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139A - 프로폴리스 추출물 - Google Patents

프로폴리스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139A
KR20000012139A KR1019990031581A KR19990031581A KR20000012139A KR 20000012139 A KR20000012139 A KR 20000012139A KR 1019990031581 A KR1019990031581 A KR 1019990031581A KR 19990031581 A KR19990031581 A KR 19990031581A KR 20000012139 A KR20000012139 A KR 20000012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olis
extract
weight
action
propoli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0724B1 (ko
Inventor
시부야다카시
오쿠가즈유키
아가하지메
후쿠다시게하루
Original Assignee
도시오 미야께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오 미야께,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filed Critical 도시오 미야께
Publication of KR2000001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프로폴리스의 냄새 성분을 감소시킴으로써 그 특이한 냄새를 저감시킨 프로폴리스 추출물과, 프로폴리스를 친수성 유기 용매중에 침지하여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중의 액층을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시킨 생리활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로폴리스 추출물{PROPOLIS EXTRACT}
본 발명은 신규의 프로폴리스 추출물, 특히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를 저감시킨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폴리스는 벌집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점착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프로폴리스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주성분으로서의 수지류, 비이스왁스, 정유(精油) 및 화분(pollen) 등이 균질 혼합물 형태로 각종 미량 성분으로서 존재하고 있다고 한다. 프로폴리스는 살균작용과 진통작용이 있기 때문에 옛날부터 민간의약으로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어 오고 있다. 문헌[Shionobu Matsuda, "Food and Food Ingredients Journal of Japan, No. 160, pp. 64∼73 (199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근래에 와서 플라보노이드류 및 페놀카르복시산 등의 기타 성분들이 분리되어 하나씩 확인되고 있다. 특정 성분과 그 생리작용의 확인, 및 해명이 진행함에 따라 생명개선 수단으로서의 프로폴리스의 유용성이 각광을 받고 있으므로 각종 건강식품 및 건강 보조 식품들이 시판되고 있다.
그런데 프로폴리스 그대로는 통상적으로 다량의 협잡물을 함유하고 있고 물에 용해하기 어려우므로 식품에 사용하기가 마땅하지 않다. 시판되고 있는 건강식품과 건강 보조 식품에 있어서는 파쇄한 프로폴리스 덩어리를 에탄올, 글리세롤 및/또는 물에 침지하는 단계를 통해 얻은 추출물 형태의 프로폴리스가 첨가되어 있다. 프로폴리스는 특이한 냄새를 가지고 있어서 이것이 해결해야 할 결점의 하나로 되어 있으나, 현재 입수 가능한 프로폴리스 추출물에서는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 용도는 몇가지 식품에 한정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 165,595/89호 공보 및 제 316,968/93호 공보에서는 합성 다공성 흡착제, 양이온 교환수지 및 활성탄을 사용하여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외관과 냄새를 개선하고자 하는 몇가지 접근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 방법은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를 저감하는데 성공적이지 못함이 판명되었다.
상기한 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를 저감시킨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이러한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몇가지 용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된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가스 크로마토그램.
도 2는 음이온 교환수지로 처리되지 아니한 다른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램.
도 1 및 도 2에서 "A"는 냄새성분 A의 피이크를 나타내고 "B"는 냄새성분 B의 피이크, 그리고, "C"는 내부표준 p-에틸 페놀의 피이크를 각각 나타냄.
본 발명자들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와 관능시험을 병용하여 프로폴리스중의 냄새성분을 조사한 결과, 내부 표준으로서 p-에틸 페놀을 사용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한가지 주요 냄새성분이 p-에틸 페놀에 대해 상대 체류시간 0.7∼0.8을 나타내고 다른 주요 냄새 성분은 p-에틸 페놀에 대해 상대 체류 시간 1.2∼1.3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성분들을 제거할 수 있는 각종 방법에 대해 조사한 결과, 프로폴리스를 친수성 유기용매에 침지하여 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물을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함으로써 이들 성분을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프로폴리스 본래의 생리활성을 감소시킴이 없이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렇게 하여 수득한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종래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에서와 동일한 용도외에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로 인해 종래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에서는 결코 실현할 수 없었던 각종 용도에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한 제 1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 표준으로서 p-에틸 페놀을 사용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측정한 p-에틸 페놀에 대한 상대 체류시간 0.7∼0.8의 냄새성분 및/또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측정한 상대 체류시간 1.2∼1.3의 다른 냄새성분의 함유량을 감소시킨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 2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를 친수성 유기 용매에 침지하여 추출을 한후, 수득한 추출물을 음이온 교환 수지로써 처리하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 3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러한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한 생리활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중의 냄새성분의 확인 및 상기 성분들을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의 발견에 근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폴리스중의 주요 냄새성분은 내부표준으로서 p-에틸 페놀을 사용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p-에틸 페놀에 대한 상대 체류시간이 0.7∼0.8 또는 1.2∼1.3을 나타낸다.
종래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출발물질인 프로폴리스의 공급원과 추출 방법과는 관계없이 전자의 냄새성분을 고형물 1 g당 4 mg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고, 또한 후자의 냄새성분을 고형물 1 g당 60 mg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다.
또한 관능시험의 결과, 전자 및/또는 후자의 냄새성분(들)의 함유량을 감소시키면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전자 및 후자의 냄새성분들이 고형물 1 g당 각각 2.5 mg 미만 및 40 mg미만이면 특이한 냄새를 실질적으로 감지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이라 함은 내부표준인 p-에틸 페놀을 사용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p-에틸 페놀에 대한 상대 체류시간 0.7∼0.8인 냄새성분 및/또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측정한, p-에틸페놀에 대한 상대 체류시간 1.2∼1.3인 다른 냄새성분의 함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면, 출발물질인 프로폴리스의 특성과 공급원 및 제조방법과는 관계없이 일반적인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친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추출 단계와 음이온 교환수지에 의한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소망의 양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먼저 프로폴리스를 친수성 유기용매에 침지하여 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물에서의 액층을 회수하여 음이온 교환수지로 처리하여 냄새성분을 제거한다. 출발 물질인 프로폴리스의 공급원으로서는 일본산, 남미산, 북미산, 오스트렐리아산, 중국산 및 유럽산 들을 사용할 수 있다. 덩어리 상태의 프로폴리스를 파쇄 및/또는 분쇄하여 추출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친수성 유기용매"라 함은 물속에 용해하는 것이면 어떠한 유기용매라도 좋은데, 바람직한 친수성 용매의 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의 통상적으로 물과의 혼합물로 하여 사용되는 저급 알코올류를 들 수 있다.
추출 조건에 대해서는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친수성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물을 등(等) 체적(equivolume), 바람직하게는 5배 체적을 사용하여 프로폴리스를 침지하고, 교반하면서 실온이상의 온도, 통상적으로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80℃에서 0.5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 추출한다. 통상적으로 추출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예컨대 친수성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물의 경우에는 친수성 용매의 비를 먼저 낮은 레벨로 설정한 다음, 추출을 반복할 때마다 단계적으로 올린다. 더욱 상세하게는 친수성 유기 용매량을 30%(v/v) 이하로 한 혼합물중에 프로폴리스를 침지한 다음, 고형물층을 채취하고 친수성 유기용매량을 30%(v/v) 이상으로 한 혼합물중에 다시 침지하여 추가로 추출을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역류법을 연속식 또는 반연속식으로하여 채용하면 추출을 유리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단계를 거친 프로폴리스는 협잡물을 함유한 고형물층과 생리활성 성분 고함유의 액층으로 되어 있다. 이 액층을, 예컨대 여과, 경사분리 및/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회수하고, 필요한 경우 소요의 농도로 조정한 후 음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하는 처리단계로 옮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음이온 교환 수지"라 함은, 3차원상으로 중합된 탄화수소로 된 분말상, 과립상, 비이드상 또는 중공섬유(hollow fiber)상의 폴리머 베이스로서, 이 폴리머 베이스에 음이온 교환기로서 1차 아미노기, 2차 아미노기, 3차 아미노기 및/또는 4차 암모늄기 등이 화학적으로 결합한 강염기형, 중간 염기형 및 약염기형 음이온 교환 수지 일반을 의미한다. 시판되고 있는 음이온 교환 수지의 예로서는 "DIAION WA-10", "DIAION WA-11", "DIAION WA-20" "DIAION WA-21" 및 "DIAION WA-30" (이상은 모두가 일본국의 Mitsubishi Chemical사제임), "AMBERLITE IRA411S", "AMBERLITE RA458" 및 "DUOLITE A-30B" (이상은 모두가 미합중국의 Rohm & Haas사제임) 및 "A21", "A26" (이상은 일본국의 Japan Organo사제임)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을 필요에 따라 양이온 교환 수지 및/또는 합성 다공성 흡착제와 병용해도 좋다. 음이온 교환 수지를 양이온 교환수지와 병용하면 고품질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쉽사리 얻을 수 있다.
액층을 회분식(batchwise) 또는 연속식으로 처리한다. 즉 액층의 처리량이 대량일 경우에는 유리, 세라믹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원통형의 관내의 칼럼속에 음이온 교환 수지를 충전하여 연속조작법을 채용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각 경우에 있어서 처리될 액층중의 용질의 양에 대해 습중량으로 1%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의 음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하며, 처리조건은 액층을 음이온 교환수지와 0.1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0.5시간 이상 계속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한다. 예컨대 음이온 교환수지를 칼럼속에 충전할 경우에 있어서 친수성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액을 칼럼을 통과시켜 평형화시키고, 액층을 칼럼의 한족끝을 통해 가한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갖 제조한 신선한 혼합물을 SV5 이하, 바람직하게는 SV3 이하로 가한다. 칼럼에서 나오는 용출물을 분획하고,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한 획분을 채취하여 한데 모아 농축한 다음, 필요에 따라 탈수하여 액상, 시럽상 또는 고형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얻은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가 실질적으로 제거되어 있으므로 추출물은 냄새가 없다.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프로폴리스 본래의 생리작용, 예컨대 살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종양 작용, 소염작용, 항과지방혈증 작용, 국소마취 작용, 면역조절 작용, 세포 자연괴사증 작용, 항산화 작용, 자외선 흡수 작용, 방부작용, 비타민 P 보급 작용 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단독 혹은 식품, 화장품(토일레타리제품 포함) 및 의약품의 분야 및 프로폴리스의 생리작용을 필요로 하는 기타 분야에서의 기타의 생리활성 조성물과 병용하여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생리활성 조성물"이라 함은 이들이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과 더불어 첨가되어 프로폴리스의 생리작용을 필요로 하여 사용되는 상기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태와는 관계없이 어떠한 조성물이라도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더 가공처리함이 없이 상기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형태와 최종제품 제조시에 사용되는 출발물질 및 성분의 형태 및 최종제품 제조단계에서 첨가되는 중간체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특정 분야에서의 용도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식품 분야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보충적으로 건강식품으로서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식품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의 1종 이상의 재료 및/또는 첨가 성분, 예컨대 물, 알코올, 전분, 단백질, 식이섬유, 당류, 지질, 비타민, 미네랄, 향료, 색소, 감미료, 조미료,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보존제, 살균제, 살진균제, 항산화제와 병용하여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섭취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생리활성 조성물을 특정의 최종 용도에 부합하게끔 액상, 에멀젼상, 시럽, 크림, 페이스트, 젤리, 분말, 과립 및 기타 소요의 고형으로 제조한다. 식품분야에서의 용도와 관련된 생리활성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건조 고형물 기준으로 0.001 %(w/w)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5 %(w/w) 이상의 양으로 함유한다.
특정의 식품형태로서는, 예컨대 간장, 분말 간장, 미소 (된장), 훈마츠 미소 (분말 된장), 모로미 (무정제 술), 히시오 (무정제 간장), 후리카케 (어육 조미품), 마요네즈, 드레싱, 식초, 산바이 주 (설탕, 간장, 식초로 된 소오스), 훈마츠 스시 수 (초밥용 분말 식초), 텐츠유 (일본식 튀김 식품용 소오스), 멘츠유 (일본식 버어미셀리용 소오스), 소오스, 켓찹, 야구니쿠 노 타레 (일본식 불고기용 소오스), 커리 루우, 츄카 노 모토 (중화 요리용 조미료), 인스탄트 스튜우 믹스, 인스탄트 수우프 믹스, 다시 노 모토 (인스탄트 스톡 믹스), 복합 조미료, 미린 (감미나는 술), 신미린 (합성 미린), 테이블 슈거, 커피 슈거 등의 각종 조미료; 센베이 (쌀 크래커), 아라레 (구운 쌀떡), 오코시 (기장과 쌀로 된 케이크), 카린토 (튀긴 반죽 케이크), 규히 (전분 페이스트), 모치 (쌀떡), 만주 (팥 잼 넣은 만두), 우이로 (단맛의 젤리), 안 (팥 잼), 요캉 (단맛의 팥 젤리), 미즈 요캉 (연질의 아즈키 팥 젤리), 킹요쿠 (요캉의 일종), 젤리, 파오 드 카스텔라, 아메다마 (일본식 토피) 등의 일본식 과자; 비스켓, 크래커, 쿠우키, 파이, 푸딩, 크리임 퍼프, 와플, 스폰지 케이크, 도우넛, 초콜렛, 츄잉 검, 카라멜, 캔디, 검 젤리 등의 양과자; 아이스 크리임, 아이스 캔디, 셔어벳 등의 빙과류; 코리미츠 (빙수용 설탕 시럽) 등의 시럽류; 버터 크림, 커스타드 크림; 잼, 마아멀레이드, 시럽 즈케 (과실 시럽피클류), 토카 (당과) 등의 과실과 야채의 가공 식품류; 빵, 면, 볶은밥, 인조육 등의 가공 곡류식품; 푸쿠진 즈케 (적색의 무우 피클), 베타라 즈케 (통무우 피클의 일종), 센마이 즈케 (갖썰은 무우 절임의 일종), 라쿄 즈케 (파 절임) 등의 절임 및 절임 제품류; 타쿠앙 즈케 노 모토 (절인 무우용의 프리믹스) 및 하쿠사이 즈케 노 모토 (배추 겉절임용 프리믹스) 등의 절임 및 절임 제품류용 프리믹스; 햄, 소오세지 등의 축육 제품류; 어육햄, 어육 소오세지, 어묵, 치쿠와 (어묵의 일종), 한펜 (일본식 튀긴 어묵) 등의 어육제품류; 성게 내장젓, 오징어젓, 가공된 다시마, 말린 오징어채, 미린으로 조미된 말린 복어 등의 각종 진미류;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로 조리한 끓인 식품; 끓인 식품, 구운 식품, 튀김, 튀긴 식품, 찐 식품, 소오스로 드레싱된 요리 등의 일상 요리; 튀김용 새우, 크로케, 샤오-마이, 교자 (다진 포오크를 채운 튀기거나 찐 경단), 하루마키 (중국식 요리의 일종), 햄버어거 스테이크, 미트 볼, 어육 햄버어거, 또는 어육 완자 등의 냉동식품; 햄버어거, 미트 보올, 팥 밥, 쇠고기 또는 닭고기와 함께 삶은 밥, 현미죽, 카레, 고기국, 데미글레이스 소오스, 진한 수우프, 맑은 수우프, 스튜, 일본식 잡탕찜, 합포사이 (고기 및 생선으로 된 중국식 야채요리의 일종), 삶은 콩, 닭고기 구이, 도가니 잡탕찜, 삶은밤, 살은 야채 등의 레토르트 식품; 킨시-타마고 (길쭉하게 동강낸 에그롤), 밀크 음료, 버터 치이즈 등의 계란 및 유(유)제품; 고기, 어육, 과실, 야채 등으로 된 통조림, 병조림 제품; 합성주, 술, 와인 소주 등의 알코올류; 커피, 코코아, 쥬우스, 녹차, 홍차, 우롱차, 미네랄 음료, 탄산음료, 신맛의 우유 음료, 유산균 음료 등의 소프트 드링크; 즉석 푸딩 믹스, 즉석 핫 케이트 믹스, 즉석 주우스, 소 쿠세키-시루코(떡과 아즈키 팥죽으로된 즉석 믹스), 즉식 수으프 믹스 등의 즉석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인간을 위한 식품외에도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가축, 가금, 꿀벌, 누에, 물고기 등의 동물을 위한 사료와 이료에 사용할 수도 있다.
토일레타리 제품을 포함한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보통 사용되는 화장품용 첨가성분 1종 이상과 병용하여 추출물의 응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첨가성분들의 예로서는 유성 기제, 수성 기제, 향료, 색소, 염료, 냉매, 보습제, 완화제, 유화제, 겔화제, 점도 증가제, 연화제, 용해제, 계면 활성제, 기포 안정제, 안정제, 청정제, 지방 과다증제, 부패제, 피막 형성제, 분무제, 방부제, 보존제, 항산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조성물에 다시 비타민, 아미노산, 펩티드, 호르몬, 추출물, 혈관 확장제, 혈행 개선제, 세포 활성화제, 살균제, 소염제, 담마진 발생 예방제, 수렴제, 피부기능 개선제, 각질 용해제 등의 약제 1종 이상을 추가로 혼합할 수도 있다. 조성물을 특정의 최종 용도에 부합하게끔 액체, 에멀젼, 크림, 페이스트, 분말, 과립 및 기타 소요의 형상의 고체 등의 형태로 제조한다. 화장품 분야에서의 용도와 관련하여 생리활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통상적으로 건조 고형물 기준으로 0.001 %(w/w)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5w/w% 이상 함유한다.
본 발명의 생리활성 조성물의 화장품 형태로서의 특수한 예로서는 양모제 및 육모(육모) 촉진제, 포마드, 헤어 스틱, 헤어 오일, 헤어 크림, 헤어 솔리드, 헤어 리퀴드, 헤어 세트 로우션, 헤어 스타일링 젤, 헤어 워터 그리스, 헤어 블로우, 헤어 에어로졸, 파마용 헤어 리퀴드, 모발 염료 등의 두발용 화장품; 샴푸, 헤어린스, 머리세정용 비누, 화장비누, 크리싱 폼(creasing foam) 등의 세정용 화장품; 화장수, 크림, 유액, 로우션, 팩, 파운데이션, 립 스틱, 루우즈, 아이 라이너, 마스카라, 아이 쉐도우, 눈썹 연필, 매니큐어, 본 등의 피부용 화장품; 치약 분말, 보습 치약, 일반 치약, 치아 세정제, 의용 치약, 구중향정(cachou), 가아글 등의 구강용 화장품; 및 선스크린, 면도용 화장품, 목욕용 화장품, 향료, 콜론 향수, 겨드랑이 탈취제, 베이비 파우더, 아이 로우션, 표백 크림 등의 기타 화장품 등을 들 수 있다.
피부 및 모발용 화장품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α-글루코실 루틴, α-글루코실 헤스페리딘 및 α-글루코실 나린진 등의 α-글리코실 바이오플라보노이드를 약 0.001 %(w/w) ~ 약 10 %(w/w) 첨가하면 바이오프라보노이드가 피부에 대한 영양소 보충과 생체내에서의 대사를 촉진하으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기능을 보다 쉽게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말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및 말티톨 등의 보습작용이 있는 당질 또는 당 알코올을 보습제로 하여 적당량, 바람직하게는 최종량으로 1 %(w/w) 이하 첨가하면 피부, 두피 및/또는 모발을 적당히 습기차게 하므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그 기능을 보다 쉽사리 발휘하게 된다.
의약품 분야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의약 조성물에 사용하여 영양계, 순환기계, 비뇨/생식기, 뇌신경계, 눈, 귀, 코, 목 또는 피부 등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감염증, 자기면역 질환, 악성 종양 및 과지방 혈증 등의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해 감수성인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다.
의약품 분야에 있어서 유효량의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통상적인 약제 1종 이상과 더불어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인 약제의 예로서는 마취제, 최면 진정제, 항불안제, 항간질제, 해열소염제, 흥분제, 각성 아민(wake amine), 항파킨슨제, 정신신경증제, 중추신경계제, 골격근 이완제, 자율 신경계제, 항경련제, 안약, 이비약(耳鼻藥), 항현운제, 강심제, 항부정맥제, 이뇨제, 혈압 강하제, 혈관 수축제, 관상 혈관 확장제, 말초 혈관 확장제, 과지방 혈증제, 호흡 자극제, 진해거담제, 기관지 확장제, 알레르기약, 설사방지제, 장 장해제, 소화성 궤양제, 건위 소화제, 제산제, 담즙 배출제, 뇌하수체 호르몬제, 침샘 호르몬, 갑상선 호르몬제, 항갑상선제, 단백동화 스테로이드, 코프티코스테로이드, 안드로겐제, 에스트로겐제, 황체 호르몬제, 혼합 호르몬, 비뇨기/생식기약, 항문약, 외과용 살균/소득제, 창상 보호제, 화농성 질환 외용제, 진통제, 지양제, 수렴제, 소염제, 기생 피부 질환용 외용제, 피부 연화제, 부식제, 치과/경구약, 비타민, 무기제제, 보충액, 지혈제, 항응고제, 간질환약, 해독약, 습관성 중독제, 통풍 치료약, 효소제제, 당뇨병약, 항부종제, 항히스타민제, 자극치료제, 항생제, 화학요법제, 생물학적 제제, 구충약, 항원충제, 각종 의약제제, X선 조영제 및 진단약을 들 수 있다.
첨가성분의 예로서는 보조제, 희석제, 부형제, 안정제, 담체, 착색료, 향료, 살균제, 및 보존제를 들 수 있다. 수득한 조성물을 용도에 따라 소요의 제형으로 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의 예로서는 추출물, 엘릭시르, 캡슐제, 과립제, 환제, 안연고제, 현탁액제, 에멀젼제, 경고(plaster), 좌제, 산제, 알코올 제제, 정제, 시럽제, 침제(infusion), 전제(decoction), 주사제, 팅크제, 점안액, 트로키제, 연고제, 찜질제, 방향수제(aromatic water), 찰제(liniment), 레모네이드(lemonade), 유동 엑스(fluid extract), 로우션, 점비액(nasal drop), 비강 분무제, 하부기도 흡입제, 지속 방출성 안약, 경구용 점막 패치제, 및 관장약을 들 수 있다. 의약용의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성인 1인당 1일 투여량은 용도와 투여경로에 따라 통상적으로 0.01 mg∼100 ㎎에서 선택된다. 생리활성을 가진 천연물인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생리활성 조성물은 매일 사용하더라도 포유동물과 인간에게 유해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건강한 사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염려없이 사용하여 감수성 질환을 예방하고 생명활동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리활성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본래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컨대 살균제와 항산화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도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균의 증식과 유효성분의 산화를 억제할 필요가 있는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살균제 및 항산화제로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성분들중의 1종 이상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첨가성분들의 예로서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이외의 살균제와 항산화제, 보존제, 용해제, 증점제 및 향료를 들 수 있다. 목적에 따라 조성물을 특정의 최종 용도에 부합하게끔 용액, 현탁액, 시럽, 페이시트, 분말, 과립 및 기타의 소요의 고형물 형태로 제조한다. 이 조성물을 식품, 화장품, 의약품, 살균제 및 항균제에 첨가되는 출발물질 또는 중간물질로서 사용하여 최종제품에 있어서 살균작용, 항산화 작용, 방부작용, 항균작용 등을 나타내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성물 그 자체를 일상 사용되는 조리용 기구에 분무 또는 코우팅하여 사용되는 살균제 혹은 항산화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살균제 또는 항산화제로서의 용도와 관련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건조 고형물 기준으로 0.01 %(w/w)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w/w) 이상 함유한다.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곰팡이, 효모, 박테리아, 조류(algae) 등에 대해 현저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추출물은 인간에게 직접 적용될 뿐만 아니라 일용품에도 적용되는 살균제 또는 항균제에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를 위하여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통상적으로 소요의 용해제 또는 희석제 및 용도에 따라 독립하여 선택되는 추가성분을 혼합한다. 추가성분의 예로서는 은 등의 금속, 제올라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일종) 등의 염류, 향료, 착색료, 분무제, 계면 활성제, 바인더 수지, pH 조절제 및 완충제를 들 수 있다. 수득한 혼합물을 종이, 필름, 시이트, 포, 부직포, 경질 폼 러버, 반연질 폼 러버, 또는 연질 폼 러버 등에 침투 또는 도포하거나 튜우브, 분무 캔 또는 병속에 채워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제와 항균제를 종래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예컨대 미생물 오염이 되기 쉬운 물품 전체 또는 일부에다 분무하거나 코우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코우팅 또는 분무되는 물품의 예로서는 의류, 모자, 신발, 블레이드, 헤어 세팅 또는 스타일링 기구, 칫솔, 시계, 안경, 가방, 지갑, 우산, 양산 등의 개인용품; 펜, 연필 등의 필기구; 침대, 침대포, 에어컨 및 그 필터, 클리너, 가습기, 리모우트 콘트롤러, 완구, 싱크대, 변기, 문의 손잡이, 화장지, 욕조, 커어튼, 샤워 커어튼, 카펫, 양탄자, 어린이용 의자, 어린용 칸막이, 왁스류 등의 실내용품; 냉장고, 깡통 오프너, 토우스터, 조리용구, 쥬우서기, 조리용 칼, 냄비, 믹서, 분동, 체, 스트레이너, 스폰지, 도시락통 등의 주방용품; 비누, 세척제, 습한 타월, 습한 화장지, 타월, 매트 등의 일상 필수품; 접착제, 코오킹제, 콘크리트, 시멘트, 점착제, 페인트 등의 건자재; 전화, 계산기, 사무실용 컴퓨터, 카메라, 비데오 카메라, 대여용 비데오 테입, 대여용 레코드, 대여용 서적 등의 통신매체; 마작, 카아드, 체스판, 체스의 말 (일본식의 장기판 및 장기알을 포함), 서양장기판 및 말 (일본 바둑판 및 바둑알 포함) 등의 게임류; 운동기구, 악기, 위생 냅킨, 생리대, 신용 카아드, 핸들, 자동차 핸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제와 항균제를 기타의 살균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혼합, 혼련, 용해, 주입 또는 침지 단계에서 제조도중에 상기한 각종 물품중에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유기산을 첨가하면 그 생리활성들중의 한가지 이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유기산이라 함은 식품, 화장품, 의약, 살균제 또는 항균제에 첨가할 수 있는 염 등의 유도체를 포함한 유기산을 포함한다. 유기산의 예로서는 시트르산, 락트산, DL-타르타르산, L-타르타르산, 아세트산, 부티르산, 데히드로부티르산, 아디프산, 프로피온산, 푸마르산, 말산, L-아스파르트산, L-글루탐산, 신남산, L-아스코르브산, 니코틴산, 폴산, 글루콘산, 벤조산, 소르브산, 붕산, 시트르산 3나트륨, 시트르산 모노칼륨, 락트산 나트륨, 락트산 칼슘, DL-타르타르산 나트륨, L-타르타르산 칼륨, L-타르타르산 나트륨, 아세트산 나트륨, 프로피온산 칼슘, 프로피온산 나트륨, 푸마르산 모노나트륨, L-아스파르트산 나트륨, L-글루탐산 칼슘, 데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벤조산 나트륨 및 소르브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예를 필요에 따라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대한 고체형태의 유기산의 첨가량은 건조 고형물 기준으로 1/2배의 비율 이상, 바람직하게는 1대 40배이고, 액체형태의 경우에는 추출물의 총 건조 고형물 중량에 대해 액체 중량으로 1/2배의 비율 이상, 바람직하게는 1대 40배이다. 가장 바람직한 유기산은 시트르산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5배 중량의 시트르산과 혼합하면 각각의 활성의 합으로부터 추정된 강도보다 분명히 훨씬 높은, 상승적으로 증가된 강도를 가진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유기산을 추가로 함유한 본 발명의 생리활성 조성물은 상기한 어떤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리활성 조성물을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폴리스 추출물 이외의 살균제와 더불어 조성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이외의 살균제"라 함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 살균제 또는 항균제에 첨가할 수 있는 진균, 효모, 박테리아 또는 조류에 대하여 세포증식 억제작용 또는 세포사멸 작용을 가진 화합물을 포함한다. 프로폴리스 추출물 이외의 살균제의 예로서는 ε-폴리리신, 부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비페닐 히드록시벤조에이트, 벤조산, 벤조산 나트륨, 소르브산 및 소르브산 칼륨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을 상기한 유기산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이들 예를 필요에 따라 병용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진균류에 대해 효과가 있는 살균제를 본 발명에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대해 고체형태의 살균제를 건조 고형물 기준으로 1/2배의 비율 이상, 바람직하게는 1대 20배 첨가하고, 액체형태의 경우에는 추출물의 총 건조 고형물 중량에 대해 액체 중량으로 1/2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대 20배 첨가한다. 프로폴리스 추출물 이외의 살균제를 추가로 함유한 본 발명의 생리활성 조성물을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살균제인 ε-폴리리신은 진균류에 대해 효과가 있으며 식품에 배합할 수 있는 천연 화합물이다. 따라서 ε-폴리리신을 함유한 본 발명의 생리활성 조성물은 식품에 안전하고도 유리하게 사용된다.
아래의 실험에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성질과 생리활성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 1 :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제조
브라질산 프로폴리스 덩어리 1 kg을 분말화하여 30%(v/v) 에탄올 수용액 5 kg중에서 60℃에서 2시간 침지한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수득한 침지물중의 고형물층을 규조토와 여과지를 통해 여과하여 회수하고, 60℃의 70%(v/v) 에탄올 수용액 5 kg중에 2시간 동안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후 4℃에서 하루밤 방치하고, 수득한 추출물중의 액층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여과하여 회수하였다. 분리된 고형물층을 상기와 같이 침지하여 다시 추출하고, 수득한 재추출물중의 새로 생긴 액층을 위와 마찬가지로 여과하여 회수한 다음, 위에서 얻은 액층을 한데 모았다. 한데 모은 액층의 일부에다,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미리 평형화해둔, 표 1에 나온 이온교환 수지 1종을 습중량 기준으로 10%(w/w)wt. 가하고, 액층을 실온에서 완만히 1시간 교반하였다. 수득한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회수한 다음, 감압하에 농축, 탈수하여 고체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얻었다. 음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OH형 수지를 사용하였고,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H형 수지를 사용하였다. 양이온 및 음이온 교환 수지를 병용할 경우에는 이들 수지의 혼합물을 습중량 기준으로 1 : 2의 비율로 사용하였다. 대조로서 한데 모은 액층의 다른 일부를 이온 교환 수지 처리없이 농축, 탈수하여 고형물을 얻었다. 따라서 고형물 형태의 프로폴리스 추출물 시료 7가지 (시료 번호 1∼7)를 제조하여 아래의 각 실험에서 시험하였다.
표 1
처 리
음이온 교환수지 양이온 교환수지 시료번호
AMBERLITE IRA411S(강염기형)DUOLITE A-30B(중간염기형)DIAION WA-30 (약염기형)DIAION WA-30 (약염기형)AMBERLITE IRA411S(강염기형)-- ---SKlB (강산형)SKlB (강산형)SKlB (강산형)- 1234567
실험 2 : 관능시험
실험 1의 7가지 시료에 대해, 프로폴리스 냄새에 적절한 경험을 가진 6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에 대한 관능시험을 하였다.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에 대한 다음의 4등급의 관능평가에 의한 각 패널리스트의 판정에 근거한 결과를 표 2에 요약하였다.
+++: 강함, ++: 비교적 강함, +: 비교적 온화함, ±: 약하거나 거의 없음
표 2
시료번호 관능평가 비고
1234567 +±±±±+++++ 본 발명본 발명본 발명본 발명본 발명기준대조
표 2에 나온바와 같이 시료 1∼5는 대조용 시료 7에 비해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실험 3 : 냄새성분의 확인
실험 1의 7가지 시료에 대해 내부표준으로서 p-에틸 페놀을 사용하여 아래의 방법으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하였다. 즉 시료의 무게를 정확히 250 mg 달아 메탄올 5 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메탄올 용액중의 10,000 ppm p-에틸 페놀을 0.25 ml 가하고, 수득한 혼합물 2 ㎕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칼럼은 액상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니트로테레프탈레이트와 화학 결합된 모세관 칼럼인 "TC-FFAP" (내경 0.53 mm, 길이 30 m, 일본국의 GL Science사 판매)이었고, 크로마토그래프 "GC-17B" (일본국의 Shimadzu사 판매)를 사용하였다. 헬륨가스를 담체가스로 하여 유속 10 ml/분으로 사용하였다. 시료주입 온도를 250℃로 설정하고, 칼럼내의 온도를 시료주입후 40℃에서 5분간 유지하고 5℃/분의 속도로 승온한후 230℃에서 유지하도록 프로그래밍하였다. 검출은 수소염 이온화 검출기에서 하였다. 도 1 및 도 2에는 대표적인 결과로서 시료 3 및 7의 가스 크로마토그램이 각각 나와 있다.
상기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된 각 성분을 문헌 [Koji Wada et al.,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Vol. 51, No. 7, pp.1753∼1760 (1987)]에 기재된 "GC Sniff법"에 따라 냄새에 대한 관능시험을 하였다. 이 시험에서 검출기에 대한 수소의 흐름을 중단시키고 염(flame)을 끈후에 검출기에서 방출된 가스의 냄새를 직접 맡았다. 이어서 위에서 얻은 가스 크로마토그램을 이 관능시험 결과를 참조하여 검토한 결과, 두가지 주요 냄새성분 또는 악취성분을 확인하였다. 즉 내부표준으로서 p-에틸 페놀을 사용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서 한가지 성분은 p-에틸 페놀에 대한 상대 체류시간이 0.7∼0.8이었고, 나머지 한가지 성분은 p-에틸 페놀에 대한 상대 체류시간이 1.2∼1.3이었다. 이들 성분을 각각 "A" 및 "B"로 하였다. 크로마토그램에서의 피이크 면적에 근거하여 성분 A 및 B의 함유량을 시료 1∼7에 대해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와 있다.
표 3
시료번호 함유량 (mg/g) 비 고
성분 A 성분 B
1234567 2.352.071.661.802.093.374.49 33.227.736.224.516.927.966.5 본 발명본 발명본 발명본 발명본 발명기준대조
표 3에 나온 바와 같이 대조인 시료 7은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를 강하게 풍겼는데, 이것은 건조중량 g당 성분 A를 4.49 mg 및 성분 B를 66.5 mg 함유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시료 1∼5는 특이한 냄새가 분명히 감소되었고 이들 두가지 성분을 건조중량 g당 각각 2.5 mg 미만 및 40 mg 미만을 함유하고 있었다. 시료 1에서 사용된 감염기형 음이온 교환 수지 "AMBERLITE IRA411S" (미합중국의 Rohm &
Haas사 판매)는 냄새성분의 감소, 특히 성분 A의 감소에 비교적 효율적이지 못하였지만, 시료 5의 결과에서 나온 바와 같이 강산형 양이온 교환 수지를 병용했을 경우에는 이 수지는 두가지 성분을 효율적으로 감소시켰다. 시료 6의 결과는 양이온 교환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 냄새성분을 감소시키는데 효율적이지 못함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 4 : 항균활성
실험 1의 시료 1∼7을 사용하여 문헌 [Japanese Society of Chemotherapy, "Chemotherapy", Vol. 29, pp. 76∼79 (1987)과 Vol.27, pp.559∼560 (1979)]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미생물 증식에 대한 최소 저지농도(MIC)를 시험하였다. 시험 매체로서는 시료 1∼7중의 한가지를 500 ㎍/ml의 농도로 함유하는 1/2 계열 희석물의 감응성 디스크 한천 평판을 제조하였다. 표 4에 나온 미생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증식시킨후 백금이로 배지위에 도말하고 2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각 시료 무첨가의 대조배지에 비하여 콜로니 생성을 조사하여 MIC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와 있다.
표 4
미생물 (균주**) MIC(㎍/ml)
1**2**3**4**5**6**7**
미크로스포룸 깁세움 (IFO 8231) 31.3 31.3 31.3 62.5 62.5 31.3 31.3
바실루스 세레우스 (IFO 466) 62.5 62.5 62.5 125 125 62.5 62.5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 (IFO 3453) 125 125 125 250 250 125 125
프로피오니박테륨 아크네스 (JCM 6425T) 250 250 250 500 500 250 250
코리네박테륨 에퀴이 (IFO 3730) 62.5 62.5 62.5 125 125 62.5 62.5
*: 기탁번호에 "IFO"로 표시된 균주는 일본국의 오사카 소재의 The Institute for Fermentation에 기탁되어 있으며, "JCM"으로 표시된 균주는 일본국의 와코시 소재의 The Institute of Physical and Chemical Research 산하의 Japan Collection of Microorganism에 기탁되어 있음.
**: 번호 1∼7은 시료번호임.
표 4에 나온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 (시료 1∼5)은 대조 (시료 7) 및 기준 (시료 6)에 대해 거의 균등한 효율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미크로스포룸 깁세움 (Microsporum gypseum), 바실루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 (Pseudomonas eruginosa), 프로피오니박테륨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 및 코리네박테륨 에퀴이 (Corynebacterium equi) 등의 미생물은 피부사상균증, 식중독, 피부염 또는 디프테리아의 원인이 되어있다. 상기한 결과는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항균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것인데, 이로부터 식품, 화장품, 의약품, 살균제 및 항균제를 비롯한 광범위한 용도에서의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효능을 알 수 있다.
실험 5 : 급성중독 시험
실험 1의 시료 1∼7 각각을 7주령의 dd 마우스에게 경구경로를 통해 투여한 결과, 체중 1 kg 당 2.5 g의 최대 투여량에서도 사망예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이 섭취해도 안전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 프로폴리스 추출물
브라질산 프로폴리스 덩어리 1 kg을 분말화하여 30%(v/v) 에탄올 수용액 5 kg중에서 60℃에서 2시간 침지한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수득한 침지물중의 고형물층을 규조토와 여과지를 통해 여과하여 회수하고, 60℃의 70%(v/v) 에탄올 수용액 5 kg중에 2시간 동안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후 4℃에서 하루밤 방치하고, 수득한 추출물중의 액층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여과하여 회수하였다. 분리된 고형물층을 상기와 같이 침지하여 다시 추출하고, 수득한 재추출물중의 새로 생긴 액층을 위와 마찬가지로 여과하여 회수한 다음, 위에서 얻은 액층을 한데 모았다. 한데 모은 액층은 원료 프로폴리스의 건조 고형물을 약 35%(w/w) 함유하고 있었다.
한데 모은 액층에다,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평형화해둔, 약염기형 음이온 교환 수지 "DIAION WA-30" (OH형, 일본국의 Mitsubishi Chemical사 판매)를 10 중량% 가하고, 액층을 실온에서 완만히 1시간 교반하였다. 수지를 여과하여 분리한후 액층을 감압하에 농축, 탈수하여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고형체로 얻었다.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한 이 단계에서 건조 고형물을 약 75%(w/w) 회수하였다. 실험 1에 의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건조중량 g당 성분 A를 약 1.5 mg 및 성분 B를 약 35 mg 함유함이 확인되었다. 이 추출물에서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가 분명히 감소되어 있으면서도 살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종양 작용, 소염작용, 항과지방혈증 작용, 항산화 작용, 자외선 흡수작용, 방부 작용 및 비타민 P 보충작용을 비롯한 프로폴리스 본래의 각종 생리활성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추출물 그 자체 및 기타 성분과의 병용에 의해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을 필요로 하는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분야 및 기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 프로폴리스 추출물
실시예 1에 준하여 수득한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액층을 제조하여 한데 모으고, 이 액층 1 중량부에다 습중량 기준으로 강염기형 음이온 교환 수지 "A26" (OH형, 일본국의 Japan Organo사 판매) 0.066 중량부와 강산형 양이온 교환 수지 "15WET" (H형, 일본국의 Japan Organo사 판매) 0.033 중량부 (이들 수지는 모두가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평형화해둔 것임)를 가하고, 액층을 실온에서 완만히 1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에 준하여 액층을 수지로부터 분리하고 감압하에 농축,탈수하여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고형물로서 얻었다.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한 이 단계에서 건조 고형물을 약 70%(w/w) 회수하였다. 실험 3에 의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건조중량 g당 성분 A를 약 1.8 mg 및 성분 B를 약 20 mg 함유함이 확인되었다. 이 추출물에서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가 분명히 감소되어 있으면서도 살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종양 작용, 소염작용, 항과지방혈증 작용, 항산화 작용, 자외선 흡수 작용, 방부 작용 및 비타민 P 보충작용을 비롯한 프로폴리스 본래의 각종 생리활성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추출물 그 자체 및 기타 성분과의 병용에 의해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을 필요로 하는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분야 및 기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 프로폴리스 추출물
약염기형 음이온 교환 수지 "DIAION WA-30" (OH형, 일본국의 Mitsubishi Chemical사 판매)과 강산형 양이온 교환 수지 "SK1B" (H형, 일본국의 Mitsubishi Chemical사 판매)를 습중량으로 2대 1의 비율로 하여 스테인레스강제 칼럼에 충전하였다. 이 칼럼을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평형화한후, 이 칼럼에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한데 모은 액층을 가하고 70%(v/v) 에탄올 수용액을 SV3의 유속으로 부하하였다. 칼럼에서 나온 용출액을 회수하여 감압하에 증발,탈수하여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고형물로서 얻었다.
이 단계에서 건조 고형물을 약 75%(w/w) 회수하였다. 실험 3에 의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건조중량 g당 성분 A를 약 1.8 mg 및 성분 B를 약 25 mg 함유함이 확인되었다. 이 추출물에서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가 분명히 감소되어 있으면서도 살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종양 작용, 소염작용, 항과지방혈증 작용, 항산화 작용, 자외선 흡수 작용, 방부작용 및 비타민 P 보충작용을 비롯한 프로폴리스 본래의 각종 생리활성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추출물 그 자체 및 기타 성분과의 병용에 의해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을 필요로 하는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분야 및 기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 생리활성 조성물
본 발명의 생리활성 조성물은, 실시예 1의 프로폴리스 추출물 1 중량부, 시트르산 4 중량부 및 ε-폴리리신 3 중량부를 70%(v/v) 에탄올 수용액 32 중량부에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본래의 생리활성, 특히 항균작용을 현저하게 나타내면서도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는 감소되어 있다.
이 제품을 건강을 유지, 촉진하기 위한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제품에 있어서 살균제, 보존제, 살진균제 및 항산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5 : 생리활성 조성물
본 발명의 생리활성 조성물은, 실시예 2의 프로폴리스 추출물 1 중량부, 아세트산 5 중량부를 70%(v/v) 에탄올 수용액 54 중량부에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본래의 생리활성, 특히 항균작용을 현저하게 나타내면서도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는 감소되어 있다.
이 제품을 건강을 유지, 촉진하기 위한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제품에 있어서 살균제, 보존제, 살진균제 및 항산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6 : 생리활성 조성물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예 3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분말화하고, 이 분말 1 중량부와 시트르산 2 중량부를 균일히 혼합하여 본 발명의 생리활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본래의 생리활성, 특히 항균작용을 현저하게 나타내면서도 프로폴리스의 특이한 냄새는 감소되어 있다.
이 제품을 건강을 유지, 촉진하기 위한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제품에 있어서 살균제, 보존제, 살진균제 및 항산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7 : 검질 캔디 (Gummy candy)
수소첨가 말토올리고실 당 시럽 "MABIT"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150 중량부를 가열증발시켜 상대 수분 약 15%(w/w)로 하였다. 이 농축물에, 물 18 중량부에 용해해둔 젤라틴 13 중량부, 실시예 1의 프로폴리스 추출물 1 중량부, 시트르산 2 중량부 및 적당량의 착색료와 향료를 가하고, 수득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검질 캔디를 제조한 후에 포장하였다.
이 제품은 충치유발이 어렵고 텍스쳐와 풍미가 양호하여 건강의 유지·증진을 위한 간강식품으로 유용하다.
실시예 8 : 츄잉 검
가열하여 연화시켜둔 검 베이스 3 중량부에, 수크로오스 4 중량부, 말토오스 분말 3 중량부, 실시예 2의 프로폴리스 추출물 0.02 중량부 및 착색료 적당량을 가하고, 수득한 혼합물을 로울러에서 혼련하여 성형함으로써 츄잉 검을 제조한 후 포장하였다.
이 제품은 충치유발이 어렵고 텍스쳐와 풍미가 양호하여 건강의 유지·증진을 위한 간강식품으로 유용하다.
실시예 9 : 스낵용 식품
20℃ 및 상대습도 85%에서 2주 동안 저장하여 환원당을 자기 분해시켜둔 감자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물로 씻고, 껍질을 벗긴후 선별하고 원심식 슬라이서 (slicer)로써 썰어 두께 약 1.5 mm의 슬라이스로 하였다. 이들 슬라이스를 물로 씻어 표면의 전분을 제거하고 물기를 뺀 다음 170℃의 기름중에서 약 5분간 튀긴후에 기름을 제거하였다. 상기한 튀긴 슬라이스에 솔터(salter)를 사용하여, 식염 6 중량부, 식품급 트레할로오스 분말 "TREHAOSE"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의 등록상표) 3 중량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프로폴리스 추출물 적당량 및 적당량의 향신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조미료 적당히 분말을 뿌렸다. 조미된 슬라이스를 칭량(稱量) 포장기(weighing packer)에 옮겨 슬라이스를 칭량하여 포장하고 밀봉함으로써 스낵용 식품을 얻었다.
이 제품은 텍스쳐와 풍미가 모두 양호하여 건강의 유지·증진을 위한 건강식품으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0 : 티 백 (Tea bag)
동결건조 홍차엑스 분말 9 중량부를 적당량의 물에 용해하고, 수득한 용액을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적당량의 에탄올에 용해시켜 둔 프로폴리스 추출물 1 중량부와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발효시켜 건조시켜 둔 홍차잎 90 중량부에 뿌렸다. 이어서 홍차잎을 체가름(sieving)하고, 절단하여 마무리 건조하고 선별기에서 이물을 제거한 후, 일본 종이를 사용하여 2 g씩 포장함으로써 티 백(tea bag)을 얻었다.
이 제품은 냉수 180 ml에 10분간 침출시키거나, 또는 90∼100℃의 열탕 180 ml중에 2분간 침출시켜 마신다. 향기와 맛이 모두 좋은 이 제품은 건강을 유지·증진하는 건강식품으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1: 커스타드 크림
옥수수 전분 100 중량부, 식품급 트레할로오스 분말 "TREHAOSE"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의 등록상표) 40 중량부, 트레할로오스 함유 시럽 "TREHASTAR"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의 등록상표) 60 중량부, 말토오스 80 중량부, 수크로오스 20 중량부 및 실시예 6에서 제조한 프로폴리스 추출물 0.25 중량부를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한후, 계란 280 중량부를 혼합하고, 수득한 혼합물에 우유 1000 중량부를 완만하게 부어넣어 옥수수 전분이 호화하여 완전히 투명하게 될때까지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가열을 중지하고 적당량의 바닐라 향료를 가한다음 칭량하여 포장함으로써 커스타드 크림을 제조하였다.
광택이 온화하고 보존성이 개선된 이 제품은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한 건강식품으로 유용하다.
실시예 12 : 건강보조 식품
식품급 트레할로오스 분말 "TREHAOSE"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의 등록상표) 52 중량부, 옥수수 전분 40 중량부,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얻은 프로폴리스 추출물 3.5 중량부와 셀룰로오스 결정 2.5 중량부를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하고, 수득한 혼합물에 적당량의 물을 분무하면서 혼련하고, 유동층 조립(造粒)한후 분쇄하여 정립(整粒)함으로써 타정(打錠)용 분말을 얻었다. 이 분말에 계면 활성제로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를 2 중량부 균일히 혼합한 후 직경 11 mm의 펀치를 장착한 타정기에서 타정하여 정제 (약 300 mg/정)를 얻었다.
섭취하기가 쉽고 소화관에서의 붕괴성이 우수한 이 제품은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한 건강 보조 식품으로 유용하다.
실시예 13 : 헤어 린스
식품급 트레할로오스 분말 "TREHAOSE"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의 등록상표) 1 중량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프로폴리스 추출물 2 중량부, α-글루코실 루틴 분말 "αG RUTIN" (일본국의 Toyo Sugar Refining사 판매) 2 중량부, 디스테아릴 메틸렌 암모늄 클로라이드 2 중량부, 세탄올 2 중량부, 실리콘 오일 2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알코올 에테르 1 중량부, 및 적당량의 향료를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액으로 하였다. 이 용액에 교반하면서 1,3-부틸렌글리콜 3 중량부, 정제수 85 중량부 및 적당량의 살균제의 혼합물을 가하여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냉각하여 헤어 린스를 얻었다.
안정성이 양호하고 두피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는 이 제품은 두피와 모발의 건강상태를 유지·증진하는 화장품으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4 : 밀크 로우션
폴리옥시 에틸렌 베헤닐 에테르 0.5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에이트 1 중량부, 유용성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 중량부, 피루브산 0.5 중량부, 베헤닐 알코올 0.3 중량부, 말티톨 0.3 중량부, 아보카도 오일 1 중량부,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한 프로폴리스 추출물 1 중량부, 및 적당량의 비타민 E와 살균제를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액으로 하였다. 이 용액에 소디움 L-락테이트 1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 중량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 중량부 및 정제수 86.3 중량부를 가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에서 에멀젼화한후 적당량의 착색료를 가해 교반혼합함으로써 밀크 로우션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점착성이 없고 확포성이 양호하므로 피부의 건강상태를 유지·증진하는 화장품으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5 : 목욕용 용액
소디움 DL-락테이트 21 중량부, 피루브산 나트륨 8 중량부, 실시예 2의 프로폴리스 추출물 5 중량부, 에탄올 40 중량부, 정제수 26 중량부 및 적당량의 착색료와 향료를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하여 목욕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을 온수 또는 냉수에 1/100 내지 1/10,000의 희석비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피부정화 및 색백효과와 항균작용을 가진 이 제품은 건강한 피부를 유지·증진하는 화장품으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6 : 치약
제2인산 칼슘 45 중량부, 풀룰란 2.9 중량부, 소디움 라우릴 술페이트 1.5 중량부, 글리세린 2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0.5 중량부, 소르비톨 10 중량부, 말티톨 7 중량부, 정제수 13 중량부,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프로폴리스 추출물 0.1 중량부 및 적당량의 향료를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하여 치약을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구강의 건강상태를 유지·증진하는 화장품으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7 : 연고
아세트산 나트륨 3 수화물 1 중량부, DL-칼슘 락테이트 4 중량부, 글리세린 10 중량부를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하고, 수득한 혼합물에 박하유 0.5 중량부, 와셀린 49 중량부, 일본 왁스 10 중량부, 라놀린 10 중량부, 참기름 14.5 중량부, 및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한 프로폴리스 추출물 1 중량부를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침투성과 확포성이 양호한 이 제품은 피부의 건강상태를 유지·증진하는 의약품으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8 : 영양 급식액
표 5의 배합에 따라 배합성분들을 혼합하였다. (표 5에서 "적당량"이라 함은 일본국 복지후생성의 "식이 허용량" 보고서에서 수명활동 레벨 II. 적당함으로 보고된 식이 허용량의 절반값에 상응한 것임.)
표 5
성 분 배합량 (중량부)
탈지분유전지분유트레할로오스*1실시예 3의 프로폴리스 추출물비타민 A비타민 D염산 티아민염산 피리독신시아노코발라민타르타르산 콜린니코틴아미드판토텐산 칼슘2-0-α-D-글루코피라노실-L-아스코르브산아세트산 토코페롤황산철인산 수소 칼슘풀루란*2 43.012.043.81.0적당량적당량적당량적당량적당량적당량적당량적당량적당량적당량적당량적당량0.2
*1: 시약급 트레할로오스 분말 (일본국의 林原생물화학 연구소 판매)
*2: 평균 분자량 150,000 달톤의 풀룰란 분말 ("PIF",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수득한 혼합물을 멸균 조건하에 캔 하나당 500 g씩 포장하여 영양 급식액을 제조하였다. 사용시에 캔 하나를 동일 중량의 냉수 또는 온수 (30℃∼40℃)에 한번 또는 두번 용해하여 급식한다. 경구경로를 통한 급식시에는 이 용액을 하루에 1회 또는 수회에 나누어 급식하고, 비강, 위 또는 장 등의 누관(fistula) 경로를 통한 급식시에는 시간당 약 300 ml의 유속으로 하여 계속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급식한다. 칼로리를 공급하는 이 제품은 건강을 유지·증진하는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19 : 습한 화장용지
실시예 3의 프로폴리스 추출물 0.5 중량부, 숙신산 1 중량부, 글리세린 0.5 중량부 및 정제수 98중량부로 된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 혼합물로써 쿠프록삼 셀룰로오스 섬유로 된 부직포 40 중량부를 습윤시킴으로써 습한 화장용지를 제조하였 다.
살균 작용과 항균 작용이 있으나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 이 제품은 건강을 유지·증진하는 일상 용품으로 유용하다.
실시예 20 : 항균성 스프레이
이소프로판올 68 중량부, 정제수 26 중량부, 실시예 2의 프로폴리스 추출물 2 중량부 및 벤조산 4 중량부를 통상의 방법으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원료액을 제조하였다. 이 원료액을 분무제인 액화 탄산 가스와 함께 100 ml 용량의 스프레이 캔에 캔 하나당 40 ㎖∼60 ㎖의 비율로 충전함으로써 항균성 스프레이를 제조하였다.
안정성이 있고 살균작용과 항균작용이 양호한 이 제품은 건강을 유지·증진하는 일상용품으로 유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의 냄새 성분의 확인, 및 본래의 생리활성을 저하함이 없이 프로폴리스 추출물로부터 냄새성분을 감소시키는 방법의 확립에 근거하여 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특이한 냄새는 종래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비해 현저하게 적다.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프로폴리스 본래의 특이한 냄새로 인해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분야 및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을 이용할 수 있는 기타 여러 분야 등, 그 용도가 거부된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친수성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와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는 단계로 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소망하는 양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가지 현저한 효과를 발휘하므로 이 기술분야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Claims (12)

  1. 내부표준으로서 p-에틸 페놀을 사용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p-에틸 페놀에 대한 상대 체류시간이 0.7∼0.8인 냄새성분의 함유량 및/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된 상대 체류시간이 1.2∼1.3인 다른 냄새성분의 함유량이 감소된 프로폴리스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표준으로서 p-에틸 페놀을 사용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p-에틸 페놀에 대한 상대 체류시간이 0.7∼0.8인 냄새성분의 함유량이 건조 중량으로 1 g당 2.5 mg 이하 및/또는 p-에틸 페놀에 대한 상대 체류시간이 1.2∼1.3인 다른 냄새성분의 함유량이 건조 중량으로 1g당 40 mg 이하인 프로폴리스 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살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종양 작용, 소염작용, 항과지방혈증 작용, 국소마취 작용, 면역조절 작용, 세포 자연괴사 조절 작용, 항산화 작용, 자외선 흡수 작용, 방부작용 및 비타민 P 보충작용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작용을 가진 프로폴리스 추출물.
  4. 친수성 유기 용매에 프로폴리스를 침지하여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중의 액층을 음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친수성 유기 용매가 에탄올인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음이온 교환 수지를 양이온 교환 수지와 병용하는 제조방법.
  7. 제1항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형태인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살균제 및 항산화제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형태인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살진균제 및 항균제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형태인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프로폴리스 추출물 이외에 유기산과 살균제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살균제로서 ε-폴리리신을, 그리고 유기산으로서 시트르산을 성분으로 하여 이들 두가지 또는 어느 한가지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99-0031581A 1998-07-31 1999-07-31 프로폴리스 추출물 KR100520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37198A JP4446502B2 (ja) 1998-07-31 1998-07-31 プロポリス抽出物
JP98-216371 1998-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139A true KR20000012139A (ko) 2000-02-25
KR100520724B1 KR100520724B1 (ko) 2005-10-12

Family

ID=1668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581A KR100520724B1 (ko) 1998-07-31 1999-07-31 프로폴리스 추출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153227A (ko)
EP (1) EP0976399B1 (ko)
JP (1) JP4446502B2 (ko)
KR (1) KR100520724B1 (ko)
DE (1) DE69930792T2 (ko)
TW (1) TWI241191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38A (ko) * 2002-03-26 2002-04-17 양승만 프로폴리스 첨가에 의한 김치의 맛, 신선도 연장 보관 방법
KR20030020777A (ko) * 2001-09-04 2003-03-10 정대택 식용개구리추출물과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2758A (ko) * 2001-10-19 2003-04-26 김차선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706536B1 (ko) * 2016-06-15 2017-02-15 주식회사 성보네츄럴시스템 하이드로라이즈드 복합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가습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WO2018105778A1 (ko) * 2016-12-05 2018-06-14 정한수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탈취제 조성물
KR20180084522A (ko) * 2017-01-17 2018-07-2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폴리스, 모링가 및 상엽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5130B1 (en) 1998-11-23 2002-04-02 Agion Technologies L.L.C. Antimicrobial chewing gum
AUPQ656200A0 (en) * 2000-03-29 2000-04-20 Novapharm Research (Australia) Pty Ltd Chemical upgrading of filters
AU2002231030A1 (en) * 2000-12-13 2002-06-24 Universidade Estadual De Campinas Or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JP2002249411A (ja) * 2000-12-20 2002-09-06 Adamis:Kk 抗菌性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抗菌性濾過器、抗菌性容器
BR0006272A (pt) * 2000-12-22 2002-08-13 Maria Cristina Marcucc Ribeiro Processo de identificação de tipagens da própolis brasileira
US20040057908A1 (en) * 2001-12-13 2004-03-25 Bowen William H. Oral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CN1604741A (zh) * 2001-12-18 2005-04-06 汉高两合股份公司 霉菌的粘着抑制
JP2004024104A (ja) * 2002-06-25 2004-01-29 Api Co Ltd プロポリス抽出物、その製造方法、それを含有する血圧降下剤、食品製剤及びプロポリス組成物
ITNO20030007A1 (it) * 2003-03-24 2004-09-25 Nicola Limardo Stuoia antiradiazione.
JP2005001998A (ja) * 2003-06-09 2005-01-06 Api Co Ltd 血圧降下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プロポリス組成物及び食品製剤
RU2006100647A (ru) * 2003-06-17 2006-08-10 Хенкель Кгаа (De) Подавление вегетативного размножения грибков эвгенолом и/или его производными
JP2005060242A (ja) * 2003-08-12 2005-03-10 Yamada Bee Farm プロポリスを含む神経障害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PL1863741T3 (pl) * 2005-03-31 2009-10-30 Unilever Nv Sposób wytwarzania związków glinu
US7294351B2 (en) * 2005-11-28 2007-11-13 Cc Pollen Co. Composition containing fractionated bee propolis
US20070119475A1 (en) * 2005-11-28 2007-05-31 Cc Pollen Co., Arizona, Usa Dental floss having a fractionated bee propolis coating
US20070140990A1 (en) 2005-12-21 2007-06-21 Nataly Fetissova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Propolis
DE102006040456A1 (de) * 2006-08-25 2008-02-28 Constantin Nies Verzehrbare flächige Darreichungsform von Nahrungsergänzungsmitteln und/oder Arzneiwirkstoffen zur Ergänzung von fertigen oder halbfertigen Nahrungsmitteln
US20090127192A1 (en) * 2007-11-20 2009-05-21 Troost John R Liquid-liquid extraction method and apparatus
JP5765879B2 (ja) * 2008-08-01 2015-08-19 小林製薬株式会社 蜂の子、プロポリス、およびローヤルゼリーを含有する経口摂取用組成物
JP5309302B2 (ja) * 2009-03-04 2013-10-09 ポッカサッポロフード&ビバレッジ株式会社 血中脂質上昇抑制剤
KR100966280B1 (ko) * 2009-05-14 2010-06-28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텍 옹기의 원적외선을 이용한 프로폴리스의 추출 방법
JP5002623B2 (ja) * 2009-07-28 2012-08-15 ユーハ味覚糖株式会社 プロポリス含有キャンディ
CN101991606B (zh) * 2009-08-12 2012-07-04 牛建伟 一种固体水溶性脱铅蜂胶的制备方法
GB201001412D0 (en) * 2010-01-28 2010-03-17 Natures Lab Ltd Propolis and process for the treatment thereof
JP5717996B2 (ja) * 2010-07-30 2015-05-13 オリエンタル酵母工業株式会社 食品用日持向上剤
KR101216113B1 (ko) 2010-08-31 2012-12-27 서울프로폴리스 주식회사 항여드름 효능 및 주름개선 효능을 가지며 향취가 개선된 프로폴리스 가용 분획물 및 그 제조방법
JP6708376B2 (ja) * 2015-07-10 2020-06-10 株式会社山田養蜂場本社 IFN−γ及び/又はIL−17の産生抑制剤、並びにTh1細胞及び/又はTh17細胞の分化抑制剤
KR101572067B1 (ko) * 2015-07-22 2015-11-25 주식회사아이에스생명공학 꿀벌 화분 조성물
EP3990125A1 (en) * 2019-06-28 2022-05-04 Nikolaos Roumeliotis Cosmetic product enriched with bioactive components of propolis with direct extraction from beeswax sprayed with propolis tincture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CN110339215B (zh) * 2019-08-15 2023-03-31 来宾市农业科学院 一种用于防控家蚕传染病的组合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0272A1 (de) * 1982-03-20 1983-09-29 Fa. Peter O. Glienke + Partner Industrieberatung GmbH, 7570 Baden-Bade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ropolis-extraktes
JPS63145207A (ja) * 1986-12-10 1988-06-17 Maruzen Kasei Kk 防菌・防ばい剤の製造法
JPH01165595A (ja) * 1987-12-23 1989-06-29 Lion Corp 生理活性物質
US5743940A (en) * 1988-04-07 1998-04-28 Japan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Process for producing gas adsorbent
TW224052B (ko) * 1991-08-27 1994-05-21 Hayasibara Biology & Chemicals Res
JPH0816233B2 (ja) * 1991-08-30 1996-02-21 三井物産株式会社 精製プロポリスおよび精製プロポリス成分含有o/w型乳化物の製造法
JP3095612B2 (ja) * 1994-03-18 2000-10-10 雄司 平井 プロポリスゲルまたはプロポリスを抽出する方法
JP4135816B2 (ja) * 1995-11-24 2008-08-20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水溶性を向上させたプロポリス抽出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777A (ko) * 2001-09-04 2003-03-10 정대택 식용개구리추출물과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2758A (ko) * 2001-10-19 2003-04-26 김차선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20020029038A (ko) * 2002-03-26 2002-04-17 양승만 프로폴리스 첨가에 의한 김치의 맛, 신선도 연장 보관 방법
KR101706536B1 (ko) * 2016-06-15 2017-02-15 주식회사 성보네츄럴시스템 하이드로라이즈드 복합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가습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WO2018105778A1 (ko) * 2016-12-05 2018-06-14 정한수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탈취제 조성물
KR20180084522A (ko) * 2017-01-17 2018-07-2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폴리스, 모링가 및 상엽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76399A1 (en) 2000-02-02
DE69930792D1 (de) 2006-05-24
TWI241191B (en) 2005-10-11
JP4446502B2 (ja) 2010-04-07
KR100520724B1 (ko) 2005-10-12
DE69930792T2 (de) 2007-04-12
JP2000044479A (ja) 2000-02-15
US6153227A (en) 2000-11-28
US6153228A (en) 2000-11-28
EP0976399B1 (en)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72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
KR101277180B1 (ko) 콜라겐 산생 증강제와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190079202A (ko)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90085164A (ko) 트레할로오스 또는 말티톨과 금속 이온 화합물과의 회합물(會合物)
KR100539495B1 (ko) 글리코실-엘-아스코르브산의아실화유도체
JP4658290B2 (ja) 線維芽細胞増殖作用剤、美容用飲食品および皮膚化粧料
KR20200089785A (ko)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JP5027361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4363841B2 (ja) ポリフェノールの水に対する溶解性の改善方法ならびにポリフェノール高含有水溶液
JP2001316240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皮膚化粧料および美容食品
JP2003137801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コラゲナーゼ阻害剤、線維芽細胞増殖作用剤及び皮膚化粧料並びに美容用飲食品
EP2990035B1 (en) 1,5-anhydro-d-glucitol-containing collagen production accelerator
KR100967509B1 (ko) 결정 α-D-글루코실 α-D-갈락토시드와 이것을 함유하는당질 및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용도
JP4224593B2 (ja) ワサビを有効成分とする脂肪蓄積抑制用組成物
JP3082058B2 (ja) 6−O−α−D−ガラクトピラノシル−L−アスコルビン酸またはその塩およびその製造法並びにその用途
JPH06263790A (ja) 2−O−β−D−ガラクトピラノシル−L−アスコルビン酸またはその塩およびその製造法並びにその用途
JP2004331543A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及び皮膚化粧料並びに美容用飲食物
JP4542765B2 (ja) 酵素阻害剤
JP7491719B2 (ja) 抗菌組成物及び抗菌方法
RU2317299C2 (ru) Ассоциат, содержащий трегалозу и хлорид кальция, в форме кристаллического моногидрата или безводного кристалла
KR20230139411A (ko)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000006570A (ko) 생리활성추출물
JP2004149454A (ja) クビレヅタに含まれる抗腫瘍活性成分を用いた製剤、化粧品、食品または食品添加物
KR20180108983A (ko) 동결건조 고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JP2008050373A (ja) ワサビ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