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5091A -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5091A
KR20010065091A KR1019990064905A KR19990064905A KR20010065091A KR 20010065091 A KR20010065091 A KR 20010065091A KR 1019990064905 A KR1019990064905 A KR 1019990064905A KR 19990064905 A KR19990064905 A KR 19990064905A KR 20010065091 A KR20010065091 A KR 20010065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wheel
brush body
suction inlet
vacuum cleane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64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5091A/ko
Publication of KR2001006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0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adjustably mount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Height adjustment of nozzle or dust loosening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브러시체를 흡입구체의 저부로 노출시키거나 혹은 다시 흡입구체의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조작이 상기 흡입구체의 좌, 우 유동없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그 조작이 편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둘레를 따라 솔(141)이 형성된 상태로써 상, 하 이동하면서 상기 솔을 선택적으로 지면에 접촉시키는 브러시체(140)와, 이 브러시체(140)를 선택적으로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수단을 갖는 흡입구체(100)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일단이 흡입구체(100)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흡입구체(100) 내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써 상, 하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페달부(210)와; 상기 페달부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페달부의 상, 하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래칫휠(Ratchet Wheel)(220)과; 상기 래칫휠에 결합되어 페달부(210)의 상, 하 회동력을 이 래칫휠(220)로 전달함과 함께 이 래칫휠(220)의 역방향 회전은 방지하는 지지포울(support pawl)(230)과; 상기 래칫휠에 일체화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브러시체를 하향 이동시키는 캠(240);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handling device for brush-frame of suction nozzle in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펫 등의 청소 수행시 상기 카펫 등에 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지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브러시체의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집안이나 차안 또는 기타의 장소를 청소함에 있어서 일반 빗자루나 기타 청소도구로는 청소가 곤란한 구석진 곳 및 기타 장소의 청소를 위해 주로 사용되며,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력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장소의 선택적인 청소를 위해 청소기 본체에 흡입구체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흡입구체(10)는 도시한 도 1과 같이 크게 상면을 이루는 상부덮개(11)와, 하면을 이루면서 공기 및 각종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12a)를 가지는 베이스(12)가 서로 일체화된 상태로써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상부덮개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그 후방측에는 청소기 본체(도시는 생략함)와 연결되는 되는 흡입구체 파이프(13)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와 베이스의 사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솔(brush)(14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브러시체(14)가 전체적으로 사각틀의 형상을 이루면서 상, 하 선택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력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브러시체(14)의 상, 하 이동은 상기 브러시체의 내부 양측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14b)가 일체화되어 있고, 상부덮개(11)의 일측 상부로 그 일단이 돌출된 상태로써 상기 브러시체의 경사부(14b)의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 하면서 브러시체(14)를 선택적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조작레버(15)가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와 브러시체 사이에는 스프링(16)이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 조작레버(15)에 의해 브러시체(14)를 하향 이동시키는 힘이 제거되었을 경우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브러시체(14)의 상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조작레버(15)는 도시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상부덮개(11)의 좌, 우측에 각각 위치된 상태로써 세 개의 다리부(15a)(15b)(15c)가 대략 “ㅅ”자 형상을 이루면서 그 중앙간을 연결하는 회전축(15d)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은 상부덮개(11)의 내부에서 그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상태로써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조작레버를 구성하는 세 개의 다리부 중 두 개의 다리부(이하, “조작부”라 한다)(15a)(15b)는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며 상부덮개(1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써 사용자에 의해 그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나머지 하나의 다리부(이하, “구름부”라 한다)(15c)는 브러시체(14)에 형성된 경사부(14b)의 어느 한측 끝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시한 도 2a의 상태에서 카펫등의 청소를 위해 조작부를 조작(도면상 전방측으로 회동)하게 되면 도 2b와 같이 구름부(15c)가 경사부(14b)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경사부의 다른 한측 끝부분으로 이동하면서 브러시체(14)를 누름에 따라 상기 브러시체는 하향 이동되고, 그 둘레면에 형성된 솔(14a)은 베이스(12)와 상부덮개(11) 간의 둘레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지면으로 노출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경사부(14b)는 최초, 구름부(15c)가 위치된 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구름부(15c)가 경사부(14b)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경사부의 타측 끝단부에 위치되는 과정에서 브러시체(14)를 그 하측 방향으로 밀게되어 상기 브러시체는 하향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거실 등의 청소를 위해 브러시체(14)를 다시 상향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단순히 조작부(15a)(15b)를 도면상 후방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구름부(15c)가 경사부(14b)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브러시체(14)를 누르는 힘을 제거함과 함께 상기 브러시체(14)와 베이스(12)의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덮개(11)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브러시체(14)의 솔(14a)에 의한 지면의 긁힘 없이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흡입구체(10)의 브러시체(14)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조작을 수행할 경우 흡입구체(10)의 좌,우 혹은 전, 후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그 조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 문제점을 발생하였다.
이는, 브러시체(14)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 강제적인 조작부(15a)(15b)의전,후 회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흡입구체(10)의 양측 중 어느 한 측에 치우친 상태로써 그 조작을 수행하도록 조작레버(15)가 위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반드시 흡입구체를 잡은 상태로써 그 조작을 수행하거나 혹은, 순간적인 힘을 가하여 그 조작을 수행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발생하게 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게 됨에 따라 결국, 사용자에 대한 신뢰성의 저하를 야기시키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브러시체를 흡입구체의 저부로 노출시키거나 혹은 다시 흡입구체의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조작이 상기 흡입구체의 좌, 우 유동없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그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 2b 는 종래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동작 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동작 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동작 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흡입구체 140. 브러시체
210, 310. 페달부 220, 320. 래칫휠
230, 330. 지지포울 240, 340. 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둘레를 따라 솔이 형성된 상태로써 상, 하 이동하면서 상기 솔을 선택적으로 지면에 접촉시키는 브러시체와, 이 브러시체를 선택적으로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수단을 갖는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일단이 흡입구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흡입구체 내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써 상, 하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페달부와; 상기 페달부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페달부의 상, 하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래칫휠(Ratchet Wheel)과; 상기 래칫휠에 결합되어 페달부의 상, 하 회동력을 이 래칫휠로 전달함과 함께 이 래칫휠의 역방향 회전은 방지하는 지지포울(support pawl)과; 상기 래칫휠에 일체화되어 이 래칫휠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브러시체를 하향 이동시키는 캠;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브러시체의 상, 하 이동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이 종래와 같은 조작부의 강제 회동 방식이 아닌 단순히 페달을 반복적으로 누름으로써 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한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시체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시체(14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은 흡입구체(100)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211) 결합됨과 함께 스프링체(212)에 의해 탄력 설치된 페달부(210)와, 전체적으로 일측 면이 폐쇄된 원통형을 이루고 있음과 함께 그 내부 둘레를 따라 동일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걸림턱(221)이 형성된 래칫휠(Ratchet Wwheel)(220)과, 상기 래칫휠(220)의 내부에 축(222) 결합된 상태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부 둘레면에는 그 끝단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은 래칫휠(220)의 각 걸림턱(221)에 안착됨과 함께 다른 한 측면은 페달부(210)의측부에 결합되는 걸림돌부(231)가 형성된 지지포울(support Pawl)(230)과, 상기 래칫휠(220)의 폐쇄된 측 외부면에 일체로 형성된 캠(240)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래칫휠(220)의 외부 둘레면에는 동일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다수의 걸림홈(223)을 형성하고, 상기 래칫휠(220)의 저부인 흡입구체(100)의 베이스(120) 내부측 상면에는 그 끝단이 상기 래칫휠(220)의 걸림홈(223) 내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상향 절곡된 상태로써 일정한 탄력을 지니는 걸림고리(101)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포울(230)의 둘레면 중 걸림돌부(231)가 형성된 위치와는 반대측면 상에는 래칫휠(220)의 각 걸림턱(221) 끝단과 접촉된 상태로써 걸림돌부(231)가 위치된 측을 향해 탄력을 전달하는 탄성편(232)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탄성편(232)은 지지포울(230)의 둘레면을 따라 만곡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포울(230)의 회동시 각 걸림턱(221)에 의한 탄성편(232)의 걸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캠(240)은 래칫휠(220)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상태로 형성하여 이루어도 상관은 없으나 전체적으로 그 회전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함이 그 정확한 동작의 수행을 위해 바람직하다.
특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240)이 전체적으로 다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함과 함께 이 다각형의 각 모서리(241) 부분만을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그 회전이 이루어질 경우 각 돌출된 모서리(241) 부분이 번갈아가면서 브러시체(140)를 누르도록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체 조작수단은 흡입구체(100)의 어느 일측에만 구성하여도 그 동작은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안정적인 동작의 수행을 위하여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체 조작수단을 구성하는 캠(240)의 중심부에 브러시체(14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연장축(242)을 일체화하고, 이 연장축(242)의 끝단에는 상기 캠(240)과 동일 형상을 이루는 별도의 보조캠(243)을 더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연장축(242)의 끝단은 흡입구체(100) 내에 그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지지수단(250)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된 연장축(242)의 끝단에는 일부가 흡입구체(100)의 후면 외측으로 노출되는 별도의 보조페달(244)을 더 구비함과 함께 이 보조페달(244)을 상기 연장축(242)의 타단측에 위치되어 있는 페달부(210)에 연결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는 브러시체가 흡입구체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일반적으로 마루 등과 같은 장소의 청소를 수행하고자 할 때의 상태이다.
이 때에는 브러시체 조작수단을 구성하는 캠(240)의 각 돌출된 모서리(241) 부위가 브러시체(140)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써 각 모서리(241) 부위와 모서리(241) 부위 사이에 브러시체(140)의 상면이 위치되고, 이 브러시체(140)의저면과 흡입구체(100)의 저면 사이에는 스프링(16)이 탄력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브러시체(1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그 하향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즉, 침구 혹은 카펫 등과 같은 장소의 청소를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흡입구체(100)의 후방측으로 노출되는 페달부(210)를 누름으로써 브러시체(140)의 하향 이동을 이루게 된다.
즉, 도시한 도 5와 같이 최초 페달부(210)를 누르게 되면, 이 페달부(2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던 지지포울(230)의 걸림돌부(231) 일측면이 상기 페달부(210)의 하향 이동력을 전달받아 지지포울(230) 및 상기 걸림돌부(231)의 다른 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래칫휠(220)의 각 걸림턱(221)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포울(230) 및 래칫휠(220)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 때에는 상기 래칫휠(220)의 측면에 일체화된 캠(240) 역시 상기 래칫휠(220)의 회전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그 돌출된 모서리(241) 부분이 브러시체(140)에 일체화된 받침부(142)의 상면에 점차 맞닿음과 함께 이 브러시체(140)를 점차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브러시체(140)의 둘레를 따라 부착된 솔(141)이 흡입구체(100)의 저부로 노출되어 결국, 카펫 등의 청소를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브러시체(140)의 하향 이동이 이루어져 페달부(2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페달부(210)는 그 저부에 설치된 스프링체(212)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상향 이동하게 되고, 이 페달부(210)의측면에 결합되어 있던 지지포울(230)의 걸림돌부(231) 역시 상향 이동하면서 래칫휠(220)의 내부 둘레면에 형성된 각 걸림턱(221)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 타 걸림턱(221a)에 걸리게 된다.
상기에서 지지포울(230)의 걸림돌부(231)가 각 걸림턱(221)의 경사면을 타고 원활히 넘어갈 수 있음은 상기 지지포울(230)에 형성된 탄성편(232)이 상기 걸림돌부(231)가 위치된 측과 반대측에 위치된 상태로써 탄력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걸림돌부(231)가 걸림턱(221)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는 도중 지지포울(230)이 상기 걸림돌부(231)가 위치된 측의 반대 방향으로 밀림이 가능하여 그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편은 래칫휠(220)의 둘레면을 따라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각 걸림턱(221)의 끝단에 걸리게 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걸림돌부(231)가 경사면을 완전히 타고 넘게 되면 도시한 도 6과 같이 상기 탄성편(232)이 복원력을 발생하여 걸림돌부(231)가 타 걸림턱(221a)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나, 이 때에는 래칫휠(220)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는, 그 둘레면에 형성된 각 걸림홈(223) 내에 걸림고리(101)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려있는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작용은 래칫휠(220)과 지지포울(230) 및 걸림고리(101) 상호간의 특징에 의해 가능하다.
즉, 상기 래칫휠(220)의 내,외부 둘레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턱(221) 및 걸림홈(223)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에 걸리는 지지포울(230)의 걸림돌부(231) 및 걸림고리(101)의 끝단은 각각 탄력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지포울(230)의 걸림돌부(231)가 하향 회동하게 되면 이 걸림돌부(231)는 래칫휠(220)의 걸림턱(221)을 밀어 상기 래칫휠(220)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래칫휠(220)의 외부 둘레면에 형성된 걸림홈(223)은 걸림고리(101)의 끝단을 타고 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지지포울(230)의 걸림돌부(231)가 다시 상향 회동하게 되면 이 걸림돌부(231)는 래칫휠(220)의 내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221)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 이 걸림턱(221)의 근접부에 형성된 다른 걸림턱(221a)에 걸리게 되나 이 때에는 래칫휠(220)이 걸림고리(101)에 의해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써 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기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단지, 래칫휠(320)에 형성되는 걸림턱(321)이 상기 래칫휠(320)의 외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이로 인해 지지포울(330)의 각 걸림돌부(331)의 끝단은 상기 걸림턱(321)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도시한 도 7과 같이 상기 지지포울(330)의 걸림돌부(331)의 돌출 거리()가 기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의 걸림돌부(231) 돌출 거리()에 비해 더길게 형성되고, 이 걸림돌부(331)의 끝단 양측은 각각 페달부(310)의 측면에 결합됨과 함께 래칫휠(320)의 외부 둘레면에 형성된 각 걸림턱(321) 간의 사이에 안착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포울(33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탄성편(332)은 걸림돌부(331)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 그 탄력을 전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래칫휠(320)의 내측 둘레면에 탄력 지지되는 상태로써 설치한다.
이 때, 상기 탄성편(332)은 지지포울(33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만곡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호간의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용중 제1실시예의 작용과 동일한 부분은 그 구체적인 설명을 설명하고,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특징적인 동작과정에 관해서만 도시한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한 도 8과 같은 일반적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브러시체(140)의 둘레면에 부착된 솔(141)을 흡입구체(100)의 저면으로 노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흡입구체(100)의 후방측으로 노출된 페달부(310)을 누름으로써 그 끝단에 결합된 힌지(311)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그 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포울(330)의 걸림돌부(331)가 이 이동력을 전달받아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걸림돌부(331)의 끝단 다른 측면에 위치되어 있던 래칫휠(320)의 걸림턱(321)은 상기 걸림돌부(331)를 통해 페달부(310)의 하향 이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결국, 상기 래칫휠을 도시한 도 9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래칫휠(320)의 회동으로 인해 이에 일체화된 캠(510) 역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그 돌출된 모서리(341)가 브러시체(140)의 상면을 점차 밀게 됨으로써 상기 브러시체(140)를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지지포울(330)의 걸림돌부(331)는 그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한 항상 래칫휠(320)의 각 걸림턱(321)에 걸려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지지포울(330)의 둘레면 중 상기 걸림돌부(331)가 돌출 형성된 측과 동일위치의 면상으로부터 그 외곽측 방향을 향해 탄력을 전달하는 탄성편(332)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능하다.
즉, 상기 탄성편(332)에 의해 지지포울(330)은 항상 상기 탄성편(332)이 형성된 측의 반대측을 향해 밀리는 힘을 받음에 따라 이의 둘레면에 형성된 걸림돌부(331) 역시 각 걸림턱(321)이 형성된 래칫휠의 외벽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페달부(310)를 통해 전달되는 누름힘의 제거에 의해 도시한 도 10과 같이 스프링체(312)의 복원력에 의해 페달부(310)가 원위치 됨과 함께 이로 인한 지지포울(330)의 걸림돌부(331)가 그 후측에 위치된 걸림턱(321)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 상기 걸림턱(321)에 걸린 상태로써 고정되고, 또한 브러시체(140)에 부착된 솔(141)의 노출이 이루어져 침구류 혹은 카펫 등의 청소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작용은 기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체 조작장치는 종래 일반적인 브러시체 조작장치와는 달리 지면 방향으로 페달부(310)를 밟음으로써 브러시체(140)를 흡입구체(100) 저부로의 노출 혹은 흡입구체(100) 내부로의 삽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체 조작장치는 그 조작을 위한 힘의 전달이 지면 방향을 향해 이루어짐으로써 이 조작에 따른 흡입구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 조작방법이 단순히 누름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조작상의 편리함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둘레를 따라 솔이 형성된 상태로써 상, 하 이동하면서 상기 솔을 선택적으로 지면에 접촉시키는 브러시체와, 이 브러시체를 선택적으로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수단을 갖는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일단이 흡입구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흡입구체 내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써 상, 하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페달부와;
    상기 페달부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페달부의 상, 하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래칫휠(Ratchet Wheel)과;
    상기 래칫휠에 결합되어 페달부의 상, 하 회동력을 이 래칫휠로 전달함과 함께 이 래칫휠의 역방향 회전은 방지하는 지지포울(support pawl)과;
    상기 래칫휠에 일체화되어 이 래칫휠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브러시체를 하향 이동시키는 캠;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래칫휠은 그 내부 둘레를 따라 일측면이 동일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지지포울은 상기 래칫휠의 내부에 축 결합된 상태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부 둘레면에는 그 끝단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은 래칫휠의 각 걸림턱에 안착됨과 함께 다른 한 측면은 페달부의 측부에 결합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래칫휠의 외부 둘레면에 동일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다수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래칫휠의 저부인 흡입구체의 내부 저면에는 그 끝단이 상기 래칫휠의 걸림홈 내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일정한 탄력을 지니는 걸림고리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포울의 둘레면 중 걸림돌부가 형성된 위치와는 반대측면 상에 래칫휠의 각 걸림턱 끝단과 접촉된 상태로써 걸림돌부가 위치된 측을 향해 탄력을 전달하는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탄성편은 래칫휠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만곡지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래칫휠은 그 외부 둘레를 따라 그 일측면이 동일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지지포울은 상기 래칫휠의 내부에 축 결합된 상태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부 둘레면에는 그 끝단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은 래칫휠의 각 걸림턱에 안착됨과 함께 다른 한 측면은 페달부의 측부에 결합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래칫휠의 저부인 흡입구체의 내부 저면에 그 끝단이 상기 래칫휠의 각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일정한 탄력을 지니는 걸림고리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지지포울의 둘레면 중 걸림돌부가 형성된 위치와 동일측 면상에 래칫휠의 내부 둘레면에 접촉된 상태로써 탄력을 전달하는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탄성편은 지지포울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만곡지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래칫휠의 측면에 일체화되는 캠은 그 회전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브러시체 조작수단을 구성하는 캠의 중심부에 브러시체의 형성 방향을 따라 연장축을 일체화하고, 이 연장축의 끝단은 그 회전이 가능하도록 흡입구체 내에 지지함과 함께 상기 캠과 동일 형상을 이루는 별도의 보조캠을 더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KR1019990064905A 1999-12-29 1999-12-29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KR20010065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905A KR20010065091A (ko) 1999-12-29 1999-12-29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905A KR20010065091A (ko) 1999-12-29 1999-12-29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091A true KR20010065091A (ko) 2001-07-11

Family

ID=1963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905A KR20010065091A (ko) 1999-12-29 1999-12-29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50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133B1 (ko) * 2019-02-11 2020-03-25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청소기 헤드
KR102093144B1 (ko) * 2019-02-11 2020-03-25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청소기 헤드
KR102093140B1 (ko) * 2019-02-11 2020-03-25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청소기 헤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133B1 (ko) * 2019-02-11 2020-03-25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청소기 헤드
KR102093144B1 (ko) * 2019-02-11 2020-03-25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청소기 헤드
KR102093140B1 (ko) * 2019-02-11 2020-03-25 레이캅코리아 주식회사 청소기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21474C2 (ru) Удлинительная труба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EP1537817A1 (en) Bendable extension pipe for a vacuum cleaner
KR100968335B1 (ko) 청소기
KR20010065091A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KR100331680B1 (ko) 청소기용 흡입노즐유니트
JP4041484B2 (ja) 延長管支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KR100556491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높이 조절장치
JP4713958B2 (ja) 電気掃除機
JPH10155705A (ja) 小型電気掃除機
JP2004329618A (ja) 手動清掃具
US20030145425A1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accessory
KR100565585B1 (ko) 청소기 연장관의 관절구조
KR100640920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JPH11113815A (ja) 変化式吸い込み口
JP2001008866A (ja) 電気掃除機の吸い込みヘッド
JPH071971Y2 (ja) ペット用シャワー兼用ブラシ具
KR10056557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54042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KR100565578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JP2597190Y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延長管ユニット
KR200203882Y1 (ko)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KR100546589B1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결합구조
KR200357163Y1 (ko) 청소기의 바퀴 구조
JPS6217018Y2 (ko)
KR100595171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