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138B1 -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138B1
KR102238138B1 KR1020140112212A KR20140112212A KR102238138B1 KR 102238138 B1 KR102238138 B1 KR 102238138B1 KR 1020140112212 A KR1020140112212 A KR 1020140112212A KR 20140112212 A KR20140112212 A KR 20140112212A KR 102238138 B1 KR102238138 B1 KR 10223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suction passage
cradle
receiving groov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245A (ko
Inventor
김병수
윤수현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138B1/ko
Priority to US14/595,609 priority patent/US9675218B2/en
Priority to EP15181269.0A priority patent/EP2989951B1/en
Publication of KR2016002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54Stands or the like for temporary interruption of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Abstract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거치대는 일단에 진공청소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이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유닛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 상기 흡입유로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 액세서리;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상기 액세서리를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SUPPORT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넓은 구역의 청소에서 좁은 구역의 청소로 또는 좁은 구역의 청소에서 넓은 구역의 청소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액세서리가 간편하게 탈착될 수 있는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진공 펌프의 동작에 따른 부압에 의해 발생된 강력한 흡인력으로 실내의 바닥, 벽, 틈새 등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가전기기이다. 진공청소기는 크게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 업라이트 타입(Uplight Type), 핸디 타입(Handy Type) 및 스틱 타입(Stick Typ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유닛과, 진공청소유닛의 흡입구에 결합되는 연장관 역할을 하는 거치대와, 거치대 하단에 연결되는 흡입노즐을 포함한다. 이 경우, 진공청소유닛은 거치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핸디 타입 진공청소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틱형 타입 진공청소기의 경우, 거치대로부터 진공청소유닛을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진공청소유닛은 계단이나 틈새가 좁은 부분 또는 천정 등을 청소를 할 때 흡입구에 별도의 액세서리를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경우 액세서리가 흡입노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기 위해 흡입노즐로부터 액세서리를 분리하거나 사용 후 다시 흡입노즐에 장착하기 위해서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 경우, 진공청소유닛과 액세서리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액세서리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진공청소유닛에 결합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손에 오물이 묻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에 별도의 액세서리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액세서리가 보관되어 있는 충전기(스틱 타입 진공청소기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나 기타 별도로 마련된 액세서리 보관함으로부터 액세서리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액세서리를 진공청소유닛에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단에 진공청소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이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유닛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상기 흡입유로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 액세서리;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상기 액세서리를 지지하는 힌지부; 및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세서리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록킹해제부는, 일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의 외부로 노출된 작동버튼; 및상기 작동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은 상기 액세서리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액세서리를 수납홈에 결합 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무게중심이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무게중심이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납홈에 경사지게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납홈의 외측으로 선회하는 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로부에 탄력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부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액세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네트와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제2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결합 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작동버튼과 연동하는 작동로드; 및 상기 흡입유로부에 배치되는 제3 마그네트; 및 상기 액세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마그네트와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제4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로드는 일단에 상기 액세서리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는 타단이 상기 흡입유로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진공청소유닛을 상기 흡입유로부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상기 수납홈 외측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흡입유로부 내측에 상기 흡입유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승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진공청소유닛의 자중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진공청소유닛을 상기 흡입유로부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승강에 연동하여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인출 및 수납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및 제2 푸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푸시돌기는 상기 이동부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승강에 따라 상기 힌지부의 걸림돌기를 밀어 상기 힌지부를 일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액세서리의 상단부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납홈에 경사지게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무게중심이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무게중심이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심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부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액세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네트와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제2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결합 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납홈의 외측으로 선회하는 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로부에 탄력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은 하단에 상기 액세서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턱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이 하단에 힌지 가능하게 연통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흡입노즐과 연통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일단에 진공청소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이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유닛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 상기 흡입유로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 액세서리;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세서리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액세서리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과 연통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연통되는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일단에 진공청소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이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유닛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 상기 흡입유로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 액세서리;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세서리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액세서리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거치대로부터 액세서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진공청소유닛에 액세서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거치대의 수납홈에 액세서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거치대의 수납홈에 액세서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에 액세서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으로부터 액세서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에 액세서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으로부터 액세서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에 액세서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으로부터 액세서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에 장착된 액세서리를 수납홈으로부터 인출하기까지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에 액세서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으로부터 액세서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에 액세서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으로부터 액세서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거치대 구조가 적용된 업라이트 타입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9b에 도시된 진공청소유닛에 액세서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거치대 구조가 적용된 캐니스터 타입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c는 도 10b에 도시된 진공청소유닛에 액세서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거치대 구조 적용된 캐니스터 타입 진공청소기로서, 진공청소유닛을 생략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c는 도 11b에 도시된 손잡이에 액세서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스탠딩 구조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a에 도시된 스탠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c 및 도 13d는 도 12a에 도시된 스탠딩 구조의 스탠드의 탄력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다른 스탠딩 구조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a에 도시된 스탠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15에 도시된 레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스탠딩 구조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 및 이 거치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2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1)를 설명한다.
도 1a을 참고하면,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1)는 진공청소유닛(100), 흡입노즐(110) 및 거치대(200)를 포함한다.
진공청소유닛(100)은 거치대(20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거치대(200)에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진공청소유닛(100)은 거치대(20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흡입노즐(110)을 통해 거치대(200)를 따라 흡입된 피청소면의 먼지를 진공청소유닛(100)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관(101)을 통해 수거한다. 또한, 진공청소유닛(100)은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핸디 타입 청소기와 같이 흡입관(101)을 통해 직접 먼지를 흡입하거나, 도 1c와 같이 액세서리(300a)를 결합하여 좁은 틈새나 천정과 같은 높은 곳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진공청소유닛(100)은 흡입모터(102)와, 원심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공기와 분리하는 사이클론부(103)와, 사이클론부(103)에 공기와 분리된 먼지를 수거하는 먼지통(104)과, 손잡이(107)를 구비할 수 있다.
흡입노즐(110)은 거치대(200)의 하단에 힌지 가능하게 연통되며, 진공청소유닛(100)에서 생성한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과 흡입노즐(110)의 저면 사이에 부압이 형성됨에 따라 먼지를 흡입하여 거치대(200) 내부로 안내한다.
이 경우, 흡입노즐(110)의 후방에는 피청소면을 따라 구동하는 한 쌍의 바퀴(131,133)가 거치대(200)의 하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b를 참고하면, 거치대(200)는 안착부(201), 흡입유로부(210), 액세서리(300a), 힌지부(400) 및 록킹해제부(500)를 포함한다.
안착부(201)는 흡입유로부(21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며, 진공청소유닛(100)의 하부가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203)이 형성된다
흡입유로부(210)는 하단이 흡입노즐(110)과 연통 형성되고, 상단에는 진공청소유닛(100)의 흡입관(101)이 삽입되는 장착구멍(211)이 형성된다. 이 경우 장착구멍(211)은 흡입유로부(210) 내측을 따라 흡입된 먼지를 진공청소유닛(100)의 흡입관(101)으로 안내한다. 흡입유로부(210)는 흡입노즐(110)과 연통되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의 장착구멍(211)까지 흡입유로부(210)의 내측을 따라 유입통로(212)가 형성된다.
또한, 흡입유로부(210)는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액세서리(300a)를 결합시킬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액세서리(300a)는 흡입유로부(210)의 일측에 흡입유로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납홈(213)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액세서리(300a)는 하단부(313)가 힌지부(4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315)가 록킹해제부(500)에 의해 록킹 및 록킹해제 가능하도록 수납홈(213)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걸림홈(311)이 형성된다.
이 경우, 액세서리(300a)는 수납홈(213)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단부(315)의 일부(317)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액세서리(300a)는 무게중심이 액세서리(300a)의 중심으로부터 대략 상단부(315)의 일부(317)에 인접하도록 편심배치된다. 이러한 무게중심의 편심배치는 록킹해제부(500)의 작동에 따라 액세서리(300a)의 상단부(315)가 록킹 해제될 때 도 2b와 같이 액세서리(300a)의 상단부(315)가 중력에 의해 인출방향으로 선회하여 수납홈(213)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액세서리(300a)의 상단부(315)가 수납홈(213)으로부터 인출되면, 액세서리(300a)는 하단부(313)가 힌지부(400)에 고정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진공청소유닛(100)을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한 후, 흡입관(101)을 액세서리(300a)의 상단부(315)에 결합시켜 도 1c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허리를 세운 채로 진공청소유닛(100)에 액세서리(300a)를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힌지부(400)는 액세서리(300a)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액세서리(300a)를 지지한다. 이 경우, 힌지부(400)는 수납홈(213)에 연장 형성된 연장턱(250)에 의해 선회 가능각도가 제한된다.
이와 같은 힌지부(400)는 수납홈(213)의 하측에 배치되며, 힌지부(400)의 하부(410)가 수납홈(213) 내측에 힌지 연결된다. 힌지부(400)는 하부(41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핀 연결부(420)를 구비한다. 핀 연결부(420)는 액세서리(300a)의 하단부(313)를 통해 액세서리(300a)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록킹해제부(500)는 흡입유로부(210)에 설치되며, 작동버튼(510) 및 탄성부재(530)를 포함한다.
작동버튼(510)은 일부가 흡입유로부(210) 외측으로 노출되며, 나머지 부분은 흡입유로부(210) 내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작동버튼(510)은 흡입유로부(210)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동작한다.
또한, 작동버튼(510)은 일측으로 하향된 후 수납홈(213) 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511)가 형성된다. 연장부(511)의 단부는 수납홈(213) 내부로 돌출된 록킹돌기(513)가 형성된다.
록킹돌기(513)는 액세서리(300a)가 수납홈(213)에 삽입될 때 걸림홈(311)에 결합된다. 이 경우, 액세서리(300a)는 록킹돌기(513)에 의해 수납홈(213)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탄성부재(530)는 흡입유로부(210)의 상단부 내에 배치되며, 록킹돌기(513)가 액세서리(300a)의 걸림홈(31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부재(510)를 상승하는 측으로 탄력 지지한다. 이 경우, 탄성부재(53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액세서리(300a)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다.
즉, 도 2a와 같이 액세서리(300a)가 수납홈(213)에 수납된 상태에서 작동버튼(510)의 록킹돌기(513)가 걸림홈(311)에 록킹된다.
이 상태에서 액세서리(300a)를 수납홈(213)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경우, 도 2b와 같이 작동버튼(510)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록킹돌기(513)가 걸림홈(311)에 록킹 해제된다. 이에 따라 액세서리(300a)는 하단부(313)가 힌지부(4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액세서리(300a)의 상단부의 무게중심이 수납홈(213) 외측방향으로 편심됨에 따라 액세서리(300a)의 자중에 의해 수납홈(213)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사용자는 이처럼 액세서리(300a)가 경사배치된 상태에서, 진공청소유닛(100)을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하여 흡입관(101)에 액세서리(300a)의 상단부(315)를 결합한 후, 액세서리(300a)의 경사배치된 상방향으로 당기면 액세서리(300a)가 힌지부(400)의 핀 연결부(420)로부터 분리된다.
반대로, 액세서리(300a)를 수납홈(213)에 결합하는 경우, 진공청소유닛(100)의 흡입관(101)에 결합된 액세서리(300a)의 하단부(313)를 힌지부(400)의 핀 연결부(4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액세서리(300a)의 상단부(315)를 진공청소유닛(100)의 흡입관(101)과 분리시킨다. 그 후, 액세서리(300a)를 수납홈(213) 측으로 선회시켜 작동버튼(510)의 록킹돌기(513)에 걸림홈(311)을 록킹시킨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거치대(200a)의 일부 구조가 제1 실시예의 거치대(200)와 상이하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액세서리(300b)가 수납홈(213a)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수납홈(213a)에 수납된다.
이때, 수납홈(213a)은 도 3b와 같이 액세서리(300b)의 상단부(315)가 하단부(313) 보다 수납홈(213a)으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는 록킹버튼(510)을 하방향으로 눌러 록킹돌기(513)에 의해 유지된 액세서리(300b)의 걸림홈(311)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액세서리(300b)는 상술한 경사배치에 의해 액세서리(300b)의 무게중심이 수납홈(213a) 외측으로 위치함에 따라 선회하여 수납홈(213a)으로부터 인출된다.
이 경우, 액세서리(300b)는 제1 실시예의 액세서리(300a)와 달리 상단부(315)의 일부(317)가 돌출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거치대(200b)의 일부 구조가 제1 실시예의 거치대(200)와 상이하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다.
제3 실시예는 힌지부(400)를 수납홈(213)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430)을 구비한다. 이 경우, 토션 스프링(430)은 힌지부(400)가 수납홈(213)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이와 같은 토션 스프링(430)은 일단(431)이 수납홈(213)의 일부에 고정되고 타단(433)이 힌지부(400)의 일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는 록킹버튼(510)을 하방향으로 눌러 록킹돌기(513)에 의해 유지된 액세서리(300c)의 걸림홈(311)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액세서리(300c)는 상술한 토션 스프링(430)에 의해 힌지부(400)가 수납홈(213)의 인출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수납홈(213)으로부터 경사진 상태로 인출된다.
이 경우, 액세서리(300c)는 제2 실시예의 액세서리(300b)와 마찬가지로 상단부(315)의 일부(317)가 돌출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거치대(200c)의 일부 구조가 제1 실시예의 거치대(200)와 상이하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다.
제4 실시예는 수납부(213) 내측에 매립되는 제1 마그네트(M1)와, 액세서리(300d)의 일측에 매립되는 제2 마그네트(M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마그네트(M1,M2)는 액세서리(300d)를 수납홈(213)에 수납 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 마그네트(M1,M2)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동일한 극성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4 실시예는 록킹버튼(510)을 하방향으로 눌러 록킹돌기(513)에 결합된 액세서리(300d)의 걸림홈(311)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액세서리(300d)는 상술한 제1 및 제2 마그네트(M1,M2)에 상호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힌지부(400)가 수납홈(213)의 인출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수납홈(213)으로부터 경사진 상태로 인출된다.
이 경우, 액세서리(300d)는 제2 및 제3 실시예의 액세서리(300b,300c)와 마찬가지로 상단부(315)의 일부(317)가 돌출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거치대(200d)의 일부 구조 및 록킹해제부(500)의 구조가 제1 실시예의 거치대(200) 및 록킹해제부(500)와 상이하다.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다.
제5 실시예의 록킹해제부(500)는 작동버튼(510), 탄성부재(530) 및 작동로드(550)로 구성된다.
작동버튼(510)은 일측으로 하향된 후 수납홈(213) 측으로 연장부(511a)가 형성된다. 연장부(511a)의 하부에는 수납홈(213)에서 힌지(55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작동로드(550)가 배치된다. 작동로드(550)의 일단에는 액세서리(300e)의 상단부의 걸림홈(31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돌기(5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5 실시예는 수납부(213) 내측에 매립되는 제3 마그네트(M3)와, 액세서리(300d)의 일측에 매립되는 제4 마그네트(M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제3 및 제4 마그네트(M3,M4)는 액세서리(300e)를 수납홈(213)에 수납 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3 및 제3 마그네트(M3,M4)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반대 극성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인력이 작용한다.
결합돌기(553)는 액세서리(300e)가 수납홈(213)에 삽입될 때 걸림홈(311)에 결합된다. 이 경우, 액세서리(300e)는 결합돌기(553)뿐만 아니라 제3 및 제4 마그네트(M3,M4)에 의해 수납홈(213)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제5 실시예는, 도 6b와 같이 록킹버튼(510)을 하방향으로 눌러 록킹돌기(553)에 결합된 액세서리(300e)의 걸림홈(311)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면서 작동로드(550)의 회전력으로 액세서리(300e)를 밀어준다. 이에 따라, 액세서리(300e)는 도 6c와 같이 힌지부(400)가 수납홈(213)의 인출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수납홈(213)으로부터 경사진 상태로 인출된다.
이 경우, 액세서리(300e)는 제2 및 제3 실시예의 액세서리(300b,300c)와 마찬가지로 상단부(315)의 일부(317)가 돌출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에 액세서리가 장착된 상태 및 거치대의 수납홈으로부터 액세서리가 인출된 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액세서리(300f)는 흡입유로부(210a)의 일측에 흡입유로부(21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납홈(213b)에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액세서리(300f)는 하단부(313a)가 힌지부(4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부(400)는 액세서리(300e)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액세서리(300e)를 지지한다. 이 경우, 힌지부(400)는 수납홈(213b)에 연장 형성된 연장턱(255)에 의해 선회 가능각도가 제한된다.
이와 같은 힌지부(400)는 수납홈(213b)의 하측에 배치되며, 힌지부(400)의 하부(415)가 수납홈(213b) 내측에 힌지 연결된다. 힌지부(400)는 하부(415)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핀 연결부(420)를 구비한다. 핀 연결부(420)는 액세서리(300e)의 하단부(313a)를 통해 액세서리(300e)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록킹해제부(500)는 흡입유로부(210a)의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유입통로(212a, 212b) 에 설치되며, 이동부재(610), 힌지부의 걸림돌기(440)및 탄성부재(630)를 포함한다.
이동부재(610)는 유입통로(212a)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진공청소유닛(100)이 거치대(200e)에 결합시, 진공청소유닛(100)의 자중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상태를 유지하고, 진공청소유닛(100)을 유입통로(210a)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탄성부재(630)에 의해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이동부재(610)는 힌지부(4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 푸시돌기(611, 615)가 형성된다. 이동부재(610)의 하단에 이동링(613)이 결합되고, 이동링(613)의 일단에 제1 푸시돌기(611)가 형성된다. 제2 푸시돌기(615)는 제1 푸시돌기(611)보다 상부에 형성된다.
힌지부(400)는 제1 및 제2 푸시돌기(611, 615)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돌기(440)가 형성된다. 걸림돌기(440)는 제1 푸시돌기(611)과 제2 푸시돌기(615)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탄성부재(630)는 이동링(613)의 하부 및 탄성부재 지지부(620) 사이에 위치한다. 진공청소유닛(100)을 거치대(200e)로부터 인출하면, 이동부재(610)를 상승하는 측으로 탄력 지지한다. 이 경우, 탄성부재(63)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액세서리(300f)를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거치대(200e)로부터 진공청소유닛(100)을 분리하면, 도 7b와 같이 진공청소유닛(100)의 연결관(101)에 의해 유입통로(212a)로 가해지던 자중에 의한 가압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630)의 복원력에 의해 제1 푸시돌기(611)가 상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푸시돌기(611)는 걸림돌기(440)과 결합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힌지부(500)는 연장턱(255)까지 선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액세서리(300f)는 수납홈(213b)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사용자는 이처럼 액세서리(300f)가 경사배치된 상태에서, 진공청소유닛(100)의 흡입관(101)에 액세서리(300f)의 상단부(315a)를 결합한 후, 액세서리(300f)의 경사배치된 상방향으로 당기면 액세서리(300f)가 힌지부(400)의 핀 연결부(420a)로부터 분리된다.
반대로, 도 7a를 참조하면, 액세서리(300f)를 핀 연결부(420a)에 결합한 후, 진공청소유닛(100)의 연결관(101)을 유입통로(212a)와 결합하면, 진공청소유닛(100)의 자중의 일부가 이동부재(610)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610)에 형성된 제2 푸시돌기(615)가 힌지부(400)의 걸림돌기(440)를 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액세서리(300f)는 수납홈(213b)에 수납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거치대의 수납홈에 액세서리가 장착된 상태 및 수납홈으로부터 액세서리가 인출된 상태를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제6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며 거치대(200f)의 일부 구조 및 록킹해제부(600)가 제6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7 실시예는 제6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제6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다.
제7 실시예의 록킹해제부(600)는 이동부재(640), 탄성부재(630a) 및 걸림돌기(641)를 포함한다.
이동부재(640)는 액세서리(300g)의 상단부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이동부재(640)의 하부는 탄성부재(630a)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630a)는 하부에 형성된 고정링(620a)에 의해 이동부재(610)를 상승하는 측으로 탄력 지지한다.
이동부재(64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641)이 형성된다. 걸림돌기(641)는 액세서리(300g)의 상단부(315b)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홈(341)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액세서리(300g)가 거치대(200f)의 외측으로 선회동작을 하기 위해, 액세서리(300g)는 무게중심이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고, 무게중심이 액세서리(300g)가 수납홈(213b)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다.
사용자가 거치대(200f)로부터 진공청소유닛(100)을 분리하면, 진공청소유닛(100)의 연결관(101)에 의해 유입통로(212c)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링(620a) 및 이동부재(640)으로 가해지던 자중에 의한 가압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630a)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640)가 상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641)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액세서리(300g)에 형성된 결합홈(341)과 결합이 해제된다. 이 경우, 액세서리(300g)는 거치대(200f)의 외측으로 선회동작을 하고, 액세서리(300g)는 연장턱(255)까지 선회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처럼 액세서리(300g)가 경사배치된 상태에서, 진공청소유닛(100)의 흡입관(101)에 액세서리(300g)의 상단부(315b)를 결합한 후, 액세서리(300g)의 경사배치된 상방향으로 당기면 액세서리(300g)가 힌지부(400)의 핀 연결부(420a)로부터 분리된다.
반대로, 액세서리(300g)의 하부(313b)를 핀 연결부(420a)에 결합한 후, 액세서리(300g)를 수납홈(213b)에 밀어 넣고, 진공청소유닛(100)의 연결관(101)을 유입통로(212d)와 결합하면, 진공청소유닛(100)의 자중의 일부가 이동부재(640)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640)에 형성된 걸림돌기(641)가 액세서리(300g)의 결합홈(341)과 결합하여 액세서리(300f)는 수납홈(213b)에 수납된다.
한편, 제7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300g)의 무게중심이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무게중심이 액세서리(300g)가 수납홈(213b)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심되게 배치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수납홈(213b)과 액세서리(300g)에 각각 동일한 극성을 가진 제1 및 제2 마그네트(미도시)가 형성되거나, 힌지부(400)가 수납홈(213b)의 외측으로 선회하도록 탄력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형성되거나, 액세서리(300g)가 수납홈(213b)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수납홈(213b)에 경사지게 수납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거치대 구조가 적용된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를 나타내며, 도 9c는 진공청소유닛에 액세서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1a)는 흡입노즐(110a), 흡입노즐(110a)이 하단에 힌지 가능하게 연통되는 청소기 본체(미도시) 및 흡입노즐(110a)과 연통되며 청소기 본체(미도시)를 지지하는 거치대(200)를 포함한다.
거치대(200)는 일단에 진공청소유닛(1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110a)이 연결되어, 흡입노즐(110a)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진공청소유닛(100)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거치대(200)는 흡입유로부(미도시)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미도시)에 수납되는 액세서리(300), 수납홈(미도시)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흡입유로부(미도시)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액세서리(300)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액세서리(300)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진공청소기는 흡입유로부(미도시)에 설치되며, 액세서리(300)를 수납홈(미도시)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500,600)를 포함한다.
진공청소유닛(100)를 거치대(200)에서 분리하여, 록킹해제부(500,600)에 의해 액세서리(300)를 흡입유로관(미도시)에 대하여 선회하도록 한다. 미리 설정된 각도록 선회한 액세서리(300)를 진공청소유닛(100)와 결합하도록 하여 좁은 구역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청소유닛(100)은 핸디 타입 진공청소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거치대 구조가 적용된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를 나타내며, 도 10c는 진공청소유닛에 액세서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캐니스터 타입 진공청소기(1b)는 흡입노즐(110b), 흡입노즐(110b)과 연통되는 거치대(200) 및 거치대(200)에 연통되는 청소기 본체(미도시)를 포함한다.
거치대(200)는, 일단에 진공청소유닛(1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110b)이 연결되어, 흡입노즐(110b)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유닛(100)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거치대(200)는 흡입유로부(미도시)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미도시)에 수납되는 액세서리(300), 수납홈(미도시)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흡입유로부(미도시)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액세서리(300)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액세서리(300)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400) 및 흡입유로부(미도시)에 설치되며, 액세서리(300)를 수납홈(미도시)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500,600)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동작은 상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와 동일하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거치대 구조에 적용된 캐니스터 타입 진공청소기로서, 진공청소유닛을 생략한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c는 도 11b에 도시된 손잡이에 액세서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캐니스터 타입의 경우, 도 9a 내지 도 9c에서처럼 핸디형 청소부가 진공청소기 거치대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될뿐만 아니라, 도 11a 내지 도 11c처럼 연장관에 거치대 구조가 적용되어 사용자는 액세서리를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어 좁은 구역 및 넓은 구역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의 스탠딩 구조를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킥 스탠딩(kick-standing) 구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넓은 구역의 청소를 하다가 액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해 청소기를 바닥면에 대하여 세울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발로 스탠드(710)를 밟으면 청소기는 스탠드(710)와 흡입노즐(810)의 면적에 의해 바닥면에서 세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스탠드(710)에 의해 청소기가 세워지면, 사용자는 거치대(200)에서 액세서리(미도시) 등을 분리하여 진공청소유닛(미도시)과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스탠딩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스탠딩 구조는 구동부(800)와 킥 스탠드부(700)로 구성된다. 구동부(800)는 흡입노즐(810)과 연결되며, 거치대(200)의 하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배치되는 좌측 및 우측 고정부(851,853)를 포함한다.
우측 고정부(853)는 회전스프링(830)이 결합되고, 킥 스탠드부(700)의 우측부분(750)이 결합된다. 킥 스탠드부(700)의 우측부분(750)에는 고정링(843)이 장착되며, 고정축(823)은 고정링(843)과 스탠드의 우측부분(750) 및 회전스프링(830)을 우측 고정부(853)에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바퀴부(813)는 고정축(823)의 바깥부분에서 고정축(823)에 지지 되어 회전한다.
좌측 고정부(851)의 바깥 부분은 회전스프링(830)이 장착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 우측 고정부(853)의 우측과 그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거치대(200)의 하단은 좌우측 고정부(851,853) 사이에서 배치되어, 좌우측 고정부(851,853)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홈(미도시)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하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최적화된 각도로 청소기를 기울여 바닥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킥 스탠드부(700)는 스탠드(710), 제1 회전스프링결합홈(720), 마찰돌기(730), 고정축(821,823)과 결합되는 결합구(741,743) 및 좌우 스탠드부(750, 760)로 구성된다.
스탠드(710)는 고정축(821,82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회전스프링 결합홈(720)은 스탠드(710)의 우측부분(750)의 결합구(743)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마찰돌기(730)는 스탠드의 좌측부분(760) 바로 위에 구비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스프링(830)이 우측 고정부(853)와 스탠드(710)의 우측부분(750) 사이에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탠드(710)가 바닥에 닿을 경우, 회전스프링(830)의 복원력에 의해 스탠드(710)에는 상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항상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스탠드(710)는 마찰돌기(730)와 바퀴부(811)가 접촉함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스탠드(710)를 고정을 해제하는 경우, 청소기를 앞으로 밀면 바퀴부(811)가 회전하여 마찰돌기(730)와 연결된 스탠드(710)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마찰돌기(730)와 스탠드(710)는 이격되어 회전스프링(830)의 복원력에 의해 스탠드(710)는 다시 직립된 거치대(200)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도 13c 및 도 13d는 스탠딩 구조의 스탠드의 탄력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회전스프링(830)의 확대도이다.
회전스프링(830)은 일단이 킥 스탠드부(700)의 우측부분(750)에 형성되는 제1 회전스프링결합홈(720)에 결합 지지되고, 타단이 우측 고정부(853)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회전스프링결합홈(855)에 결합 지지된다.
스탠드(710)를 하향으로 당기면, 스탠드(710)는 회전스프링(830)이 수축하여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스탠드(710)는 상향으로 이동하려 한다. 또한, 스탠드(710)가 직립된 거치대(200)와 인접하여 세워질 경우, 회전스프링(830)에는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한편, 스탠드(710)가 바닥면과 바닥면에 대해 90도 사이에서 위치할 경우 회전스프링(830)에는 소정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셀프 스탠딩(self-standing)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킥 스탠딩 구조와 마찬가지로, 셀프 스탠딩 구조도 사용자가 도 14a의 상태에서 넓은 구역의 청소를 하다가, 액세서리 등을 장착하기 위해 청소기를 바닥면에 대하여 세울 필요가 있을 경우, 도 14b와 같이 셀프 스탠딩에 의해 청소기가 세워지면, 사용자는 액세서리 등을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셀프 스탠딩 구조는 셀프 스탠드부(900) 및 레버부(100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셀프 스탠드부(900)는 제1 힌지연결부(920), 제2 힌지연결부(930), 절곡연결부(940), 관절식 유로부(950), 힌지지지홈(960), 절곡연결부 고정부(945), 제1 하우징(970), 제2 하우징(980) 및 흡입노즐 연결관(990)으로 구성된다.
제1 힌지연결부(920)는 절곡연결부(940)를 지지하며, 거치대(200)는 절곡연결부(940)과 결합한다. 제1 힌지연결부(920)의 양 측면에 회전스프링(923)이 구비되어 도 14a에서와 같이 청소동작을 할 때, 거치대(200)가 흡입노즐(910)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제2 힌지연결부(930)는 흡입노즐(910)과 인접한 부분에서 형성되어, 제1 하우징(970)과 제2 하우징(980)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1 하우징(970)은 제2 하우징(980)의 양 측에 형성되는 힌지지지홈(960)에 의해 제2 하우징(980)에 대하여 회전한다.
또한, 제2 힌지연결부(930)는 회전스프링(9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a에서와 같이 청소동작을 할 때, 관절식 유로부(950)가 흡입노즐(910)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꺾이지 않고 거치대(200)와 직선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고정핀(933)은 제1 하우징(970)과 제1 회전링(935)를 고정결합시키며, 제1 회전링(935)은 힌지지지홈(960)에 대하여 제1 하우징(970)과 함께 회전 동작을 할 수 있다.
한편, 힌지지지홈(960)에는 레버부(1000)과 결합할 수 있는 제2 회전링(1020)이 구비된다. 제2 회전링(1020)은 레버부(10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회전링(935)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며, 레버부(1000) 방향으로 돌출된다.
절곡연결부(940)는 거치대(200)의 하부와 관절식유로부(950)를 연결하며, 탄력성있는 고무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기준으로, 절곡연결부(940)의 하부 및 제1 하우징(970)에는 절곡연결부 고정부(945)가 형성되어 거치대(200)가 제1 하우징(870)에 대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관절식 유로부(950)는 절곡연결부(940)와 흡입노즐 연결관(990)을 연결한다. 또한, 관절식 유로부(950)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하고, 탄력성 있게 꺾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청소기가 스탠딩 상태이거나 청소상태에서도 흡입노즐 연결관(990)에 탄력성 있게 고정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새지 않고 거치대(200)의 흡입유로부(미도시)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하우징(970)은 제1 및 제2 힌지연결부(920, 930), 절곡연결부(940) 및 관절식유로부(950)를 수납할 수 있다.
제2 하우징(980)은 힌지지지홈(960)을 수납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970)은 제2 하우징(980)과 제2 힌지연결부(920)에 의해 연결된다.
도 16a 및 도 16b는 레버부(1000)부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고하면, 레버부(1000)는 흡입노즐(910)에 고정되며, 레버(1010), 가이드돌기(1011), 나선형 레일부(1013), 축방향 스프링(1015), 고정돌기(1017), 스프링 받침부(1019) 및 제2 회전링(1020)으로 구성된다.
도 16a와 같이 레버(1010)를 레버부(1000) 높이의 중심에 대하여 상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이드 돌기(1011)에 의해 나선형 레일부(1013)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돌기(1017)는 제2 하우징(980)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도 16b와 같이 레버(1010)를 레버부(1000) 높이의 중심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이드 돌기(1011)에 의해 나선형 레일부(1013)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돌기(1017)는 제2 하우징(98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레버(1010)는 발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가이드 돌기(1011)는 레버(1010) 바로 아래에서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고, 나선형 레일부(1013)의 레일과 결합한다. 축방향 스프링(1015)은 나선형 레일부(1013)와 스프링 받침부(1019) 사이에 위치하며, 나선형 레일부(1013)를 항상 제2 하우징(880) 방향으로 향하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고정돌기(1017)는 나선형 레일부(1013)과 연결되며, 제2 회전링(1020)의 가이드 고정홈(1021)이나 원형고정홈(1023)에 결합해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7a 내지 도17c는 셀프 스탠드부(900)와 레버부(1000)의 연동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7c를 참고하면, 레버(1010)가 상향으로 동작되면, 고정돌기(1017)는 제2 회전링(1020)에 형성된 원형고정홈(102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하우징(980)안에 결합된 제1 하우징(970)은 레버부(1000)에 고정돌기(1017)에 의해 고정되며, 절곡연결부(940)의 하단에 형성된 스탠드지지부(945)에 의해 절곡연결부(830)가 지지되어, 셀프 스탠딩이 구현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액세서리 등을 진공청소유닛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레버(1010)를 발을 이용하여 하향으로 동작시키면, 고정돌기(1017)는 원형고정홈(1023)과 결합이 해제되된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970)이 제2 하우징(98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거치대(200)를 들어 도 17c와 같은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 17c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970)은 제2 하우징(98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며, 레버(1010)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돌기(1017)는 가이드 고정홈(1021)과 결합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고정홈(1021)의 모양에 대응하여 제1 하우징(970)은 반시계 방향 즉 흡입노즐(91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으나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사용자는 청소시 거치대(200)를 소정의 각도록 회전시켜 편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힌지연결부(920)에 설치된 회전스프링(923)에 의해 거치대(200)는 제1 힌지연결부(920)에 대하여 반시계방향 즉 흡입노즐(910)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사용자는 넓은 구역의 청소를 하다가 틈새와 같은 좁은 구역의 청소를 하거나, 반대로 좁은 구역의 청소를 하다가 넓은 구역의 청소를 하기 위해 청소기를 잠시 세워 놓을 필요가 있다. 이때 청소기를 눕히거나 벽에 기대어 놓고 액세서리와 같은 부속품을 결합하고자 한다면,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간상으로도 불리하다. 본 발명의 도 12a 내지 도 17c에서 설명된 킥 스탠딩 및 셀프 스탠딩을 포함하는 스탠딩 구조에 관한 실시예는 이러한 청소구역을 전환할 때 신속하고도 안정하게 청소기를 세워놓을 수 있어, 도 1a 내지 도 11와 같은 실시예를 더욱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청소기 100: 진공청소유닛
110: 흡입노즐 200: 거치대
300: 액세서리 400: 힌지부
500: 록킹해제부(수동) 600: 록킹해제부(자동)
700: 킥 스탠드부 800: 구동부
900: 셀프 스탠드부 1000: 레버부

Claims (29)

  1. 일단에 진공청소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이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유닛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
    상기 흡입유로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 액세서리;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상기 액세서리를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납홈의 외측으로 선회하는 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로부에 탄력 설치되는,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세서리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부는,
    일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의 외부로 노출된 작동버튼; 및
    상기 작동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은 상기 액세서리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결합 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무게중심이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무게중심이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거치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납홈에 경사지게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0. 일단에 진공청소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이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유닛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
    상기 흡입유로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 액세서리;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상기 액세서리를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세서리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록킹해제부는,
    일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의 외부로 노출된 작동버튼; 및
    상기 작동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로부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액세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네트와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제2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결합 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1. 일단에 진공청소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이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유닛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
    상기 흡입유로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 액세서리;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상기 액세서리를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세서리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록킹해제부는,
    일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의 외부로 노출된 작동버튼; 및
    상기 작동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작동버튼과 연동하는 작동로드; 및
    상기 흡입유로부에 배치되는 제3 마그네트; 및
    상기 액세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마그네트와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제4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로드는 일단에 상기 액세서리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거치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타단이 상기 흡입유로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진공청소유닛을 상기 흡입유로부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상기 수납홈 외측으로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4. 일단에 진공청소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이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유닛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
    상기 흡입유로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 액세서리;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상기 액세서리를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세서리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진공청소유닛을 상기 흡입유로부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상기 수납홈 외측으로 선회시키며,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흡입유로부 내측에 상기 흡입유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승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진공청소유닛의 자중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진공청소유닛을 상기 흡입유로부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하는, 거치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승강에 연동하여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인출 및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및 제2 푸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푸시돌기는 상기 이동부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승강에 따라 상기 힌지부의 걸림돌기를 밀어 상기 힌지부를 일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액세서리의 상단부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무게중심이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무게중심이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거치대.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납홈에 경사지게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부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액세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네트와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제2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결합 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납홈의 외측으로 선회하는 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로부에 탄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은 하단에 상기 액세서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연장턱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25.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이 하단에 힌지 가능하게 연통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흡입노즐과 연통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일단에 진공청소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이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유닛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
    상기 흡입유로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 액세서리;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세서리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액세서리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납홈의 외측으로 선회하는 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로부에 탄력 설치되는, 진공청소기.
  26.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과 연통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연통되는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일단에 진공청소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흡입노즐이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진공청소유닛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부;
    상기 흡입유로부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 액세서리;
    상기 수납홈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액세서리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액세서리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선회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흡입유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수납홈에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수납홈의 외측으로 선회하는 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로부에 탄력 설치되는, 진공청소기.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부는,
    일부가 상기 흡입유로부의 외부로 노출된 작동버튼; 및
    상기 작동버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버튼은 푸시됨에 따라 상기 액세서리의 록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8.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부는 상기 진공청소유닛을 상기 흡입유로부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상기 힌지부를 상기 수납홈 외측으로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9.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유닛은 핸디 청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140112212A 2014-08-27 2014-08-27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10223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212A KR102238138B1 (ko) 2014-08-27 2014-08-27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US14/595,609 US9675218B2 (en) 2014-08-27 2015-01-13 Support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P15181269.0A EP2989951B1 (en) 2014-08-27 2015-08-17 Support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212A KR102238138B1 (ko) 2014-08-27 2014-08-27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245A KR20160025245A (ko) 2016-03-08
KR102238138B1 true KR102238138B1 (ko) 2021-04-09

Family

ID=5406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212A KR102238138B1 (ko) 2014-08-27 2014-08-27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75218B2 (ko)
EP (1) EP2989951B1 (ko)
KR (1) KR102238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8208B2 (en) 2016-04-11 2019-04-1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888817B2 (en) 2014-12-17 2018-02-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22086B2 (en) 2017-07-06 2020-07-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136778B2 (en) 2014-12-17 2018-11-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950745B2 (en) 2014-12-17 2024-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51519B2 (en) 2014-12-17 2019-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241129B2 (en) 2016-04-11 2022-02-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986880B2 (en) * 2016-04-11 2018-06-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68477B2 (en) 2016-04-11 2020-02-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016105B2 (en) * 2016-04-11 2018-07-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016104B2 (en) 2016-04-11 2018-07-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17196000A1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WO2017195999A1 (ko)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거치대
KR102626405B1 (ko) 2016-05-09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충전대
EP3254594A1 (de) * 2016-06-07 2017-12-13 Pro-aqua International GmbH Halterung für ein teleskoprohr
USD819286S1 (en) * 2016-12-23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le for vacuum cleaner
USD819282S1 (en) * 2016-12-23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D827231S1 (en) * 2017-05-04 2018-08-28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Handheld vacuum cleaner
USD824616S1 (en) * 2017-05-04 2018-07-31 TTi (Macao Comercial Offshore) Limited Handheld vacuum cleaner
US10537216B2 (en) 2017-07-06 2020-01-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06904B2 (en) 2017-07-06 2019-12-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631693B2 (en) 2017-07-06 2020-04-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50913B2 (en) 2017-07-06 2020-08-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02113B2 (en) 2017-07-06 2020-07-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842330B2 (en) 2017-07-06 2020-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6516820B2 (ja) * 2017-07-31 2019-05-2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ユニット
USD855915S1 (en) * 2017-08-09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le for vacuum cleaner
KR102372897B1 (ko) 2017-08-22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DE102017216330B4 (de) * 2017-09-14 2023-10-12 BSH Hausgeräte GmbH Stielstaubsauger mit schwenkbarer Lagerung für Zubehörteile
JP6941784B2 (ja) * 2018-03-30 2021-09-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11192122B2 (en) 2018-08-13 2021-12-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013384B2 (en) 2018-08-13 2021-05-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006799B2 (en) 2018-08-13 2021-05-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9645881A (zh) * 2019-01-31 2019-04-19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吸尘装置
USD933320S1 (en) 2019-05-13 2021-10-12 Bissell Inc. Vacuum cleaner
USD937513S1 (en) 2019-09-16 2021-11-30 Techtronic Cordless Gp Floor cleaner
WO2021138122A1 (en) 2020-01-03 2021-07-08 Techtronic Cordless Gp Adapter for vacuum cleaner assembly
WO2021143864A1 (zh) * 2020-01-16 2021-07-22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的收纳站和吸尘装置组件
USD930296S1 (en) * 2020-07-01 2021-09-07 Jiazhe Song Vacuum cleaner
USD901109S1 (en) * 2020-07-06 2020-11-03 Kunming Jingzhuo E-Commerce Co., Ltd Vacuum cleaner
USD952970S1 (en) * 2020-07-16 2022-05-24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USD932122S1 (en) * 2020-09-10 2021-09-28 Suzhou Sweep Electric Appliance Co., Ltd. Vacuum cleaner
USD946221S1 (en) * 2021-02-08 2022-03-15 Shenzhen Shermon Technology Co., Limited Vacuum cleaner
US11659968B2 (en) * 2021-05-25 2023-05-30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brake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8034A (ja) * 2004-08-31 2006-03-16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CN101053500A (zh) * 2007-05-15 2007-10-17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直立式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1850A (en) * 1987-11-16 1988-08-09 The Regina Co., Inc. Vacuum cleaner having an integral tool holder
US5247719A (en) 1990-12-24 1993-09-28 The Hoover Company Vacuum cleaner tool storage
EP0898922A1 (de) 1997-08-30 1999-03-03 AEG Hausgeräte GmbH Staubsauger mit einer Vorrichtung zum Unterbringen von Zubehör
JPH11299715A (ja) * 1998-04-24 1999-11-02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US6317920B1 (en) 1998-11-30 2001-11-20 Royal Appliance Mfg. Co. Vacuum cleaner with above-floor cleaning tool
FR2826851B1 (fr) * 2001-07-03 2004-08-06 Nielsen Innovation Aspirateur autonome a efficacite elevee
US7140068B1 (en) * 2002-02-08 2006-11-28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separation
US20040134022A1 (en) * 2003-01-10 2004-07-15 Royal Manufacturing Co. Bagless stick type vacuum cleaner
KR100615360B1 (ko) * 2005-04-18 2006-08-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진공청소기
GB2457420B (en) * 2006-12-12 2012-01-04 Gbd Corp Converti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13751B2 (en) * 2006-12-12 2014-05-06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liner bag
US9516979B2 (en) * 2013-11-21 2016-12-13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onfigurable in a storage 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8034A (ja) * 2004-08-31 2006-03-16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CN101053500A (zh) * 2007-05-15 2007-10-17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直立式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9951B1 (en) 2018-12-26
US20160058253A1 (en) 2016-03-03
US9675218B2 (en) 2017-06-13
KR20160025245A (ko) 2016-03-08
EP2989951A1 (en)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138B1 (ko)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102303220B1 (ko) 보관 구성을 제공하기 위해 접이식 막대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US7594296B2 (en) Convertible vacuum cleaner
US8448295B2 (en) Vacuum cleaner with rotating handle
TWI742170B (zh) 用於真空吸塵器的清潔頭
US8656552B2 (en) Vacuum cleaner with movable wheel
JP5452065B2 (ja) 電気掃除機
CN101444402A (zh) 表面处理设备
KR20100066200A (ko)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CN102232814B (zh) 电动吸尘器
JP2006525845A (ja) 清掃ヘッド
KR20220012727A (ko) 진공청소기
KR20220012730A (ko) 진공청소기
JP2009297370A (ja) 電気掃除機
TWI623294B (zh) 打掃工具及真空吸塵器
JP2014087684A (ja) 電気掃除機
US20230190063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090013644A (ko)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타입 겸용 진공청소기
JP2010110483A (ja) 電気掃除機
JP2014200471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