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129A -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129A
KR20040046129A KR1020020073951A KR20020073951A KR20040046129A KR 20040046129 A KR20040046129 A KR 20040046129A KR 1020020073951 A KR1020020073951 A KR 1020020073951A KR 20020073951 A KR20020073951 A KR 20020073951A KR 20040046129 A KR20040046129 A KR 20040046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cathode
electrode
normal portion
side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6129A/ko
Publication of KR2004004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1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28Mounting or supporting arrangements for flat panel cathode ray tubes, e.g. spacers particularly relating to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03Electrodes
    • H01J2229/481Focu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03Electrodes
    • H01J2229/4817Accelera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8Electrodes intimately associated with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up, converted or stored, e.g. backing-plates for storage tubes or collecting secondary electrons
    • H01J29/085Anode plates, e.g. for screens of flat panel display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높은 포커스 성능과 해상도 특성을 만족할 수 있으며, 전극 조립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도록 한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자총은, 열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와; 캐소드와 더불어 삼극관부를 구성하는 제어 전극 및 가속 전극과; 내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캐소드측 통상부와 중간 통상부 및 패널측 통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속 전극의 다음에 배치되는 제1 양극과; 캐소드측 통상부와 패널측 통상부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통상부를 포함하고, 제1 양극의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양극과의 사이에 제1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 전극과; 포커스 전극의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포커스 전극과의 사이에 제2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제2 양극;을 포함하며,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이 전극의 패널측 통상부는 제2 양극의 내부로 몰입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한된 넥크부 구경 내에서 포커스 렌즈의 효율을 최대화하여 높은 포커스 성능과 해상도 특성을 만족할 수 있으며, 전극 조립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도록 한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을 이용하는 프로젝션 표시장치는 R(적), G(녹), B(청) 단색의 화면을 구현하는 3개의 모노크롬 음극선관과, 이들 음극선관에서 각기 구현된 단색의 영상들을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확대 투사하여 칼라 영상으로 합성하는 광학 시스템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모노크롬 음극선관은 한줄기 전자빔으로 화면을 주사하므로, 전자빔의 포커스 성능이 표시장치의 해상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각 모노크롬 음극선관의 화면이 대략 10배 정도 확대되어 프로젝션 스크린에 투사되기 때문에, 고전류 밀도의 전자빔을 방출하여 화면의 휘도를 높여야 한다.
따라서 모노크롬 음극선관에 구비되는 전자총은 고전류 영역에서 포커스 성능이 우수한 유니포텐셜 포커스(UPF: unipotential focus) 또는 하이-유니포텐셜 포커스(Hi-UPF: Hi-unipotential focus) 방식의 결선 구조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UPF 타입 전자총은 캐소드와 더불어 삼극관부를 구성하는 제어 전극 및 가속 전극과, 가속 전극 다음에 배치되는 제1 양극과, 제1 양극 다음에 배치되며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는 포커스 전극과, 포커스 전극 다음에 배치되는 제2 양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전자총은 제1 및 제2 양극에 고압이 인가되므로 전자빔을 집속하는 메인 렌즈가 2지점에서 발생한다. 캐소드쪽 메인 렌즈를 제1 메인 렌즈라 하고, 제2 양극쪽 메인 렌즈를 제2 메인 렌즈라 하면, 제1 메인 렌즈는 제1 양극과포커스 전극 사이에 형성되고, 제2 메인 렌즈는 포커스 전극과 제2 양극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렌즈의 성능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등가구경과 구면수차의 영향을 받는데, 도 1은 등가구경과 구면수차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2는 구면수차와 전자빔 스폿 사이즈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메인 렌즈의 등가구경이 커질수록 구면수차가 감소하고, 구면수차가 작아질수록 형광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빔 스폿 사이즈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미국특허 제 4,271,374호에는 포커스 전극과 제2 양극의 구경을 확대하여 제2 메인 렌즈의 구경을 확대함으로써 포커스 성능을 향상시킨 전자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미국특허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메인 렌즈의 구경만 확대함으로써 포커스 성능 향상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메인 렌즈의 구면수차를 감소시킴으로써 포커스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전극 고정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와;
캐소드와 더불어 삼극관부를 구성하는 제어 전극 및 가속 전극과;
내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캐소드측 통상부와 중간 통상부 및 패널측 통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속 전극의 다음에 배치되는 제1 양극과;
캐소드측 통상부와 패널측 통상부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통상부를 포함하고, 제1 양극의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양극과의 사이에 제1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 전극과;
포커스 전극의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포커스 전극과의 사이에 제2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제2 양극;
을 포함하며,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이 전극의 패널측 통상부는 제2 양극의 내부로 몰입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캐소드 및 제어 전극과 가속 전극을 포함하는 삼극관부와;
내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캐소드측 통상부와 중간 통상부 및 패널측 통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속 전극의 다음에 배치되는 제1 양극과;
캐소드측 통상부와 패널측 통상부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통상부를 포함하고, 제1 양극의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양극과의 사이에 제1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 전극과;
포커스 전극의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포커스 전극과의 사이에 제2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제2 양극;
을 포함하며,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이 전극의 패널측 통상부는 제2 양극의 내부로 몰입되며, 포커스 전극이 갭을 형성하도록 분할 구성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의해 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포커스 전극은 중간 통상부 또는 캐소드측 통상부에서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포커스 전극 및 제1 양극의 중간 통상부에는 각 전극을 지지하기 위한 전극 지지체가 구비된다. 따라서, 전극 조립시의 절연 지지체 압압력으로 인해 전극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는,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된 후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일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중간 통상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후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를 향해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직각 단차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된 후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일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이 전극의 중간 통상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후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직각 단차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등가구경과 구면수차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는 구면수차와 전자빔 스폿 사이즈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전극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양극의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들에 따른 포커스 전극의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총(10)은 열전자를 방출하는 단일의 캐소드(12)와, 캐소드(12)와 더불어 삼극관부(14)를 구성하며 열전자 방출을 제어하는 제어 전극(16) 및 가속 전극(18)과, 가속 전극(18) 다음에 배치되는 제1 양극(20)과, 제1 양극(20) 다음에 배치되며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는 포커스 전극(22)과, 포커스 전극(22)과 임의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고압의 애노드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양극(24)과, 제1 및 제2 양극(20,2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2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한 전극들은 지지체인 비드 글래스(28)에 고정되어 관축 방향을 따라 정렬되는데, 비드 글래스(28)와의 고정을 위해 각 전극에는 전극 지지체(30)가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의 전자총(10)은 도시하지 않은 음극선관의 넥크부 내측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음극선관의 형광면을 향해 방출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전자총(10)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제1 양극(20)과 포커스 전극(2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메인 렌즈(L1)의 구경을 종래 대비 확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상술하면, 제1 양극(20)은 캐소드(12)측의 캐소드측 통상부(20a)와, 패널측의 패널측 통상부(20c)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통상부(20b)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상부들(20a∼20c)은 캐소드(12)측으로부터 패널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대되는데, 도 3 및 도 4에는 '직각 단차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양극(2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직각 단차 형상'은 중간 통상부(20b)가 캐소드측 통상부(20a)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후 포커스 전극(22)을 향해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또한 패널측 통상부(20c)가 중간 통상부(20b)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후 포커스 전극(22)을 향해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는 형상을 말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1 양극(20)은, 캐소드측 통상부(20a)와 중간 통상부(20b) 및 패널측 통상부(20c)의 내경을 각각 D1,D2,D3라 할때, 상기한 통상부들(20a∼20c)의 내경이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D3 〉D2 〉D1
그리고, 제1 양극(20)과의 사이에 제1 메인 렌즈(L1)를 형성하는 포커스 전극(22)은 제1 양극(20)과 유사한 구조, 즉 캐소드측 통상부(22a)와 패널측 통상부(22c)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통상부(22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커스 전극(22)의 캐소드측 통상부(22a)는 제1 메인 렌즈(L1)의 구경 확대를 위해 제1 양극(20)의 패널측 통상부(20c)와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포커스 전극(22)의 패널측 통상부(22c)는 제2 메인 렌즈(L2)의구경 확대를 위해 제2 양극(24)의 내부에 몰입됨과 아울러 그 내경이 확대되는바, 포커스 전극(22)의 캐소드측 통상부(22a)와 중간 통상부(22b) 및 패널측 통상부(22c)의 내경을 각각 D4,D5,D6라 할때, 상기 통상부들(22a∼22c)의 내경이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D4 〉D5 그리고, D6 〉D5
이때, 상기 제1 양극(20)의 패널측 통상부(20c)와 포커스 전극(22)의 캐소드측 통상부(22a)는 제1 메인 렌즈(L1)의 효과적인 구경 확대를 위해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D3 = D4)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차 메인 렌즈(L1)의 구경이 제1 양극(20)의 패널측 통상부(20c)와 포커스 전극(22)의 캐소드측 통상부(22a)의 내경(D3,D4)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포커스 전극(22)의 패널측 통상부(22c)는 캐소드측 통상부(22a)의 내경(D4)과 동일 내지 이상의 내경을 갖도록, 즉 D4 ≤ D6이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포커스 전극(22)의 캐소드측 통상부(22a) 내경(D4)을 5mm 정도 확대하여 종래 대비 25% 정도 구경을 확대한 경우에는 포커스 성능이 종래 대비 대략 3% 정도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양극(20)의 패널측 통상부(20c)와 포커스 전극(22)의 캐소드측 통상부(22a) 내경(D3,D4)을 각각 5mm 정도 확대한 경우에는 포커스 전극(22)의 캐소드측 통상부(22a) 내경만 확대한 경우에 비해 포커스 성능이 대략 5% 정도 더욱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1 메인 렌즈(L1)의 구경 확대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제1 양극(20)의 패널측 통상부(20c)와 포커스 전극(22)의 캐소드측 통상부(22a)의 내경을 동시에 모두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양 통상부(20c,22a)의 구경을 동일한 내경(D3 = D4)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양극(20) 및 포커스 전극(22)을 비드 글라스(28)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극 지지체(30)는 각 전극(20,22)의 중간 통상부(20b,22b)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의 전자총(10)에 의하면, 전극 지지체(30)가 렌즈(L1,L2) 형성에 기여하지 않는 중간 통상부(20b,22b)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비드 글라스(28)를 사용하여 전극들을 고정할 때의 압력으로 인해 전극이 변형되고, 이로 인해 렌즈(L1,L2) 형성에 악영항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전자총과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의 전자총(10')이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포커스 전극(22')이 갭(G)을 구비하도록 분할 구성된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극선관의 넥크부 외면에는 2극 자계를 발생하여 전자빔의 편향 속도를 제어하는 주사속도 변조기(SVM: Scaning Velocity Modulator)(미도시함)이 설치되는데, 주사속도 변조기가 발생하는 고주파 전류에 의해 포커스 전극(22')에와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감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전술한 갭(G)은 포커스 전극(22')의 와전류 발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구성의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갭(G)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소드측 통상부(22'a)와 패널측 통상부(22'c)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통상부(22'b)를 절단하는 것에 따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소드측 통상부(22'a)를 절단하는 것에 따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1 양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7a는 이 전극(20')의 캐소드측 통상부(20'a)와 중간 통상부(20'b)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패널측 통상부(20'c)는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쪽으로 내경이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제1 양극(20')을 갖는 전자총은 '직각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 전술한 실시예의 패널측 통상부(20c)에 비해 제1 메인 렌즈의 구경이 약간 작아지지만, 이러한 구경 축소는 포커스 성능에는 거의 영향이 없으며, 포커스 전극(22 또는 22')과 커넥터(26)간의 아크 방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내전압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7b는 제1 양극(20")의 캐소드측 통상부(20"a)와 중간 통상부(20"b)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패널측 통상부(20"c)를 '일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일부 테이퍼 형상'은 패널측 통상부(20"c)를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을 점차적으로 확대한 후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의 제1 양극(20")을 갖는 전자총은 제1 메인 렌즈의 구경 축소를 최소화 하면서도 내전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포커스 전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8a는 이 전극(22")의 중간 통상부(22"b) 및 패널측 통상부(22"c)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캐소드측 통상부(22"a)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도 8b의 포커스 전극(22"')는 중간 통상부(22"'b) 및 패널측 통상부(22"'c)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캐소드측 통상부(22"'a)를 일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와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를 '직각 단차 형상', '테이퍼 형상', '일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내경이 확대된 제1 양극 및 포커스 전극을 갖는 전자총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와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가 반드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전술한 형상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넥크부 구경 내에서 제1 메인 렌즈의 구경을 최대로 확대하여 제1 메인 렌즈의 구면수차를 감소시킴으로써 형광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빔 스폿 사이즈를 5∼8%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총은 우수한 포커스 성능과 해상도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양극 및 포커스 전극을 지지하는 각각의 전극 지지체를 렌즈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중간 통상부에 제공함으로써 전극 고정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열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와;
    캐소드와 더불어 삼극관부를 구성하는 제어 전극 및 가속 전극과;
    내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캐소드측 통상부와 중간 통상부 및 패널측 통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속 전극의 다음에 배치되는 제1 양극과;
    캐소드측 통상부와 패널측 통상부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통상부를 포함하고, 제1 양극의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양극과의 사이에 제1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 전극과;
    포커스 전극의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포커스 전극과의 사이에 제2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제2 양극;
    을 포함하며,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이 전극의 패널측 통상부는 제2 양극의 내부로 몰입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캐소드 및 제어 전극과 가속 전극을 포함하는 삼극관부와;
    내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캐소드측 통상부와 중간 통상부 및 패널측 통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속 전극의 다음에 배치되는 제1 양극과;
    캐소드측 통상부와 패널측 통상부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통상부를 포함하고, 제1 양극의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양극과의 사이에 제1 메인 렌즈를형성하는 포커스 전극과;
    포커스 전극의 다음에 배치되어 상기 포커스 전극과의 사이에 제2 메인 렌즈를 형성하는 제2 양극;
    을 포함하며,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이 전극의 패널측 통상부는 제2 양극의 내부로 몰입되며, 포커스 전극이 갭을 형성하도록 분할 구성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이 중간 통상부에서 분할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이 캐소드측 통상부에서 분할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 및 제1 양극의 중간 통상부에는 각 전극을 지지하기 위한 전극 지지체가 구비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는 이 전극의 중간 통상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후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를 향해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직각 단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상기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상기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된 후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일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이 전극의 중간 통상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후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직각 단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는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상기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상기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된 후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일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이 전극의 중간 통상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후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직각 단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는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된 후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일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상기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상기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된 후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일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의 캐소드측 통상부는 이 전극의 중간 통상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후 측 제1 양극의 패널측 통상부를 향해 일정 구간동안 동일한 내경을 갖는 직각 단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20020073951A 2002-11-26 2002-11-26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40046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951A KR20040046129A (ko) 2002-11-26 2002-11-26 음극선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951A KR20040046129A (ko) 2002-11-26 2002-11-26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129A true KR20040046129A (ko) 2004-06-05

Family

ID=3734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951A KR20040046129A (ko) 2002-11-26 2002-11-26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61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0602B2 (en) Projection type cathode ray tube device employing a cathode ray tube having a neck composed of different-diameter portions
KR0145214B1 (ko) 컬러음극선관
JPH11345577A (ja) カラー陰極線管
US6555952B1 (en) Electron gun and cathode ray tube using the same
KR20040046129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US6815913B2 (en) Cathode ray tube
KR10075940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31041B1 (ko) 브라운관
KR20020090832A (ko) 직경이 다른 네크를 갖는 투사형 브라운관
US7268478B2 (en) Electron gun assembly and cathode ray tube with the same
US6455999B1 (en) Color picture tube
KR100344517B1 (ko) Upf형 전자총을 갖는 음극선관
KR100839420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9219156A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KR10081487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3100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2000149815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40001452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11354047A (ja) カラ―陰極線管
KR20040046131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40046132A (ko) 프로젝션 표시장치용 모노크롬 음극선관
JP2005116384A (ja) 陰極線管
JP2000306521A (ja) 陰極線管
JP2001006583A (ja) 陰極線管
JP2005158605A (ja) 電子銃及び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