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411A -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411A
KR20230139411A KR1020220037291A KR20220037291A KR20230139411A KR 20230139411 A KR20230139411 A KR 20230139411A KR 1020220037291 A KR1020220037291 A KR 1020220037291A KR 20220037291 A KR20220037291 A KR 20220037291A KR 20230139411 A KR20230139411 A KR 20230139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efruit
extract
citrus
antibacterial
citrus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울네이처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울네이처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울네이처푸드
Priority to KR102022003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411A/ko
Publication of KR2023013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4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23L2/06Extraction of juices from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23V2250/21162Citrus flavono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 혼합 추출물은 단일 추출물 대비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고,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며, 다양한 균주의 생장을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 및 항균효과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bacterial containing citrus fruit extract}
본 발명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건강기능식품,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비타민C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감귤류는 과육과 과피에 많은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과육에는 비타민C, 각종 유기산, 비타민B복합체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과피에는 펙틴과 비타민C, 베타카로틴 등이 함유되어 있어 암세포의 발달을 억제하고 생리활성물질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며 미백효과를 가져다주며 이러한 감귤류는 다른 과수품종보다 비타민P, 비타민B군과 단백질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모세혈관을 보호하며 심혈관질환과 뇌졸중, 뇌출혈 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감귤류 과피에는 유기산, 비타민, 당류 외에도 헤스페리딘(hesperidin, vitamin P) 및 네오헤스페리딘(neohesperidin), 나린진(naringin) 등과 같은 주요 폴리페놀(polyphenolic) 성분과 노빌레틴(nobiletin), 탄게레틴(tangeretin)과 같은 60여종 이상의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그 중 테레빈유(turpentine)는 기름성분으로 세포 노폐물의 배출을 양호하게 하여 다이어트와 복부비만을 억제하는데 좋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자몽의 성분 중 나린진(naringin)은 항알러지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및 항염증 작용 등 각종 약리적 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레몬은 α-글루코시데이스(α-glucosidase) 활성이 높고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소거능과 ABTS 소거능이 가장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중 자몽, 한라봉, 레몬, 감귤 및 오렌지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비교하고, 상기 시트러스 계열 과일의 항균 효과를 향상시키는 최적 혼합 비율을 도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0897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추출원료로서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을 준비하는 1단계;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추출물을 4: 3: 1: 1: 10: 1(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한라봉)로 혼합하여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3단계; 및 상기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에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다양한 균주의 생장을 억제하고, α-glycosidase 활성을 저해하여 항균 활성이 현저히 높아 항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제 제조 방법은 추출시료 자체의 자유수(free water)와 결합수(bound water)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때문에 추출원료 내에 존재하는 유효성분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항균 기능성을 가지는 유효성분을 높은 수율로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의 총 플라노노이드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의 6가지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항균제 2종(40μL)의 6가지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항균제 2종(60μL)의 6가지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항균제 2종의 α-glucosidase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 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시트러스 계열 과일은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용매를 이용하지 않고 고농도로 추출 또는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식품학/약학/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은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이 4: 3: 1: 1: 10: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10 내지 25 중량부, 자몽농축액 10 내지 20 중량부, 자몽향 1 내지 5 중량부, 자몽종자 추출물 0.5 내지 2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1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Listeria monocytogene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생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il) 또는 쥐장티푸스균(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 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이어서, 본 발명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술한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과 중복된 내용은 중복된 내용의 기재에 의한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럼, 화장수,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겔, 크림,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스프레이 등의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유효물질인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복합물이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항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상술한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술한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과 중복된 내용은 중복된 내용의 기재에 의한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대한민국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젤, 또는 필터충진제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효물질인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복합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유효물질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추출원료로서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을 준비하는 1단계;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추출물을 4: 3: 1: 1: 10: 1(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한라봉)로 혼합하여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3단계; 및 상기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에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하는 4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2단계는 추출원료를 용매 없이 40 내지 50℃에서 45분 내지 75분 동안 예비 추출하는 2-1단계; 예비 추출된 추출원료를 2-1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용매로 60 내지 90℃에서 160 내지 200분 동안 2차 추출하는 2-2단계; 및 2차 추출된 추출원료를 스프레이 순환하여 2-2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용매로 65 내지 95℃에서 100 내지 140분 동안 3차 추출하는 2-3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스프레이 순환”은 추출기 내에서 스프레이 분사노즐을 이용해서 용매를 분사시켜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시료의 자유수와 결합수를 가온하여 용출시키고, 이 수분을 활용하여 용매 추출할 때 스프레이 분사노즐로 분무하여 반복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추출시료 자체의 자유수(free water)와 결합수(bound water)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추출원료 내에 존재하는 유효성분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추출방법이기 때문에 항균 기능성을 가지는 유효성분을 높은 수율로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제조예 1> 감귤박 추출물의 제조
모든 원료는 건강기능 식품 공전, 식품 공전에서 정하는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한 원료를 선별하여 구입하였으며, 추출원료 자체의 자유수와 결합수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감귤박을 추출기에서 용매 없이 45℃, 1시간 조건으로 예비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여 감귤박 내에 포함된 수분을 추출하였다. 1차 추출된 감귤박은 추출기에서 1차 추출물과 함께 75℃, 3시간 조건으로 2차 추출한 후, 스프레이 순환하여 80℃, 2시간 조건으로 3차 추출하였다. 3차 추출이 완료된 추출액은 100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고, UHT살균기(120℃)를 통과한 후, 90℃로 냉각시켜 용기에 저장 및 보관하였다.
<제조예 2> 자몽 추출물의 제조
자몽 추출물은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되 감귤박을 제외하고 껍질을 제거한 자몽을 넣어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오렌지 추출물의 제조
오렌지 추출물은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되 감귤박을 제외하고 껍질을 제거한 오렌지를 넣어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레몬 추출물의 제조
레몬 추출물은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되 감귤박을 제외하고 껍질을 제거한 레몬을 넣어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감귤 추출물의 제조
감귤 추출물은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되 감귤박을 제외하고 껍질을 제거한 감귤을 넣어 제조하였다.
<제조예 6> 한라봉 추출물의 제조
한라봉 추출물은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되 감귤박을 제외하고 껍질을 제거한 한라봉을 넣어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시트러스 계열 과일 단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1-1.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은 Folin Denis assay 법을 Lee 등의 방법에 따라 변형하여 분석하였다. 각각 제조예 1 내지 6의 시료 1 ml에 증류수 1 ml 첨가 후 Folin Cicalteaus phenol reagent 0.5 ml 을 첨가하여 5 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에 Na2CO3 30% 용액 0.5 ml를 첨가한 후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반응액을 720 nm 에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gallic acid를 이용하여 검량 곡선을 작성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는 도 1, 도 2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1, 도 2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폴리페놀 함량은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한라봉 추출물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자몽 추출물, 레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추출물 총 폴리페놀 함량(mg/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L)
감귤박 10.03 9.12
자몽 21.24 28.34
오렌지 20.73 13.65
레몬 11.90 14.11
감귤 12.70 11.45
한라봉 14.21 10.24
1-2.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시료 100 ㎕ 에 0 2 mM DPPH solution 900 ㎕ 를 가한 후 30 min 반응시켰다. 이후, 520 nm 에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시료 첨가구와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한 시료 비첨가구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구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 결과는 도 3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PH radical 소거능은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감귤 추출물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추출물 DPPH 라디칼 소거능 (%)
감귤박 9.54
자몽 96.55
오렌지 96.42
레몬 95.98
감귤 96.34
한라봉 95.66
1-3. ABTS 라디칼 소거능 분석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7mM ABTS와 2.4mM Potassium persulfate를 1:1로 혼합 후 16시간동안 암실에서 반응시킨 후 734nm에서 흡광도가 0.7 ± 0.001이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희석한 용액 180μL 와 시료 20μL 씩 96 well plate에 주입 후 8분간 암소에서 반응 후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시료 첨가구와 시료 대신 증류수를 가한 시료 비첨가구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4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몬 추출물, 한라봉 추출물, 자몽 추출물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감귤박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 ABTS 라디칼 소거능 (%)
감귤박 2.57
자몽 59.90
오렌지 57.82
레몬 70.62
감귤 37.35
한라봉 67.51
1-4. 항균 활성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의 항균 활성비교는 paper disc 법에 따라 배양한 6 개의 실험균주를 현탁 후 각각의 배지에 20 ㎕ 접종하였다. LB 배지에 멸균된 paper disc(W hatman AA discs, 8 mm) 를 놓고 제조예 1 내지 6의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50 ㎕ 점적 후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Disc 주위의 clear zone의 유무와 크기를 측정하였다.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의 항균 활성 측정을 위해 사용된 Listeria monocytogenes(KCCM 40307), Bacillus subtilis(KCTC 13429) Bacillus cereus(KCCM 11204), Staphylococcus aureus(KCTC 3881) Escherichia coil(KCTC 2571), Salmonella typhimurium(KCTC 1925)의 총 6가지 균주는 한국 유전자은행(KCTC)과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KCCM)에서 각각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5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은 총 4가지 균주(Salmonella typhimurium,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s)의 생장을 억제하여 6가지 추출물 중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감귤 추출물 및 한라봉 추출물은 총 3가지 균주(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및 Listeria monocytogens)의 생장을 억제하고, 감귤박 추출물은 Listeria monocytogens 균주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rains
clear zone on plate (mm)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한라봉
Staphylococcus aureus - - - - - -
Salmonella typhimurium - ++ ++ ++ - -
Escherichia coil - + + + - -
Bacillus subtilis - ++ ++ ++ ++ ++
Bacillus cereus + ++ ++ ++ ++ ++
Listeria monocytogens ++ ++ ++ ++ ++ ++
(- : not detected, + : under 12mm, ++ : 12~21mm)
1-4. 항바이러스 활성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은 α-glycosidase의 assay법을 따라 수행하였다. α-glucosidase와 다른 glucosidase의 활성 분석을 위하여 기질로 p-nitrophenol (PNP) glycosides(1 mM)를 포함하는 50 mM phosphate 완충용액(pH 6.7)을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시료를 완충용액에 첨가하고 37℃, 5 분 효소 반응 개시 후 기질을 첨가하여 37℃, 10분 간 효소 반응을 수행하였다. 효소반응 종료는 3배 vol.의 1 M Na2CO3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한 후 OD405를 측정하여 흡광도 변화로부터 효소저해활성을 계산하였다. 활성단위인 1 unit는 활성측정 조건에서, 1분 동안 PNP 1.0μmol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효소의 양으로 정하였다. α-glucosidase 억제율을 계산한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6종의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 중 오렌지, 자몽, 레몬 추출물이 α-gly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오렌지, 자몽, 레몬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출물 unit/ml
감귤박 134.70
자몽 33.17
오렌지 23.01
레몬 32.62
감귤 40.82
한라봉 36.18
<실시예 1 및 2> 시트러스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한 항균제의 제조
실험예 1-3 및 1-4에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자몽과 레몬을 이용하여 항균제를 제조하였다.
먼저, 상기 제조예 1 내지 6의 각 추출물을 하기 4: 3: 1: 1: 10: 1의 조성으로 칭량한 후 혼합하여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에 자몽농축액(INTERNATIONAL BEER BREWERIES LTD), 자몽향((주) 가향), 프락토올리고당 ((주) 대상), 자몽종자추출물(QUINABRA-QUIMICA NATURAL BRASILEIRA LTDA), 레몬농축액(CITRUSVIL S.A.), 레몬향((주) 가향), 레몬종자추출물((주)비타케미칼), 정제수를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첨가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 (w/w) % (w/w)
시트러스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35 20
자몽농축액 10 -
자몽향 1 -
프락토올리고당 17 10
자몽종자 추출물 1 -
레몬농축액 20
레몬향 1
레몬종자 추출물 1
정제수 36 48
<실험예 2>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2-1. 항균 활성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의 항균 활성은 실시예 1 및 2의 항균제를 시료로 상기 실험예 1-3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각각 시료를 40μL, 60μL를 분주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6, 도 7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도 6, 도 7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항균제는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균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특히, 실시예 1 및 2의 항균 활성은 Escherichia coil를 제외한 5종의 균주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Escherichia coil의 경우 실시예 1의 항균 활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trains
clear zone on plate (mm)
실시예1
(40μL)
실시예1
(60μL)
실시예2
(40μL)
실시예2
(60μL)
Staphylococcus aureus + ++ + ++
Salmonella typhimurium - + - +
Escherichia coil + ++ - +
Bacillus subtilis + + + +
Bacillus cereus + ++ + ++
Listeria monocytogens - - - +
(- : not detected, + : under 12mm, ++ : 12~21mm)2-2. 항바이러스 활성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실시예 1 및 2의 항균제를 시료로 상기 실험예 1-4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각각 시료를 40μL를 분주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8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도 8 및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α-glucosidase저해 활성은 각각 16.70 unit/ml, 28.71 unit/ml로 나타나, 실시예 1의 항균제가 실시예 2의 항균제보다 항바이러스 활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 실시예 1 실시예 2
unit/ml 16.70 28.71
2-3. 항산화 활성
실험예 2-1 및 2-2에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실시예 1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실험은 실험예 1-1, 1-2,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예측치는 실험예 1의 결과값을 100%로 설정하고 각 추출물의 함량을 백분율로 나누어 계산하고, 각 추출물의 예측치를 더한 값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자유 라디컬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의 항균제는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시트러스 계열 과일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1 예측치
총 폴리페놀 함량(mg/L) 23.75 5.11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L) 17.53 5.85
DPPH 라디칼 소거능 (%) 78.43 26.41
ABTS 라디칼 소거능 (%) 68.69 14.18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 혼합 추출물은 각 과일의 단일 추출물 대비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기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이 4: 3: 1: 1: 10: 1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에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제조된 항균제는 다양한 균주의 생장을 억제하고, α-glycosidase 활성을 저해하여 항균 활성이 현저히 높아 항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러스 계열 과일은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은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 추출물이 4: 3: 1: 1: 10: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10 내지 25 중량부, 자몽농축액 10 내지 20 중량부, 자몽향 1 내지 5 중량부, 자몽종자 추출물 0.5 내지 2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1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Listeria monocytogene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황생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il) 및 쥐장티푸스균(Salmonella typhimuri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러스 계열 과일은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6.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러스 계열 과일은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의약외품 조성물.
  7. 추출원료로서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을 준비하는 1단계;
    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및 한라봉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의 추출물을 4: 3: 1: 1: 10:1(감귤박: 자몽: 오렌지: 레몬: 감귤: 한라봉)로 혼합하여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3단계; 및
    상기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에 자몽농축액, 자몽향, 자몽종자 추출물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추출원료를 용매 없이 40 내지 50℃에서 45분 내지 75분 동안 예비 추출하는 2-1단계;
    예비 추출된 추출원료를 2-1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용매로 60 내지 90℃에서 160 내지 200분 동안 2차 추출하는 2-2단계; 및
    2차 추출된 추출원료를 스프레이 순환하여 2-2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용매로 65 내지 95℃에서 100 내지 140분 동안 3차 추출하는 2-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시트러스 계열 과일 혼합 추출물 10 내지 25 중량부, 자몽농축액 10 내지 20 중량부, 자몽향 1 내지 5 중량부, 자몽종자 추출물 0.5 내지 2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1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제조 방법.
KR1020220037291A 2022-03-25 2022-03-25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30139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291A KR20230139411A (ko) 2022-03-25 2022-03-25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291A KR20230139411A (ko) 2022-03-25 2022-03-25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411A true KR20230139411A (ko) 2023-10-05

Family

ID=8829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291A KR20230139411A (ko) 2022-03-25 2022-03-25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4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785A (ko) 2019-01-17 2020-07-2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785A (ko) 2019-01-17 2020-07-2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72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
CN102224131B (zh) 化合物ramalin及其应用
KR20190079202A (ko)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JP2009126863A (ja) キノコから抽出したエルゴチオネインを高含有する組成物
JP4658290B2 (ja) 線維芽細胞増殖作用剤、美容用飲食品および皮膚化粧料
US20090269424A1 (en) Peripheral blood flow-improving composition
JP2002293736A (ja) メーラード反応阻害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611853B1 (ko)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섬쑥부쟁이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JP4363841B2 (ja) ポリフェノールの水に対する溶解性の改善方法ならびにポリフェノール高含有水溶液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TWI308152B (ko)
JP2014005293A (ja) バラ胎座組織培養物またはそ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機能性食品、ならびに抗酸化用組成物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80098736A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188682B1 (ko) 베로니카 론기폴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
JP2001316275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コラゲナーゼ阻害剤、皮膚化粧料および飲食品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30139411A (ko)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74765B1 (ko) 사이코사포닌 d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579500B1 (ko) 율무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06220B1 (ko) 상추꽃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JP2019182863A (ja) 肌のハリ又はうるおいの改善用組成物
KR20180120120A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KR102445679B1 (ko) 누에 번데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