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396A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396A
KR20000011396A KR1019990026293A KR19990026293A KR20000011396A KR 20000011396 A KR20000011396 A KR 20000011396A KR 1019990026293 A KR1019990026293 A KR 1019990026293A KR 19990026293 A KR19990026293 A KR 19990026293A KR 20000011396 A KR20000011396 A KR 20000011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andle
suction
vacuum cleaner
suction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루시하라아쯔히코
스즈키나루히코
토요타타카히사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00011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3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93Specially shaped nozzles, e.g. for cleaning radiators, tubes, fans or the like; Du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 핸들체의 조작에 의해 흡구 본체를 회전시킬 때, 흡인 호스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거나 높이가 낮은 장소를 청소하는 경우에 흡인 호스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을, 간소하고 조립성이 좋게 하고 통기효율과 소음억제성이 우수하게 실현하는 것으로서, 손잡이 핸들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관부재를 끼워 흡구 본체가 접속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손잡이 핸들체는 접속관에 접속되는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와 일체화된 그립부와, 제1 관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흡인 호스가 접속되는 제2 관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 핸들체를 조작함으로써 흡구체의 회전 각도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 핸들체의 조작에 의하여 흡구체(吸口體)를 회전시킬 때에 흡인 호스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거나 높이가 낮은 장소를 청소할 때에 흡인 호스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손잡이 핸들체 주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청소기에 있어서는, 손잡이 핸들체에 접속관(연장관)을 끼워 접속되는 흡구체에는 일반적으로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다. 그리고 종래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는, 접속관(손잡이 핸들체)의 직선 전후진 운동에 수반하여 흡구체가 그 폭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통상의 청소(넓은 장소의 청소)에 적합한 가로이동형태(이하, 이것을 제1 이동형태라 한다)는 용이하게 취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으나, 접속관의 직선 전후진 운동에 수반하여 흡구체가 그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벽 근처 등의 청소에 적합한 세로이동형태(이하, 제2 이동형태라 한다)에 관해서는 그다지 배려되어 있지 않아, 벽 근처 등의 청소의 조작성에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원출원인은 특원평9-141374호, 특원평9-359272호, 특원평10-67112호에서, 손잡이 핸들체의 그립부의 비틀림조작에 의하여 흡구체가 상기한 제1 이동형태와 제2 이동형태를 용이하게 취하도록 한 전기청소기를 제안했다.
상기한 각 선원에서는, 흡구체에 구비된 연결관부재를, 흡구 본체(吸口 本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직면 내를 따라서 길이방향의 회전운동을 하는 제1 연결관과, 이 제1 연결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직면과 직교하는 평면 내를 따라서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하는 제2 연결관으로 구성하며, 손잡이 핸들체의 그립부의 비틀림조작에 의하여 흡구체가 바닥면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이동형태로부터 제2 이동형태로 또는 제2 이동형태로부터 제1 이동형태로 간단히 그 모습이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각 선원에서 제안된, 손잡이 핸들체의 그립부의 비틀림조작에의해 흡구체가 제1 이동형태와 제2 이동형태를 확실히 얻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는, 손잡이 핸들체의 그립부와 그 단면이 흡인 호스 및 접속관에 각각 접속되는 관상부(管狀部)가 일체화되기 때문에, 손잡이 핸들체의 그립부를 비틀면 관상부에 연결되는 흡인 호스도 관상부와 함께 이동하고, 이 때문에 흡인 호스가 신체에 감겨지므로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즉,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핸들체의 그립부를 가로로 비틀어 흡구체가 제2 이동형태를 취한 경우에, 흡인 호스에서의 손잡이 핸들체와의 접속부위도 가로로 들어 올려지고, 이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흡인 호스가 감겨지므로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는 침대 아래 등의 높이가 낮은 장소를 흡구체가 제1 이동형태를 취하게 하여 청소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핸들체의 관상부에 경사지게 늘어뜨린 형태로 매달린 흡인 호스의 높이에 의하여 접속관을 수평에 가깝게까지 눕히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특원평 9-314795호에서, 손잡이 핸들체에 「へ」모양으로 구부러진 관상부를 설치하고, 이 관상부에서 주면 개구를 설치한 외주부에 접속관 피스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이 접속관 피스에 흡인 호스를 접속하도록 한 구성을 제안했다. 이 특원평 9-314795호에서 제안한 기술에 있어서는, 손잡이 핸들체의 관상부에 대하여 흡인 호스를 연결한 접속관 피스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손잡이 핸들체의 그립부를 가로로 비틀어 흡구체에 제2 이동형태를 취하게 한 경우에도 흡인 호스의 자중으로 접속관 피스가 상대회전하므로 흡인 호스는 아래쪽으로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손으로 접속관 피스를 회전시킴으로써 흡인 호스를 손잡이 핸들체의 가로에 위치하게 설치하고 접속관을 수평에 가깝게까지 굽히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원평 9-314795호에서 제안한 기술에 있어서는, 둘로 나눠진 형상으로 한 접속관 피스를 필요로 하여, 부품의 수가 늘어나고 손잡이 핸들체의 관상부의 형상도 복잡하게 되며, 조립이 번거로워 비용 상승과 연계되고 손잡이 핸들체의 경량화도 저해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손잡이 핸들체 근방으로의 흡인용 통로가 복잡하게 되고 통기효율을 저해하며,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사용자가 손잡이 핸들체를 조작함으로써 흡구체의 회전각도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손잡이 핸들체의 조작에 의하여 흡구체를 회전시킨 경우에 흡인 호스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거나 높이가 낮은 장소를 청소하는 경우에 흡인 호스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을, 간소하며 조립성이 좋게 또한 통기 효율과 소음 억제성이 우수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사용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손잡이 핸들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손잡이 핸들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손잡이 핸들체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손잡이 핸들체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손잡이 핸들체의 그립부의 홀더부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와 종래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벽 근처의 청소 모습을 대비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와 종래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높이가 낮은 장소의 청소 모습을 대비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손잡이 핸들체의 제2 관체와 흡인 호스의 단부(端部)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수납상태 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전기청소기 2...흡인 호스
3...손잡이 핸들체 4...접속관
5...흡구체 21...연결링
31...제1 관체 32...제2 관체
33...그립부 33a...홀더부위
34...제1 접속부 35...제2 접속부
51...흡구 본체 52...연결관부재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며 청소기 본체 내의 흡인용 통로와 연통하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에 설치되며 흡인 호스와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체와, 상기 손잡이 핸들체에 설치되며 손잡이 핸들체와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설치되며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구체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하여 청소면 위를 주행하는 흡구 본체와,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연결관부재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핸들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관부재를 끼워 상기 흡구 본체가 상기 접속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체는,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과 합치하는 중심축선을 갖고,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는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와 일체화되며 상기 제1 관체의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그립부와, 제1 접속부 및 이것과 일체인 제2 접속부를 형성한 제2 관체이고,
상기 제1 관체의 중심축선과 합치하는 중심축선을 갖는 제1 접속부가 상기 제1 관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관체의 중심축선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제1 접속부부터 하방으로 구부러진 제2 접속부가 상기 흡인 호스에 접속되는 상기 제2 관체를 구비한 구성을 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이하 본 실시예라 한다)를 도 1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에서 1은 청소기 본체, 2는 흡인 호스, 3은 손잡이 핸들체, 4는 접속관(연장관), 5는 흡구체이다.
청소기 본체(1)는 그 집진실 내에 먼지를 흡입하도록 송풍기를 내장하고 있고, 상기 청소기 본체(1)에 흡인 호스(2)의 일단이 설치되며, 흡인 호스(2)의 타단에는 손잡이 핸들체(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핸들체(3)에는 접속관(4)의 일단이 설치되고, 접속관(4)의 타단에는 흡구체(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구체(5)는, 접속관(4), 손잡이 핸들체(3), 흡인 호스(2)를 끼워, 청소기 본체(1) 내의 흡인용 통로와 연통하고 있다.
청소기 본체(1)는, 한 쌍의 큰 바퀴(11)와 1개의 자유 바퀴(12)를 구비하고 있고, 손잡이 핸들체(3)에 의하여 흡인 호스(2)를 끼워 바닥면(청소면) 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흡인 호스(2)는, 먼지를 청소기 본체(1)에 운반 ·이송하기 위한 반송통로로서의 기능과, 청소기 본체(1)를 이동시키는 경우의 이동 인장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주름이 있는 형상의 유연성이 있는 호스를 채용하고 있다.
손잡이 핸들체(3)는, 흡인 호스(2)와 접속관(4)을 연통하는 기능과 청소기 본체(1)를 이동(주행)시키는 기능과 흡구체(5)를 이동(주행)시키는 기능과 흡구체(5)의 모습을 조작하는 기능과 청소기 본체(1)의 운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손잡이 핸들체(3)는 흡인 호스(2) 및 접속관(4)과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으로, 흡인 호스(2)와 접속관(4)을 연통시키는 먼지의 반송통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손잡이 핸들체(3)는, 접속관(4)에 접속되는 제1 관체(31)와, 상기 제1 관체(3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흡인 호스(2)에 접속되는 제2 관체(32)와, 제1 관체(31)와 일체화되며 제1 관체(31)의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그립부(33)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그립부(33)의 단부에 형성한 홀더부위(33a)는, 그립부(33)의 근본부위부터 소정각도 구부러져 있고, 상기 그립부(33)의 홀더부위(33a)는, 접속관(4)의 중심축선(A1)에 대하여 100°∼ 120°정도의 각도 α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도 α를 가지게 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 시에 평균적인 신장의 여성 등이 쉽게 홀더부위(33a)를 잡고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홀더부위(33a)의 비틀림동작(접속관(4)의 중심축선(A1)을 중심으로 한 회전 P1)에 의하여 흡구체(5)를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흡구체(5)를 접속관(4)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도 1 중의 회전 P2회전), 이것에 의하여 흡구체(5)의 회전 조작을 간단 ·용이하게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그립부(33)의 홀더부위(33a)가 접속관(4)의 중심축선(A1)에 대하여 각도 α를 가지고, 홀더부위(33a)를 비틈으로써 흡구체(5)의 후술하는 연결관부재에 회전모멘트를 발생시키고, 연결관부재가 예를 들면 상기한 특원평10-67112호에 기재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접속관(4)은, 손잡이 핸들체(3)와 흡구체(5)를 연통시킴과 함께, 손잡이 핸들체(3)의 움직임을 흡구체(5)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접속관(4)은 2개의 관부재를 신축이 자유롭게 조합시킨 것으로 되어 있고,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구체(5)는, 그 저면에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형성한 흡구 본체(51)와, 상기 흡구 본체(51)를 접속관(4)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흡구 본체(51)를 접속관(4)에 연통하는 연결관부재(52)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연결관부재(52)는, 그 일단측을 흡구 본체(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수직면 내를 따라 길이방향의 회전운동을 하는 제1 연결관(53)과, 그 일단측을 제1 연결관(53)의 타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수직면과 직교하는 평면 내를 따라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행함과 함께 그 타단측이 접속관(4)과 연결되는 제2 연결관(54)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연결관부재(52)의 상세에 관해서는, 여기에는 생략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관부재(52)의 구성은 상기한 특원평10-67112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모습이다.
여기에서, 흡구 본체(51)(흡구체(5))는 상면(上面)에서 보면 가늘고 긴 장방형을 나타내고 있고, 흡구체(5)는 접속관(4)(손잡이 핸들체(3))의 직선 전후진 동작에 수반하여 흡구 본체(51)가 그 폭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통상의 청소(넓은 장소의 청소)에 적합한 가로이동형태(상기한 제1 이동형태 : 도 1 중에 흡구 본체(51)가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화살표 S1 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와 접속관(4)의 직선 전후진 동작에 수반하여 흡구 본체(51)가 그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벽 근처 등의 청소에 적합한 세로이동형태(상기한 제2 이동형태 : 도 1 중에 흡구 본체(51)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화살표 S2 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를 취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손잡이 핸들체(3)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손잡이 핸들체(3)의 사시도, 도 4는 손잡이 핸들체(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손잡이 핸들체(3)의 측단면도, 도 6은 손잡이 핸들체(3)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있어서, 31은 상기한 손잡이 핸들체(3)의 제1 관체로, 이 제1 관체(3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관(4)의 상기한 중심축선 A1과 합치하는 중심축선 A2를 갖고 접속관(4)의 단부에 끼워 결합하여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제1 관체(31)와 일체화되어 있는 상기 그립부(33)는, 제1 관체(31)의 중심축선 A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위로 연장되고, 그립부(33)의 단부에는 손으로 쥐어 잡기 위해서 상기한 홀더부위(33a)가 굴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립부(33a)의 내부에는 제어회로, 스위치, 발광다이오드 등을 탑재한 회로기판(41)이나 상기 회로기판(41)에 전원공급을 하기 위한 전지(42) 등이 내장되어 있고, 또한 그립부(33)의 상면에는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막대(43)와 발광창(4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는, 그립부(33)의 누름막대(43)에 의한 스위치 조작으로 청소기 본체(1)의 내부 회로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광신호를,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창(44)을 통하여, 천정반사(天井反射)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1)의 수광부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관체(3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제2 관체(3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관체(31)의 중심축선 A2와 합치하는 중심축선 A3을 갖고 제1 접속부(34)와, 제1 접속부(34)의 중심축선 A3(즉, 제1 관체(31)의 중심축선 A2)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제1 접속부(34)로부터 아래로 구부러진 제2 접속부(35)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 B1은 제2 접속부(35)의 중심축선이다.
그리고 제2 관체(32)의 제1 접속부(34)가 제1 관체(31)에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또한 제1 관체(31)와 제2 관체(32)의 제1 접속부(34)가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연결되고, 이에 의하여 제1 접속부(제2 관체(32))가, 제1 관체(31)의 중심축선 A2의 둘레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관체(31)와 제2 관체(32)의 제1 접속부(34)와의 빠짐방지 결합수단은 임의의 것을 채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부(34)에 환형홈(36)을 설치하고, 제1 관체(31)에 제1 접속부(34)를 삽입한 후, 제1 관체(31)의 개구(37)로부터 빠짐방지편(38)의 일부를 환형홈(36)에 삽입함으로써, 제1 접속부(34)와 제1 관체(31)가 빠지지 않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빠짐방지편(38)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관 내부에 먼지가 쌓이는 경우 등의 유지관리 시에, 빠짐방지편(38)을 떼어서 제1 관체(31)와 제2 관체(32)를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인 호스(2)의 단부에는 연결링(2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링(21)을 제2 관체(32)의 제2 접속부(35)의 단부에 삽입함으로써 제2 접속부(35)와 흡인 호스(2)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21a는 연결링(21)의 계지부(係止部), 35a는 제2 접속부(35)의 계지부이다. 계지부 21a와 계지부 35a를 소위 스냅핑결합함으로써, 제2 접속부(35)와 흡인 호스(2)는 빠지지 않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흡인 호스(2)의 단부는 연결링(21)에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되어 있고, 이 결과, 흡인 호스(2)가 제2 관체(32)의 제2 접속부(35)에 접속된 상태로는, 흡인 호스(2)는 제2 접속부(3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흡인 호스(2)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관체(31)와 제2 관체(32)를 맞붙여 손잡이 핸들체(3)를 완성하고, 손잡이 핸들체(3)에 흡인 호스(2)와 접속관(4)을 설치한 상태에서는 제1 접속관(34)의 중심축선 A3(즉, 제1 관체(31)의 중심축선 A2 = 접속관(4)의 중심축선 A1)과 제2 접속부(35)의 중심축선 B1(즉, 흡인 호스(2)의 단부의 중심축선)과의 각도 α는 90°∼ 150°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처럼 하는 이유는, 청소 시에 손잡이 핸들체(3)의 그립부(33)의 홀더부위(33a)를 손으로 잡고 사용자가 일어서는 때에, 흡인 호스(2)가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반드시 매달린 형상으로 되고, 청소기 본체(1)를 용이하게 인장하여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또한 그립부(33)의 홀더부위(33a)를 잡고 손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7은 손잡이 핸들체(3)의 그립부(33)의 홀더부위(33a)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부위(33a)의 단면은, 둥글고 대략 역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홀더 부위(33a)를 손으로 잡는 경우에 잡기 쉽게 하기 위해서와, 홀더부위(33a)의 저면 정부를 항상 촉각으로 감지하고, 그립부(33)(홀더부(33a))의 비틀림상태와 중립상태를 촉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현재, 흡구체(5)가 상기한 제1 이동형태를 취하고 있는 경우에, 손잡이 핸들체(3)의 그립부(33)(홀더부위(33a))를 약 90°비틀어, 흡구체(5)에 상기한 제2 이동형태를 취하게 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립부(33)를 화살표 R1 방향으로 약 90°비틀고(회전시키고), 흡구체(5)의 모습을 제1 이동형태로부터 제2 이동형태로 이행시킨다. 이때, 그립부(33)와 일체인 제1 관체(31)와 제2 관체(32)는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더욱이 제2 관체(32)에는 접속된 흡인 호스(2)의 자중이 항상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립부(33)가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제2 관체(32)에는 흡인 호스(2)의 자중에 의해 화살표 M1 방향의 회전모멘트가 작용하게 되고, 이 결과, 제2 관체(32)는 원래의 회전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흡인 호스(2)도 들어 올려지지 않고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핸들체(3)의 그립부(33)를 가로로 비틀어 흡구체(5)에 제2 이동형태를 취하게 한 경우에도, 흡인 호스(2)에서의 손잡이 핸들체(3)와의 접속부위가 들어 올려지지 않게 되고, 흡인 호스(2)는 손잡이 핸들체(3)의 아래 쪽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흡인 호스(2)가 감기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침대 아래 등 높이가 낮은 장소를 흡구체가 제1 이동형태를 취하게 하여 청소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관체(32)를, 제1 관체(31)에 대하여 손으로 90°회전시킴으로써 손잡이 핸들체(3)에 접속된 흡인 호스(2)를, 제1 관체(31)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한 대략 수평상태로 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관(4)을 대략 수평상태로 눕힐 수 있어, 높이가 낮은 장소를 주부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어, 이점에서도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관체(32)에 대하여 흡인 호스(2)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시에 흡인 호스(2)가 비틀린 경우나 고의의 조작 등에 의하여 흡인 호스(2)를 비튼 경우에도 제2 관체(32)가 회전하면 흡인 호스(2)가 함께 회전하여, 용이하게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흡인 호스(2)가 비틀림이 없는 상태로 되돌릴 수 있어, 이점에서도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로는, 접속관(4)의 중심축선 A1의 연장선상에, 그립부(33)의 홀더부위(33a)의 거의 중심부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홀더부위(33a)와 접속관(4)의 사이에 상기 중심축선 A1에 대하여 제2 관체(32)(흡인 호스(2))를 회전 가능한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손목에 부담을 주지 않고, 손잡이 핸들체(3)의 비틀림동작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구조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접속관(4)(제1 관체(31))의 중심축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홀더부위(33a)와 제1 관체(31)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선 A1에 대하여 흡인 호스(2)의 단부를 유지한 제2 관체(32)를 회전 가능하게 맞붙이는, 간이하게 부품수를 작게 하고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간소한 손잡이 핸들체(3)의 구성인 이상, 손잡이 핸들체(3) 전체에 대한 흡인용 통로의 굴곡부도 완만하게 구부린 1곳만으로도 할 수 있어, 통기저항과 공기누설을 경감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중심축선 A1에 대하여 제2 관체(32)의 제1 접속부(34)의 회전축을 상기 중심축선 A1과 일치시킴으로써, 손잡이 핸들체(3)의 비틀림동작에 대한 제2 관체(32)의 상대회전의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관체(31)의 중심축선과 제2 관체(32)의 제1 접속부(34)의 중심축선이 접속관(4)의 중심축선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립부(33)의 비틀림에 수반하여 제1 관체(31)의 회전모멘트가 원통면끼리의 마찰저항을 없애고, 제1 접속부(34)(제2 관체(32))에는 전혀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으로, 손잡이 핸들체(3)의 비틀림동작에 대하여 제2 관체(32)의 상대회전의 추종성이 우수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2 관체(32)의 제1 접속부(34)의 회전축은, 상기 충심축선 A1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치하는 0°부터 30°이내의 범위로 기울어져도 사용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서는, 제1 관체(31)의 회전모멘트가 제1 접속부(34)(제2 관체(32))에 다소 작용하도록 구성하여도 실용상 지장이 없다. 즉, 제1 관체(31)의 중심축선을 굴곡시키고, 제1 관체(31)에서의 제1 접속부(34)와의 접속 부위의 중심축선을 접속관(4)의 중심축선 A1에 대하여 30°이내의 범위로 기울어지도록 하여도 지장이 없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손잡이 핸들체(3)의 비틀림동작에 대응하는 회전부와 흡인 호스(2)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회전부의 두 개의 회전부를 구비하여, 흡인 호스(2)의 비틀림에 수반하는 악영향을 경감할 수 있고, 청소기 본체(1)의 인장 주행성과 흡인성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손잡이 핸들체(3)의 각부를 간단하게 착탈 가능하게 하여 조립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손잡이 핸들체(3)의 제1 관체(31)와 그립부(33)를, 제1 관체(31)와 그립부(33)의 일부를 포함한 하부케이스와 그립부(33)의 나머지 부분으로 된 상부케이스로 구성하고,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사이에 회로기판 등을 배설함으로써 한층 더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손잡이 핸들체(3)의 제1 관체(31)에 대하여 제2 관체(3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는, 부품수를 간단히 줄이고 조립성이 나아지고 경랑화가 가능한 손잡이 핸들체(3)의 구성에 의하여, 손잡이 핸들체(3)의 조작으로 흡구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흡인 호스(2)의 존재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거나 높이가 낮은 장소를 청소하는 경우에 흡인 호스(2)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손잡이 핸들체(3)에서의 흡인통로의 구부러짐을 1곳으로 하고 있으므로 통기효율과 소음억제성도 우수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된 전기청소기의 손잡이 핸들체에서의 제2 관체와 흡인 호스의 단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에서의 선 실시예와 균등한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이것은 이하의 제3 실시예에서도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신호 송신에 의한 와이어리스의 원격 조작으로 청소기 본체(1)를 조작하는 전기청소기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손잡이 핸들체(3)와 청소기 본체(1)의 사이를 배선을 구비한 흡인 호스(2)에 의하여 기계적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손잡이 핸들체(3)의 조작 스위치로 청소기 본체(1)를 조작하거나, 또는 손잡이 핸들체(3)로부터 그 위에 배선을 구비한 접속관(4)을 끼워 흡구체(5)에 설치한 회전브러시의 구동용 모터까지 배선을 연장하고, 이 구동용 모터의 동작을 손잡이 핸들체(3)의 조작 스위치로 조작하는 전기 청소기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이것을 도 10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연결링(21)의 내주면에, 그 외주의 일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는 배선링(101)을 설치하고, 상기 배선링(101)의 외주에 도전성 재료로 된 도전링대(102)를 설치하고, 도전링대(102)의 아래 쪽에 흡인 호스(2)에 설치된 제1 접속선(103)의 접속부(103a)를 접속 ·고착하고 있다. 그리고 배선링(101)과 흡인 호스(2)의 단부를 일체화하고, 흡인 호스(2)를 연결링(21)에 대하여 360°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연결링(21)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고, 이것에 의하여 흡인 호스(2)(배선링(10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 관체(32)의 상기 제2 접속부(35)에는, 그립부(33) 내의 회로기판에 접속된 제2 접속선(104)의 단부에 설치한 접촉자(104a)가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접촉자(104a)가 배선링(101)의 도전링대(102) 위에 항상 탄접(彈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접촉자(104a)는, 제2 접속부(35)의 일부로 설치한 착탈 가능한, 누름부재편(105)의 돌출부(105a)에 의하여, 도전링대(102) 상에 눌러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관체(32)의 제2 접속부(35)에 대하여, 흡인 호스(2)(배선링(101)) 등과 같은 회전 위치를 가지고도, 흡인 호스(2)부터의 제1 접속관(103)과 제2 관체(32) 내의 제2 접속관(104)은 항상 전기적 접속을 안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접속 구조에 의하면, 제2 관체(32)의 제2 접속부(35)에 연결링(21)을 삽입한 후, 배선링(101)의 도전링대(102)와 접촉자(104a)의 접촉을 꾀할 수 있어, 작업성을 좋게 함과 동시에 확실한 결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및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인 호스(2)를 연결링(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있으나, 흡인 호스(2)를 연결링(21)에 고정하고, 연결링(21)을 제2 관체(32)의 제2 접속부(3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빠짐방지편(38) 등을 채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제2 관체(32)의 상기한 제1 접속부(34)의 단부에는, 凹모양이며 또한 링모양의 배선수납부(10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수납부(106)에 제2 접속선(104)이 일부 수납되고, 제2 접속선(104)의 단부는 그립부(33) 내의 회로기판까지 이끌려 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배선수납부(106)에 제2 접속선(104)을 수납함으로써, 제2 접속선(104)이 회전에 대하여 여유를 가지며, 제2 관체(32)가 상기 제1 관체(31)에 대하여 좌우로 90°정도 회전하여도, 제2 접속선(104)이 핀과 팽팽하게 되어 끊어지지 않도록, 요컨대 제2 관체(32)와 제1 관체(31)가 상대회전해도 제2 접속선(104)에 의한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 핸들체(3)가 좌우로 대강 90°정도 비틀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배선링(101)을 채용하지 않아, 손잡이 핸들체(3)를 비틀어도, 전기적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요컨대, 손잡이 핸들체(3)의 비틀림에 수반한 회전동작 범위의 길이 부분만큼 결선에 여유를 갖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전기적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배선링(101) 등을 이용한 접속구조를 제2 관체(32)와 제1 관체(31)의 접속부에 채용하여도 지장이 없다.
그리고 또, 흡구체(5)까지 전기적인 접속을 하는 경우에는, 그립부(33) 내의 회로기판과 흡구체(5)를 결선한 공지의 접속관을 이용하여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본 실시예는, 접속관(4)에 보조구(111)를 설치하고, 전기청소기의 수납 시의 모습을 콤팩트하고 안정되게 한 것이다.
도 11 (b)는 접속관(4)에 설치된 보조구(111)를 나타낸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11 (c)는 접속관(4)에 설치된 보조구(111)를 나타낸 주요부의 횡단면도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관(4)의 소정 위치에 보조구(1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분할된 형상의 보조구(111)의 반체(111a, 111b) 한 쌍을 스냅핑 끼워맞춤이나 나사결합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결합함으로써, 접속관(4)의 환형홈 부분에 보조구(111)를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는 이동이 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서는 도 11 (a)의 전기청소기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같이, 수납상태에서는 청소기 본체(1)를 세우고 청소기 본체(1)의 후부를 바닥면에 붙인 상태로 하고, 또한 수직상태로 한 접속관(4)에 설치된 보조구(111)의 계지돌기(111c)를 청소기 본체(1)의 전면부의 계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하고, 이것에 의하여 청소기 본체(1)와 접속관(4)을 세운 모습으로 인접 ·결합시킨 상태로, 또한 흡인 호스(2), 손잡이 핸들체(3), 접속관(4), 흡구체(5)를 일체로 세트한 상태로 전기청소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기청소기의 수납상태에서는, 전기청소기 전체를, 전체로서 세로길이로 콤팩트하고 안정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어, 수납의 편리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속관(4)에 보조구(11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 9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대 아래 등 높이가 낮은 장소를 접속관(4)을 수평에 가깝게 눕히고 청소하는 경우에는, 보조구(111)의 돌출측이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구(111)를 상기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있고, 도 9 (a)와 같은 경우에는, 보조구(111)의 돌출측을, 예컨대 가로로 90°회전시켜 보조구(111)의 돌출측이 바닥면에 접촉하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잡이 핸들체를 조작함으로써 흡구체의 회전각도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손잡이 핸들체의 조작에 의하여 흡구체를 회전시킬 때에 흡인 호스의 존재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거나 높이가 낮은 장소를 청소하는 경우에 흡인 호스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을, 간소하고 조립성이 좋으며 통기효율과 소음억제성이 우수하게 실현할 수 있어, 이러한 종류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그 가치가 크다.

Claims (16)

  1.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며 청소기 본체 내의 흡인용 통로와 연통하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에 설치되며 흡인 호스와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체와, 상기 손잡이 핸들체에 설치되며 손잡이 핸들체와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설치되며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구체는, 먼지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하고 청소면 상을 주행하는 흡구 본체와,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연결관부재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핸들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관부재를 끼워 상기 흡구 본체가 상기 접속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체는,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과 합치하는 중심축선을 갖고,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는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와 일체화되며 상기 제1 관체의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그립부와, 제1 접속부 및 이것과 일체인 제2 접속부를 형성한 제2 관체이고,
    상기 제1 관체의 중심축선과 합치하는 중심축선을 갖는 제1 접속부가 상기 제1 관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관체의 중심축선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제1 접속부로부터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제2 접속부가 상기 흡인 호스에 접속되는 상기 제2 관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체의 상기 제2 접속부와 상기 흡인 호스는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며 청소기 본체 내의 흡인용 통로와 연통하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에 설치되며 흡인 호스와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체와, 상기 손잡이 핸들체에 설치되며 손잡이 핸들체와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설치되며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구체는, 먼지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하고 청소면 상을 주행하는 흡구 본체와,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연결관부재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핸들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관부재를 끼워 상기 흡구 본체가 상기 접속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체는, 상기 접속관에 접속되는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와 일체화되며 상기 제1 관체의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그립부와, 제1 접속부 및 이것과 일체인 제2 접속부를 형성한 제2 관체이고,
    상기 제1 접속부가 상기 제1 관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관체의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제1 접속부로부터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제2 접속부가 상기 흡인 호스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상기 제2 관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체의 상기 제2 접속부의 중심축선은, 상기 제1 접속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90。 ∼ 150。 의 각도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5.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홀더 부위의 단면이, 둥글고 대략 역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흡구 본체는, 흡구 본체의 폭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이동형태로부터 흡구 본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이동형태로 이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7.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며 청소기 본체 내의 흡인용 통로와 연통하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에 설치되며 흡인 호스와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체와, 상기 손잡이 핸들체에 설치되며 손잡이 핸들체와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설치되며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구체는, 먼지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하고 청소면 상을 주행하는 흡구 본체와,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연결관부재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핸들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관부재를 끼워 상기 흡구 본체가 상기 접속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체는, 일단이 접속관에 접속되는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의 타단에 제1 접속부를 끼워 연결되며, 타단은 제2 접속부를 끼워 상기 흡인 호스에 접속되는 제2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에 설치되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체와 제2 관체로 상기 접속관과 흡인 호스를 연통하는 먼지의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의 연장선상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관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접속부에 설치되는 흡인 호스의 단부의 중심축선을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로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8.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며 청소기 본체 내의 흡인용 통로와 연통하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에 설치되며 흡인 호스와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체와, 상기 손잡이 핸들체에 설치되며 손잡이 핸들체와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설치되며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구체는, 먼지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하고 청소면 상을 주행하는 흡구 본체와,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연결관부재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핸들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관부재를 끼워 상기 흡구 본체가 상기 접속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체는, 일단이 접속관에 접속되는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의 타단에 제1 접속부를 끼워 연결되며, 타단은 제2 접속부를 끼워 상기 흡인 호스에 접속되는 구부러진 제2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에 설치되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체와 제2 관체로 상기 접속관과 흡인 호스를 연통하는 먼지의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의 연장선상에 설치되고,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관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9.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며 청소기 본체 내의 흡인용 통로와 연통하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에 설치되며 흡인 호스와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체와, 상기 손잡이 핸들체에 설치되며 손잡이 핸들체와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설치되며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구체는, 먼지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하고 청소면 상을 주행하는 흡구 본체와,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연결관부재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핸들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관부재를 끼워 상기 흡구 본체가 상기 접속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체는, 일단이 접속관에 접속되는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의 타단에 제1 접속부를 끼워 연결되며, 타단은 제2 접속부를 끼워 상기 흡인 호스에 접속되는 제2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에 설치되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체와 제2 관체로 상기 접속관과 흡인 호스를 연통하는 먼지의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서로의 중심축선이 소정의 각도로 되도록 굽혀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체는,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의 연장선상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관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접속부에 설치되는 흡인 호스의 단부의 중심축선을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0.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며 청소기 본체 내의 흡인용 통로와 연통하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에 설치되며 흡인 호스와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체와, 상기 손잡이 핸들체에 설치되며 손잡이 핸들체와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설치되며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구체는, 먼지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하고 청소면 상을 주행하는 흡구 본체와,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연결관부재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핸들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관부재를 끼워 상기 흡구 본체가 상기 접속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체는, 일단이 접속관에 접속되는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의 타단에 제1 접속부를 끼워 연결되며, 타단은 제2 접속부를 끼워 상기 흡인 호스에 접속한 구부러진 제2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에 설치되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체와 제2 관체로 상기 접속관과 흡인 호스를 연통하는 먼지의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2 관체는, 그 중심축선을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로 되도록 제1 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1.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며 청소기 본체 내의 흡인용 통로와 연통하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에 설치되며 흡인 호스와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체와, 상기 손잡이 핸들체에 설치되며 손잡이 핸들체와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설치되며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구체는, 먼지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하고 청소면 상을 주행하는 흡구 본체와,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흡구 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연결관부재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핸들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관부재를 끼워 상기 흡구 본체가 상기 접속관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체는, 일단이 접속관에 접속되는 제1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의 타단에 제1 접속부를 끼워 연결되며, 타단은 제2 접속부를 끼워 상기 흡인 호스에 접속되는 제2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에 설치되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체와 제2 관체로 상기 접속관과 흡인 호스를 연통하는 먼지의 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서로의 중심축선이 소정의 각도로 되도록 굽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체는, 그 중심축선을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로 되도록 제1 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체의 상기 제1 접속부의 중심축선은,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0。 ∼ 30。의 각도를 갖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체의 상기 제2 접속부와 상기 흡인 호스는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4.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체의 상기 제2 접속부의 중심축선은, 상기 접속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90。 ∼ 150。의 각도를 갖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5.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흡구 본체는 흡구 본체의 폭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이동형태로부터 흡구 본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이동형태로 이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6.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 관체의 중심축선의 연장선에 상기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접속관과의 사이에 상기 제2 관체의 제1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19990026293A 1998-07-03 1999-07-01 전기청소기 KR200000113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933398A JP3286250B2 (ja) 1998-07-03 1998-07-03 電気掃除機
JP98-189333 1998-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396A true KR20000011396A (ko) 2000-02-25

Family

ID=162395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293A KR20000011396A (ko) 1998-07-03 1999-07-01 전기청소기
KR1019990026302A KR100337711B1 (ko) 1998-07-03 1999-07-01 전기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302A KR100337711B1 (ko) 1998-07-03 1999-07-01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86250B2 (ko)
KR (2) KR20000011396A (ko)
CN (1) CN1148146C (ko)
TW (1) TW42158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504B1 (ko) * 2001-05-04 2003-10-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용 핸들
KR20180053728A (ko) * 2015-09-14 2018-05-2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KR20200084928A (ko) * 2015-09-14 2020-07-1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0597D0 (en) * 2000-01-13 2000-03-01 Notetry Ltd Hose and wand assembly
JP4513197B2 (ja) * 2000-10-02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0611066B1 (ko) * 2004-12-02 2006-08-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흡입호스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JP4613774B2 (ja) * 2005-09-28 2011-0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E102007036341B4 (de) * 2007-08-02 2012-01-19 Truplast Kunststofftechnik Gmbh Griffanordnung an einem Staubsaugerschlauch
CN102578972A (zh) * 2011-01-12 2012-07-1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立式吸尘器的流路管道结构
DE102013216194A1 (de) * 2013-08-14 2015-02-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riffadapter für einen Staubsauger
TWI634865B (zh) * 2013-08-21 2018-09-11 松下電器產業股份有限公司 Electric vacuum cleaner
CN104545700B (zh) * 2013-10-23 2017-06-16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吸尘器软管组件上的手柄体结构
CN103989442B (zh) * 2014-05-04 2016-03-30 苏州市宏伟电器有限公司 一种吸尘器导电软管
JP6598348B2 (ja) * 2014-09-22 2019-10-30 株式会社コーワ 布団用清掃機
JP2016067458A (ja) * 2014-09-29 2016-05-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2542423B (en) * 2015-09-21 2018-01-24 Dyson Technology Ltd Hand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WO2017116067A1 (ko) * 2015-12-30 201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청소기의 핸들
CN106419747B (zh) * 2016-09-05 2018-12-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吸尘器手柄与吸尘软管的连接装置及吸尘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504B1 (ko) * 2001-05-04 2003-10-3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용 핸들
KR20180053728A (ko) * 2015-09-14 2018-05-2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KR20200084928A (ko) * 2015-09-14 2020-07-1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146C (zh) 2004-05-05
KR100337711B1 (ko) 2002-05-22
CN1240629A (zh) 2000-01-12
JP3286250B2 (ja) 2002-05-27
JP2000014612A (ja) 2000-01-18
TW421585B (en) 2001-02-11
KR20000011400A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711B1 (ko) 전기청소기
KR101143659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KR20100066200A (ko)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KR102321633B1 (ko)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AU2009202139B2 (en) Upright type cleaner
JP3186033B2 (ja) 電気掃除機
GB2409634A (en) Upright suction cleaner power switch
KR100962731B1 (ko) 진공 청소기의 핸들과 호스결합장치
JP3234867B2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組品
KR100349293B1 (ko) 전기 청소기
JP2003135346A (ja) 電気掃除機
JP2002209803A (ja) 電気掃除機
KR20020063450A (ko) 청소기 연장관의 관절구조
JP2001061732A (ja) 電気掃除機
JP3347078B2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組品
JP2000093367A (ja) 電気掃除機
JP2003125992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H11155786A (ja) 電気掃除機
JP3186032B2 (ja) 電気掃除機
JP2002034862A (ja) 電気掃除機
JP3124007B1 (ja) 電気掃除機
JP2000107106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KR950000270Y1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 연결장치
JP3067043U (ja) 電気掃除機
JP2000166835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DR Request for amendment
U051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