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932A - 노래반주장치 - Google Patents

노래반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932A
KR20000011932A KR1019990030015A KR19990030015A KR20000011932A KR 20000011932 A KR20000011932 A KR 20000011932A KR 1019990030015 A KR1019990030015 A KR 1019990030015A KR 19990030015 A KR19990030015 A KR 19990030015A KR 20000011932 A KR20000011932 A KR 20000011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icrophone
sound
effect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919B1 (ko
Inventor
스기야마모토히로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Publication of KR2000001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65Acoustic effect simulation, i.e. volume, spatial, resonance or reverberation effects added to a musical sound, usually by appropriate filtering or delays
    • G10H2210/281Reverberation or echo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65Acoustic effect simulation, i.e. volume, spatial, resonance or reverberation effects added to a musical sound, usually by appropriate filtering or delays
    • G10H2210/295Spatial effects, musical uses of multiple audio channels, e.g. stereo
    • G10H2210/301Soundscape or sound field simulation, reproduction or control for musical purposes, e.g. surround or 3D sound; Granular synthe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1Plural spea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27Ster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마이크로폰 신호는, 마이크로폰 음량제어기를 경유하여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용 신호경로 및 직접음용 신호경로로 분기된다.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생성용 신호경로로 분기된 마이크로폰 신호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음량제어기에 의해 레벨이 조정되고,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로 공급되어,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를 생성시킨다. 이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 및 음악신호 입력단으로 공급된 음악신호는 합성회로에서 하나로 가산 합성되어 출력된다. 직접음용 신호경로로 분기된 마이크로폰 음향은 중앙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어, 마이크로폰 음향신호 및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 사이의 분리특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노래반주장치{Karaoke Apparatus}
본 발명은 노래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창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신호와 이 마이크로폰 신호음에 기초한 효과음향신호 사이의 분리(separation)를 개선한 노래반주장치, 즉, 마이크로폰 신호와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 각각의 음상정립처리(sound image localization)를 개선한 노래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종래 노래반주장치에서의 음악신호(재생반주음)와 마이크로폰 입력신호에 대한 신호처리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2개 채널 재생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마이크로폰(1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마이크로폰 신호입력단(12)으로 입력되며 1차증폭기(head amplifier: 14)를 경유하여 마이크로폰 음량제어기(microphone volume controller; attenuator)(16)에 의해 레벨 조정된다. 그리고, 이 레벨 조정된 신호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용 신호경로(18)와, 직접음용 신호경로(20)로 분기된다.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용 신호경로(18)로 분기된 마이크로폰 신호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용 음량제어기(22)에 의해 레벨이 조정되고,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24)로 공급되어,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에코, 잔향음 신호 등)가 생성된다. 합성회로(26)는 마이크로폰 신호(가창자의 직접음 신호) 및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를 합성한다.
음악신호 입력단(42)으로 입력된 음악신호는 음장효과생성용(field sound effect generation) 신호경로(48) 및 직접악음용 신호경로(50)로 분기된다. 음장효과생성용 신호경로(48)로 분기된 음악신호는 디지털 신호처리기(DSP)회로(54)로 공급되어 음장효과신호(잔향부여처리 음장효과신호 또는 음상정립처리 효과음향신호)가 생성된다.
합성회로(56)는 직접악음용 신호경로(50)를 경유한 신호와, DSP(54)를 경유하여 발생된 음장효과신호를 가산 합성한다.
합성회로(26)로부터 출력된 모든 마이크로폰 신호 및 합성회로(56)로부터 출력된 모든 음악신호는 합성회로(28)에 의해 하나로 가산 합성된다. 이 합성된 신호는 전체음량제어기(30)에 의해 레벨 조정되고, 증폭기(32)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34)에 의해 음향으로 재생된다.
도 6은 4개 채널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마이크로폰(도시 생략)으로부터 출력된 마이크로폰 신호는 마이크로폰 신호입력단(12)으로 입력되어, 1차증폭기(도시 생략)를 경유하여 마이크로폰 음량제어기(도시 생략)로 공급되어 레벨 조정된다. 레벨이 조정된 마이크로폰 신호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용 신호경로(18) 및 직접음용 신호경로(20)로 분기된다.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용 신호경로(18)로 분기된 마이크로폰 신호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용 음량제어기(도시 생략)에 의해 레벨이 조정되고,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24)로 공급되어,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에코, 잔향음향신호 등)가 생성된다.
음악신호 입력단(42)으로 입력된 음악신호는 음장효과생성용 신호경로(48) 및 직접음용 신호경로(50)로 분기된다. 음장효과생성용 신호경로(48)로 분기된 음악신호는 디지털 신호처리기(DSP)회로(54)로 공급되어, 4개 채널 음장효과신호(잔향부여처리 음장효과신호 또는 음상정립처리 효과음향신호)가 생성된다.
합성회로(56)는 직접악음용 신호경로(50)를 경유한 신호와, 음장효과신호의 전방 2개 채널 신호를 가산하여 합성한다.
합성회로(27)는 음장효과신호의 후방 2개 채널신호를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와 합성한다. 이 회로들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음량제어기(도시 생략)들에 의해 레벨이 조정될 것이 요구되며, 그 후 증폭기(도시 생략)에 의해 증폭되어 후방 2개 채널 스피커에 의해 음향으로 재생된다.
합성회로(56)의 출력은 음악신호의 전방 2개 채널신호로서 사용된다. 이 출력은 합성회로(28)에 의해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와 가산 합성된다. 합성된 신호는 또한 합성회로(29)에 의해 직접음용 신호경로(20)의 마이크로폰 신호와도 가산 합성된다. 가산 합성회로(29)의 출력은 음량제어기(도시 생략)에 의해 레벨 조정되고, 증폭기(도시 생략)에 의해 증폭된 후 전방 2개 채널 스피커(도시 생략)에 의해 음향으로 재생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신호처리 구성에서, 마이크로폰 신호는 독립적으로 재생되는 것은 아니며, 반드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 및 음악신호와 가산 합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의 재생에 의해 여러 종류의 효과가 마이크로폰 신호에 부여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 신호의 분리(separation)가 잘 안되기 때문에 음성이 어렴풋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폰 신호와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 사이에서의 간섭이 주원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는 에코, 잔향 등을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신호 즉 입력신호에 대해 지연 등을 이용해서 일반적으로 생성한다. 이러한 효과음향신호는 기본적으로 입력신호인 마이크로폰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그래서 고유의 마이크로폰 신호에 매우 유사한 파형을 갖는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효과음향의 생성은 여러 종류의 필터링 처리(BPF, LPF 및 HPF) 또는 입력신호에 대한 지연처리, 또는 요구되는 정도의 입력신호에 대한 이득제어를 수행하여 실현된다. 결국, 결과로서 얻어진 신호는 입력신호와는 많이 다른 신호가 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효과음향신호는 마이크로폰 신호에 대해서 시간지연이 있고, 진폭이 다를 수 있을 뿐이며, 파형은 마이크로폰 신호의 파형과 대체로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효과음향신호는 원래의 마이크로폰 신호에 대해서 180°의 위상 차를 가지고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마이크로폰 신호와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는 서로 진폭이 다르지만 파형은 매우 유사하여, 이 두 가지 신호의 합은 마이크로폰 신호를 상쇄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는 전기적 특성 및 청감 심리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마이크로폰 신호 및 음악신호가 모두 가산 합성되어 출력된다. 이 때문에, 비록 그 가능성은 작지만, 음악신호 중에 마이크로폰 신호를 상쇄시키는 성분이 있는 경우, 마이크로폰 신호가 매우 많이 변동된다.
도 5 및 도 6의 신호처리구성에 의하면, 단 한 가지 종류의 신호가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로 발생된다. 그래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2개 또는 4개의 스피커로 재생되더라도,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의 음상정립은 항상 스피커 배치의 중앙에 놓인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2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재생에서는 심각한 문제가 아니지만, 4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재생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를 정립하고자 하는 장소(전방 스피커의 중앙근처)가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실제로 정립되는 장소(4개의 스피커의 중앙지점)와 부자연스럽게 달라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 또는 음악신호에 의한 마이크로폰 신호의 상쇄를 제거하고, 마이크로폰 신호의 음상정립을 안정시키며, 또한 다양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을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반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4개 채널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생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신호시스템 구성도,
도 5는 2개 채널 재생을 수행하는 종래의 노래반주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4개 채널 재생을 수행하는 종래의 노래반주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이크로폰 12: 마이크로폰 신호입력단
14: 1차증폭기 16: 마이크로폰 음량제어기
18: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용 신호경로
20: 직접음용 신호경로
22: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용 음량제어기
24: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
16, 27, 28, 29, 39, 56: 합성회로 42: 음악신호입력단
54: DSP회로 30: 전체 음량제어기
32: 증폭기 34: 스피커
36: 마이크로폰 직접음의 중앙스피커로의 경로
38: 마이크로폰 직접음의 헤드폰으로의 경로
39: 음장효과 생성용 신호경로 50: 직접음용 신호경로
전술한 목적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로폰 신호입력단과, 마이크로폰 신호로부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을 생성하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와, 음악신호(반주음 신호)가 입력되는 음악신호 입력단과,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로부터 출력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와 상기 음악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음악신호를 합성하는 합성회로와, 상기 합성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음악신호 출력단과, 마이크로폰 신호출력단(중앙의 신호출력단)과,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와는 독립된 상태로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출력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신호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노래반주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가창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신호는 마이크로폰 신호출력단(중앙의 신호출력단)으로만 출력되고, 음악신호와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은 마이크로폰 신호출력단과 별도의 음악신호 출력단으로만 출력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마이크로폰 출력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인 마이크로폰 신호에 대응하는 출력은 음악신호나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에 의해 야기된 신호간섭으로 전기적으로 영향받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분리가 안 되는 현상이 없고 음상정립이 불안정하게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악신호 출력단은 전방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재생될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출력되는 제1 및 제2출력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출력단은 각각 독립한 제1 및 제2스피커 재생시스템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출력단은 상기 제1 및 제2스피커 재생시스템과는 별도의 제3스피커 재생시스템에 접속되고, 상기 제3스피커 재생시스템의 스피커는 상기 제1 및 제2스피커 재생시스템 각각의 스피커가 놓인 위치의 본질적인 중간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음악신호는 전방 좌우측에 배치된 전방스피커의 양쪽으로부터 출력되고, 마이크로폰 신호는 전방스피커의 중간위치에 배치된 중앙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폰 신호와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을 전기적 및 음향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그 분리를 개선하는 정도도 더욱 커질 수 있다.
노래반주장치에서 마이크로폰 신호의 음상정립이 전방스피커의 배치범위 밖에서 이루어지면, 청감에 위화감을 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음상이 전방스피커들 사이의 중앙지점에서 정립되므로, 청중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음악신호는 반주음악신호이다. 가창자의 음성신호인 마이크로폰 신호의 음상이 반주 음악의 중앙위치에 정립되면 듣기 편안하게 된다. 반주음과 마이크로폰 신호음이 다른 위치에서 들리는 상태가 이상한 것은 당연하다. 이는 텔레비전 화면과 연주회 등에서 가수의 위치를 고려하면 명백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신호음과 마이크 효과음향은 별개의 독립한 스피커 각각에서 재생되므로, 음향 공간적으로도 재생 마이크로폰 신호가 재생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에 의해 상쇄되는 일은 기본적으로 없다. 그러므로, 가창자로부터 마이크로폰으로 향해 발성된 발성음은 모두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중앙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이 가창자의 발성음을 그 중앙스피커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확실히 음상정립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는 에코, 잔향 등이 주된 것이다. 그래서 중앙스피커 이외의 다른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도,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충분히 공간적으로 넓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중앙스피커로부터만 출력될 때, 높은 에코효과는 달성될 수 없다. 그 동작원리면에서 볼 때, 에코란 음이 공간적으로 어디에선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메아리" 등이다. 따라서, 반사음이 한 곳으로부터만 들린다는 것은 거꾸로 효과음향로서는 부자연스럽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는 다수 채널의 효과음향신호를 각각 독립적으로 생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의 음상정립이 배치된 스피커의 기하학적 중심이 아닌 임의의 장소에 집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각각의 노래에 적합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를 임의의 위치에 음상정립시켜서 노래반주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따르면, 상기 다수개 채널은 전방우측채널, 전방좌측채널, 후방우측채널, 후방좌측채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는 1개의 채널로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6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는 4개의 채널로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7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의 상기 4개의 채널에 대한 각각의 음량은 서로 독립된 상태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8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출력단은 중앙의 신호출력단인 것으로 한다.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해서, 전기적인 신호의 가산과 공간적인 신호의 가산에 대해서 그 차이점을 이하 설명한다. 전기적인 신호의 가산에서 어떤 정현파가 그와 180°의 위상차를 갖는다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다른 정현파에 더해지면, 그 출력은 0으로 되고 그 신호의 음성을 들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 정현파가 어떤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고 또한 이 정현파와 180°의 위상차를 갖는 정현파가 다른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면, 그 파형은 기본적으로는 2개의 음향으로 인식된다. 그래서, 스피커의 위치, 청취지점에 따라 2개의 스피커로부터 각각 출력된 음파들이 서로 상쇄를 일으켜 음향을 들을 수 없게 되는 지점이 있다. 그러나 이는 단지 하나의 제한된 지점에서 발생하고 다른 지점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기적인 신호의 가산은 대개 공간상의 신호 가산과는 다르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가산의 효과가 많이 다르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의 논점은, 마이크로폰 신호와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전기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확실한 분리구성을 가지도록 한 노래반주장치의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전방 좌우측 및 중앙의 3개 채널 재생시스템으로 실현된다. 도 1은 이 제1실시예에서의 신호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은 음악신호에 대해 DSP처리를 행하도록 한 구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DSP처리를 본원의 필수구성요소라고 할 수는 없다.
마이크로폰(10)으로부터 출력된 마이크로폰 신호는 마이크로폰 신호입력단(12)으로 입력되고, 1차증폭기(14)를 통과한 후 마이크로폰 음량제어기(16)에 의해 레벨이 조정된다. 이 레벨이 조정된 신호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용 신호경로(18)와, 직접음용 신호경로(20)로 분기된다.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용 신호경로(18)로 분기된 마이크로폰 신호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용 음량제어기(22)에 의해 레벨이 조정되고,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24)로 공급되어,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음악신호 입력단(42)으로 입력된 음악신호는 음장효과생성용 신호경로(48) 및 직접악음용 신호경로(50)로 분기된다. 음장효과생성용 신호경로(48)로 분기된 음악신호는 DSP회로(54)로 공급되어 음장효과신호(잔향부여처리 음장효과신호 또는 음상정립처리 효과음향신호)가 생성된다.
합성회로(56)는 직접악음용 신호경로(50)를 경유한 음악신호와, DSP(54)를 경유하여 발생된 음장효과신호를 가산 합성한다.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와 상기 합성회로(56)로부터 출력된 모든 음악신호는 합성회로(28)에 의해 각 채널에 대해 가산 합성되고, 전체음량제어기(30)에 의해 레벨 조정된 후, 증폭기(32)에서 증폭되어 스피커(34)에 의해 음향으로 재생된다.
직접음용 신호경로(20)로 분기된 마이크로폰 신호(직접음 신호)는 또 다른 음량제어기(30)에 의해 레벨이 조정된 후, 헤드폰용 신호경로(38)와 중앙스피커용 신호경로(36)로 분기된다. 중앙스피커용 신호경로(36)로 분기된 마이크로폰 신호는 증폭기(32)에서 증폭되어 중앙스피커(34)에 의해 음향으로 재생된다. 헤드폰용 신호경로(38)로 분기된 마이크로폰 신호는 합성회로(39)에서 모든 음악신호 및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와 가산 합성되어 헤드폰 출력단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신호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나 음악신호 및 음장효과신호 등의 영향을 전체로 받지 않고 출력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해서 분리성능이 개선되고, 음상정립도 안정한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5개 채널 재생시스템에 의해 실현된다. 도 2는 이 제2실시예에서의 신호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음악신호로부터의 효과음향신호를 DSP처리에 의해 4개 채널로 나누어 출력한다는 것이다. 특히, DSP회로(54)는 전방 좌우측(2개 채널), 후방 좌우측(2개 채널)의 합계 4개 채널로 나눈 효과음향신호를 출력한다. 그래서, 전방 효과음향신호는 합성회로(56)에서 음악신호(직접음향신호)와 가산 합성되고, 후방 효과음향신호는 합성회로(27)에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24)로부터의 출력인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와 가산 합성되고, 이 합성된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24)로부터의 출력인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는 합성회로(28)에서 음악신호와도 가산 합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음악신호에 대해서 4개 채널의 효과음향이 사용되므로 후방으로부터도 음이 재생될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청취자는 풍부한 현장감이 제공된 다양한 음장으로 재생을 즐길 수 있다.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는 전방음악신호, 후방 효과음향신호에 가산 합성되는 반면, 마이크로폰 음향은 중앙스피커로 출력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 음악신호 효과음향신호 및 음악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도 2에서 마이크로폰, 1차증폭기, 음량제어기, 증폭기 및 스피커 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4개 채널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출력되도록 실현된 것이다. 도 3은 이 제3실시예에서의 신호처리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제3실시예가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1개 채널만이 아니라 4개 채널에서 출력된다는 점이다.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24)로부터 출력된 4개 채널의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는 합성회로(27, 28)에서 음악신호 효과음향신호 및 음악신호와 각각 가산 합성된다.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은 오직 1종류의 음향신호만을 생성시키므로, 전방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출력은 후방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그러므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전방 2개의 스피커와 후방 2개의 스피커 합계 4개의 스피커로 결정되는 평면의 중심에 정립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의 음상은 앞쪽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래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는 청각상 듣기 쉽게 된다.
도 4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를 4개 채널로 출력하는 구성의 구체적인 한 가지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에코 등의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는 입력된 마이크로폰 음향으로부터 발생되고, 이 발생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지연장치(delay unit)로 입력된다. 그리고 계수들이 다수의 지연 단자(delay taps)로부터 출력된 신호로 인가되어 4개 채널 분의 효과음향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가 4개 채널이고 음량도 각각 상호 독립하여 설정될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의 음상정립위치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현장감이 풍부하고, 여러 가지 음장에 대해 적용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이크로폰 직접신호음은 중앙스피커로 출력되므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나 음악신호 효과음향신호, 음악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도 3에서 마이크로폰, 1차증폭기, 음량제어기, 증폭기, 스피커 등은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전체에서, 신호전환스위치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폰 신호를 전방채널들로 부가하기 위한 경로 또는 중앙스피커로 향하는 경로로 신호전환 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의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 또는 음악신호에 의한 마이크로폰 신호의 상쇄를 제거하고, 마이크로폰 신호의 음상정립을 안정시키며, 또한 다양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을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반주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8)

  1. 마이크로폰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로폰 신호입력단과,
    마이크로폰 신호로부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와,
    음악신호가 입력되는 음악신호 입력단과,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로부터 출력된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와 상기 음악신호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음악신호를 합성하는 합성회로와,
    상기 합성회로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음악신호 출력단과,
    마이크로폰 신호출력단과,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와는 독립된 상태로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출력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신호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노래반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신호출력단은 전방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재생될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출력되는 제1 및 제2출력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출력단은 각각 독립한 제1 및 제2스피커 재생시스템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출력단은 상기 제1 및 제2스피커 재생시스템과는 별도의 제3스피커 재생시스템에 접속되고,
    상기 제3스피커 재생시스템의 스피커는 상기 제1 및 제2스피커 재생시스템 각각의 스피커가 놓인 위치의 본질적인 중간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는 다수 채널의 효과음향신호를 각각 독립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채널은 전방우측채널, 전방좌측채널, 후방우측채널, 후방좌측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는 1개의 채널로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 생성회로는 4개의 채널로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효과음향신호의 상기 4개의 채널에 대한 각각의 음량은 서로 독립된 상태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출력단은 중앙의 신호출력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
KR10-1999-0030015A 1998-07-24 1999-07-23 노래반주장치 KR100386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09266 1998-07-24
JP10209266A JP2000039894A (ja) 1998-07-24 1998-07-24 カラオ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932A true KR20000011932A (ko) 2000-02-25
KR100386919B1 KR100386919B1 (ko) 2003-06-11

Family

ID=1657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015A KR100386919B1 (ko) 1998-07-24 1999-07-23 노래반주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27618A (ko)
JP (1) JP2000039894A (ko)
KR (1) KR100386919B1 (ko)
CN (1) CN1115662C (ko)
SG (1) SG102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50413A1 (en) * 2002-07-31 2004-02-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dio processing system
US8160489B2 (en) * 2006-09-01 2012-04-17 Jack Strauser Karaoke device with integrated mixing, echo and volume control
US20080070213A1 (en) * 2006-09-01 2008-03-20 Jack Strauser Karaoke device with integrated mixing, echo and volume control
US20100192753A1 (en) * 2007-06-29 2010-08-05 Multak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Karaoke apparatus
TW200942954A (en) * 2008-04-10 2009-10-16 Coretronic Corp Audio processing system of projector
JP2011003944A (ja) * 2009-06-16 2011-01-06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音声出力方法
US20120087508A1 (en) * 2010-10-07 2012-04-12 ION Audio, LLC Computer enabled karaoke machine
JP6648831B2 (ja) * 2016-07-13 2020-02-14 ヤマハ株式会社 楽器練習システム、演奏練習実施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226B2 (ja) * 1991-02-27 2000-07-24 株式会社リコス バックコーラス合成装置
JPH0816181A (ja) * 1994-06-24 1996-01-19 Roland Corp 効果付加装置
JP2861881B2 (ja) * 1995-09-04 1999-02-24 ヤマハ株式会社 コーラス効果付与装置
JP3183117B2 (ja) * 1995-09-13 2001-07-03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2861885B2 (ja) * 1995-09-19 1999-02-24 ヤマハ株式会社 効果付与アダプタ
JP2848286B2 (ja) * 1995-09-29 1999-01-20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316139B2 (ja) * 1996-08-09 2002-08-19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246347B2 (ja) * 1996-08-26 2002-01-15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システム
JPH10133673A (ja) * 1996-10-30 1998-05-22 Pioneer Electron Corp カラオケ装置
JP3709631B2 (ja) * 1996-11-20 2005-10-26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KR19980067862A (ko) * 1997-02-06 1998-10-15 고대식 음성 및 음악의 분리 방송을 위한 4채널 다중 시스템
KR100269405B1 (ko) * 1997-12-01 2000-10-16 정영완 육성 코러스지원 노래방시스템의 음출력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27618A (en) 2000-10-03
SG102549A1 (en) 2004-03-26
CN1115662C (zh) 2003-07-23
KR100386919B1 (ko) 2003-06-11
JP2000039894A (ja) 2000-02-08
CN1258905A (zh)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360B1 (ko) 오디오 보정 시스템 및 오디오 사운드 보강 방법
JP4657452B2 (ja) 擬似立体音響出力をモノラル入力から合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940002166B1 (ko) 스테레오 합성기
JPH1070789A (ja) ステレオ音声再生装置
KR100386919B1 (ko) 노래반주장치
JP4036140B2 (ja) 音出力システム
JPH10304498A (ja) ステレオ拡大装置及び音場拡大装置
US6178247B1 (en) Headphone apparatus
EP2566195B1 (en) Speaker apparatus
KR20020010576A (ko)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US10313794B2 (en) Speaker system
RU2321187C1 (ru) Акус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звучания
JPH0662486A (ja) 音響再生装置
US6399868B1 (en) Sound effect generator and audio system
US7796766B2 (en) Audio center channel phantomizer
JP2010016573A (ja) クロストークキャンセルステレオスピーカーシステム
JP3401926B2 (ja) 音声信号再生装置
JP2017175417A (ja) 音響再生装置
JP2000050398A (ja) 音響信号処理回路
TWI262738B (en) Expansion method of multi-channel panoramic audio effect
KR200240707Y1 (ko) 입체음향 출력음 조절장치
JP2000221987A (ja) カラオケ装置
KR100641421B1 (ko) 오디오 시스템의 음상 확장 장치
KR940000106Y1 (ko) 초저음 및 입체음향신호 동시처리회로
JP2023131544A (ja) 音響出力装置、音響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