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882Y1 -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882Y1
KR200203882Y1 KR2019980022756U KR19980022756U KR200203882Y1 KR 200203882 Y1 KR200203882 Y1 KR 200203882Y1 KR 2019980022756 U KR2019980022756 U KR 2019980022756U KR 19980022756 U KR19980022756 U KR 19980022756U KR 200203882 Y1 KR200203882 Y1 KR 200203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connector
suction
cas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460U (ko
Inventor
송영소
Original Assignee
송영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소 filed Critical 송영소
Priority to KR2019980022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88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4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4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8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흡입 방식으로 실내의 바닥이나 카페트, 의자 등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이 진공청소기와 플랙시블 관체로 연결되어 사용방향이 자유롭게 되고 저면부에 흡입부를 형성하는 흡인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실내의 바닥청소를 원활하게 하며, 카페트 등의 청소시에는 상기 흡입부를 바닥에서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용 흡인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관(1)에 흡인구(2)를 설치하고 이의 케이스(3) 내에 구동모터(4)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시(6)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2)의 케이스(3) 중앙에 가이드(7)를 형성하고 이에 걸림턱(11)이 형성된 연결구(9)(10)를 결합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며, 상기 연결구(9)(10)들의 사이에는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관(1)을 결합설치하고 상기 가이드(7)의 상부에는 고정구(15)를 설치하며 이의 상부에 크랭크 형태의 높이조절구(17)를 스프링(18)으로 탄력설치하고 상기 높이조절구(17)의 양단에는 서로 크기가 다른 롤러(19)(20)를 설치하며 높이조절구(17)의 일단에는 손잡이(23)가 형성된 캠(22)을 설치하여 승강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3)의 후방에는 한쌍의 이동롤러(25)를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본 고안은 진공흡입 방식으로 실내의 바닥이나 카페트, 의자 등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이 진공청소기와 플랙시블 관체로 연결되어 사용방향이 자유롭게 되고 저면부에 흡입부를 형성하는 흡인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실내의 바닥청소를 원활하게 하며, 카페트 등의 청소시에는 상기 흡입부를 바닥에서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용 흡인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내에 진공발생용 모터와 필터로 구획되는 집진수단을 설치하고 이 집진수단의 일측에는 연결관이 선단에 설치되는 플랙시블 관체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관에는 흡입부를 저면에 형성한 흡인구를 설치하여 실내의 바닥이나 카페트 등을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상기 연결관에는 흡인구 대신 브러시나 부속구를 선택적으로 연결설치하여 사용되록 구성되어 있었고 상기 진공발생용 모터의 구동에 따라 연결관에 설치된 흡인구 및 브러시나 부속구를 통하여 오니를 흡입하면서 진공청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상기 흡인구의 바닥에는 흡인구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롤러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흡인구는 그 저면에 단순히 흡입부만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한쌍의 이동롤러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었고 상기 이동롤러의 바닥 접촉부에서 상기 흡인구의 저면구가 약간의 간격을 갖는 높이가 되도록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상기 흡인구의 하단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카페트등과 같이 털이 긴 곳을 청소하고져 할 때에는 상기 털이 흡인구의 흡입부로 흡인되면서 흡입부를 막게 되므로 청소의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상기 흡인구가 연결되는 연결관이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흡인구가 연결되는 상기 플랙시블 관체가 꼬이게 되는 불편이 있었고, 상기 흡인구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할 때 상기 흡인구가 한 방향으로만 이동되기 때문에 흡인구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진공흡입 방식으로 실내의 바닥이나 카페트, 의자 등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이 진공청소기와 플랙시블 관체로 연결되어 사용방향이 자유롭게 되고 저면부에 흡입부를 형성하는 흡인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실내의 바닥청소를 원활하게 하며, 카페트 등의 청소시에는 상기 흡입부를 바닥에서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청소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의 롤러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흡인구가 지그재그로 이동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용 흡인구를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제한 상태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연결구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연결구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발췌도
도 8은 본 고안의 브러시를 회전지지 하는 지지구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연결관 설치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도 10의 결합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B-B선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실시 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사용할 때 흡인구의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관 2 : 흡인구
3 : 케이스 4 : 구동모터
5 : 벨트 6 : 브러시
7 : 가이드 8,16 : 삽입홈
9,10 : 연결구 11 : 걸림턱
12 : 힌지 13 : 흡입부
14 : 걸림부 15,33 : 고정구
17 : 높이조절구 18 : 스프링
19,20 : 롤러 22 : 캠
23 : 손잡이 24 : 지지부
25 : 이동롤러 26 : 덮게
27 : 지지구 28 : 삽착공
29 : 마찰구 30 : 조인트
31 : 판스프링 32 : 완충구
34 : 걸림홈 35 : 통공
36 : 볼 37 : 탄력편
청소기 본체내에 진공발생용 모터와 필터로 구획되는 집진수단을 설치하고 이 집진수단의 일측에는 플랙시블 관체에 연결되는 연결관(1)에 흡입부(13)를 형성한 흡인구(2)를 설치하고 이 흡인구(2)의 케이스(3) 내에는 구동모터(4)에 벨트(5)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브러시(6)를 상기 흡입부(13)의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2)의 케이스(3) 중앙에 삽입홈(8)이 형성된 가이드(7)를 형성하고 이에 여러개의 걸림턱(11)이 형성된 연결구(9)(10)를 결합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되, 상기 연결구(9)의 양측에는 힌지(12)를 돌출형성하여 이를 상기 삽입홈(8)에 설치하며, 상기 연결구(9)(10)들의 사이에는 상기 걸림턱(11)에 설치되는 여러개의 걸림부(14)가 형성된 연결관(1)을 결합설치한다.
상기 가이드(7)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홈(8)과 대응되는 삽입홈(16)이 형성된 고정구(15)를 설치하며 이의 상부에 크랭크 형태의 높이조절구(17)를 스프링(18)으로 탄력설치하여 이를 커버(21)로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높이조절구(17)의 양단에는 서로 크기가 다른 롤러(19)(20)를 설치하며 이 높이조절구(17)의 일단에는 손잡이(23)가 형성된 캠(22)을 설치하여 승강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3)의 후방에는 지지부(24)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의 중심부에 한쌍의 이동롤러(25)를 설치하며 케이스(3)의 하부에는 덮게(26)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관(1)은 청소기 본체에 연결설치된 플랙시블 관체에 연결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 상기 브러시(6)의 양측단에는 구형상의 삽착공(28)이 형성되고 마찰구(29)가 삽입된 지지구(27)를 설치하여 상기 삽착공(28)에 브러시(6)의 축(601)이 삽입되는 조인트(30)를 판스프링(31)으로 탄력설치하며 상기 지지구(27)는 완충구(32)에 의해 완충이 가능한 고정구(33)에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구성하고 또, 도 10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구(9)의 일측면에 걸림홈(34)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구(15)에는 통공(35)을 형성하여 이에 볼(36)을 삽입설치하며 상기 고정구(15)의 외측에는 상기 볼(3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편(37)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연결구(9)(10)들의 일단에는 각각의 돌출턱(901)(101)을 하며 이에 대응되는 연결관(1)의 양측에는 걸림턱(102)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1)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연결구(9)(10)들에 형성되는 힌지(12)는 상기 연결구(9)(10)들에 각각 반원상태로 형성하고 이들이 상호 결합되어 힌지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청소기 본체내에 진공발생용 모터와 필터로 구획되는 집진수단을 설치하고 이 집진수단의 일측에는 플랙시블 관체에 연결되는 연결관(1)에 흡입부(13)를 형성한 흡인구(2)를 설치하고 이 흡인구(2)의 케이스(3) 내에는 구동모터(4)에 벨트(5)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브러시(6)를 상기 흡입부(13)의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2)의 케이스(3)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7)의 삽입홈(8)에 연결구(9)의 힌지(12)를 올려놓고 이의 걸림턱(11)들에는 여러개의 걸림부(14)가 형성된 연결관(1)을 결합설치한 다음, 이의 상부에 연결구(10)를 설치하여 상기 연결관(1)이 연결구(9)(10)들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7)의 상부에 고정구(15)를 설치하여 상기 연결관(1)의 조립을 완료하고 상기 브러시(6)의 양측단에는 구형상의 삽착공(28)이 형성되고 마찰구(29)가 삽입된 지지구(27)에 브러시(6)의 축(601)이 삽입되는 조인트(30)를 판스프링(31)으로 탄력설치하며 상기 지지구(27)는 완충구(32)에 의해 완충이 가능한 고정구(33)에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브러시(6)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1)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브러시(6)와 가이드 사이에 크랭크 형태의 높이조절구(17)를 스프링(18)으로 탄력설치하되, 이의 중앙부는 상기 고정구(15)의 상부에 커버(21)로써 설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높이조절구(17)의 양단에는 서로 크기가 다른 롤러(19)(20)를 설치하며 높이조절구(17)의 일단에는 손잡이(23)가 형성된 캠(22)을 설치하여 이 캠(22)의 동작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구(17)가 승강하여 롤러((19)(20)들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1)을 청소기 본체에 연결설치된 플랙시블 관체에 연결설치하여 청소기를 사용할 수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청소기를 가동시키게 되면, 상기 청소기의 본체내에 설치된 진공발생용 모터가 구동하여 상기 플랙시블 관체와 연결관(1)을 통하여 흡인력이 발생되고 이 흡인력은 흡인구(2)의 흡입부(13)를 통하여 바닥 등에 있는 각종 오니를 흡입하면서 청소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모터(4)를 작동시키면, 이와 벨트(5)로 연결된 브러시(6)가 작동하면서 청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높이조절구(17)에 설치되는 롤러(19)(20)들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지면에 닿는 면적의 차이를 두게 되므로써 도 15에서와 같이 흡인구(2)를 밀거나 당기게 될 때 이동롤러(24)들과 롤러(19)(20)의 접촉상태에 따라 상기 흡인구(2)는 자연스럽게 지그재그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흡인구(2)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그 이동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카페트등과 같이 비교적 털등이 긴 곳을 청소하고져 할 때에는 상기 손잡이(23)를 이용하여 캠(22)을 작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높이조절구(17)가 크랭크의 회전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에 따라 롤러(19)(20)들의 높이가 지면에서 더욱 상승하여 상기 털의 길이위로 올라가게 되고 상기 흡입구(13)로 카페트 등의 털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흡입부(13)의 높이를 보다 높게하여 청소를 원활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연결관(1)은 여러개의 걸림턱(11)과 걸림부(14)에 의하여 연결구(9)(10)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연결관(1)이 흡인구(2)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플랙시블 관체와 흡인구(2)가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연결관(1)은 상기 고정구(15)와 가이드(7) 사이에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므로써 청소시 흡인구(2)와 연결관(1)에 연결된 청소기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1)은, 상기 연결구(9)의 일측면에 걸림홈(34)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구(15)에는 통공(35)을 형성하여 이에 볼(36)을 삽입설치하며 상기 고정구(15)의 외측에는 상기 볼(3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편(37)을 설치하므로써 상기 연결관(1)을 수직상태로 세울 경우, 상기 볼(36)이 연결구(9)의 걸림홈(34)에 걸려 안정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연결구(9)(10)들의 일단에는 각각의 돌출턱(901)(101)을 하고 이에 대응되는 연결관(1)의 양측에는 걸림턱(102)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연결관(1)의 회전을 대략 180도 가량 회전시킬 수 있고 이의 회전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연결구(9)(10)들에 형성되는 힌지(12)는 상기 연결구(9)(10)들에 각각 반원상태로 형성하고 이들이 상호 결합되어 힌지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연결구들을 용이하게 제작,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흡인구(2)에 회동과 승강이 가능한 연결관(1)을 설치하므로써 청소시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높이조절구(17)에 의한 롤러(19)(20)의 높이를 조절하므로써 털이 비교적 긴 카페트 등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또, 서로 크기가 다른 롤러(19)(20)와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이동롤러(24)들의 지면접촉상태에 따라 상기 흡인구(2)를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도 흡인구(2)를 지그재그로 이동시킬 수 있어 청소작업이 원활하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5)

  1. 청소기 본체내에 진공발생용 모터와 필터로 구획되는 집진수단을 구비하고 이에 플랙시블 관체에 연결되는 연결관(1)에 흡입부(13)를 형성한 흡인구(2)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2)의 케이스(3)내에 구동모터(4)에 벨트(5)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브러시(6)를 상기 흡입부(13)의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흡인구(2)의 케이스(3) 중앙에 가이드(7)를 형성하며 이에 여러개의 걸림턱(11)이 형성된 연결구(9)(10)를 결합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되, 상기 연결구(9)의 양측에는 힌지(12)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연결구(9)(10)들의 사이에는 상기 걸림턱(11)에 설치되는 여러개의 걸림부(14)가 형성된 연결관(1)을 결합설치하며 상기 가이드(7)의 상부에는 고정구(15)를 설치하여 이의 상부에 크랭크 형태의 높이조절구(17)를 탄력설치하고 상기 높이조절구(17)의 양단에는 서로 크기가 다른 롤러(19)(20)를 설치하며 이 높이조절구(17)의 일단에는 손잡이(23)가 형성된 캠(22)을 설치하여 승강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3)의 후방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부(24)에 이동롤러(25)를 설치하며 케이스(3)의 하부에는 덮게(26)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관(1)은 청소기 본체에 연결설치된 플랙시블 관체에 연결설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6)의 양측단에는 구형상의 삽착공(28)이 형성되고 마찰구(29)가 삽입된 지지구(27)를 설치하여 상기 삽착공(28)에 브러시(6)의 축(601)이 삽입되는 조인트(30)를 판스프링(31)으로 탄력설치하며 상기 지지구(27)는 완충구(32)에 의해 완충이 가능한 고정구(33)에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9)의 일측면에 걸림홈(34)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구(15)에는 통공(35)을 형성하여 이에 볼(36)을 삽입설치하며 상기 고정구(15)의 외측에는 상기 볼(36)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편(37)을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9)(10)들의 일단에는 각각의 돌출턱(901)(101)을 하며 이에 대응되는 연결관(1)의 양측에는 걸림턱(102)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1)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9)(10)들에 형성되는 힌지(12)는 상기 연결구(9)(10)들에 각각 반원상태로 형성하고 이들이 상호 결합되어 힌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KR2019980022756U 1998-11-21 1998-11-21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KR200203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56U KR200203882Y1 (ko) 1998-11-21 1998-11-21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56U KR200203882Y1 (ko) 1998-11-21 1998-11-21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460U KR20000010460U (ko) 2000-06-15
KR200203882Y1 true KR200203882Y1 (ko) 2000-12-01

Family

ID=1953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756U KR200203882Y1 (ko) 1998-11-21 1998-11-21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8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02B1 (ko) * 2007-05-23 201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노즐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02B1 (ko) * 2007-05-23 201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노즐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460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21474C2 (ru) Удлинительная труба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KR100470557B1 (ko) 먼지 털이용 회전롤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조립체
KR20050108556A (ko) 로봇 청소기
GB2440716A (en) A cleaner head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KR200203882Y1 (ko) 진공청소기용 흡인구
KR100331680B1 (ko) 청소기용 흡입노즐유니트
KR100572156B1 (ko)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556491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높이 조절장치
KR100517931B1 (ko) 진공청소기의 회전브러쉬 높이조절장치
KR100227191B1 (ko) 업라이트청소기
KR200159657Y1 (ko) 업라이트청소기의 더스트커버설치구조
JPH0221832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151253Y1 (ko) 업라이트청소기
KR20010065091A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의 브러시체 조작장치
JPH01166729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950000365B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920001663B1 (ko) 진공청소기의 구석청소가 용이한 흡입구
KR0175620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JP359417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0140763B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이송장치
KR20050093246A (ko) 용도 전환기능를 갖는 진공청소기 헤드
KR0140121B1 (ko) 진공청소기의 카펫 및 장판등의 밀착 방지용 흡입 브러쉬
JP3594174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930011611B1 (ko) 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JP2003310490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