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041B1 - 브라운관 - Google Patents

브라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041B1
KR100431041B1 KR10-2001-0050829A KR20010050829A KR100431041B1 KR 100431041 B1 KR100431041 B1 KR 100431041B1 KR 20010050829 A KR20010050829 A KR 20010050829A KR 100431041 B1 KR100431041 B1 KR 100431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diameter
crt
final electr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876A (ko
Inventor
스즈끼노부유끼
아오끼고따로오
사이또고오이찌
시라이쇼오지
Original Assignee
히다찌 일렉트로닉 디바이시즈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일렉트로닉 디바이시즈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히다찌 일렉트로닉 디바이시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03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프로젝션 TV 또는 프로젝터에 사용되고, 고전압이면서 또한 단일 전자빔 고전류로 동작하는 프로젝션용 브라운관을 낮은 편향 전력으로 높은 포커스 성능을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편향 요크를 장착하는 부분의 네크 직경은 전자총을 수납하는 부분의 네크 외경보다도 작으며, 전자총의 최종 전극은 형광면을 향해서는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며, 프로젝션용 브라운관의 최고 양극 전압은 25 kV 이상이고, 최고 빔 전류는 4 mA 이상이다.

Description

브라운관 {Cathode-ray tube}
본 발명은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커스 성능을 향상시킨 브라운관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의 화상은 전자총으로부터의 전자빔을 편향 요크에 의해 주사함으로써 얻게 된다. 편향 요크는 네크와 깔때기부의 접속부 부근에 설치된다. 편향 감도는 네크 외경이 작을수록 향상된다. 편향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네크 외경을 작게 하면, 네크부 내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총도 작게 해야만 한다. 전자총을 작게 하면 전자 렌즈 직경이 작아져 포커스가 열화한다. 즉, 편향 감도와 포커스 성능은 상반되는 관계에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USP 3,163,794가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브라운관의 네크 외경을 편향 요크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전자총이 수납되는 부분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편향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브라운관의 최고 동작 전압은 16 kV이다. 그러나, 이러한 브라운관은 아직 실용화되어 있지 않다. 이 원인으로서, 최고 전압이 낮으므로 편향 전력 저감의 이점이 작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편향 요크의 관축방향의 거리는 일정한 치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브라운관에서 네크 외경을 2 단계로 하면, 통상은 기계적 제약으로부터 전자총의 위치가 형광면으로부터 보다 멀어진다. 이에 의해, 브라운관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거나 포커스 성능이 열화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컬러 브라운관에 대해서도 네크 외경을 편향 요크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전자총이 수납되는 부분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편향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일본 특허 공개 평11-185660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브라운관도 아직 실용화되어 있지 않다. 이 원인으로서 다음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즉, 컬러 브라운관에서는 인라인으로 배치된 3개의 전자빔을 발생시키지만, 양 사이드의 전자빔이 축소된 네크 부분에서 네크관 내벽에 접근하여 전자빔이 네크관 내벽에 조사 충돌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네크 직경 축소의 비율을 크게 취할 수 없어 효과도 매우 작은 것이 된다.
25 kV 이상의 고전압, 단일 전자빔, 대전류로 동작하는 프로젝션 TV용 브라운관(PRT)에 있어서, 편향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네크 외경을 작게 하면, 네크부 내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총도 작게 해야만 한다. 전자총을 작게 하면 전자 렌즈 직경이 작아져 포커스가 열화한다.
도1은 본 발명의 PRT의 단면도.
도2는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
도3은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
도4는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
도5는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
도6은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
도7은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
도8은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
도9는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
도10은 본 발명의 PRT의 스템부의 평면도.
도11은 통상의 36.5 ㎜ 네크인 경우의 스템부의 평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PRT에 편향 요크, 컨버전스 요크, 속도 변조 코일이 실장된 단면도.
도13은 프로젝션 TV의 평면 구성의 개념도.
도14는 프로젝션 TV의 개략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부
2 : 깔때기부
3 : 네크부
4 : 전자총을 수납하는 네크부
5 : 핀
6 : 전자총
61 : 제1 그리드
62 : 가속 전극
63 : 제1 양극
64 : 포커스 전극
65 : 제2 양극
66 : 실드컵
7 : 편향 요크
8 : 컨버전스 요크
9 : 속도 변조 코일
본 발명은 25 kV 이상의 고전압, 단일 전자빔, 대전류로 동작하는 프로젝션 TV 용 브라운관(PRT)에 있어서, 편향 요크를 설치하는 부분의 네크 외경을 전자총을 수납하는 부분의 네크 외경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편향 전력의 삭감과 포커스 성능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PRT에 있어서는, (1) 고전압으로 동작하고, (2) 주사선이 통상 TV의 2 내지 3배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3) 프로젝션 TV에서는 3개의 PRT를 사용하는 등으로 인해, 편향 전력 절감의 효과는 통상의 브라운관에 비하여 매우 크다. 또한, PRT에서는 전자빔의 반발에 의한 전자빔의 확대에 의한 열화보다도 전자 렌즈의 구경을 크게 함에 따른 구면수차의 개선이 지배적이다. 즉, PRT에 있어서는 네크 직경을 다르게 함으로써, 전자총이 형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영향보다도 전자총의 렌즈 구경을 크게 하는 영향 쪽이 크다. 따라서, PRT를 요건으로 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매우 크다.
본 발명의 전자총은 형광면과 전자총의 주렌즈와의 거리를 크게 하지 않으므로, 전자총의 최종 전극을 대경인 원통부와 소경인 원통부와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부분으로 형성하고, 최종 전극의 직경이 큰 원통부는 네크의 직경이 큰 부분에 설치하고, 최종 전극의 직경이 작은 원통부는 네크의 직경이 작은 부분에 존재한다.
도1은 본 발명의 PRT의 개략 단면도이다. PRT에는 단색의 화상이 형성된다. 전자빔은 1개뿐이다. 패널(1)의 내측에는 형광면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1)은 외면이 편평하고, 내면은 전자총측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볼록 렌즈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의 내면은 구면이며, 곡률 반경(R)은 350 ㎜이다. 수차를 저감하기 위해 내면을 비구면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패널 중앙의 두께(T0)는 14.1 ㎜이다. 패널의 대각 외경은 7 인치이며, 화상이 형성되는 유효 대각 직경은 5.5 인치이다. PRT의 전체 길이(L1)는 276 ㎜이다. 깔때기부(2)는 네크부(3)와 패널을 접속하고 있다.
네크부(3)의 외경은 29.1 ㎜이다. 전자총을 수납하는 네크부(4)는 네크부(3)보다도 외경이 커 36.5 ㎜이다. 여기에서, 네크 외경이 29.1 ㎜ 혹은 36.5 ㎜라 하는 것은 네크의 제조 오차도 고려한 실질적인 숫자를 의미하고 있다. 전자빔을 편향하는 편향 요크는 직경이 작은 네크부(3)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편향 전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편향 전력은 네크 외경이 36.5 ㎜인 경우에 비하여 약 25 %의 절감이 된다. 전자총(6)은 직경이 큰 네크부(4)에 수납되므로 전자 렌즈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전자총의 제1 그리드(61)는 컵형상으로 전자빔을 방출하는 캐소드는 제1 그리드(61) 내에 수납되어 있다. 가속 전극(62)은 제1 양극(63)과 함께 프리포커스 렌즈를 형성한다. 제1 양극(63)에는 최종 전극인 제2 양극(65)과 동일 양극 전압 30 kV이 인가된다. 일반적으로는 PRT의 양극 전압은 25 kV 이상이다.
네크 외경을 다르게 함으로써, 기계적인 제약으로부터 전자총이 형광면으로부터 멀어진다. 전자총이 형광면으로부터 멀어지면 포커스가 열화한다. 그러나, PRT에서는 고전압을 높임으로써 포커스 열화의 문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PRT는 최고 전압을 30 kV 이상으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커스 전극(64)은 포커스 전극(641)과 포커스 전극(642)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어떠한 전극에도 약 8 kV의 포커스 전압이 인가된다.
포커스 전극(642)의 선단부와 패널 내면까지의 거리(L2)는 139.7 ㎜이다. 포커스 전극(642)의 형광면측은 직경이 커지고 있으며, 제2 양극(65)과 함께 대구경 주렌즈를 형성하고 있다. 이 주렌즈는 네크 외경이 클수록 크게 할 수 있다.
PRT는 고휘도를 필요로 하므로, 빔 전류(캐소드 전류)는 4 mA 이상이 된다. 이러한 대전류일지라도 높은 포커스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렌즈 구경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PRT는 형광면의 전압이 높으므로, 특히 대전류시의 공간 전하의 반발에 의한 빔의 확대가 비교적 작아져, 대전류시의 형광면 상의 전자 빔 스폿의 크기는 전자총의 구면수차에 의한 빔의 확대에 의해 대략 결정된다.
실드컵(66)은 제2 양극(65)과 일체가 되어 최종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실드컵(66)의 형광면측의 직경은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전자총의 선단부 부근에서 네크 외경이 작아지는 데 대응하여 작게 하여, 전자총이 형광면으로부터 크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각 전극은 비드 유리(6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실드컵(66)의 형광면측은 외경이 제2 양극보다도 꽤 작아져 있다. PRT 내부의 진공도를 높이기 위한 게터가 전극에 부착되어 내전압이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링형상 게터(68)는 게터 서포트(681)에 의해 실드컵(66)에 접속되어 있다.
도2는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2 양극(65)과 실드컵(66)은 W부에 있어서 겹쳐져 최종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제2 양극의 내경(DA)은 27.8 ㎜이고, 실드컵의 대경부(66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포커스 전극(642)은 제2 양극 내로 인입하여, 대구경 렌즈를 형성하고 있다. 포커스 전극(642)의 선단부의 내경(DF)은 20.5 ㎜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렌즈는 실질적으로는 실드컵(66)의 대경부(661)와 포커스 전극(642)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드컵 소경부(663)의 내경(DS)은 9 ㎜이다. 이것은 진공도를 높이기 위해 게터(68)를 비산시킬 때, 백플래시에 의해 게터가 포커스 전극(642) 등에 부착되어 내전압이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실드컵 선단부의 내경은 9 ㎜이다. 포커스 전극(642)의 선단부로부터 실드컵 소경부(663)의 후단부까지의 축방향 거리(A)는 10 ㎜, 실드컵 소경부(663)의 축방향길이(B)는 10 ㎜이다.
밸브 스페이서 접점(69)은 네크부 내벽과 전자총을 적절한 간격으로 유지하는 역할과 최종 전극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스페이서 접점(69)에서는 네크 외경 36.5 ㎜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네크 흑연(31)은 밸브 스페이서 접점(69)과 전기적으로 충분히 접촉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도3은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실드컵(66)의 대경부(661)로부터 소경부(663)까지의 전이부(662)가 단차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직선형으로 되어 있는 점이 도2와 다르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전이부(662)가 직선형으로 되어 있는 만큼, 전자총을 형광면측에 근접시킬 수 있다.
도4는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밸브 스페이서 접점(69)은 실드컵의 소경부(663)에 부착되고, 네크의 소경부(3)의 내벽과 접촉하고 있다. 이 경우, 네크 흑연(31)은 네크의 소경부의 내벽에만 도포하면 좋다. 네크 흑연을 네크의 대경부(4)에까지 연장할 필요가 없는만큼, 생산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포커스 전극(642)의 선단부로부터 실드컵 소경부(663)의 후단부까지의 축방향 거리(A)는 6 ㎜, 실드컵 소경부(663)의 축방향 길이는 14 ㎜이다. 실드컵 선단부의 직경(DS)은 21 ㎜이다.
도5는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포커스 전극(642)의 선단부로부터 실드컵 소경부(663)의 후단부까지의 축방향 거리(A)는 3 ㎜, 실드컵 소경부(663)의 축방향 길이(B)는 17 ㎜인 이외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 전극(641)을 실드컵의 소경부(663)에 근접시키는 만큼, 주렌즈의 위치를 형광면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 이외의 치수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포커스 전극(642)의 선단부로부터 실드컵 소경부(663)의 선단부까지의 축방향 거리는 제3 실시예도 제4 실시예도 동일하다. 제3 혹은 제4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서는 주렌즈 전계의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포커스 전극(641)의 선단부로부터 실드컵 소경부(663)의 선단부까지의 거리는 2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실드컵의 선단부에는 플랜지(664)가 형성되어 선단부 구멍 직경이 9 ㎜로 되어 있는 이외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드컵 선단부의 구멍 직경이 작으므로, 제3 실시예에 비하여 게터의 백플래시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도7은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실드컵의 선단부에는 플랜지(664)가 형성되고 선단부 구멍 직경(DS)이 9 ㎜로 되어 있는 이외는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드컵 선단부의 구멍 직경이 작으므로, 제4 실시예에 비해 게터의 백플래시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도8은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드컵 선단부로부터 원통형의 버링(665)이 포커스 전극(642)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링의 내경(DB)은 9 ㎜이며, 버링(665)의 깊이(DD)는 10 ㎜이다. 이 버링(665)에 의해, 게터의 백플래시의 영향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치수는 제5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9는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총의 주렌즈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드컵 선단부로부터 원통형의 버링(665)이 포커스 전극(642)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링의 내경(DB)은 9 ㎜이며, 버링(665)의 깊이(DD)는 10 ㎜이다. 이 버링(665)에 의해, 게터의 백플래시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치수는 제6 실시예와 동일하다. 스템(5)에는 전자총의 각 전극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핀(5)이 밀봉되어 있다. 베이스(52)는 이 스템(5) 및 핀(51)을 보호하는 것이다.
도10은 본 실시예에서의 스템부의 평면도이다. 스템 외경(SD)은 28.3 ㎜이고, 네크 외경 36.5 ㎜ 대응이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스템 외경은 네크 직경이 36.5 ㎜ 대응임에도 불구하고 핀 서클(PD1)은 29.1 ㎜ 네크 직경과 동일해 15.12 ㎜로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15.12 ㎜라 함은 제조 오차도 고려한 실질적인 값이다.
도11에 비교를 위해 네크 외경이 36.5 ㎜인 경우의 통상의 스템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스템 외경(SD)은 28.3 ㎜이고 핀 서클(PD2)은 20.32 ㎜이다. 네크 외경이 커지면, 그에 따라 핀 서클도 크게 하는 것이 통상적인 설계이다. 핀 서클이 커지면 각 핀의 간격이 커져 내전압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네크의 외경은 36.5 ㎜이지만, 핀 서클의 직경은 29.1 ㎜ 네크인 경우의 핀 서클과 동일하게 하고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핀(51)에는 편향 회로의 일부가 접속되어 있지만, 편향 요크는 네크 직경 29.1 ㎜에 대응한 것을 사용하므로, 핀 서클을 29.1 ㎜ 네크와 동일하게 하면 29.1 ㎜ 네크의 경우와 동일 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도 보다 범용성이 높은 29.1 ㎜ 네크용인 것을 사용을 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PRT에 편향 요크(7), 컨버전스 요크(8), 속도 변조 코일(9)을 실장한 것이다. 편향 요크(7)는 직경이 작은 네크부(3)에 장착되어 있다. 컨버전스 요크(8)는 직경이 큰 네크부(4)에 장착되어 있다. 컨버전스 요크(8)를 직경이 큰 네크부(4)에 장착한 것은 PRT의 전체 길이가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PRT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허용하고, 컨버전스 요크(8)를 직경이 작은 네크부에 장착하면 컨버전스 요크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편향 요크(7)와 컨버전스 요크(8)를 용이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프로젝션 TV에서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PRT(10), 녹색 PRT(11), 청색 PRT(12)의 3개의 PRT로부터의 화상을 렌즈(13)를 통해 스크린(14)에 컨버전스시켜 화상을 형성한다. 이 컨버전스는 각 PRT를 서로 경사지게 하여 행하지만, 미세 조정은 각 PRT에 부착된 컨버전스 요크(8)에 의해 행한다.
속도 변조 코일은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속도 변조 코일은 네크 외경이 36.5 ㎜인 부분에 설치되므로 감도가 문제가 된다. 속도 변조 코일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포커스 전극(64)은 전극(641)과 전극(642)으로 분할되고, 전극(641)과 전극(642) 사이에 갭을 형성하여 속도 변조 코일의 자계가 전자빔에 작용하기 쉽게 하고 있다.
도14는 프로젝션 TV의 개략 단면도이다. PRT(11)로부터의 화상은 렌즈(13)를 통과해 거울(15)에 의해 반사되어 스크린(14)에 투사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PRT의 전체 길이는 프로젝션 TV의 안 길이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젝션 TV는 3개의 PRT를 사용하므로, 편향 전력의 절감은 통상의 TV의 경우에 비하여 3배의 효과가 있다. 또한 프로젝션 TV는 통상은 화면 대각이 40인치 이상인 대화면이다. 이러한 대화면에서는 통상의 NTSC 신호에서는 주사선이 눈에 띄어 화질을 열화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젝션 TV에서는 주사선수가 많은 고등 TV(Advanced TV)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주사선수는 통상의 NTSC 방식의 2 내지 3배가 되어 편향 전력이 증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PRT를 사용하면 프로젝션 TV에 있어서의 편향 전력의 절감은 매우 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로젝션용 TV뿐만 아니라, 3개의 PRT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프로젝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향 전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전자 렌즈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Claims (16)

  1. 내면에 형광면이 형성되는 패널, 깔때기부, 네크부 및 네크부를 밀봉하는 스템부를 갖는 프로젝션용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깔때기부와 접속되는 부분의 제1 네크 외경을 갖는 제1 네크부와 단일 전자빔을 형광면을 향해 방사하는 전자총을 수납하는 제2 네크 외경을 갖는 제2 네크부를 갖고, 상기 제1 네크 외경은 상기 제2 네크 외경보다도 작으며, 상기 전자총은 최종 전극과 최종 전극 내에 일부가 삽입된 포커스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주렌즈를 갖고, 상기 최종 전극은 대경부와 형광면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고, 상기 최종 전극에 인가되는 고전압은 25 k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전극은 제2 양극과 실드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컵의 내경이 형광면을 향해 서서히 내경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컵은 대경부와 소경부를 갖고, 주렌즈는 상기 실드컵의 대경부와 상기 포커스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크부의 내벽과 상기 제2 네크부의 내벽에는 상기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네크 흑연이 형성되고, 상기 최종 전극의 상기 대경부에는 상기 네크 흑연과 상기 최종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밸브 스페이서 접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페이서 접점은 상기 제2 양극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크 직경은 29.1 ㎜이고, 상기 제2 네크 외경은 36.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은 30 k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1. 내면에 형광면이 형성되는 패널, 깔때기부, 네크부 및 네크부를 밀봉하는 스템부를 갖는 프로젝션용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깔때기부와 접속되는 부분의 제1 네크 외경을 갖는 제1 네크부와 제2 네크 외경을 갖는 제2 네크부를 갖고, 상기 제1 네크 외경은 상기 제2 네크 외경보다도 작으며, 단일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전자총의 주렌즈부는 상기 제2 네크부에 존재하고, 상기 주렌즈는 최종 전극과 최종 전극 내에 일부가 삽입된 포커스 전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최종 전극은 포커스 전극이 삽입되는 부분의 대경인 원통부와 형광면측의 소경인 원통부와 형광면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고, 상기 최종 전극에 인가되는 고전압은 25 k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전극의 상기 소경인 원통부는 상기 제1 네크부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크부의 내벽에는 상기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네크 흑연이 형성되고, 상기 최종 전극의 상기 소경인 원통부에는 상기 네크 흑연과 상기 최종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밸브 스페이서 접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 흑연은 상기 제2 네크부의 내벽에는 존재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전극의 상기 소경인 원통부의 형광면측 단부에는 상기 소경인 원통부의 내경보다도 더 작은 직경을 형성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전극의 상기 소경인 원통부의 내측에는 형광면측 단부로부터 상기 포커스 전극측을 향해 원통형인 버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KR10-2001-0050829A 2001-06-08 2001-08-23 브라운관 KR100431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3408 2001-06-08
JP2001173408A JP2002367539A (ja) 2001-06-08 2001-06-08 ブラウン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876A KR20020094876A (ko) 2002-12-18
KR100431041B1 true KR100431041B1 (ko) 2004-05-12

Family

ID=3404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829A KR100431041B1 (ko) 2001-06-08 2001-08-23 브라운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47159B2 (ko)
EP (1) EP1265266A3 (ko)
JP (1) JP2002367539A (ko)
KR (1) KR100431041B1 (ko)
CN (1) CN126307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2749A (ja) * 2001-05-29 2002-12-06 Hitachi Ltd 異径ネックを有する投射形ブラウン管
JP2003068234A (ja) * 2001-08-29 2003-03-0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投射管用ファンネル・ネック封合体
BRPI0816096A2 (pt) * 2007-08-31 2016-03-22 Basf Plant Science Gmbh método para produzir uma célula de planta transgênica, uma planta ou uma parte da mesma com maior resistência a doença de planta, molécula de ácido nucleico isolado, construção de ácido nucleico, vetor, célula hospedeira, e, tecido de planta, construção de propagação, semente, material coletado ou uma planta.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200A (ja) * 1997-09-30 1999-04-23 Nec Kansai Ltd カラー陰極線管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35037A (ja) * 1997-10-30 1999-05-2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ネック封合体
KR20000033554A (ko) * 1998-11-24 2000-06-15 김순택 음극선관
KR20000060048A (ko) * 1999-03-11 2000-10-16 김순택 전자총과 이 전자총을 이용한 음극선관
KR20010018992A (ko) * 1999-08-24 2001-03-15 김순택 음극선관
KR20010037659A (ko) * 1999-10-19 2001-05-15 김순택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0622A (en) 1939-02-17 1941-07-29 Hygrade Sylvania Corp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BE513449A (ko) * 1951-08-11
US3163794A (en) * 1960-06-20 1964-12-29 Philco Corp Deflection yoke with separable portions for crt with constricted neck
DE1514919A1 (de) * 1966-01-28 1969-06-26 Telefunken Patent Kathodenstrahlroehre
US3840773A (en) * 1972-12-29 1974-10-08 H Hart Display system with rapid color switching
US4143298A (en) * 1977-09-01 1979-03-06 Zenith Radio Corporation Television cathode ray tube having a voltage divider providing temperature-invariant voltage and associated method
JPS58100344A (ja) 1981-12-11 1983-06-15 Hitachi Ltd 投写用陰極線管
NL8601512A (nl) 1986-06-11 1988-01-04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met magnetische focusseerlens.
JP3045740B2 (ja) * 1989-12-21 2000-05-29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受像管装置
US5731657A (en) * 1992-04-21 1998-03-24 Hitachi, Ltd. Electron gun with cylindrical electrodes arrangement
KR100346964B1 (ko) 1994-08-25 2002-1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자총을지닌화상디스플레이장치및그장치에사용되는전자총
JP3539003B2 (ja) * 1995-10-11 200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ブラウン管
JP3470495B2 (ja) 1996-05-09 2003-11-25 旭硝子株式会社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
US6133685A (en) 1996-07-05 2000-10-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Cathode-ray tube
JPH1083781A (ja) 1996-09-10 1998-03-31 Hitachi Ltd 陰極線管
US6031326A (en) * 1997-04-01 2000-02-29 Hitachi, Ltd. Electron gun with electrode supports
JPH11185660A (ja) * 1997-12-25 1999-07-09 Nec Kansai Ltd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構体
TW464906B (en) * 1998-09-30 2001-11-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athode ray tube and deflection unit
JP2002352749A (ja) * 2001-05-29 2002-12-06 Hitachi Ltd 異径ネックを有する投射形ブラウン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200A (ja) * 1997-09-30 1999-04-23 Nec Kansai Ltd カラー陰極線管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35037A (ja) * 1997-10-30 1999-05-2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ネック封合体
KR20000033554A (ko) * 1998-11-24 2000-06-15 김순택 음극선관
KR20000060048A (ko) * 1999-03-11 2000-10-16 김순택 전자총과 이 전자총을 이용한 음극선관
KR20010018992A (ko) * 1999-08-24 2001-03-15 김순택 음극선관
KR20010037659A (ko) * 1999-10-19 2001-05-15 김순택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1253A (zh) 2003-01-15
CN1263076C (zh) 2006-07-05
KR20020094876A (ko) 2002-12-18
US6847159B2 (en) 2005-01-25
US20030038583A1 (en) 2003-02-27
JP2002367539A (ja) 2002-12-20
EP1265266A2 (en) 2002-12-11
EP1265266A3 (en)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0602B2 (en) Projection type cathode ray tube device employing a cathode ray tube having a neck composed of different-diameter portions
KR100431041B1 (ko) 브라운관
KR20020090832A (ko) 직경이 다른 네크를 갖는 투사형 브라운관
US6462466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mall neck diameter and large stem pin circle having sufficient number of conductive lead pin segments
US6621202B2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including an electron gun assembly capable of dynamic astigmatism compensation
KR10075940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97098B1 (ko) 음극선관
KR100540097B1 (ko) 투사형 음극선관 장치
US6507143B2 (en) Cathode ray tube including an electron gun having specific relation between axial length of focus electrode and lens-screen distance
US6455999B1 (en) Color picture tube
KR10081487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96682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40046132A (ko) 프로젝션 표시장치용 모노크롬 음극선관
KR20040046129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60020026A (ko)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KR20010068586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0070221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0021486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0092610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2000057963A (ja) 陰極線管用電子銃
KR20010087865A (ko) Upf형 전자총을 갖는 음극선관
KR20020073990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