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102B1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102B1
KR100730102B1 KR1020010000027A KR20010000027A KR100730102B1 KR 100730102 B1 KR100730102 B1 KR 100730102B1 KR 1020010000027 A KR1020010000027 A KR 1020010000027A KR 20010000027 A KR20010000027 A KR 20010000027A KR 100730102 B1 KR100730102 B1 KR 10073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neck portion
ray tube
cathode ray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7586A (ko
Inventor
이규홍
하재영
임동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102B1/ko
Priority to US10/023,798 priority patent/US6825605B2/en
Publication of KR2002005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5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0Leading-in arrangements; Se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패널로부터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봉착된 펀넬과; 전자총 수용영역의 외경을 D1, 외부회로로부터 신호전압을 도입하는 스템핀을 고리모양으로 관통시켜 세운 스템이 봉입되는 스템 봉입영역의 외경을 D2라 할 때, 펀넬과 연결되며 D1은 22.5mm±0.7mm이고, D2는 D1〈 D2 ≤ 24.0mm인 네크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Description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음극선관의 네크부와 스템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음극선관의 네크부와 스템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네크부와 스템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200, 300...네크부 40, 400, 500...스템
41, 81...스템 플렌지 42, 82...스템 핀
43, 63, 83...스템 마운드 44, 84...배기관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큰 직경을 가진 스템이 봉입되기 용이하도록 네크부의 스템 봉입영역의 직경이 확대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종래의 음극선관(100)은 내면에 형광체를 도포해서 이루어진 형광막(1) 및 상기 형광막(1)에 근접해서 섀도우 마스크(2)가 설치된 패널(10)과, 상기 패널(10)로부터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봉착된 펀넬(20)과, 상기 펀넬(20)과 연결되어 있는 네크부(30)와, 상기 네크부(30)에 수용한 전자총(31)을 유지하며 네크부의 개방단부(30a)에 녹여 붙여진 스템(40)을 포함한다. 상기 스템(40)은 직경이 상기 네크부(30)의 스템 봉입영역(30b)의 내경보다 작은 편평한 원반형상의 스템 플랜지(41)와, 상기 스템 플랜지(41)상에 관통시켜 세워서 원형으로 배열하여 외부회로로부터 신호전압을 도입하는 스템핀(42)과, 상기 스템(40)의 재질인 유리재로 볼록하게 쌓아올려 상기 스템핀(42)을 유지하며 진공이 뚫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템 마운드(43)와, 상기 스템 플랜지(4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음극선관(100)을 진공으로 만들어 주는 배기관(4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펀넬(20)과 네크부(30)의 천이영역에는 편향요크(50)가 설치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총(31)으로부터 발사되는 복수개의 전자빔을 수평과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형광막(1)위에 눈으로 볼 수 있는 화상을 재생한다.
상기 음극선관(100)에서 편향요크(50)가 전자총(31)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편향시켜 주기 위해서는 상기 편향요크(50)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야 하는데, 상기 전류는 상기 네크부(30)의 직경이 작을수록 적게 소모되므로 소비전력의 절감을 위해서는 상기 네크부(30)의 직경을 작게 할 필요가 있고 이럴 경우 그에 맞도록 스템(40)의 형상 및 치수가 적절히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최근의 음극선관의 패널이 평면화가 되고 다이내믹 포커스 변조도 증가하는 경향에 있으므로 전자총의 포커스 전극에 인가되는 전위가 높아지는 경향에 있다. 이 경우에 내전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전압 스템핀의 좌우에 1개씩의 공핀을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스템핀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스템핀이 형성하는 스템핀 서클이 큰 스템을 제조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칭직경 29.1mm인 네크부를 가지는 음극선관보다 공칭직경 22.5mm인 가느다란 네크부를 가지는 저편향력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상기 스템핀 서클이 큰 스템을 녹여 붙이는 것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템 플랜지(41)를 네크부의 단부(30a)에 녹여 붙인 연결부(30d)와 아주 가까운 곳에 상기 스템 마운드(43)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스템 플랜지(41)와 네크부와의 연결부(30d)에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음극선관의 네크부(200)가 미국 특허 제6,078,13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음극선관의 네크부(200)는 스템핀(62)의 전자총 유지측의 기초부의 주위에 스템(400)과 일체의 유리재질을 볼록하게 쌓아 올려 형성한 스템 마운드(63)를 가지고, 네크부(200)의 중심축(A)으로부터 네크부의 전자총(61)의 주요부를 수납하는 영역의 내벽까지의 거리를 제1거리 R1, 스템 마운드(63)의 관축 방향의 높이(H)의 1/2의 높이의 위치에서 측정된 네크부의 중심축(A)으로부터 스템 마운드(63)의 바깥측면까지의 거리를 제2거리 R2, 네크부(200)의 내벽으로부터 네크부의 중심축(A)까지의 거리를 제3거리라 정의한 경우, 스템(400)과 네크부(200)의 녹여 붙인 부분의 부근을 제외하고, 적어도 스템 마운드(63)에 대면하는 네크부영역에 있어서는, 제3거리가 제1거리 R1보다 작지 않으며, 제1거리 R1과 제2거리 R2와는 0〈 R1-R2〈 2.1mm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템핀 서클이 큰 스템을 저편향력 음극선관의 가는 네크부에 녹여 붙이기 용이하도록 네크부의 스템 봉입영역의 직경이 확대된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로부터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봉착된 펀넬과; 전자총 수용영역의 외경을 D1, 외부회로로부터 신호전압을 도입하는 스템핀을 고리모양으로 관통시켜 세운 스템이 봉입되는 스템 봉입영역의 외경을 D2라 할 때, 상기 펀넬과 연결되며 상기 D1은 22.5mm±0.7mm이고, 상기 D2는 D1〈 D2 ≤ 24.0mm인 네크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크부의 단부에 플레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네크부(300)는 전자총(미도시)이 수용되는 전자총 수용영역(300c)의 직경과 상기 스템(500)이 봉입되는 스템 봉입영역(300b)의 직경을 다르게 형성한다. 이는 가는 네크부(300)를 가지는 저편향력 음극선관에 큰 스템핀 서클을 가지는 스템(500)을 봉입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네크부의 전자총 수용영역(300c)의 외경을 D1, 상기 네크부의 스템 봉입영역(300b)의 외경을 D2라 할 때, 상기 D1은 22.5mm±0.7mm로 형성하고, 상기 D2는 D1〈 D2 ≤ 24.0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크부에 봉입되는 스템(500)은 직경이 상기 네크부의 스템 봉입영역(300b)의 내경보다 작은 편평한 원반형상의 스템 플랜지(81)와, 상기 스템 플랜지(81)상에 고리모양으로 관통시켜 세워서 외부회로로부터 신호전압을 도입하는 스템핀(82)과, 상기 스템(500)의 유리재로 볼록하게 쌓아올려 상기 스템핀(82)을 유지하며 진공이 뚫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템 마운드(83)와, 상기 스템 플랜지(8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음극선관을 진공으로 만들어 주는 배기관(84)을 포함한다. 상기 스템(500)은 일반적으로 유리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템(500)이 봉입되는 네크부의 개방단부(300a)에서는 유리재가 바깥쪽으로 소정각도로 굴곡된 플레어 형상을 가지는 플레어부(8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네크부의 스템 봉입영역(300b)의 내경에 상기 스템(500)이 인입되어 봉입되는 경우 인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템 플랜지의 가장자리(81a)와 네크부의 연결부(300d)가 융착되기 쉽도록 한다. 융착된 후에 플레어부(85)는 절단된다.
상기 스템핀(82)이 형성하는 스템핀 서클의 직경을 D3, 상기 스템 마운드(83)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형성하는 스템 마운드 서클의 직경을 D4, 상기 스템 플랜지(81)의 직경을 D5, 상기 네크부의 스템 봉입영역(300b)의 내경을 D6라 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극선관에 사용된 가는 네크부(300)와 큰 직경 스템(500)의 기계적 데이터를 종래 기술에 의한 음극선관의 경우와 비교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종래기술1 종래기술2 본 발명의 실시예
D3[mm] 12.0 12.0 13.4 14.0 14.7
D4[mm] 14.8 14.8 16.2 16.8 17.5
D5[mm] 16.8 16.8 18.2 18.8 18.5
D6[mm] 17.2 18.4 20.0 20.0 20.0
D5-D4[mm] 2.0 2.0 2.0 2.0 1.0
D6-D5[mm] 0.4 1.6 1.8 1.2 1.5
D6-D4[mm] 2.4 3.6 3.8 3.2 2.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과 같이 상기 스템핀 서클의 직경(D3)이 확대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13.4mm, 14.0mm, 14.7mm)에서 상기 네크부(300)의 스템 봉입영역의 내경(D6)은 20.0mm이하까지 확대가 가능하다. 이는 D5-D4가 1.0≤ D5-D4 ≤2.0이고, D6-D4가 2.0mm이상 되도록 형성되어야 상기 스템 플랜지(81)상의 스템 마운드(83)와 상기 네크부의 스템 봉입영역의 내경(D6)사이에 적정한 거리가 생기므로 봉입시 발생하는 크랙이 방지되고 공압처리시 내전압이 향상된다. 따라서, 네크부(300)의 유리재의 두께(B)는 약 2mm이므로, 상기 네크부의 스템 봉입영역의 외경(D2)은 24.0mm이하까지 확대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가는 네크부의 스템 봉입영역의 직경을 확대함으로써 스템핀 서클이 큰 스템을 저편향력 음극선관의 가는 네크부에 녹여 붙이기 용이하게 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템 플랜지상의 스템 마운드와 상기 네크부의 연결부와의 거리를 멀리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에 발생하는 크랙이 방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로부터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봉착된 펀넬과;
    전자총 수용영역의 외경을 D1, 외부회로로부터 신호전압을 도입하는 스템핀을 고리모양으로 관통시켜 세운 스템이 봉입되는 스템 봉입영역의 외경을 D2라 할 때, 상기 펀넬과 연결되며 상기 D1은 22.5mm±0.7mm이고, 상기 D2는 D1〈 D2 ≤ 24.0mm인 네크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단부에 플레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스템 봉입영역의 내경에 상기 스템이 인입되어 봉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20010000027A 2001-01-02 2001-01-02 음극선관 KR100730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027A KR100730102B1 (ko) 2001-01-02 2001-01-02 음극선관
US10/023,798 US6825605B2 (en) 2001-01-02 2001-12-21 Neck of funnel and stern sealed to neck of cathode ray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027A KR100730102B1 (ko) 2001-01-02 2001-01-02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586A KR20020057586A (ko) 2002-07-12
KR100730102B1 true KR100730102B1 (ko) 2007-06-19

Family

ID=2769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027A KR100730102B1 (ko) 2001-01-02 2001-01-02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1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858A (ko) * 1997-01-16 1998-10-26 구자홍 칼라 음극선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858A (ko) * 1997-01-16 1998-10-26 구자홍 칼라 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586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6161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small-diameter neck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0243796B1 (ko) 큰 스템핀써클을 지닌 가는 넥부를 구비한 음극선관
KR100730102B1 (ko) 음극선관
KR100495514B1 (ko) 음극선관장치
US3728573A (en) Leakage inhibiting shield
US6462466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mall neck diameter and large stem pin circle having sufficient number of conductive lead pin segments
KR20030072934A (ko) 음극선관용 펀넬구조
KR20020090832A (ko) 직경이 다른 네크를 갖는 투사형 브라운관
KR100431041B1 (ko) 브라운관
US6825605B2 (en) Neck of funnel and stern sealed to neck of cathode ray tube
US6677701B2 (en) Stem for cathode ray tube
JP2000057975A (ja) 陰極線管
US6455999B1 (en) Color picture tube
KR100751307B1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JP2002298763A (ja) 陰極線管用ベース及び陰極線管
JPH08255581A (ja) 陰極線管装置
KR19990009530U (ko) 칼라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구조
JP2000195445A (ja) 陰極線管およびそのステムベ―ス
KR10046428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94601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구조
JPH0883582A (ja)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81823A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JPH08255582A (ja) 陰極線管
JP2001015051A (ja) 陰極線管
JPH08222147A (ja) 陰極線管用電子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