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579B1 -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579B1
KR100565579B1 KR1020000024073A KR20000024073A KR100565579B1 KR 100565579 B1 KR100565579 B1 KR 100565579B1 KR 1020000024073 A KR1020000024073 A KR 1020000024073A KR 20000024073 A KR20000024073 A KR 20000024073A KR 100565579 B1 KR100565579 B1 KR 10056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suction pipe
vacuum clean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696A (ko
Inventor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4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579B1/ko
Priority to JP2000317801A priority patent/JP3457639B2/ja
Priority to ES00126865T priority patent/ES2228392T3/es
Priority to EP00126865A priority patent/EP1151714B1/en
Priority to DE60013774T priority patent/DE60013774T2/de
Priority to US09/793,512 priority patent/US6519810B2/en
Priority to RU2001105718/12A priority patent/RU2183420C1/ru
Publication of KR20010102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1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icking up threads, hair or the like, e.g. brushes, combs, lint pickers or bristles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에 관한 것으로써 비교적 좁은 위치에의 청소 수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각종 모서리 부위의 청소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청소의 수행을 위한 조작이 간단하고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를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측을 향하여 개구됨과 동시에 그 저면은 몸체부의 흡입구와 연통된 수납부; 일단은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연장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수납부 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해서는 좌,우 회전 및 상,하 회동 가능한 흡입 파이프; 상기 수납부와 흡입 파이프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간의 선택적인 탈착이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가 제공된다.
진공 청소기, 흡입구체, 흡입파이프 결합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suction nozzle in vacuum cleaner}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각 부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4 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와 연장관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7 은 도 6의 Ⅱ-Ⅱ선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a, 8b, 8c 은 흡입구체로부터 흡입파이프의 탈거 과정을 나타낸 단면하여 정면에서 본 과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흡입구체 210. 몸체부
211. 수납부 230. 흡입 파이프
250. 결합관 251. 걸림홈
310. 걸림턱 320. 버튼부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도시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흡입력 발생수단을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체(20)로 크게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본체(10)와 흡입구체(20) 사이에는 흡입호스(11), 손잡이부(12), 연장관(13) 등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의 흡입력 전달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흡입구체(20)는 그 외형을 이루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22)와, 상기 몸체부(21) 내의 후방측에 연결된 흡입 파이프(23)와, 일단이 상기 흡입 파이프(23)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연장관(13)에 연결된 연결관(24)으로 크게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청소기는 어느 특정된 한 지점만의 청소 수행을 하는 것이 아니다.
즉, 거실 등과 같은 비교적 넓은 부위 혹은 침대밑이나 틈새 및 비교적 좁은 부위 등과 같이 각 상황에 적절히 청소의 수행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흡입구체(20)를 구성하는 흡입 파이프(23)는 상기 흡입구체의 몸체부(21) 내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관(24)은 상기 흡입 파이프(23)에 대하여 좌,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4)은 소정 각도 절곡된 상태로써 구비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지면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장관(13)에 연결된 흡입 파이프(23)를 지면으로부터 상향 회동시켜 세우고, 연결관(24)은 그 절곡된 끝단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편리한 자세로의 청소 수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침대밑 등과 같은 구석진곳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장관(13)을 지면과 거의 동일하게 하향 이동하여 눕힌 후 연결관(24)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회전시켜 그 절곡된 끝단부가 측부를 향하도록 함으로서 편리한 자세로의 청소 수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종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흡입구체(20)는 침대밑과 같은 비교적 그 범위가 좁거나 혹은 낮은 지역에서는 항상 그 청소상의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이는, 종래 흡입 파이프(23)가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을 유발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그 상부 혹은 하부로의 회동이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연유로 인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부위의 폭이 흡입구체(20)의 몸체부(21) 전면 폭보다 좁을 경우에는 그 청소가 불가능하였을 뿐 아니 라 실내의 각 구석 부위 등은 단순히 흡입력 등만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청소의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연장관으로부터 흡입구체를 탈거한 후 크레비스툴과 같은 별도의 악세사리를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교체상의 불편함이 유발되었을 뿐 아니라 상기 별도의 악세사리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른 제조상 및 공간상의 불리함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흡입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관(24) 역시 절곡 형성될 수 밖에 없는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그 청소의 수행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흡입 파이프(23)의 상,하 회동(혹은, 연결관의 좌,우 회전)을 행하고, 이차적으로 연결관(24)의 좌,우 회전(혹은, 흡입 파이프의 상,하 회동)을 행하여야 함에 따라 그 조작이 불편한 단점을 지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이 심화되어 결국, 신뢰도 저하라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좁은 장소 등의 청소시 흡입구체로부터 흡입 파이프의 탈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 흡입 파이프를 이용하여 그 청소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구체를 구성하는 흡입파이프가 상,하 회동 뿐만 아니라 좌,우 회동 역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입구체의 조작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유로에는 영향을 주지않도록 구성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를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측을 향하여 개구됨과 동시에 그 저면은 몸체부의 흡입구와 연통된 수납부; 일단은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연장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수납부 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몸체부에 대해서는 좌,우 회전 및 상,하 회동 가능한 흡입 파이프; 상기 수납부와 흡입 파이프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간의 선택적인 탈착이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흡입 파이프를 흡입구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연장관의 폭에 대응되는 정도의 좁은 부위의 청소시 흡입구체로부터 흡입 파이프를 분리한 후 상기 흡입 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청소의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흡입구체를 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흡입 파이프를 흡입구체가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좌,우 회전 및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내지 도 8a,8b,8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와 연장관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며, 도 7 은 도 6의 Ⅱ-Ⅱ선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8a, 8b, 8c 은 흡입구체로부터 흡입 파이프의 탈거 과정을 나타낸 단면하여 정면에서 본 과정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흡입구체(200)를 구성하는 몸체부(210)의 후방측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수납부(211)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수납부(211)는 그 내부 공간이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측을 향하여 개구됨과 동시에 그 저면은 몸체부(210)에 형성된 흡입구(220)와 연통되도록 개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납부(211)의 내부 공간상에는 연장관(13)에 연결되는 흡입 파이프(230)의 일단을 상기 몸체부(210)에 대하여 좌,우 회전 및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는, 상기 흡입 파이프(230)의 끝단부위에 상기 몸체부(210)의 수납부(211) 내에 고정되는 결합관(250)을 설치하고, 상기 흡입 파이프(230)가 상기 결합관(250)에 대하여 좌, 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때, 상기 결합관(250)은 흡입 파이프(230)의 끝단 둘레면을 단순히 감싸도록만 결합함으로써 상기 결합관(250)이 상기 흡입 파이프(230)의 회전에는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흡입 파이프(230)의 저부 끝단은 실질적으로 반구형(半球形)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관(250)의 내벽면 역시 이에 대응되는 형상인 구면(球面)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 파이프(230)와 결합관(250) 상호 간은 힌지(231) 등에 의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흡입 파이프(230)는 수납부(211) 내에 선택적인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교적 좁은 위치에의 청소 수행시 단순히 흡입구체(200)의 몸체부(210)로부터 상기 흡입 파이프(230)를 탈거하고, 이 흡입 파이프(230)를 이용하여 청소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흡입 파이프(230)를 수납부(211) 내에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장착수단은 상기 수납부(211) 및 흡입 파이프(230) 상호간의 대응된 결합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즉, 수납부(211)에는 버튼부(300)를 설치하고, 흡입 파이프(230)의 끝단에 장착된 결합관(250)에는 상기 버튼부(300)의 동작에 의해 수납부(211) 내로부터 선택적인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이 때, 상기 버튼부(300)는 일단이 몸체부(210)의 내부로부터 상기 수납부(211)의 내측을 향해 선택적으로 탄력 돌출되는 걸림턱(310)을 가지고, 타단은 상기 수납부(211)의 측부를 통해 상기 수납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써 선택적으로 상,하향 탄력 이동하는 누름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관(250)의 둘레면에는 상기 걸림턱(310)이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251)이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관(250)이 수납부(211) 내로부터의 선택적인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걸림턱(310)이 누름부(320)에 연동하면서 선택적으로 내향 이동되 도록 하는 구조는 상기 걸림턱(310)과 누름부(320) 사이의 연장된 면상에 돌출부(330)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30)의 일단은 수납부(211)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돌출부(330)의 둘레로는 코일 스프링(340)을 장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코일 스프링(340)의 일측 끝단은 누름부(320)의 저면에 접촉되고, 타측 끝단은 수납부(211)의 내벽면 상에 접촉된다.
그리고, 결합관(250)의 저면에는 별도의 브러시(252)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좁은 부위의 청소 수행시 상기 브러시(252)를 이용하여 지면 등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을 부유시키도록 함으로써 청소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브러시(252)는 결합관(250)의 저면 전 부분에 장착하여도 상관은 없으나 상기 결합관(250)의 저면 둘레 부위에만 장착하더라도 청소의 수행은 충분히 이룰 수 있음으로써 그 제조적인 측면 및 단가상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브러시(252)를 장착하지 않고, 크레비스툴과 같은 협소한 관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흡입 파이프 혹은 결합관의 끝단 형상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흡입구체를 이용하여 비교적 좁은 위치에의 청소 수행시 및 각 모서리 부위의 청소 수행시 상기 흡입구체의 조작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좁은 틈새 등의 청소를 수행코자 할 경우 흡입구체(200)의 조작은 도 시한 도 6과 같다.
즉, 도 6의 실선과 같은 최초 상태에서 흡입구체의 전면 폭(W1)에 비해 좁은 폭(W2)을 가지는 부위의 청소 수행시 도 6의 점선과 같이 연장관(13)을 상기 흡입구체(200)의 시계방향측(혹은, 반시계방향측)을 향해 회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연장관(13)에 연결된 흡입 파이프(230)가 결합관(250)로부터 회전하면서 상기 연장관(13)이 향하는 방향과 흡입구체(200)의 측면이 향하는 방향은 대략 동일방향을 이룬다.
이는, 상기 결합관(250)과 흡입구체(200)의 수납부(211) 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흡입 파이프(230)는 상기 결합관(250)에 대하여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가능하다.
즉, 결합관(250)은 흡입구체(200)에 대하여 흡입 파이프(230)의 탈거를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흡입 파이프(230)가 결합관(250)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흡입구체(200)에 대한 연장관(13)의 좌,우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비교적 좁은 폭을 이루는 흡입구체(200)의 측편으로부터 각 가구 사이 등과 같은 틈새 내로 그 삽입이 가능해짐으로써 좁은 틈새 내의 청소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청소를 수행코자 하는 부위가 침대밑과 같은 위치일 경우에는 도시한 도 7의 실선과 같은 최초 상태에서 상기 도면의 점선과 같이 흡입 파이프(230)를 하향 회동시킨다.
이는, 상기 흡입 파이프(230)가 연장관에 연결되어 있고, 흡입구체(200)에 대하여는 상,하측으로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231) 결합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단지 연장관(13)을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전술한 흡입 파이프(230)의 하향 회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연장관(13)의 소정 길이 까지는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럼으로 인해 굳이 흡입 파이프(230)의 축방향에 대한 연장관(13)의 회전 등과 같은 별도의 불편한 조작 없이도 침대밑 등과 같은 위치에의 청소가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흡입구체(200)에 대한 흡입 파이프(230)의 좌,우 회전 및 상,하 회동된다 하더라도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기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 파이프(230)의 끝단이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결합관(250)의 내벽면이 대략 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관(250)에 대한 흡입 파이프(230)의 회동이 어느 방향이든 상관없이 공기의 유동은 항상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흡입구체(200)의 전체적인 크기(전면 폭 및 측면 폭)에 비해 좁은 위치인 모서리 부위 등의 청소를 수행코자 할 경우에는 상기 흡입구체(200)를 흡입 파이프(230)로부터 탈거시켜야 한다.
이는, 도시한 도 8a와 같은 최초 상태에서 결합관(250)에 의해 흡입구체(200)에 흡입 파이프(2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납부(211)의 측부를 통해 돌출된 누름부(320)를 누름과 동시에 연장관(13)을 흡입구체(200)로부터 탈거시키면 된다.
즉, 누름부(32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부(320)의 저면에 접촉된 코일 스프링(340)이 하향 회동력을 전달받게 됨과 더불어 그 타측이 접촉된 수납부(211)의 내벽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반발력에 의해 소정의 탄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걸림턱(310)은 도시한 도 8과 같이 돌출부(330)를 중심으로 수납부(211)의 내측을 향해 회동하면서 결합관(250)의 걸림홈(25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상호간이 이루고 있던 결합이 해제됨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시한 도 8c와 같이 연장관(13)을 당기게 되면 흡입구체(200)로부터 흡입 파이프(230)가 탈거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체(200)의 몸체부(210)에는 누름부(320)를 누르는 힘이 전달되고 있음으로써 상기 힘의 방향과 반대측으로 흡입 파이프(230)를 당길 경우 수납부(211)와 흡입 파이프(230) 간의 탈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흡입 파이프(230)의 탈거가 완료되면 결합관(250)의 저면에 장착된 브러시(251)를 이용하여 각종 모서리 부위 등에 쌓여있는 먼지 등을 부유시킴과 동시에 연장관(13)을 통해 상기 흡입 파이프(230)으로 전달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부유된 먼지의 흡입을 수행한다.
이후, 모서리 부위의 청소가 완료되어 다시 몸체부(210)의 수납부(211) 내에 흡입 파이프(230)을 결합할 경우에는 단순히 상기 흡입 파이프(230)을 수납부(211)내에 삽입시키면 된다.
이는, 결합관(250)의 장착홈(251)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턱(310)이 수납부(211)의 측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장착홈(25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면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수납부(211)의 내부 중앙측 공간으로 경사진 상태를 이루고 있음으로써 상호간의 원활한 장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 따른 특성을 이용할 경우 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흡입구체와 연장관 사이에 흡입 파이프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연장관(13)의 끝단을 흡입 파이프(230)의 끝단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이 둘레에 결합관(250)을 결합하면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연장관의 끝단 형상이 흡입구체의 종류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흡입 파이프를 적용함이 보다 바람직한다.
그리고, 비록 도시에는 그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흡입 파이프는 종래 일반적인 흡입 파이프과 동일하게 그 축방향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를 구성하는 흡입구체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청소의 수행이 불리한 위치의 청소시에는 단순히 흡입 파이프를 탈거함으로써 상기 흡입 파이프의 끝단에 장착된 결합관 등을 이용하여 원활한 청소의 수행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구체를 자유로운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 함으로써 상기 흡입구체의 구성으로는 청소가 불리한 지역 특히, 비교적 협소한 부위에의 청소가 가능하게 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흡입구체에 대하여 연장관의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흡입되는 공기 및 각종 이물질 등의 유동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음으로써 구석 등의 청소시에도 청소 효율이 우수한 효과 역시 있다.

Claims (6)

  1.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흡입구와 연통하는 수납부; 그리고
    상기 수납부 내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진공 청소기의 본체 측으로 안내하는 흡입 파이프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파이프를 상기 수납부 내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은,
    일단은 상기 수납부의 내측을 향해 탄력 돌출되는 걸림턱을 가지고, 타단은 상기 수납부의 측부를 통해 상기 수납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탄력 이동하는 누름부를 가지는 버튼부, 그리고,
    상기 흡입 파이프와 결합되며, 그 외부면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이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결합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파이프의 저부 끝단은 실질적으로 반구형(半球形)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관의 내벽면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 파이프와 상기 결합관은 상호 힌지 결합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을 상기 수납부의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구조는,
    상기 걸림턱과 누름부 사이의 면상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수납부의 일측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돌출부의 둘레로는 그 일측 끝단이 누름부의 저면에 접촉됨과 함께 그 타측 끝단이 수납부의 내벽면 상에 접촉되어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의해 탄력을 발생하는 코일 스프링을 장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의 저면에는 별도의 브러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파이프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20000024073A 2000-05-04 2000-05-04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56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073A KR100565579B1 (ko) 2000-05-04 2000-05-04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JP2000317801A JP3457639B2 (ja) 2000-05-04 2000-10-18 真空掃除機
ES00126865T ES2228392T3 (es) 2000-05-04 2000-12-07 Boquilla para aspiradora.
EP00126865A EP1151714B1 (en) 2000-05-04 2000-12-07 Vacuum cleaner nozzle
DE60013774T DE60013774T2 (de) 2000-05-04 2000-12-07 Staubsaugermundstück
US09/793,512 US6519810B2 (en) 2000-05-04 2001-02-27 Vacuum cleaner nozzle
RU2001105718/12A RU2183420C1 (ru) 2000-05-04 2001-02-28 Пылесо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073A KR100565579B1 (ko) 2000-05-04 2000-05-04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696A KR20010102696A (ko) 2001-11-16
KR100565579B1 true KR100565579B1 (ko) 2006-03-29

Family

ID=4174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073A KR100565579B1 (ko) 2000-05-04 2000-05-04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171B1 (ko) * 1999-12-03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565578B1 (ko) * 2000-05-04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448A (ko) * 2000-05-04 2001-11-29 구자홍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448A (ko) * 2000-05-04 2001-11-29 구자홍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696A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6260B2 (ja) 清掃ヘッド
RU2221474C2 (ru) Удлинительная труба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US7996954B2 (en) Path-conversion valv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KR100570294B1 (ko) 진공청소기의 유로전환 밸브조립체
JP2001314358A (ja) 真空掃除機
JP2005161010A (ja) 真空掃除機の屈折延長管
KR100730948B1 (ko) 진공 청소기의 굴절 연장관
JP2007090037A (ja) 真空掃除機用ブラシ組立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KR10056557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565578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640920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200273961Y1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와의 연결구조
KR100569308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체
KR200369897Y1 (ko) 진공청소기
JP4241595B2 (ja) 電気掃除機
KR200364056Y1 (ko) 진공청소기
KR100546589B1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결합구조
KR200340435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100548932B1 (ko)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KR100569350B1 (ko) 진공청소기의 바퀴 장착구조
KR100569352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체
JP2784970B2 (ja) 電気掃除機
KR100556307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체
KR100203425B1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JPS6053621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力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