하는 장축 및 단축을 갖고,
상기 코어 내면의 상기 퍼넬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횡단면은 상기 네크측의 단부(端部)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패널의 장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지름을 갖고, 상기 페이스 패널측의 단부에서 상기 페이스 패널의 대각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지름을 갖는 비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퍼넬의 소지름부를 비원형상의 콘부로 구성하고, 이 콘부에 장착된 비원형상의 편향요크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그 콘부를 진공 외관용기의 내기압 강도를 확보하는 데에 필요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편향전력 및 누설자계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편향요크를 비원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한 비용상승에 걸맞은 또는 그 이상의 편향 특성의 개선을 꾀할 수 있고, 광편향각 관에 있어서도 실용적인 편향주파수로 편향가능한 음극선관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컬러 음극선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러 음극선관은 진공 외관용기(10)를 구비하고, 이 진공 외관용기(10)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페이스 패널(30), 원통형상 네크(31), 이러한 패널(30)과 네크와의 사이에 개재된 퍼넬(32)을 갖고 있다. 페이스 패널(30)은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29)와, 유효부(29)의 둘레부를 따라 세워 설치된 스커트부(28)를 일체로 갖고 있다. 또, 유효부(29)는 퍼넬(32)의 중심축에 대응한 관축(Z)을 통과하는 장축(수평축)(H), 관축을 통과하고 장축과 직교하는 단축(수직축)(V)을 갖고 있다. 퍼넬(32)은 그 대지름 단(端)이 페이스 패널(30)의 스커트부(28)에, 소지름 단(端)이 네크 밀봉부를 통해 네크(31)에 접속되어 있다.
페이스 패널(30)의 유효부(29) 내면에는 청, 녹, 적으로 발광하는 3색 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진 형광체 스크린(33)이 형성되어 있다. 또, 페이스 패널(30)의 안쪽에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34a)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34)가 형광체 스크린(33)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섀도우 마스크(34)는 페이스 패널(30)의 스커트부(28)에 세워 설치된 여러 개의 스터드 핀(27)에 각각 홀더(26)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네크(31) 내에는 3전자빔(35B, 35G, 35R)을 방출하는 전자총(36)이 배치되어 있다. 또, 네크(31) 바깥쪽에서 퍼넬(32)의 소지름부 바깥쪽에 걸쳐 편향요크(37)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음극선관은 전자총(36)에서 방출된 3전자빔(35B, 35G, 35R)을 편향요크(37)가 발생하는 수평, 수직편향자계에 의해 편향하고, 섀도우 마스크(34)를 통해 형광체 스크린(33)을 수평, 수직주사하는 것에 의해 컬러화상을 표시한다.
또,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퍼넬(32)은 네크(31)측의 단에서 페이스 패널(30) 방향을 향해 외형이 서서히 확대하는 각추형상의 콘부(40)와, 이 콘부(40)의 페이스 패널(30)측 단에서 외형이 급격하게 확대하는 퍼넬 본체(41)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추형상의 콘부(40)는 관축(Z)에 수직인 횡단면 형상이 수평축을 장축(H), 수직축을 단축(V)으로 하고, 적당히 둥근 부분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진공 외관용기(10)의 내기압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퍼넬(32)에 대해 편향요크(37)는 전자총(36)에서 방출된 3전자빔(35B, 35G, 35R)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수평편향 코일(43H)과,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수직편향 코일(43V)과, 중공의 자성체 코어(44)를 갖고, 네크(31) 바깥쪽에서 콘부(40) 바깥쪽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수평편향코일(43H)은 장축(H)을 중심으로 하여 감겨지고, 장축(H)의 양단(兩端)측에서 콘부(40)의 외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수직편향코일(43V)은 수직축(V축)을 중심으로 감겨지고, 콘부(40)의 외면을 따라 수평편향코일(43H)을 덮도록 콘부(40)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 코어(44)는 수평, 수직편향 코일(43H, 43V)을 둘러싸도록 그 바깥쪽에 배치되고, 그 외형이 거의 각추형상이 된다.
즉, 편향요크(37)는 콘부(40)의 외형에 대응하여 코어(44)도 각추의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 수직편향코일(43H, 43V)은 코어의 내면측에 부착되어 있다.그리고, 코어(44)와 콘부(40)와의 사이의 갭은 장축(H)방향을 따른 갭을 '△H', 단축(V)방향을 따른 갭을 '△V'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축(H)방향의 갭(△H)보다도 단축(V)방향의 갭이, 수평방향보다도 수직방향 쪽이 좁고(△H > △V), 불균일하다.
이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부(40)의 외면 및 코어(44)의 내면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뻗은 면에 대해서는 장축(H) 상에 중심을 갖는 제 1 원호(50a, 50b)로 각각 구성하고, 수직방향으로 뻗은 면에 대해서는 단축(V)상에 중심을 갖는 제 2 원호(51a, 51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원호(50a, 50b)와 제 2 원호(51a, 51b)는 각각 제 3 원호(52a, 52b)에 의해 원활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제 3 원호(52a)의 중심 및 장축, 단축의 교점을 통과하는 선(53a)과, 장축(H)과 이루는 각도(θa) 및 제 3 원호(52b)의 중심 및 장축, 단축의 교점을 통과하는 선(53b)과, 장축(H)과 이루는 각도(θb)는 θa > θb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코어(44) 내면과 콘부(40) 외면과의 사이의 갭을 장축 방향보다도 수직방향인 쪽을 좁게 하고, 불균일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퍼넬(32)의 소지름부를 각추형상의 콘부(40)로 하고, 콘부(40)에 장착된 편향요크(37)의 코어(44)와 콘부(40)와의 사이의 갭이 불균일한 구조로 하면 코어(44)의 안지름을 꽤 축소할 수 있고, 편향요크(37)의 편향전력 및 누설자계를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편향요크의 권선분포는 화면상에 있어서 3전자빔의 집중특성이 최적이 되도록 결정된다. 편향요크의 특성을 상세하게 검토한 결과, 퍼넬(32)의 소지름부를 각추형상의 콘부(40)로 하고, 그 단면형상을 수평축이 장축, 수직축이 단축이 되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이 단면에 있어서 대각방향의 길이에 대해 특히 단축방향의 길이가 단축된다. 그 때문에 단축방향에 대해서는 전자빔에 대한 권선 하나 당 영향이 크고, 종래에는 수평편향 코일은 보다 수평축 근방에 치우친 분포로 배치되고, 수직축 근방에 치우친 수직편향 코일은 전체 둘레에 분포하는 경향이 된다. 그리고, 코어와 콘부와의 사이의 갭은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H=△V)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수직편향 코일과 콘부와의 사이에 코일이 배치되지 않은 틈이 생긴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코어(44)와 콘부(40)와의 사이의 갭을 콘부의 외부둘레 방향을 따라 불균일하게 하는 것에 의해 특히 △H > △V로 하는 것에 의해 수직편향 코일(43V)과 콘부(40) 외면과의 틈을 없애고, 코어(44)의 단축(V)방향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편향요크(37)의 편향전력 및 누설자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편향요크(37)의 코어(44)는 종래부터 각추형상인 것이 이용되었기 때문에 코어(44)와 콘부(40)와의 사이의 갭을 불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한 위험은 없고, 비용 상승에 걸맞은 또는 그 이상의 특성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콘부(40)를 각추형상으로 하고, 이 콘부(40)에 각추형상의 편향요크(37)를 장착한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광체 스크린의 각진 부분을 향해 편향된 전자빔의 궤도(46)는 그 연장선(파선)과 관축(Z)과의 교점인 실질적인 편향중심(C)이 퍼넬의 원추의 통형상의 소지름부에 원추형상의 편향요크를 장착한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편향중심(C')보다도 형광체 스크린 방향으로 전진한다.이것은 각추형상의 콘부(40)에 각추형상의 편향요크(37)를 장착한 경우, 상기 일반적인 음극선관에 비교하여 편향요크(37)가 전자빔의 궤도에 접근하여 전자빔을 급격하게 편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은 편향중심(C)은 코어(44)의 네크측의 횡단면 형상을 편향코일을 따른 비원형상으로 하여 코어의 네크측 안지름을 가능한한 축소하고, 편향요크 후방부에서의 편향력을 강화하는 것에 의해 뒷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코어(44) 내면의 횡단면 형상을 네크(31)측에서는 장축(H)방향의 길이가 최대가 되도록 형성하고, 페이스 패널(30)측에서는 페이스 패널의 대각축 방향을 따른 길이가 최대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소망하는 편향요크(37)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추형상의 콘부(40)에 장착된 각추형상의 편향요크(37)의 코어(44)는 그 내면에 형성된 여러 개의 홈(48)을 갖고 있다. 이러한 홈(48)은 코어(44)의 중심축 즉, 관축(Z)을 따라 뻗어 있다.
코어(44)의 안쪽에는 장축(H)을 중심으로 하여 각추형상의 콘부(40)의 외면을 따라 수평편향 코일(43H)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수직편향 코일(43V)이 그 권선이 코어(44)의 내면의 홈(48)에 매워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코어(44)의 내면의 볼록부, 오목부(홈(48)의 바닥부)의 적어도 한쪽과 콘부(40) 외면과의 사이의 갭은 장축(H)방향보다도 단축(V)방향 쪽이 좁고, 불균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실시예의 편향요크와 같은 효과를 갖는 편향요크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각추형상 콘부(40)에 장착된 각추형상의 편향요크(37)의 네크측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코어(44)의 내면은 장축(H)을 따른 방향을 최대지름으로 하고, 수직편향 코일(43V)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코어(44)의 페이스 패널측의 단부는 대각축을 따른 방향을 최대지름으로 하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편향요크와 같은 효과를 갖는 편향요크로 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편향요크(37)에 있어서, 코어(44)는 평활한 내면을 갖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코어의 내면에 퍼넬의 중심축을 따라 여러 개의 홈을 형성하고, 이러한 홈에 수직편향 코일의 권선을 배치해도 같은 효과를 갖는 편향요크로 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은 컬러 음극선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음극선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내기압 강도를 구비하고 편향전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는 음극선관을 구성할 수 있다.

Claims (6)

  1.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페이스 패널과, 원통형상 네크와, 상기 네크측의 단에서 상기 페이스 패널방향을 향하여 외형이 서서히 확대하는 콘부 및 콘부의 상기 페이스 패널측 단에서 페이스 패널을 향해 외형이 급격하게 확대하는 퍼넬 본체를 갖고 있고 페이스 패널과 네크 사이를 연장하는 퍼넬을 갖는 진공 외관용기,
    상기 네크 내에 배치되고, 상기 페이스 패널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및
    중공의 자성체 코어와, 이 코어의 내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하는 수평편향 코일 및 수직편향 코일을 갖고 있고, 상기 네크 외부둘레에서 상기 콘부 외부둘레를 따라 장착된 편향요크를 구비하며,
    상기 콘부 외면 및 상기 코어 내면의 관축에 수직인 단면은 상기 패널의 수직축 방향 및 수평축 방향의 사이에서 최대지름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략 직사각형 형상 부분에 있어서 상기 콘부 외면 및 상기 코어 내면의 상기 퍼넬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횡단면은 상기 퍼넬의 중심축을 통해 서로 직교하는 장축 및 단축을 갖고,
    상기 콘부 외면 및 상기 코어 내면의 상기 횡단면은 상기 장축 상에 중심을 갖는 제 1 원호와, 상기 단축상에 중심을 갖는 제 2 원호와, 이러한 제 1, 제 2 원호를 접속하는 제 3 원호로 각각 규정되고, 상기 장축 및 단축의 교점과, 상기 콘부 외면을 규정한 상기 제 3 원호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이 상기 장축과 이루는 각도는 상기 장축 및 단축의 교점과, 상기 코어 내면을 규정한 상기 제 3 원호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이 상기 장축과 이루는 각도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내면은 상기 퍼넬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횡단면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횡단면에 있어서 상기 콘부 외면과, 상기 코어 내면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적어도 한쪽과의 사이에 갭이 불균일하게 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그 내면에 상기 퍼넬의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여러 개의 홈을 갖고, 상기 수직 및 수평편향 코일의 한쪽은 상기 홈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패널은 상기 퍼넬의 중심축을 통해 서로 직교하는 장축 및 단축을 갖고,
    상기 코어 내면의 상기 퍼넬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횡단면은 상기 네크측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패널의 장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지름을 갖고, 상기 페이스 패널측의 단부에서 상기 페이스 패널의 대각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지름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상기 장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퍼넬의 외면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수평편향 코일과, 상기 단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수평편향 코일을 덮도록 상기 퍼넬의 외면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수직편향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부 외면과 상기 코어의 내면과의 사이의 갭을, 패널의 장축 방향의 갭이 패널의 단축 방향의 갭보다 커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19980022641A 1997-06-20 1998-06-17 음극선관 KR100327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63857 1997-06-20
JP16385797A JP3403005B2 (ja) 1997-06-20 1997-06-20 陰極線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39A KR19990007039A (ko) 1999-01-25
KR100327695B1 true KR100327695B1 (ko) 2002-05-09

Family

ID=1578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641A KR100327695B1 (ko) 1997-06-20 1998-06-17 음극선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87767A (ko)
EP (1) EP0886297B1 (ko)
JP (1) JP3403005B2 (ko)
KR (1) KR100327695B1 (ko)
CN (1) CN1165949C (ko)
DE (1) DE69809637T2 (ko)
MY (1) MY118437A (ko)
TW (1) TW4944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200A (ja) * 1997-09-30 1999-04-23 Nec Kansai Ltd カラー陰極線管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981149A4 (en) * 1997-11-14 2006-12-06 Tdk Corp CORE FOR DEVIATION COLLAR AND DEVIATION COLLAR
JP3405675B2 (ja) * 1998-03-16 2003-05-12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JP3376274B2 (ja) * 1998-04-14 2003-02-10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KR100330146B1 (ko) * 1998-09-19 2002-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KR100309764B1 (ko) * 1998-11-10 2002-05-01 김순택 음극선관
KR100300320B1 (ko) * 1998-11-16 2001-11-30 김순택 음극선관_
KR100274239B1 (ko) * 1998-11-24 2001-01-15 김순택 음극선관_
KR100277798B1 (ko) * 1999-01-08 2000-12-15 김순택 음극선관
US6552483B1 (en) * 1999-05-10 2003-04-22 Lg Electronics Inc. Cathode-ray tube having improved yoke mounting part
KR100612582B1 (ko) * 1999-05-12 2006-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극선관
DE19922225C1 (de) * 1999-05-14 2000-11-02 Schott Glas Fernsehtrichter mit abschnittsweise rechteckiger Parabel
WO2002045117A2 (en) * 2000-11-29 2002-06-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icture display device with reduced deflection power
KR100396500B1 (ko) * 2000-12-19 2003-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100404574B1 (ko) * 2001-01-17 2003-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TW553473U (en) 2001-03-16 2003-09-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Yoke ring, deflection unit and cathode ray tube
KR100422038B1 (ko) * 2001-09-10 2004-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EP1265265A3 (en) * 2001-06-09 2002-12-18 Lg Electronics Inc. Deflection yoke in CRT
US6903520B2 (en) 2001-08-01 2005-06-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flection york and CRT device using the deflection york
JP2003086117A (ja) * 2001-09-10 2003-03-20 Sony Corp 偏向ヨーク及び偏向ヨーク用コア
KR100426409B1 (ko) * 2001-11-01 2004-05-03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414485B1 (ko) * 2002-01-28 2004-01-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400836B1 (ko) * 2002-01-28 2003-10-08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WO2005096339A1 (en) * 2004-03-09 2005-10-13 Thomson Licensing Lightweight high deflection angle cathode ray tub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2606731B (zh) * 2011-01-25 2015-08-26 上海唯赛勃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玻璃钢压力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7037A (ja) * 1987-12-14 1989-06-20 Totoku Electric Co Ltd 偏向ヨーク
JPH02215030A (ja) * 1989-02-16 1990-08-28 Toshiba Corp 偏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6750A (en) * 1969-02-28 1974-04-23 Tokyo Shibaura Electric Co Wide angle type cathode-ray tube
FR2033159A5 (ko) * 1969-02-28 1970-11-27 Tokyo Shibaura Electric Co
JPS4834349B1 (ko) * 1969-11-04 1973-10-20
JPS4834349A (ko) * 1971-09-07 1973-05-18
JPS6119032A (ja) * 1984-07-06 1986-01-27 Hitachi Ltd 偏向ヨ−ク
JPS63241843A (ja) * 1987-03-27 1988-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ク
JP2819303B2 (ja) * 1989-05-12 1998-10-30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偏向ヨークコア
JPH0737525A (ja) * 1993-07-20 1995-02-07 Sony Corp 偏向ヨーク
JPH087781A (ja) * 1994-06-23 1996-01-12 Sony Corp 偏向ヨークコア
JP3737191B2 (ja) * 1996-04-26 2006-01-18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用偏向ヨークおよび陰極線管装置
JPH09306388A (ja) * 1996-05-14 1997-11-28 Toshiba Corp 陰極線管
JP3442975B2 (ja) * 1996-09-18 2003-09-02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7037A (ja) * 1987-12-14 1989-06-20 Totoku Electric Co Ltd 偏向ヨーク
JPH02215030A (ja) * 1989-02-16 1990-08-28 Toshiba Corp 偏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949C (zh) 2004-09-08
EP0886297A2 (en) 1998-12-23
EP0886297A3 (en) 1999-06-02
MY118437A (en) 2004-11-30
EP0886297B1 (en) 2002-11-27
KR19990007039A (ko) 1999-01-25
JP3403005B2 (ja) 2003-05-06
DE69809637T2 (de) 2003-07-03
DE69809637D1 (de) 2003-01-09
TW494431B (en) 2002-07-11
JPH1116517A (ja) 1999-01-22
CN1205542A (zh) 1999-01-20
US6087767A (en) 200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695B1 (ko) 음극선관
KR100425622B1 (ko) 음극선관장치
EP0810627B1 (en) Cathode ray tube
JPH09306388A (ja) 陰極線管
KR100323935B1 (ko) 음극선관
KR100469162B1 (ko) 음극선관
KR100495514B1 (ko) 음극선관장치
JPH10154472A (ja) 陰極線管装置
US6307314B1 (en) Cathode ray tube with deflection yoke including non-circular separator
US6404117B1 (en) Cathode-ray tube device comprising a deflection yoke with a non-circular core having specified dimensional relationships
KR100468135B1 (ko) 편향요크 및 이것을 구비한 음극선관장치
KR100605761B1 (ko) 음극선관
KR100667592B1 (ko) 음극선관
KR10041448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US6288481B1 (en) In-line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having burrs and slits in the shield cup
JP4170791B2 (ja) 陰極線管
KR100692043B1 (ko) 음극선관
US7501748B2 (en) CRT funnel section
JPH11273591A (ja) 陰極線管装置
JP2002329467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陰極線管装置
JP2002329466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陰極線管装置
JP2002042692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陰極線管装置
JPH11273590A (ja) 陰極線管装置
JP2002289119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陰極線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