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156B1 -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156B1
KR100572156B1 KR1020040021061A KR20040021061A KR100572156B1 KR 100572156 B1 KR100572156 B1 KR 100572156B1 KR 1020040021061 A KR1020040021061 A KR 1020040021061A KR 20040021061 A KR20040021061 A KR 20040021061A KR 100572156 B1 KR100572156 B1 KR 10057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assembly
guide member
belt
pulley
rotat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215A (ko
Inventor
문주성
정명순
이병조
문대연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156B1/ko
Priority to US11/036,225 priority patent/US20050210625A1/en
Priority to GB0501361A priority patent/GB2414383B/en
Priority to GB0600029A priority patent/GB2418599B/en
Priority to AU2005200553A priority patent/AU2005200553B2/en
Priority to GB0504549A priority patent/GB2412572B/en
Publication of KR20050096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44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for conveying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e.g.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개시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조립체는, 흡입공을 구비하는 흡입구 조립체,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회전드럼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풀리, 구동풀리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아이들러 풀리,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구동풀리와 아이들러 풀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구동원과 연결시키는 제 1 벨트, 제 1 벨트를 구동풀리 또는 아이들러 풀리에 연결시키는 위치로 이동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부재, 및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 가이드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가이드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캠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회전드럼의 구동여부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 흡입구 조립체, 회전드럼, 벨트, 구동풀리, 아이들러 풀리

Description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Suction port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흡입구 조립체의 내부를 간략하게 도시해 보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진공청소기 110 : 청소기 본체
120 : 구동모터 150 : 흡입구 조립체
161 : 흡입공 170 : 회전드럼
180 : 중간샤프트 181 : 제 1 구동풀리
182 : 제 2 구동풀리 183 : 아이들러 풀리
190 : 가이드 부재 191 : 탄성체
195 : 가이드부 200 : 회전노브
201 : 손잡이 205 : 캠부재
210 : 보조 가이드 부재 215 : 보조 가이드 돌기
220 : 제 1 벨트 230 : 제 2 벨트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흡입공측에 회전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을 구비하는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관련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진공원을 내장하며, 그 진공원의 구동시 흡입공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오물을 흡입함으로써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진공청소기가 피청소면에 고착된 오물 또는 단순 흡입만으로는 청소하기 어려운 피청소면의 오물의 청소를 위해 회전드럼을 더 포함한 형태로 출시되는 추세이다. 상기 회전드럼은 통상적으로 흡입공측에서 회전구동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솔부재가 식모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시 피청소면과 상기 솔부재들이 접촉되며 이동하기 때문에, 피청소면에 고착된 오물의 제거시 및 카페트, 침구류 등과 같은 특수한 피청소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을 이용한 청소는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다 정숙한 청소작업을 위해 회전드럼과 피청소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해야 한다거나, 회전드럼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피청소면을 청소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되는 회전드럼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피청소면의 상태 또는 청소환경에 따라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을 선택할 수 있는 흡입구 조립체 및 그 흡입구 조립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조립체 및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공이 청소기 본체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는 흡입구 조립체 본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아이들러 풀리;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아이들러 풀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원과 연결시키는 제 1 벨트;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아이들러 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캠부재의 조작에 의해 회전드럼의 구동여부에 대한 선택이 자 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구 조립체 및 진공청소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상기 가이드부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를 탄성바이어스 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그 자유단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의 내측벽에 접촉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몰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 조립체 및 진공청소기는,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의 장착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되는 캠부재를 구비하는 회전노브;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과 상기 회전노브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고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공과 상기 회전노브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정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 조립체 및 진공청소기는,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과 상기 구동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아이들러 풀리를 구비하는 중간샤프트; 및 상기 중간샤프트를 상기 회전드럼에 연결하는 제 2 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구동풀리가 상기 제 1 벨트와의 연결에 의해 회전구동될 때, 상기 제 2 벨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로의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상기 흡입공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공원을 내장하며,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청소기 본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인접한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기; 및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가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대해 회동되어 소정 자세를 이룰 때, 상기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보조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가이드 부재 몸체; 및 상기 보조 가이드 부재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가 일정 자세를 이룰때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보조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 흡입구 조립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진공청소기 본체의 자세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회전드럼의 구동이 제어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들 중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는 진공청소기 본체(110), 흡입구 조립체(150)를 포함한다.
진공청소기 본체(110)는 진공원(120;도 2참조), 집진챔버(미도시)를 내장하며, 흡입구 조립체(150)의 일측에 흡입구 조립체(150)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 본체(110)와 흡입구 조립체(150)는 흡입구 조립체(150)의 바닥면에 형성된 흡입공(161)이 상기 진공원 및 집진챔버와 공기소통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진공원은 그 구동시 흡입공(161)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그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오물이 주변 공기와 함께 흡입공(161)을 통해 흡입됨으로써 피청소면의 청소가 수행된다.
한편, 흡입구 조립체(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 조립체 본체(160)와, 회전드럼(170)과, 중간샤프트(180)와, 제 1 벨트(220)와, 제 2 벨트(230)와, 가이드 부재(190)와, 회전노브(2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드럼(170)은 흡입구 조립체 본체(160)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흡입공(16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복수의 솔부재(171; 도 3참조)가 식모된다. 이러한 회전드럼(170)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된다. 상기 구동원으로서, 흡입공(161)을 통해 흡입되는 터빈장치(미도시), 흡입구 조립체 본체(16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미도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원으로서, 진공청소기 본체(110)와 흡입구 조립체(150) 의 연결시, 흡입구 조립체(150)의 내부로 회전축(121)이 노출되도록 진공청소기 본체(110)에 내장되는 구동모터(120)가 사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의 구동모터(120)는 흡입공(161)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작동하는 진공원의 기능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샤프트(180)는,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흡입구 조립체 본체(160)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드럼(170)과 구동모터(120)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중간샤프트(180)는 제 1 구동풀리(181), 제 2 구동풀리(182), 아이들러 풀리(18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구동풀리(181)(182)는 중간샤프트(180)와 일체로 회전구동이 가능하며, 아이들러 풀리(183)는 중간샤프트(180)에 대해 공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아이들러 풀리(183)는 제 1 및 제 2 구동풀리(181)(182)과 무관하게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1 구동풀리(181) 및 아이들러 풀리(183)는 제 1 벨트(2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20)의 회전축(121)과 연결된다. 한편, 제 2 구동풀리(182)는 제 2 벨트(230)를 통해 회전드럼(170)과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 부재(190)는 제 1 벨트(220)를 제 1 구동풀리(181)와 아이들러 풀리(183)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이드 부재(190)는 제 1 벨트(220)의 측면을 구속하기 위한 가이드부(195)를 포함하며, 흡입구 조립체 본체(16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90)의 슬라이딩은, 제 1 벨트(220)와 제 1 구동풀리(181)가 연결되는 제 1 위치 및 제 1 벨트(220)와 아이들러 풀리(183)가 연결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가이드부(195)가 화살표 A 방향(도 3 참조)을 따라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노브(200)는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중 어느 하나에 가이드부(195)가 위치되도록 가이드 부재(19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의 회전노브(200)는 흡입구 조립체 본체(160)의 상면에 관통형성된 장착공(163;도 1 참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노브(200)는 흡입구 조립체 본체(160)의 외부에 노출되는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부(201)와, 흡입구 조립체 본체(16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단에 형성된 캠부재(205)를 포함한다. 상기 캠부재(205)는, 가이드 부재(190)의 일측에 접촉되며, 그 횡단면적이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190)는, 손잡이부(201)의 조작에 의한 캠부재(205)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공(193)과 제 1 슬라이드 돌기(165)를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90)의 이동은 제 1 벨트(220)가 제 1 구동풀리(181) 또는 아이들러 풀리(18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게 한다.
참고로, 가이드 부재(190)는, 본 실시예와는 다르게, 일정 회동축(미도시)을 회동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가이드부(195)의 이동궤적 변화에 따라 제 1 벨트(220)의 이동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 비해 설치공간도 많이 차지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90)를 본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9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회전노브(200)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회전노브(200)의 캠부재(205)와는 다르게 가이드 부재(190)를 간접적으로 이동시켜야 함으로써 그 구성이 보다 복잡해지므로, 회전노브(200)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구동풀리(181)와, 아이들러 풀리(183)은 회전드럼 상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간샤프트(180)의 생략에 따라 흡입구 조립체(150)의 구성이 보다 간단해 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구동모터(120)와 회전드럼(170)을 연결시키는 벨트(미도시)가 가이드 부재(190)에 의해 이동되어 회전드럼(170)과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어, 회전드럼(170)의 구동시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중간샤프트(180) 상에 제 1 구동풀리(181)와 아이들러 풀리(183)가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회전노브(200)가 가이드 부재(190)의 일측에 배치되어 가이드 부재(190)를 이동시킬 경우, 가이드 부재(190)와 캠부재(205)의 접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100)는 가이드 부재(190)를 캠부재(205)측으로 탄성바이어스 하는 탄성체(19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탄성체(191)는 가이드 부재(19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자유단이 흡입구 조립체 본체(160)의 내벽 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탄성체(191)는, 흡입구 조립체(150)의 구조 단순화를 위해, 가이드 부재(19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렇게 가이드 부재(190)와 탄성체(191)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부재(190)와 탄성체(191)는 합성수지재질의 몰드물로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170)의 회전구동의 제어가 탄성체(191)의 보조를 통해 이루어질 경우, 제 1 벨트(220)가 유동됨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의 회전노브(20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2개의 고정홈(209)이 형성되고, 회전노브(2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장착공(163;도 1참조)의 내주면에는 탄력적으로 돌출가능한 탄성돌기(169)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일단 고정홈(209)과 탄성돌기(169)가 상호 결합되면, 사용자에 의해 회전노브(200)가 강제로 회전되지 않는 한 가이드 부재(19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술한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 조립체(150)는 꼭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흡입구 조립체가 진공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조립체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기능 및 효과도 동일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100)에 적용된 경우, 회전드럼(170)의 회전구동제어가 진공청소기 본체(110)의 자세에 따라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흡입구 조립체(150)가 아닌 보 조흡입툴(미도시)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할 경우, 흡입구 조립체(150)에서 회전드럼(170)이 불필요하게 회전구동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의 진공청소기(100)는 돌기(115)와, 보조 가이드 부재(190)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115)는 흡입구 조립체(150)에 인접한 진공청소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보조 가이드 부재(190)는 흡입구 조립체 본체(160) 내부에 화살표 B방향(도 3 참조)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가이드 부재 본체(211)와, 가이드 부재(190)에 인접한 보조 가이드 부재 본체(211)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조 가이드 돌기(215)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돌기(115)는 흡입구 조립체(150)에 대해서 진공청소기 본체(110)가 소정 자세를 이루었을 때 보조 가이드 부재(190)와 접촉되어, 보조 가이드 부재(190)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돌기(115)는 진공청소기 본체(110)가 흡입구 조립체(150)에 대해 직립되었을 때, 보조 가이드 돌기(215)가 가이드 부재(190)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적으로 흡입구 조립체(1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진공청소기 본체(110)가 직립된 상태로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조 가이드 돌기(215)는 가이드 부재(190)와의 접촉시, 가이드 부재(190)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제 1 벨트(220)가 아이들러 풀리(183)와 연결되도록, 가이드 부재(190)와 접촉되는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따르면, 간단한 회전노브의 조작에 의해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을 선택할 수 있어, 다양한 피청소면에 대응되는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경우,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제어가 진공청소기 본체의 자세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더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공이 청소기 본체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는 흡입구 조립체 본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아이들러 풀리;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아이들러 풀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원과 연결시키는 제 1 벨트;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아이들러 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캠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상기 가이드부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를 탄성바이어스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그 자유단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의 내측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탄성체는 일체로 형성된 몰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공이 청소기 본체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는 흡입구 조립체 본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아이들러 풀리;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아이들러 풀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원과 연결시키는 제 1 벨트;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아이들러 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의 장착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되는 캠부재를 구비하는 회전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캠부재는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과 상기 회전노브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고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공과 상기 회전노브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정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공이 청소기 본체와 공기소통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는 흡입구 조립체 본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아이들러 풀리;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아이들러 풀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원과 연결시키는 제 1 벨트;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아이들러 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캠부재;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과 상기 구동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아이들러 풀리를 구비하는 중간샤프트; 및
    상기 중간샤프트를 상기 회전드럼에 연결하는 제 2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구동풀리가 상기 제 1 벨트와의 연결에 의해 회전구동될 때, 상기 제 2 벨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 1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로의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공원을 내장하며,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청소기 본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인접한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기; 및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가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대해 회동되어 소정 자세를 이룰 때, 상기 돌기와의 접촉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보조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가이드 부재 몸체; 및
    상기 보조 가이드 부재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가 일정 자세를 이룰때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이동 시키는 보조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청소기 본체와 공기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구동시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와 공기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공이 구비된 흡입구 조립체 본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아이들러 풀리;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아이들러 풀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원과 연결시키는 제 1 벨트;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아이들러 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캠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상기 가이드부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를 탄성바이어스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이드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그 자유단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의 내측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조립체.
  12. 삭제
  13. 삭제
  14. 청소기 본체와 공기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구동시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와 공기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공이 구비된 흡입구 조립체 본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아이들러 풀리;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아이들러 풀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원과 연결시키는 제 1 벨트;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아이들러 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의 장착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와 접촉되는 캠부재를 구비하는 회전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캠부재는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조립체.
  15. 청소기 본체와 공기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구동시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와 공기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공이 구비된 흡입구 조립체 본체;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아이들러 풀리;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아이들러 풀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원과 연결시키는 제 1 벨트;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벨트를 상기 아이들러 풀리에 연결시키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캠부재;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과 상기 구동원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아이들러 풀리를 구비하는 중간샤프트; 및
    상기 중간샤프트를 상기 회전드럼에 연결하는 제 2 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구동풀리가 상기 제 1 벨트와의 연결에 의해 회전구동될 때, 상기 제 2 벨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조립체.
  16. 제 11 항,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흡입구 조립체 본체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로의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조립체.
KR1020040021061A 2004-03-29 2004-03-29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57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061A KR100572156B1 (ko) 2004-03-29 2004-03-29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US11/036,225 US20050210625A1 (en) 2004-03-29 2005-01-14 Vacuum cleaner having a controllable cleaning brush
GB0501361A GB2414383B (en) 2004-03-29 2005-01-21 Vacuum cleaner
GB0600029A GB2418599B (en) 2004-03-29 2005-01-21 Vacuum cleaner
AU2005200553A AU2005200553B2 (en) 2004-03-29 2005-02-09 Vacuum cleaner having a controllable cleaning brush
GB0504549A GB2412572B (en) 2004-03-29 2005-03-04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061A KR100572156B1 (ko) 2004-03-29 2004-03-29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215A KR20050096215A (ko) 2005-10-05
KR100572156B1 true KR100572156B1 (ko) 2006-04-24

Family

ID=3446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061A KR100572156B1 (ko) 2004-03-29 2004-03-29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210625A1 (ko)
KR (1) KR100572156B1 (ko)
AU (1) AU2005200553B2 (ko)
GB (1) GB241257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62A1 (ko) * 2018-02-20 2019-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7552B2 (en) 2004-11-17 2011-08-02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are appliance with a plurality of cleaning modes
KR100667889B1 (ko) * 2006-03-24 2007-0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흡입브러시 간격조절장치
WO2011020036A1 (en) * 2009-08-14 2011-02-17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vacuum cleaner
US9723961B1 (en) * 2013-01-18 2017-08-08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US9622631B2 (en) 2013-09-18 2017-04-18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urface cleaning nozzle adjustment apparatus with adjustable blade assembly
CN108095643A (zh) * 2018-01-16 2018-06-01 深圳市智意科技有限公司 洗地机
CN112568787B (zh) * 2019-09-29 2024-05-28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多吸口结构的吸尘器
CN111060432A (zh) * 2020-01-10 2020-04-24 常熟市易安达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效果的粉尘传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6713A (ja) * 1997-06-11 1999-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0934A (ja) * 1984-01-31 1985-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ブラシ付電気掃除機
US4748714A (en) * 1986-11-06 1988-06-07 The Hoover Company Cleaner with belt shifting
US5839160A (en) * 1997-02-21 1998-11-24 Kinergy Industrial Co., Ltd. Clutch control mechanical device for the brush axle of a vacuum cleaner
DE69806857T2 (de) * 1997-06-11 2002-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aubsauger
US6131238A (en) * 1998-05-08 2000-10-17 The Hoover Company Self-propelled upright vacuum cleaner with offset agitator and motor pivot points
US6209168B1 (en) * 1998-11-30 2001-04-03 Royal Appliance Mfg. Co. Combination brushroll and nozzle inlet control mechanism
CA2442853C (en) * 2001-04-10 2008-03-18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Bare floor shifter for vacuum cleaner
JP2004173759A (ja) * 2002-11-25 2004-06-24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100572155B1 (ko) * 2004-04-02 2006-04-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6713A (ja) * 1997-06-11 1999-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105671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62A1 (ko) * 2018-02-20 2019-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1901797B2 (en) 2018-02-20 2024-02-13 Lg Electronics Inc. Cleaner with clutch for motor eng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00553B2 (en) 2007-09-13
KR20050096215A (ko) 2005-10-05
US20050210625A1 (en) 2005-09-29
GB2412572B (en) 2006-03-22
GB2412572A (en) 2005-10-05
AU2005200553A1 (en) 2005-10-13
GB0504549D0 (en) 200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9656C2 (ru) Щетка с влажной тканью,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пылесоса, и пылесос, содержащий эту щетку
CA2455440C (en) Traction wheel powered edge cleaner
JP5290339B2 (ja) 真空掃除用電気器具のワンド用ハンドル
JP4477565B2 (ja) 集塵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5247837B2 (ja) 真空清掃ヘッド
AU2005200553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controllable cleaning brush
JP5285101B2 (ja) 真空掃除用電気器具
JP5216115B2 (ja) 真空清掃ヘッド
GB2386055A (en) A nozz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US20170290487A1 (en) Dusting device for cleaning machine
US20050125942A1 (en) 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KR100756322B1 (ko) 브러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KR20050097835A (ko) 진공 청소기
US20190191947A1 (en) Cleaning apparatus with selectable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KR20060122727A (ko)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EP3571970A2 (en) Cleaner
JP2020127700A (ja) 掃除機ヘッド
KR100227191B1 (ko) 업라이트청소기
EP2436292B1 (en) Suction opening body and electric cleaner
JPWO2017183251A1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GB2414383A (en) Vacuum cleaner with selectively driven roller
KR100227193B1 (ko) 업라이트청소기
JP359417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200195028Y1 (ko) 양방향 이동형 진공청소기
JP3594174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