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367A - 수성 진주빛 농축물 - Google Patents

수성 진주빛 농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367A
KR20000016367A KR1019980709941A KR19980709941A KR20000016367A KR 20000016367 A KR20000016367 A KR 20000016367A KR 1019980709941 A KR1019980709941 A KR 1019980709941A KR 19980709941 A KR19980709941 A KR 19980709941A KR 20000016367 A KR20000016367 A KR 20000016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carbon atoms
pearlescent
weight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힘 안스만
롤프 카바
Original Assignee
니콜라우스 마테스, 헬무트 엔드레스
헨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아우프 악티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콜라우스 마테스, 헬무트 엔드레스, 헨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아우프 악티엔 filed Critical 니콜라우스 마테스, 헬무트 엔드레스
Publication of KR2000001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89Pearlescent compositions; Opacify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을 100 중량% 이하로 첨가하는 것을 조건으로 비수성 성분 기재로, 하기를 함유하는 신규 수성 진주빛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a) 화합물이 모두 탄소수 18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조건으로 지방 알콜, 지방 케톤, 지방 에테르 및 지방 탄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 화합물 1 내지 99.1 중량%,
(b)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및/또는 쯔비터이온성 유화제 0.1 내지 90 중량% 및
(c) 폴리올 0 내지 40 중량%.

Description

수성 진주빛 농축물
본 발명은 선택된 지방 화합물, 유화제 및 임의로 폴리올을 함유하는 수성 진주빛 농축물, 이의 제조 방법, 농축물을 이용한 진주빛 계면활성 배합물의 제조 방법 및 진주빛 왁스로서 지방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수세기 동안, 진주의 연한 미광은 인간에게 특별한 마력을 갖게 하여왔다. 그러므로 화장품의 제조업자가 이들의 제품에 매력적이고, 값비싸고 화려한 외형을 제공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당연하다. 중세 시대에 화장품으로 사용되는 제 1 펄에센스(pearlescence)는 천연 물고기 비늘의 진주빛 페이스트였다. 현대의 초기에, 비스무트 옥시드 클로라이드가 또한 펄에센스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대조로, 특히 글리콜 단일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지방산 에스테르 형태의 진주빛 왁스는 현대 화장품계에서 중요하고, 헤어 샴푸 및 샤워 겔에서 펄에센스의 제조에 주로 사용된다. 현대 진주빛 배합물의 개관을 에이. 안스만 (A. Ansmann) 및 알. 카와 (R. Kawa) 가 Parf.Kosm., 75, 578 (1994) 에 출판하였다.
계면활성 제품에 필요한 펄에센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배합물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다.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출원 DE-A1 38 43 572 및 DE-A1 41 03 551 (헨켈(Henkel)) 에는 진주빛 성분 15 내지 40 중량%, 유화제 5 내지 55 중량% 및 폴리올 0.1 내지 5 중량% 또는 15 내지 40 중량% 를 함유하는 자유이동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진주빛 농축물을 기재한다. 진주빛 왁스는 아실화 폴리알킬렌 글리콜, 모노알칸올아미드, 선형 포화 지방산 또는 케토술폰이다. 유럽 특허 EP-B1 0 181 773 및 EP-B1 0 285 389 (프록터 앤드 갬블(Procter & Gamble)) 에는 계면활성제, 비휘발성 실리콘 및 진주빛 왁스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을 기재한다. 유럽 특허 출원 EP-A2 0 205 922 (헨켈) 는 아실화 폴리글리콜 5 내지 15 중량%,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1 내지 6 중량% 및 비이온성 유화제 1 내지 5 중량% 를 함유하는 자유이동 진주빛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EP-B1 0 569 843 (호에스트(Hoechst)) 의 교시에 따라, 비이온성, 자유이동 진주빛 분산액을 아실화된 폴리글리콜 5 내지 30 중량% 및 선택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20 중량% 의 혼합물을 제조하여 또한 수득할 수 있다. 추가로, 유럽 특허 출원 EP-A2 0 581 193 (호에스트) 에는 아실화 폴리글리콜 에테르, 베타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자유이동, 무보존제 진주빛 분산액을 기재한다. 마지막으로, 유럽 특허 출원 EP-A1 0 684 302 (Th. Goldschmidt) 는 진주빛 농축물의 제조를 위한 결정화 보조물로서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배합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아실화 폴리글리콜과 대조로, 임의 에틸렌 옥시드 단위체를 함유하지 않고, 소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조차 이들의 휘광에 의해 공지된 제품과 구별되어 중요 성분 예컨대 실리콘을 배합물의 안정성에 관해 임의 역효과없이 또한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에스테르기를 함유하여, 적당한 생물분해성을 보장하고, 자유이동이므로 특히 농축 형태로 조작하기 쉬운, 신규 진주빛 왁스용 시장에서 부단한 필요성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기재된 문제가 상기 복잡한 요구 측면을 충족시키는 신규 진주빛 농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양을 100 중량% 이하로 첨가하는 것을 조건으로 비수성 성분 기재로, 하기를 함유하는 수성 진주빛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a) 화합물이 모두 탄소수 18 이상, 바람직하게 24 및 더욱 바람직하게 32 내지 48 을 함유하는 것을 조건으로 지방 알콜, 지방 케톤, 지방 에테르 및 지방 탄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 화합물 1 내지 99.1 중량%,
(b)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및/또는 쯔비터(zwitter)이온성 유화제 0.1 내지 90 중량% 및
(c) 폴리올 0 내지 40 중량%.
상기 장쇄 지방 화합물이 우수한 진주빛 특성을 지니고 소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조차, 더큰 휘광, 특히 입자 미립도 및 저장 안정성에 의해 공지된 제품과 구별된다는 것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진주빛 왁스는 즉시 생물분해가능하고 농축 형태로 자유이동하며 심지어 문제 성분, 예컨대 실리콘을 화장 배합물에 혼입시킬 수 있다.
지방 알콜
(a1) 성분으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장쇄 지방 알콜은 하기 화학식 (I) 에 대응한다:
R1OH
[식중, R1은 탄소수 18 이상, 바람직하게 24 내지 48 및 더욱 바람직하게 32 내지 36 을 함유하는 선형 알킬기이다]. 상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베헤닐 알콜 또는 장쇄 파라핀의 산화 생성물이다.
지방 케톤
(a2) 성분으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지방 케톤은 하기 화학식 (II) 에 대응한다:
R2-CO-R3
[식중, 서로 독립적인 R2및 R3은 임의로 탄소수 1 내지 22 를 함유하는 히드록시치환 알킬 및/또는 알케닐기이고, 단 이들은 모두 탄소수 18 이상, 바람직하게 24 및 더욱 바람직하게 32 내지 48 을 함유한다]. 케톤을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대응 지방산 마그네슘염의 열분해로 제조한다. 비록 두 치환체 R2및 R3이 바람직하게 단지 1 탄소원자에 의해 서로 상이하고 탄소수 16 내지 22 를 함유하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도 케톤은 이들의 구조에서 대칭 또는 비대칭일 수 있다. 카프리논, 라우론 및 스테아론이 특히 유리한 진주빛 특성에 의해 구별된다.
지방 에테르
(a3) 성분은 하기 화학식 (III) 에 대응하는 지방 에테르로 이루어진다:
R4-O-R5
[식중, 서로 독립적인 R4및 R5는 탄소수 1 내지 22 를 함유하는 알킬 및/또는 알케닐기이고, 단 이들은 모두 탄소수 18 이상, 바람직하게 24 및 더욱 바람직하게 32 내지 48 을 함유한다]. 상기 형태의 지방 에테르를 대응 지방 알콜의 산성 축합으로 통상 제조한다. 특히 유리한 진주빛 특성을 지닌 지방 에테르를 탄소수 16 내지 22 를 함유하는 지방 알콜, 예를 들어 세틸 알콜,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릴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올레일 알콜, 베헤닐 알콜 및/또는 에루실 알콜의 축합으로 수득한다. 디스테아릴 에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 탄산염
(a4) 성분은 하기 화학식 (IV) 에 대응하는 지방 탄산염으로 이루어진다:
R6O-CO-OR7
[식중, 서로 독립적인 R6및 R7은 임의로 탄소수 1 내지 22 를 함유하는 히드록시작용 알킬 및/또는 알케닐기이고, 단 이들이 모두 탄소수 18 이상, 바람직하게 24 및 더욱 바람직하게 32 내지 48 을 함유한다]. 상기 화합물을 예를 들어,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디메틸 또는 디에틸 탄산염과 대응 지방 알콜 또는 히드록시알콜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으로 수득한다. 따라서, 지방 탄산염이 대칭 또는 비대칭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R6및 R7이 동일하고 탄소수 16 내지 22 를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내는 탄산염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디메틸 또는 디에틸 탄산염과 세틸 알콜,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릴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올레일 알콜, 12-히드록시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및/또는 에루실 알콜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 생성물이 이의 모노 및 디에스테르 및 이의 공업 혼합물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 화합물을 농축물에 대해 1 내지 99.9 중량% 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고, 5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 10 내지 50 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15 내지 30 중량% 의 양으로 통상 사용한다.
유화제
본 발명에 따른 진주빛 농축물이 유화제로서 하기 군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b1) 에틸렌 옥시드 2 내지 30 몰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0 내지 5 몰과 탄소수 8 내지 22 를 함유하는 선형 지방 알콜, 탄소수 12 내지 22 를 함유하는 지방산, 알킬기에서 탄소수 8 내지 15 를 함유하는 알킬페놀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첨가 생성물;
(b2) 에틸렌 옥시드 1 내지 30 몰과 글리세롤의 첨가 생성물의 C12/18지방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b3) 탄소수 6 내지 22 를 함유하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및 소르비탄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및 이의 에틸렌 옥시드 첨가 생성물;
(b4) 알킬기에서 탄소수 8 내지 22 를 함유하는 알킬 모노 및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이의 에톡시화 유사체;
(b5) 에틸렌 옥시드 15 내지 60 몰과 피마자유 및/또는 경화 피마자유의 첨가 생성물;
(b6) 폴리올 에스테르, 및 특히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예컨대 폴리글리세롤 폴리리시놀레이트 또는 폴리글리세롤 폴리-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수종의 상기류로부터 화합물의 혼합물이 또한 적당하다);
(b7) 에틸렌 옥시드 2 내지 15 몰과 피마자유 및/또는 경화 피마자유의 첨가 생성물;
(b8) 선형, 분지형, 불포화 또는 포화 C12/22지방산, 리시놀산 및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및 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당 알콜(예컨대 소르비톨) 및 폴리글루코시드(예컨대 셀룰로오스)에 기재한 부분 에스테르;
(b9) 트리알킬 포스페이트;
(b10) 면 왁스 알콜;
(b11) 폴리실록산/폴리알킬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이의 대응 유도체;
(b12) DE-PS 11 65 574 에 따른 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시트르산 및 지방 알콜의 혼합 에스테르; 및
(b13)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와 지방 알콜, 지방산, 알킬페놀,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및 지방산의 소르비탄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또는 피마자유의 첨가 생성물은 공지된 상용가능한 생성물이다. 이들은 평균 알콕시화도가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양과 첨가 반응을 실행하는 기질과의 비에 대응하는 동족 혼합물이다. 에틸렌 옥시드와 글리세롤의 첨가 생성물의 C12/18지방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는 DE-PS 20 24 051 로부터 화장 배합물에 대한 재지방화제(refatting agents)로서 공지된다.
C8/18알킬 모노 및 올리고글리코시드, 이의 제조 및 계면활성제로서 이의 용도는 예를 들어 US 3,839,318, US 3,707,535, US 3,547,828, DE-OS 19 43 689, DE-OS 20 36 472 및 DE-A1 30 01 064 및 또한 EP-A 0 077 167 로부터 공지된다. 이들을 특히 글루코오스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와 일차 C8/18알콜을 반응시켜 제조한다. 글리코시드 단위체에 관한 한, 환식 당 단위체를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지방 알콜에 부착시키는 모노글리코시드 및 바람직하게 약 8 이상의 올리고머화도를 지닌 올리고머성 글리코시드 모두가 적당하다. 올리고머화도는 공업 제품을 대표하는 동족 분포에 기재한 통계적 평균값이다.
추가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유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자내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기 및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레이트기 및 하나 이상의 술포네이트기를 함유하는 계면활성 화합물이다. 특히 적당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위 베타인, 예컨대 N-알킬-N,N-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 예를 들어 코코알킬 디메틸 암모늄 글리시네이트, N-아실아미노프로필-N,N-디메틸 암모늄 글리시네이트, 예를 들어 코코아실아미노프로필 디메틸 암모늄 글리시네이트, 및 알킬 또는 아실기에서 탄소수 8 내지 18 을 함유하는 2-알킬-3-카르복시메틸-3-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린 및 코코아실아미노에틸 히드록시에틸 카르복시에틸 카르복시메틸 글리시네이트이다.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의 CTFA 명칭 하에서 공지된 지방산 아미드 유도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또한 적당한 유화제이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자내 C8/18알킬 또는 아실기 이외에, 하나 이상의 유리 아미노기 및 하나 이상의 -COOH- 또는 -SO3H- 기를 함유하고 내부염을 형성할 수 있는 계면활성 화합물이다. 적당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N-알킬 글리신, N-알킬 프로피온산, N-알킬아미노부티르산, N-알킬이미노디프로피온산, N-히드록시에틸-N-알킬아미도프로필 글리신, N-알킬 타우린, N-알킬 사르코신, 2-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 및 알킬기내 탄소수 약 8 내지 18 을 함유하는 알킬아미노아세트산이다. 특히 바람직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N-코코알킬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코코아실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및 C12/18아실 사르코신이다. 양쪽성 유화제 이외에, 4차 유화제를 또한 사용할 수 있고, 에스테르콰트(esterquat) 형태의 것들, 구체적으로 메틸-4차화 이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에스테르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주빛 농축물이 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 5 내지 50 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10 내지 40 중량% 의 양으로 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폴리올
본 발명에 따라 (c)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은 바람직하게 탄소수 2 내지 15 및 2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한다. 전형적인 예는 하기이다:
· 글리세롤;
· 알킬렌 글리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및 평균 분자량 100 내지 1,000 돌튼(dalton)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 자체축합도 1.5 내지 10 의 공업 올리고글리세롤 혼합물 예컨대 디글리세롤 함량 40 내지 50 중량% 의 공업 디글리세롤 혼합물;
· 메틸올 화합물 예컨대 특히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틸올 부탄, 펜타에리트리톨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 저급 알킬 글루코시드, 특히 알킬기에서 탄소수 1 내지 18 을 함유하는 것들, 예를 들어 메틸 및 부틸 글루코시드;
· 탄소수 5 내지 12 를 함유하는 당 알콜, 예를 들어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 탄소수 5 내지 12 를 함유하는 당,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또는 수크로오스;
· 아미노당, 예를 들어 글루카민.
본 발명에 따른 진주빛 농축물은 폴리올, 바람직하게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및 평균 분자량 100 내지 1,000 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0.1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 0.5 내지 15 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1 내지 5 중량% 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제조 방법
또한 본 발명의 주제인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진주빛 농축물을 (a), (b) 및 (c) 성분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의 융점 초과 1 내지 30 ℃ 의 온도로 가열하고, 이것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온도를 갖는 필요량의 물과 혼합한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제조된다. 한 제조 별법(別法)에서는, 진한 수성(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페이스트를 초기에 도입하고, 진주빛 왁스를 가열하면서 교반시키고 혼합물을 계속해서 다량의 물로 희석하여 필요한 농도가 될 수 있거나 혼합 단계를 중합체성 친수성 증점제,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크산탄검 또는 카르보머(carbomer)형의 중합체의 존재하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주빛 농축물은 계면활성 배합물 예컨대 헤어 샴푸 또는 수동 접시닦기 세제를 불투명화하는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주빛 농축물을 투명한 수성 제제에 0 내지 40 ℃ 에서 본 제제의 0.5 내지 40 중량% 및 바람직하게 1 내지 20 중량% 의 양으로 첨가하고 여기에서 교반에 의해 분산시키는, 수용성 계면활성 물질의 불투명하고 진주빛의 액체 수성 제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면활성제
통상 1 내지 50 및 바람직하게 5 내지 35 중량% 의 비수성 성분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 배합물은 배합물에서 통상 약 50 내지 99 중량% 및 바람직하게 70 내지 90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소프(soaps), 알킬 벤젠술포네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올레핀 술포네이트, 알킬에테르 술포네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술포네이트, α-메틸 에스테르 술포네이트, 술포지방산, 알킬 술페이트, 지방 알콜 에테르 술페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술페이트, 히드록시 혼합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에테르) 술페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 모노 및 디알킬 술포숙신아메이트, 술포트리글리세리드, 아미드 소프,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이의 염, 지방산 이세티오네이트, 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타우라이드, N-아실아미노산 예컨대 아실 락틸레이트, 아실 타르트레이트, 아실 글루타메이트 및 아실 아스파르테이트,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술페이트, 단백질 지방산 축합물 (특히 밀 기재 식물성 제품) 및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이다. 만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콜 에테르 쇄를 함유하면, 비록 이들이 바람직하게 협위의 동족 분포를 갖더라도 이들이 종래 동족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지방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 아민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콕시화 트리글리세리드, 혼합 에테르 및 혼합 포르말, 알킬(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지방산 N-알킬 글루카미드, 단백질 가수분해물 (특히 밀기재 식물성 제품),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당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소르베이트 및 아민 옥시드이다. 만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콜 에테르 쇄를 함유하면, 비록 이들이 바람직하게 협위 동족 분포를 갖더라도 이들이 종래 동족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4차 암모늄 화합물 및 에스테르콰트, 더욱 특히 4차화 지방산 트리알칸올아민 에스테르 염이다.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도베타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아미노글리시네이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및 술포베타인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모두 공지된 화합물이다. 이의 구조 및 제조에 관한 정보를 관련 개괄 논문, 예를 들어 J. Falbe(ed.), "Surfactants in Consumer Products", Springer Verlag, Berlin, 1987, 54 쪽 내지 124 쪽 또는 J. Falbe(ed.), "Katalysatoren, Tenside und Mineraloladditive (Catalysts, Surfactants and Mineral Oil Additives)", Thieme Verlag, Stuttgart, 1978, 123 쪽 내지 217 쪽에서 발견될 수 있다. 동일한 계면활성제를 또한 진주빛 농축물의 제조에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화제로서 또한 적합하다. 상기 관계에서, 음이온성 유화제로서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조제 및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진주빛 농축물을 첨가할 수 있는 계면활성 배합물이 기타 조제 및 첨가제 예컨대 오일, 과지방화제(superfatting agents), 안정제, 왁스, 조도(調度) 조절제, 증점제, 양이온성 중합체, 실리콘 화합물, 생합성제제(biogenic agents), 비듬방지제, 피막 형성제, 방부제, 굴수성(屈水性) 유발 물질, 용해제, UV 흡수제, 염료 및 방향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적당한 오일은 예를 들어 탄소수 6 내지 18 및 바람직하게 8 내지 10 을 함유하는 지방 알콜에 기재한 구에르베트(Guerbet) 알콜, 선형 C6∼20지방산과 선형 C6∼20지방 알콜의 에스테르, 분지형 C6∼13카르복실산과 선형 C6∼20지방 알콜의 에스테르, 선형 C6∼18지방산과 분지형 알콜, 더욱 특히 2-에틸 헥사놀의 에스테르, 선형 및/또는 분지형 지방산과 다가 알콜(예컨대 이량체 디올 또는 삼량체 트리올) 및/또는 구에르베트 알콜의 에스테르, C6∼10지방산에 기재한 트리글리세리드, 식물성 오일, 분지형 1차 알콜, 치환 시클로헥산, 구에르베트 탄산염, 디알킬 에테르 및/또는 지방족 또는 나프탈렌족 탄화수소이다.
과지방화제를 후기 물질 에컨대 라놀린 및 레시틴 및 또한 폴리에톡시화 또는 아실화 라놀린 및 레시틴 유도체,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지방산 알칸올아미드가 또한 발포안정제로서 작용한다. 주로 사용되는 조도 조절제는 탄소수 12 내지 22 및 바람직하게 16 내지 18 을 함유하는 지방 알콜이다. 상기 물질과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및/또는 동일 쇄 길이의 지방산 N-메틸 글루카미드 및/또는 폴리글리세롤 폴리-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의 복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적당한 증점제는 예를 들어 폴리사카라이드, 더욱 구체적으로 크산탄검, 구아-구아(guar-guar), 아가-아가(agar-agar), 알긴산염 및 틸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또한 지방산의 상대적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 계면활성제 예컨대 에톡시화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과 폴리올의 에스테르,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트리메틸올 프로판, 협위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및 전해질, 예컨대 염화나트륨 및 염화암모늄이다.
적당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양이온성 전분, 디알릴 암모늄염과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4차화 비닐 피롤리돈/비닐 이미다졸 중합체 예컨대 Luviquat(등록상표)(BASF AG, Ludwigshafen, FRG), 폴리글리콜 및 아민의 축합 생성물, 4차화 콜라겐 폴리펩타이드 예컨대 라우릴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콜라겐(Lauryldimonium Hydroxypropyl Hydrolyzed Collagen) (Lamequat(등록상표)L, Grunau GmbH), 4차화 밀 폴리펩타이드,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성 실리콘 중합체 예컨대 아미도메티콘 또는 다우 코닝(Dow Corning), 다우코닝사, 미국, 아디프산과 디메틸아미노히드록시프로필 디에틸렌트리아민의 공중합체(Cartaretine(등록상표), Sandoz AG, CH), 예를 들어 FR-A 2 252 840 에 기재된 대로 폴리아미노폴리아미드 및 이의 가교 수용성 중합체, 양이온성 키틴 유도체 예컨대 임의로 미소결정성 분포로 4차화 키토산, 디할로알킬, 예컨대 디브로모부탄과, 비스디알킬아민, 예컨대, 비스디메틸아미노-1,3-프로판의 축합 생성물, 양이온성 구아검, 예컨대 셀라니스(Celanese) USA 의 자구아(Jaguar)(등록상표) CBS, 자구아(등록상표) C-17, 자구아(등록상표) C-16, 4차화 암모늄염 중합체 예컨대 Miranol, USA 의 미라폴(Mirapol)(등록상표) A-15, 미라폴(등록상표) AD-1, 미라폴(등록상표) AZ-1 이다.
적당한 실리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실온에서 액체 및 수지형일 수 있는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환식 실리콘 및 아미노개질, 지방산개질, 알콜개질, 폴리에테르개질, 에폭시개질, 플루오르개질 및/또는 알킬개질 실리콘 화합물이다. 지방의 전형적인 예는 글리세리드이면서 적당한 왁스는 임의로 친수성 왁스와 복합물로서 특히 밀납, 파리핀 왁스 또는 마이크로왁스(microwaxes), 예를 들어 세틸 스테아릴 알콜이다.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이외에, 기타 공지된 진주빛 왁스 예컨대 특히 폴리알킬렌 글리콜, 부분 글리세리드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단 및 이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 알콜과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및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를 또한 본 발명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지방산의 금속염 예컨대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또는 아연 스테아레이트를 안정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생합성제제는 예를 들어 비스아볼롤(bisabolol), 알란토인(allantoin), 피탄트리올(phytantriol), 판테놀(panthenol), AHA 산, 식물 추출물 및 비타민 착물이다. 클림바졸(Climbazol), 옥토피록스(octopirox) 및 아연 피레티온(pyrethion)을 비듬방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인 피막 형성제는 예를 들어 키토산, 미세결정성 키토산, 4차화 키토산, 폴리비닐 피롤리돈, 비닐 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산 시리즈의 중합체, 4차 셀룰로오스 유도체, 콜라겐,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및 이의 염 및 유사 화합물이다. 추가로, 굴수성 유발 물질 예컨대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루코오스를 유동 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방부제는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용액, 파라벤(parabens), 펜탄디올 또는 소르브산(sorbic acid) 이다. 사용되는 염료를 예를 들어 "Kosmetische Farbemittel" of the Farbstoffkommission der Deutschen Forschungsgemeinschaft, Verlag Chemie 출판, Weinheim, 1984, p. 81∼106 출판물에서 나열된 것과 같이, 화장품용으로 허용되고 적합한 임의 물질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염료를 전체 혼합물에 대해 0.001 내지 0.1 중량% 의 농도로 전형적으로 사용한다.
보조제 및 첨가제의 총량은 배합물에 대해 1 내지 50 중량%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5 내지 40 중량% 이다. 배합물을 상온가공 또는 열간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전상(轉相)온도법으로 제조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계면활성 배합물의 제조를 위한 진주빛 왁스로서 언급된 지방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진주빛 농축물 R1 내지 R7 및 비교 혼합물 R8 을 40 ℃ 에서 14 일 동안 저장시킨후, 이의 점도를 RVT 점도계를 이용한 브룩필드법(Brookfield Method)으로 측정한다(25 ℃, 10 r.p.m., 회전축 5). 그 다음 진주빛 농축물 R1 내지 R7 각각 2 g, 코코넛 지방 알콜 + 2 EO 술페이트 나트륨염 15 g, 디메틸 폴리실록산 3 g, 코코알킬 글루코시드 5 g 및 에스테르콰트 1.5 g (나머지는 물로 채워 100 중량%)을 함유하는 수함유 헤어 샴푸를 20 ℃ 에서 성분을 혼합시켜 제조한다. 샴푸에서 진주빛 결정의 입자 미립도를 1= 극미세 결정 내지 5= 조립성 결정의 범위에서 현미경으로 시각적으로 평가한다. 또한 펄에센스를 1= 밝음 내지 5= 흐림의 범위에서 평가한다. 불투명성을 시각적으로 측정하고 (+) = 불투명 또는 (-) = 투명으로서 평가한다. 조성물 및 결과를 모든 양을 중량% 로 표현되는 표 1 에 나타낸다.
진주빛 조성물의 조성 및 성능
조 성 R1 R2 R3 R4 R5 R6 R7 R8
C32/48지방 알콜 25 - 20 20 - - - -
스테아론 - 25 - - - - - -
디스테아릴 에테르 - - - - 25 - 7 -
모노/디스테아릴 탄산염 - - - - - 25 - -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 - 5 5 - - - 25
코코알콜+4 EO 5 5 5 - 5 5 - 5
코코알킬 글루코시드 9 9 9 15 9 9 - 9
코코지방산 베타인 5 5 5 4 5 5 - 5
코코알콜+2 EO 술페이트 Na 염 - - - - - - 65 -
글리세롤 5 5 5 5 5 5 4 5
프로필렌 글리콜/부틸렌 글리콜(1:5) - - - - - - 23 -
100 까지
농축물의 점도[mPas]
- 1 일후, 40 ℃ 8100 8200 6400 7900 8100 8100 8300 9500
- 14 일후, 40 ℃ 7900 7800 5900 7800 7800 7700 8100 7200
배합물에서 펄에센스
- 광택 1.5 1.5 1.0 1.0 1.5 1.5 1.0 2.0
- 입자 미립도 1.5 1.5 1.5 2.0 1.5 1.0 1.0 3.0
- 불투명성 - - - - - - - +

Claims (11)

  1. 양을 100 중량% 이하로 첨가하는 것을 조건으로 비수성 성분 기재로, 하기를 함유하는 수성 진주빛 농축물:
    (a) 화합물이 모두 탄소수 18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조건으로 지방 알콜, 지방 케톤, 지방 에테르 및 지방 탄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 화합물 1 내지 99.9 중량%,
    (b)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및/또는 쯔비터(zwitter)이온성 유화제 0.1 내지 90 중량% 및
    (c) 폴리올 0 내지 40 중량%.
  2. 제 1 항에 있어서, (a)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I) 에 대응하는 지방 알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빛 농축물:
    [화학식 I]
    R1OH
    [식중, R1은 탄소수 18 내지 48 을 함유하는 선형 알킬기이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II) 에 대응하는 지방 케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빛 농축물:
    [화학식 II]
    R2-CO-R3
    [식중, 서로 독립적인 R2및 R3은 탄소수 1 내지 22 를 함유하는 알킬 및/또는 알케닐기이고, 단 이들은 모두 탄소수 18 이상을 함유한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III) 에 대응하는 지방 에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빛 농축물:
    [화학식 III]
    R4-O-R5
    [식중, 서로 독립적인 R4및 R5는 탄소수 1 내지 22 를 함유하는 알킬 및/또는 알케닐기이고, 단 이들은 모두 탄소수 18 이상을 함유한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IV) 에 대응하는 지방 탄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빛 농축물:
    [화학식 IV]
    R6O-CO-OR7
    [식중, 서로 독립적인 R6및 R7은 탄소수 1 내지 22 를 함유하는 알킬 및/또는 알케닐기이고, 단 이들이 모두 탄소수 18 이상을 함유한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빛 농축물:
    (b1) 에틸렌 옥시드 2 내지 30 몰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0 내지 5 몰과 탄소수 8 내지 22 를 함유하는 선형 지방 알콜, 탄소수 12 내지 22 를 함유하는 지방산, 알킬기에서 탄소수 8 내지 15 를 함유하는 알킬페놀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첨가 생성물;
    (b2) 에틸렌 옥시드 1 내지 30 몰과 글리세롤의 첨가 생성물의 C12/18지방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b3) 탄소수 6 내지 22 를 함유하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의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및 소르비탄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및 이의 에틸렌 옥시드 첨가 생성물;
    (b4) 알킬기에서 탄소수 8 내지 22 를 함유하는 알킬 모노 및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이의 에톡시화 유사체;
    (b5) 에틸렌 옥시드 15 내지 60 몰과 피마자유 및/또는 경화 피마자유의 첨가 생성물;
    (b6) 폴리올 에스테르;
    (b7) 에틸렌 옥시드 2 내지 15 몰과 피마자유 및/또는 경화 피마자유의 첨가 생성물;
    (b8) 선형, 분지형, 불포화 또는 포화 C12/22지방산, 리시놀산 및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및 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당 알콜 및 폴리글루코시드에 기재한 부분 에스테르;
    (b9) 트리알킬 포스페이트;
    (b10) 면 왁스 알콜;
    (b11) 폴리실록산/폴리알킬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이의 대응 유도체;
    (b12) 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시트르산 및 지방 알콜의 혼합 에테르; 및
    (b13) 폴리알킬렌 글리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형의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빛 농축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성분으로서 글리세롤, 1,2-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및/또는 평균 분자량 100 내지 1,000 돌튼(dalton)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0.1 내지 40 중량%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주빛 농축물.
  9. (a), (b) 및 (c) 성분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의 융점 초과 1 내지 30 ℃ 의 온도로 가열하고, 이것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온도를 갖는 필요량의 물과 혼합한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청구된 진주빛 농축물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청구된 진주빛 농축물이 제제에 대해 0 내지 40 ℃ 에서 0.5 내지 40 중량% 의 양으로 첨가되고 여기에서 교반에 의해 분산되는, 수용성 계면활성 물질의 불투명 및 진주빛 액체 수함유 제제의 제조 방법.
  11. 계면활성 배합물의 제조용 진주빛 왁스로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방 화합물의 용도.
KR1019980709941A 1996-06-07 1997-05-30 수성 진주빛 농축물 KR200000163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2968A DE19622968C2 (de) 1996-06-07 1996-06-07 Wäßrige Perlglanzkonzentrate
DE19622968.5 1996-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367A true KR20000016367A (ko) 2000-03-25

Family

ID=779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941A KR20000016367A (ko) 1996-06-07 1997-05-30 수성 진주빛 농축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28831B1 (ko)
EP (2) EP1352628B1 (ko)
JP (3) JP4037907B2 (ko)
KR (1) KR20000016367A (ko)
AU (1) AU726635B2 (ko)
CA (1) CA2257966A1 (ko)
DE (3) DE19622968C2 (ko)
ES (2) ES2202621T3 (ko)
ID (1) ID17471A (ko)
NZ (1) NZ333178A (ko)
WO (1) WO199704727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787B1 (ko) * 2001-09-10 2008-08-27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진주색 광택제 분산액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1532B1 (fr) * 1996-07-23 1998-08-28 Oreal Compositions lavantes et conditionnantes a base de silicone et de dialkylether
DE19732709C1 (de) * 1997-07-30 1999-01-21 Henkel Kgaa Wäßrige Perlglanzkonzentrate
FR2781368B1 (fr) 1998-07-27 2000-09-01 Oreal Composition contenant un agent opacifiant ou nacrant et au moins un alcool gras
DE19921187C2 (de) * 1999-05-07 2001-06-28 Cogni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kalten Herstellung von perlglänzenden Tensidzubereitungen
DE19921186C2 (de) * 1999-05-07 2003-02-06 Cognis Deutschland Gmbh Hochkonzentriert fließfähige Perlglanzkonzentr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6495498B2 (en) 1999-05-27 2002-12-17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Detergent compositions with enhanced depositing, conditioning and softness capabilities
DE19927173C1 (de) * 1999-06-15 2001-06-21 Cognis Deutschland Gmbh Wäßrige Perlglanzkonzentrate
DE19927171A1 (de) * 1999-06-15 2000-12-21 Cognis Deutschland Gmbh Wäßrige Perlglanzkonzentrate
DE19927172C1 (de) * 1999-06-15 2001-08-09 Cognis Deutschland Gmbh Wäßrige Perlglanzkonzentrate
DE19927653C2 (de) * 1999-06-17 2002-10-24 Cognis Deutschland Gmbh Wäßrige Perlglanzkonzentrate
DE19931998C2 (de) * 1999-07-09 2002-11-14 Cognis Deutschland Gmbh Wäßrige Perlglanzkonzentrate
AU2006222675B2 (en) * 2000-03-31 2008-08-14 Sasol Germany Gmbh Pearly luster concentrates
DE10015992A1 (de) * 2000-03-31 2001-10-18 Rwe Dea Ag Perlglanzkonzentrate
DE10133399A1 (de) * 2001-07-13 2003-01-23 Cognis Deutschland Gmbh Zusammensetzung auf Wachsbasis
FR2848830B1 (fr) * 2002-12-19 2005-05-13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tensioactif amphotere et un agent nacrant et leurs utilisations
DE10300506A1 (de) 2003-01-08 2004-07-22 Cognis Deutschland Gmbh & Co. Kg Wachsdispersionen
US20050158270A1 (en) * 2004-01-15 2005-07-21 Seren Frantz Pearlizer concentrate and its use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DE102004009426A1 (de) 2004-02-24 2005-09-08 Cognis Deutschland Gmbh & Co. Kg Konditionierende Reinigungszubereitung auf Basis von Silikonen und bestimmten Wachsen
US8017136B2 (en) * 2004-05-24 2011-09-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iny foundation
KR101260099B1 (ko) * 2007-03-12 2013-05-02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펄 광택 조성물
JP5294754B2 (ja) * 2008-08-26 2013-09-18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KR101285911B1 (ko) * 2008-09-17 2013-07-12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펄 광택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566535B1 (ko) 2009-08-27 2015-11-05 오티씨 게엠베하 진주광택 농축물 및 그 제조방법
US9138429B2 (en) 2011-06-23 2015-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of forming crystals for use in a personal care composition
CN113730297B (zh) * 2021-06-17 2023-03-31 广州市衡拓贸易有限公司 一种珠光免洗护发精华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5574B (de) 1960-08-08 1964-03-19 Dehyda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s Emulgiermittel fuer Salbengrundlagen dienenden Mischestern
US3350320A (en) 1965-12-09 1967-10-31 Colgate Palmolive Co Detergent bar containing fatty ketone
US3547828A (en) 1968-09-03 1970-12-15 Rohm & Haas Alkyl oligosaccharides and their mixtures with alkyl glucosides and alkanols
US3772269A (en) 1969-07-24 1973-11-13 Ici America Inc Glycoside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3707535A (en) 1969-07-24 1972-12-26 Atlas Chem Ind Process for preparing mono- and polyglycosides
DE2024051C3 (de) 1970-05-16 1986-05-07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Verwendung der Veresterungsprodukte von Glycerin-Äthylenoxid-Addukten mit Fettsäuren als Rückfettungsmittel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US3839318A (en) 1970-09-27 1974-10-01 Rohm & Haas Process for preparation of alkyl glucosides and alkyl oligosaccharides
DE2242541A1 (de) 1972-08-30 1974-03-07 Henkel & Cie Gmbh Schwachschaeumende wasch-, reinigungs- und enthaertungsmittel
LU68901A1 (ko) 1973-11-30 1975-08-20
US4172887A (en) 1973-11-30 1979-10-30 L'oreal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crosslinked polyaminopolyamides
US4009254A (en) 1974-05-06 1977-02-22 Colgate-Palmolive Company Topical compositions
DE2603803A1 (de) 1976-02-02 1977-08-04 Henkel & Cie Gmbh Verwendung von fettketon-sterin- mischungen als wasser-in-oel-emulgatoren
DE3001064A1 (de) 1980-01-12 1981-07-16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reinigung von alkylglycosiden durch destillative abtennung nicht umgesetzter alkohole
ATE15498T1 (de) 1981-10-08 1985-09-15 Rohm & Haas Franc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berflaechenaktiven glykosiden und ihre verwendung in kosmetischen, pharmazeutischen und haushaltsprodukten.
JPS6013706A (ja) 1983-07-05 1985-01-24 Kao Corp パ−ル剤分散液
JPS6038309A (ja) * 1983-08-11 1985-02-27 Shiseido Co Ltd パ−ル光沢を有する組成物
JPS6038310A (ja) * 1983-08-11 1985-02-27 Kobayashi Kooc:Kk パ−ル剤組成物
CA1261276A (en) 1984-11-09 1989-09-26 Mark B. Grote Shampoo compositions
JPS61152609A (ja) * 1984-12-27 1986-07-11 Mitsui Toatsu Chem Inc 化粧料組成物
DE3519080A1 (de) 1985-05-28 1986-12-04 Henkel Kgaa Fliessfaehiges perlglanzkonzentrat
DE3636256A1 (de) 1986-10-24 1988-04-28 Henkel Kgaa Kosmetische emulsionen mit verbessertem fliessverhalten
EP0285389B1 (en) 1987-04-01 1992-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mpoo compositions
JPH0617296B2 (ja) 1987-05-15 1994-03-09 鐘紡株式会社 毛髪処理剤
JP2815867B2 (ja) * 1988-06-22 1998-10-27 東洋ビューティ株式会社 洗浄用組成物
DE3837860A1 (de) 1988-11-08 1990-05-10 Wella Ag Lagerstabiles haarkonditionierungsmittel mit perlglanz
US5711899A (en) 1988-12-23 1998-01-27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Free flowing pearlescent concentrate
DE3843572A1 (de) * 1988-12-23 1990-06-28 Henkel Kgaa Fliessfaehiges perlglanzkonzentrat
ATE125689T1 (de) * 1989-06-21 1995-08-15 Colgate Palmolive Co Haarpflegeshampoo, das als bestandteil einen langketten-alkohol enthält.
GB8927956D0 (en) * 1989-12-11 1990-02-14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FR2662175B1 (fr) * 1990-05-18 1994-05-13 Oreal Compositions de lavage a base de silicone et d'alcools gras a groupements ether et/ou thioether ou sulfoxyde.
DE4103551A1 (de) * 1991-02-06 1992-08-13 Henkel Kgaa Fliessfaehiges perlglanzkonzentrat
DE4119890A1 (de) 1991-06-17 1992-12-24 Henkel Kgaa Kosmetische und pharmazeutische oelkomponente
DE59300931D1 (de) * 1992-05-13 1995-12-21 Hoechst Ag Nichtionische, fliessfähige Perlglanzdispersionen.
DE4224715A1 (de) 1992-07-27 1994-02-03 Hoechst Ag Fließfähige konservierungsmittelfreie Perlglanzdispersionen
ATE186944T1 (de) 1994-05-28 1999-12-15 Goldschmidt Ag Th Wässrige, fliessfähige perlglanzkonzentrate
DE29520749U1 (de) 1995-11-02 1996-03-14 Henkel Kgaa Kosmetische und pharmazeutische Emulsion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787B1 (ko) * 2001-09-10 2008-08-27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진주색 광택제 분산액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04220A (ja) 2006-04-20
JP4037907B2 (ja) 2008-01-23
JP4108710B2 (ja) 2008-06-25
DE59712526D1 (de) 2006-01-19
DE59710759D1 (de) 2003-10-23
AU726635B2 (en) 2000-11-16
DE19622968A1 (de) 1997-12-11
EP1352628B1 (de) 2005-12-14
JP2000511913A (ja) 2000-09-12
WO1997047274A2 (de) 1997-12-18
NZ333178A (en) 2001-01-26
AU3031197A (en) 1998-01-07
CA2257966A1 (en) 1997-12-18
EP0910329A2 (de) 1999-04-28
WO1997047274A3 (de) 1998-02-26
ID17471A (id) 1998-01-08
US6228831B1 (en) 2001-05-08
JP2006117695A (ja) 2006-05-11
EP0910329B1 (de) 2003-09-17
DE19622968C2 (de) 2000-08-17
ES2202621T3 (es) 2004-04-01
EP1352628A1 (de) 2003-10-15
ES2254823T3 (es) 200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6367A (ko) 수성 진주빛 농축물
JP2001526106A (ja) 環式カーボネートの使用
US6878379B2 (en) Cosmetic preparations
JP2003519294A (ja) 透明な柔軟化製剤
US6210659B1 (en) Aqueous pearlescing concentrates
US6235702B1 (en) Aqueous nacreous lustre concentrate
JPH11510197A (ja) 流動性真珠光沢剤濃厚物
US6121331A (en) Aqueous nacreous luster concentrates
DE19732708C1 (de) Verwendung von Fettethern
JP2002508305A (ja) 粘性の改善された染毛製剤の製法
US6033652A (en) Hair-treatment formulations
JP2002541178A (ja) 化粧品製剤および/または医薬製剤
JP2000510133A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製剤
JP2000515174A (ja) 増粘剤としてのヒドロキシ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使用
JP2001501634A (ja) 水性の真珠光沢分散物
JP2001525349A (ja) 化粧用製剤を製造するためのエステルクォートおよびアルコキシル化脂肪酸アミドアミンを含む洗剤混合物の使用
CN1223564A (zh) 含水珠光光泽浓缩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