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897B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897B1
KR102372897B1 KR1020170106195A KR20170106195A KR102372897B1 KR 102372897 B1 KR102372897 B1 KR 102372897B1 KR 1020170106195 A KR1020170106195 A KR 1020170106195A KR 20170106195 A KR20170106195 A KR 20170106195A KR 102372897 B1 KR102372897 B1 KR 10237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nnector
suction pipe
hose
main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521A (ko
Inventor
김연수
최재원
장재호
서승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897B1/ko
Priority to EP18849189.8A priority patent/EP3646768B1/en
Priority to PCT/KR2018/008745 priority patent/WO2019039764A1/ko
Priority to CN201880053891.3A priority patent/CN111031872B/zh
Priority to US16/641,361 priority patent/US11445876B2/en
Publication of KR2019002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스탠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를 개시한다.
청소기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헤드본체, 브러시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헤드본체와 결합되는 메인휠, 셀프 스탠딩이 가능하도록 브러시 및 메인휠 사이에 배치되는 흡입관, 흡입관과 헤드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 및 흡입관이 셀프 스탠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고, 헤드본체와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호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셀프 스탠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실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실내를 청결하게 하는 기구로서, 가정에서는 진공청소기가 많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한 후,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집진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진공청소기는 송풍장치와 집진장치 등이 내장되는 본체,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는 청소기헤드 및 본체와 청소기헤드를 연결하는 흡입관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핸들을 잡고 청소기헤드를 청소하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
진공청소기는 청소기의 코어부품인 모터, 사이클론, 필터 및 핸들 등이 청소기본체에 위치하고 있고, 흡입관이 청소기헤드와 청소기본체를 연결하고, 청소기본체와 흡입관을 분리하여 다른 악세서리를 끼웠을 경우 핸디형 청소기로 사용 가능한 Handheld형 청소기를 포함한다.
Handheld형 청소기의 브러시는 흡입구와 흡입관이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에 좌우 혹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관절에 의해 조향이 가능하다.
Handheld형 청소기는 청소를 할 때, 브러시가 장착된 바닥 청소용으로 사용하는 상황과 악세서리를 장착하여 핸디형으로 사용하는 상황의 전환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Handheld형 청소기는 청소기본체와 청소기헤드를 연결하는 흡입관이 청소기헤드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고, 이로 인해 흡입관의 무게중심이 청소기헤드의 중앙이 아닌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흡입관을 청소기본체에서 분리시켰을 때 흡입관의 셀프 스탠딩(self-standing)이 어려운 구조이다.
이로 인해, 악세서리의 교체를 위하여 청소기본체로부터 흡입관을 분리하는 경우, 흡입관이 무게중심을 잃고 지면으로 떨어져 사고로 이어지거나,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서 분리된 흡입관을 지면에 내려 놓아야 하는 불편함을 겪는다.
본 발명은 흡입관의 셀프 스탠딩(self-standing)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입관의 셀프 스탠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개선된 호스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헤드본체, 상기 브러시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헤드본체와 결합되는 메인휠, 셀프 스탠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메인휠 사이에 배치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과 상기 헤드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흡입관이 셀프 스탠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고, 상기 헤드본체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는 전방브러시 및 상기 전방브러시와 평행하게 상기 전방브러시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전방브러시 및 상기 메인휠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은 상기 후방브러시의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호스 및 상기 흡입관은 일직선상에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호스는 주름을 가지는 자바라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본체는 브러시를 수용하는 브러시바디 및 상기 브러시바디를 커버하는 브러시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휠은 상기 브러시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흡입관과 상기 호스를 연결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브러시하우징을 연결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흡입관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 및 상기 메인휠은 동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하우징은 상기 브러시바디를 커버하는 제1브러시하우징 및 상기 제1브러시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브러시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휠, 상기 제2브러시하우징 및 상기 제2커넥터는 일직선상에 수평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흡입관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호스 및 상기 흡입관과 일직선상에 수직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메인휠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호스의 일 단부는 상기 제1브러시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호스의 타 단부는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흡입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관결합부, 상기 제2커넥터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터결합부, 및 상기 호스를 수용하는 호스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1커넥터결합부, 및 상기 제2브러시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청소기본체, 상기 청소기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으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헤드본체, 상기 흡입관과 상기 헤드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브러시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헤드본체와 결합되는 메인휠 및 상기 흡입관이 셀프 스탠딩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메인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관 및 상기 커넥터와 일직선상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는 상기 흡입관이 셀프 스탠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메인휠은 수평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동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헤드본체, 상기 브러시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헤드본체와 결합되는 메인휠,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메인휠 사이에 위치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이 셀프 스탠딩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본체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의 셀프 스탠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는 상기 흡입관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관의 안정적인 셀프 스탠딩(self-standing)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청소기의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관의 셀프 스탠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청소기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청소기헤드를 도시한 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청소기헤드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청소기헤드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관이 전후 회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관이 좌우 회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청소기헤드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1)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헤드(100) 및 청소기헤드(100)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1)는 청소기헤드(100)와 청소기본체(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흡입관(2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본체(10)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 도시) 및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장치(11)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장치(11)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핸들형 사이클론 집진장치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집진장치(11)는 필터(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본체(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핸들(1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2)을 잡고 청소기본체(10) 및 청소기헤드(1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핸들(12)에는 스위치(미 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미 도시)는 청소기(1)의 동작 여부를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미 도시)는 사용자가 청소를 진행 시, 청소기(1)를 이동하면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핸들(12)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청소기본체(10)에 연결되는 흡입관(20)은 청소기헤드(100)에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20)은 청소기헤드(100)와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청소기본체(10)는 흡입관(20)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흡입관(2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흡입관(20)은 다단으로 형성되거나 두 개로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20)에 의해 청소기헤드(100)와 청소기본체(10) 사이의 길이는 가변 될 수 있다.
청소기헤드(100)는 피청소면 상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피청소면 상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헤드(100)는 흡입관(20)의 일 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청소기헤드를 도시한 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청소기헤드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청소기헤드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헤드(100)는 브러시(140)를 수용하는 헤드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140)는 흡입관(20)으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헤드본체(110)는 브러시(140)를 수용하는 브러시바디(120) 및 브러시바디(120)를 커버하는 브러시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하우징(130)은 브러시바디(120)에 별도의 체결부재(미 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브러시(140)는 브러시바디(120)의 하부에 수용될 수 있다. 브러시바디(120)는 하측으로 개구된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브러시바디(120)는 브러시(140)가 수용되는 브러시수용부(121) 및 브러시하우징(130)이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결합부(122)는 브러시수용부(121)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140)는 전방브러시(141) 및 전방브러시(141)와 평행하게 전방브러시(14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브러시(1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러시(140)의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수용부(121)는 전방브러시(141)를 수용하는 전방브러시수용부(121a) 및 후방브러시(142)를 수용하는 후방브러시수용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러시수용부(121)는 브러시(140)의 개수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바디(120)는 구동모터(미 도시)가 수용되는 모터수용부(123) 및 헤드본체(110)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휠(124)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수용부(123)는 전방브러시수용부(121a)와 후방브러시수용부(12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휠(124)은 헤드본체(110)의 전방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휠(124)은 브러시바디(120)의 전방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휠(124)은 양 측에 대향되도록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조휠(124)의 위치 및 개수는 헤드본체(1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하우징(130)은 브러시바디(12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상부브러시하우징(130a) 및 브러시바디(12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는 하부브러시하우징(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브러시하우징(130a) 및 하부브러시하우징(130b)은 별도의 체결부재(미 도시)에 의하여 브러시바디(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브러시하우징(130)은 브러시바디(120)를 커버하는 제1브러시하우징(131) 및 제1브러시하우징(13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브러시하우징(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러시하우징(132)은 제1브러시하우징(131)의 중간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러시하우징(130)은 구동모터(미 도시)를 수용하는 모터수용부(123)를 커버하는 모터하우징(134)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하우징(134)은 제1브러시하우징(131)으로부터 상 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134)은 제1브러시하우징(13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하우징(134)의 형상 및 위치는 모터수용부(123)에 수용되는 구동모터(미 도시)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헤드(100)는 헤드본체(100)와 연결되는 호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150)는 브러시하우징(130)과 결합할 수 있다. 호스(150)는 상부브러시하우징(130a)과 결합할 수 있다. 호스(150)는 제1브러시하우징(131)과 결합할 수 있다.
브러시하우징(130)은 호스(150)와 결합하는 호스결합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결합부(133)는 호스(1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 측으로 개구된 원형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호스결합부(133)의 형상은 호스(15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헤드(100)는 흡입관(20)과 헤드본체(110)를 연결하는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00)는 흡입관(20)과 호스(150)를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200)는 흡입관(20)과 호스(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호스(150)의 일 단부는 커넥터(200)와 연결되고, 호스(150)의 타 단부는 호스결합부(133)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200)의 일 단부는 호스(150)와 연결되고, 커넥터(200)의 타 단부는 흡입관(20)과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200)는 흡입관(20)과 호스(150)를 연결하는 제1커넥터(210) 및 제1커넥터(210)와 브러시하우징(130)을 연결하는 제2커넥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넥터(220)는 제1커넥터(210)와 제2브러시하우징(13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커넥터(220)는 제1커넥터(21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커넥터(220)는 브러시바디(1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브러시하우징(132)은 제1브러시하우징(131)으로부터 양 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220)는 제2브러시하우징(132)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브러시하우징(132)과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헤드(100)는 보조휠(124)과 함께 청소기헤드(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인휠(16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휠(160)은 브러시(14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헤드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인휠(160)은 브러시하우징(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휠(160)은 제2브러시하우징(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헤드(100)는 메인휠(160)을 제2브러시하우징(13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회전축(17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휠(160)과 회전축(170)은 제2브러시하우징(130)의 양 측에 대응되도록 각각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인휠(160)과 회전축(170)의 개수는 보조휠(124)과 함께 청소기헤드(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210)는 흡입관(2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관결합부(211) 및 제2커넥터(2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터결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넥터(210)는 호스(150)를 수용하는 호스수용부(213) 및 흡입관(20)과 제1커넥터(210) 사이를 연결 및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결합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관결합부(211)와 호스수용부(213)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흡입관결합부(211) 및 호스수용부(213)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커넥터(210)는 대략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넥터결합부(212)는 제1커넥터(210)의 후면에 연장 돌출되어 제2커넥터(22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214)는 흡입관(20)과 흡입관결합부(211)를 결합시킬 수 있고, 흡입관(20)과 흡입관결합부(211)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제2커넥터(220)는 제1커넥터(210)와 결합되는 제1커넥터결합부(221) 및 제2브러시하우징(13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넥터결합부(221)는 제2커넥터결합부(2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결합부(221)는 회전부(222)로부터 상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222)는 브러시하우징(130)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222)는 제2브러시하우징(132)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170)은 메인휠(160), 제2브러시하우징(132) 및 회전부(222)를 동 축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2커넥터(220) 및 메인휠(160)은 동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휠(160), 제2브러시하우징(132) 및 제2커넥터(220)는 일직선상에 수평으로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20)의 셀프 스탠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커넥터(200)에 결합되는 흡입관(20)은 브러시(140) 및 메인휠(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관(20)은 전방브러시(141) 및 메인휠(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관(20) 및 커넥터(200)는 피청소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흡입관(20)은 후방브러시(142)의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흡입관(20)이 피청소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고, 흡입관(20)이 청소기헤드(100)의 최후방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브러시(141) 및 메인휠(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20)의 위치가 청소기헤드(100)의 최후방이 아니라 중간부근에 인접할 수 있고, 흡입관(20)은 수직으로 헤드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으므로, 흡입관(20)은 헤드본체(110)로부터 셀프 스탠딩이 가능할 수 있다.
청소기본체(100)는 흡입관(20)이 셀프 스탠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호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150)는 주름을 가지는 자바라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의 호스(150)는 탄성력을 가지므로 호스(150)와 연결된 커넥터(200) 및 커넥터(200)와 연결된 흡입관(20)의 셀프 스탠딩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20)에 소정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호스(15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제자리로 복원되어 흡입관(20)의 셀프 스탠딩이 유지될 수 있다.
만약, 호스(150)가 없이 헤드본체(110)에 흡입관(20)이 연결된 커넥터(200)가 바로 연결되는 경우라면, 흡입관(20)의 셀프 스탠딩은 가능할 수 있을지라도, 소정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흡입관(20)의 셀프 스탠딩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흡입관(20)을 회동할 수 없어, 청소기(1)를 사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제1커넥터(210)는 호스(150) 및 흡입관(20)과 일직선상에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제2커넥터(220)는 메인휠(16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관이 전후 회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20)은 흡입관(20)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후방브러시(142)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셀프 스탠딩을 유지할 수 있다.
호스(150)는 흡입관(20)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220)는 흡입관(20)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브러시하우징(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222)는 흡입관(20)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2브러시하우징(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관(20) 및 제2커넥터(220)는 회전축(17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회전축(170)을 중심으로 흡입관(20), 흡입관(20)과 연결된 커넥터(200)는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150)가 없는 경우와 달리, 플레서블한 호스(150)에 의해 흡입관(20)의 전후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청소기(1)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청소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관이 좌우 회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20)은 흡입관(20)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헤드본체(110)의 상부에 수직하게 셀프 스탠딩을 유지할 수 있다.
호스(150)는 흡입관(20)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210)는 흡입관(20)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2커넥터(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커넥터결합부(212)는 흡입관(20)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1커넥터결합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넥터(210)는 제2커넥터결합부(212) 및 제1커넥터결합부(221)의 중심을 회전 축으로하여, 제2커넥터(22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150)가 없는 경우와 달리, 플렉서블한 호스(150)에 의해 흡입관(20)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청소기(1)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청소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청소기헤드를 분해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본체(100)는 전방브러시(141) 및 후방브러시(142)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본체(300)는 단일의 브러시(340)를 포함할 수 있는 점에서 각각의 실시 예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기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본체(300)의 설명 중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본체(100)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헤드(300)는 브러시(340)를 수용하는 헤드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340)는 흡입관(20)으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헤드본체(310)는 브러시(340)를 수용하는 브러시바디(320) 및 브러시바디(320)를 커버하는 브러시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하우징(330)은 브러시바디(320)에 별도의 체결부재(미 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브러시(340)는 브러시바디(320)의 하부에 수용될 수 있다. 브러시바디(320)는 하측으로 개구된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브러시바디(320)는 브러시(340)가 수용되는 브러시수용부(321) 및 브러시하우징(330)이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본체(300)의 브러시(3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본체(100)의 브러시(140)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브러시하우징(330)은 브러시바디(32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상부브러시하우징(330a) 및 브러시바디(32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는 하부브러시하우징(33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브러시하우징(330a) 및 하부브러시하우징(330b)는 별도의 체결부재(미 도시)에 의하여 브러시바디(3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부브러시하우징(330b)의 크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브러시하우징(130b)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브러시하우징(330)은 브러시바디(320)를 커버하는 제1브러시하우징(331) 및 제1브러시하우징(33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브러시하우징(33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브러시하우징(330b)은 구동모터(미 도시)가 수용되는 모터수용부(323) 및 헤드본체(310)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휠(324)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수용부(323)는 브러시수용부(32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휠(324)은 헤드본체(310)의 전방 저면에 마련될 수 있고, 보조휠(324)은 대향되도록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조휠(324)의 위치 및 개수는 헤드본체(3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부브러시하우징(330a)은 구동모터(미 도시)를 수용하는 모터수용부(323)를 커버하는 모터하우징(334)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하우징(334)은 제1브러시하우징(331)으로부터 상 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하우징(334)은 모터수용부(323)에 수용되는 구동모터(미 도시)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헤드(300)는 헤드본체(310)와 연결되는 호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150)는 브러시하우징(330)과 결합할 수 있다. 호스(150)는 상부브러시하우징(330a)과 결합할 수 있다. 호스(150)는 제1브러시하우징(331)과 결합할 수 있다.
브러시하우징(330)은 호스(150)와 결합하는 호스결합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결합부(333)는 호스(1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 측으로 개구된 원형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호스결합부(333)는 호스(15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헤드(300)는 흡입관(20)과 헤드본체(310)를 연결하는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150)의 일 단부는 커넥터(200)와 연결되고, 호스(150)의 타 단부는 호스결합부(333)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200)는 흡입관(20)과 호스(150)를 연결하는 제1커넥터(210) 및 제1커넥터(210)와 브러시하우징(330)을 연결하는 제2커넥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넥터(220)는 제1커넥터(210)와 제2브러시하우징(33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커넥터(220)는 브러시바디(3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커넥터(220)는 제2브러시하우징(332)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브러시하우징(332)과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헤드(300)는 보조휠(324)과 함께 청소기헤드(3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인휠(16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휠(160)은 브러시(34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헤드본체(310)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인휠(160)은 브러시하우징(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휠(160)은 제2브러시하우징(332)에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헤드(300)는 메인휠(160)을 제2브러시하우징(33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회전축(17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휠(160)과 회전축(170)은 제2브러시하우징(330)의 양 측에 대향되도록 각각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인휠(160)과 회전축(170)의 개수는 보조휠(324)과 함께 청소기헤드(3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220)는 제1커넥터(210)와 결합되는 제1커넥터결합부(221) 및 제2브러시하우징(33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222)는 브러시하우징(330)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222)는 제2브러시하우징(332)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170)은 메인휠(160), 제2브러시하우징(332) 및 회전부(222)를 동 축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2커넥터(220) 및 메인휠(160)은 동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휠(160), 제2브러시하우징(332) 및 제2커넥터(220)는 일직선상에 수평으로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20)의 셀프 스탠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커넥터(200)에 결합되는 흡입관(20)은 브러시(340) 및 메인휠(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2)는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의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는 청소기본체(30) 및 청소기본체(30)에 장착되는 집진장치(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본체(30)는 청소기(2)의 구동을 위한 주요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장치(미 도시)는 청소기(2)를 사용함으로써,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다.
청소기(2)는 피청소면에 접촉되는 청소기헤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헤드(100)는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청소기본체(3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미 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청소기본체(30)의 팬모터(미 도시)에서 생성되는 흡입력에 의해 청소기헤드(100)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청소기헤드(100)는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청소기(2)는 청소기헤드(10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청소기본체(30)와 청소기헤드(100)를 연결하는 흡입관(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청소기헤드(100)의 후방이란, 사용자가 청소기(2)를 사용할 시, 청소기헤드(100)로부터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흡입관(2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는 청소기본체(30)와 연결되고, 플렉서블하게 구비되는 수지 재질의 연장호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관(20)과 연장호스(40) 사이에는 핸들관(50)이 마련될 수 있다.
연장호스(40)는 신축성 있는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단은 청소기본체(30)에 연결되고 타단은 핸들관(50)에 연결될 수 있다. 연장호스(40)는 청소기헤드(100)가 청소기본체(30)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흡입관(20), 핸들관(50) 및 연장호스(40)는 모두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헤드(10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흡입관(20), 핸들관(50) 및 연장호스(40)를 순차로 통과하여 청소기본체(30)로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관(50)을 잡고 조작하여 청소기헤드(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2: 청소기 10, 30: 청소기본체
11: 집진장치 12: 핸들
20: 흡입관 40: 연장호스
50: 핸들관 100, 300: 청소기헤드
110, 310: 헤드본체 120, 320: 브러시바디
121, 321: 브러시수용부 121a: 전방브러시수용부
121b: 후방브러시수용부 122, 322: 하우징결합부
123, 323: 모터수용부 124, 324: 보조휠
130, 330: 브러시하우징 130a, 330a: 상부브러시하우징
130b, 330b: 하부브러시하우징 131, 331: 제1브러시하우징
132, 332: 제2브러시하우징 133, 333: 호스결합부
134, 334: 모터하우징 140, 340: 브러시
141: 전방브러시 142: 후방브러시
150: 호스 160: 메인휠
170: 회전축 200: 커넥터
210: 제1커넥터 211: 흡입관결합부
212: 제2커넥터결합부 213: 호스수용부
214: 결합부재 220: 제2커넥터
221: 제1커넥터결합부 222: 회전부

Claims (20)

  1. 브러시를 포함하는 헤드본체;
    상기 브러시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헤드본체와 결합되는 메인휠;
    셀프 스탠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메인휠 사이에 배치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과 상기 헤드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흡입관이 셀프 스탠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고, 상기 헤드본체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흡입관과 상기 호스를 연결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헤드본체를 연결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의 후방에 결합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전방브러시 및 상기 전방브러시와 평행하게 상기 전방브러시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전방브러시 및 상기 메인휠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후방브러시의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및 상기 흡입관은 일직선 상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주름을 가지는 자바라호스를 포함하는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는 브러시를 수용하는 브러시바디 및 상기 브러시바디를 커버하는 브러시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휠은 상기 브러시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브러시하우징을 연결하는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흡입관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 및 상기 메인휠은 동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청소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하우징은 상기 브러시바디를 커버하는 제1브러시하우징 및 상기 제1브러시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브러시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휠, 상기 제2브러시하우징 및 상기 제2커넥터는 일직선상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청소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흡입관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호스 및 상기 흡입관과 일직선상에 수직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메인휠의 상부에 배치되는 청소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의 일 단부는 상기 제1브러시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호스의 타 단부는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청소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흡입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관결합부,
    상기 제2커넥터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터결합부, 및
    상기 호스를 수용하는 호스수용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1커넥터결합부, 및
    상기 제2브러시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16. 청소기본체;
    상기 청소기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으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헤드본체;
    상기 흡입관과 상기 헤드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
    상기 브러시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헤드본체와 결합되는 메인휠; 및
    상기 흡입관이 셀프 스탠딩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메인휠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관 및 상기 커넥터와 일직선상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메인휠은 수평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상기 흡입관이 셀프 스탠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청소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메인휠은 동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청소기.
  19. 브러시를 포함하는 헤드본체;
    상기 브러시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헤드본체와 결합되는 메인휠;
    상기 브러시 및 상기 메인휠 사이에 위치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과 상기 헤드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흡입관이 셀프 스탠딩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본체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헤드본체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관의 셀프 스탠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메인휠은 동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상기 흡입관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하게 구성되는 청소기.
KR1020170106195A 2017-08-22 2017-08-22 청소기 KR102372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195A KR102372897B1 (ko) 2017-08-22 2017-08-22 청소기
EP18849189.8A EP3646768B1 (en) 2017-08-22 2018-08-01 Vacuum cleaner
PCT/KR2018/008745 WO2019039764A1 (ko) 2017-08-22 2018-08-01 청소기
CN201880053891.3A CN111031872B (zh) 2017-08-22 2018-08-01 真空清洁器
US16/641,361 US11445876B2 (en) 2017-08-22 2018-08-01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195A KR102372897B1 (ko) 2017-08-22 2017-08-22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521A KR20190021521A (ko) 2019-03-06
KR102372897B1 true KR102372897B1 (ko) 2022-03-11

Family

ID=6543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195A KR102372897B1 (ko) 2017-08-22 2017-08-22 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45876B2 (ko)
EP (1) EP3646768B1 (ko)
KR (1) KR102372897B1 (ko)
CN (1) CN111031872B (ko)
WO (1) WO2019039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616598D0 (en) * 2016-09-30 2016-11-16 Grey Technology Limited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JP1644256S (ko) * 2019-02-11 2019-10-28
JP1669073S (ko) * 2019-07-31 2020-09-28
KR102267512B1 (ko) 2019-12-03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D950175S1 (en) * 2020-01-03 2022-04-26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head
USD935121S1 (en) * 2021-02-04 2021-11-02 Shenzhen Hanfu Trading Company Cleaner hea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71434A1 (en) * 2015-09-14 2017-03-16 Bissell Homecare,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63401A (ko) * 1956-12-21
CA1115465A (en) * 1978-01-19 1982-01-05 Ryuichi Yasunaga Vacuum cleaner
KR19980021838A (ko) 1996-09-19 1998-06-25 이종린 스틱형 진공 청소기
JP4513197B2 (ja) * 2000-10-02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7210197B2 (en) * 2003-03-25 2007-05-01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Nozzle assembly with air flow acceleration channels
JP2007000465A (ja) * 2005-06-24 2007-01-11 Twinbird Corp 電気掃除機
KR100746080B1 (ko) * 2005-12-06 2007-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그 사용방법
GB0619181D0 (en) * 2006-09-29 2006-11-08 Dyson Technology Ltd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48745A (en) * 2007-04-27 2008-10-29 Hoover Ltd An upright vacuum cleaner
CN201048905Y (zh) * 2007-06-11 2008-04-23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真空吸尘器的吸尘嘴
CN201948940U (zh) * 2010-12-06 2011-08-31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弯管与软管的连接装置
WO2013117901A1 (en) * 2012-02-10 2013-08-15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and a battery pack therefor
US9622630B2 (en) * 2012-03-19 2017-04-18 Aktiebolaget Electrolux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a support
US9717389B2 (en) 2012-05-29 2017-08-01 Bissell Homecare, Inc. Extraction cleaner
GB2504675B (en) * 2012-08-03 2014-11-26 Dyson Technology Ltd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GB201313707D0 (en) * 2013-07-31 2013-09-11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CN104414586B (zh) * 2013-09-05 2019-08-23 三星电子株式会社 真空吸尘器
JP6219730B2 (ja) * 2014-01-20 2017-10-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2238138B1 (ko) 2014-08-27 2021-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JP6435204B2 (ja) 2015-01-28 2018-12-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WO2017106900A1 (en) * 2015-12-22 2017-06-29 Run The Race Pty Ltd Improved vacuum head attachment and vacuum cleaner
GB2550180B (en) * 2016-05-11 2018-05-02 Lupe Tech Limited Cleaner head
GB2554937B (en) * 2016-10-14 2020-03-11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td A tool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559379A (en) * 2017-02-03 2018-08-08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td A tool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71434A1 (en) * 2015-09-14 2017-03-16 Bissell Homecare,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6768B1 (en) 2022-09-28
EP3646768A4 (en) 2020-05-06
KR20190021521A (ko) 2019-03-06
US20200221914A1 (en) 2020-07-16
EP3646768A1 (en) 2020-05-06
WO2019039764A1 (ko) 2019-02-28
CN111031872A (zh) 2020-04-17
CN111031872B (zh) 2022-08-05
US11445876B2 (en)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897B1 (ko) 청소기
US7950102B2 (en)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steering unit
US20100205768A1 (en) Brush assembly of vacuum cleaner
EP2521474B1 (en) Steering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device
US8186007B2 (en) Upright vacuum cleaner
JP4977918B2 (ja) 表面処理用電気器具
US8201302B2 (en) Upright vacuum cleaner
US20180249871A1 (en) Vacuum cleaner including a removable canister assembly
TW201909813A (zh) 電動吸塵器之充電座
KR102308483B1 (ko)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20120014327A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EP2992800B1 (en) Vacuum cleaner
US8677556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JP6701897B2 (ja) 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KR200485335Y1 (ko)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KR101186616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JP2009125595A (ja) 表面処理用電気器具
JP2020110506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20110507A (ja) 電気掃除機
KR102277145B1 (ko) 청소기
JP7326186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5622830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
US8720003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JP2011120617A (ja) 電気掃除機
JP2017018449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