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171B1 -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171B1
KR100595171B1 KR1020000024038A KR20000024038A KR100595171B1 KR 100595171 B1 KR100595171 B1 KR 100595171B1 KR 1020000024038 A KR1020000024038 A KR 1020000024038A KR 20000024038 A KR20000024038 A KR 20000024038A KR 100595171 B1 KR100595171 B1 KR 100595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suction
suction pipe
inle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736A (ko
Inventor
윤선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171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청소 위치에 관계없이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에는 영향을 주지않고 청소의 수행이 가능함과 동시에 각종 틈새등 일반적인 청소가 곤란한 부위도 그 청소의 수행이 용이한 흡입구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220)가 형성된 몸체부(210)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을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33)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몸체부 및 연장관에 각각 연결된 흡입파이프(230)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20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 내의 상기 흡입파이프가 결합되는 부위의 내벽면은 구면(球面)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흡입파이프의 끝단에는 상기 구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반구체(23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구조가 제공된다.
진공 청소기, 흡입구체, 흡입파이프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suction nozzle in vacuum cleaner}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 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파이프와의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는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와 연장관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5 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파이프와의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복원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와 연장관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9a, 9b 는 본 발명에 따른 복원수단에 의해 연장관이 회동/복원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도 10 은 도 8의 Ⅲ-Ⅲ선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 복원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2a, 12b 는 도 11에 따른 복원수단에 의해 연장관이 회동/복원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흡입구체 210. 몸체부
220. 흡입구 230. 흡입파이프
250. 안착부 260. 유로안내부
270. 덮개부 280. 캐스터몸체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집안이나 차안 또는 기타의 장소를 청소함에 있어서 일반 빗자루나 기타 청소도구로는 청소가 곤란한 구석진 곳 및 기타 장소의 청소를 위해 주로 사용되며,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도시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크게 모터(11) 및 팬(12)이 구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킴과 함께 이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각종 이물 질을 집진하도록 집진봉투(13)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체(2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체는 그 외형을 이루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22)와, 상기 몸체부 내의 후방측에 연결된 흡입파이프(23)로 크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체와 본체 사이에는 흡입호스(31), 손잡이부(32), 연장관(33) 등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흡입호스는 본체(10)에 형성된 삽입공(14)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집진봉투(13) 내부와 연통되고, 연장관(33)은 흡입구체(20)의 몸체부(21)에 장착된 흡입파이프(23)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구체(20)를 통해 흡입된 각종 이물질은 상기 연장관, 손잡이부, 흡입호스 등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본체(10)에 형성된 삽입공(14)을 통해 본체(10) 내의 집진봉투(13) 내부로 유입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청소의 수행은 어느 특정된 한 지점만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장소로 이동하면서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는, 본체(10)의 양측(혹은 저면)에 바퀴(15)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을 뿐 아니라 흡입구체(20)의 양측(혹은 저면)에도 바퀴(25)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청소의 수행은 단순히 실내의 바닥 등과 같은 비교적 넓은 위치에서의 청소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침대밑 혹은 구석진 곳과 같은 청소하기가 불편한 위치까지 그 청소의 수행을 이행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종래 흡입구체(20)는 몸체부(21) 내의 후방측에 흡입파이프(23)가 상, 하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23a) 결합되어 있고, 일단은 상기 흡입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다른 일단은 연장관(33)에 연결되어 흡입구체(20)와 연장관(33)을 연결시키는 연결관(24)이 소정 각도 절곡된 상태로써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지면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장관(33)을 지면으로부터 상향 이동하여 세움으로써 이의 청소 수행을 이룰 수 있게 되었고, 침대밑 등과 같은 구석진곳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장관(33)을 지면과 거의 동일하게 하향 이동하여 눕힌 후 연결관(24)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의 청소 수행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이 때, 상기와 같이 연결관(24)을 회전시켜야 하는 이유는 연장관(33)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후측부가 공기의 유동에 따른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라운드진 상태로써 절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침대밑 깊숙한 부위를 청소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절곡된 연결관의 후방측 끝단이 침대의 단부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간섭 현상을 방지하고자 연결관(24)을 회전시켜 흡입파이프(23)와 상기 연결관 및 연장관을 그 측부에서 봤을 때 거의 수평상태가 되도록 조작함으로써 침대밑의 깊숙한 부위로의 청소수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흡입구체(20)는 기 전술한 바 와 같이 침대밑과 같은 비교적 그 범위가 좁거나 혹은 낮은 지역에서의 청소는 항상 그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이는, 종래 흡입파이프(23)의 공기 유입측이 항상 흡입구체(20)의 내부와 곧장 연결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을 유발시키지 않는 범위로만 그 상부 혹은 하부로의 회동만이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연유로 인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부위의 폭이 흡입구체(20)의 몸체부(21) 전면 폭보다 좁을 경우 즉, 실내의 벽면과 가구 등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 내부는 그 청소가 불가능 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 역시 가질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상기 흡입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관(33) 역시 절곡 형성될 수 밖에 없는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그 청소의 수행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흡입파이프(23)의 상,하 회동(혹은, 연결관의 좌,우 회전)을 행하고, 이차적으로 연결관의 좌,우 회전(혹은, 흡입파이프의 상,하 회동)을 행하여야 함에 따라 그 조작이 불편한 단점을 지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이 심화되어 결국, 사용자의 신뢰도 저하라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각 청소 위치에 관계없이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에는 영향을 주지않고 청소의 수행이 가능한 흡입구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구체를 구성하는 흡입파이프의 상,하 회동 및 좌,우 회동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틈새등 일반적인 청소가 곤란한 부위도 그 청소의 수행이 용이한 흡입구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을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몸체부 및 연장관에 각각 연결된 흡입파이프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의 상기 흡입파이프가 결합되는 부위의 내벽면은 구면(球面)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흡입파이프의 끝단에는 상기 구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반구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구조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흡입구체의 흡입파이프와 몸체부 간의 연결 구조를 상호 대응하는 반구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에 대한 저항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유동하는 공기의 외부 누출이 방지된 상태로써 흡입파이프의 상,하 및 좌,우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좁은 부위 등의 청소 역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흡입구체의 구조를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파이프와의 연결 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복원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원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흡입구체(200)를 구성하는 몸체부(210) 내의 흡입파이프(230) 끝단(231)을 반구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반구형 흡입파이프의 끝단(이하, “반구체”라 한다)(231)이 결합되는 부위의 내벽면은 전체적으로 구면(球面)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특히, 상기 반구체(231)의 내벽면 역시 원활한 공기 유동을 위해 구면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흡입파이프(230)는 몸체부(210)에 대하여 상, 하, 좌, 우 및 대각 방향으로 원활히 회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회동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회동수단은 몸체부(210)에 형성된 안착부(250)와, 상기 안착부(250)에 안착되어 몸체부(210)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흡입파이프(230)로 전달하는 유로안내부(260)와, 상기 흡입파이프(230)를 유로안내부(260)에 결합시키는 덮개부(270)로 크게 구성한다.
이 때, 상기 안착부는 흡입구(220)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의 유동 경로상인 몸체부(210)의 후방측에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안내부(260)에는 흡입파이프(230)의 반구체(231)가 결합되며, 그 내부 후측면은 전체적으로 구면(球面)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부(270)는 상기 유로안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안내부(260)에 장착되는 흡입파이프(231)의 반구체(231)가 그 이동에는 간섭을 받지 않도록 감싸는 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그 내벽면은 상기 반구체(23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덮개부(270)의 외측면 역시, 실시예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반구형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안착부(250)는 그 상단 및 하단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내부 공간상에 유로안내부(260)를 수용한다.
즉, 상기 안착부(250)의 하단을 이루는 하단안착부(251)는 몸체부(210)에 일체로 형성함과 함께 그 내부에는 유로안내부(260)의 안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착홈(25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50)의 상단을 이루는 상단안착부(252)는 상기 하단안착부에 안착되는 유로안내부(260)의 외부 탈거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유로안내부(260)의 상단 둘레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로써 상기 하단안착부(251)의 상부를 폐쇄한다.
이 때, 상기 하단안착부(251)에 형성된 안착홈(251a)은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이에 안착되는 유로안내부(260)는 상기 안착홈(251a)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안내부는 안착부(250) 내에서 좌, 우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단안착부(252)는 상기 하단안착부(251)와 같이 몸체부(21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0)와는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몸체부(2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안내부에는 그 회동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안착부(250)의 공기 유입측을 통해 흡입되는 각종 이물질이 항상 유로안내부(260)의 내측으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그 둘레면을 따라 유입공(26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단안착부(251)와 유로안내부(260) 사이에는 상기 유로안내부가 회동될 경우 이 유로안내부(260)가 자동적으로 원위치되도록 복원력을 발생하는 복원수단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복원수단은 도시한 도 7과 같이 구성되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하단안착부(251)의 내부면상인 안착홈(251a) 내에 유로안내부(260)의 회동방향인 원주 방향을 따라 슬릿(251b)을 길게 형성한다.
그리고, 유로안내부(260)의 저면에는 상기 슬릿(251b)의 내부 중앙부분에 그 일단이 위치된 상태로써 상기 유로안내부(26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슬릿(251b)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262)를 돌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단안착부(251)의 내부면과 유로안내부(260)의 저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스프링(310)을 장착한다.
이 때, 상기 스프링(310)의 양 끝단은 이동부(262)의 양측면에 접촉시키되, 상기 이동부(262)가 상기 스프링(310)의 양 끝단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하단안착부(251)의 내부면(혹은, 유로안내부(260)의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310)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체(251c)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에서 지지체(251c)는 일반적인 상태에서의 스프링(310)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하되 상기 스프링(310)의 압축이 이루어졌을 경우 이 스프링(3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안착부(251)의 내부면상인 스프링(310)의 양 끝단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310)의 어느 한 끝단이 이동부(262)에 의해 소정의 측편을 향해 이동할 경우 다른 한 끝단 역시 상기 방향을 향해 이동됨을 방지하는 걸림턱(251d)을 돌출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걸림턱(251d)은 슬릿(251b)이 형성된 위치를 피하여 위치되어 있음으로써 이동부(262)의 이동에는 간섭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흡입파이프의 반구체(231)에는 그 외측면 양단에 힌지(231a)를 일체화하고, 유로안내부(260)의 내측 양단 및 덮개부(270)의 내측 양단에는 상호간의 결합시 상기 흡입파이프의 힌지(231a)가 장착될 수 있도록 힌지공(262)(271)을 각각 형성하여 흡입파이프(230)의 상, 하 회동이 힌지(231a)를 중심으로 유로안내부(260) 및 덮개부(270)에 지지된 상태로써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내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반구형을 이루도록 함과 함께 그 내부 직경을 흡입파이프(230)의 반구체(231)가 이루는 외부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혹은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입파이프의 회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흡입파이프의 반구체(231) 외부직경은 덮개부(270)의 내부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함으로써 그 원활한 회동을 수행이 가능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시에는 흡입파이프(240)의 반구체(231) 끝단 둘레면을 따라 틈새폐쇄부(261b)를 일체화함으로써 상기 흡입파이프의 끝단이 흡입구체(200) 내의 유로안내부(260) 및 덮개부(270) 내에서 회동하더라도 틈새폐쇄부(261b)에 의해 항상 유로안내부(260)의 후측면과 덮개부(270)의 내측면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s)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형태는 흡입파이프(230)의 과도한 회동이 이루어질 경우 반구 체(231)가 유로안내부(260)로부터 탈거될 수 있음과 함께 이로 인한 상호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s)를 통해 공기의 누설이 유발될 수 있음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유로안내부(260)의 내측면 둘레 및 덮개부(27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탈거방지턱(263)(272) 형성하여 흡입파이프(230)의 반구체(231)에 형성된 틈새폐쇄부(261b)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상기 흡입파이프에 반구체(231)를 일체화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곡부(231c)로써 흡입파이프(230)의 탈거 방지구조를 위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안착부(250)의 외부 양 측부로 원형의 연통공(253a)이 형성된 결합부(25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의 연통공 내에는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써 여러 방향으로의 구름이 가능하게 구성된 캐스터(caster)를 별도로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캐스터는 연통공 내에 삽입된 상태로써 회동 가능하도록 원통형의 몸체(280)를 가지고, 상기 몸체 저면에는 롤러(281)가 힌지(282)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연통공(253a) 내에서 캐스터 몸체(280)가 탈거되지 않음은 상기 연통공의 캐스터 노출측에 그 둘레를 따라 걸림턱(253b)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그 하부로의 탈거가 방지될 수 있음과 함께 결합부(253)의 상단은 폐쇄된 상태임에 따라 그 상부로의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해 각각의 청소 상황에 따른 흡 입구체의 조작과정에 관해 도시한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우선, 도시한 도 8의 실선은 흡입구체(200)의 몸체부(210) 전면이 향하는 방향이 흡입파이프(230)가 이루는 방향과 동일방향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침대밑과 같은 높이가 낮은 부위의 청소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한 도 10의 실선과 같이 연장관(33)을 지면과 거의 동일하거나 혹은 그보다는 약간의 각도를 가지도록 눕힘으로써 이에 연결되는 흡입파이프(230) 역시 상기 연장관이 이루는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눕혀지게 된다.
즉, 흡입구체(200)의 몸체부(210) 내에 힌지(231a) 결합된 흡입파이프(230)의 끝단이 유로안내부(260)의 내측 벽면 및 덮개부(27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써 상기 힌지(231a)를 기준으로 하여 그 하향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침대밑이 아닌 일반적인 바닥면 청소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한 도 10의 점선과 같이 연장관(33)을 지면으로부터 상향 이동시키면 된다.
즉, 상기 연장관(33)을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이에 연결되는 흡입파이프(230) 역시 지면으로부터 상향 이동됨과 함께 흡입구체(200)의 몸체부(210) 내에 힌지(231a) 결합된 흡입파이프(230)의 반구체(231)가 유로안내부(260)의 내측 벽면 및 덮개부(27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써 상기 힌지(231a)를 기준으로 하여 상향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도면상 흡입파이프(230)의 최대 상향 회동 각도(θ)가 대략 45° 정도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더 높은 각도로의 사용이 불필요한 이유 때문으로써 굳이 이와 같은 형태로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90°를 이루면서 수직으로 세워질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써 이 때에는 단순히 반구형으로 형성된 흡입파이프(230)의 반구체(231) 둘레에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공만 형성함으로써 쉽게 달성 가능하다.
한편, 도시한 도 8의 상태중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흡입파이프(230) 및 연장관(33)의 방향이 흡입구체(200)의 몸체부(210) 정면이 향하는 부위로부터 직교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그 청소부위의 폭이 흡입구체(200)의 전면이 이루는 넓이(W)보다 좁을 경우에 조작하게 되는 상태로써 주로 실내의 벽과 가구 사이등에 형성되는 좁은 틈새 청소를 수행시 사용되도록 한 형태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좁은 틈새 내의 청소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연장관(33)이 향하는 방향을 흡입구체(200)를 구성하는 몸체부(210)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관과 결합된 흡입파이프(230)가 그 회동력을 전달받게 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파이프의 반구체(231)가 장착되어 있는 유로안내부(260)가 상기와 같은 회동력을 계속해서 전달받아 하단안착부(251) 내에 형성된 안착홈(251a) 내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유로안내부(260)의 저면에는 이동부(262)가 돌출되어 있고, 이 이동부(262)는 상기 하단안착부(251)에 형성된 슬릿(251b)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써 그 양측면에는 스프링(310)의 양측 끝단이 각각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한 도 9a와 같은 최초 상태에서 상기 유로안내부(260)의 회동이 이루어지면 이동부(262) 역시 상기 유로안내부(260)에 연동하여 슬릿(251b)을 따라 도시한 도 9b와 같이 시계방향(혹은,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310)의 일측 끝단을 타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시계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스프링(310)의 타측 끝단은 걸림턱(251d)에 의해 상기 스프링(310)의 다른 일측 끝단이 이동한다 하더라도 상기 일측 끝단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됨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10)은 그 양단이 서로 벌어짐으로 인해 압축이 이루어짐과 함께 그 직경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이 때에는 하단안착부(251)의 내부면(혹은, 유로안내부(260)의 저면)에는 지지체(251c)가 돌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3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압축되는 스프링(310)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실내의 벽면과 가구 등의 틈새 내부로 흡입구체(200)를 위치시킨 후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 흡입구체(200)가 그 전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된 방향으로도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음은 몸체부(210)의 안착부(250) 외측에 장착되어 있는 캐스터의 몸체(280)가 상기 몸체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로울러(281)의 구름 방 향을 몸체부(210)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된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캐스터의 몸체(800)가 선택적으로 회동할 수 있음은 그 자체적인 형상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고 있음과 함께 그 결합위치인 결합부(253)의 연통공(253a)의 직경이 상기 캐스터 몸체의 직경에 비해 크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로 틈새청소의 수행 도중 틈새의 깊숙한 곳으로 흡입구체(200)를 위치시키고자 할 때에는 연장관(33)을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이룰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작에 의하여 각 청소위치에 따른 적절한 흡입구체(200)의 방향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로써 청소가 수행될 때에는 흡입구체(200)의 몸체부(210)에 형성된 흡입구(220)를 통해 몸체부(210) 내로 흡입된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은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에 연장 형성된 안착부(250) 측으로 유동하면서 항상 유로안내부(260) 내부로 그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 유로안내부의 둘레면을 따라 유입공(261)이 계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로안내부(260)가 회동한다 하더라도 항상 안착부(250)의 공기 유입측과 유로안내부(260)의 내부가 연통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로안내부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은 상기 유로안내부의 내벽면을 타고 흡입파이프(230)의 공기 유입측을 향해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유로안내부(260)의 내벽면은 전체적으로 구면(球面)을 이루도록 반구형(半球形)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그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며, 이에 결합된 흡입파이프(230)의 공기 유입측(반구체) 역시 반구형(半球形)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계속적으로 원활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상태로써 청소가 이루어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좁은 틈새 등의 장소를 청소한 후에는 다시 흡입구체로부터 연장관의 위치를 원위치 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이 때에는 유로안내부(260)의 저부 및 하단안착부(251)의 상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10)이 복원력을 발생시키고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연장관(33)에 힘을 가하여 흡입파이프(230)를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스프링(310)의 복원력에 의해 흡입구체(200)로부터의 연장관(33) 위치가 원상태로 복귀된다.
즉, 연장관(33)에 가하고 있던 회동력을 해제하면 안착부(250) 내의 스프링(310)이 복원력을 발생시키면서 유로안내부(260)와 이에 연결된 흡입파이프(230)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연장관(33)과 흡입구체(200)와의 위치를 도시한 도 9a와 같은 최소 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310)의 일측 끝단을 타측 끝단으로부터 벌리는 힘의 해제에 의해 상기 스프링(310)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상기 스프링(310)의 일측 끝단은 유로안내부(260)의 이동부(262)를 역으로(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이동부(262)를 원위치 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 장소에의 계속적인 청소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원수단은 굳이 전술한 형태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한 도 11은 상기 복원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실시예의 복원수단은 기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링 형상 스프링(310) 대신 일반적인 압축 코일스프링(320)을 사용한 것을 제시한다.
이 때, 상기 코일스프링(320)은 하단안착부(251)의 내부면상에 형성된 슬릿(251b)의 내부에 수납되며, 유로안내부(26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이동부(262)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이동부(262)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의 코일스프링(320)이 선택적인 압축력을 전달받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코일스프링(320) 사이에는 상기 각 코일스프링(320)이 상호간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여 이동됨을 방지하는 스토퍼(251e)를 돌출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스토퍼(251e)는 슬릿(251b)의 내측으로 일부만이 돌출되도록 형성하되 이동부(262)의 이동에 따른 간섭을 가하지 않는 범위내로 그 돌출거리가 설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시한 도 12a와 같은 최초 상태에서 연장관(33)을 회동시키면 상기 연장관(33)과 결합된 흡입파이프(230) 및 이 흡입파이프(230)의 반구체(231)가 장착되어 있는 유로안내부(260)가 상기 연장관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하단안착부(251) 내에 형성된 안착홈(251a) 내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유로안내부(26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이동부(262)는 도시한 도 12b와 같이 하단안착부(251)의 내면에 형성된 슬릿(251b)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 는 과정 중 상기 슬릿(251b)의 내부에 수납된 각 코일스프링(320) 중 어느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연장관(33)을 회동시키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압축된 상태의 코일스프링(320)이 원상태로 복원됨과 함께 이 복원력을 이동부(262)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부(262)의 위치를 최초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연장관(33)은 흡입구체(200)에 대하여 도시한 도 12a와 같은 최초 위치로 복원됨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기 전술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굳이 슬릿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각 코일스프링을 지지하는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작용 및 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체와 연장관과의 상호 대응되는 회동 관계를 굳이 전술한 형태로만 실시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비록, 일 실시예 상에서는 그 좌,우 회동과 상,하 회동이 각각 다른 부분의 동작에 의해 동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흡입파이프(230)의 끝단(반구체)(231)과 흡입구체(200)의 내부(유로안내부(260))가 대체적으로 구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감안한다면 모든 방위에 대한 위치가 한번의 조작에 따라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시되었던 유로안내부와 흡입파이프간의 결합이 힌지결합이 아니라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흡입파이프의 끝단을 완전 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유로안내부 및 덮개부 내에서의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서와 같이 흡입파이프와 연장관이 직접적으로 결합된 상태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종래 흡입파이프와 연장관 사이에 결합되어 좌, 우 회전이 가능한 연장관을 본 발명에 추가로 구비하여 그 작용을 더욱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중 흡입파이프와 흡입구체간의 연결되는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각 청소 위치에 관계없이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에는 영향을 주지않고도 원활한 청소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 효과가 있다.
즉, 상호간의 연결부위가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루게 됨에 따라 원활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이의 유동중 발생되는 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구체를 구성하는 흡입파이프의 상,하 회동 및 좌,우 회동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흡입구체의 조작을 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청소를 위한 흡입구체의 이동시에도 캐스터에 의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을 진공 청소기의 본체 측으로 안내하는 흡입파이프; 그리고
    상기 몸체부 내에서 상기 흡입파이프와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파이프의 원활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의 유동 경로상인 몸체부의 후방측에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흡입파이프의 반구체가 장착되어 상기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의 유동을 상기 흡입파이프로 안내하는 유로안내부와;
    상기 유로안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유로안내부의 저부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하단안착부와,
    상기 하단안착부에 안착된 유로안내부의 외부 탈거를 방지하도록 상기 유로안내부의 상단을 감싸면서 상기 하단안착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단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안착부와 유로안내부 사이에는 상기 유로안내부가 회동되었을 경우 이 유로안내부를 원위치시키도록 복원력을 발생하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하단안착부의 내부면상에 유로안내부의 회동 방향인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릿과;
    상기 유로안내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릿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와;
    상기 하단안착부의 내부면과 유로안내부의 저면 사이에 장착되고, 그 양 끝단은 이동부의 양측면에 접촉된 링 형상의 스프링과;
    상기 하단안착부의 내부면상인 스프링의 양 끝단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어느 한 끝단이 소정의 측편을 향해 이동할 경우 다른 한 끝단 역시 상기 방향을 향해 이동됨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하단안착부의 내부면상에 유로안내부의 회동 방향인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의 내부에 수납된 한 쌍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유로안내부의 저면인 상기 각 코일스프링 간의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릿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 코일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압축하는 이동부와;
    상기 각 코일스프링 사이인 슬릿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각 코일스프링의 일단에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각 코일스프링이 상호간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여 이동됨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안착부의 안착홈은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유로안내부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써 회동이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함과 함께 그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공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에 구비된 반구체의 양측면에는 힌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로안내부에는 상기 힌지가 장착될 수 있도록 힌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에 구비된 반구체의 둘레면에는
    유로안내부와 덮개부의 내측면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폐쇄하는 틈새폐쇄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외부 양 측을 향하여 결합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에는 여러 방향으로의 구름이 가능한 캐스터(caster)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안착부는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안착부는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안내부의 상기 반구체가 안착되는 부위는 구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내벽면은 구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 중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부위의 외측면은 실질적으로 반구형(半球形)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 중 상기 흡입파이프와 결합되는 부위의 내벽면도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 중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부위의 내벽면은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20000024038A 1999-12-03 2000-05-04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595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038A KR100595171B1 (ko) 1999-12-03 2000-05-04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54808 1999-12-03
KR1019990054808 1999-12-03
KR1020000024038A KR100595171B1 (ko) 1999-12-03 2000-05-04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736A KR20010087736A (ko) 2001-09-21
KR100595171B1 true KR100595171B1 (ko) 2006-07-03

Family

ID=2663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038A KR100595171B1 (ko) 1999-12-03 2000-05-04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651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회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947A (ja) * 1993-11-22 1995-06-06 Te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950022719U (ko) * 1994-01-21 1995-08-18 김중신 전기청소기
JPH11262461A (ja) * 1998-03-19 1999-09-28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の吸口体
KR20010102696A (ko) * 2000-05-04 2001-11-16 구자홍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947A (ja) * 1993-11-22 1995-06-06 Te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950022719U (ko) * 1994-01-21 1995-08-18 김중신 전기청소기
JPH11262461A (ja) * 1998-03-19 1999-09-28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の吸口体
KR20010102696A (ko) * 2000-05-04 2001-11-16 구자홍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736A (ko) 200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6260B2 (ja) 清掃ヘッド
US5144716A (en) Electric cleane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ount base and bumper for electric cleaner
CN102648833B (zh) 用于表面处理器具的清洁器头
JP5179554B2 (ja) 表面処理電気器具
JP5042350B2 (ja) 表面処理電気器具
US7996954B2 (en) Path-conversion valv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JP5179555B2 (ja) 表面処理電気器具
JP2005161010A (ja) 真空掃除機の屈折延長管
KR20220154854A (ko) 바닥 공구 유닛, 표면 처리 기기 및 진공 청소기
KR100595171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414255B1 (ko) 접이식 진공청소기 브러시
KR200253098Y1 (ko) 접이식 진공청소기 브러시
KR10056557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565578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JP3759414B2 (ja) 真空掃除機用ブラシヘッド
CN218390936U (zh) 立式吸尘器
KR100556487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20090017373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331681B1 (ko) 청소기용 흡입노즐유니트
KR100569350B1 (ko) 진공청소기의 바퀴 장착구조
JP2810090B2 (ja) 電気掃除機
KR200254205Y1 (ko) 로울러가 장착된 접이식 진공청소기 브러시
KR20010065091A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KR200357163Y1 (ko) 청소기의 바퀴 구조
JPS6053621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力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