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200A -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200A
KR20100066200A KR1020080124891A KR20080124891A KR20100066200A KR 20100066200 A KR20100066200 A KR 20100066200A KR 1020080124891 A KR1020080124891 A KR 1020080124891A KR 20080124891 A KR20080124891 A KR 20080124891A KR 20100066200 A KR20100066200 A KR 2010006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vacuum cleaner
connecting pipe
locking
up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4063B1 (ko
Inventor
유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063B1/ko
Priority to US12/584,326 priority patent/US8468646B2/en
Priority to GB0917561A priority patent/GB2466100B/en
Publication of KR2010006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2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means for connecting a ho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청소기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하면서도 흡입노즐 조립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한 업라이트 및 캐비스터 겸용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업라이트 및 캐비스터 겸용 진공청소기는 흡입노즐 조립체의 노즐본체와 연장관 사이에 배치된 연결파이프를 적어도 두 개의 지점에서 피봇할 수 있게 하는 피봇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업라이트, 캐니스터, 겸용, 노즐, 연결파이프, 피봇

Description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for using in both upright form and canister form}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시 피 청소면의 형태에 따라 업라이트 형태로 사용하거나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 또는 오물을 강제로 흡입하여 피 청소면의 청소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흡입노즐 조립체, 및 흡입노즐 조립체 위에 장착된 청소기 본체를 구비한다. 또한, 청소기 본체 내부에는 흡입노즐 조립체를 통해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오물을 수거하는 집진부와 집진부 하측으로 흡입모터가 설치되는 모터부가 구획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는 청소시 청소기 본체가 흡입노즐 조립체 위에 장착되어 흡입노즐 조립체와 함께 이동하므로, 진공청소기를 들어서 이동할 필요가 없는 마루나 카펫 등의 넓은 피 청소면을 청소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계단과 같은 좁은 피 청소면을 청 소하는 경우에는 무거운 청소기 본체와 흡입노즐 조립체 모두를 빈번하게 들어서 이동시켜야 하므로, 청소작업을 힘들게 할 뿐 아니라 청소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흡입노즐 조립체 위에 장착되는 청소기 본체를 흡입노즐 조립체로부터 착탈할 수 있게 설치하고, 청소시 피 청소면의 형태에 따라 청소기 본체를 흡입노즐 조립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업라이트 형태나 청소기 본체를 흡입노즐 조립체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하는 캐니스터 형태를 택일할 수 있게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는 일반적으로 흡입노즐 조립체에 의해 바닥에 직립된 상태로 보관된다. 따라서, 흡입노즐 조립체는 통상 집진부와 모터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본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크고 넓은 전후 및 좌우 폭, 특히, 전후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종래의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는 마루나 카펫 등의 넓은 피 청소면을 청소하는 업라이트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는 별 문제가 없었으나, 계단과 같은 좁은 전후 폭을 갖는 피 청소면을 청소하는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흡입노즐 조립체의 일부가 계단의 폭 너머로 돌출되어 흡입노즐 조립체의 바닥면이 계단과 완전하게 접촉하지 않아 청소기의 오물흡입 효율이 저하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힘과 흡입노즐 조립체에 연결된 연장관의 중량이 가해지는 흡입노즐 조립체의 노즐본체와 연결파이프 사이의 단일 피봇연결부가 계단의 폭 너머로 돌출된 흡입노 즐 조립체의 일부와 함께 계단밖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흡입노즐 조립체를 계단면에 대해 자유롭게 누르지 못하고 이동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청소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기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하면서도 흡입노즐 조립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한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업라이트 및 캐비스터 겸용 진공청소기는, 흡입노즐 조립체의 노즐본체와 연장관 사이에 배치된 연결파이프를 적어도 두 개의 지점에서 피봇할 수 있게 하는 피봇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연결파이프는 적어도 제1 및 제2부분으로 분리되고, 피봇부는 노즐본체와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 사이, 및 연결파이프의 제1 및 제2부분 사이를 피봇할 수 있게 연결할 수 있다.
피봇부는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을 노즐본체에 대해 제1각도범위 내에서 피봇할 수 있게 연결하는 제1피봇, 및 연결파이프의 제2부분을 제1부분에 대해 제2각도범위 내에서 피봇할 수 있게 연결하는 제2피봇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 2각도범위는 서로 동일하고, 약 0 도에서 90 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업라이트 형태로 사용시,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은 피 청소면과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2부분은 제2피봇을 중심으로 제2각도범위 내에서 피봇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때, 흡입호스를 통해 연장관에 연결된 청소기 본체를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과 제2피봇 위쪽에 장착하기 위해, 진공청소기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는 연결파이프의 제2부분에 형성된 탑재돌기, 탑재돌기에 대향하게 청소기 본체에 형성되고 탑재돌기를 수용하는 탑재홈, 및 청소기 본체의 후측면에 제2피봇의 상측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피봇의 상측부가 지지되는 지지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청소기 본체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연장관과 대향하는 청소기 본체에는 연장관의 일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장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시, 연결파이프의 제2부분은 제1부분과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제1부분은 제1피봇을 중심으로 제1각도범위내에서 피봇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제1피봇은,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와 직각으로 제1부분의 일단부과 연통하게 연결되고 흡입개구를 구비하는 제1원통부, 및 흡입개구를 노즐본체의 공기유로와 연결하도록 노즐본체에 형성되고 제1원통부를 수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이 노즐본체에 대해 제1각도범위 밖으로 피봇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는 제1피봇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봇제한부는 제1부 분의 일단부가 제1각도범위의 하한각도에 위치할 때 제1부분의 일단부와 접촉하도록 노즐본체에 형성된 제1반원형 요홈, 및 제1부분의 일단부가 제1각도범위의 상한각도에 위치할 때 제1부분의 일단부와 접촉하도록 노즐본체에 형성된 제2반원형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피봇은,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에 직각으로 제1부분의 타단부와 연통하게 연결되고 배출개구를 구비하는 제2원통부, 및 제2원통부 수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고 배출개구를 연결파이프의 제2부분과 연통시키도록 연결파이프의 제2부분에 직각으로 제2부분의 일단부과 연통하게 연결된 원통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파이프의 제2부분이 제1부분에 대해 제2각도범위 밖으로 피봇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통형 지지부는 제2피봇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피봇제한부는, 원통형 지지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부분이 제2각도범위의 상한각도에 위치할 때 제1부분의 타단부와 접촉하는 제1반원형 홈과 제2부분이 제2각도범위의 하한각도에 위치할 때 제2부분의 타단부와 접촉하는 제2반원형 홈을 구비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1각도 또는 제2각도에 록킹하기 위해, 제1피봇과 제2피봇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2피봇은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각도는 각각 0 도와 90 도 일 수 있다.
록킹부는 누르거나 터치할 때 연결파이프의 제2부분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형 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록킹부는, 제2원통부의 일측에 형성된 이동홈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록킹돌기를 구비하는 이동부재, 원통형 지지부에 제2원통부의 일측과 대향하게 고정되고 록킹돌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홈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하 이동동작에 따라 이동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록킹돌기가 록킹홈에 맞물리거나 풀려지게 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록킹부는 연결파이프의 제2부분이 제1부분과 평행한 평행위치나 제1부분과 직각인 직각위치에 있을 때 제2부분의 피봇을 록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록킹돌기는 원주상으로 90 도 각도로 배치된 4 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고정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록킹홈은 록킹돌기에 대향하게 원주상으로 90도 각도로 배치된 4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피봇중 적어도 하나는 노즐본체와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 사이와 연결파이프의 제1 및 제2부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호스는 플렉시블호스를 감싸도록 연결파이프의 제1 및 제2부분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보호커버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는, 흡입노즐 조립체의 노즐본체와 연장관 사이에 배치된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을 노즐 본체에 대해 제1각도의 범위내에서 피봇할 수 있게 연결하는 제1피봇, 및 연결파이프의 제2부분을 제1부분에 대해 제2각도의 범위내에서 피봇할 수 있게 연결하는 제2피봇을 구비하는 피봇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는 사용모드, 즉 업라이트 형태 또는 캐니스터 형태에 따라 제1피봇 또는 제2피봇을 선택하여 연장관을 노즐본체에 대해 피봇하면서 피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다.
즉, 청소기 본체를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과 제2피봇 위쪽에 장착하여 업라이트 형태로 사용시,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은 피 청소면과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2부분은 제2피봇을 중심으로 제2각도의 범위내에서 피봇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진공청소기는 노즐본체 부근에서의 피 청소면 점유공간을 비교적 크게 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청소기 본체를 연결파이프의 제1부분과 제2피봇 위쪽으로부터 제거하여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시, 연결파이프의 제2부분은 제1부분과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제1부분은 제1피봇을 중심으로 제1각도의 범위내에서 피봇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진공청소기는 노즐본체 부근에서의 피 청소면 점유공간을 비교적 작게 유지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와 같이 업라이트 형태로 사용시 청소기 본체를 노즐 본체에 안정적으로 장착 및 보관하기 위해 노즐본체의 전후 폭을 크게 형성할 필요 없다. 따라서, 계단과 같은 좁은 전후 폭을 갖는 피 청소면을 청소하는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할 경우에도, 노즐 본체가 계단의 폭 너머로 돌출되어 노즐 본체의 바닥면이 계단과 완전하 게 접촉하지 않아 오물흡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또한, 캐니스터 형태의 사용시 사용자의 힘과 연장관의 중량이 가해지는 제1피봇이 노즐본체와 함께 계단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노즐본체를 계단면에 대해 자유롭게 누르면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소작업이 쉽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1)를 업라이트 형태 및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하는 예를 각각 예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 연장관(20), 및 흡입노즐 조립체(30)를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10)는 내부에 흡입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는 모터부(도시하지 않음)와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집진부(도시하지 않음)가 서로 구획 배치된다. 또, 청소기 본체(10)는 상부에 본체 손잡이(11)가 형성된다. 청소기 본체(10)의 바닥면에는 청소기를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시 청소기 본체(10)를 피 청소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각각 한 쌍의 앞뒤 바퀴(13a, 13b)가 배치된다.
연장관(20)의 상부에는 조작핸들(21)이 형성되고, 조작핸들(21) 아래에는 청소기 본체(10)와 연결된 흡입호스(15)가 연결되어 있다. 연장관(20)의 하부에는 전선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내장한 암소켓(23)이 형성되어 있 다. 암소켓(23)은, 연장관(20)이 흡입노즐 조립체(30)의 연결파이프(36)와 결합될 때, 후술하는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의 상부에 형성된 숫소켓(45; 도 3 및 도 4 참조)과 결합된다. 암소켓(23)의 전선단자는 숫소켓(45)의 대응 전선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흡입노즐 조립체(30)의 노즐본체(31) 내의 구동모터(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노즐 조립체(30)는 노즐본체(31), 연결파이프(36), 및 피봇부(50)를 포함한다.
노즐본체(31)는 상부 및 하부 케이싱(33, 34)으로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케이싱(33, 34)는 나사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케이싱(33, 34) 내에는 드럼브러시(35) 하측에서 하부 케이싱(34)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공기유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 노즐본체(31)의 상부 및 하부 케이싱(33, 34) 내에는 드럼브러시(35)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7)가 지지브라켓에 설치된다. 구동모터(37)는 타이밍벨트(38)를 통해 드럼브러시(35)의 일측에 형성된 피동치차(39)에 연결된다. 도 6a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34)의 하측에는 청소시 흡입노즐 조립체(3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복수 개의 바퀴(41)가 설치된다.
연결파이프(36)는 노즐본체(31)와 연장관(2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노즐본체(31)와 연장관(20) 사이에서 노즐본체(31)에 배치된다. 연결파이프(36)는 본 발명에 따라 피봇부(50)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지점에서 피봇할 수 있게 연결되도록 제1 및 제2부분(43, 44)으로 분리된다.
피봇부(50)는 연결파이프(36)를 적어도 두 개의 지점, 예를들면, 노즐본체(31)와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 사이, 및 연결파이프(36)의 제1 및 제2부분(43, 44)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게 연결한다.
이를 위해, 피봇부(50)는 제1피봇(55), 및 제2피봇(60)을 구비한다.
제1피봇(55)은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을 노즐본체(31)에 대해 약 0 도에서 90 도 사이의 각도범위 내에서 피봇할 수 있게 연결한다. 제1피봇(55)은 제1원통부(56)와 지지부(59)로 이루어진다. 제1원통부(56)는 일측은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과 직각으로 제1부분(43)의 일단부와 연통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흡입개구(58)가 형성된다. 또, 제1원통부(56)의 양측 중앙에는 회전축(57)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59)는 제1 및 제2격벽(62, 63)과 제3 및 제4격벽(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격벽(62, 63)은 노즐본체(31)의 하부 케이싱(34)의 후방 중앙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제3 및 제4격벽은 상부 케이싱(33)의 후방 중앙에서 제1 및 제2격벽(62, 63)과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케이싱(33, 34)이 서로 겹합할 때, 제1 내지 제4격벽(62, 63)은 제1원통부(56)를 수용함과 함께 흡입개구(58)를 노즐본체(31)의 공기유로와 연통시키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1 내지 제4격벽(62, 63)의 각각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 및 하부 케이싱(33, 34)이 서로 겹합할 때 제1원통부(56)의 회전축(57)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한 원형 지지홀을 형성하는 반원형 지지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이 노즐본체(31)에 대해 0 도에서 90 도의 각 도범위 밖으로 피봇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59)는 제1피봇제한부(65)를 구비한다. 제1피봇제한부(65)는 제1반원형 요홈(66)과 제2반원형 요홈(67)로 이루어 진다. 제1반원형 요홈(66)은 노즐본체(31)의 하부 케이싱(34)에서 지지부(59)의 제1 및 제2격벽(62, 63) 사이에 형성되고,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의 일단부가 0 도에서 90 도의 각도범위의 하한각도, 즉, 약 0 도(대략 수평위치)에 위치할 때(도 3, 도 6b 및 도 7b 참조) 제1부분(43)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제1부분(43)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2반원형 요홈(67)은 노즐본체(31)의 상부 케이싱(33)에서 지지부(59)의 제3 및 제4격벽 사이에 형성되고, 제1부분(43)의 일단부가 0 도에서 90도의 각도범위의 상한각도, 즉, 약 90 도(대략 수직위치)에 위치할 때 제1부분(43)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제1부분(43)의 회전을 제한한다.
선택적으로,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을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에 록킹하기 위해, 제1피봇(55)은 제1록킹부(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록킹부(68)는 제1원통부(56)의 일측의 원주면에 90 도의 간격을 두고 미소하게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록킹돌기(71, 72), 및 하부 케이싱(34)에서 지지부(59)의 제1격벽(62)과 제1반원형 요홈(66) 사이에 형성된 제1 탄성록킹홈(7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은 수직위치에 있을 때는 제1록킹돌기(71)가 제1 탄성록킹홈(73)에 삽입되어 수직위치로 록킹되고, 수평위치에 있을 때는 제2록킹돌기(72)가 제1 탄성록킹홈(73)에 삽입되어 수평위치로 록킹된다. 제1록킹돌기(71) 또는 제2록킹돌기(72)와 제1 탄성록킹홈(73) 사이의 록킹력은 진공청소기를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시 사용자가 연장관(2)을 제1피봇(55)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쉽게 해제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제1록킹부(68)는 사용빈도가 많지 않으므로, 설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2피봇(60)은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을 제1부분(43)에 대해 약 0 도에서 90 도의 각도범위 내에서 피봇할 수 있게 연결한다. 제2피봇(60)은 제2원통부(75)와 원통형 지지부(80)로 이루어 진다. 제2원통부(75)는 일측은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에 직각으로 제1부분(43)의 타단부와 연통하게 연결되고, 타측에서는 배출개구(74; 5 참조)가 형성된다. 원통형 지지부(80)는 제2원통부(75)를 수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고, 제2원통부(75)의 배출개구(74)를 제2부분(44)과 연통시키도록 제2부분(44)에 직각으로 제2부분(44)의 일단부와 연통하게 연결된다. 원통형 지지부(80)는 좌측 및 우측 케이싱(76, 77)내에 배치되고, 좌측 및 우측 케이싱(76, 77)에 의해 밀폐된다.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이 제1부분(43)에 대해 0 도에서 90 도의 각도범위 밖으로 피봇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통형 지지부(80)는 제2피봇제한부(78)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피봇제한부(78)는 원통형 지지부(80)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반원형 홈(79a, 79b)을 구비하는 개구(79)로 이루어진다. 제1반원형 홈(79a)은 제2부분(44)이 0 도에서 90 도의 각도범위의 상한각도, 즉 약 90 도(제1단부(43)와 대략 직각인 직각위치)에 위치할 때(도 3 및 도 6b 참조) 제1부분(43)의 타단부와 접촉하여 제2부분(44)의 피봇을 제한한다. 제2반원형 홈(79b)는 제2부분(44)이 0 도에서 90 도의 각도범위의 하한각도, 즉 0 도(제1단부(43)와 대략 평행인 평행위치)에 위치할 때(도 8 참조) 제1부 분(43)의 타단부와 접촉하여 제2부분(44)의 피봇을 제한한다.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을 제1부분(42)에 대해 약 0 도(제1단부(43)와 대략 평행인 평행위치) 또는 약 90 도(제1단부(43)와 대략 직각인 직각위치)에 록킹하기 위해, 제2피봇(60)은 제2록킹부(88)를 더 포함한다.
제2록킹부(88)는 누르거나 터치할 때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록킹부(88)는 이동부재(89), 고정부재(91), 및 레버(92)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89)는 제2원통부(75)의 일측에 형성된 이동홈(75a)내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동부재(89)의 일측 중앙에는 경사 슬라이딩면(93a)을 구비한 가이드돌기(93)가 돌출 형성되고, 이동부재(89)의 일측의 가이드돌기(93)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록킹돌기(89a)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부재(91)는 제2원통부(75)의 일측과 대향하게 원통형 지지부(80)에 고정되고, 제2록킹돌기(89a)를 수용하여 록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록킹홈(91a)이 제2록킹돌기(89a)에 대향한 위치에 형성된다. 레버(92)는 고정부재(91)의 가이드슬롯(91b)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하부에 가이드돌기(93)의 슬라이딩면(89b)과 맞물리는 대응 경사 슬라이딩면(92a)이 형성된다.
또한, 제2록킹부(88)는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이 제1부분(43)과 평행하게 펴진 평행위치나(도 8 참조) 직각으로 벤딩된 직각위치에 있을 때(도 3 및 도 6b 참조), 제2부분(44)의 피봇을 록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재(89)의 제2록킹돌기(89a)는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의 평행위치 및 직각위치에 맞추어 원주상으로 90 도 각도로 배치된 4 개의 돌기로 구성되고, 고정부재(91)의 제2록킹홈(91a)은 4 개의 돌기에 대향하게 원주상으로 90 도 각도로 배치된 4 개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92)가 사용자의 누름이나 터치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면, 이동부재(89)는 경사 슬라이딩면(89b)이 레버(92)의 대응 경사 슬라이딩면(92a)에 의해 눌러져 이동홈(75a)을 따라 우측(도 4 및 도 5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재(89)의 제2록킹돌기(89a)는 고정부재(91)의 제2록킹홈(91a)으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제2원통부(80)와 연결된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은 제2원통부(75)와 연결된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에 대해 자유롭게 피봇될 수 있다.
반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92)가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해제로 인해 스프링에 의해 위로 이동하면, 이동부재(89)는 스프링에 의해 이동홈(75a)을 따라 좌측(도 4 및 도 5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재(89)의 제2록킹돌기(89a)는 고정부재(91)의 제2록킹홈(91a)에 삽입된다. 그 결과,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은 제1부분(43)에 대한 피봇이 록킹된다. 그러나, 이때,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이 평행위치 및 직각위치에 있지 않으면, 제2록킹돌기(89a)와 제2록킹홈(91a)이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의 평행위치 및 직각위치에 맞추어 원주상으로 90 도 각도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록킹돌기(89a)와 제2록킹홈(91a)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록킹돌기(89a)는 고정부재(91)에 의해 제2록킹홈(91a)에 삽입되지 못한다. 이 경우,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은 평행위치 및 직각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제1부분(43)에 대해 자유 롭게 피봇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봇부(50)를 구비한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1)는, 도 1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호스(15)를 통해 연장관(20)에 연결된 청소기 본체(10)를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과 제2피봇(60) 위쪽에 장착하여 보관된다. 이를 위해, 진공청소기(1)는 장착부(95)를 포함한다. 장착부(95)는 탑재돌기(96), 탑재홈(도시하지 않음), 및 지지요부(97)로 이루어진다. 탑재돌기(96)는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의 타부분 상부에서 숫소켓(45) 근처에 형성된다. 탑재홈은 탑재돌기(96)를 수용하여 록킹하도록 탑재돌기(96)에 대향하게 청소기 본체(10)의 바닥면 하부에 형성된다. 지지요부(97)는 청소기 본체(10)의 후측면에 제2피봇(60)의 상측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요부(97)는 도 1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0)가 업라이트 형태의 보관위치에 있을 때는 제2피봇(60)의 상측부에 안착 지지되고,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라이트 형태의 사용위치에 있을 때는 제2피봇(60)의 상측부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청소기 본체(10)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연장관(20)과 대향하는 청소기 본체(10)의 바닥면에는 연장관(20)의 일부를 길이방향으로 수용 및 지지하는 장홈(9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가 노즐본체(31) 대신,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과 제1피봇(60) 위쪽에 장착되므로, 종래의 청소기와 같이 업라이트 형태로 사용시 청소기 본체(10)를 안정적으로 장착 유지하기 위해 노즐본체(31)의 크기, 특히, 전후 폭을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예를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본체(31)의 전후 폭(L)은 L' 만큼 감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1)는 계단 등과 좁은 전후 폭을 갖는 피 청소면을 청소하는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할 경우에도, 노즐본체(31)가 계단의 폭 너머로 돌출되어 노즐본체(10)의 바닥면이 계단과 완전하게 접촉하지 않아 오물흡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의 힘과 연장관(20)의 중량이 가해지는 제1피봇(55)이 노즐본체(31)와 함께 계단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노즐본체(10)를 계단면에 대해 자유롭게 누르면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소작업이 쉽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1)는 제1 및 제2피봇(55, 60)이 원통부(56; 75)와 지지부(59; 80)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피봇중 하나, 예를들면, 제2피봇(60')은 연결파이프(36)의 제1 및 제2부분(43, 44)를 연결하는 플렉시블호스(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호스(61)는 플렉시블호스(61)를 감싸도록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에 설치된 보호커버(8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부분(43, 44) 사이의 피봇록킹은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의 제1브라켓(75')과 보호커버(80')의 제2브라켓(85)의 양단부를 나선 연결하는 나선축(62)을 노브(69)로 회전시켜 죄우는 것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부분(43, 44) 사이의 피봇록킹은 제1브라켓(75')과 제2브라켓(85)의 양단부에서 양단부를 지지하는 피봇축(도시하지 않음) 둘레에 약 90도의 각도로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록깅돌기(도시하지 않음)와 복수 개의 록킹홈(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1)를 업라이트 형태 및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하는 동작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1)가 업라이트 형태의 보관위치에 있을 때,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은 제1피봇제한부(65)의 제1반원형 요홈(66)에 의해 청소면과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제2부분(44)은 제2피봇(60)의 제2록킹부(88)에 의해 제1부분(43)에 대해 약 90 도의 각도를 갖는 직각위치에 위치한다(도 6b 참조). 또, 청소기 본체(1)은 장착부(95)에 의해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과 피봇부(50)의 제2피봇(60) 위쪽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업라이트 형태의 보관위치에서 사용자가 진공청소기(1)를 사용하여 카펫, 마루 등과 같은 넓은 피청소면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제2록킹부(88)의 레버(92)를 발로 누르거나 손으로 터치하여 아래로 이동시키면, 도 4 및 도 5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89)의 제2록킹돌기(89a)는 고정부재(91)의 제2록킹홈(91a)으로부터 해제되고, 그 결과,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은 제1부분(43)에 대해 자유롭게 피봇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연장관(20)의 조작핸들(21)을 사용하여 제1 및 제2부분(43, 44)이 서로 평행하거나 직각이 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연장관(20)을 제2피봇(60)을 중심으로 피봇시키면서 노즐본체(31)를 피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를 수행한다.
청소가 완료된 후, 진공청소기(1)를 다시 보관위치로 보관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조작핸들(21)을 사용하여 제1 및 제2부분(43, 44)이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장관(20)을 제2피봇(60)을 중심으로 피봇시키면, 제2록킹부(88)는 도 5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록킹돌기(89a)가 제2록킹홈(91a)에 삽입되어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의 제1부분(43)에 대한 피봇을 록킹한다. 그 결과, 진공청소기(1)는 도 1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위치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계단과 같은 좁은 폭을 갖는 피 청소면을 청소하기 위해, 도 1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라이트 형태의 보관위치로 유지된 진공청소기(1)를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본체 손잡이(11)를 사용하여 청소기 본체(10)를 흡입노즐 조립체(30) 및 연장관(20)으로부터 분리한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뒤 바퀴(13a, 13b)가 피 청소면의 바닥에 닿도록 피 청소면위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가 제2록킹부(88)의 레버(92)를 발로 누르거나 손으로 터치하여 아래로 이동시키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록킹돌기(89a)는 제2록킹홈(91a)으로부터 해제되어,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은 제1부분(43)에 대해 자유롭게 피봇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핸들(21)을 사용하여 제1 및 제2부분(43, 44)이 서로 대략 수직인 직각위치(도 6b 참조)에서부터 서로 대략 평행한 평행위치(도 2 및 도 8 참조)가 되도록 연장관(20)을 제2피봇(60)을 중심으로 피봇시키면, 제2록킹부(88)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록킹돌기(89a)가 제2록킹홈(91a)에 삽입되어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의 제1부분(43)에 대한 피봇을 록킹한다. 그 결과, 진공청소기(1)는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파이 프(36)의 제2부분(44)은 제1부분(43)과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제1부분(43)은 제1피봇(55)을 중심으로 약 0 도에서 90 도 사이의 각도범위내에서 피봇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핸들(21)을 사용하여 연장관(20)을 제1피봇(55)을 중심으로 피봇시키면서 노즐본체(31)를 피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를 수행한다.
청소가 완료된 후, 진공청소기(1)를 다시 보관위치에 보관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진공청소기(1)를 위에서 설명한 업라이트 형태의 보관위치에서부터 캐니스터 형태로 변환하는 동작의 역순으로 조작한다.
즉, 사용자는 제2록킹부(88)의 레버(92)를 발로 누르거나 손으로 터치하여 아래로 이동시켜 연결파이프(36)의 제2부분(44)을 제1부분(43)에 대해 자유롭게 피봇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조작핸들(21)을 사용하여 제1 및 제2부분(43, 44)이 서로 대략 평행한 평행위치(도 2 및 도 8 참조)에서부터 대략 90 도의 각도를 갖는 직각위치(도 6b 참조)가 되도록 연장관(20)을 제2피봇(60)을 중심으로 피봇시킴과 함께,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분(43)이 제1피봇제한부(65)의 제1반원형 요홈(66)에 의해 피 청소면과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체 손잡이(11)를 사용하여 청소기 본체(10)를 흡입노즐 조립체(30) 위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장착부(95)를 통해 연결파이프(36)의 제1부분(43)과 피봇부(50)의 제2피봇(55) 위에 장착한다. 그 결과, 진공청소기(1)는 도 1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를 업라이트 형태의 보관위치로 보관된 것을 예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진공청소기를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흡입노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선 V-V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도 1에 도시한 진공청소기의 측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한 진공청소기에서 청소기 본체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 7a는 도 1에 도시한 진공청소기를 업라이트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는 측면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진공청소기에서 청소기 본체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조립체의 부분 측면도, 및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를 청소기 본체가 제거한 상태에서 업라이트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진공청소기 10: 청소기 본체
20: 연장관3 30: 흡입노즐 조립체
31: 노즐본체 36: 연결파이프
50: 피봇부 55: 제1피봇
56: 제1원통부 59: 지지부
60, 60': 제2피봇 61: 플렉시블호스
65: 제1피봇제한부 68: 제1록킹부
75: 제2원통부 80: 원통형 지지부
78: 제2피봇제한부 88: 제2록킹부
89: 이동부재 91: 고정부재
92: 레버 95: 장착부
96: 탑재돌기 98: 장홈

Claims (23)

  1. 흡입노즐 조립체의 노즐본체와 연장관 사이에 배치된 연결파이프를 적어도 두 개의 지점에서 피봇할 수 있게 하는 피봇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는 적어도 제1 및 제2부분으로 분리되고,
    상기 피봇부는 상기 노즐본체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부분 사이, 및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 및 제2부분 사이를 피봇할 수 있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부는,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부분을 상기 노즐본체에 대해 제1각도범위 내에서 피봇할 수 있게 연결하는 제1피봇, 및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2부분을 상기 제1부분에 대해 제2각도범위 내에서 피봇할 수 있게 연결하는 제2피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각도범위는 각각, 약 0도에서 9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업라이트 형태로 사용시,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부분은 피 청소면과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2피봇을 중심으로 상기 제2각도범위 내에서 피봇하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흡입호스를 통해 상기 연장관에 연결된 청소기 본체를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피봇 위쪽에 장착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2부분에 형성된 탑재돌기,
    상기 탑재돌기에 대향하게 상기 청소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탑재돌기를 수용하는 탑재홈, 및
    상기 청소기 본체의 후측면에 상기 제2피봇의 상측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피봇의 상측부가 지지되는 지지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관과 대향하는 청소기 본체에 형성 되어 연장관의 일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장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9. 제3항에 있어서, 캐니스터 형태로 사용시,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과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피봇을 중심으로 상기 제1각도범위내에서 피봇하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봇은,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부분과 직각으로 상기 제1부분의 일단부와 연통하게 연결되고, 흡입개구를 구비하는 제1원통부, 및
    상기 흡입개구를 상기 노즐본체의 공기유로와 연결하도록 상기 노즐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원통부를 수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부분이 상기 노즐본체에 대해 상기 제1각도범위 밖으로 피봇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피봇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봇제한부는,
    상기 제1부분이 상기 제1각도범위의 하한각도에 위치할 때 상기 제1부분의 일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노즐본체에 형성된 제1반원형 요홈, 및
    상기 제1부분이 상기 제1각도범위의 상한각도에 위치할 때 상기 제1부분의 일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노즐본체에 형성된 제2반원형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봇은,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부분에 직각으로 상기 제1부분의 타단부와 연통하게 연결되고, 배출개구를 구비하는 제2원통부, 및
    상기 제2원통부 수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고, 상기 배출개구를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2부분과 연통시키도록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2부분에 직각으로 상기 제2부분의 일단부와 연통하게 연결된 원통형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지지부는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제1부분에 대해 상기 제2각도범위 밖으로 피봇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피봇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봇제한부는, 상기 원통형 지지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제2각도범위의 상한각도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부분의 타단부와 접촉하는 제1반원형 홈과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제2각도범위의 하한각도에 위치할 때 상기 제1부분의 타단부와 접촉하는 제2반원형 홈을 구비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1각도와 제2각도에 록킹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2피봇을 록킹하며,
    상기 제1 및 제2각도는 각각 0 도와 90 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누르거나 터치할 때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2부분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2원통부의 일측에 형성된 이동홈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록킹돌기를 구비하는 이동부재,
    상기 원통형 지지부에 상기 제2원통부의 일측과 대향하게 고정되고 상기 록킹돌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홈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하 이동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에 맞물리거나 풀려지게 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제1부분과 대략 평행한 평행위치나 상기 제1부분과 대략 직각인 직각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부분의 회전을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록킹돌기는 원주상으로 90 도 각도로 배치된 4 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록킹홈은 상기 록킹돌기에 대향하게 원주상으로 90도 각도로 배치된 4 개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2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피봇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노즐본체와 상 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부분 사이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 및 제2부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호스는 상기 플렉시블호스를 감싸도록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 및 제2부분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KR1020080124891A 2008-12-09 2008-12-09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KR101534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891A KR101534063B1 (ko) 2008-12-09 2008-12-09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US12/584,326 US8468646B2 (en) 2008-12-09 2009-09-03 Vacuum cleaner for using in both upright form and canister form
GB0917561A GB2466100B (en) 2008-12-09 2009-10-07 Vacuum cleaner for using in both upright form and canister 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891A KR101534063B1 (ko) 2008-12-09 2008-12-09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200A true KR20100066200A (ko) 2010-06-17
KR101534063B1 KR101534063B1 (ko) 2015-07-07

Family

ID=4140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891A KR101534063B1 (ko) 2008-12-09 2008-12-09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68646B2 (ko)
KR (1) KR101534063B1 (ko)
GB (1) GB24661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0039B2 (en) 2009-03-11 2015-02-10 G.B.D. Corp.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08070966A1 (en) 2006-12-12 2008-06-19 Gbd Corp. Converti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65277B2 (en) 2006-12-12 2020-09-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751733B2 (en) 2007-08-29 2023-09-1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674761C (en) 2009-03-13 2016-10-04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ifferent cleaning configurations
US9480373B2 (en) 2009-03-13 2016-11-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690489B2 (en) 2009-03-13 2023-07-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n external dirt chamber
US9591953B2 (en) 2009-03-13 2017-03-1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11044B2 (en) 2011-03-04 2015-12-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ompact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392916B2 (en) 2009-03-13 2016-07-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98551B2 (en) * 2013-02-28 2015-12-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917900C (en) 2009-03-13 2019-01-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38114B2 (en) 2009-03-13 2015-09-2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26633B2 (en) 2009-03-13 2016-0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612288B2 (en) 2009-03-13 2023-03-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674376A1 (en) 2009-03-13 2010-09-13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ifferent cleaning configurations
US9427122B2 (en) 2009-03-13 2016-08-3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469049B (en) * 2009-03-31 2013-04-17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with steering mechanism
CA2953105C (en) * 2009-07-30 2020-02-1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474462B (en) * 2009-10-15 2013-12-11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with domed-shaped wheels
GB2474466B (en) * 2009-10-15 2014-03-05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3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3B (en) * 2009-10-15 2013-11-1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5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5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2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9B (en) * 2009-10-15 2013-11-1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0B (en)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4B (en) * 2009-10-15 2013-11-20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0918027D0 (en) * 2009-10-15 2009-12-02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ating appliance
US8875340B2 (en) * 2010-03-12 2014-11-04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enhanced operability
US8887352B2 (en) * 2011-02-25 2014-11-18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Canister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a control handle and nozzle assembly with upright swivel lock
US20120246866A1 (en) * 2011-03-28 2012-10-04 Emerson Electric Co. Support System Adjustable by Like Motion and Method of Use
US10016107B2 (en) 2011-12-14 2018-07-10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sideways pivoting handle
US20140331445A1 (en) * 2011-12-14 2014-11-13 Euro-Pro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sideways pivoting handle
WO2014026131A1 (en) * 2012-08-09 2014-02-1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including a removable canister assembly
US9215960B2 (en) 2013-02-28 2015-12-2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364127B2 (en) 2013-02-28 2016-06-1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56721B2 (en) * 2013-02-28 2016-10-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314138B2 (en) 2013-02-28 2016-04-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943647B1 (en) 2013-08-09 2015-02-0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including a removable handle assembly
AU2015101867A4 (en) 2014-01-17 2016-07-07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including a removable canister assembly
GB2541145B (en) * 2014-05-29 2021-01-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14725B2 (en) 2014-12-05 2016-08-16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Upright vacuum cleaner with two auxiliary operating modes
US10080471B2 (en) 2015-12-21 2018-09-25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Versatile vacuum cleaners
US11478117B2 (en) 2016-08-29 2022-10-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13141B2 (en) 2016-08-29 2019-09-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05711B2 (en) 2016-08-29 2019-09-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136779B2 (en) 2016-08-29 2018-11-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33689B2 (en) 2016-08-29 2019-10-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321794B2 (en) 2016-08-29 2019-06-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136780B2 (en) 2016-08-29 2018-11-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41125B2 (en) 2016-08-29 2019-10-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41124B2 (en) 2016-08-29 2019-10-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92550B2 (en) 2016-08-29 2019-05-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962050B2 (en) 2016-08-29 2018-05-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29295B2 (en) 2016-08-29 2020-08-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220012727A (ko) * 2020-07-23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20220012730A (ko) 2020-07-23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FR3129280B1 (fr) * 2021-11-25 2023-10-27 Seb Sa Aspirateur équipé d’une tête d’aspiration déplaçable entre des positions rétractée et déployé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40511T3 (es) 1993-11-16 2000-03-01 Wako Pure Chem Ind Ltd Procedimiento para separar y medir glicoproteinas.
JP3504744B2 (ja) 1994-01-20 2004-03-08 株式会社大宇エレクトロニクス デュアルタイプの真空掃除機
JP3609582B2 (ja) * 1997-06-23 2005-01-1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H1189757A (ja) 1997-09-18 1999-04-0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269294A (ja) * 2000-03-23 2001-10-02 Sharp Corp 電気掃除機
GB2402047B (en) 2003-05-29 2006-07-19 Dyson Ltd A cleaning head
JP3868953B2 (ja) * 2003-12-22 2007-0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KR101491002B1 (ko) 2007-12-05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KR20100006786A (ko) 2008-07-10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39030A1 (en) 2010-06-10
GB2466100B (en) 2010-11-03
GB2466100A (en) 2010-06-16
KR101534063B1 (ko) 2015-07-07
GB0917561D0 (en) 2009-11-25
US8468646B2 (en)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6200A (ko)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KR102238138B1 (ko)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100750784B1 (ko) 진공 청소기
US7594296B2 (en) Convertible vacuum cleaner
US7681279B2 (en) Vacuum cleaner
EP1994868B1 (en) Nozz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WO2018087937A1 (ja) 電気掃除機の延長管
KR100667873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000011400A (ko) 전기청소기
AU2009202139B2 (en) Upright type cleaner
JP2009504305A (ja) アップライト型真空掃除機用の角度調節装置
KR10054042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JP7365853B2 (ja) 電気掃除機
KR20010038842A (ko) 청소기용 흡입노즐유니트
CN218651660U (zh) 湿式表面清洁设备
KR10056557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565578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JP2003135346A (ja) 電気掃除機
KR200357163Y1 (ko) 청소기의 바퀴 구조
JPH06311946A (ja) 電気掃除機
JP2005245897A (ja) 電気掃除機
JPH10323302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KR20030031651A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회전장치
KR20060018715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