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320B1 - 음극선관_ - Google Patents

음극선관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320B1
KR100300320B1 KR1019980049096A KR19980049096A KR100300320B1 KR 100300320 B1 KR100300320 B1 KR 100300320B1 KR 1019980049096 A KR1019980049096 A KR 1019980049096A KR 19980049096 A KR19980049096 A KR 19980049096A KR 100300320 B1 KR100300320 B1 KR 100300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ity
vertical
curvature
diagonal
tub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2594A (ko
Inventor
이봉우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8004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320B1/ko
Priority to EP99122004A priority patent/EP1006555A1/en
Priority to CNB991243145A priority patent/CN1138298C/zh
Priority to US09/442,063 priority patent/US6653773B1/en
Priority to JP32615299A priority patent/JP4450121B2/ja
Publication of KR2000003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03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 H01J2229/8606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characterised by the shape
    • H01J2229/8609Non circular cross-section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빔경로에 따라 펀넬 콘부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또는 대각방향의 곡률을 최적화하여 형성하므로 편향전력의 최소화하도록, 내면에 스크린이 형성되는 패널과, 패널에 연결되고 외주면 일부에 편향요크가 설치되는 펀넬과, 펀넬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자총이 삽입 설치되는 넥크부를 포함하고,
펀넬은 편향요크가 설치되는 콘부의 형상을 상기 넥크부쪽에서 패널쪽으로 갈수록 점차 원형에서 비원형으로 형성하고,
펀넬 콘부는 대각곡률반경이 수직곡률반경보다 크고 수직곡률반경이 수평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하며, 수평관축편심 및 수직관축편심과 대각관축편심이 모두 넥크시일면을 기준으로 넥크부쪽에 위치하며 수평관축편심이 수직관축편심보다 크고 수직관축편심이 대각관축편심보다 크게 형성하고, 수평방향편심 및 수직방향편심과 대각방향편심이 모두 관축을 기준으로 펀넬의 외면쪽으로 위치하며 대각방향편심이 수직방향편심보다 크고 수직방향편심이 수평방향편심보다 크게 형성하는 음극선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적의 상태로 펀넬의 콘부 형상을 형성하여 편향전력을 최소화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펀넬 외면에 장착되는 편향요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평 및 수직 자계로 스크린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스크린의 형광체에 랜딩되도록 함으로써 화상을 구현하는 전자관이며, 주로 칼라 텔레비젼이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사용되고, 근래에는 스크린의 휘도 향상과 고정세 화상 등의 품위가 향상된 고품위 텔레비젼(HDTV)이나 사무자동화(OA) 기기 등의 모니터와 같이 고급화된 제품에도 적용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음극선관에 있어서 에너지절감 및 에너지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소비전력을 낮출 것이 요구되며, 컴퓨터 등에 근접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의 건강을 위하여 전자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누설자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음극선관에 있어서 최대의 전력소비원인 편향요크의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품위 향상과 제품의 고급화를 위하여 스크린의 휘도를 향상시키고 고정세 화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편향요크의 편향전력을 증대시킬 것이 요구된다.
즉 스크린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전자빔을 가속하는 양극전자를 높여야 하는 데 이에 따라 가속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전력의 증대가 요구되며, 고정세 화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편향주파수를 높여야 하는 데 이 경우에도 편향전력의 증대가 요구된다.
또 음극선관의 길이를 줄여 수상기를 박형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광각도(예를 들면 100°, 110°등) 편향을 행하여야 하는 데, 이는 편향전력을 증대시키거나 편향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현된다.
그러나 편향전력을 증대시키면 누설자계 및 소비전력의 상승 등이 문제로 제기되므로, 동일한 편향전력을 유지하거나 저감하면서도 스크린의 휘도를 향상시키고 고정세 화상을 실현하며 광각도 편향을 행할 수 있도록 편향감도 및 편향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음극선관의 넥크부 지름과 펀넬의 넥크부측 외경을 작게형성하여 편향요크를 전자빔에 근접하게 위치시켜 전자빔에 대한 편향요크의 편향감도 및 편향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을 음극선관에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스크린의 코너부위에 도달될 전자빔이 펀넬의 넥크부측 내벽에 충돌하는 비에스엔(BSN;beam shadow neck) 현상이 발생하여 양호한 화상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편향요크가 장착되는 펀넬의 콘(cone)부 외주 형상을 넥크부측에서 패널측으로 갈수록 전자빔이 편향되어 진행하는 궤적(전자빔은 편향요크의 자계에 의해서 원운동과 유사한 운동을 한다)과 유사하게 원형에서 타원 또는 장방형으로 변하도록 형성하여, 이 부위(편향요크가 장착되는 콘부)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하여 편향요크를 전자빔에 근접하여 위치시키므로 편향감도 및 편향효율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편향전력의 저감화와 전자빔의 충돌 방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음극선관을 구성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빔경로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었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관축에 따라서 어떤 형상으로 장방형을 유지할 것인가에 대한 설계가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경험적으로 또는 실험적으로 펀넬 콘부의 형상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편향전력을 최소화시킬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최근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발달로 빔경로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가능하여 빔경로에 따른 최적의 펀넬 콘부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펀넬 콘부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또는 대각방향의 곡률을 최적화하여 형성하므로 편향전력의 최소화를 이룬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극선관은 내면에 스크린이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연결되고 외주면 일부에 편향요크가 설치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자총이 삽입 설치되는 넥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펀넬은 편향요크가 설치되는 콘부의 형상을 상기 넥크부쪽에서 패널쪽으로 갈수록 점차 원형에서 비원형으로 형성하고,
또 상기 펀넬 콘부는 관축을 지나는 단축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콘부 곡률을 수평곡률, 관축을 지나는 장축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콘부 곡률을 수직곡률, 관축을 지나는 대각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콘부 곡률을 대각곡률이라 할 때, 대각곡률반경이 수직곡률반경보다 크고, 수직곡률반경이 수평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상기에서 수평곡률과 수직곡률 및 대각곡률은 넥크시일면과 변곡지점 사이에서 원호의 형상을 형성하며, 수평곡률에 의한 원호의 중심이 관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평관축편심, 수직곡률에 의한 원호의 중심이 관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직관축편심, 대각곡률에 의한 원호의 중심이 관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대각관축편심이라 할 때, 수평관축편심 및 수직관축편심과 대각관축편심이 모두 넥크시일면을 기준으로 넥크부쪽으로 위치하며, 수평관축편심이 수직관축편심보다 크고, 수직관축편심이 대각관축편심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 수평곡률에 의한 원호의 중심이 수평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평방향편심, 수직곡률에 의한 원호의 중심이 수직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직방향편심, 대각곡률에 의한 원호의 중심이 대각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대각방향편심이라 할 때, 수평방향편심 및 수직방향편심과 대각방향편심이 모두 관축을 기준으로 펀넬의 외면쪽으로 위치하며, 대각방향편심이 수직방향편심보다 크고, 수직방향편심이 수평방향편심보다 크게 형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패널과 펀넬 및 넥크부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펀넬 콘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 2의 E-E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각 원호의 중심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펀넬 콘부의 수평곡률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형성한 상태와 실제 측정한 값을 나타내는 도 3의 F-F 단면에 대응하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펀넬 콘부의 수직곡률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형성한 상태와 실제 측정한 값을 나타내는 도 3의 G-G 단면에 대응하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펀넬 콘부의 대각곡률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형성한 상태와 실제 측정한 값을 나타내는 도 3의 J-J 단면에 대응하는 그래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일실시예는 내면에 스크린(3)이 형성되는 패널(2)과, 상기 패널(2)에 연결되고 외주면 일부에 편향요크(4)가 설치되는 펀넬(10)과, 상기 펀넬(10)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자총(6)이 삽입 설치되는 넥크부(8)를 포함하고,
상기 펀넬(10)은 편향요크(4)가 설치되는 콘부(14)의 형상을 상기 넥크부(8)쪽에서 패널(2)쪽으로 갈수록 점차 원형에서 비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펀넬(10)의 콘부(14)는 관축(Z축)을 지나는 단축(Y축)방향의 평면(Y-Z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콘부(14) 곡률을 수평곡률, 관축(Z축)을 지나는 장축(X축)방향의 평면(X-Z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콘부(14) 곡률을 수직곡률, 관축(Z축)을 지나는 대각방향의 평면(D-Z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콘부(14) 곡률을 대각곡률이라 할 때, 대각곡률반경(Rd)이 수직곡률반경(Rv)보다 크고, 수직곡률반경(Rv)이 수평곡률반경(Rh)보다 크게 형성한다.
상기에서 수평곡률반경(Rh)은 상기한 수평곡률로 이루어지는 원호의 반지름이고, 수직곡률반경(Rv)은 상기한 수직곡률로 이루어지는 원호의 반지름이며, 대각곡률반경(Rd)은 상기한 대각곡률로 이루어지는 원호의 반지름이다.
즉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펀넬(10)의 콘부(14)를 형성한다.
Rh < Rv < Rd
따라서 상기한 펀넬(10)의 콘부(14)는 Y-Z 평면과 X-Z 평면 및 D-Z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각각 상기한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수평곡률반경(Rh)과 수직곡률반경(Rv) 및 대각곡률반경(Rd)을 가지고 상기한 넥크부(8)와 연결되는 넥크시일면(16)과 변곡지점(TOR) 사이에서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변곡지점(TOR; top of round)은 펀넬(10) 내면이 패널(2)과 연결되는 패널시일면(12)으로부터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넥크부(8)와 연결되는 넥크시일면(16)으로부터는 볼록하게 형성되는데,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과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분이 연결되는 지점의 X-Y 평면을 가리킨다.
여기서 상기한 펀넬(10)의 콘부(14)는 Y-Z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수평곡률반경(Rh)으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관축(Z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평관축편심이라 하고, X-Z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수직곡률반경(Rv)으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관축(Z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직관축편심이라 하며, D-Z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대각곡률반경(Rd)으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관축(Z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대각관축편심이라 정의하며, 수평관축편심 및 수직관축편심과 대각관축편심이 넥크시일면(16)을 기준면으로 하고 패널(2)쪽을 양의 방향으로 하면 모두 음수이며, 수평관축편심이 수직관축편심보다 크고, 수직관축편심이 대각관축편심보다 크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각 곡률반경(R)으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C)이 관축(Z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인 관축편심(A)은 넥크시일면(16)을 기준면으로 하면 네크부(8)쪽 (도면에서 넥크시일면의 왼쪽)에 위치하고, 각 관축편심(A)은 넥크시일면(16)으로부터 원호의 중심(C)까지의 거리이다.
즉 다음의 수학식 2와 수학식 3을 만족하도록 펀넬(10)의 콘부(14)를 형성한다.
Ah < 0, Av < 0, Ad < 0
Ah > Av > Ad
그리고 상기한 펀넬(10)의 콘부(14)는 Y-Z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수평곡률반경(Rh)으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수평(X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평방향편심, X-Z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수직곡률반경(Rv)으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수직(Y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직방향편심, D-Z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대각곡률반경(Rd)으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대각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대각방향편심이라 정의하고, 수평방향편심 및 수직방향편심과 대각방향편심이 관축(Z축)을 기준선으로 하고 펀넬(10)의 외면쪽을 양의 방향으로 하면 모두 양수이며, 대각방향편심이 수직방향편심보다 크고, 수직방향편심이 수평방향편심보다 크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각 곡률반경(R)으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C)이 수평이나 수직 또는 대각 방향으로 편심된 양인 방향편심(B)은 관축(Z축)을 기준선으로 하면 펀넬(10)의 외면쪽(도면에서 관축의 위쪽)에 위치하고, 각 방향편심(B)은 관축(Z축)으로부터 원호의 중심(C)까지의 거리이다.
위에서 정의된 수평관축 편심은 Ah, 수직관축편심은 Av, 대각관축편심은 Ad로 표기하고, 수평방향편심은 Bh, 수직방향편심은 Bv, 대각방향편심은 Bd로 표기하여 도5,6,7에 부기하고 있다.
즉 다음의 수학식 4와 수학식 5을 만족하도록 펀넬(10)의 콘부(14)를 형성한다.
Bh > 0, Bv > 0, Bd > 0
Bh < Bv < Bd
또 상기한 펀넬(10)의 콘부(14)를 상기한 넥크부(8)와 연결되는 넥크시일면(16)과 변곡지점(TOR) 사이에서 Y-Z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다음의 수학식 6을 만족하는 수평곡률반경(Rh)을 가지는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θ는 전자빔의 편향각을 나타내고, s는 전자빔의 이격거리를 나타내며, θ의 단위는 도(°)이고, s의 단위는 밀리미터(㎜)이다.
또 상기한 전자빔의 이격거리(s)는 인라인형(in-line type) 전자총(6)에서 적색(R)과 녹색(G) 및 청색(B)에 대응하는 전자빔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즉 적색(R)에 대응하는 전자빔의 중심과 녹색(G)에 대응하는 전자빔의 중심 사이의 간격 및 녹색(G)에 대응하는 전자빔의 중심과 청색(B)에 대응하는 전자빔의 중심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한 펀넬(10)의 콘부(14)를 상기한 넥크부(8)와 연결되는 넥크시일면(16)과 변곡지점(TOR) 사이에서 X-Z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다음의 수학식 7을 만족하는 수직곡률반경(Rv)을 가지는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 상기한 펀넬(10)의 콘부(14)를 상기한 넥크부(8)와 연결되는 넥크시일면(16)과 변곡지점(TOR) 사이에서 D-Z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다음의 수학식 8을 만족하는 대각곡률반경(Rd)을 가지는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도 5∼도 7에는 편향각(θ)이 100°이고, 전자빔의 이격거리(s)가 5.6㎜인 19인치 음극선관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전자빔의 경로에 대한 최적의 형상으로 해석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에는 수평곡률반경(Rh)으로 이루어지는 펀넬 콘부의 원호형상을 나타내고, 도 6에는 수직곡률반경(Rv)으로 이루어지는 펀넬 콘부의 원호형상을 나타내며, 도 7에는 대각곡률반경(Rd)으로 이루어지는 펀넬 콘부의 원호형상을 나타낸다.
상기한 도 5∼도 7에는 펀넬(10) 콘부(14)의 한쪽부분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반대쪽부분이나 다른쪽부분도 관축(Z축)을 중심으로 각각 대칭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 가능하다.
또 상기한 도 5∼도 7에 있어서, 일점쇄선(30), (31), (32)은 각각 수평곡률반경(Rh)과 수직곡률반경(Rv) 및 대각곡률반경(Rd)의 반지름을 갖고 중심이 넥크시일면(16)으로부터 각각 수평관축편심(Ah)과 수직관축편심(Av) 및 대각관축편심(Ad)만큼 편심되고 관축(Z축)으로부터 각각 수평방향편심(Bh)과 수직방향편심(Bv) 및 대각방향편심(Bd)만큼 편심된 원호를 나타내고, 사각점을 연결한 곡선(33), (34), (36)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따라 제작한 음극선관을 넥크시일면(16)으로부터 1㎜간격으로 나누어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음극선관이 최적화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측정점에서의 실제값이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최적상태의 원호로부터 2㎜ 이내의 값을 유지하고, 각 측정점의 실제값과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최적상태의 원호와의 차이를 모두 합한 값이 5㎜ 이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수평관축편심(Ah), 수직관축편심(Av), 대각관축편심(Ad), 수평방향편심(Bh), 수직방향편심(Bv), 대각방향편심(Bd), 수평곡률반경(Rh), 수직곡률반경(Rv), 대각곡률반경(Rd)의 값을 다음의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구분 h v d
A -8.05±1.23 -23.95±1.50 -49.76±2.08
B 89.22±1.76 99.96±1.69 120.92±2.07
R 75.25±2.05 89.69±2.18 119.05±2.87
상기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관축편심(Ah)과 수직관축편심(Av) 및 대각관축편심(Ad)은 모두 음수의 값을 나타내며, 이는 도 5∼도 7에 있어서 각 원호의 중심이 기준면인 넥크시일면(16)의 왼쪽에 위치함을 나타내고, 수평관축편심(Ah)과 수직관축편심(Av) 및 대각관축편심(Ad)의 절대값은 각각 원호의 중심이 기준면인 넥크시일면(16)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나타낸다.
또 상기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편심(Bh)과 수직방향편심(Bv) 및 대각방향편심(Bd)은 모두 양수의 값을 나타내며, 이는 도 5∼도 7에 있어서 각 원호의 중심이 기준선인 관축(Z축)의 위쪽에 위치함을 나타내고, 수평방향편심(Bh)과 수직방향편심(Bv) 및 대각방향편심(Bd)의 절대값은 각각 원호의 중심이 기준선인 관축(Z축)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 의하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도입하여 전자빔의 경로를 해석하여 최적의 곡률로 펀넬의 콘부를 형성하므로 편향전력의 최소화와 편향효율의 최대화를 이룰 수 있다.

Claims (3)

  1. 내면에 스크린이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연결되고 외주면 일부에 편향요크가 설치되는 펀넬과, 상기 펀넬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자총이 삽입 설치되는 넥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펀넬은 편향요크가 설치되는 콘부의 형상을 상기 넥크부쪽에서 패널쪽으로 갈수록 점차 원형에서 비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펀넬의 콘부를 관축을 지나는 단축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콘부 곡률을 수평곡률, 관축을 지나는 장축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콘부 곡률을 수직곡률, 관축을 지나는 대각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콘부 곡률을 대각곡률이라 할 때, 대각곡률반경이 수직곡률반경보다 크고, 수직곡률반경이 수평곡률반경보다 크며,
    상기 수평곡률의 반경은 ,
    상기 수직곡률의 반경은 ,
    상기 대각곡률의 인 음극선관.
    상기에서 Rh는 수평곡률반경, Rv는 수직곡률반경, Rd는 대각곡률반경을 나타내고, θ는 전자빔의 편향각을 나타내며, s는 전자빔의 이격거리를 나타내고, θ의 단위는 도(°)이며, s의 단위는 밀리미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펀넬의 콘부를 단축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수평곡률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관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평관축편심, 장축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수직곡률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관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직관축편심, 대각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대각곡률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관축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대각관축편심이라 할 때, 수평관축편심 및 수직관축편심과 대각관축편심이 모두 넥크시일면을 기준으로 넥크부쪽으로 위치하며, 수평관축편심이 수직관축편심보다 크고, 수직관축편심이 대각관축편심보다 크게 형성하는 음극선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펀넬의 콘부를 단축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수평곡률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수평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평방향편심, 장축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수직곡률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수직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수직방향편심, 대각방향의 평면으로 잘랐을 때에 대각곡률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심이 대각방향으로 편심된 양을 대각방향편심이라 할 때, 수평방향편심 및 수직방향편심과 대각방향편심이 모두 관축을 기준으로 펀넬의 외면쪽으로 위치하며, 대각방향편심이 수직방향편심보다 크고, 수직방향편심이 수평방향편심보다 크게 형성하는 음극선관.
KR1019980049096A 1998-11-16 1998-11-16 음극선관_ KR100300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096A KR100300320B1 (ko) 1998-11-16 1998-11-16 음극선관_
EP99122004A EP1006555A1 (en) 1998-11-16 1999-11-11 Cathode ray tube
CNB991243145A CN1138298C (zh) 1998-11-16 1999-11-15 阴极射线管
US09/442,063 US6653773B1 (en) 1998-11-16 1999-11-16 Cathode ray tube having enhanced electron beam deflection efficiency
JP32615299A JP4450121B2 (ja) 1998-11-16 1999-11-16 陰極線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096A KR100300320B1 (ko) 1998-11-16 1998-11-16 음극선관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594A KR20000032594A (ko) 2000-06-15
KR100300320B1 true KR100300320B1 (ko) 2001-11-30

Family

ID=1955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096A KR100300320B1 (ko) 1998-11-16 1998-11-16 음극선관_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53773B1 (ko)
EP (1) EP1006555A1 (ko)
JP (1) JP4450121B2 (ko)
KR (1) KR100300320B1 (ko)
CN (1) CN113829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662B1 (ko) * 2002-05-10 2004-09-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683A (ko) * 2001-04-28 2002-11-04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역곡률형상의 펀넬을 지니는 음극선관
JP2006079939A (ja) * 2004-09-09 2006-03-23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陰極線管
CN1319109C (zh) * 2005-02-06 2007-05-30 河南安彩高科股份有限公司 用于阴极射线管的扁平玻锥
US9157453B2 (en) * 2011-08-23 2015-10-13 Ctb, Inc. Plastic fan shroud and cone assembly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92A (ja) * 1994-06-20 1996-01-12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
JPH09306388A (ja) * 1996-05-14 1997-11-28 Toshiba Corp 陰極線管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0345A (en) * 1970-06-08 1973-03-13 Owens Illinois Inc Television bulb with improved strength
US5258688A (en) * 1992-04-21 1993-11-02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RI funnel with concave diagonals
JP3415361B2 (ja) 1996-05-28 2003-06-09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
JP3442975B2 (ja) * 1996-09-18 2003-09-02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TW394967B (en) * 1996-09-30 2000-06-21 Toshiba Corp Kinescope
JP3403005B2 (ja) * 1997-06-20 2003-05-06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装置
KR100330146B1 (ko) * 1998-09-19 2002-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KR100307158B1 (ko) * 1998-09-19 2001-11-15 김순택 음극선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92A (ja) * 1994-06-20 1996-01-12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
JPH09306388A (ja) * 1996-05-14 1997-11-28 Toshiba Corp 陰極線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662B1 (ko) * 2002-05-10 2004-09-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56180A (ja) 2000-06-06
CN1138298C (zh) 2004-02-11
EP1006555A1 (en) 2000-06-07
CN1255727A (zh) 2000-06-07
KR20000032594A (ko) 2000-06-15
US6653773B1 (en) 2003-11-25
JP4450121B2 (ja)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2964A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EP0886297B1 (en) Cathode ray tube
US6359379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funnel with flute sections
EP0810627A2 (en) Cathode ray tube
KR100323935B1 (ko) 음극선관
KR100300320B1 (ko) 음극선관_
KR100309763B1 (ko) 음극선관_
KR100330146B1 (ko) 음극선관
JPH10154472A (ja) 陰極線管装置
EP0989582A1 (en) Cathode-ray tube
KR100307158B1 (ko) 음극선관
KR100330147B1 (ko) 음극선관
JPH11265666A (ja) 陰極線管装置
KR100605761B1 (ko) 음극선관
KR20000033685A (ko) 음극선관
KR100605759B1 (ko) 음극선관
KR20000073544A (ko) 음극선관
KR100667592B1 (ko) 음극선관
KR200254836Y1 (ko) 음극선관
KR100692043B1 (ko) 음극선관
US7501748B2 (en) CRT funnel section
EP1381072A2 (en) Color cathode-ray tube
KR200235775Y1 (ko) 음극선관
KR20040105936A (ko) 음극선관
KR20010036055A (ko)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